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575B1 -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575B1
KR100526575B1 KR10-2003-0089983A KR20030089983A KR100526575B1 KR 100526575 B1 KR100526575 B1 KR 100526575B1 KR 20030089983 A KR20030089983 A KR 20030089983A KR 100526575 B1 KR100526575 B1 KR 10052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ench
forming
device isolation
clean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7792A (ko
Inventor
동차덕
한일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8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575B1/ko
Priority to US10/876,333 priority patent/US7125784B2/en
Priority to DE102004030920A priority patent/DE102004030920B4/de
Priority to JP2004190768A priority patent/JP2005175421A/ja
Priority to TW093119301A priority patent/TWI253118B/zh
Publication of KR2005005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52Wet clean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1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multilayer mask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06Cleaning of wafer as interim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자 분리용 트렌치를 형성한 다음, BFN을 이용한 포스트 클리닝 공정으로 폴리머막을 제거하고, SC-1만을 이용한 전처리 세정공정을 실시한 후, 측벽 산화를 실시하여 트렌치 측벽의 거칠기의 불량을 개선할 수 있고, 폴리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종래의 PET 공정을 생략하여 소자 분리막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측벽 산화공정전에 CLN N을 이용한 전처리 세정공정을 통해 반도체 기판에 주입된 도판트의 아웃디퓨전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트렌치 상부 코너에 슬루프를 형성하여 트렌치 코너에 원하는 두께보다 작게 증착되는 게이트 산화막 씨닝(Gate Oxide Thinning)형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표로하는 임계치수 만큼의 활성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an isolation film in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낸드 플래시 소자의 자기정렬 셀로우 트렌치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반도체 기판에는 전기적으로 통전이 가능한 활성영역(Active Region)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자를 서로 분리하는 소자분리영역(Isolation Region)을 형성한다. 소자 분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식각하고, 이를 매립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한다.
종래의 소자 분리영역의 반도체 기판 식각후, 트렌치 측벽의 얇은 식각을 위한 포스트 에치 트리트먼트(Post Etch Treatment; PET)공정을 실시한다. PET 공정시에 발생하는 카본(Carbon)계열의 폴리머에 의해 비정상적인 층이 형성되어 후속 산화 공정시 불균일한 산화가 발생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공정에 의한 측벽 손상을 설명하기 위한 TEM 사진들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용 트렌치 형성후, 포스트 크리닝 공정을 실시하게 되면 식각공정에 의해 노출된 반도체 기판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트렌치 내부의 반도체 기판의 손상으로 인해 소자 분리막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PET 처리후의 카본 계열의 비정상적인 층이 형성된 TEM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측벽 산화막의 불균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TEM 사진이다.
도 4는 종래의 측벽 산화막에 대한 TEM EDS 분석표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소자 분리 공정에 따라 소자 분리 식각을 통해 트렌치를 형성하고, PET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커본 계열의 비정상 층이 트렌치 내부에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비정상층이 형성된 트렌치 내부에 측벽 산화공정을 실시하게 되면 매우 불균일한 측벽 산화막이 형성하게 되어 목표로 하는 트렌치 형상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식각으로 인한 데미지를 줄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자 분리용 트렌치 식가후에 소정의 세정공정을 실시하여 트렌치 측벽의 거칠기를 개선할 수 있고, PET 공정을 생략하여 균일한 측벽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이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기판상에 터널 산화막, 도전막 및 하드 마스크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막 상에 소자 분리 영역을 개방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막, 상기 도전막, 상기 터널 산화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한 다음, 상기 트렌치 형성을 위한 식각공정시 발생한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세정공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측벽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 내에 측벽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체 구조상에 필드 산화막을 증착한 다음, 상기 하드 마스크막을 정지막으로 하는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고, 상기 하드 마스크막을 제거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세정공정은 BFN(B[Piranha(H2SO4 + H2O2)] + F(50 : 1 Dilute HF) + N[SC-1(NH4OH/H2O2/H2O)])을 이용하여 실시하되, HF 딥아웃 타임을 1 내지 30초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세정공정 후, CLN N(SC-1(NH4OH/H2O2/H2O))을 이용한 제 2 세정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에 웰과 문턱 전압 조절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웰과 문턱전압 조절 이온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웰은 트리플웰, N웰 및 P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웰과 문턱 전압 조절 이온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 상에 터널 산화막(20), 도전막(30) 및 하드 마스크막(40)을 형성한다.
터널 산화막(20) 증착전에 H2O 와 HF의 혼합비율이 50:1인 DHF(Dilute HF)와 NH4OH, H2O2 및 H2O로 구성된 SC-1(Standard Cleaning - 1)을 이용하거나, NH4F와 HF의 혼합비율이 100:1 내지 300:1인 BOE(Buffered Oxide Etch)와 NH4OH, H2O2 및 H2O로 구성된 SC-1을 이용하여 전처리 세정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세정 공정 후 터널 산화막(20)을 건식 또는 습식 산화방식으로 750 내지 850℃의 온도에서 70 내지 100Å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널 산화막(20) 형성후, 900 내지 910℃의 온도범위에서 N2O가스를 이용하여 10 내지 20분간 어닐(Anneal)을 진행하고 연속으로 N2가스를 이용한 어닐을 추가 진행하여 반도체 기판(10)과의 계면 결함밀도를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막(30)은 후속 공정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로 사용될 폴리 실리콘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막(30)은 500 내지 550℃의 온도와 0.1 내지 3.0torr의 압력 하에서 저압 화학 기상 증착법(Low Pressure CVD; LPCVD) 방식으로 SiH4 가스 또는 Si2H6 가스를 이용하여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박막을 250 내지 5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마스크막(40)은 질화막 계열의 물질막을 사용하여 후속 트렌치 식각시 하부의 구조물을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마스크막(40)으로, LP-CVD 방법으로 900 내지 1200Å 두께의 질화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자 분리용 트렌치 형성후의 TEM 사진이다.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소자 분리용 트렌치(55) 형성을 위한 감광막 패턴(50)을 형성한 다음 감광막 패턴(50)을 식각마스크로 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하드 마스크막(40), 도전막(30), 터널 산화막(20) 및 반도체 기판(10)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소자 분리용 트렌치(55)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3000 내지 10000Å 두께의 감광막을 도포한 다음, 소자 분리용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 패턴(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렌치(55)는 소정 각도의 슬루프(80 내지 88°)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렌치(55) 상부 코너 부위에 100 내지 200Å 정도의 폭을 갖는 경사각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트렌치(55) 내부에 폴리머막(58)이 형성된다(도 6 참조).
도 5c를 참조하면, 소정의 스트립 공정을 통해 감광막 패턴(50)을 제거한 다음, 트렌치 측벽의 거칠기를 안정화 하고, 잔류하는 폴리머막(58)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세정공정을 실시한다.
제 1 세정공정은 BFN(B[Piranha(H2SO4 + H2O2)] + F(50 : 1 Dilute HF) + N[SC-1(NH4OH/H2O2/H2O)])을 이용한 세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FN을 이용한 제 1 세정 공정시 HF 딥아웃 타임을(HF Dip Out Time)을 30초 이내(1 내지 30초)로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정공정시 노출된 반도체 기판(10) 및 터널 산화막(20)이 식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 산화후의 트렌치 상부의 TEM 사진이고, 도 7b는 측벽 산화후의 트렌치 하부의 TEM 사진이다.
도 5d,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전처리 제 2 세정공정을 실시한 다음, 트렌치(55) 측벽의 식각 데미지(Damage)를 보상하기 위한 측벽 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측벽 산화막(60)을 형성한다. 전체 구조상에 필드 산화막을 증착한 다음, 하드마스크막(40)을 정지막으로 하는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고, 하드 마스크막(40)을 제거하여 소자 분리막(미도시)을 형성한다.
제 2 세정 공정은 CLN N(SC-1(NH4OH/H2O2/H2O))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C-1만을 이용하여 클리닝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HF 딥아웃에 과다 노출로 인해 이미 이온주입되어 있는 도판트들의 아웃가싱(Out-Gassing)을 제어하며 후속 공정을 통해 균일한 측벽 산화막(6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처리 세정공정후, 트렌치(55) 형성시 측벽이 받은 데이지(Damage)를 보상하고 트렌치(55) 상부 코너의 라운딩(Rounding) 처리와 활성영역 임계치수(Critical Dimension; CD)를 줄이기 위해 측벽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30 내지 100Å 두께의 균일한 측벽 산화막(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a 및 도 7b 참조). 또한, 측벽 산화공정은 700 내지 900℃의 온도범위 내에서 건식 또는 습식 산화방식으로 측벽 산화막(60)을 형성하여, 고온 공정(1000℃이상, 1000 내지 1100℃)적용시 이미 주입된 도판트들의 아웃 디퓨전(Out Diffusion)을 제어하며 트렌치(55) 상부 코너 라운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 산화막은 트렌치(55)가 형성된 전체 구조 상부에 후속 평탄화 공정의 마진을 고려하여 4000 내지 6000Å 두께의 HDP 산화막을 증착하되, 트렌치(55)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화 공정은 하드 마스크막(40)을 정지막으로 하는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평탄화 공정의 평탄화 타겟을 조절하여 소자 분리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평탄화 공정후, 인산(H3PO4) 수용액을 이용한 질화막 스트립 공정을 실시하여 하드 마스크막(40)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자 분리용 트렌치를 형성한 다음, BFN을 이용한 포스트 클리닝 공정으로 폴리머막을 제거하고, SC-1만을 이용한 전처리 세정공정을 실시한 후, 측벽 산화를 실시하여 트렌치 측벽의 거칠기의 불량을 개선할 수 있고, 폴리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PET 공정을 생략하여 소자 분리막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측벽 산화공정전에 CLN N을 이용한 전처리 세정공정을 통해 반도체 기판에 주입된 도판트의 아웃디퓨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 상부 코너에 슬루프를 형성하여 트렌치 코너에 원하는 두께보다 작게 증착되는 게이트 산화막 씨닝(Gate Oxide Thinning)형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표로하는 임계치수 만큼의 활성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공정에 의한 측벽 손상을 설명하기 위한 TEM 사진들이다.
도 2는 종래의 PET 처리후의 카본 계열의 비정상적인 층이 형성된 TEM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측벽 산화막의 불균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TEM 사진이다.
도 4는 종래의 측벽 산화막에 대한 TEM EDS 분석표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자 분리용 트렌치 형성후의 TEM 사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 산화후의 트렌치 상부의 TEM 사진이고, 도 7b는 측벽 산화후의 트렌치 하부의 TEM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기판 20 : 터널 산화막
30 : 도전막 40 : 하드 마스크막
50 : 감광막 패턴 55 : 소자 분리막
58 : 폴리머막 60 : 측벽 산화막

Claims (3)

  1. 반도체 기판상에 터널 산화막, 도전막 및 하드 마스크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하드 마스크막 상에 소자 분리 영역을 개방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막, 상기 도전막, 상기 터널 산화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한 다음, 상기 트렌치 형성을 위한 식각공정시 발생한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BFN(B[Piranha(H2SO4 + H2O2)] + F(50 : 1 Dilute HF) + N[SC-1(NH4OH/H2O2/H2O)])을 이용한 제 1 세정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균일한 측벽 산화막을 형성하기 위해 CLN N(SC-1(NH4OH/H2O2/H2O))을 이용한 제 2 세정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측벽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 내에 측벽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체 구조상에 필드 산화막을 증착한 다음, 상기 하드 마스크막을 정지막으로 하는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고, 상기 하드 마스크막을 제거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정공정은 HF 딥아웃 타임을 1 내지 30초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3. 삭제
KR10-2003-0089983A 2003-12-11 2003-12-11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100526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983A KR100526575B1 (ko) 2003-12-11 2003-12-11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US10/876,333 US7125784B2 (en) 2003-12-11 2004-06-24 Method of forming isolation film in semiconductor device
DE102004030920A DE102004030920B4 (de) 2003-12-11 2004-06-25 Verfahren zum Bilden einer Grabenisolationsschicht in einem Halbleiterbauelement
JP2004190768A JP2005175421A (ja) 2003-12-11 2004-06-29 半導体素子の素子分離膜の形成方法
TW093119301A TWI253118B (en) 2003-12-11 2004-06-30 Method of forming isolation film in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983A KR100526575B1 (ko) 2003-12-11 2003-12-11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792A KR20050057792A (ko) 2005-06-16
KR100526575B1 true KR100526575B1 (ko) 2005-11-04

Family

ID=3465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983A KR100526575B1 (ko) 2003-12-11 2003-12-11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5784B2 (ko)
JP (1) JP2005175421A (ko)
KR (1) KR100526575B1 (ko)
DE (1) DE102004030920B4 (ko)
TW (1) TWI253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460B1 (ko) * 2004-12-30 2006-10-2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 방법
TW200625437A (en) * 2004-12-30 2006-07-16 Macronix Int Co Ltd Shallow trench isolation process of forming smooth edge angle by cleaning procedure
KR100624962B1 (ko) * 2005-07-04 2006-09-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7381649B2 (en) * 2005-07-29 2008-06-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ructure for a multiple-gate FET device and a method for its fabrication
KR100726093B1 (ko) * 2006-07-28 2007-06-08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N103367233B (zh) * 2012-03-29 2016-10-05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大马士革结构的制作方法
JP7142461B2 (ja) * 2018-05-14 2022-09-2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方法、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2654A1 (en) * 1998-04-16 1999-10-21 Semitool,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workpiece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US6034393A (en) * 1997-06-16 2000-03-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rench iso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013551A (en) * 1997-09-26 2000-01-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manufacture of self-aligned floating gate, flash memory cell and device manufactured thereby
KR100280106B1 (ko) * 1998-04-16 2001-03-02 윤종용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US6316055B1 (en) * 1998-05-01 2001-11-13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Near-room temperature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oxide films
US6232228B1 (en) * 1998-06-25 2001-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etching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devices made using the method
KR20000027010A (ko) 1998-10-26 2000-05-15 김영환 반도체 장치의 소자 격리 방법
KR20000042981A (ko) * 1998-12-28 2000-07-15 김영환 소자분리막의 트렌치모서리 라운딩방법
US20010052626A1 (en) * 1999-09-14 2001-12-2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ethod for fabricating dual-gate structure
JP2001345375A (ja) * 2000-05-31 2001-12-14 Miyazaki Oki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35999B1 (ko) * 2000-07-25 2002-05-08 윤종용 자기정렬된 셸로우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JP2002093800A (ja) * 2000-09-14 2002-03-29 Nissan Motor Co Ltd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134634A (ja) * 2000-10-25 2002-05-10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60815A (ko) * 2001-01-12 2002-07-19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얕은 트렌치 분리 형성 방법
US6440816B1 (en) * 2001-01-30 2002-08-27 Agere Systems Guardian Corp. Alignment mark fabrication process to limit accumulation of errors in level to level overlay
US6641678B2 (en) * 2001-02-15 2003-11-04 Micell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cleaning microelectronic structures with aqueous carbon dioxide systems
US20020130357A1 (en) * 2001-03-14 2002-09-19 Hurley Kelly T. Self-aligned floating gate flash cell system and method
JP3923768B2 (ja) * 2001-09-19 2007-06-0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基板構造の製造方法
KR100426485B1 (ko) * 2001-12-22 2004-04-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00499630B1 (ko) * 2002-10-08 2005-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50779B1 (ko) * 2003-12-30 2006-0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02322B1 (ko) * 2004-04-20 2006-07-14 에스티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플래시 메모리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30920A1 (de) 2005-07-07
KR20050057792A (ko) 2005-06-16
US20050130433A1 (en) 2005-06-16
JP2005175421A (ja) 2005-06-30
TW200520097A (en) 2005-06-16
DE102004030920B4 (de) 2011-07-28
US7125784B2 (en) 2006-10-24
TWI253118B (en)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483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0047157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74971B1 (ko) U자형 부유 게이트를 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US6656793B2 (en) Method of forming a self-aligned floating gate in flash memory cell
KR100341480B1 (ko) 자기 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KR100466196B1 (ko)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KR100526575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100466195B1 (ko)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KR100590396B1 (ko)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20060087875A (ko) 스텝게이트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23920B1 (ko) 플래시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70118348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8026140B2 (en) Method of forming flash memory device
KR100554835B1 (ko) 플래시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10055525A (ko)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KR100427537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100673224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80029804A1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7670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5904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55094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40059998A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막 형성방법
KR10088577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73311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02248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