KR100528717B1 -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717B1
KR100528717B1 KR10-1999-0033800A KR19990033800A KR100528717B1 KR 100528717 B1 KR100528717 B1 KR 100528717B1 KR 19990033800 A KR19990033800 A KR 19990033800A KR 100528717 B1 KR100528717 B1 KR 10052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ooking
balance
sewing machine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342A (ko
Inventor
다지마이쿠오
오하시이사오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2762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287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10233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641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043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021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250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12791A/ja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1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05B49/02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operated by cams or linkages

Abstract

적어도 1기(1基)의 미싱헤드에 복수개의 침봉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천칭(天秤)을 구비한 다침자수(多針刺繡)미싱으로서,
상사(上絲)의 경로에 존재하는 각 천칭(天秤)의 상류에 상사의 전향부를 각각 설치함과 동시에, 각 상사의 전향부에 실을 잡는 부재인 취사부재(取絲部材)를 대응적으로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미싱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1기의 미싱헤드에 복수개의 침봉 및 이에 대응하는 천칭(天秤)을 구비한 다침 자수미싱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천칭부근의 상사(上絲)경로에 개량을 가한 미싱에 관한 것이다.
재봉침의 상하운동과 회전가마와의 협동작용으로 본재봉을 행하는 미싱에서는 아래로 움직이는 재봉침이 피봉재물을 통과하여 하사점에 도달하고, 그 재봉침이 재상승하기 시작한 타이밍에 외부가마의 칼끝이 상사를 포착한다.
그리고, 외부가마의 그 후의 회전에 의해서 상사는 가마를 빠져나가, 내부가마와 가마받침이 걸어맞춤부를 통과하므로써, 내부가마에 수용되어 있는 보빈(북)으로부터의 하사(下絲)와 합류하여, 이들 상사와 하사에 의한 재봉이 형성 된다.
이 행정에서, 상사에 대하여 적당한 풀어줌과 끌어올림이 필요하게 되며, 이 작용은 천칭에 의해서 주어지게 되는 바, 그 상사에 작용하는 장력(張力)의 급격한 변동에 대해서는 천칭만으로는 추종할 수가 없다.
그래서, 상사의 급격한 장력변동을 흡수하는 부재로서, 취사부재가 설치 되어 있다(종래에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서「취사스프링」으로 불려지고 있는 것을 지칭한다).
이 취사부재는 일반 공업용 미싱이나, 가정용 미싱에서는 상사의 경로에 위치하는 천칭의 상류 바로 곁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본재봉의 형식에서, 또한 1기의 미싱헤드에 복수개의 침봉을 구비한 다침형의 자수미싱에서는 배치공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상기 취사부재는 실 안내의 상류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실 안내는 상사의 경로에 위치하는 천칭의 상류에 설치한 상사의 전향부보다 더 상류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사의 공급경로는 천칭과 취사부재와의 사이에서 필연적으로 몇번씩이나 굴곡되게 된다.
이 때문에, 굴곡부에서의 상사의 접촉저항이 크고, 취사부재에 의한 취사동작의 반응이 저하되는 결과로서, 취사부재의 본래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실의 끊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가장 알맞게 해결하도록 제안된 것으로서, 취사부재에 의한 본래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개선함과 동시에, 이 개선에 수반하여 새로이 나타나는 실 통과작업의 곤란성을 아울러 해소하도록 한 다침 자수미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유효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적어도 1기의 미싱헤드에 복수개의 침봉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천칭을 구비한 다침 자수미싱에 있어서, 상사경로에 있어서의 각 천칭의 상류에 상사의 전향부를 각각 설치함과 동시에, 각각의 상사전향부에 취사부재를 대응적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제1의 발명에 대하여)
이하에 제1의 발명에 대하여, 다침헤드를 복수기 구비한 다두다침 자수미싱에 적용한 적합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은 다두다침 자수미싱에 있어서의 복수기의 미싱헤드(101)내의 1기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들 복수기의 미싱헤드(101)은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는 장척의 미싱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전면에 대응적으로 설치한 개별적인 미싱암(102)(도 2참조)에, 지지케이스(103)을 통해서 가로방향으로 미끄럼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케이스(103)에는 복수개의 침봉(105)(실시예에서는 6개)가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이들 침봉(105)와 대응적으로 천칭(107)(실시예에서는 6개)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케이스(103)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에 의해서 선택된 한 개의 침봉(105) 및 천칭(107)이 미싱암(102)에 내장한 구동기구에 연계되어 각각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케이스(103)의 상부에는 조정대(111)이 경사된 상태로 고정되며, 그 고정대(111)의 전면에 각 침봉(105)(천칭(107))에 대응하는 제1의 실 조정자(112) 및 제2의 실 조정자(1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실 조정자는 주지의 것으로서, 제1의 실 조정자(112)는 2매의 조정판을 스프링에 의해서 서로 탄력적으로 압박접촉시켜, 이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압박접촉력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제2의 실 조정자(113)은 외주에 실이 감겨돌려지는 회전판을 스프링에 의해서 압박하고, 이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그 회전판의 회전저항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케이스(103)의 상단 가장자리부 및 하단 가장자리부에는 상사도(114) 및 하사도(116)이 대응적으로 설치되며, 이들 사도(絲道)(114),(116)에는 각 침봉(105)에 대응하는 실구멍(114a),(116a)(각 6개씩)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사도(114)와 하사도(116)의 중간에서 아래쪽으로 중사도(1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사도(115)는 도 3의(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케이스(103)의 전면에 고정되는 수직부(115a)와, 여기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뻗어나오는 수평부(115b)로 되며, 이 수평부(115b)에 각각의 천칭(107)과 대응하는 실구멍(115c) 및 슬릿(115d)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슬릿(115d)의 상방의 위치에는 상사전향부(118)이 설치되고, 이 상사전향부(118)은 실구멍(120a)를 갖는 2매의 사도체(絲道體)(120),(12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2매의 사도체(120),(120)은 슬릿(115d)를 걸치도록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중사도(115)에 있어서의 수평부(115b)의 아래쪽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취사 어셈블리(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취사 어셈블리(122)는 각각의 천칭(107)에 대응하는 취사 유니트(121)을 천칭(107)(침봉(105))의 수 만큼 세트로 한 것이다.
상기 취사 어셈블리(12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부(115b)의 양끝에서 내려뜨린 지지판(115e),(115e)의 사이에서 회전이 자유롭고 또한 축방향으로의 미끄럼운동을 자유롭게 지지한 지지축(123)과, 이 지지축(123)에 설치한 6개의 취사 유니트(121)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취사 유니트(121)은 도 6 및 도 7에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강선을 나선감기로 한 취사부재(125)와, 스토퍼부재(126)과, 스프링의 강도 조정부재(127)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취사부재(125)는 나선감기부(125c)의 한 끝부에 폐쇄루프형으로 형성되어 반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암부(125a)와, 상기 나선감기부(125c)의 다른쪽 끝부를 축방향으로 돌출시킨 걸림부(125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스프링의 강도조정부재(127)은 원통형의 부재로서 구성되며, 상기 지지축(123)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결합되는 중심구멍(127a)(도6)과, 상기 취사부재(125)의 나선감기부(125c)가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착구멍(127b)(도 7)과, 취사부재(125)의 걸림부(125b)가 끼워지는 걸림구멍(127c)(도 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126)은 지지축(123)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결합되는 중심구멍(126a)와, 상기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에 있어서의 장착구멍(127b)의 개구부 끝의 가장자리 외부둘레에 형성한 축경단부(縮徑段部)(135)가 끼워져 결합 되는 환상벽(126b)를 구비하며, 이 환상벽(126b)에는 소요의 중심각에 걸쳐서 절결부(126c)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7에 있어서의 취사부재(125), 스토퍼부재(126) 및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취사부재(125)에 있어서의 나선감기부(125c)는 상기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의 장착구멍(127b)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그 걸림부(125b)를 그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에 형성한 걸림구멍(127c)에 끼워넣고 있다.
또, 스토퍼부재(126)의 환상벽(126b)를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의 축경단부(135)에 끼워 결합하면, 스트로크 조정부재(126)의 절결부(126c)와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의 끝면과의 사이에 반원호(半圓弧)형의 틈새가 형성되며, 이 틈새로부터 상기 취사부재(125)의 암부(125a)가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재(126) 및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은 그 조정부재(127)의 측면 둘레면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삽입한 나사(129)를 죄어서 상기 지지축(123)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취사부재(125)에 있어서의 암부(125a)의 근원부를 상기 스트로크 조정부재(126)의 절결부(126c)에 형성한 스토퍼부(126d)에 맞접하게 한후, 다시 그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의해서, 취사부재(125)의 스프링강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각각의 스토퍼부재(126)의 각도위치를 모두 동일하게 정렬시키므로서, 각 취사부재(125)에 있어서의 암부(125a)를 동일한 자세로 정렬시키고 있다(도 4참조).
다시 각 취사 유니트(121)을 지지축(123)에 서로 밀착하도록 하여 설치하므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취사 유니트(121)에 있어서의 취사부재(125)의 암부(125a)가 각각의 상사전향부(118)의 바로 밑, 즉, 각 슬릿(115d)의 바로 밑에 대응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취사 어셈블리(122)가 외부삽입되는 지지축(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15e),(115e)의 사이에서 회전이 자유롭고, 축방향으로의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지지판(115e)에서 돌출하는 끝부에 레버(130)이 고정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지지판(115e)와 좌측끝의 취사 유니트(121)과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축(123)에 압축 코일스프링(131)이 탄력적으로 개장되어, 그 탄력에 의해서 우측끝의 취사 유니트(121)을 축방향의 우측으로 힘을 가하여 지지판(115e)에 맞접하도록 하고 있다.
이 상태로 상기 레버(130)은 역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115e)에서 이간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끝에 위치하고 있는 취사 유니트(121)에 있어서의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의 우측 끝면과,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판(115e)의 좌측 끝면에는 걸어서 결합할 때에 맞물림으로 결합할 수 있는 클러치부(132),(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양 클러치부(132),(134)는 상시에는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131)의 탄력작용으로 맞물림하여 상기 지지축(123)의 자유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130)을 다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클러치부(132),(134)가 1피치씩의 각도를 갖고 이동하며, 이어서 상기 레버(130)을 일으키고 눕히는 조작을 하여 지지축(123)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이 제1발명의 실시예의 다침 자수미싱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미싱헤드(101)의 배면의 상방위치에 세트한 실 패(도시하지 않음)에서 풀려나온 상사(a)는 소정의 실 안내를 통해서 상기 조정대(111)의 상방부에 공급된다.
이 상사(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대(111)에 있어서의 제1의 실 조정자(112), 제2의 실 조정자(113), 상사도(114)의 실구멍(114a), 중사도(115), 천칭(107)의 실구멍(107a), 하사도(116)의 실구멍(116a)의 순서로 통과하여, 이어서 상기 침봉(105)의 실걸이(105a)를 통해서 재봉침(104)의 눈구멍으로 통과된다.
이 중사도(115)에로의 상사(a)의 통과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사(a)는 상사전향부(118)을 구성하는 우측의 사도체(120)에 있어서의 실구멍(120a)을 통과한 후, 취사 유니트(121)의 암부(125a)를 통과하고, 다시 좌측의 사도체(120)의 실구멍(120a)를 통과하게 된다.
이 중사도(115)로의 실 통과(꿰기)작업을 할 때에는 도 3의(b)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130)을 앞으로 당겨서 지지축(123)을 회전시켜, 암부(125a)의 선단부를 사도체(120)의 실구멍(120a)에 정합시킨다.
그러면, 양측의 사도체(120)의 실구멍(120a)와, 암부(125a)의 선단부가 가로 일렬로 정렬되게 되므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사(a)를 우측으로부터 간단하게 통과시킬 수가 있다.
이 부분으로의 실 통과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도 3의(a)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130)을 제자리로 되돌리는 것으로서, 각 취사부재(125)의 암부(125a)를 통상자세로 환원시켜 둔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130)의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중사도(115)부분으로의 실 통과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레버(130)의 조작에 의하여 각 취사부재(125)의 암부(125a)를 일제히 실 통과가 가능한 자세로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6개의 침봉(105)에 처음으로 실 통과를 시키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 미싱의 가동시에는 선택된 침봉(105)의 1왕복운동마다 취사부재(125)의 암부(125a)가 작동하여, 도 3의(b)에 가상선과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천칭(107)과 암부(125a)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상사(a)의 굴곡부는 상사전향부(118)을 구성하는 좌측의 사도체(120)뿐으로서, 상기 상사(a)에 작용하는 굴곡저항은 이 부분에만 작용하는데 불과하다.
따라서, 취사부재(125)의 암부(125a)는 천칭(107)의 하류에 있어서 생기는 상사(a)의 장력변화에 대하여 예민하게 반응한다.
이 때문에 종래장치의 경우와 같은 취사부재의 반응이 늦는데 기인하는 실 끊기는 일이 유효하게 회피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130)을 조작하여 암부(125a)의 자유상태에 있어서의 자세를 도 3의(a)에 1점사슬선이나 2점사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당하게 변경하므로써, 상기 암부(125a)의 스트로크를 일제히 변경할 수가 있으며, 실의 종류나, 자수조율, 소망하는 마감자수에 따라서 원터치 조작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여기서, 레버(130)을 회전시킬 때에는 압축 코일스프링(131)에 의해서 클러치부(132),(134)는 서로 탄력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그 맞물린 피치로 지지축(123)은 확실하게 동작하여 상기 레버(130)의 회전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또 회전각도의 기준으로도 되어 조작감각이 풍부하다는 이점이 있다.
단, 이와 같은 기구는 필수의 요건은 아니고, 지지축(123)을 회전시킬 때에 소정의 저항이 걸리도록 하는 지지구조로 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취사부재(125)에 있어서의 스프링의 강도는 각 취사 유니트(121)마다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침봉(105)마다 다른 취사조정을 할 수가 있고, 사용하는 상사(上絲)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각 취사 유니트(121)에 있어서, 취사부재(125)에 있어서의 암부(125a)의 스토퍼부(126d)에 전극을 설치하여, 그 암부(125a)와의 접촉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므로써 상사(a)의 실 끊김 상태등을 검지하게 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다시, 취사 어셈블리(122)에 있어서의 레버(130)의 회전각도를 나타내는 지침과 눈금을 설치하여, 그 레버(130), 즉 지지축(123)의 회전각도를 한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2의 발명에 대하여)
다음에, 제2의 발명에 관한 미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두자수기가 구비하는 다수의 미싱헤드(201)가운데 1기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도 13은 그 세로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미싱헤드(201)은 미싱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전면에 수평으로 고정한 미싱 암(202)와, 그 미싱 암(202)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한 지지케이스(20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케이스(203)의 상단에는 조율기를 구비한 조정대(205)가 경사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케이스(203)에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침봉(206)이 상기 지지케이스(203)의 미끄럼운동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되고, 또 각 침봉(206)과 대응적으로 복수의 천칭(207)(본 실시예에서는 6개)이 구비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천칭(207)은 그 기단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203)의 미끄럼운동 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위치하는 지지축(208)에 중추지지되어, 상하로 소요의 중심각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천칭(207)의 부근에 위치하는 상사경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상사 공급원으로부터 고급된 상사(a)는 상기 조정대(205)에 설치한 조율기나 실 걸이, 상기 지지케이스(203)의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설치한 상사도체(210), 중사도체(211) 및 하사도체(212)를 통해서, 상기 침봉(206)의 하단에 설치한 재봉침(215)에 유도된다.
이 상사(a)의 꿰어 넣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대(205)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한 제1 조율기(205a), 실걸이(205c), 제2 조율기(205b) 및 상기 지지케이스(203)의 상사도체(210)의 순서로 상기 상사(a)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중사도체(211)에 있어서의 실걸이부(216)(도 13)에서 전향시킨 후, 천칭(207)의 실걸이부(217)을 통과시켜서 재차 중사도체(211)을 경유하여, 이어서 하사도체(212), 상기 침봉(206)의 하단에 설치한 실걸이(218)을 통해서 상기 재봉침(215)로 통과된다.
이 중사도체(211)에 있어서의 실걸이(216)의 구성에 대해서는 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중사도체(211)에 있어서의 수평부(211a)위에 두 개의 지지판(220),(220)이 전후에 소요의 간격을 두고 세워져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판(220)에 지지구멍(220a)가 뚫려 있다.
그리고 롤러(221)의 양 단부를 마주보는 상기 두 개의 지지구멍(220a),(220a)에 끼워서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롤러(221)은 양 지지판(220), (220)의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221)은 각 지지판(220)의 외부측에 설치한 고정판(222)에 의하여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다시 천칭(207)에 있어서의 실걸이부(217)의 구성을 주로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천칭(207)의 선단부에는 포크형의 브래킷(2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의 브래킷부재(225a)에는 지지구멍(225b)가 뚫려 있다.
그리고 롤러(226)의 양 단부를 마주보는 두 개의 지지구멍(225b),(225b)에 끼워결합 시키므로써, 상기 롤러(226)은 양 브래킷부재(225a),(225a)의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226)도 각 브래킷부재(225a)의 외부측에 설치한 고정판(227)에 의하여 탈락불능으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케이스(20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사도체(210)를 통과한 싱사(a)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사도체(211)에 설치한 상기 롤러(221)에 걸려서 상방으로 전향되고, 상기 천칭(207)의 선단에 설치한 상기 롤러(226)에 걸려서 하방으로 전향된다.
그리고, 상사(a)는 중사도체(211)에 있어서의 롤러(221)의 곁에 형성한 통과구멍(230)을 통과하여 하사도체(212)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사(a)는 양 롤러(221),(226)의 부분에서 180°에 가까운 굴곡을 하게 되는 바, 상기 천칭(207)의 작동에 따라서 그 상사(a)가 각 롤러(221),(226)에 있어서의 굴곡부에서 이동할 때에 그 롤러(221),(226)도 함께 회전한다.
이 때문에 상사(a)에는 이들 두 개의 굴곡부에 있어서 거의 미끄럼저항을 생기게 하지 않으며, 그 굴곡저항이 극히 작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사(a)의 성상(性狀)에 의한 상사 긴장의 변화가 작게 되고, 그 결과로서, 상사 긴장의 조정을 폭 넓고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미싱에서는 중사도체의 실걸이부 및 천칭의 실걸이부의 쌍방에 롤러를 사용한 예를 들었으나, 롤러를 대응적으로 두 개 설치하는 것이 필수는 아니고, 어느 한 쪽의 실걸이부에만 롤러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실걸이부에 있어서의 롤러의 방향은 본 실시예와 같은 방향으로 한정 되는 것이 아니고, 축심이 수평방향이라면 어느 방향을 향해도 좋다.
예를 들면, 천칭의 경우는 롤러의 축심을 전후방향으로 향하게 하여도 좋고, 이편이 실 꿰기의 작업성이 좋을 수도 있다.
또, 상기 롤러는 그 외주에 실 홈을 설치한 것이라도 좋고, 또, 활차형의 것도 좋다.
(제3의 발명에 대하여)
다음에, 제3의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가로방향으로 장척인 미싱프레임(도시하지않음)의 전면에 설치한 복수기의 미싱헤드에 관한 것이며, 그 가운데의 1기의 미싱헤드(301)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 미싱헤드(301)은 미싱프레임의 전면에 고정한 미싱 암(302)(도 18참조)의 전면에, 지지케이스(303)을 가로방향으로의 미끄럼이 자유롭게 지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지지케이스(303)에는 복수개의 침봉(305)(본 실시예에서는 6개)가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각각의 침봉(305)에 대응하는 천칭(307)이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케이스(303)은 구동장치(도시하지않음)에 접속되어 미끄럼 구동되며, 상기 지지케이스(303)에 있어서의 한 개의 침봉(305) 및 천칭(307)이 상기 미싱 암(302)내의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선택적으로 연계되어,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케이스(303)의 상부에는 조정대(311)이 고정되고, 이들의 전면에는 각각의 침봉(305)(천칭(307))에 대응하는 제1의 실 조정자(312)및 제2의 실 조정자(313)이 설치되어 있다.
각 실의 조정자는 주지의 것으로서, 제1의 실 조정자(312)는 2매의 조정자판을 스프링에 의해서 서로 탄력적으로 압박접촉시켜, 그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압박접촉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2의 실 조정자(313)은 외주에 실이 감겨 돌려지는 회전판을 스프링에 의해서 압박하고, 이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그 회전판의 회전저항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지지케이스(303)의 전면에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사도(314) 및 하사도(316)이 설치되며, 각각의 사도(314),(316)에는 각 침봉(305)에 대응하여 실구멍(314a),(316a)가 각각 합계 6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사도(314)와 하사도(316)의 중간위치에는 상사전향부로서 기능하는 중사도(315)가 설치되어 있다.
중사도(315)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케이스(303)의 전면에 설치되는 설치부(315a)와, 이 설치부(315a)의 전면에 고정한 사도부재(絲道部材)(315b)와 이 사도부재(315b)에 형성되어, 각각의 천칭(307)에 대응하는 전후방향의 슬릿(315c)와, 상기 사도부재(315b)에 설치한 회전체로서의 롤러(315d)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롤러(315d)는 상기 사도부재(315b)에 있어서의 전후의 기립부 사이에 가로질러서 각 슬릿(315c)의 상방위치에 있어서 대응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수평지지되어 있다.
또, 사도부재(315b)의 수평부에는 각 슬릿(315d)의 좌측에 세라믹 등을 재질로 한 실안내(316)이 설치되어, 그 중심구멍에 상사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중사도(315)에 있어서의 설치부(315a)의 하방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 천칭(307)에 대응하는 취사 유니트(321)을 상기 천칭(307)(침봉(305))의 수 만큼(본 실시예에서는 6개) 세트한 취사 어셈블리(3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취사 어셈블리(322)는 중사도(315)의 설치부(315a)의 양 끝부에 내려져 설치된 지지판(315e),(315e)의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지지축(323)과, 이 지지축(323)의 축상에 설치한 상기 취사 유니트(321)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취사 유니트(321)은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된 취사부재(325)와, 스토퍼부재(326)과, 스프링 강도조정부재(327)로 구성된다.
상기 취사부재(325)는 나선감기부(325c)의 한 끝부에, 그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폐쇄 루프형의 암부(325a)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끝부에는 나선감기부(325c)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회전저지용 걸림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강도조정부재(327)은 지지축(323)에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하는 중심구멍과, 취사부재(325)의 나선감기부(325c)를 유동가능하게 끼우는 장착구멍을 가지며, 다시 취사부재(325)의 걸림부가 끼워서 회전이 저지되는 걸림구멍(도시하지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토퍼부재(326)은 지지축(323)에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는 중심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스프링 강도조정부재(327)과의 사이에서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의 상하운동을 허용하는 슬릿(32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326) 및 스프링 강도조정부재(327)은 그 측면둘레면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결합시킨 나사(329)를 죄어서 상기 지지축(323)에 고정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강도조정부재(327)을 도 21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취사부재(325)에 있어서의 암부(325a)의 근원부가, 상기 스토퍼부재(326)에 있어서의 슬릿(326c)의 끝면에 형성한 스토퍼부(326d)에 맞접하게 한 후, 다시 돌리는 각도를 조절하므로써 그 취사부재(325)의 스프링 강도를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 지지축(323)에, 각각의 취사 유니트(321)을 서로 밀착하도록 설치 하므로써,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취사 유니트(321)에 있어서의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가, 상기 사도부재(315b)에 형성한 각 슬릿(315c)의 바로 밑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취사 어셈블리(322)의 지지축(323)은 상기와 같이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그 우측의 지지판(315e)에서 돌출한 끝부에 레버(330)이 고정되어 있다.
이 레버(330)을 손으로 잡고, 앞으로 일으키고 넘어지도록 하므로써, 상기 지지축(323)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미싱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미싱헤드(301)의 배면의 상방위치에 세트한 실 패(도시하지 않음)에서 풀려나온 상사(a)는 소정의 실 안내를 통해서 상기 조정대(311)의 상방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상사(a)는 조정대(311)의 제1의 실 조정자(312), 제2의 실 조정자(313), 상사도(314)의 실구멍(314a), 중사도(315), 천칭(307)의 실구멍(307a), 하사도(316)의 실구멍(316a)의 순서로 통과하여, 이어서 상기 침봉(305)의 실걸이(305a)를 통해서 재봉침(304)의 눈구멍으로 통과된다.
상기 중사도(315)로의 실 통과(꿰기)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레버(330)을 앞으로 일으켜서 지지축(32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의 선단부는 도 20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315d)의 측방부까지 상승한다.
그 후에 상사(a)를 상기 암부(325a)의 선단에 통과시킨다.
이 부분으로의 실 통과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레버(330)을 제자리로 되돌리고, 도 20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를 통상 자세로 환원시켜 둔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330)에 의한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중사도(315)부분으로의 실 통과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레버(330)의 조작에 의하여 각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를 일제히 실 통과가 가능한 자세로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6개의 침봉(305)에 처음으로 실 통과를 시키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다음에, 미싱의 가동시에는 선택된 침봉(305)의 1왕복 운동마다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가 작동하여, 도 20에 가상선과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를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천칭(307)과 암부(325a)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상사(a)의 굴곡부는 롤러(315d)뿐이며, 더우기 이 롤러(315d)는 상사(a)와의 접촉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므로, 이 상사(a)에 작용하는 굴곡저항은 극히 작은 것이 된다.
따라서,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는 상기 천칭(307)의 하류에 있어서 생기는 상사(a)의 장력변화에 대하여 예민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종래장치의 경우와는 달리, 취사부재의 반응이 늦는데 기인하는 실 끊김이 발생하는 것이 유효하게 회피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330)을 조작하여 암부(325a)의 자유상태에 있어서의 자세를 적당하게 변경하므로써, 각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의 스트로크를 일제히 변경할 수가 있으며, 실의 종류나, 자수조율, 소망하는 마감자수에 따라서 원터치 조작으로 대응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취사부재(325)에 있어서의 스프링의 강도는 각각의 취사 유니트(321)마다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침봉마다 다른 취사조정을 할 수가 있고, 사용하는 상사(上絲)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하게 대응 할 수가 있다.
또, 각 취사유니트(321)에 있어서, 취사부재(325)에 있어서의 암부(325a)의 스토퍼부(326d)에 전극을 설치하여, 그 암부(325a)와의 접촉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므로써 상기 상사(a)의 실끊김 상태 등을 검지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제2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회전체로서의 롤러(315d)를 두개로 한 점이다.
즉, 중사도(315)의 사도부재(315b)에 형성된 각 슬릿(315d)의 상방의 위치에는 두 개의 롤러(315d),(315d)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사(a)는 이들 두 개의 롤러(315d),(315d)에 걸리도록 되어 있으며, 이 상사(a)를 세트할 때의 작업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사(a)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취사부재(325)의 암부(325a)가 도 23의 실선과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를 왕복동작 할 때에, 이 암부(325a)에는 좌우로 균등하게 실의 장력이 작용하므로, 이 암부(325a)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동작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1기의 미싱헤드에 복수개의 침봉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천칭을 구비한 다침 자수미싱에 있어서, 상사경로에 있어서의 각 천칭의 상류에 상사전향부를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각 상사전향부에 취사부재를 대응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취사부재에 의한 본래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개선하며, 또, 이 개선으로 인해서 새로 생기는 실꿰기 작업의 곤란성을 아울러 해소시킨 다침 자수미싱이 제공된다.
도 1은 제1발명의 알맞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두 다침(多頭多針) 자수미싱의 미싱헤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미싱헤드의 우측면도.
도 3은 알맞는 실시예의 중사도(中絲道) 및 취사(取絲)어셈블리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중사도 및 취사 어셈블리의 일부의 절결사시도.
도 5는 도 4의 중사도 및 취사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6은 취사부재, 스토퍼부재 및 스프링강도 조정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취사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결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알맞는 실시예의 취사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취사 유니트의 세로단면도.
도 9는 알맞는 실시예의 중사도부(中絲道部)로의 실 통과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의 절결정면도.
도 10은 알맞는 실시예의 중사도부에 실 통과를 실시하기 위한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의 절결정면도.
도 11은 취사 어셈블리에 조립되는 클러치기구의 사시도.
도 12는 제2발명의 알맞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미싱이 구비하는 미싱헤드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미싱헤드의 세로단면도.
도 14는 천칭에 있어서의 실걸이부(掛絲部)의 확대단면도.
도 15는 중사도체(中絲道體)에 있어서의 실걸이부의 확대단면도.
도 16은 천칭 및 중사도체에 있어서의 실걸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제3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수미싱이 구비하는 미싱헤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미싱헤드의 우측단면도.
도 19는 취사부재와 회전체를 구비한 중사도의 일부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일부에 대하여, 그 정면에서 본 설명도.
도 21은 취사부재와 회전체를 구비한 중사도의 세로단면도.
도 22는 제2실시예의 취사부재와 회전체를 구비한 중사도의 일부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일부에 대하여, 그 정면에서 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미싱헤드 102 미싱 암(machine arm)
103 지지케이스 105 침봉(針棒)
107 천칭(天秤) 114 상사도(上絲道)
115 중사도(中絲道) 116 하사도(下絲道)
118 상사전향부(上絲轉向部) 120 사도체(絲道體)
122 취사(取絲)어셈블리 123 지지축
205 조율기 207 천칭
216, 217 실걸이부 221,226 회전체
307 천칭 315 상사전향부
315a, 315d 회전체 325 취사부재

Claims (8)

  1. 적어도 1기(1基)의 미싱헤드(101)에 복수개의 침봉(105)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천칭(107)을 구비한 다침 자수미싱에 있어서,
    상사경로에 존재하는 각 천칭(107)의 상류에 상사전향부(118)를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각 상사전향부(118)에 취사부재(125)를 대응적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취사부재(125)는 일제히 자세변경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사전향부(118)는 실구멍(120a)을 각각에 형성한 2매의 사도체(120),(120)에 의하여 구성되며, 이들 2매의 사도체(120),(120)의 틈새는 중사도(115)에 형성한 슬릿(115d)을 대응적으로 걸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사도(115)의 아래쪽에 취사 어셈블리(122)가 배치되며, 이 취사 어셈블리(122)는 마주보고 배치한 지지판(115e),(115e)의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고 축방향으로의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한 지지축(123)과, 그 지지축(123)에 상기 천칭(107)의 수만큼 설치한 취사 유니트(121)로 구성되며,
    이 취사 유니트(121)는 나선스프링으로 된 취사부재(125)와, 스토퍼부재(126)와, 스프링 강도조정부재(1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5. 천칭(207)을 구비하는 본 재봉형식의 미싱에 있어서,
    상기 천칭(207)부근의 상사경로에 위치하는 상사(a)의 굴곡부에 회전체(221),(226)를 배치하고,
    이 회전체(221),(226)를 통해서 상사(a)를 유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체는 상기 천칭(207)의 상류에 위치하는 실걸이부(216)에 배치한 롤러(221)로서, 상기 상사(a)를 상기 롤러(221)의 둘레에 걸어서 전향을 시켜 상기 천칭(207)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체는 상기 천칭(207)의 실걸이부(217)에 설치한 롤러(226)로서, 이 롤러(226)에 상기 상사(a)를 걸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8. 상사(a)를 받아들이는 천칭(307)을 구비한 본 재봉형식의 미싱에 있어서,
    상기 상사(a)의 경로에 위치하는 상기 천칭(307)의 상류에 배치되는 상사전향부(315)에 취사부재(325)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상사전향부(315)에 회전체(315a)를 설치하고,
    상기 취사부재(325)와 회전체(315d)를 통해서, 상기 상사(a)가 상기 천칭(307)에 유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KR10-1999-0033800A 1998-08-19 1999-08-17 미싱 KR100528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33097 1998-08-19
JP10233097A JP2000064169A (ja) 1998-08-19 1998-08-19 多針刺繍ミシン
JP11-004318 1999-01-11
JP11004318A JP2000202185A (ja) 1999-01-11 1999-01-11 ミシン
JP11-125077 1999-04-30
JP11125077A JP2000312791A (ja) 1999-04-30 1999-04-30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42A KR20000017342A (ko) 2000-03-25
KR100528717B1 true KR100528717B1 (ko) 2005-11-16

Family

ID=2727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800A KR100528717B1 (ko) 1998-08-19 1999-08-17 미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247419B1 (ko)
KR (1) KR100528717B1 (ko)
CN (1) CN1113128C (ko)
DE (1) DE19939014B4 (ko)
IT (1) IT1313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400A (ko) * 2001-01-29 2002-08-03 (주)바코 자수기의 고속 코딩기구
US6746456B2 (en) * 2001-09-28 2004-06-08 Ethicon, Inc. Needle array suturing/sewing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for anastomosis
DE10203455A1 (de) * 2002-01-24 2003-07-31 Jenoptik Automatisierungstech Geformtes Montagebau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0639356B1 (ko) * 2004-06-09 2006-10-30 (주) 인브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WO2005121433A1 (en) * 2004-06-09 2005-12-22 Inbro Co., Ltd.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JP4608989B2 (ja) * 2004-07-27 2011-0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針棒糸案内
JP4920954B2 (ja) * 2005-11-10 2012-04-18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針ミシン
CN101319442B (zh) * 2007-08-21 2011-12-28 陈桢铭 电脑刺绣机的中过线装置
CN101225588B (zh) * 2008-02-14 2011-12-07 杭州经纬电子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电脑刺绣机中过线结构
CN101831765B (zh) * 2009-03-13 2013-03-27 上海南汇集美塑料模具厂 缝纫机、绣花机用线的线节距恢复器及其线节距恢复方法
CN101624761B (zh) * 2009-08-07 2011-12-07 浙江青本缝纫机有限公司 多针缝纫机中的橡筋线输送装置
CN102140742B (zh) * 2011-02-16 2013-05-15 东阳市佳轮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刺绣机中过线装置
CN102443901A (zh) * 2011-09-22 2012-05-09 吴江秦邦纺织有限公司 带双挽线装置的纱线切割装置
CN102443900A (zh) * 2011-12-19 2012-05-09 吴江秦邦纺织有限公司 纺织线纱的切割装置
JP5642110B2 (ja) * 2012-05-08 2014-12-17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
CN103046252A (zh) * 2012-12-31 2013-04-17 浙江凯泽路亚绣花机有限责任公司 刺绣机捕线器
KR101658653B1 (ko) * 2015-10-30 2016-09-22 이승철 자수기의 실 장력 조절장치
US20170218544A1 (en) * 2016-02-03 2017-08-03 Shing Ray Sewing Machine Co., Ltd. Sewing machine needle clamp
CN108315890A (zh) * 2016-03-07 2018-07-24 王小凤 一种改良的防脱线的缝纫机
CN105926171B (zh) * 2016-06-23 2019-03-12 青岛坤宇工艺品有限公司 一种缝纫机
CN113774587B (zh) * 2021-09-03 2022-11-11 浙江越隆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刺绣机的走线单元、走线机构及刺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6050A (en) * 1964-12-30 1967-12-05 Urscheler Jack Anton Tension devicess for embroidery machines
JPH0615083A (ja) * 1992-07-02 1994-01-25 Brother Ind Ltd ミシン
JPH06287854A (ja) * 1993-03-30 1994-10-1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針刺繍ミシンの上糸制御装置
JPH0921058A (ja) * 1995-07-06 1997-01-21 Barudan Co Ltd ミシンの張力付与機構付き糸案内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546A (en) * 1905-08-17 1907-07-16 James H Perks Take-up for sewing-machines.
US2670704A (en) * 1951-07-11 1954-03-02 Wilicox & Gibbs Sewing Machine Thread control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3783811A (en) * 1968-04-11 1974-01-08 Bergenfield Dev Co Inc Sewing machine
JPS6073B2 (ja) * 1982-05-07 1985-01-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ミシンの使用糸切替装置
JPH0223988A (ja) * 1988-07-14 1990-01-26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頭ミシンにおける天秤駆動装置
IT1283322B1 (it) * 1996-03-29 1998-04-16 Sabino Tramutolo Macchina da cucire e metodo per la cucitura a macchin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6050A (en) * 1964-12-30 1967-12-05 Urscheler Jack Anton Tension devicess for embroidery machines
JPH0615083A (ja) * 1992-07-02 1994-01-25 Brother Ind Ltd ミシン
JPH06287854A (ja) * 1993-03-30 1994-10-1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針刺繍ミシンの上糸制御装置
JPH0921058A (ja) * 1995-07-06 1997-01-21 Barudan Co Ltd ミシンの張力付与機構付き糸案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39014B4 (de) 2007-05-10
CN1245230A (zh) 2000-02-23
ITMI991823A0 (it) 1999-08-18
US6247419B1 (en) 2001-06-19
US6382119B2 (en) 2002-05-07
KR20000017342A (ko) 2000-03-25
CN1113128C (zh) 2003-07-02
DE19939014A1 (de) 2000-02-24
IT1313109B1 (it) 2002-06-17
ITMI991823A1 (it) 2001-02-19
US20010001382A1 (en) 200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717B1 (ko) 미싱
JP2009226143A (ja) ミシン
JPS6036628Y2 (ja) 編物機械の正送り装置
US6079234A (en) Yarn feeder for a jacquard knitting machine
US9670608B2 (en) Sewing machine
JP2002066179A (ja) 二重環縫いミシン
JPH0295398A (ja) ミシンの上糸縫糸量確保装置
JP4336589B2 (ja) 千鳥縫いミシン
DE3814632C2 (de) Steuersystem für die Spannung eines Oberfadens in einer Nähmaschine
JPH10295969A (ja) 多針刺繍ミシン
JP2001303424A (ja) 刺繍ミシン
JP3758551B2 (ja) 針送りミシン
JPH02221447A (ja) 直線編機における圧力及び糸消費の自己制御‐自動調節装置
US4856443A (en) Needle thread tensioning device for a swing machine
JP2000312791A (ja) ミシン
CN211848415U (zh) 一种缝纫机的提线过线总成
JP2000064169A (ja) 多針刺繍ミシン
JP2002045585A (ja) 刺繍ミシン
KR940011593B1 (ko)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JP3593606B2 (ja) 糸繰り装置付ミシン
US2050241A (en) Thread-tension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KR200202784Y1 (ko) 자수장치
JP3601564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ルーパ糸案内装置
JPH11226273A (ja) 二本針ミシン
JPS62292190A (ja) ミシンのル−パ糸の糸繰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