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915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915B1
KR100518915B1 KR10-1999-0057358A KR19990057358A KR100518915B1 KR 100518915 B1 KR100518915 B1 KR 100518915B1 KR 19990057358 A KR19990057358 A KR 19990057358A KR 100518915 B1 KR100518915 B1 KR 10051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frame
drive
direction drive
driv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492A (ko
Inventor
아이쿄킨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ublication of KR2001003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구동틀을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재봉기(1)는 재봉기(1)의 테이블(3)상에 적치되는 구동틀(11)과, 이 구동틀(11)을 재봉기(1)의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동시에 재봉기(1)의 좌우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최소한 2개의 Y방향 구동기구(8)를 갖춘 재봉기에 있어서, 테이블(3) 위에 가설된 위프레임(4)(5)을 갖추며, 모든 Y방향 구동기구(8)는 위프레임(4)(5)에 마련된 재봉기(1)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레일(17)과, 이 레일(17)에 재봉기(1)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구동틀(11)에 연결된 가동부(18)와, 이 가동부(18)를 재봉기(1)의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19)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가공천을 장설(張設)하여 고정하는 구동틀을 재봉기의 테이블상에 있어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Y방향 구동기구를 갖춘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Y방향 구동기구를 갖춘 재봉기(5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재봉기(50)는 통형상의 가공천과 평면형상의 가공천의 양쪽의 봉제에 대응한 것으로서 X방향(재봉기(50)의 좌우방향)으로 뻗는 대략 수평으로 지지된 밑프레임(51)과, 이 밑프레임(51)에 대략 수평으로 지지된 테이블(52)과, 이 테이블(52)의 위쪽에 밑프레임(51)과 평행하게 가설된 위프레임(53)과, 이 위프레임(3)의 앞면에 X방향으로 병렬배치된 한쌍의 재봉기헤드(54)와, 윗면이 테이블(52)의 윗면과 대략 일면이 되도록 각 재봉기헤드(54)에 대응하여 밑프레임(51)에 병렬배치된 한쌍의 베드(55)와, 테이블(52)상에 적치된 구동틀(56)과, 이 구동틀(56)을 테이블(52)상에 있어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Y방향 구동기구(57)와, 마찬가지로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구동기구(58)를 갖추고 있다.
베드(55)는 밑프레임에 지지된 베이스부(55a)와, 이 베이스부(55a)에서 앞쪽으로 뻗는 통부(55b)를 갖추고 있다. 테이블(52)은 재봉기(50)의 뒤쪽에서 좌우의 측부에 걸쳐 배치된 고정부(52a)와, 이 고정부(52a)의 앞측의 오목부에 배치된 승강부(52b)로 이루어진다. 승강부(52b)는 베드(55)에서 밑쪽으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되고 승강부(52b)를 상승시킨 상태 및 하강시킨 상태에서 각각 평면형상의 가공천 및 통형상의 가공천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Y방향 구동기구(57)는 승강하는 테이블(2)의 승강부(52b)에 간섭하지 않도록 각각 승강부(52b)의 좌우측에서 고정부(52a)의 하측에 마련된다. 양 Y방향 구동기구(57)는 테이블(52)에 관설(貫設)된 Y방향으로 뻗는 슬릿(52c)을 통해 재봉기(50)의 좌우방향으로 뻗는 구동틀(56)의 기부(59)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기부(59)는 구동틀(56)의 틀부(60)를 재봉기(50)의 좌우방향으로 구동하는 X방향 구동기구(58)를 내장하고 있다.
그러나 재봉기헤드(54)의 수를 많게 하면 양 Y방향 구동기구(57)의 간격이 넓어지고 Y방향 구동기구(57)를 작동시켰을 때 구동틀(56)의 기부(59)의 중앙부(59a)가 잘 휘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구동틀(56)을 Y방향으로 구동하면 기부(59)의 중앙부(59a)가 크게 진동하여 구동틀(56)의 위치결정의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구동틀을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재봉기는 재봉기의 테이블상에 적치되는 구동틀과, 이 구동틀을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동시에 재봉기의 좌우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2개의 Y방향 구동기구를 갖춘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위에 가설된 위프레임을 갖추며 모든 상기 Y방향 구동기구는 상기 위프레임에 마련되어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레일과, 이 레일에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틀에 연결된 가동부와, 이 가동부를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추고 있다.
상기 재봉기로서는 상기 Y방향 구동기구를 2개 갖추고, 이 각 Y방향 구동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구동틀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된(즉 이 각 Y방향 구동기구는 각각 재봉기의 좌우방향에 있어 상기 구동틀의 내측에 배치된) 양태를 예시할 수 있다.
또 Y방향 구동기구는 재봉기 뒤쪽으로의 상기 구동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Y방향 구동기구의 후단부가 상기 테이블에서 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양태를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재봉기로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Y방향 구동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구동틀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재봉기 뒤쪽으로의 상기 구동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Y방향 구동기구의 후단부가 상기 테이블로부터 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양태를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재봉기로서는 상기 Y방향 구동기구를 2개 갖추고, 상기 테이블은 베드앞쪽의 앞측부가 하강가능하게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각 Y방향 구동기구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베드 앞측부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된 양태를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테이블은 베드앞쪽의 앞측부가 하강가능하게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최소한 하나의 상기 Y방향 구동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베드의 앞측부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재봉기 뒤쪽으로의 상기 구동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Y방향 구동기구의 후단부가 상기 테이블로부터 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양태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Y방향 구동기구의 후단부가 테이블로부터 뜬 상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Y방향 구동기구의 후단부와, 상기 테이블 또는 이 테이블의 윗면에서 하측의 재봉기프레임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Y방향 구동기구를 배치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동틀 전체의 휘는 양을 될 수 있는 한 작게할 수 있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한 제 1실시예의 재봉기(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재봉기(1)는 통형상의 가공천과 평면형상의 가공천의 양쪽 봉제에 대응한 것으로 바닥면에 서있는 좌우 한쌍의 지지기둥(15)과, 이 양 지지기둥(15)에 대략 수평으로 지지된 X방향(재봉기(1)의 좌우방향)으로 뻗는 밑프레임(2)과, 이 밑프레임(2)에 대략 수평으로 지지된 테이블(3)과, 테이블(3)의 위쪽에 밑프레임(2)과 평행하게 양 지지기둥(15)에 가설된 제 1위프레임(4)과, 이 제 1위프레임(4)의 뒤쪽에 양 지지기둥(15)에 가설된 제 2위프레임(5)과, 이 제 1위프레임(4)의 앞면에 X방향으로 병렬배치된 4개의 재봉기헤드(6)와, 윗면이 테이블(3)의 윗면과 대략 일면이 되도록 각 재봉기헤드(6)에 대응하여 밑프레임(2)에 병렬 배치된 4개의 베드(7)와, 제 1위프레임(4) 및 제 2위프레임(5) 밑면에 간격을 두고 병렬배치된 Y방향(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좌우한쌍의 Y방향 구동기구(8)와, 테이블(3)위에 적치되어 이 양 Y방향 구동기구(8)에 연결된 구동틀(11)의 기부(9)와, 이 기부(9)에 내장된 X방향 구동기구(10)와, 이 X방향 구동기구(10)에 연결된 구동틀(11)의 틀부(14)로 이루어진다. 틀부(14)는 X방향 구동기구(10)에 연결된 X방향으로 뻗는 틀고정체 본체(12)와, 이 틀고정체 본체(12)로부터 재봉기(1)의 앞쪽 또는 각 베드(7)의 옆쪽에 돌설된 틀고정체 암부(12a)와, 각 재봉기헤드(6)에 대응하여 이 틀고정체 암부(12a)에 고정된 봉제틀(13)을 갖추고 있다.
베드(7)는 밑프레임(2)에 지지된 베이스부(7a)와, 이 베이스부(7a)로부터 앞쪽으로 뻗는 통부(7b)를 갖추고 있다. 테이블(3)은 베드(7)의 베이스부(7a)의 옆쪽에서 재봉기(1)의 뒤쪽에 배치된 고정부(3a)와, 이 고정부(3a)의 앞쪽에 배치된 앞측부로서의 승강부(3b)로 이루어진다. 승강부(3b)는 베드(7)에서 밑쪽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고, 승강부(3b)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테이블(3)의 고정부(3a) 및 승강부(3b)와 베드(7)의 윗면이 대략 일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평면형상의 가공천을 가공한다. 또 승강부(3b)를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베드(7)의 통부(7b)가 노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통형상의 가공천을 가공한다.
한쌍의 Y방향 구동기구(8)는 평면에서 보아 구동틀(11)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된다(즉 한쌍의 Y방향 구동기구(8)는 각각 X방향에 있어 구동틀(11)의 내측에 배치된다). 각 Y방향 구동기구(8)는 제 1위프레임(4) 및 제 2위프레임(5)의 밑면에 부착된 Y방향으로 뻗는 레일토대(16)와, 이 레일토대(16) 밑벽(16a)의 밑면에 배치된 Y방향으로 뻗는 레일(17)과, 이 레일(17)에 Y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마련된 가동부(18)와, 이 가동부(18)를 Y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19)를 갖추고 있다. 구동부(19)는 레일토대(16)의 전후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도록 마련된 피동풀리(20) 및 구동풀리(21)와, 레일토대(16) 밑벽(16a)의 상측을 경유하여 한쌍의 풀리(20)(21)에 걸려서 감김과 동시에 가동부(18)의 전후에 연결된 구동벨트(2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양 Y방향 구동기구(8)의 구동풀리(21)에는 구동축(35)을 통해 구동모터(23)의 회전축(23a)이 연결된다. 구동모터(23)는 브라켓(25)을 통해 제 2위프레임(5)이 뒷면에 부착된다. 가동부(18)는 중공파이프형상의 연결부재(24)를 통해 구동틀(11)의 기부(9)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Y방향 구동기구(8)는 재봉기 뒤쪽으로의 구동틀(11)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Y방향 구동기구(8)의 후단부(8a)가 테이블(3)로부터 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구동틀(11)의 기부(9)는 중공의 사각의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X방향 구동기구(10)가 내장된다.
X방향 구동기구(10)는 구동틀(11)의 기부(9)에 대해 구동틀(11)의 틀부(14)를 X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것으로 기부(9)의 밑벽(9a)의 윗면에 배치된 X방향으로 뻗는 레일(26)과, 이 레일(26)에 X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가동부(27)와, 이 가동부(27)를 X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28)를 갖추고 있다. 구동부(28)는 레일(26)의 좌우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도록 마련된 피동풀리(29) 및 구동풀리(30)와, 양 풀리(29)(30)에 걸려 감겨진 구동벨트(31)를 갖추고 있다. 구동벨트(31)는 한쌍의 가동부(27)에 연결된다. 구동풀리(30)는 구동모터(32)에 연결된다. 각 가동부(27)는 틀고정체 본체(12)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재봉기(1)에 의하면 모든 Y방향 구동기구(8)를 테이블(3)의 위쪽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보아 테이블(3) 승강부(3b)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즉 X방향에 있어 내측)에 Y방향 구동기구(8)를 배치해도 그것이 승강부(3b)의 승강에 간섭하는 경우는 일체없다. 따라서 예를들어 구동틀(11)의 기부(9) 전체의 휨을 극소화하는 최적인 위치에 Y방향 구동기구(8)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구동틀(11)을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다.
이와같이 Y방향 구동기구(8)를 테이블(3)의 위쪽에 마련했기 때문에 평면에서 보아 테이블(3)의 승강부(3b) 또는 구동틀(11)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즉 X방향에 있어 내측)에 Y방향 구동기구(8)를 배치할 수 있다. 각 Y방향 구동기구(57)를 각각 승강부(52b)의 좌우측에 있어 고정부(52a)의 하측에 마련한 종래의 재봉기(50)보다도 재봉기(1)의 X방향의 폭을 좁게할 수 있음으로써 재봉기(1)의 점유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또 Y방향 구동기구(8)는 재봉기 뒤쪽으로의 구동틀(11)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Y방향 구동기구(8)의 후단부(8a)가 테이블(3)로부터 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예를들어 후단부(8a)와 밑프레임(2)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했을 때는 (1)구동틀(11)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제한된다는 문제나 (2)구동틀(11)의 뒤쪽으로의 이동범위를 크게 확보하려고 하면 상기 연결부재를 그 만큼 뒤쪽으로 뻗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재봉기(1)의 Y방향의 폭이 넓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들 문제가 일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재봉기(1)의 Y방향의 폭을 넓게 하지 않아 구동틀(11) 기부(9)의 뒤쪽으로의 이동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는 제 2실시예의 재봉기(40)를 도시하고 있고 이 재봉기(40)는 Y방향 구동기구(8)를 재봉기(40)의 X방향의 중앙에 하나 더 추가한 점만 제 1실시예와 다르다. 제 1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 이 추가에 의해 구동틀(11) 기부(9)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서의 휨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이 추가에 따라 좌우단측의 Y방향 구동기구(8)를 기부(9)의 좌우단측 근처에 배치하고, 기부(9)의 단부에서의 휨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구동틀(11) 기부(9) 전체의 휨을 제 1실시예 보다도 저감할 수 있음으로써 구동틀(11)을 보다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Y방향 구동기구(8)의 기본적 구조를 같게 하고 있기 때문에 Y방향 구동기구(8)의 동작의 불균일을 적게할 수 있음으로써 구동틀(11)을 보다 더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은 제 3실시예의 재봉기(42)를 나타내고 있고 이 재봉기(42)는 다음 사항에 대해서만 제 1실시예와 다르다. 이 때문에 제 1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23)는 제 2위프레임(5)의 좌측단부의 밑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구동모터(23)의 회전축(23a) 및 구동축(35)에 각각 부착된 풀리(43)(44)와, 이 양 풀리(43)(44)에 걸려 감겨진 벨트(45)로 이루어지는 벨트전동기구에 의해 구동모터(23)의 회전축(23a)의 회전력이 구동축(35)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 구동모터(23)를 제 2위프레임(5)의 밑면에 부착함으로써 구동모터(23)가 제 2위프레임(5)의 뒤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Y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재봉기(42)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은 제 4실시예의 재봉기(48)를 나타내고 있고, 이 재봉기(48)는 구동모터(23)의 부착위치를 제 2위프레임(5)의 길이방향에 있어 중앙의 밑면으로 함과 동시에 제 3실시에와 같은 벨트전동기구에 의해 구동모터(23)의 회전축(23a)의 회전력을 구동축(35)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점에 있어서만 제 2실시예와 다르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 제 3실시예와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1) Y방향 구동기구(8)를 4개 이상 마련할 것.
(2) X방향 구동기구(10)를 테이블(3)의 하측에 마련하고, 테이블(3)에 X방향으로 뻗는 슬릿을 관설하며, 이 슬릿을 통해 X방향 구동기구(10)를 구동틀(11)의 틀부(14)에 연결함과 동시에 구동틀(11)의 기부(9)에는 X방향으로 상대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구동틀(11)의 틀부(14)를 마련할 것.
(3) 각 실시예에 있어서 베드(7) 앞쪽의 테이블(3)의 앞측부(3b)가 하강가능하도록 구성된 양태를 대신하여 이 앞측부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 양태로 할 것.
(4) 각 실시예에 있어 틀고정체 본체(12)로부터 틀고정체 암부(12a)를 떼어냄과 동시에 각 베드(7)마다 봉제틀(13)을 대신하여 여러개의 베드(7)에 대해 가공천을 고정하는 직사각형 틀형상의 봉제틀을 부착하여 사용할 것.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2 및 5의 발명에 관한 재봉기에 의하면 구동틀을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효과에 덧붙여 청구항 3, 4 및 6의 발명에 관한 재봉기에 의하면 재봉기의 전후방향의 폭을 넓게하지 않고 구동틀의 뒤쪽으로의 이동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실시예의 재봉기를 도시하는 평단면도로서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2실시예의 재봉기의 평단면도로서 도 1과 같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3실시예의 재봉기의 평단면도서 도 6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4실시예의 재봉기의 평단면도로서 도 1과 같은 도면.
도 8은 종래의 재봉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재봉기 3: 테이블
4: 제 1위프레임 5: 제 2위프레임
8: Y방향 구동기구 11: 구동틀
17: 레일 18: 가동부
19: 구동부 40: 재봉기
42: 재봉기 48: 재봉기

Claims (6)

  1. 재봉기의 테이블상에 적치되는 구동틀과, 이 구동틀을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동시에 재봉기의 좌우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2개의 Y방향 구동기구를 갖춘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상에 가설된 위프레임을 갖추고,
    모든 상기 Y방향 구동기구는 상기 위프레임에 마련되어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레일과, 이 레일에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틀에 연결된 가동부와, 이 가동부를 재봉기의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Y방향 구동기구를 2개 갖추고, 이 각 Y방향 구동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구동틀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Y방향 구동기구는 재봉기 뒤쪽으로의 상기 구동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Y방향 구동기구의 후단부가 상기 테이블에서 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Y방향 구동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구동틀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재봉기 뒤쪽으로의 상기 구동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Y방향 구동기구의 후단부가 상기 테이블로부터 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Y방향 구동기구를 2개 갖추고,
    상기 테이블은 베드앞쪽의 앞측부가 하강가능하게 또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각 Y방향 구동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베드의 앞측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베드앞쪽의 앞측부가 하강가능하게 또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Y방향 구동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베드의 앞측부의 좌우양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재봉기 뒤쪽으로의 상기 구동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Y방향 구동기구의 후단부가 상기 테이블에서 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1999-0057358A 1999-10-07 1999-12-14 재봉기 KR100518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87427 1999-10-07
JP28742799 1999-10-07
JP99-326568 1999-11-17
JP32656899 1999-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492A KR20010039492A (ko) 2001-05-15
KR100518915B1 true KR100518915B1 (ko) 2005-10-06

Family

ID=2655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358A KR100518915B1 (ko) 1999-10-07 1999-12-14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25008B1 (ko)
KR (1) KR100518915B1 (ko)
DE (1) DE1001652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737A (ja) * 2003-08-05 2006-12-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0550B2 (ja) * 1990-05-08 1998-07-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JP2840030B2 (ja) * 1994-07-19 1998-12-24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被縫製物移動装置
TW330218B (en) * 1995-10-09 1998-04-21 Tokai Kogyo Sewing Sewing machine
JP3448156B2 (ja) * 1996-05-11 2003-09-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16528A1 (de) 2001-04-12
US6325008B1 (en) 2001-12-04
KR20010039492A (ko) 2001-05-15
DE10016528B4 (de)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978B1 (ko) 3차원 잉크젯 프린터
KR100518915B1 (ko) 재봉기
KR100399253B1 (ko) 미싱
KR101848990B1 (ko) 프린팅 장치
KR100679776B1 (ko) 미싱틀 구동장치
KR100523711B1 (ko) 카울크로스바 가공용 지그의 회전장치
JP2013153058A (ja) 実装ヘッドおよびそれを備える部品実装装置
KR100485019B1 (ko)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장치
JP4577934B2 (ja) ミシン
JP4919558B2 (ja) ミシンの枠駆動機構
JP4066707B2 (ja) ミシン
KR100960331B1 (ko) 스크린 인쇄 장치
JPH07164198A (ja) ダイイングマシン
US20080229939A1 (en) Tandem Press Apparatus
CN212766939U (zh) 一种顶部护角机横向传动机构
KR100969886B1 (ko) 스크린 인쇄 장치
CN220548113U (zh) 一种磨床的磨头结构
JP2002210285A (ja) ミシン
JP6516363B2 (ja) 印刷装置
CN218749944U (zh) 一种uv双向打印刚性结构和打印机
JP2000355868A (ja)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JPH09176957A (ja) ミシン
JP2001030129A (ja) 工作機械
CN1576431A (zh) 缝纫机
JPH1076330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テーブ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