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253B1 -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253B1
KR100399253B1 KR1019960044686A KR19960044686A KR100399253B1 KR 100399253 B1 KR100399253 B1 KR 100399253B1 KR 1019960044686 A KR1019960044686 A KR 1019960044686A KR 19960044686 A KR19960044686 A KR 19960044686A KR 100399253 B1 KR100399253 B1 KR 100399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iving
frame driving
moving
dr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424A (ko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도모유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374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9925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8805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6561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94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6561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360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76957A/ja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미싱에 적합한 타입의 틀구동기구를 채용함에도 불구하고 미싱 헤드의 수가 많아도 자수틀을 정확하게 이동제어할 수 있는 미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수평한 미싱 테이블(6)과, 이 미싱 테이블(6)의 하방에 설치하는 X방향의 틀구동부(21) 및 Y방향의 틀구동부(11)과, 상기 미싱 테이블(6)의 상방에 설치되고 양 틀구동부(21, 11) 의하여 X · Y좌표면을 자유롭게 이동되는 X방향으로 긴 틀구동체(10)로 이루어지는 미싱에 있어서, 상기 틀 구동체(10)에서 X방향 중간부의 상방에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Y방향으로 긴 안내체(33)와, 이 안내체(33)에 Y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틀구동체(1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일체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X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이동체(37)와, 상기 Y방향의 틀구동부(11)의 구동과 동기하여 상기 이동체(37)를 이동시키는 보조구동기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싱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피자수포(被刺繡布) 등의 봉제물(縫製物)을 신장하여 유지하는 자수틀(刺繡)을 이동제어하는 틀구동기구(驅動機構)를 개량한 미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수평한 미싱 테이블의 위에 위치하는 자수틀을 컴퓨터에 기억시킨 각종의 봉제 데이터에 의거하여 평면좌표에 있어서의 X방향 및 Y방향(좌우 및 전후)으로 제어하여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것이 제안되고 실시되고있다. 예를 들어 도14는 2기의 미싱 헤드(5, 5)를 갖춘 자수 미싱(이하 단지 미싱이라 한다)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미싱은 미싱 테이블(6)의 위에 위치하는 자수틀(26)(피자수물인 원단을 신장하여 유지하는 틀체)를 유지하는 긴 틀구동체(10)와, 그 자수틀(26)을 테이블 위에서 전후방향(이하 Y방향이라한다) 및 좌우방향(이하 X방향이라 한다)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59)갖추고 있다. 즉 미싱 테이블(6)의 하면에는 자수틀(26)을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구동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Y방향 구동부(11)는 전방 부위 및 후방 부위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풀리(67, 68)와, 그 풀리(67, 68) 사이에 걸쳐지는 벨트(69)와, 후방 부위에 위치하는 좌우의 풀리(68, 68)에 연결축(13)을 통하여 연결하는 Y방향 구동모터(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에 위치하는 2개의 벨트(69, 69)와 상기 틀구동체(10)의 양단부와는 미싱 테이블(6)에 Y방향으로 형성하는 슬릿(12, 1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Y방향 구동모터(14)의 정/역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틀구동체(10) 및 그 틀구동체(10)에 유지되는 자수틀(26)은 Y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각각의 미싱 헤드(5)의 하부에는 실린더 타입의 지지대(7)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틀구동체(10)의 내부에는 자수틀(26)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구동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X방향 구동부(21)는 그 좌우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풀리(71, 72)와 이들 풀리(71, 72) 사이에 걸쳐지는 벨트(73)와, 우측에 위치하는 풀리(72)에 직접 열결되는 구동모터(74)로 기본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상기 벨트(73)에는 연결체(75, 75)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착되고, 이연결체(75)에는 상기 자수틀(26)이 수평으로 부착되며 상기 틀구동체(10)의 전면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4)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자수틀(26)은 X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전술한 자수틀(26)을 Y방향 및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59)에서는 그 자수틀(26)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구동부(21)가 상기 틀구동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미싱 테이블(6)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본 예와 같이 미싱 헤드의 수가 적은 미싱에는 알맞게 실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틀구동기구를 갖춘 소형의 자수 미싱에 관하여는 미싱 헤드의 수를 증설하는 형식의 미싱(즉 상기 틀구동기구의 채용으로 전체의 크기를 억제하면서도 미싱 헤드의 수를 조금 더 증설하는 형식의 미싱)의 출현이 요망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미싱 헤드의 수를 증설하면 틀구동체(10)의 길이가 필연적으로 크게 되어 그 틀구동체(10)의 중량이 증가하고 또한 그 틀구동체(10)에 장착되는 자수틀(26)의 중량도 증가된다. 또 길이가 크게 된 틀구동체(10)는 그 양단부만이 Y방향 구동부(11, 11)에 연결되기 때문에 틀 구동시에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왜곡이 생기기 쉽게 된다. 그 결과로서 자수틀
(26)의 이송 동작을 정확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미싱 헤드(5) 사이에서 자수 모양에 소위 모양 어긋남이 생기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관한 미싱에 내재하고 있는 결점을 감안하여이것을 양호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소형 미싱에 적합한 타입의 틀구동기구를 채용함에도 불구하고 미싱 헤드의 수가 많아도 자수틀을 정확하게 이동제어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미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다두식(多頭式) 자수 미싱에 적용한 실시예를 들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제1실시예에 관한 다두식 자수 미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미싱은 길이가 긴 다리(1)의 좌우 양측에 세워 설치하는 지지 프레임(2, 2)을 갖추고 그 지지 프레임(2, 2)의 정상에 긴 상프레임(3)이 수평으로 가설되어 있다. 이 상프레임(3)의 전면에는 복수의 미싱 헤드(5)(본 예에서는 4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프레임(3)의 하방에는 미싱 테이블(6)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미싱 테이블(6)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 위치하는 고정 테이블(6a)과 그 하방에 위치하는 승강 테이블(6b)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미싱 헤드(5)의 하방부에는 실린더 타입의 지지대(7)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7)은 기부(基部)에서 하프레임(8)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지지대(7)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고정 테이블(6a)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지지대(7)의 선단부에는 주지의 셔틀(shuttle)(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되고, 승강이 자유스럽도록 상기 미싱 헤드(5)에 설치된 침봉(5a)의 자수 바늘과의 협동 작용하에 피자수물에 자수 등의 각종 봉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 테이블(6a)의 상면에는 긴 플레이트 형상을 하는 틀구동체(10)가놓여져 상프레임(3)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틀구동체(10)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테이블(6a)의 하면에 X방향으로 소정의 견격으로 배치된 2기의 Y방향 구동부(11, 11)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Y방향 구동부(11)는 틀구동체(10)에 직선 왕복운동을 부여하는 일반적인 구동기구로서, 그 구동자(驅動子)로서 기능하는 롤러(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고정 테이블(6a)에 설치하는 Y방향의 슬릿(12)을 통하여 틀구동체(10)의 하면에 형성하는 X방향의 안내홈(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여 결합하고 있다. 또한 2기의 Y방향 구동부(11, 11)는 연결축(13) 및 Y방향 구동모터(1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그 구동모터(14)를 교대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Y방향 구동부(11, 11)는 상기 틀 구동체(10)을 Y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Y방향 구동부(11)의 롤러는 X방향의 안내홈(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여 결합하고 있으므로 상기 틀구동체(10)는 X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즉 X방향 구동체(20)에서의 구동력을 받으면 틀구동체(10)는 X방향으로도 이동된다.
X방향 구동체(20)는 고정 테이블(6a)의 상면에 놓여지고 그 Y방향의 양단부는 그 고정 테이블(6a)의 하면에 설치되는 X방향 구동부(21)에 결합되어 있다. 이 X방향 구동부(21)는 상기 Y방향 구동부(11)와 같은 구동기구를 갖고 있어, 그 구동자(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고정 테이블(6a)에 설치하는 X방향의 슬릿(22)를 통하여 상기 X방향 구동체(20)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 X방향 구동체(20)는 연결체(23)를 통하여 틀구동체(10)의 우단부에 연계되어 있고 그 틀구동체(10)는 X방향 구동체(20)와 일체로 X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Y방향으로는 독립하여이동가능하다. 2개의 X방향 구동부(21, 21)는 연결축(24) 및 X방향 구동모터(2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그 X방향 구동모터(25)를 교대로 정/역회전시킴으로써 X방향구동부(21), X방향 구동체(20) 및 연결체(23)를 통하여 상기 틀구동체(10)는 X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상기 틀구동체(10)에는 좌우 한 쌍의 유지아암(27)이 고착되고 이 유지아암(27)에 의하여 각 미싱 헤드(5)에 대응하는 자수틀(26)을 유지한다. 각각의 유지아암(27)은 유지해야 할 자수틀(26)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틀구동체(10)에 대한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자수틀(26)은 그 양단부에 설치되는 연결구(26a, 26a)를 통하여 상기 유지아암(27, 27)에 부착된다.
이 미싱에는 틀구동체(10)의 자세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틀구동체(10)의 상방부에는 2개의 Y방향 구동부(11, 11)의 대략 중간위치에서 Y방향으로 긴 지지 브래킷(30)이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양단부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프레임(3)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프레임(8)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래킷(32)의 상승부(32a)에 상기 지지 브래킷(30)의 후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30)의 하면에는 안내체의 한 예가 되는 리니어 레일(33)이 고정되고 이 리니어 레일(33)에는 슬라이더(34)가 물려있다. 이 슬라이더(34)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이동체(37)가 고착되어 있다. 또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구동체(10)에서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상면에는 상기 리니어 레일(33)과 동일한 리니어 레일(35)이 그 리니어 레일(33)과 대략 직교하는 각도로 고정되어 이 리니어 레일(35)에도상기와 동일한 슬라이더(36)가 물려 있다. 그리고 그 슬라이더(36)의 상면에 상기 이동체(37)가 고착되어 있다. 이 이동체(37)는 후술하는 보조구동기구(40)에 의하여 Y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다음에 상기 보조구동기구(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레임(8)에 고정되는 상기 브래킷(32)의 상승부(32a)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2개의 지지핀(41, 42)이 횡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의 지지핀(41)에 2개의 와이어 감기용 풀리(43a, 43b)가 지지됨과 아울러 하측의 지지핀(42)에 같은 2개의 와이어 감기용 풀리(44a, 44b)가 지지되어 있다. 하측의 2개의 풀리(44a, 44b)의 전방이고 또한 Y방향 구동모터(14)에 결합하는 상기 연결축(13)의 축 위에는 외주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는 구동 풀리(4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2개의 풀리(43a, 43b)의 전방에는 상 프레임(3)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핀(46)으로 풀리(47)가 지지되고 있다.
이들 일련의 풀리(43a, 43b, 44a, 44b, 45, 47) 사이에는 도3 및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48)가 감겨지고 이 와이어(48)의 각 끝에는 연결구(48a, 48b)를 통하여 상기 이동체(37)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와이어(48)는 일방의 연결구(48a)에서 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된 후에 풀리(43a, 44a)를 거쳐 구동 풀리(45)의 나선형 홈에 수회 감겨지고, 계속하여 풀리(44b, 43b)를 거쳐 전방의 풀리(47)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타방의 연결구(48b)에 의하여 상기 이동체(3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48)의 장력은 도시하지 않은 텐션 조정장치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Y방향 구동모터(14)를 교대로 정/역회전시켜 연결축(13)을 회전시키면 그 연결축(13)에 고정된 구동 풀리(45)가 회전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와이어(48)를 통하여 상기 이동체(37)가 상기 틀구동체(10)와 동일한 속도로 왕복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체(37)의 이동력은 리니어 레일(35)를 통하여 틀구동체(10)에 전달되므로 그 틀구동체(10)은 2기의 Y방향 구동부(11, 11)에 의하여만 구동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구성에 관한 보조구동기구(40)에 의하여도 Y방향으로 구동되어 진다. 또한 상기 이동체(3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6) 및 그 슬라이더(36)와 물리고 있는 리니어 레일(35)을 통하여 틀구동체(1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틀구동체(10)는 상기 X방향 구동부(21)의 구동에 의하여 X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 도1 ~도5에 나타내는 미싱에 의하면 Y방향 구동모터(14)(틀구동체(1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조구동기구(40)에 의하여 긴 틀구동체(10)의 중앙부도 동시에 양단부와 등속도로 이동되기 때문에 그 틀구동체(1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틀구동체(10)에 연결되는 각각의 자수틀(26)에는 정확한 이동력이 부여되게 된다. 또한 상기 틀구동체(10)는 전술한 리니어 레일(35)와 슬라이더(36), 슬라이더(34)와 리니어 레일(33) 및 양 슬라이더(36, 34)의 중간에 끼이는 이동체(37)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완전히 규제되는 상태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자수틀(26)에 의하여 신장, 유지되는 피자수물의 중량이 크게 되어도 상기 유지아암(27)을 통하여 전달되는 과하중에 의하여 그 틀구동체(10)에 발생되는 기울어짐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틀구동체(10)의 중앙부를 보조구동기구(40)에 의하여 보조적으로 구동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나, 중앙부 이외의 곳 혹은 중앙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곳에 그 보조구동기구(40)를 설치하고 이것으로 그 틀구동체(10)를 구동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에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도1 ~도5에 나타낸 실시예에 관한 틀구동체(10)는 긴 플레이트형 부재를 이루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의 틀구동체는 긴 4각형 틀체(원단 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먼저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수평한 미싱 테이블(6)의 상면에는 X방향으로 긴 4각형을 이루는 틀구동체(10)가 이동이 자유롭도록 유지된다. 이 틀구동체(10)는 긴 4각형 틀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그 틀구동체(10)에 피자수포(원단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것)을 직접 신장, 유지할 수 있다. 또한 4각형 틀체로 이루어지는 틀구동체(10)에 각각의 자수틀(26)을 부착하고 그 자수틀(26)을 각각의 미싱 헤드(5)에 대응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틀구동체(10)는, 미싱 테이블(6)의 하면에 설치되는 X방향 구동부(21) 및 Y방향 구동부(11, 11)에 의하여 X · Y좌표 평면을 자유롭게 이동된다. 틀구동체(10)의 후방부(10a)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X방향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홈에 Y방향 구동부(11)의 구동자가 되는 롤러(도시하지 않음)이 물려있다. 또한 톨구동체(10)의 우측부(10b)의 하면에도 도시하지 않은 Y방향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홈의 X방향 구동부(21)에 구동자가 되는 롤러(도시하지 않음)가 마찬가지로 물려있다.
이 미싱에도 틀구동체(10)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나 기본 구성은 도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아주 동일하다. 틀구동체(10) 후방부(10a)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 상면에는 도1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X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레일(35)가 부착되고, 도3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보조구동기구(40)에 의하여 그 후방부(10a)의 중간부도 Y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긴 4각형의 틀구동체(10)의 후방부(10a)은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휨 없이 이동된다. 이 때문에 틀구동체(10)에 직접 신장, 유지되는 피자수포나 각 미싱 헤드(5)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부착하는 자수틀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조구동기구(40)와는 다른 구성에 관한 보조구동기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긴 지지 브래킷(30)의 양단부는 하 프레임(8)에 고정되는 브래킷(32)의 상승부(32a) 및 상프레임(3)의 하면에 고정되어 Y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상기 브래킷(32)의 상승부(32a)의 상방에는 수평으로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부(32b)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32b)에 풀리(61)가 수직의 핀(32c)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또 지지 브래킷(30)의 전방측이고 또한 상프레임(3)과 근접하는 부위에 구동모터(62)가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거꾸로 설치되고, 그 구동모터(62)의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모터축에 구동 풀리(63)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2개의 풀리(61, 63) 사이에 무단 벨트(無端 belt)(64)가 걸쳐지고, 그 벨트(64)는 상기 이동체(37)의 측면에 고정구(6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62)는전술한 틀구동체(10)를 구동하는 Y방향 구동모터(14)와 동기하여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긴 틀구동체(10)는 보조구동기구(40)에 의하여 구동체 중앙부도 이동되어지기 때문에 그 틀구동체(1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기본적인 구조는 도14에 관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따라서 도14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재와 동일한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도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틀구동체(10)은 X방향 및 Y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 관한 미싱의 틀구동체(10)는 Y방향으로만 왕복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프레임(3)의 하방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미싱 테이블(6)은,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 테이블(6a)과 전방에 위치하는 승강 테이블(6b)로 이루어지고 양 테이블(6a, 6b)은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수틀(26)을 테이블상에서 Y방향 및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59)는 도14에서 설명한 Y방향 구동부(11, 11) 및 X방향 구동부(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틀구동체(10)에는 미싱 테이블(6)의 위에 올려지는 긴 4각형의 자수틀(26)이 연결체(7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자수틀(26)은 원단을 그대로 신장, 유지하는 것도, 각각의 미싱 헤드(5)에 대응하는 별개의 자수틀(동그란 틀 등)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4각형 틀체로 이루어지는 자수틀(26) 대신에 상기 별개의 자수틀을 상기 연결체(75)에 직접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자수틀(26)은 틀구동체(1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구동부(11)와, 연결체(75)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구동부(21)로 이루어지는 구동기구(59)에 의하여 X방향과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틀구동체(10)의 상방에는 2개의 Y방향 구동부(11, 11)의 대략 중간 위치에 Y방향으로 긴 지지 브래킷(30)이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전단부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프레임(3)의 하면에 브래킷(76)을 통하여 고정됨과 아울러 후단부가 하프레임(8)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상승부(32a)에 고정되어 있다. 또 지지 브래킷(30)의 하면에는 이미 도4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체로서 기능하는 리니어 레일(33)이 고정되어 있다. 이 리니어 레일(33)(안내체)에는 결합체로서 기능하는 슬라이더(34)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슬라이더(34)는 이동체(37)를 통하여 상기 틀구동체(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틀구동체(10)는 그 상면에 고정되는 이동체(37)가 리니어 레일(33)에 항상 결합하여 이동하므로 상하 방향의 변위가 완전히 규제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틀구동체(10)는 도5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보조구동기구(40)에 의하여도 구동된다. 즉 도9에 나타내는 보조구동기구(40)는 기본적으로 도5에서 설명한 보조구동기구의 구성 그대로이다. 따라서 도5에 나타내는 보조구동기구(40)에 사용하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도9에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보조구동기구(40)에 있어서 도8에 나타내는 Y방향 구동모터(14)를 정/역회전시켜 연결축(13)물 회전시키면 그 연결축(13)에 고정된 구동 풀리(45)가 회전하고 와이어(48)를 통하여 상기 이동체(37)가 Y방향으로 왕복구동된다. 이 때문에 이동체(37)가 고정되는 틀구동체(10)도 Y방향으로 왕복구동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틀구동체(1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구동모터(14)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조구동기구(40)에 의하여 그 틀구동체(10)의 중앙부도동시에 양단부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게 되어 그 틀구동체(1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틀구동체(10)에 설치되는 자수틀(26)에는 정확한 이동력이 주어지므로 각 미싱 헤드(5) 사이에서 자수 모양의 모양 어긋남이 생기는 결점이 해소된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기본적인 구성은 도14에 관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14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전술한 도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긴 틀구동체(10)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것이였으나, 본 실시예의 미싱 틀구동체(10)는 Y방향만으로 왕복이동된다. 또한 도1 및 도8에 관한 실시예의 틀구동체(10)은 보조구동기구(40)을 갖추고 있으나, 본 실시예의 틀구동체(10)는 보조구동기구를 갖추지 않아 더욱 간략한 구성을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미싱은 도14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틀구동체(10)을 Y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기구로서 Y방향 구동부(11, 11)를 갖추고 있다. 또한 틀구동체(10)에 대하여 자수틀(26)을 X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기구로서 X방향 구동부(21)를 갖추고 있다. 이 X방향 구동부(21)의 구성은 예를 들어 도8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구동부와 동일한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미싱 테이블(6)은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 위치하는 고정 테이블(6a)과 그 하방에 위치하는 승강 테이블(6b)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긴 틀구동체(10)의 상방에는 미싱의 X방향(전후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Y방향(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브래킷(30)이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브래킷(30)의 전단부는 상프레임(3)의 하면에 브래킷(76)을 통하여 고정되고 후단부는 하프레임(8)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래킷(32)의 상승부(32a)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브래킷(30)의 하면에는 이미 도5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안내체로서 기능하는 리니어 레일(33)이 고정되어 있다. 또 이 리니어 레일(33)(안내체)에는 결합체로서 기능하는 슬라이더(34)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슬라이더(34)는 상기 틀구동체(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이동체(37)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틀구동체(10)가 Y방향 구동부(11, 11)에 의하여 구동되어 Y방향(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면 그 틀구동체(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더(34)가 리니어 레일(33)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문에 틀구동체(10)는 상기 지지 브래킷(30)에 고정되는 리니어 레일(33)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변위가 완전히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도시한 자수틀(26)에 신장, 유지되는 피자수물의 중량이 크게 되어도 틀구동체(10)가 경사지는 일이 없고 또한 유지아암(16)이 밑으로 늘어지는 결점도 해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체로서 리니어 레일(33)을 사용하고 또한 결합체로서 슬라이더(34)를 사용하였으나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직선 안내부재라면 예를 들어 하면에 슬라이드면을 형성하는 안내 레일을 안내체로 하고 그 안내 레일의 슬라이드면과 물리는 스라이드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더를 결합체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기본적인 구조는 도1 및 도2에 관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1 및 도2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긴 틀구동체(10)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다만 도1에 관한 실시예의 틀구동체(10)는 보조구동기구(40)을 갖추고 있으나 본 실시예의 틀구동체(10)은 보조구동기구를 갖추고 있지 않다.
도12에서 긴 틀구동체(10)는 도1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기구로 이루어지는 3개의 Y방향 구동부(11)와 접속하고 있다. 즉 Y방향 구동부(11)는 틀구동체(10)에 직선 왕복운동을 부여하는 일반적인 구동 기구로서 그 구동자로서 기능하는 롤러(도시하지 않음)는 고정 테이블(6a)에 설치하는 Y방향 슬릿(12)을 통하여 틀구동체(10)의 하면에 형성되는 X방향 안내홈(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여 물리고 있다. 따라서 상기 틀구동체(10)는 X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X방향 구동체(20)로부터 구동력을 받으면 그 틀구동체(10)는 X방향으로도 이동된다.
또한 X방향 구동체(20)도 도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구로 이루어지고 고정 테이블(6a)의 상면에 놓여진다. 이 X방향 구동체(20)에서 Y방향(전후방향)의 양단부는 고정 테이블(6a)의 하면에 설치되는 X방향 구동부(21)에 결합되어 있다. 이 X방향 구동부(21)는 Y방향 구동부(11)와 같은 구동기구를 갖고 있어, 그 구동자(도시하지 않음)는 고정 테이블(6a)에 설치하는 X방향의 슬릿(22)을 통하여 상기 X방향 구동체(20)의 하면과 결합하고 있다. 이 X방향 구동체(20)는 연결체(23)를 통하여 틀구동체(10)의 우단부와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틀구동체(10)는 X방향 구동체(20)와 일체로 X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Y방향으로도 독립하여 이동가능하다. 2개의 X방향 구동부(21, 21)는 도시한 연결축(24) 및 X방향 구동모터(2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그 X방향 구동모터(25)를 교대로 정/역회전시킴으로써 X방향 구동부(21), X방향 구동체(20) 및 연결체(23)를 통하여 상기 틀구동체(10)는 X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미싱도 도10에 나타낸 실시예의 미싱과 마찬가지로 틀구동체(10)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구동체(10)의 상방에는 긴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브래킷(30)가 서로인접하는 Y방향 구동부(11, 11)의 대략 중간위치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Y방향(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지지 브래킷(30)은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단부는 상기 상프레임(3)의 하면에 고정되고 또 후단부는 하프레임(8)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래킷(32)의 상승부(32a)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30)의 하면에는 이미 도5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안내체로서 기능하는 리니어 레일(33)이 고정되고, 이 리니어 레일(33)에는 결합체로서 기능하는 슬라이더(34)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틀구동체(10)의 상면 소정의 장소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 레일(35)가 설치되고 상기 리니어 레일(33)과 직교하여 연장되고 있다. 이 리니어 레일(35)가 설치되는 길이는 상기 지지 브래킷(30)이 X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영역에 걸치고 그 리니어 레일(35)에 슬라이더(36)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방의 리니어 레일(33)에 설치되는 슬라이더(34)와 상기 타방의 리니어 레일(35)에 설치되는 슬라이더(36)는 이동체(37)를 통하여 상호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틀구동체(10)가 Y방향 구동부(11)에 의하여 구동되어 Y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슬라이더(34)가 리니어 레일(33)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틀구동체(10)가 X방향 구동부(21)에 의하여 구동되어 X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슬라이더(36)가 리니어 레일(35)를 따라 이동한다. 이 때에 틀구동체(10)는 지지 브래킷(30)에 고정되는 리니어 레일(33)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 때문에 자수틀(26)에 펼쳐 놓는 피자수포의 중량이 크게 되어도 틀구동체(10)가 기울어지는 일이 없고 또한 유지아암(16)이 밑으로 늘어지는 결점도 해소된다.
먼저 설명한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틀구동체(10)를 Y방향(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Y방향 구동부(11) 및 틀구동체(10)을 X방향(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X방향 구동부(21)에 관하여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를 주로 하는 기구를 나타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동식(複動式)의 액튜에이터(actuator)에 의하여 틀구동체(10)를 이동제어하는 형태로 하거나 모터로 회전구동되는 나사 및 이와 결합하는 너트를 틀구동체(10)에 부착하여 이동제어하는 형태 등도 무방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관한 미싱의 평면도,
도2는 도1에 나타낸 미싱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보조구동기구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권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이동체와 틀구동체의 연결상태를 분해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보조구동기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판단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미싱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조구동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미싱의 일부 파단 평면도,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미싱의 종단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미싱의 평면도,
도11은 도10에 나타내는 미싱의 종단 측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미싱의 평면도,
도13은 도12에 나타내는 미싱의 종단 측면도,
도14는 종래 기술의 미싱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상프레임(上 frame) 6 : 미싱 테이블
8 : 하프레임(下 frame) 10 : 틀구동체(frame 驅勤體)
11 : 틀구동부(Y방향 구동부) 14 : 구동수단(Y방향 구동모터)
21 : 틀구동부(X방향 구동부) 23 : 연결체
24 : 연결축 26 : 유지틀(틀체, 자수틀)
27 : 유지아암(維持 arm) 33 : 안내체(리니어 레일)
34, 36 : 결합체(slider) 37 : 이동체
40 : 보조구동기구 62 : 구동수단(구동모터)
75 : 연결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싱에 의하면, 보조구동기구에 의하여 틀구동체의 중간부도 Y방향 틀구동부와 동기하여 Y방향으로 이동구동되므로 틀구동체의 강성(剛性)을 그렇게 높이지 않더라도 그 틀이동체는 길이 방향에서 어긋남이 생기는 일없이 이동된다. 따라서 틀구동체에 장착되는 유지틀이나 틀구동체에 직접 전개, 유지되는 피봉제물의 이동구동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고 자수 등의 봉제가 봉제 데이터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 틀구동체의 강성을 그렇게 높일 필요성이 없으므로 경량화할 수 있고 따라서 고속으로 봉제운전을 하여도 진동이나 소음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보조구동기구를 장비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유지아암에 장착되는 자수틀 등의 하중에 의한 틀구동체의 경사 및 그에 기인하는 그 유지아암의 처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수평한 미싱 테이블(6)과, 이 미싱 테이블(6)의 하방에 설치하는 X방향의 틀구동부(21) 및 Y방향의 틀구동부(11)와, 상기 미싱 테이블(6)의 상방에 설치되고 양 틀구동부(21, 11) 의하여 X · Y좌표면을 자유롭게 이동되는 X방향으로 긴 틀구동체(10)로 이루어지는 미싱에 있어서,
    상기 틀구동체(10)에서 X방향 중간부의 상방에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Y방향으로 긴 안내체(33)와,
    이 안내체(33)에 Y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틀구동체(1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일체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X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이동체(37)와,
    상기 Y방향의 틀구동부(11)의 구동과 동기하여 상기 이동체(37)를 이동시키는 보조구동기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구동체(10)은, 복수의 피봉제물을 개별로 유지하는 유지틀(26)을 외팔보 형상으로 부착하는 X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는 미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구동체(10)는 X방향으로 긴 4각형이고 그 자체가 피봉제물을 직접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미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구동체(10)는 X방향으로 긴 4각형이고 이에 복수의 피봉제물을 개별로 유지하는 유지틀(26)을 부착할 수 있도록 된 미싱.
  5. 제1항에서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동기구(40)은 Y방향의 틀구동부(11)를 구동하는 Y방향 구동수단(14)을 구동원으로 하는 미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동기구(40)는 Y방향의 틀구동부(11)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4)과 동기하여 구동되는 다른 구동수단(62)을 구동원으로 하는 미싱.
  7. 수평한 미싱 테이블(6)의 상방에 설치되고 X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틀구동체(10)과, 이 틀구동체(10)에 X방향으로 왕복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피봉제물을 신장, 유지하는 틀체(26)가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체(75)와, 상기 틀구동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체(75)를 X방향으르 왕복구동하는 X방향 구동부(21)와, 상기 미싱 테이블(6)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틀구동체(10)의 양단부에 접속하여 그 틀구동체(10)를 Y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Y방향 구동부(11)로구성되고 상기 X방향 구동부(21) 및 Y방향 구동부(11)를 각각 구동함으로써 상기 연결체(75)에 연결된 틀체(26)를 상기 미싱 테이블(6)상에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싱에 있어서,
    상기 틀구동체(10)의 상방에 위치하고 Y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안내체(33)와,
    상기 틀구동체(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체(33)에 결합하여 그 틀구동체(10)의 Y방향의 이동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는 결합체(34)와,
    상기 틀구동체(10)에 설치되는 결합체(34)에 접속하고 상기 Y방향 구동부(11)와 동기하여 그 틀구동체(10)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Y방향으로 구동하는 보조구동기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동기구(40)은 상기 Y방향 구동부(11)의 구동수단(14)을 구동원으로 하는 미싱.
  9. 자수틀(26)을 유지하는 유지아암(27)을 갖추고, 수평한 XY좌표면내에서 적어도 Y방향으로 이동되는 틀구동체(10)와,
    이 틀구동체(10)의 상방에 수평상태로 위치하여 Y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체(33)와,
    상기 틀구동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체(33)에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결합하는 이동체(37)로 이루어지고,
    상기 틀구동체(10)의 이동범위에서 상기 이동체(37)를 상기 안내체(33)에 항상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틀구동체(10)은 Y방향 구동부(11)에 의하여 Y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유지아암(27)은 X방향 구동부(21)에 의하여 틀구동체(10)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동되는 미싱.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틀구동체(10)은 Y방향 구동부(11)에 의하여 Y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X방향 구동부(21)에 의하여 X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유지아암(27)은 틀구동체(10)에 대하여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미싱.
KR1019960044686A 1995-10-09 1996-10-09 미싱 KR100399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805795A JP3656171B2 (ja) 1995-10-09 1995-10-09 ミシンの刺繍枠駆動体の姿勢保持機構
JP7-288057 1995-10-09
JP30194095A JP3656172B2 (ja) 1995-10-26 1995-10-26 ミシン
JP7-301940 1995-10-26
JP7-353604 1995-12-27
JP35360495A JPH09176957A (ja) 1995-12-27 1995-12-27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424A KR970021424A (ko) 1997-05-28
KR100399253B1 true KR100399253B1 (ko) 2004-03-26

Family

ID=2733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686A KR100399253B1 (ko) 1995-10-09 1996-10-09 미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09918A (ko)
KR (1) KR100399253B1 (ko)
CN (1) CN1057578C (ko)
DE (1) DE19641446B4 (ko)
TW (1) TW33021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107B1 (ko) * 2002-11-06 2005-01-24 (주) 인브로 다두식 자수기
KR100796889B1 (ko) * 2006-03-17 2008-01-22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재봉틀의 이송 장치
KR100897467B1 (ko) 2008-08-18 2009-05-14 김유신 원단 이송장치를 가지는 자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768A (ja) * 1999-04-21 2001-01-09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枠駆動装置
JP2001129280A (ja) * 1999-08-24 2001-05-15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KR100518915B1 (ko) * 1999-10-07 2005-10-06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재봉기
US20020096506A1 (en) 2000-10-12 2002-07-25 Moreland Thomas R. Electrically heated aircraft deicer panel
KR100419893B1 (ko) * 2001-05-30 2004-03-04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다두식 자수기의 구동장치
US6988455B2 (en) * 2003-07-02 2006-01-24 Sunstar Machinery Co., Ltd. Sewing machine
JP2006340737A (ja) * 2003-08-05 2006-12-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フレーム
DE102004054121A1 (de) * 2004-11-08 2006-05-11 Sekip Surget Träger für Stickereifolie
CN1908281B (zh) * 2005-08-07 2012-04-25 陈志民 多头缝纫或刺绣机框架的承载和导向驱动方法及其装置
US20110195187A1 (en) * 2010-02-10 2011-08-11 Apple Inc. Direct liquid vaporization for oleophobic coatings
CN104153133B (zh) * 2014-08-14 2016-01-20 张建生 接框式绣花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7795U (ja) * 1982-02-02 1983-08-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ミシンにおける布保持枠取付機構
JPH0219557A (ja) * 1988-07-08 1990-01-23 Barudan Co Ltd 刺繍ミシンの保持枠
JPH02191488A (ja) * 1988-09-27 1990-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縫ミシンのx−yテーブル駆動装置
US5081943A (en) * 1990-05-08 1992-01-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ork fabric feeding device for automatic sewing apparatus
KR950011685A (ko) * 1993-10-08 1995-05-15 이꾸오 다지마 재봉틀 및 가공 직물을 지지하기 위한 그 홀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5396B1 (de) * 1977-10-08 1979-01-11 Zangs Ag Maschf Mehrkopfstickmaschine
US4495876A (en) * 1982-04-08 1985-01-29 Tokai Kogyo Mishin Kabushiki Kaisha Embroidery machine
JPS6173684A (ja) * 1984-09-20 1986-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機械の被縫製物移動装置
US4628843A (en) * 1985-02-07 1986-12-16 Tokai Kogyo Mishi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feeding a cloth in an embroidery machine
JP2861470B2 (ja) * 1991-04-24 1999-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ミシン
DE4234968C1 (de) * 1992-10-16 1993-12-02 Pfaff Ag G M Näheinheit mit einer Vorschubvorrichtung
US5681943A (en) * 1993-04-12 1997-10-28 Northwestern University Method for covalently linking adjacent oligonucleotid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7795U (ja) * 1982-02-02 1983-08-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ミシンにおける布保持枠取付機構
JPH0219557A (ja) * 1988-07-08 1990-01-23 Barudan Co Ltd 刺繍ミシンの保持枠
JPH02191488A (ja) * 1988-09-27 1990-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縫ミシンのx−yテーブル駆動装置
US5081943A (en) * 1990-05-08 1992-01-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ork fabric feeding device for automatic sewing apparatus
KR950011685A (ko) * 1993-10-08 1995-05-15 이꾸오 다지마 재봉틀 및 가공 직물을 지지하기 위한 그 홀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107B1 (ko) * 2002-11-06 2005-01-24 (주) 인브로 다두식 자수기
KR100796889B1 (ko) * 2006-03-17 2008-01-22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재봉틀의 이송 장치
KR100897467B1 (ko) 2008-08-18 2009-05-14 김유신 원단 이송장치를 가지는 자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578C (zh) 2000-10-18
KR970021424A (ko) 1997-05-28
TW330218B (en) 1998-04-21
DE19641446B4 (de) 2006-12-28
CN1160098A (zh) 1997-09-24
US5809918A (en) 1998-09-22
DE19641446A1 (de) 199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253B1 (ko) 미싱
KR200350914Y1 (ko) 자수기
KR20070024499A (ko) 자수 미싱
US6330864B1 (en) Sewing machine with improved frame drive device
JPH03149082A (ja) 縫製ミシン用の駆動装置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WO2022027991A1 (zh) 一种横机的喂纱机构
US6293214B1 (en) Sewing machine frame drive device
CN109972312A (zh) 一种轻便式结构单头平绣绣花机
JPS6333877B2 (ko)
JPH07313757A (ja) 玉縁形成装置及び布案内具
US7497178B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JP3656172B2 (ja) ミシン
EP1947228A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CN1135278C (zh) 缝纫机的被缝制物移送装置
JPH09176957A (ja) ミシン
US6325008B1 (en) Sewing machine with drive frame
JP2885020B2 (ja) 多頭ミシンのテーブル機構
JPH06158511A (ja) 刺繍機の可動枠送り装置
KR102372887B1 (ko) 회전 구동부를 구비한 매트리스 모서리 봉제장치
KR100292472B1 (ko) 광폭 자수기의 자수프레임 구동장치
JPH06238077A (ja) 多頭形刺繍ミシンの可動枠移動装置
KR100467107B1 (ko) 다두식 자수기
JPH07303774A (ja) ミシンの保持枠駆動装置
JP3075294B2 (ja) 複合ミシンのアタッチメント位置設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