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352B1 - 흡수 냉동기 - Google Patents

흡수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352B1
KR100585352B1 KR1020050005187A KR20050005187A KR100585352B1 KR 100585352 B1 KR100585352 B1 KR 100585352B1 KR 1020050005187 A KR1020050005187 A KR 1020050005187A KR 20050005187 A KR20050005187 A KR 20050005187A KR 100585352 B1 KR100585352 B1 KR 10058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bsorbent liquid
regenerator
discharge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113A (ko
Inventor
우에고모리신이찌
다나까요오스께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3Temperature indic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6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sorption typ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배출된 열 유체의 유량 제어가 불가능해져 흡수액에 대한 가열 재생 작용이 지나치게 행해져도, 냉수 온도의 이상 저하에 의한 운전 불능 및 흡수액의 결정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배출된 열 유체가 내부를 흐르는 전열관(3B)을 배출 열 재생기(3)의 중간단 부분에 설치하는 동시에, 전열관(3B)의 상방에 살포기(3C)를, 하방에 흡수액 토출구(3A)를 설치하고, 유량 제어 밸브(13)의 상태가 나빠져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으로부터 전열관(3B)으로의 배출된 열 유체의 공급량 삭감이 불가능해졌을 때에, 흡수액 펌프(11)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여 흡수기(7)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3)로의 흡수액의 반송량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기(36)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전열관, 유량 제어 밸브, 살포기, 흡수기, 제어기

Description

흡수 냉동기{ABSORPTION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의 설명도.
도2는 흡수액 펌프의 제어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3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 재생기
2 : 저온 재생기
3 : 배출 열 재생기
3A : (흡수액의) 토출구
3B : 전열관
3C : 살포기
4 : 응축기
5 : 배출 열 응축기
6 : 증발기
6A : 전열관
7 : 흡수기
8 : 저온 열교환기
9 : 고온 열교환기
10 : 냉매 펌프
11, 12 : 흡수액 펌프
13 : 유량 제어 밸브(삼방 밸브)
14 내지 17 : 개폐 밸브
18 내지 23 : 흡수액관
24 내지 29 : 냉매관
30 : 배출 열 유체 공급관
31 : 바이패스관
32 : 냉온수관
33 : 냉각수관
34 : 균압관
35 : 온도 센서
36 : 제어기
100, 100X : 흡수 냉동기
본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냉매를 증발 분리하는 재생기의 열원으로서, 다른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배출된 열 등도 이용하는 흡수 냉동기에 관계되는 것이 다.
이러한 종류의 흡수 냉동기로서는,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액을 가열하고 비등시켜 증발기(6)로 보내는 냉매를 증발 분리하는 동시에, 흡수액을 농축 재생하는 재생기로서 가스 버너(1A)에 있어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흡수액의 가열원으로 하는 고온 재생기(1)와, 고온 재생기(1)로부터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흡수액의 가열원으로 하는 저온 재생기(2)와,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등의 다른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배출된 열 유체를 가열원으로 하는 배출 열 재생기(3)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흡수 냉동기(100X)가 주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도면 중 부호 4는 저온 재생기(2) 내에서 흡수액으로부터 증발 분리된 냉매 증기가 유입 가능하게 저온 재생기(2)에 병설된 응축기, 5는 배출 열 재생기(3) 내에서 흡수액으로부터 증발 분리된 냉매 증기가 유입 가능하게 배출 열 재생기(3)에 병설된 배출 열 응축기, 7은 증발기(6) 내에서 증발한 냉매 증기가 유입 가능하게 증발기(6)에 병설된 흡수기, 8은 저온 열교환기, 9는 고온 열교환기, 10은 냉매 펌프, 11과 12는 흡수액 펌프, 13은 삼방 밸브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밸브, 14 내지 17은 개폐 밸브, 18 내지 23은 흡수액관, 24 내지 29는 냉매관, 30은 배출 열 유체 공급관, 31은 바이패스관, 32는 냉온수관, 33은 냉각수관, 34는 균압관이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 접속되어 증발기(6) 내에 설치된 전열관(6A)의 관벽을 거쳐서 소정 온도로 냉각/또는 가열된 물이, 냉온수관(32)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열부하에 순환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흡수 냉동기(100X)에 있어서는, 가스 버너(1A)로 천연 가스 등 을 태웠을 때에 나오는 연소열과,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을 거쳐서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등의 다른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배출된 열 유체를 열원으로서 흡수액을 가열하여 비등시키기 때문에 열효율이 높다. 따라서 자원 절약이며, 또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5415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는 열부하가 작을 때에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등의 다른 설비로부터 공급되어 배출 열 재생기로 유입되어 있는 배출된 열 유체의 유량 제어가 불가능해져 배출 열 재생기로의 공급량 삭감을 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는, a) 증발기에서 냉각하여 공급하는 냉수의 온도가 지나치게 저하되고, b) 흡수액 펌프의 운전을 정지해도 배출 열 재생기는 비게 되지 않으므로, 배출 열 재생기에 남아 있는 흡수액이 배출된 열 유체에 의해 계속 가열되어 흡수액의 농축이 지나치게 진행하여 결정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해, 배출된 열 유체의 유량 제어가 불가능해져 흡수액에 대한 가열 재생 작용이 지나치게 행해져도 냉수 온도의 이상 저하에 의한 운전 불능에 빠지거나 흡수액이 결정화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가열하고 냉매를 증발 분리하여 흡수액을 농축 재생하는 열원으로서 다른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배출된 열 유체가 이용되는 배출 열 재생기를 구비한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 배출 열 재생기의 중간단 부분에 배출된 열 유체가 내부를 흐르는 전열관을 설치하는 동시에, 전열관의 상방에 흡수액 살포기를, 하방에 흡수액 토출구를 설치하고, 전열관 내부로의 배출된 열 유체의 공급량 삭감이 불가능해졌을 때, 흡수액 펌프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여 흡수기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로의 흡수액의 반송량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가열하고 냉매를 증발 분리하여 흡수액을 농축 재생하는 열원으로서, 다른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배출된 열 유체가 이용되는 배출 열 재생기를 구비한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 배출 열 재생기의 중단 부분에 배출된 열 유체가 내부를 흐르는 전열관을 설치하는 동시에, 전열관의 상방에 흡수액 살포기를, 하방에 흡수액 토출구를 설치하고, 또한 증발기에서 증발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증발기로부터 토출한 냉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저하되었을 때에, 배출된 열 유체의 전열관 내부로의 공급량 삭감 조작 불능이라고 판단하여 흡수액 펌프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여 흡수기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로의 흡수액의 반송량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수단을 마련하도록 한 흡수 냉동기.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1과 도2를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예시한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100)는 냉매에 물을, 흡수액에 브롬화리 튬(LiBr) 수용액을 사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부하에 냉수 또는 온수를 순환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 냉동기이다. 또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1에 있어서도 상기 도3에 있어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1에 예시한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100)가 상기 도3에 도시한 흡수 냉동기(100X)와 다른 주된 점은, 배출 열 재생기(3)의 구성에 있다. 즉, 도3에 도시한 흡수 냉동기(100X)에 있어서는 배출 열 재생기(3)의 측벽의 중간단 부분에 흡수액의 토출구(3A)가 설치되고, 그 토출구(3A)에 흡수액관(19)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토출구(3A)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배출 열 재생기(3)의 흡수액이 흡수액관(19)에 개재하는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에 의해 고온 재생기(1)로 반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1에 예시한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100)에서는 흡수액의 토출구(3A)는 배출 열 재생기(3)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그곳에 흡수액관(19)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흡수 냉동기(100X)에 있어서는 양단부에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이 접속되는 배출 열 재생기(3) 내부의 전열관(3B)은 배출 열 재생기(3)의 바닥측으로 치우쳐, 즉 측벽 중간단 부분에 설치된 흡수액의 토출구(3A)보다 낮은 부위에도 설치되어 있고, 도1에 예시한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100)에 있어서는 전열관(3B)은 배출 열 재생기(3)의 중간단 부분에, 즉 전체가 흡수액의 토출구(3A)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100)에 있어서는 전열관(3B)의 상방에 살포기 (3C)가 설치되고, 그 살포기(3C)에 흡수액관(18)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흡수액관(18)에 개재되는 흡수액 펌프(11)의 운전에 의해 냉매를 흡수하여 농도가 저하된 흡수기(7) 내부의 희박 흡수액이 전열관(3B) 상에 살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온수관(32)의 증발기(6) 출구측에 온도 센서(35)가 설치되어 증발기(6) 내부의 전열관(6A)의 관벽을 거쳐서 냉매와 열교환하고, 냉매가 증발할 때의 잠열에 의해 냉각되어 증발기(6)로부터 토출된 냉온수의 온도가 계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온도 센서(35)가 계측한 냉온수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가스 버너(1A), 냉매 펌프(10), 흡수액 펌프(11, 12), 유량 제어 밸브(13)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36)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흡수 냉동기(100)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14 내지 17)를 폐쇄한 상태에서 냉각수관(33)으로 냉각수를 흐르게 하고, 가스 버너(1A)에서 천연 가스 등을 연소시키는 동시에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을 통해 배출 열 재생기(3) 내에 설치된 전열관(3B)에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 고온수 등의 배출된 열 유체를 흐르게 하면서 흡수액 펌프(11)를 운전하여 흡수기(7)의 흡수액 저장소에 저장된 흡수액을 살포기(3C)로부터 전열관(3B) 상에 살포하면, 흡수액으로부터 증발 분리된 냉매 증기와 냉매 증기를 분리하여 흡수액의 농도가 높아진 흡수액을 고온 재생기(1) 및 배출 열 재생기(3)에 있어서 얻을 수 있다.
고온 재생기(1)에서 생성된 고온의 냉매 증기는, 냉매관(24)을 통해 저온 재생기(2)로 들어가고, 고온 재생기(1)에서 농축되어 흡수액관(20)에 의해 고온 열교 환기(9)를 경유하여 저온 재생기(2)로 들어간 흡수액을 가열하여 방열 응축하여 응축기(4)로 들어간다.
또한, 저온 재생기(2)에 있어서의 가열에 의해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증기는 응축기(4)로 들어가 냉각수관(33)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응축액화되고, 냉매관(24)으로부터 응축하여 공급되는 냉매와 하나가 되어 냉매관(26)을 통해 증발기(6)로 들어간다.
배출 열 재생기(3)에서 생성된 고온의 냉매 증기도 배출 열 응축기(5)로 들어가 냉각수관(33)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응축액화되고, 냉매관(27, 26)을 통해 증발기(6)로 들어간다.
증발기(6)로 들어가 냉매액 저장소에 저장된 냉매액은 냉온수관(32)이 접속된 전열관(6A) 상에 냉매 펌프(10)에 의해 살포되고, 냉온수관(32)을 거쳐서 순환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되어 전열관(6A)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증발기(6)에서 증발한 냉매는 흡수기(7)로 들어가 저온 재생기(2)에서 가열되어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흡수액의 농도가 한층 높아져 재생된 흡수액, 즉 흡수액관(21)에 의해 저온 열교환기(8)를 경유하여 공급되어 상방으로부터 살포되는 농흡수액에 흡수된다.
흡수기(7)로 냉매를 흡수하여 농도가 옅어진 흡수액, 즉 희박 흡수액은 흡수액 펌프(11)의 운전에 의해 저온 열교환기(8)를 경유하여 배출 열 재생기(3)로 반송되고, 살포기(3C)로부터 전열관(3B) 상에 살포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으로부터 공급되는 배출된 열 유체와 열교환하여 가열되고, 냉매를 증발 분리시켜 농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이 행해지면, 증발기(6) 내의 전열관(6A)에 있어서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냉온수관(32)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열부하에 순환 공급할 수 있으므로 냉방 등의 냉각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으로부터 전열관(3B)으로의 배출된 열 유체의 공급이 가스 버너(1A)에서의 천연 가스 등의 연소에 우선된다. 즉, 제어기(36)는 온도 센서(35)가 계측하는 냉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 예를 들어 7 ℃까지 저하되도록 우선 유량 제어 밸브(13)가 제어되고, 전열관(3B)에 흐르는 배출된 열 유체의 양을 최대로 해도, 온도 센서(35)가 계측하는 냉온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인 7 ℃까지 저하되지 않을 때에 가스 버너(1A)에 의해 흡수액의 가열을 행하고, 고온 재생기(1)에서도 냉매 증기의 생성과 흡수액의 농축 재생을 행하고, 증발기(6)에서 냉각되어 냉온수관(32)으로 토출되는 냉온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인 7 ℃가 되도록 제어되고, 가스 버너(1A)에 의한 가열량을 최소로 교축해도 온도 센서(35)가 계측하는 냉온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인 7 ℃까지 상승하지 않으면 가스 버너(1A)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고 다시 유량 제어 밸브(13)를 제어하여 전열관(3B)으로의 배출된 열 유체의 공급량을 교축하고, 증발기(6)에서 냉각되어 냉온수관(32)으로 토출되는 냉온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인 7 ℃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100)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 열 재생기(3)의 흡수액의 토출구(3A)는 바닥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수액 펌프(11)의 운전을 정지하면 배출 열 재생기(3) 안은 비게 된다. 즉, 가스 버너(1A)의 연소가 정지 중에는 제어기(36)에 의해 흡수액 펌프(12)의 운전은 정지되기 때문에, 배출 열 재생기(3)와 흡수기(7)와의 압력차에 의해 배출 열 재생기(3) 내의 흡수액은 흡수액관(19, 22, 21)을 거쳐서 흡수기(7)로 복귀되고, 가스 버너(1A)의 연소 중에는 제어기(36)에 의해 흡수액 펌프(12)도 운전되기 때문에 배출 열 재생기(3) 내의 흡수액은 흡수액관(19)을 거쳐서 고온 고압의 고온 재생기(1)로 보내진다.
따라서, 유량 제어 밸브(13)의 상태가 나빠져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으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3)의 전열관(3B)으로 공급하는 배출된 열 유체의 유량 제한을 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는, 흡수액 펌프(11)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삭감하여 배출 열 재생기(3) 내의 흡수액의 액면이 전열관(3B)의 아래가 되도록 흡수기(7)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3)로의 흡수액의 반송량을 제한함으로써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 고온수 등의 배출된 열 유체가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으로부터 전열관(3B)으로 계속 공급되어도 배출 열 재생기(3)에서는 흡수액은 가열되지 않거나 가열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배출 열 재생기(3)에 있어서의 냉매 증기의 발생을 없애 흡수기(7)로 공급하는 흡수액이 결정화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흡수액 펌프(1)의 운전은 온도 센서(35)가 계측한 냉온수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제어기(36)에 의해 예를 들어 도2의 (A)와 같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기(36)는 온도 센서(35)가 계측한 냉온수의 온도가, 예를 들어 4.5 ℃ 이하일 때와 4.5 ℃ 이하인 상태에서 5.5 ℃까지 상승하는 동안은 흡수액 펌프(11)를 정지하고, 5.5 ℃ 이상에 있을 때와 5.5 ℃ 이상의 상태로부터 4.5 ℃까지 저하되는 동안은 흡수액 펌프(11)를 운전하기 위한 소요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100)에 있어서는 유량 제어 밸브(13)의 상태가 나빠져,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으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3)의 전열관(3B)으로 공급하는 배출된 열 유체의 유량 제한을 할 수 없게 되어, 가스 버너(1A)에 의한 가열을 정지해도 증발기(6)의 전열관(6A)에서 냉각되어 냉온수관(32)으로 토출하는 냉온수의 온도가 4.5 ℃보다 내려가고, 온도 센서(35)가 그것을 계측하면 흡수액 펌프(11)의 운전이 제어기(36)에 의해 정지된다.
그로 인해, 배출 열 재생기(3) 내부는 비게 되어,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 고온수 등의 배출된 열 유체가 배출 열 유체 공급관(30)으로부터 전열관(3B)에 계속 공급되어도 배출 열 재생기(3)에서는 흡수액은 가열되지 않게 되므로, 배출 열 재생기(3)에 있어서의 냉매 증기의 발생은 없어 흡수액이 지나치게 농축되어 결정화되는 일도 없다.
흡수액 펌프(11)는, 제어기(36)에 의해 예를 들어 도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즉 온도 센서(35)가 계측한 냉온수의 온도가 예를 들어 4.5 ℃ 이하일 때에는, 흡수액 펌프(11)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에 공급하는 전력 주파수를 0 Hz, 상기 냉온수의 온도가 5.5 ℃ 이상일 때에는 규정된 최대 주파수, 예를 들어 60 Hz로 하고, 상기 냉온수의 온도가 4.5 ℃와 5.5 ℃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전동 모터에 부 여하는 전력 주파수는 상기 냉온수의 온도에 비례하는 것으로서 전력 주파수를 선택하여, 그와 같이 하여 회전이 제어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100)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14 내지 17)를 개방하고 가스 버너(1A)에서 천연 가스 등을 연소시켜 고온 재생기(1) 내의 흡수액을 가열하여 비등시키면, 흡수액으로부터 증발 분리되어 냉매관(24, 25)을 경유하여 흡수기(7)로 유입하고, 또한 증발기(6)로 들어간 냉매 증기가 전열관(6A)의 관벽에 닿아 응축한다. 그리고, 전열관(6A) 내부를 흐르고 있는 물이 주로 냉매의 응축열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그 가열된 물을 부하에 순환 공급함으로써 난방 등의 가열 운전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흡수기(7)로 냉매를 흡수하여 농도가 저하된 희박 흡수액을, 우선 배출 열 재생기(3)로 반송하여 농축하고, 그 농축된 흡수액을 저온 재생기(2)로 반송하여 농축하고, 마지막으로 고온 재생기(1)로 반송하여 농축하도록 흡수액관을 배관해도 좋고, 흡수기(7)로 냉매를 흡수하여 농도가 저하된 희박 흡수액을, 고온 재생기(1)와 배출 열 재생기(3)로 분기하여 반송하고, 고온 재생기(1)와 배출 열 재생기(3)에서 농축된 흡수액을 저온 재생기(2)로 반송하여 농축하도록 흡수액관이 배관되어도 좋다.
또한, 개폐 밸브(17)가 개재되는 냉매관(29)은 도3에 도시한 흡수 냉동기(100X)와 같이, 즉 냉매 펌프(10)의 하류측과 흡수기(7)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고온 재생기(1)와 저온 재생기(2)를 구비하지 않고, 흡수액이 배출 열 재생기(3)와 흡수기(7)의 사이에서 순환하도록 구성된 흡수 냉동기라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는, 배출 열 재생기 내의 전열관으로의 배출된 열 유체의 공급량 삭감이 불가능해졌을 때에는 흡수액 펌프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여 흡수기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로의 흡수액의 반송량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냉각 부하가 작아 증발기에서 냉각하여 순환 공급하는 냉수의 온도가 이상하게 저하되었을 때에는, 배출 열 재생기의 중간 단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열관보다 흡수액의 액면이 낮아지도록 흡수액 펌프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여 흡수기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로의 흡수액의 반송량을 제한함으로써, 배출 열 재생기로의 배출된 열 유체에 의해 흡수액의 가열을 없애거나 삭감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배출 열 재생기에 있어서의 냉매 증기의 발생과 흡수액의 농축 재생이 없어지거나 적어지기 때문에, 증발기에서 냉각하여 공급하는 냉수의 온도가 이상하게 저하되는 일도, 흡수액이 결정화되는 일도 없어진다.

Claims (2)

  1.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가열하고, 냉매를 증발 분리하여 흡수액을 농축 재생하는 열원으로서, 다른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배출된 열 유체가 이용되는 배출 열 재생기를 구비한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 배출 열 재생기의 중간단 부분에 배출된 열 유체가 내부를 흐르는 전열관을 설치하는 동시에, 전열관의 상방에 흡수액 살포기를, 하방에 흡수액 토출구를 설치하고, 전열관 내부로의 배출된 열 유체의 공급량 삭감이 불가능해졌을 때에, 흡수액 펌프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여 흡수기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로의 흡수액의 반송량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냉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증발기에서 증발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증발기로부터 토출된 냉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저하되었을 때에, 제어 수단이 배출된 열 유체의 전열관 내부로의 공급량 삭감 조작 불능이라고 판단하여 흡수액 펌프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여 흡수기로부터 배출 열 재생기로의 흡수액의 반송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냉동기.
KR1020050005187A 2004-04-14 2005-01-20 흡수 냉동기 KR100585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8972 2004-04-14
JP2004118972A JP4315855B2 (ja) 2004-04-14 2004-04-14 吸収冷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113A KR20050101113A (ko) 2005-10-20
KR100585352B1 true KR100585352B1 (ko) 2006-06-02

Family

ID=3526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187A KR100585352B1 (ko) 2004-04-14 2005-01-20 흡수 냉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15855B2 (ko)
KR (1) KR100585352B1 (ko)
CN (1) CN1003421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6416B2 (ja) * 2006-03-28 2011-09-21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凍機
JP2007309617A (ja) * 2006-05-22 2007-11-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冷房システム
JP5384072B2 (ja) * 2008-09-30 2014-01-08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式冷温水機
US8978397B2 (en) * 2009-04-24 2015-03-17 Thermax Limited Absorption heat pump employing a high/low pressure evaporator/absorber unit a heat recovery un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594B2 (ja) * 1994-08-10 2000-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一重二重効用吸収式冷凍機
JP4079576B2 (ja) * 2000-06-05 2008-04-23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凍機
JP4553522B2 (ja) * 2001-07-19 2010-09-29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凍機
CN2536974Y (zh) * 2002-03-22 2003-02-19 大连三洋制冷有限公司 单双效结合烟气利用型吸收式制冷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113A (ko) 2005-10-20
JP2005300069A (ja) 2005-10-27
JP4315855B2 (ja) 2009-08-19
CN1683846A (zh) 2005-10-19
CN100342190C (zh)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6255B2 (ja)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の運転方法
KR100343845B1 (ko) 흡수식냉동기
JP6434730B2 (ja) 吸収式熱源機
KR100585352B1 (ko) 흡수 냉동기
KR101137582B1 (ko) 단일 및 이중 효과 흡수형 냉각기와 그 동작 제어 방법
JP5384072B2 (ja) 吸収式冷温水機
JP6814071B2 (ja) 廃熱利用吸収式冷凍システム及び吸収式冷凍機
KR101690303B1 (ko) 3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KR100585354B1 (ko) 흡수 냉동기
JP3883894B2 (ja) 吸収式冷凍機
KR20090103740A (ko) 흡수식 열펌프
JP3851204B2 (ja) 吸収式冷凍機
JPH09243197A (ja) 吸収冷温水機の冷却水温度制御装置
JP5456368B2 (ja) 吸収式冷凍機
JP4115020B2 (ja) 吸収式冷凍機の制御方法
JP2010007907A (ja) 空調システム
JP2006308151A (ja) 吸収冷温水機
JP4330522B2 (ja) 吸収式冷凍機の運転制御方法
KR200142462Y1 (ko) 흡수식 냉방기
JP3434279B2 (ja) 吸収冷凍機とその起動方法
JP2020204412A (ja) 吸収式冷凍機
JPH04313652A (ja) 吸収式冷凍機
JPH07248161A (ja) 吸収式冷暖給湯装置
JP2019190707A (ja) 吸収式冷凍機
JP2011033261A (ja) 吸収式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