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999B1 - 흡수식 냉동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999B1
KR100865999B1 KR1020070064949A KR20070064949A KR100865999B1 KR 100865999 B1 KR100865999 B1 KR 100865999B1 KR 1020070064949 A KR1020070064949 A KR 1020070064949A KR 20070064949 A KR20070064949 A KR 20070064949A KR 100865999 B1 KR100865999 B1 KR 10086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absorber
evaporator
pum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553A (ko
Inventor
슈우지 이시자끼
다까히로 고바야시
히데아끼 오아나
히또시 가누마
데쯔야 도꾸다
소오이찌 이시후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3Operating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6Reversible sorption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증발기 내에서의 냉온수의 동결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고온 재생기(1), 저온 재생기(2), 응축기(3), 증발기(4), 흡수기(5) 및 고온 열교환기(6), 저온 열교환기(7)가 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흡수기(5)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3)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 관로(11)가 형성되고, 증발기(4)의 내부를 통과하는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14)가 형성되고, 저온 재생기(2)로부터 흡수기(5)에 농흡수액을 공급하는 농흡수액 펌프(10)와, 흡수기(5)로부터 고온 재생기(1)에 희흡수액을 공급하는 희흡수액 펌프(8)와, 증발기(4)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4)의 냉매액 산포관(4a)에 공급하는 냉매액 펌프(13)와,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관로(11)에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12)가 설치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냉각수 펌프(12)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14)에 설치된 냉온수 펌프(15)를 연동 운전한다.
Figure R1020070064949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 {ABSORPTION TYPE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 재생기
2 : 저온 재생기
3 : 응축기
4 : 증발기
5 : 흡수기
6 : 고온 열교환기
7 : 저온 열교환기
8 : 희흡수액 펌프
9 : 버너
10 : 농흡수액 펌프
11 : 냉각수 관로
12 : 냉각수 펌프
13 : 냉매액 펌프
14 : 냉온수 관로
15 : 냉온수 펌프
16, 17, 18 : 개폐 밸브
19 :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
20 : 개폐 밸브
21 :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
22 : 개폐 밸브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99474호 공보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 중에 증발기의 내부에서 부하측의 냉온수가 동결하지 않도록 한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및 고온 열교환기, 저온 열교환기가 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관로의 요소에 농흡수액 펌프, 희흡수액 펌프, 냉매액 펌프 및 개폐 밸브 등을 설치함으로써, 흡수액계의 순환 관로와 냉매계의 순환 관로가 구성된다. 그리고, 증발기에 있어서의 냉매액의 증발열에 의해 부하측으로부터 복귀된 냉온수를 냉각하여 부하측에 공급함으로써 냉방 또는 냉동 작용을 얻도록 하고 있다. 또한, 냉방뿐만 아니라, 관로의 절환에 의해 난방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수액으로서는 통상 브롬화리튬 수용액이 이용되고, 냉매로서는 물이 이용된다.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 관로가 형성되고, 이 냉각수 관로에 냉각수를 유통시킴으로써, 흡수기의 내부에서는 농흡수액 산포관으로부터 산포되는 농흡수액을 냉각하여, 증발기로부터 흡수기에 유입되는 냉매 증기를 흡수하는 흡수 기능을 높이고, 응축기의 내부에서는 저온 재생기로부터 응축기에 유입되는 냉매 증기를 냉각하여, 냉매액에 응축시키는 응축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예를 들어 오피스 빌딩의 공조 장치나 업무용의 냉동기 등에 사용되지만, 냉각탑(쿨링 타워)은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운전 정지 중에 기온의 저하에 의해 냉각수관 내에서 냉각수가 동결하는 일이 있다. 냉각수의 동결이 발생하면, 그 후 운전을 재개했을 때에 냉각수의 유통이 악화되거나, 혹은 유통 불가로 되어 성능 저하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냉각수 관로의 균열이나 파열 등의 사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흡수식 냉동기를 사용하여 냉방 운전 가능하게 구성한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의 정지 중에 기온이 저하해도 냉각 수관 내에서 냉각수가 동결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외기의 영향을 받기 쉽고, 기온의 저하와 함께 온도가 저하하기 쉬운 냉각수관 내의 냉각수 온도가 저하하여 동결될 위험이 있을 때에는, 냉각수 펌프를 기동시켜, 비교적 열용량이 크고 외기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냉각탑 저류부에 있는 냉각수를 냉각수관에 공급함으로써, 냉각수관 내에서의 냉각수의 동결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의 흡수기와 응축기를 냉각하는 냉각수의 동결 방지에 관한 것이며, 부하측과 증발기와의 사이를 순환하는 냉온수의 동결 방지에 관한 것은 아니다. 이 냉온수의 동결 방지에 관해서는, 종래 어떠한 수단도 채용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에 대해 주의를 환기할 뿐이었다. 주의를 환기하는 것만으로는, 확실하게 냉온수의 동결을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특히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냉온수의 동결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은,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및 고온 열교환기, 저온 열교환기가 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 관로가 형성되고, 증발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가 형성되 고, 저온 재생기로부터 흡수기에 농흡수액(濃吸收液)을 공급하는 농흡수액 펌프와, 흡수기로부터 고온 재생기에 희흡수액(稀吸收液)을 공급하는 희흡수액 펌프와, 증발기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에 공급하는 냉매액 펌프와,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관로에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가 설치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에 설치된 냉온수 펌프를 연동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및 고온 열교환기, 저온 열교환기가 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 관로가 형성되고, 증발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가 형성되고, 저온 재생기로부터 흡수기에 농흡수액을 공급하는 농흡수액 펌프와, 흡수기로부터 고온 재생기에 희흡수액을 공급하는 희흡수액 펌프와, 증발기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에 공급하는 냉매액 펌프와,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관로에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가 설치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액 펌프에 의해 증발기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에 공급하는 관로의, 냉매액 펌프로부터 하류측과, 흡수기의 바닥부를 연결하는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고,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증발기 내의 냉매액의 일부를, 냉매액 펌프에 의해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를 통해 흡수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및 고온 열교환기, 저온 열교환기가 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 관로가 형성되고, 증발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가 형성되고, 저온 재생기로부터 흡수기에 농흡수액을 공급하는 농흡수액 펌프와, 흡수기로부터 고온 재생기에 희흡수액을 공급하는 희흡수액 펌프와, 증발기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에 공급하는 냉매액 펌프와,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관로에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가 설치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관로의 흡수기로부터 상류측과, 흡수기로부터 하류측을 연결하는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고,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각수의 일부를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에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흡수식 냉동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고온 재생기(1), 저온 재생기(2), 응축기(3), 증발기(4), 흡수기(5), 고온 열교환기(6), 저온 열교환기(7) 등이 관로에 의해 접속되고, 흡수액계의 순환로 및 냉매계의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
고온 재생기(1)에 있어서는, 흡수기(5)로부터 희흡수액 펌프(8)에 의해 관로(R1)를 통해 복귀된 희흡수액이 수용되어 있고, 이 희흡수액은 버너(9)에 의해 가열되어 희흡수액 중의 냉매액이 증기로 되어 증발하여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희흡수액은 중농(中濃) 흡수액으로 되어, 관로(R2)를 통해 저온 재생기(2)에 공급되지만, 도중에 고온 열교환기(6)를 통과할 때에 상기 관로(R1)를 흐르는 희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것에 의해 방열하여 저온 재생기(2)에 수용된다. 한편, 증발한 냉매 증기는 관로(R3)를 통해 응축기(3)에 공급되지만, 저온 재생기(2) 내를 통과할 때에 상기 저온 재생기(2)에 수용된 중농 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것에 의해 방열하여 기액 혼합액으로 되고, 또한 응축하여 냉매액으로 되어 응축기(3)의 바닥부에 수용된다.
저온 재생기(2)에 있어서는, 상기 고온 재생기(1)로부터 공급된 중농 흡수액이, 저온 재생기(2) 내를 통과하는 냉매 증기에 의해 가열되고, 중농 흡수액 중의 냉매액이 증기로 되어 증발하여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중농 흡수액은 농흡수액으로 되어, 농흡수액 펌프(10)에 의해 관로(R4)를 통해 흡수기(5)에 공급되지만, 도중에 저온 열교환기(7)를 통과할 때에 상기 고온 재생기(1)를 향해 관로(R1)를 흐르는 희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것에 의해 방열하여 흡수기(5)의 흡수액 산포관(5a)에 공급된다. 한편, 저온 재생기(2)에서 증발한 냉매 증기는 구획벽의 상부를 넘어 응축기(3)측에 유입된다.
응축기(3)에 있어서는, 상기 저온 재생기(2)로부터 유입된 냉매 증기가, 응축기(3) 내를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하고, 냉매액으로 되어 응축 기(3)의 바닥부에 고인다. 냉각수는, 냉각수 펌프(12)에 의해 냉각수 관로(11)를 통해 흡수기(5) 내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3) 내를 통과한다.
증발기(4)에 있어서는, 상기 응축기(3)의 바닥부에 고인 냉매액이 관로(R5)를 통해 공급되고, 냉매액 펌프(13)에 의해 관로(R6)를 통해 냉매액 산포관(4a)에 공급된다. 이 냉매액 산포관(4a)으로부터 산포된 냉매액은, 냉온수 펌프(15)에 의해 냉온수 관로(14)를 통해 증발기(4) 내를 통과하여 흐르는 냉온수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것에 의해 흡열하여 증발한다. 이 증발열에 의해 냉온수 관로(14)를 통해 흐르는 냉온수는 냉각되어, 증발기(4)로부터 냉동기 등의 부하(도시하지 않음)측에 공급된다. 부하측으로부터는 온도가 상승한 냉온수가 증발기(4)로 복귀되어 순환한다. 한편, 증발기(4)에서 증발한 냉매 증기는 구획 슬릿부를 통과하여 흡수기(5)측에 유입된다.
흡수기(5)에 있어서는, 상기 흡수액 산포관(5a)으로부터 산포된 농흡수액이, 상기 냉각수 관로(11)를 통해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고, 이 냉각된 농흡수액에 의해 냉매 증기가 흡수된다. 농흡수액의 농도가 높고 게다가 액온이 낮으면 냉매 증기를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한다. 그리고, 냉매 증기를 흡수한 농흡수액은 희흡수액으로 되어 흡수기(5)의 바닥부에 고인다. 상기 흡수기(5)의 바닥부에 고인 희흡수액은, 상기 희흡수액 펌프(8)에 의해 관로(R1)를 통해 고온 재생기(1)로 복귀되지만, 도중에 저온 열교환기(7)를 통과할 때에, 저온 재생기(2)로부터 흡수기(5)를 향해 흐르는 중온(中溫)의 농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가열되고, 계속하여 고온 열교환기(6)를 통과할 때에, 고온 재생기(1)로부터 저온 재생기(2) 를 향해 흐르는 고온의 중농 흡수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재가열된 후에 고온 재생기(1)로 복귀된다.
이것에 의해, 고온 재생기(1) → [관로(R2)] → 저온 재생기(2) → [관로(R4)] → 흡수기(5) → [관로(R1)] → 고온 재생기(1)로 순환하는 흡수액계의 순환 경로와, 고온 재생기(1) → [관로(R3)] → 응축기(3) → [관로(R5)] → 증발기(4) → [관로(R6)] → 증발기(4) → 흡수기(5) → [관로(R1)] → 고온 재생기(1)로 순환하는 냉매계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로(R3)로부터 분기되어 흡수기(5)에 접속된 관로(R7)에 설치된 개폐 밸브(16), 관로(R2)로부터 분기되어 흡수기(5)에 접속된 관로(R8)에 설치된 개폐 밸브(17), 및 관로(R6)로부터 분기되어 흡수기(5)의 바닥부에 접속된 관로(R9)에 설치된 개폐 밸브(18)를 모두 개방하고, 냉각수 펌프(12)를 기동하지 않고, 흡수기(5)와 응축기(3)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일없이, 버너(9)에 점화하여 고온 재생기(1)에서 희흡수액을 가열하면, 상기 고온 재생기(1)에서 생성한 냉매 증기는, 관로(R3)의 도중으로부터 유로 저항이 작은 관로(R7)를 통해 흡수기(5)에 공급된다. 그리고, 흡수기(5)에 공급된 냉매 증기는 증발기(4)측에 유입되고, 냉온수 관로(14)를 통해 증발기(4)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온수와 열교환하여 응축하고, 이때의 응축열에 의해 냉온수를 가열한다. 이 가열된 냉온수를 부하측에 공급함으로써 난방 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냉방 또는 냉동 모드 운전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 밸브(16, 17, 18)는 모두 폐쇄해 둔다. 또한, 개폐 밸브(16, 17, 18)는 모두 제어 장치(도면 생략)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전자기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난방 모드 운전에 있어서, 증발기(4)에서 응축한 냉매액은 상기 증발기(4)의 바닥부에 고이고, 냉매액 펌프(13)에 의해 관로(R6)를 흐르는 도중에 유로 저항이 작은 관로(R9)를 통해 흡수기(5)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재생기(1)에서 생성된 중농 흡수액이, 관로(R2)의 도중으로부터 유로 저항이 작은 관로(R8)를 통해 흡수기(5)에 공급되고, 상기 흡수기(5) 내에서 관로(R9)를 통해 공급되는 냉매액과 혼합되고, 희흡수액으로 되어 희흡수액 펌프(8)에 의해 관로(R1)를 통해 고온 재생기(1)로 복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방 또는 냉동 모드 운전을 행하는 경우이며, 겨울철에 있어서의 외기온의 저하에 의해, 운전 정지 중에 증발기(4)의 내부에서 냉온수가 동결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을 정지해도, 상기 냉각수 펌프(12)는 운전을 계속하여 냉각수를, 도시를 생략한 냉각탑에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탑은 통상 옥외에 설치되고, 특히 오피스 빌딩 등의 경우에는 옥상에 설치되는 일이 많다. 이로 인해, 외기온의 영향을 받기 쉽고,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정지에 수반하여 냉각수의 순환이 정지되면, 냉각수관 내에서 냉각수의 동결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정지 중이라도, 냉각수 펌프(12)를 운전함으로써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12)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14)에 설치된 냉온수 펌프(15)를 연동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정지 후에, 냉각수 펌프(12)를 운전하여 냉각수를 냉각탑에 순환시키면, 이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관로(11)를 통해 흡수기(5)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흡수기(5)를 냉각시킨다.
냉각수에 의해 흡수기(5) 내가 냉각되면, 상기 흡수기(5)와 일체로 되어 있는 증발기(4) 내가 냉각되고, 상기 냉온수 관로(14)를 통해 냉온수가 증발기(4) 내에 체류하고 있으면 과도하게 냉각되고, 냉각수의 동결을 초래하는 것이 된다. 이 냉온수의 동결은, 증발기(4) 내의 영역 부분에 멈추지 않고 냉온수 관로(14)의 광범위 영역에 미치는 일이 있어, 흡수식 냉동기의 재운전시에 흐름이 저해되어 열매체로서의 기능이 저하하는 것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회피한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스텝 S1에서 운전 신호가 오프가 되면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이 정지한다. 운전 신호가 온인 경우에는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이 속행된다.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신호가 오프가 되면, 스텝 S2에서 냉각수 펌프 인터로크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신호가 온인 경우에는 냉각수 펌프(12)가 단독 기동하는 동시에, 부하측의 냉온수 펌프(15)의 기동 신호가 온으로 되어 연동 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냉각수 펌프 인터로크 신호가 온인 동안, 냉온수 펌프(15)는 연동 운전을 계속한다. 냉각수 펌프 인터로크 신호가 오프가 되면, 냉각수 펌프(12)가 기동 정지하는 동시에 냉온수 펌프(15)의 기동 신호도 오프로 되어 정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12)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냉온수 펌프(15)를 냉각수 펌프(12)에 연동시켜 운전하므 로 냉온수 관로(14)의 냉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냉온수 관로(14)를 통해 냉온수가 증발기(4)의 내부에 체류하는 일은 없어, 냉각수의 영향에 의한 냉온수의 과도한 냉각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 정지 중에 있어서의 냉온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냉매액 펌프(13)에 의해 증발기(4)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4)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4a)에 공급하는 관로(R6)의, 냉매액 펌프(13)로부터 하류측과, 흡수기(5)의 바닥부를 연결하는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19)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19)에 개폐 밸브(20)를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19)는, 상기 관로(R9)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R9)에 있어서의 상기 개폐 밸브(18)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밸브(20)로서는, 전자기 밸브나 자동 플로우 밸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12)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20)를 개방하여 증발기(4) 내의 냉매액의 일부를, 냉매액 펌프(13)에 의해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19)를 통해 흡수기(5)에 공급한다. 이때, 관로(R9)의 개폐 밸브(18)는 폐쇄하고 있다.
증발기(4)의 바닥부에는 냉매액이 체류하고 있고, 운전 정지 후에, 대략 진공에 가까운 증발기(4) 내에서 냉매액으로부터 자기 증발(自己蒸發)이 발생한다. 자기 증발한 냉매 증기는 흡수기(5)측으로 유입되어, 흡수기(5)의 바닥부에 체류하고 있는 희흡수액에 흡수되지만, 자기 증발할 때의 증발열에 의해 냉온수 관로(14)를 통해 증발기(4) 내에 체류하고 있는 냉온수를 냉각한다. 냉온수가 과도하게 냉각되면, 증발기(4)의 내부에서 동결해 버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회피한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스텝 S1에서 운전 신호가 오프가 되면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이 정지한다. 운전 신호가 온인 경우에는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이 속행된다.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신호가 오프가 되면, 스텝 S2에서 냉각수 펌프 인터로크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신호가 온인 경우에는, 냉각수 펌프(12)가 단독 기동하는 동시에 냉매액 펌프(13)가 기동하고, 개폐 밸브(20)가 5분간 개방한다. 그 직후에 개폐 밸브(20)는 폐쇄하고, 냉매액 펌프(13)가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개폐 밸브(20)가 일정 시간(예를 들어 5분간) 개방하고 있는 동안에, 냉매액 펌프(13)에 의해 증발기(4) 내의 바닥부에 고여 있는 냉매액의 일부를, 관로(R6)에 의해 유로 저항이 작은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19)를 통해 흡수기(5)의 바닥부 내에 공급한다. 한편, 냉각수 펌프 인터로크 신호가 오프가 되면, 냉각수 펌프(12)가 정지하는 동시에 냉온수 펌프(15)의 기동 신호도 오프가 되어 정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정지시에, 냉각수 펌프(12)가 단 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20)를 개방하여 증발기(4) 내의 냉매액의 일부를, 냉매액 펌프(13)에 의해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19)를 통해 흡수기(5)에 소정량 공급하므로, 흡수기(5) 내의 희흡수액의 농도가 저하한다. 이로 인해, 증발기(4) 내에서 자기 증발하는 냉매 증기에 대한 흡수 능력이 저하하고, 흡수기(5) 내의 압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냉매액의 자기 증발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자기 증발하는 냉매 증기량이 감소하면, 증발기(4) 내에서의 냉온수의 과도한 냉각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 정지 중에 있어서의 냉온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냉각수 관로(11)의 흡수기(5)로부터 상류측과, 흡수기(5)로부터 하류측을 연결하는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21)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21)에 개폐 밸브(22)를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식 냉동기의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12)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22)를 개방하여 냉각수의 일부를, 냉각수 펌프(12)에 의해 유로 저항이 작은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21)를 통해 유통시킨다. 이로 인해, 냉각수 관로(11)를 통해 흡수기(5)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증발기(4)의 내부에서 냉온수가 과도하게 냉각되 는 것을 억제하여, 냉온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식 냉동기의 통상 운전시에는 개폐 밸브(22)를 폐쇄해 둔다.
본 발명은, 특히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적용할 수 있고, 운전 정지시에,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증발기의 내부에서의 부하측의 냉온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에 설치된 냉온수 펌프를 연동 운전함으로써, 증발기 내에서 냉온수가 정체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의 영향에 의해 증발기의 내부에서 냉온수가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냉온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매액의 일부를 냉매액 펌프에 의해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를 통해 흡수기에 공급함으로써, 흡수기 내의 희흡수액의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희흡수액이 옅어져 냉매 증기를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함으로써, 증발기측으로부터의 냉매액의 자기 증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증발열에 의한 냉온수의 냉각을 낮게 억제하여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이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각수의 일부 또는 전체를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에 유통시키는 것에 의해,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영향에 의해, 증발기의 내부에서 냉온수가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냉온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및 고온 열교환기, 저온 열교환기가 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 관로가 형성되고, 증발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가 형성되고, 저온 재생기로부터 흡수기에 농흡수액을 공급하는 농흡수액 펌프와, 흡수기로부터 고온 재생기에 희흡수액을 공급하는 희흡수액 펌프와, 증발기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에 공급하는 냉매액 펌프와,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관로에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가 설치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에 설치된 냉온수 펌프를 연동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2.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및 고온 열교환기, 저온 열교환기가 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 관로가 형성되고, 증발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가 형성되고, 저온 재생기로부터 흡수기에 농흡수액을 공급하는 농흡수액 펌프와, 흡수기로부터 고온 재생기에 희흡수액을 공급하는 희흡수액 펌프와, 증발기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에 공급하는 냉매액 펌프와,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관로에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가 설치 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액 펌프에 의해 증발기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에 공급하는 관로의, 냉매액 펌프로부터 하류측과, 흡수기의 바닥부를 연결하는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고,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증발기 내의 냉매액의 일부를, 냉매액 펌프에 의해 냉매액 바이패스 관로를 통해 흡수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3.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및 고온 열교환기, 저온 열교환기가 관로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흡수기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응축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 관로가 형성되고, 증발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부하측의 냉온수 관로가 형성되고, 저온 재생기로부터 흡수기에 농흡수액을 공급하는 농흡수액 펌프와, 흡수기로부터 고온 재생기에 희흡수액을 공급하는 희흡수액 펌프와, 증발기의 바닥부에 저류한 냉매액을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형성된 냉매액 산포관에 공급하는 냉매액 펌프와,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관로에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가 설치된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관로의 흡수기로부터 상류측과, 흡수기로부터 하류측을 연결하는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고, 운전 정지시에, 상기 냉각수 펌프가 단독 기동한 경우에,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냉각수의 일부를 냉각수 바이패스 관로에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KR1020070064949A 2006-11-07 2007-06-29 흡수식 냉동기 KR100865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1626 2006-11-07
JP2006301626A JP2008116173A (ja) 2006-11-07 2006-11-07 吸収式冷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553A KR20080041553A (ko) 2008-05-13
KR100865999B1 true KR100865999B1 (ko) 2008-10-29

Family

ID=3940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949A KR100865999B1 (ko) 2006-11-07 2007-06-29 흡수식 냉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116173A (ko)
KR (1) KR100865999B1 (ko)
CN (2) CN1016725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508A (ja) * 2010-05-27 2011-12-08 Sanyo Electric Co Ltd 排ガス式吸収冷温水機の運転制御方法
JP2012077950A (ja) * 2010-09-30 2012-04-19 Sanyo Electric Co Ltd 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式冷凍機
JP5570969B2 (ja) * 2010-12-27 2014-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排ガス熱回収器及び吸収式冷凍機
KR101392707B1 (ko) 2013-04-17 2014-05-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수식 냉난방기
CN106482381B (zh) * 2016-11-14 2019-06-07 双良节能系统股份有限公司 带蒸汽直接供热的蒸汽型第一类溴化锂吸收式热泵机组
JP7439522B2 (ja) * 2020-01-14 2024-02-28 株式会社アイシン 車載用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2023019576A (ja) * 2021-07-29 2023-02-09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650B1 (ko) 2002-03-26 2005-10-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5913B2 (ja) * 1989-02-14 1998-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凍機
CN1068669C (zh) * 1992-09-05 2001-07-18 三洋电机株式会社 单、双效应吸收型致冷器
US5619859A (en) * 1993-12-27 1997-04-15 Daikin Industries, Ltd. Absorption refrigeration unit
JPH09101065A (ja) * 1995-10-02 1997-04-15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設備の制御方法
KR0177718B1 (ko) * 1996-03-26 1999-04-15 구자홍 암모니아 흡수식 냉난방기
JP2001012820A (ja) * 1999-06-29 2001-01-19 Hitachi Ltd 吸収冷温水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1099474A (ja) * 1999-09-29 2001-04-13 Sanyo Electric Co Ltd 空調装置
JP2002013834A (ja) * 2000-06-30 2002-01-18 Ebara Corp 吸収冷温水機
CN1312449C (zh) * 2003-07-23 2007-04-25 张跃 一种吸收式空调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650B1 (ko) 2002-03-26 2005-10-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8271A (zh) 2008-05-14
JP2008116173A (ja) 2008-05-22
CN101672547A (zh) 2010-03-17
CN100549564C (zh) 2009-10-14
KR20080041553A (ko) 2008-05-13
CN101672547B (zh)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999B1 (ko) 흡수식 냉동기
RU248068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размораживания горячим паром
KR100337209B1 (ko) 흡수식냉동장치의운전정지방법
JP5098547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2010078298A (ja) 吸収式冷凍機
JP7122538B2 (ja) 吸収式冷凍機
US11703266B2 (en) Cool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
JP2001099474A (ja) 空調装置
JP2011220675A (ja) 吸収式冷凍機
JP2011202948A (ja) 吸収式冷凍機
JP2008116172A (ja) 吸収式冷凍機
KR20180085363A (ko)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의 저부하 제어시스템
KR100542461B1 (ko) 흡수식 냉동기
JP2011047522A (ja) 吸収式冷凍機
JP6605975B2 (ja) 吸収式冷凍機
JP5181054B2 (ja) 吸収式冷凍機
JP3143251B2 (ja) 吸収式冷凍機
KR100513682B1 (ko) Ghp방식 공기조화기
JP4115020B2 (ja) 吸収式冷凍機の制御方法
JP2020046128A (ja) 吸収式冷凍機
JP3133538B2 (ja) 吸収式冷凍機
JP3735744B2 (ja) 吸収式冷暖房装置の冷房運転制御方法
JPH06249538A (ja) 吸収冷凍機
JP2009097811A (ja) 吸収式冷凍装置
JP2018077013A (ja) 吸収式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