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650B1 -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650B1
KR100522650B1 KR10-2003-0018351A KR20030018351A KR100522650B1 KR 100522650 B1 KR100522650 B1 KR 100522650B1 KR 20030018351 A KR20030018351 A KR 20030018351A KR 100522650 B1 KR100522650 B1 KR 10052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liquid
liquid pump
regenerator
absorb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414A (ko
Inventor
이데이노부히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흡수식 냉동기 운전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고온 재생기(1), 저온 재생기(2), 응축기(3), 증발기(4) 및 흡수기(5)를 구비하고, 흡수기(5)의 흡수액을 고온 재생기(1)로 공급하는 흡수액 배관(8)에 희흡수액 펌프(12)를 설치하고, 저온 재생기(2)의 흡수액을 흡수기(5)로 공급하는 흡수액 배관(10)에 농흡수액 펌프(13)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압력)를 기초로 하여 농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31)를 구비했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Absorption Type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재생기의 흡수액을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흡수기의 흡수액을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희흡수액 펌프를 설치하고, 재생기의 흡수액을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흡수식 냉동기는, 흡수식 냉동기의 기동시와 같은, 재생기의 압력이 낮고, 흡수기와의 압력차가 거의 없는 경우, 흡수식 냉동기의 기동과 동시에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하면 흡수액이 거의 흐르지 않고, 농흡수액 펌프에 부하가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흡수식 냉동기를 기동(起動)하고 나서 일률적인 지연 시간(예를 들어 5분)을 기다려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하도록 제어하였었다.
그러나, 상술한 흡수식 냉동기에서는 기동시의 재생기 압력(온도) 상황이 기동마다 다를 수 있고,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할 수 있는 압력(온도) 상황이 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5분 경과하면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하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해도 흡수액이 거의 흐르지 않고, 농흡수액 펌프에 부하가 걸리고, 반대로 5분 이내로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할 수 있는 압력(온도) 상황이어도, 5분 경과하기까지 정지 상태가 계속되어 버리므로 흡수식 냉동기의 기동 특성이 나빠져 버리고, 흡수식 냉동기 운전의 안정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운전의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의 흡수액을 상기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를 기동할 때 상기 재생기 내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농흡수액 펌프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의 흡수액을 상기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를 기동할 때 상기 재생기 내의 압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농흡수액 펌프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의 흡수액을 상기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희흡수액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희흡수액 펌프가 운전되고, 또 상기 재생기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상회하면, 상기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의 흡수액을 상기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희흡수액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희흡수액 펌프가 운전되고, 또 상기 재생기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상회하면 상기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재생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점화와 동기하여, 상기 희흡수액 펌프를 기동하는 제어를 행하고, 그 후에는 상기 증발기의 냉수 출구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희흡수액 펌프를 운전/정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의 흡수액을 상기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냉동기를 기동할 때 상기 재생기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기 내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농흡수액 펌프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과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의 흡수액을 상기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냉동기를 기동할 때 상기 재생기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기 내의 압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농흡수액 펌프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과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1에 예시한 것은 냉수 또는 온수를 부하로 순환 공급하는 냉온수기로서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100)이며, 냉매로 물을, 흡수액으로 브롬화 리튬(LiBr) 수용액을 사용한 것이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가스 버너(1B)를 구비한 고온 재생기, 부호 2는 저온 재생기, 부호 3은 응축기, 부호 4는 증발기, 부호 5는 흡수기, 부호 6은 저온 열 교환기, 부호 7은 고온 열 교환기, 부호 8 내지 부호 11은 흡수액 배관, 부호 12는 흡수기(5)와 고온 재생기(1) 사이의 흡수액 배관(8)에 설치된 제1 흡수액 펌프(희흡수액 펌프), 부호 13은 저온 재생기(2)와 흡수기(5) 사이의 흡수액 배관(10)에 설치된 제2 흡수액 펌프(농흡수액 펌프), 부호 10A는 제2 흡수액 펌프(13)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배관, 부호 14 내지 부호 16은 냉매 배관, 부호 17은 전동 밸브, 부호 19는 냉매 펌프, 부호 21은 균압관, 부호 22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냉/난방 부하로 냉열 또는 온열을 순환 공급하는 냉수 또는 온수가 흐르고, 도중에 증발기 열 교환기(4A)를 구비한 냉온수 배관, 부호 23은 도중에 흡수기 열 교환기(5A) 및 응축기 열 교환기(3A)를 구비한 냉각수 배관, 부호 24는 가스 버너(1B)에 접속한 가스 공급관, 부호 25는 가스 공급관(24) 도중에 설치된 가열량 제어 밸브, 부호 26 내지 부호 28은 개폐 밸브이며, 이들 기기는 각각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흡수식 냉동기(100)에 있어서, 개폐 밸브(26, 27, 28)를 닫고, 냉각수 배관(23)으로 냉각수를 흘리고, 가스 버너(1B)를 점화하여 고온 재생기(1)에서 희흡수액을 가열하면, 희흡수액으로부터 증발 분리된 냉매 증기와, 냉매 증기를 분리하여 흡수액의 농도가 높아진 중간 흡수액이 얻어진다.
고온 재생기(1)에서 생성된 고온의 냉매 증기는, 냉매 배관(14)을 통해 저온 재생기(2)로 들어가고, 고온 재생기(1)에서 생성되어 흡수액 배관(9)을 통해 고온 열 교환기(7)를 경유하여 저온 재생기(2)로 들어간 중간 흡수액을 가열하여 방열 응축하고, 응축기(3)로 들어간다. 또, 저온 재생기(2)에서 가열되어 중간 흡수액으로부터 증발 분리된 냉매는 응축기(3)로 들어가고, 냉각수 배관(23)에 있어서의 응축기 열 교환기(3A)를 흐르는 물과 열 교환하여 응축 액화하고, 냉매 배관(14)으로부터 응축하여 공급되는 냉매와 하나가 되어 냉매 배관(14)을 통해 전동 밸브(17)에서 유량이 조정되어 증발기(4)로 들어간다.
증발기(4)로 들어간 냉매액은 냉매 펌프(19)에 의해 냉온수 배관(22)에 접속된 증발기 열 교환기(4A) 상에 산포되고, 냉온수 배관(22)을 거쳐서 공급되는 물과 열 교환하여 증발하고, 증발기 열 교환기(4A)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냉각한다. 그리고, 증발기(4)에서 증발한 냉매는 흡수기(5)로 들어간다. 저온 재생기(2)에서 가열되어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흡수액의 농도가 한층 높아진 흡수액, 즉 농흡수액은 제2 흡수액 펌프(13)에 의해 저온 재생기(2)로부터 흡수액 배관(10)을 통해 저온 열 교환기(6)를 경유하여 흡수기(5)에 제공되고, 흡수기(5) 내의 상방으로부터 산포된다. 그리고, 증발기(4)에서 증발하고 흡수기(5)로 들어간 냉매는 농흡수액에 흡수된다.
흡수기(5)에서 냉매를 흡수하여 농도가 옅어진 흡수액, 즉 희흡수액은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에 의해, 흡수액 배관(8)을 통해 저온 열 교환기(6), 고온 열 교환기(7)를 경유하여 고온 재생기(1)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식 냉동기(100)의 운전이 행해지면, 증발기(4)에 있어서,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냉온수 배관(22)을 거쳐서 도시되지 않은 냉/난방 부하로 순환 공급할 수 있으므로, 냉방 운전을 행할 수 있다.
한 편, 개폐 밸브(26, 27)를 열고, 냉매 펌프(19)를 정지하고, 가스 버너(1B)를 점화하여 고온 재생기(1)에서 흡수액을 가열하면, 고온 재생기(1)에서 생성된 중간 흡수액은 흡수액 배관(9)의 도중에서 주로 유로 저항이 작은 흡수액 배관(11)을 거쳐서 흡수기(5), 증발기(4)로 들어가고, 흡수액 열 교환기(5A) 및 증발기 열 교환기(4A) 내의 물과 열 교환하여 흡수액 열 교환기(5A) 및 증발기 열 교환기(4A) 내를 흐르는 물이 가열된다. 또, 흡수액 열 교환기(5A)에서 가열된 물은 냉각수 배관(23)을 통해 응축기 열 교환기(3A)로 흘러 가열되고, 균압관(21)을 통해 증발기 열 교환기(4A)에서 가열된 물과 합류한다. 따라서, 이 온수를 도시하지 않은 냉/난방 부하로 순환 공급함으로써 난방 운전이 행해진다.
또한, 부호 29는 고온 재생기(1)에 설치된 온도 센서이며, 부호 30은 냉온수 배관(22)의 증발기(4) 출구에 설치된 온도 센서이다. 또, 부호 38은 고온 재생기(1) 내의 액면 레벨을 검출하는 전극봉이다. 부호 39는 고온 재생기(1)의 가스 버너(1B)에 있어서, 연소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연소 검출기이다.
부호 31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 기능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100)에 설치된 제어 장치이다. 제어 장치(31)의 구체적인 일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부호 32는 입력 인터페이스이며, 온도 센서(29, 30)로부터 온도 신호를 입력하고, 신호 변환하여 중앙 연산 처리 장치(이하 CPU라고 함)(33)로 출력한다. 부호 34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 장치(이하 ROM이라고 함)이다. 부호 35는 CPU(33)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가열량 제어 밸브(25)나 제1 흡수액 펌프(12), 제2 흡수액 펌프(13)로 소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이다. 부호 36은 소정 시간 마다 신호를 CPU(33)로 출력하는 신호 발생기(이하 CLOCK이라고 함)이다. 부호 37은 온도 센서(29, 30)가 검출된 온도를 기억하는 독입/소거 가능한 기억 장치(이하 RAM이라고 함)이다.
통상, 제어 장치(31)의 CPU(33)는, ROM(34)에 미리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흡수식 냉동기(100)의 전체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장치(31)의 CPU(33)는 온도 센서(29)로부터 온도 신호를 기초로 하고, ROM(34)에 미리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종래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한다. 또, ROM(34)에는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의 냉온수 배관(22)의 증발기(4) 출구의 물의 설정 온도(Ts)가 기억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31)의 CPU(33)는, 온도 센서(30)로부터 온도 신호와, ROM(34)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온도(Ts)를 기초로 하여, ROM(34)에 미리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종래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한다. CPU(33)는 CLOCK(36)에 의해 소정 시간 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했을 때, 이들 제1 흡수액 펌프(12) 및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흡수식 냉동기(100)의 냉방 운전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2의 처리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정지 제어를 설명한다. 이 도2의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의 판단은 소정 시간 마다 행해진다.
제어 장치(31)는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 즉, 현재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정지 상태를 판단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흡수식 냉동기(100)의 기동 직후에는, 제1 흡수액 펌프(12)는 정지 상태, 즉,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스텝(S1)의 판단에 있어서,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 즉, 제1 흡수액 펌프(12)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31)는, 제어 장치(31)가 가열량 제어 밸브(25)에 점화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2). 이 점화 신호는 흡수식 냉동기(100)의 기동과 동기하여 출력된다. 또, 고온 재생기(1)를 정지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공조 부하의 급격한 변동에 의해 고온 재생기(1)를 정지하는 경우, 점화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이로써, 가스 버너(1B)는 소화 상태이다.
스텝(S2)의 판단에 있어서, 제어 장치(31)가 가열량 제어 밸브(25)에 점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제어 장치(31)는 온도 센서(30)에서 검출된 냉온수 배관(22)의 증발기(4) 출구의 물의 온도가 제1 소정 온도(예를 들어, (설정 온도 Ts)-1.5 [℃])를 상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3).
스텝(S2)의 판단에 있어서, 제어 장치(31)가 가열량 제어 밸브(25)에 점화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 혹은 스텝(S3)의 판단에 있어서, 온도 센서(3)에서 검출된 온도가 제1 소정 온도(예를 들어, (설정 온도 Ts)-1.5 [℃])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31)는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었다고 판단하고, 제1 흡수액 펌프(12)를 운전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4).
스텝(S1)의 판단에 있어서,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 즉, 제1 흡수액 펌프(12)가 운전되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31)는 온도 센서(30)에서 검출된 냉온수 배관(22)의 증발기(4) 출구의 물의 온도가 제2 소정 온도(예를 들어, (설정 온도 Ts)-2.5 [℃])를 하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5).
스텝(S5)의 판단에 있어서, 온도 센서(30)에서 검출된 온도가 제2 소정 온도(예를 들어, (설정 온도 Ts)-2.5 [℃])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31)는 점화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스텝 S6), 점화 신호의 출력이 없으면,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을 해제하여 제1 흡수액 펌프(12)를 정지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7).
이 도2에 있어서, 흡수식 냉동기(100)의 기동과 동기하여 점화 신호가 제어 장치(31)로부터 가열량 제어 밸브(25)로 출력되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기동시에는 스텝(S1) 다음에 스텝(S2)이 판단되어, 스텝(S4)에서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고, 제1 흡수액 펌프(12)가 기동된다. 즉, 가스 버너(1B)의 점화와 동기하여, 제1 흡수액 펌프(12)가 기동된다.
그리고,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후에는, 스텝(S5)에 있어서, 냉온수 배관(22)의 증발기(4) 출구의 물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정지 제어가 행해진다.
그리고, 냉온수 배관(22)의 증발기(4) 출구의 물의 온도가 이상하게 저하된 경우, 즉, 스텝(S5)의 판단에 있어서, 온도 센서(30)에서 검출된 온도가 제2 소정 온도(예를 들어, (설정 온도 Ts)-2.5 [℃])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 점화 신호의 출력이 정지되고, 온도 재생기(1)의 가스 버너(1B)가 소화되어 있으면, 스텝(S7)에서 제1 흡수액 펌프(12)가 정지된다.
또한, 제1 흡수액 펌프(12)를 정지한 후, 냉온수 배관(22)의 증발기(4) 출구의 물의 온도가 제1 소정 온도(예를 들어, (설정 온도 Ts)-1.5 [℃])로 회복되면(스텝 S3), 다시 제1 흡수액 펌프(12)가 운전된다(스텝 S4).
다음에, 도3의 처리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도3의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의 판단은 소정 시간 마다 행해진다.
우선, 제어 장치(31)는,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1). 즉,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정지 상태를 판단한다.
스텝(S11)의 판단에 있어서,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 즉 제1 흡수액 펌프(12)가 운전되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31)는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예를 들어, 110 [℃])를 상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2). 이 소정 온도는 110 [℃]라고 했지만, 110 [℃]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흡수액 펌프(13)를 운전한 경우에 흡수기(5)로의 흐름이 생기는 정도의 온도면 된다. 이 소정 온도 110 [℃]는 미리 제어 장치(31)의 ROM(34)에 기억되어 있다. 또, 안정되게 운전하고 있을 때의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는 150 [℃] 정도까지 상승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가 110 [℃]일 때, 고온 재생기(1) 내의 압력은 약 26.7 [℃]이며,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가 150 [℃]일 때, 고온 재생기(1) 내의 압력은 약 93.3 [kPa]이다.
스텝(S12)의 판단에 있어서,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110 [℃]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31)는 제2 흡수액 펌프(13)를 운전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13). 이로써, 고온 재생기(1) 및 저온 재생기(2)의 온도(압력)가 제2 흡수액 펌프(13)를 운전할 수 있는 온도(압력)로 상승한 경우, 제2 흡수액 펌프(13)가 운전되므로, 제2 흡수액 펌프(13)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흡수식 냉동기(100)의 기동 특성이 향상되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스텝(S11)의 판단에 있어서,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 즉, 제1 흡수액 펌프(12)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 혹은 스텝(S12)의 판단에 있어서,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110 [℃]에 이르지 않은 경우, 제어 장치(31)는 제2 흡수액 펌프(13)를 정지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14). 이로써, 고온 재생기(1), 저온 재생기(2) 내의 온도(압력)가 제2 흡수액 펌프(13)를 운전할 수 있는 온도(압력)에 이르지 않은 경우, 제2 흡수액 펌프(13)가 정지되므로, 제2 흡수액 펌프(13)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흡수식 냉동기(100)의 기동 특성이 향상되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2 흡수액 펌프(13)가 정지할 때, 즉 저온 재생기(2) 내의 압력(온도)이 낮을 때, 저온 재생기(2)로부터 흡수액 배관(10)을 통해 흘러오는 소량의 흡수액은 바이패스 배관(10A)을 통해 흡수기(5)로 흐른다. 이로써, 흡수액의 순환은 막히는 일이 없다.
이 도3에 있어서, 흡수식 냉동기(100)가 기동하여 가스 버너(1B)가 점화되고, 제1 흡수액 펌프(12)가 운전하고 있을 경우,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110 [℃]를 상회하고 있지 않으면, 제2 흡수액 펌프(13)는 정지 상태이고, 서서히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 온도 110 [℃]를 상회하면, 제2 흡수액 펌프(13)가 운전된다.
다음에, 제1 흡수액 펌프(12)가 정지되는 경우, 제2 흡수액 펌프(13)는 정지된다.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하는 동작에 있어서, 냉온수 배관(22)의 증발기(4) 출구의 물의 온도가 이상하게 저하된 경우, 제1 흡수액 펌프(12)가 정지되고, 도3에 도시하는 작동에 있어서, 제1 흡수액 펌프(12)의 정지와 동기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가 정지된다. 이로써, 제2 흡수액 펌프(13)의 불필요한 운전이 방지된다.
또한, 흡수식 냉동기(100)를 재기동한 경우, 고온 재생기(1) 내에 여열이 남아 있으면, 종래와 같이 소정의 지연 시간(5분간)을 기다리지 않아도, 고온 재생기(1), 저온 재생기(2) 내의 온도(압력)가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에 적합한 온도(압력)까지 상승되고, 제2 흡수액 펌프(13)가 운전되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기동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온도 센서(29)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온도 센서(29)가 고장난 경우, 제어 장치(31)는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행하는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무시하고, 소정의 지연 시간(예를 들어, 5분간) 기다려 제2 흡수액 펌프(13)를 운전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온도 센서(29)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2 흡수액 펌프(13)의 이상한 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 장치(31)가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정지 상태와, 온도 센서(29)의 검출하는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제2 흡수액 펌프(13)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흡수식 냉동기(100)의 기동 특성이 향상되므로, 흡수식 냉동기(100)의 운전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31)가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정지 상태와,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정지 상태와, 고온 재생기(1) 내의 압력을 기초로 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경우이어도 좋다. 즉, 고온 재생기(1)에 고온 재생기(1)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스텝(S12)(도3)에서는, 제1 흡수액 펌프(12)의 기동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 즉, 제1 흡수액 펌프(12)가 운전되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31)는 고온 재생기(1)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예를 들어, 26.7 [kPa])을 상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소정 압력은 26.7 [kPa]로 했지만, 26.7 [kPa]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흡수액 펌프(13)를 운전했을 경우에 흡수기(5)로의 흐름이 생기는 정도의 압력이면 된다. 이 소정 압력 26.7 [kPa]은 미리 제어 장치(31)의 ROM(34)에 기억되어 있다. 또, 안정되게 운전하고 있을 때의 고온 재생기(1)의 압력은 93.3 [kPa] 정도까지 상승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고온 재생기(1) 내의 압력이 26.7 [kPa]일 때,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는 약 110 [℃]이며, 고온 재생기(1) 내의 압력이 93.3 [kpa]일 때,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는 약 150 [℃]이다.
또한, 압력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압력 센서가 고정난 경우, 제어 장치(31)는 고온 재생기(1) 내의 압력을 기초로 하여 행하는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무시하고, 소정의 지연 시간(예를 들어, 5분간) 기다려 제2 흡수액 펌프(13)를 운전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압력 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2 흡수액 펌프(13)의 이상한 작동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온도 센서(29) 혹은 압력 센서를 고온 재생기(1)에 설치하고,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 혹은 압력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고온 재생기(1) 내의 온도 혹은 압력을 기초로 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 센서 혹은 압력 센서를 저온 재생기(2)에 설치하고, 저온 재생기(2) 내의 온도 혹은 압력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저온 재생기(2) 내의 온도 혹은 압력을 기초로 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경우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온도 센서 혹은 복수의 압력 센서를 고온 재생기(1) 혹은 저온 재생기(2)에 설치하고, 제어 장치(31)가 이들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 혹은 압력의 평균을 산출하고, 이 산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경우이어도 좋다. 이로써, 검출된 고온 재생기(1) 혹은 저온 재생기(2) 내의 온도 혹은 압력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 때, 어느 쪽 센서가 이상 값을 검출한 경우에는, 이 이상 값을 검출한 센서를 제외한 다른 센서로 검출한 온도 혹은 압력을 기초로 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일부 센서에 이상이 있어도, 다른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 혹은 압력을 기초로 하여 제2 흡수액 펌프(13)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 종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식 냉동기 운전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2는 희흡수액 펌프(제1 흡수액 펌프)의 제어 플로우 챠트.
도3은 농흡수액 펌프(제2 흡수액 펌프)의 제어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 재생기
1B : 가스 버너
2 : 저온 재생기
3 : 응축기
4 : 증발기
5 : 흡수기
6 : 저온 열 교환기
7 : 고온 열 교환기
8∼10 : 흡수액 배관
10A : 바이패스 배관
11 : 흡수액 배관
12 : 제1 흡수액 펌프(희흡수액 펌프)
13 : 제2 흡수액 펌프(농흡수액 펌프)
22 : 냉온수 배관
23 : 냉각수 배관
24 : 가스 공급관
25 : 가열량 제어 밸브
29, 30 : 온도 센서
31 : 제어 장치
100 : 흡수식 냉동기

Claims (7)

  1.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의 흡수액을 상기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를 기동할 때 상기 재생기 내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농흡수액 펌프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2.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의 흡수액을 상기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를 기동할 때 상기 재생기 내의 압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농흡수액 펌프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의 흡수액을 상기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희흡수액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희흡수액 펌프가 운전되고 또 상기 재생기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상회하면, 상기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의 흡수액을 상기 재생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희흡수액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희흡수액 펌프가 운전되고 또 상기 재생기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상회하면 상기 농흡수액 펌프를 운전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재생기에 있어서의 버너의 점화와 동기하여 상기 희흡수액 펌프를 기동하는 제어를 행하고, 그 후에는 상기 증발기의 냉수 출구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희흡수액 펌프를 운전/정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6.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의 흡수액을 상기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냉동기를 기동할 때 상기 재생기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기 내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농흡수액 펌프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과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제어 방법.
  7.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기의 흡수액을 상기 흡수기로 공급하는 흡수액 유로에 농흡수액 펌프를 설치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냉동기를 기동할 때 상기 재생기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기 내의 압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농흡수액 펌프의 운전/정지 제어를 행하는 과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제어 방법.
KR10-2003-0018351A 2002-03-26 2003-03-25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522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84981 2002-03-26
JP2002084981A JP2003279186A (ja) 2002-03-26 2002-03-26 吸収式冷凍機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414A KR20030077414A (ko) 2003-10-01
KR100522650B1 true KR100522650B1 (ko) 2005-10-20

Family

ID=2844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351A KR100522650B1 (ko) 2002-03-26 2003-03-25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279186A (ko)
KR (1) KR100522650B1 (ko)
CN (1) CN1225626C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99B1 (ko) 2006-11-07 2008-10-2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흡수식 냉동기
KR20190017428A (ko) 2017-08-11 2019-02-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심 분리기를 이용한 흡수식 냉각 시스템
KR101972542B1 (ko) 2017-12-08 2019-04-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수식 냉동 시스템
KR102070875B1 (ko) 2018-09-28 2020-03-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수식 냉동 시스템
KR102122996B1 (ko) 2018-12-24 2020-06-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흡수식 히트펌프 시스템
KR102127893B1 (ko) 2018-12-31 2020-06-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냉매 압축기를 이용한 흡수식 냉각 시스템
KR102226261B1 (ko) 2019-09-11 2021-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비가열식 재생 공정을 이용한 흡수식 히트펌프
KR102287801B1 (ko) 2020-04-21 2021-08-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투석 공정을 이용한 흡수식 히트펌프
KR20210109915A (ko) 2020-02-28 2021-09-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삼투압 분리기를 이용한 흡수식 히트펌프 시스템
KR20240062457A (ko) 2022-11-01 2024-05-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및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241B1 (ko) * 2006-06-20 2007-08-03 한국지역난방공사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
JP2008116172A (ja) * 2006-11-07 2008-05-22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JP2010078298A (ja) * 2008-09-29 2010-04-08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JP2010266095A (ja) * 2009-05-13 2010-11-25 Sanyo Electric Co Ltd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
JP2010276244A (ja) * 2009-05-27 2010-12-09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温水機
JP5449862B2 (ja) * 2009-05-28 2014-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式冷凍装置
KR101107087B1 (ko) * 2009-08-13 2012-01-30 주식회사 동광이엔씨 유압 실린더에 의해 좌석 회동속도 조절이 가능한 절첩식 의자
KR102036107B1 (ko) * 2012-12-12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수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99B1 (ko) 2006-11-07 2008-10-2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흡수식 냉동기
KR20190017428A (ko) 2017-08-11 2019-02-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심 분리기를 이용한 흡수식 냉각 시스템
KR101972542B1 (ko) 2017-12-08 2019-04-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수식 냉동 시스템
KR102070875B1 (ko) 2018-09-28 2020-03-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수식 냉동 시스템
KR102122996B1 (ko) 2018-12-24 2020-06-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흡수식 히트펌프 시스템
KR102127893B1 (ko) 2018-12-31 2020-06-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냉매 압축기를 이용한 흡수식 냉각 시스템
KR102226261B1 (ko) 2019-09-11 2021-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비가열식 재생 공정을 이용한 흡수식 히트펌프
KR20210109915A (ko) 2020-02-28 2021-09-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삼투압 분리기를 이용한 흡수식 히트펌프 시스템
KR102287801B1 (ko) 2020-04-21 2021-08-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투석 공정을 이용한 흡수식 히트펌프
KR20240062457A (ko) 2022-11-01 2024-05-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및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7082A (zh) 2003-10-08
CN1225626C (zh) 2005-11-02
JP2003279186A (ja) 2003-10-02
KR20030077414A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650B1 (ko)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6706B1 (ko) 1중 2중 효용 흡수 냉동기의 운전 방법
US20230009585A1 (en) Thermostatic expansion valves and methods of control
KR100892547B1 (ko) 흡수식 냉온수기
JP2002357370A (ja) 吸収冷凍機の制御方法
KR100585352B1 (ko) 흡수 냉동기
JPH05248726A (ja) 吸収式冷凍機
JP4308076B2 (ja) 吸収冷凍機
JP3448682B2 (ja) 吸収式冷熱発生装置
JP2918648B2 (ja) 吸収冷凍機・冷温水機における冷温水・冷却水の変流量制御装置
JP3831427B2 (ja) 吸収冷凍機の入熱制御方法
JP2706871B2 (ja) 吸収冷温水機の冷房制御装置
JPH11118283A (ja) アンモニア吸収式冷凍機の制御装置
JPH0379630B2 (ko)
JP3945955B2 (ja) 吸収冷凍機
JP3154039B2 (ja) 冷温水機の温度制御装置及び温度制御方法
JP2916866B2 (ja) 吸収冷温水機
JP2000220906A (ja) 吸収冷凍機の制御方法
JP3407181B2 (ja) 吸収式冷熱発生装置
JPH06347121A (ja) 吸収冷温水機
JP2002357372A (ja) コージェネ型吸収冷凍機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H10339476A (ja) 空調装置
JP2000161812A (ja) 吸収冷凍機の制御装置
JPH112472A (ja) 空調装置の運転制御方法
WO1995018343A1 (fr) Refrigerateur de type a absor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