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593B1 -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 Google Patents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593B1
KR940011593B1 KR1019880700764A KR880700764A KR940011593B1 KR 940011593 B1 KR940011593 B1 KR 940011593B1 KR 1019880700764 A KR1019880700764 A KR 1019880700764A KR 880700764 A KR880700764 A KR 880700764A KR 940011593 B1 KR940011593 B1 KR 94001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lever
guide lever
sewing machine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799A (ko
Inventor
미끼오 모리
Original Assignee
모리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가쓰지 filed Critical 모리 가쓰지
Publication of KR88070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8Seams for protecting or securing edges
    • D05B1/20Overedge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우버록 봉재기를 미싱에 부착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오우버록 봉재기에 의한 바느질 상태를 간략화하여 표시한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한 오우버록 봉재기의 횡사조절장치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오우버록 봉재기의 커버 기타 부재의 일부를 생략하고, 주로 상하의 횡사 안내레버에 관련하는 구조를 표시하는 평면도로, 상횡사 안내레버가 하횡사를 걸치게 하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5도는 상하의 횡사 안내레버가 미싱침에 의한 상횡사 및 하횡사가 걸치는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표시한 제4도와 동일한 평면도.
제6도는 미싱침의 위치와 상하의 횡사 안내레버의 관계를 표시한 개략정면도.
제7도는 제4도에 대응하는 바느질실과 상하의 횡사 안내레버와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표시한 평면도.
제8도는 오우버록 봉재된 직물의 단부의 사시도.
제9도는 상하의 봉재사를 전개상태에서 표시한 도면.
제10도는 미싱침의 대략 최하강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의 미싱침과 상하의 회사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직선봉재용의 미싱 B : 미싱베드
G : 미싱베드에 설치된 이송기어 P : 억제봉
H : 미싱헤드 R : 침봉
S : 머리부착나사 N : 미싱침
U : 상사윗실 조절장치 TA : 상측직선봉재사
W : 직물 T1: 상횡사
T2: 하횡사 10 : 오우버록 봉재기
12 : 커버 14 : 부착금구
14a : 선단부 16 : 기판
16a : 기판의 수직부 18 : 나사
20 : 나사 22 : 홈
24 : 제1침봉 연동레버 24a : 일단부
28 : 핀 30 : 제2침봉 연동레버
30a : 수평방향의 귀부 32 : 핀
34 : 직물억제금구 34a : 로울러
36 : 직물안내부재 36a : 직물안내면
36b : 돌출부 36c : 직립부
38 : 침낙하홈 40 : 판스프링
42 : 지지판 44,46 : 실감개
48,50 : 실세움대 52 : 실걸침봉
52a : 고정기대 52b : 본체부
52c : 실걸침부 52d,52e : 걸이부
54 : 횡사조절장치 56 : 틀판
58 : 상횡사 조절부 60 : 하횡사 조절부
62 : 실이 통하는 판 64 : 나사
64a : 나사의 축부 66,68 : 접시형상의 플레이트
70 : 압축스프링 72 : 와샤
73,75 : 상횡사(T1)가 통하는 구멍
76 : 실이 통하는 판(62)에 고정된 축
82 : 압축스프링 84 : 조절손잡이
86,88 : 하횡사가 통하는 구멍 90,92 : 상하횡사 안내레버
90a : 만곡부 90b : 직선부
94,96 : 상횡사가 통하는 구멍 98 : 하횡사 통과구멍
100 :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 102,106 : 지축
104 : 제1회전 디스크 108 : 제2회전 디스크
110 : 연결핀 112 : 핀
114 : 안내홈 116 : 제1회전 운동레버
118 : 핀 120 : 핀
122 : 지축 124 : 제2회전 운동레버
126,128 : 핀 130 : 지축
132 : 하부횡사 인장레버 133 : 지축
134 : 실통과 구멍 136 : 핀
138 : 제3회전 운동레버 140 : 핀
142 : 실이 통하는 판 144,146 : 하부횡사 통과구멍
본 발명은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에 관한 것이다.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로서는, 본 출원인의 발명자와 동일 발명자에 의한 미국특허 제4,546,715호가 있으며, 그 특허에는 직선봉재 미싱에 있어서의 미싱의 침봉의 상하동작을 요동레버에 전달하여서 수평면내에서의 요동으로 변환하고, 이 요동레버의 동작을 그 요동레버에 설치된 대응하는 변형캠홈에 따라서 이동하는 핀에 의하여 상횡사 안내레버 및 하횡사 안내레버를 미싱침에 대하여 근접 이격위치에 상대적으로 좌우 요동시켜, 각각 직선 봉재용의 상사(上系) 및 하사(下系)에 대하여 소정의 실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오우버록 봉재기로는 그 과정에서 상횡사(上橫系)와 하횡사(하횡系)를 얽히게 하는 실조작의 단계가 있으며, 동 특허에서는 상횡사 안내레버를 대략 수평방향에 이동시키는 한편 하횡사 레버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요동시켜서 하횡사를 일단 상횡사 안내레버상에 얽히게, 다음에 상횡사 안내레버를 하횡사 안내레버 보다도 선행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와같은 실조작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하횡사 안내레버는 요동과 동시에 그 선단부를 상하 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와같은 운동은 상하방향의 안내홈을 구비한 안내부재를 설치하고, 이 안내홈에 하횡사 안내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을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으로는 상횡사 안내레버 및 하횡사 안내레버에 소정의 동작을 행하게 하기위하여, 변형홈 및 변형안내홈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핀이 홈내를 이동할 때의 진동 및 소음이 크고 또한 구조가 복잡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변형홈과 같은 복잡한 안내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하나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는, 기판과 이 기판을 미싱의 억제봉에 착탈자재롭게 고정하기 위한 부착금구와 기판의 일부에 지지되어서 미싱의 침봉과 연동가능하게 부착된 침봉 연동구조와, 이 침봉 연동구조에 연계되어서 그 침봉 연동구조의 동작을 기판에 지지된 상측횡사 안내레버 및 하측횡사 안내레버에 전달하고, 그 상측횡사 안내레버 및 하측횡사 안내레버에 의하여, 각각의 선단부에 계지된 상측횡사 및 하측횡사를 미싱침이 낙하할때 맞춰서 각각 상하의 직선 봉재사에 걸치여 또한 침이 떨어지기 전에 상측횡사와 하측횡사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걸치게 하기 위한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와 기판에 부착되어서 오우버록 봉재하여야할 직물의 단부를 미싱의 이송기어에 압착시키기 위한 직물억제부재와, 이 직물억제부재의 전방에 배치되어서 침봉에 부착된 미싱침의 침이 떨어지는 위치에 있어서 직물의 단부를 약간 들어올려서 하측횡사 안내레버의 직물의 하측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직물안내부와 미싱침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오우버록 봉재의 폭을 규제하는 봉재폭 규제부를 갖는 직물안내부재로 되는 오우버록 봉재기이며,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는 하측횡사 안내레버가 하측의 직성봉재사와의 걸치는 위치에 향하는 것에 따라 상측횡사 안내레버의 상측위치부터 그 하측위치에 이르며 대략 직선적으로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상측횡사 안내레버는 대응하는 상측의 직선 봉재사와의 걸치는 위치에 향하는 이동에 있어서 하측횡사 안내레버보다도 선행하여서 하측횡사 안내레버의 선단부와 먼저 봉재된 하측 직선봉재사와의 계지점과의 사이에 뻗어진 하측횡사의 하측을 빠져나가 이것을 걸치면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하측횡사 안내레버의 하측의 직선 봉재사와의 걸치는 위치에 향하는 이동은 전기한 상측횡사 안내레버에 의한 하횡사의 걸치는 것에 대략 맞춰서 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횡사안내레버 구동구조는 직선봉재사와의 걸치는 위치에 향하는 이동에 있어서, 하측횡사 안내레버를 수평방향으로 대하여 경사로 상하로 작동시키고, 한편 상측횡사 안내레버를 반대로 수평방향으로 대하여 경사지게 하측으로 부터 상측에 향하여서 대략 직선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측 및 하측횡사 안내레버는 각각 기판에 수직방향으로 대하여 경사지게 부착된 핀에 의하여 구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는 기판에 대략 수평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침봉 연동구조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왕복회전 구동되는 제1회전 부재와, 이 제1회전 부재에 일부가 중복된 상태에서 기판에 제1호전 부재의 둘레부에 설치된 핀이 계합하는 대략 반지름 방향의 안내홈을 구비한 제2회전 부재와, 이 제1회전 부재와 상측횡사 안내레버에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제1회전 부재의 왕복 회전작동을 상측횡사 안내레버에 요동운동으로서 전달하는 제1회전 연동레버와, 제2회전 부재와 하측횡사 안내레버에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제2회전 부재의 왕복회전 동작을 하측안내레버에 요동운동으로서 전달하는 제2회전 운동레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회전 운동레버 및 제2회전 운동레버는 그들의 양단의 연결점을 연결하는 각 직선이 각각 상측횡사 안내레버 및 하측횡사 안내레버가 대응하는 상하의 직선 봉재사와의 걸치는 위치에 도달한 때에 전기한 제1회전 부재 및 전기한 제2회전 부재의 구지점을 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오우버록 봉재기(1)을 직선봉재용의 미싱 M(미싱헤드 H 및 베드 B의 일부만을 도시한다)에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도면중 P는 억제판을 부착하기 위하여 통상 미싱헤드(H)에 구비되어 있는 억제봉, R은 상하구동되는 침봉, N은 침봉(R)에 머리붙인나사(S)에 의하여서 부착된 미싱침, TA는 도시하지 않은 실세움봉에 부착된 실감개로 부터 풀려나와서 상사(윗실)조절장치(U) 및 캠(C)을 통하여서 미싱침(N)의 침구멍을 통한 상측직선 봉재사인 것이다.
오우버록 봉재기(10)의 구성을 제1도를 참조하여서 설명하면, 동 도면중, 12는 커버, 14는 억제봉(P)의 부착금구이며, 이 부착금구(14)는 후술하는 기판(16)의 측단부에 설치된 수직부(16a)에 나사(18),(18)에 의하여서 고정되어 있다.
부착금구(14)는 억제봉(P)에 설치된 억제판 부착용의 나사구멍(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서, 동일 나사구멍에 나합하는 나사(20)에 의하여 억제봉(P)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선단부(14a)는 두갈래 형상을 하여서, 나사(20)의 축부가 삽통하는 홈(22)를 형성하고 있다(제2도 참조).
침봉(R)에는 동 침봉(R)에 연동하여서 상하 작동하는 제1침봉 연동레버(24)가 연결되며, 제2도에 표시함과 같이, 일단부(24a)는 두갈래 형상을 하여서, 상기한 머리부착나사(S)의 축부를 계지하는 홈(26)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1침봉 연동레버(24)는 "┌ "자 형상을 하여서 그 중앙부를 핀(28)에 의하여서 상기한 기판(16)의 수직부(16a)에 핀설되어 있으며, 하단은 제2침봉 연동레버(30)와 핀(32)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직물억제금구(34)가 침봉(R)의 바로뒤 위치에 배치되어서 기판(16)의 수직부(16a)에 리베트 고정됨과 동시에, 제2도에 표시함과 같이 직물(W)을 미싱(M)의 베드(B)에 설치된 이송기어(G)와의 사이에서 압착하는 로우터(34a)를 구비하고 있다.
직물안내부재(36)이 직물억제금구(34)의 전방에 배치되어서 기판(16)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직물안내면(36a)가 형성되어 있다. 직물안내부재(36)의 후단부에는 미싱침(N)이 통하는 침낙하홈(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침낙하홈(38)의 측부에 오우버록 봉재의 폭을 규제하는(이 작용에 관하여는 후에 설명한다) 돌출부(36b)를 갖고 있다. 또 직물안내부재(36)의 돌출부(36b)의 전방에는 제9도에 표시함과 같이 직물안내면(36a)에 의하여 안내되는 직물(W)의 측단위치를 규제하는 직립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직물안내부재(36)의 상측에는 직물안내면(36a)와의 사이에서 직물(W)을 유지하는 판스프링(40)이 배치되며, 그 전면부는 기판(16)에 고정된 지지판(42)에 고정되어 있으며(제2도 참조) 후측에 향하는 것에 따라 직물안내면(36a)와의 사이의 극간을 좁게 하도록 경사로 부착되어 있다.
상횡사(T1) 및 하횡사(T2)를 각각 공급하는 실감개(44) 및 (46)이 기판(16)의 후부에 설치된 실세움대(48) 및 (50)(제2도 참조)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실걸침봉(52)가 기판(16)위에 있어서 실끼움대(48),(50)의 사이에 입설되어 있다. 이 실걸침봉(52)은 고정기대(52a)와, 이 고정기대(52a)에 하단을 전후 방향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신축자재로운 본체부(52b)와, 이 본체부(52b)의 상단에 부착된 사괘부(52C)로 부터 되어 있으며, 실걸침부(52C)는 상횡사(T1) 및 하횡사(T2)를 걸기위한 한쌍의 걸이부(52d) 및 (52e)를 갖고 있다.
횡사조절장치(54)가 기판(16)에 고정된 틀판(56)(제5도 참조)에 부착되어 있다. 이 횡사조절장치(54)는 상횡사조절부(58)과 하횡사조절부(60)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공통적인 실이 통하는 판(62)을 갖고 있다. 상횡사조절부(58)는 제3도에 표시함과 같이 실이 통하는 판(62)에 나착된 나사(64)의 축부(64a)에 삽통된 한쌍의 접시형상 플레이트(66),(68)과 압축스프링(70) 및 와샤(72)를 갖고 있으며, 나사(64)의 회전조절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스프링(70)에 의한 접시형상 플레이트(66),(68) 상호간의 압착력을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실이 통하는 판(62)에는 이들의 부착위치의 상하측방 위치에 상횡사 통하는 구멍(73),(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횡사(T1)은 상횡사 통하는 구멍(73)보다 상기한 접시형상 플레이트(66),(68)의 사이에 걸쳐서 대략 3분의 2 둘레를 돌아서 상횡사 통하는 구멍(75)에 통해져서 있다.
한편, 하횡사조절부(60)는 실이 통하는 판(62)에 고정된 축(76)에 삽통된 한쌍의 접시형상 플레이트(78),(80)과 압축스프링(82)와, 축(76)의 선단부에 나합하는 조절손잡이(84)를 갖고 있으며, 조절손잡이(84)의 회전조절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스프링(82)에 의한 접시형상 플레이트(78),(80) 상호간의 압착력이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실이 통하는 판(62)에는 이들의 부착위치의 상측 및 측방위치에 하횡사가 통하는 구멍(86),(88)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횡사가 통하는 구멍(86)부터 상기한 접시형상 플레이트(78),(80)의 사이에 걸쳐서 대략 4분의 3둘레 돌아서 하횡사가 통하는 구멍(88)에 통해져 있다(제6도 참조).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함과 같이 기판(16)위에는 상황시 안내레버(90) 및 하횡사 안내레버(92)가 설치되어 있다.
상횡사 안내레버(90)는 낫형상인 만곡부(90a)를 가지며, 이 만곡부(90a)에는 선단부와 이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둔 위치에 상횡사가 통하는 구멍(94),(96)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횡사 안내레버(92)는 낫형상인 만곡부(92a)를 가지며, 이 만곡부(92a)에는 선단부에만 하횡사 통과 구멍(9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상횡사 안내레버(90) 및 하횡사 안내레버(92)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한 상기한 제2침봉 연동레버(30)과 연동하는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100)에 의하여 구동되며, 이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100)의 구성을 이하 동일 도면을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100)은 기판(16)위에 고정된 지축(102)에 의하여 수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회전 디스크(104)와, 동일하게 기판(16)위에 고정된 지축(106)에 의하여 수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일부가 제1회전디스크(14)위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2회전 디스크(108)를 갖고 있다.
제1회전 디스크(104)는 그 둘레부에 제2침봉 연동레버(30)의 단부에 형성된 수평방향의 귀부(30a)와의 연결된(110)을 갖고 있으며, 이 제1침봉 연동레버(24)의 상하 요동은 제2침봉 연동레버(30)에 의하여 대략 수평면내에서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서, 다시 제1회전 디스크(104)에 전달되며, 제1회전 디스크(104)는 요동 스트로우크에 따른 각도범위에서의 왕복회전 운동을 행한다. 제1회전 디스크(104)는 상기한 연결핀(110)과 대략 지름방향에 상대하는 둘레부에 핀(112)를 갖고 있고, 이 핀(112)는 제2회전 디스크(108)에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상인 안내홈(114)에 계합하고 있으며, 이 제1회전 디스크(104)의 회전은 제2회전 디스크(108)에 스트로오크의 종단부에 있어서 속도를 감소시키는 회전 왕복운동으로서 전달된다.
제1회전 운동레버(116)이 전기한 제1회전 디스크(104)와 전기한 상부횡사 안내레버(90)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제1회전 운동레버(116)은 일단을 제1회전 디스크(104)의 하면에 전기한 연결핀(110)에 근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설치된 핀(118)에 의하여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의 직선부(90b)에 핀(12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의 단부는 기판(16)에 대하여 상측으로 향함에 따라 침봉(R)로 부터 분리되는 측에 경사져서 부착된 지축(122)에 의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은 제1회전 디스크(104)의 회전 왕복운동에 수반하여, 제1회전 운동레버(116)에 의하여서 침봉(R)측에 접근함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사방향의 요동을 행하며, 침봉(R)의 최상승위치에서는,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최대로 회동하여서 그 만곡부(90a)가 직물안내부재(36)의 상측에 위치하고, 최하강 위치에서는, 도면중 반대시계방향으로 최대 회동하여서 기판(16)에 접근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와같은 상횡사 안내레버(90)의 동작은 미싱침(N)가 하강하여서 그 선단이 바늘 낙하홈(38)에 도달한 때에 시계방향의 최대 회동위치에 도달하여서, 만곡부(90a)의 선단부가 바늘 낙하홈(38)의 기단 근방을 통하여 이를 넘어서 진행하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회전 운동레버(124)가 전기한 제2회전 디스크(108)과 전기한 하부횡사 안내레버(92)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제2회전 운동레버(124)는, 일단을 제2회전 디스크(108)의 상면둘레부에 전기한 안내홈(114)의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반지름 위에 설치된 핀(126)에 의하여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하부횡사 안내레버(92)의 직선부(92b)에 핀(128)에 의하여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하부횡사 안내레버(92)의 단부는 기판(16)에 대하여 상측으로 향함에 따라 침봉(R)에 접근하는 측에 경사져서 부착된 지축(13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부횡사 안내레버(92)는 제2회전 디스크(108)의 회전 왕복운동에 수반하여, 제2회전 운동레버(124)에 의하여서, 침봉(R)측에 접근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서 그 만곡부(92a)의 선단부가 직물안내부재(36)의 하면에 빠져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 하부횡사 안내레버(92)는, 제2회전 디스크(108)의 지축(106)과, 제2회전 디스크(108)과 제2회전 운동레버(124)를 연결하는 핀(126)과, 제2회전 운동레버(124)와 하부횡사 안내레버(92)를 연결하는 핀(128)에 제5도에 표시함과 같이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에, 즉 하부횡사 안내레버(92)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동한 때에 직물안내부재(36)의 하면에 있어서 만곡부(92a)의 선단부가 바늘 낙하홈(38)의 기단 근방을 통하여 이것을 넘어서 연출하는 상태로 되며, 또한 이때의 전후 적의 기간에 있어서 선단부가 바늘 낙하홈(38)의 기단 근방위치에 유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와같이 지축(106)과 핀(126)과 핀(128)이 일선상에 위치하는 시기는 미싱침(N)가 바늘이 낙하홈(38)을 넘어서 하강하는 시기에 맞춰져서 있다.
하부횡사 안내레버(132)가 상기한 상부횡사 안내레버(90) 및 하부횡사 안내레버(92)의 경사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하부횡사 인장레버(132)는 기판(16)에 고정된 지축(133)에 의하여 이들의 레버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선단부에 실통과 구멍(134)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횡사 안내레버(32)의 타단은 핀(136)에 의하여서 제3회전 운동레버(138)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3회전 운동레버(138)의 타단은 제2회전 디스크(108)의반지름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핀(126)의 측방에 있어서 이면에 부착된 핀(140)에 의하여서, 제2회전 디스크(108)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횡사 인장레버(132)는 하부횡사 안내레버(92)와 같은 요동운동을 행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횡사 안내레버(132)의 후방에서 대략 그 선단부의 거리는 궤적위 또한, 요동범위외의 위치에 있어서 실이 통하는 판(142)이 기판(16)위에 입설되어 있다. 이 실이 통하는 판(142)에는 하부횡사 인장레버(132)에 관련한 하부횡사 통과구멍(144),(14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실이 통하는 판(142)에는 하부횡사 인장레버(132)에 관련한 하부횡사 통과구멍(144),(146)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횡사(T2)는 상기한 하부횡사 조절부(60)의 실이 통하는 판(62)의 하부횡사가 통하는 구멍(88)을 통하여서 실이 통하는 판(142)의 일측의 하부횡사 통과구멍(144)를 통하게 되며, 다음에 하부횡사 인장레버(132)의 실이 통하는 구멍(134)를 통하여서 실이 통하는 판(142)의 실통과 구멍(134)를 통하여서 실이 통하는 판(142)의 다른측의 하부횡사 통과구멍(146)을 통한 후에 하부횡사 안내레버(92)의 하부횡사 통과구멍(98)에 통하여져 있다.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미싱침(N)가 하한점인 최대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 상부횡사 안내레버(90) 및 하부횡사 안내레버(92)는 동시에 침봉(R)에 대하여 최대로 멀리 위치하고 있으며, 제6도에 표시함과 같이 상부횡사안내레버(90)은 하부횡사 안내레버(92)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횡사(T1)과 하부횡사(T2)는 동 제6도에 도시함과 같이 정면으로 보아 교차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 부터 미싱침(N)가 상승하면, 하부횡사 안내레버(92)는 스트로오크의 종단위치에 있으므로 일어나 세워지는 속도가 낮으며, 이 때문에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은 하부횡사 안내레버(92)보다도 선행하여서 경사진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4도 및 제7도에 표시함과 같이 하부횡사 안내레버(92)와 앞서서의 공정에서 하측의 직선봉재사(TB)(제8도 및 제9도 참조)에 걸쳐진 하부횡사(T2)를 하측으로 부터 걸치게 한다.
다음에 침봉(R)가 다시 상승하면 하부횡사 인장레버(132)가 하부횡사 안내레버(92)에 뒤따라서 제4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은 하부횡사(T2)를 과도하게 긴장(끌어당김)시킴이 없이 하부측 횡사(T2)의 걸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하고, 침봉(R)가 상한점인 최상승 위치에 도달하면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은 만곡부(90a)가 직물안내부재(36) 위에서 바늘 낙하홈(38)의 기단 근방을 통하고, 이것을 넘어서 연출하는 상태로 되며, 한편 하부횡사 안내레버(92)의 만곡부(92a)도 직물안내부재(36) 아래에서 바늘이 떨어지는 홈(38)의 기단 근방을 통하여 이것을 넘어서 연출하는 상태로 된다. 또, 하부횡사 안내레버(92)는 침봉(R)가 최상승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있어서, 그 최대 회동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며, 침봉(R)이 최상승 위치에서는 반대 시계방향으로 다시 되돌아가서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의 만곡부(90a)에 걸쳐져서 양측으로 부터 하측에 연장한 하부횡사(T2) 부분은 직물안내부재(36)의 직립부(36C)에 의하여 이것을 넘는 침봉(R)측에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침봉(R)이 하강하면, 이 하강에 수반하여서 직물(W)가 이송기어(G)에 의하여, 후방에 소정의 거리로 보내지며,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이 반대시계 방향에 되돌아가서 앞의 공정에서의 상측의 직선봉재사(TA)와의 실걸이 부분과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의 선단부의 상부횡사가 통하는 구멍(94)와의 사이의 상부횡사(T1)(상부횡사(T1)는 상부횡사조절부(58)로부터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의 상부횡사 통과구멍(96)에 후방으로 부터 통한 후 상부횡사 통과구멍(94)에 전방으로 통하여져 있다)가 느슨해지며, 이 느슨해지는 것이 발생한 직후에 느슨해진 부분의 상부횡수(T1)과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의 만곡부(90a)의 사이를 미싱침(N)가 통하여 강하한다. 한편, 하부횡사 안내레버(92)는 침봉(R)의 강하에 수반하여서 상기한 반대시계 방향으로 다시 되돌아간 위치에서 재차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서 선단부가 직물안내부재(36) 아래에서 바늘 낙하홈(38)의 기단 근방을 통하여 이것을 넘어서 진행하여서 시계방향의 최대 회동위치에 도달하고, 침봉(R)가 다시 강하함에 따라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의 만곡부(90a)에 걸쳐져서 하방으로 연장하며, 하부횡사 안내레버(92)의 선단부의 하부횡사 통과구멍(98)을 통한 하부횡사(T2) 부분이 느슨해지며, 이 느슨해지는 것이 발생한 직후에 느슨해진 부분의 하부횡사(T2)와 하부횡사 안내레버(92)의 만곡부(92)와의 사이를 미싱침(N)가 통하여서 하강한다. 이와같은 미싱침(N)의 통과시에 있어서 상부횡사 안내레버(90)과 하부횡사 안내레버(92)와는 제5도에 표시함과 같이 평면으로 보아 대략 동일위치에 도달하고 있다.
침봉(R) 즉, 미싱침(N)가 다시 강하하면, 상부횡사 안내레버(90) 및 하부횡사 안내레버(92)가 제5도에 표시한 위치에서 다시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서 상부횡사(T1)가 끌려가는 한편, 상부횡사 안내레버(90)의 만곡부(90a)로 부터 하부횡사(T2)가 분리된다(제10도 참조). 이것에 맞춰서 하부횡사(T2)는 하부횡사 인장레버(132)에 의하여 끌리며, 미싱침(N)가 최하강 위치에 도달하면 직물안내부재(36)의 돌출부(36a)의 측부에서 하부횡사(T2)가 상부횡사(T1)가 계합된다(제10도 참조).
이와같은 공정이 반복되어서 오우버록 봉재가 연속적으로 행하여진다.

Claims (5)

  1. 기판(16)과, 이 기판(16)을 미싱의 억제봉(P)에 탁찰자재롭게 고정하기 위한 부착금구(14)와, 상기한 기판(16)의 일부에 지지되어서 미싱의 침봉(R)과 연동가능하게 부착된 침봉 연동구조와 이 침봉 연동구조에 연계되어서 그 침봉 연동구조의 동작을 전기한 기판(16)에 지지된 상횡사 안내레버(90) 및 하횡사 안내레버(92)에 전달하고, 그 상횡사 안내레버(90) 및 하횡사 안내레버(92)에 의하여, 각각의 선단부에 계지된 상횡사(T1) 및 하횡사(T2)를, 미싱침의 바늘이 낙하하는 것에 맞춰서 각각 상하의 직선 봉재사(TA), (TB)에 걸치며 또한, 바늘이 떨어지기 전에 상횡사(T1)와 하횡사(T2)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걸치게 하기 위한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100)와, 상기한 기판(16)에 부착되어서 오우버록 봉재하여야할 직물(W)의 단부를 미싱의 이송기어(G)에 압착시키기 위한 직물억제부재와, 이 직물억제부재의 전방에 배치되어서 전기한 침봉(R)에 부착된 미싱침(N)이 낙하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직물(W)의 단부를 약간 들어올려서 상기한 하횡사 안내레버(92)의 상기한 직물의 하방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직물안내부와 미싱침(N)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오우버록 봉재의 폭을 규제하는 봉재폭 규제부를 갖는 직물안내부재(36)로 되는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10)이며, 상기한 횡사 안내레버(90),(92) 구동구조는 전기한 하횡사 안내레버(92)가 하측의 직선 봉재사(TB)와의 걸치는 위치에 향함에 따라 상기한 상횡사 안내레버(90)의 상측위치로 부터 그 하측 위치에 이르러 대략 직선적으로 경사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상횡사 안내레버(90)는 대응하는 상측의 직선봉재사(TA)와의 걸치는 위치에 향하는 이동에 있어서, 상기한 하측횡사 안내레버(92)보다도 선행하여서 전기한 하측횡사 안내레버(92)의 선단부와 먼저 봉재한 하측직선 봉재사(TB)와의 계지점과의 사이에 퍼져있는 하횡사(T2)의 하측을 빠져나가서 이것을 걸치면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측횡사 안내레버(92)의 하측의 직선 봉재사(TB)와의 걸치는 위치에 향한 이동은 상기한 상측횡사 안내레버(90)에 의한 하측횡사(T2)의 걸치는 것에 대략 맞춰서 봉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2. 제1항에 있어서,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100)가 직선봉재사(TA),(TB)와의 걸치는 위치에 향한 이동에 있어서, 상기한 하측횡사 안내레버(92)를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로 상하로 움직이고, 한편 상기한 상측횡사 안내레버(90)를 반대로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에 향하여서 대략 직선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의 봉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하횡사 안내레버(90),(92)가 각각 기판(16)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로 부착된 핀(120),(128)에 의하여 핀설되어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4. 제2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사 안내레버 구동구조(100)는 기판(16)에 대략 수평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전기한 침봉 연동구조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범위로 왕복회전 구동되는 제1회전 디스크(104)와, 이 제1회전 디스크(104)에 일부가 중복하여서 상기한 기판(16)에 제1회전 디스크(104)와 대략 평행인 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전기한 제1회전 디스크(104)의 둘레부에 설치된 핀(112)이 계합하는 대략 반지름 방향의 안내홈(114)를 구비한 제2회전 디스크(108)와, 상기한 제1회전 디스크(104)와 상기한 상횡사 안내레버(90)에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전기한 제1회전 디스크(104)의 왕복회전 운동을 전기한 상횡사 안내레버(90)에 요동운동으로서 전달하는 제1회전 운동레버(116)와, 상기한 제2회전 디스크(108)과 하횡사 안래레버(92)에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한 제2회전 디스크(100)의 왕복회전 운동을 상기한 하측횡사 안내레버(92)에 요동운동으로서 전달하는 제2회전 운동레버(124)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5. 제4항에 있어서, 제1회전 운동레버(116) 및 제2회전 연동레버(124)는 그들의 양단의 연결점을 연결하는 각 직선이 각각 상기한 상측횡사 안내레버(90) 및 하측횡사 안내레버(92)가 대응하는 상하의 직선 봉재사(TA),(TB)와의 걸치는 위치에 도달한 때에 제1회전 디스크(104) 및 제2회전 디스크(108)의 구지점을 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KR1019880700764A 1986-10-31 1987-10-27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KR940011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60890 1986-10-31
JP26089086 1986-10-31
PCT/JP1987/000823 WO1988003187A1 (en) 1986-10-31 1987-10-27 Overlock sewing device for use in sew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799A KR880701799A (ko) 1988-11-05
KR940011593B1 true KR940011593B1 (ko) 1994-12-22

Family

ID=1735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764A KR940011593B1 (ko) 1986-10-31 1987-10-27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84518A (ko)
EP (1) EP0293477A4 (ko)
KR (1) KR940011593B1 (ko)
CN (1) CN87107191A (ko)
WO (1) WO1988003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1807A (en) * 1988-09-28 1993-05-13 Us Health Method for detecting a human b-lymphotropic virus infection
US5960725A (en) * 1998-01-13 1999-10-05 Tseng; Hsien Chang Rotary needle driving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9919A (en) * 1931-01-05 1935-02-05 Briggs Mfg Co Sewing mechanism
US4516512A (en) * 1978-05-09 1985-05-14 Union Special Corporation Modularized Cardan sewing machine
JPS6025146B2 (ja) * 1982-08-05 1985-06-17 森 勝司 ミシンに取りつけて使用するロツク縫い器
JPS5964091U (ja) * 1982-10-20 1984-04-27 ド−エイ外装有限会社 カ−テンボツ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3477A1 (en) 1988-12-07
US4884518A (en) 1989-12-05
WO1988003187A1 (en) 1988-05-05
CN87107191A (zh) 1988-06-29
KR880701799A (ko) 1988-11-05
EP0293477A4 (en) 198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82747A (ja) ミシン
KR940011593B1 (ko) 미싱에 사용하는 오우버록 봉재기
GB2027764A (en)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US3150622A (en) Reverse feed two thread chainstitch sewing machines
US4522135A (en) Looper and cam assembly for chain stitch sewing machine
GB1584319A (en) Sewing machine with looper control means
JP2974557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の縫い目形成方法および装置
JPH0142229B2 (ko)
US4246855A (en) Compensating needle bar connecting linkage for a sewing machine
JP2541601B2 (ja) ミシンに使用するオ―バ―ロック縫い器
US2958301A (en) Mecktie centralizing stitching machine
US4757776A (en) Thread pull-out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JPS6234534Y2 (ko)
JPH0527166Y2 (ko)
EP0109946B1 (en) Zig-zag sewing machine
JPS6020371Y2 (ja) 本縫およびロック縫併用ミシン
JPH0418548Y2 (ko)
JPH0333345Y2 (ko)
JP2650515B2 (ja) ミシンのルーパー構造
JPH05123473A (ja) 刺しゆう機能付きミシンの押え高さ調整装置
JPS5839191Y2 (ja) 上送り機構を備えたオ−バ−ロックミシン
JP2910094B2 (ja) ミシンの天秤装置
JPS637026Y2 (ko)
JPH0616609Y2 (ja) 複針ミシンの針棒高さ調節装置
JPH01127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