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634B1 - 온도 검출 회로 - Google Patents

온도 검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634B1
KR100501634B1 KR10-2003-0034128A KR20030034128A KR100501634B1 KR 100501634 B1 KR100501634 B1 KR 100501634B1 KR 20030034128 A KR20030034128 A KR 20030034128A KR 100501634 B1 KR100501634 B1 KR 10050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use
signals
dela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607A (ko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3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634B1/ko
Priority to US10/732,430 priority patent/US6967521B2/en
Publication of KR2004010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42Circuits effecting compensation of thermal inertia; Circuits for predicting the stationary value of a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8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differences of values; giving differentiated values
    • G01K3/1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differences of values; giving differentiated values in respect of time, e.g. reacting only to a quick change of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검출 회로에 관한 것으로,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입력 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 지연된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지연 수단과, 상기 입력 신호를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 시간으로 지연시켜 다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지연 수단과,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다수의 지연 신호 각각을 비교하여 다수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다수의 검출 신호를 소정 수의 출력 신호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퍼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가능하며, 프로그램 상태에 따라 상기 검출 신호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온도에 따라 리프레쉬 주기를 달리할 수 있어 스탠바이 전류의 소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온도 검출 회로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온도 검출 회로{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본 발명은 온도 검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검출기를 이용하여 온도 검출 회로가 검출할 수 있는 온도 변화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인코더에 의해 다수의 검출기의 상태를 외부에서 검출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퓨즈 트리밍 정보를 선택 수단을 통하여 검출 수단에 전달하여 올바른 온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 한개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공정 변화 또는 전압 변화에 따라 트리밍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 검출 회로의 구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온도에 따라 리프레쉬 주기를 달리할 수 있어 스탠바이 전류의 소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온도 검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중에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리프레쉬가 필요한 장치의 경우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를 위해 많은 스탠바이 전류(standby current)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실제 필요한 리프레쉬 주기는 온도에 따라 매우 심한 차이가 난다. 따라서, 온도를 검출하고, 온도에 따라 리프레쉬 주기를 변화시키면 스탠바이 전류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온도 검출 회로는 공정 및 전압등의 외부 조건의 변화에 따라 정확성이 상당히 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온도 검출 회로의 구성도이다.
제 1 지연 수단(11)은 입력 신호(IN)를 입력하여 공정 변화, 전압 변화 또는 온도 변화등의 동작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검출하고자 하는 온도에 따른 기준 신호(ref)를 출력한다. 제 2 지연 수단(12)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지연 값이 변화하는 지연 신호(tem)를 출력한다. 검출기(13)는 제 1 지연 수단(11)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신호(ref)와 제 2 지연 수단(12)으로부터 입력되는 지연 신호(tem)를 각각 입력하여 지연 신호(tem)가 기준 신호(ref)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검출한 검출 신호(det)를 DQ 버퍼(14)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dout).
이렇게 DQ 버퍼(14)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1 지연 수단(11) 또는 제 2 지연 수단(12)의 지연 폭을 보정하여 온도의 검출 폭을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온도 검출 회로는 검출기를 하나만 사용함으로써 공정 변화나 전압 변화에 따라 검출할 수 있는 온도 변화의 폭이 한정된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실제 검출하고 있는 온도 변화의 폭이 큰 경우 온도 검출 회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검출기를 사용하여 공정 변화 또는 전압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의 폭을 넓게 조절할 수 있는 온도 검출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코더를 이용하여 다수의 검출기의 상태를 외부에서 검출할 수 있는 온도 검출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올바른 온도 정보를 소자에 전달하도록 퓨즈 트리밍 정보를 선택 수단을 통하여 전달하도록 하여 올바른 온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선택하는 온도 검출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검출 회로는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입력 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 지연된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지연 수단과, 상기 입력 신호를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 시간으로 지연시켜 다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지연 수단과,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다수의 지연 신호 각각을 비교하여 다수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다수의 검출 신호를 소정 수의 출력 신호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퍼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가능하며, 프로그램 상태에 따라 상기 검출 신호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검출 회로의 구성도이다.
제 1 지연 수단(21)은 온도 변화등의 동작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입력 신호(IN)에 따라 일정 시간 지연된 기준 신호(ref)를 출력하는데, 기준 신호(ref)는 검출하고자 하는 온도에 고정되어 그 온도를 가리키는 신호가 된다.
제 2 지연 수단(22)은 온도 변화에 따라 입력 신호(IN)의 지연 값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것으로, 검출하고자 하는 온도에 해당하는 지연 신호와 그 온도를 중심으로 충분한 마진을 고려한 온도들에 해당하는 다수의 지연 신호(tem)를 출력한다.
검출 수단(23)은 다수의 검출기로 구성되며, 각각의 검출기는 제 1 지연 수단(21)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신호(ref)와 제 2 지연 수단(22)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지연 신호(tem)를 각각 입력하여 지연 신호(tem)가 기준 신호(ref)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det)를 출력한다.
이러한 검출 수단(23)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det)는 현재 디바이스에서 측정하고 있는 온도 정보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온도 정보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해 인코더(24)는 온도 정보를 인코딩하여 다수의 출력 신호(dout)를 출력하게 된다. 인코더(24)에 의해 출력되는 다수의 출력 신호(dout)는 DQ 버퍼(26)를 통해 외부에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과 부합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때, 실제 온도와 디바이스에서 인식하고 있는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가 다르면 실제 외부 온도를 인식하고 있는 디바이스 내부의 검출 수단(23)을 선택하도록 퓨즈 정보(Fuse Info)를 DQ 버퍼(26)을 통해 선택 수단(25)에 제공한다.
선택 수단(25)은 프로그램 가능한 퓨즈가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외부에서 입력된 퓨즈 정보(Fuse Info)에 따라 퓨즈를 절단하고, 그 결과에 따른 신호를 조합하여 디바이스가 사용해야 하는 하나의 검출기를 선택하도록 정보를 만들어 검출 수단(23)에 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정보에 의하여 검출 수단(23)의 다수의 검출기중에서 하나의 검출기만이 인에이블되고, 나머지는 디스인에이블된다. 따라서, 선택된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만이 인코더(24) 및 DQ 버퍼(26)를 통해 출력된다.
도 3은 도 2의 제 2 지연 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인버터 체인(31)은 입력 신호(IN)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켜 제 1 지연 신호(tem0)를 출력한다. 제 1 지연 신호(tem0)는 제 1 및 제 2 인버터(I31 및 I32)를 통해 지연되어 제 2 지연 신호(tem1)가 된다. 제 2 지연 신호(tem1)는 제 3 및 제 4 인버터(I33 및 I34)를 통해 지연되어 제 3 지연 신호(tem2)가 된다. 제 3 지연 신호(tem2)는 제 5 및 제 6 인버터(I35 및 I36)를 통해 지연되어 제 4 지연 신호(tem3)가 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인버터(I31 및 I32), 제 3 및 제 4 인버터(I33 및 I34), 그리고 제 5 및 제 6 인버터(I35 및 I36)에 의해 일정한 온도 차이에 따라 지연 값도 일정하게 늘어나게 되어 온도 차이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검출 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제 1 검출기(41)는 제 2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 1 지연 신호(tem0)와 제 1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기준 신호(ref)를 이용하여 제 1 검출 신호(det0)를 출력한다. 제 2 검출기(42)는 제 2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 2 지연 신호(tem1)와 제 1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기준 신호(ref)를 이용하여 제 2 검출 신호(det1)를 출력한다. 제 3 검출기(43)는 제 2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 3 지연 신호(tem2)와 제 1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기준 신호(ref)를 이용하여 제 3 검출 신호(det2)를 출력한다. 제 4 검출기(44)는 제 2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 4 지연 신호(tem3)와 제 1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기준 신호(ref)를 이용하여 제 4 검출 신호(det3)를 출력한다.
제 1 전달 게이트(T41)는 인코더의 제 1 출력 신호(out0) 및 그 반전 신호(outb0)에 따라 제 1 검출 신호(det0)를 최종 검출 신호(last_det)로서 출력한다. 제 2 전달 게이트(T42)는 인코더의 제 2 출력 신호(out1) 및 그 반전 신호(outb1)에 따라 제 2 검출 신호(det1)를 최종 검출 신호(last_det)로서 출력한다. 제 3 전달 게이트(T43)는 인코더의 제 3 출력 신호(out2) 및 그 반전 신호(outb2)에 따라 제 3 검출 신호(det2)를 최종 검출 신호(last_det)로서 출력한다. 제 4 전달 게이트(T44)는 인코더의 제 4 출력 신호(out3) 및 그 반전 신호(outb3)에 따라 제 4 검출 신호(det3)를 최종 검출 신호(det)로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검출 수단은 초기에는 제 1 내지 제 4 출력 신호(out0 내지 out3)가 인코더(24)에 의해 인코딩된 후 DQ 버퍼(26)에 의해 외부로 출력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퓨즈 정보(Fuse Info)에 의한 선택 수단(25)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전달 게이트(T41 내지 T44)중 하나만이 턴온되고, 그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검출기(41 내지 44)의 검출 신호(det0 내지 det3)중 하나만이 외부로 출력된다.
도 5는 도 4의 검출기의 회로도이다.
제 1 NAND 게이트(51)는 입력 신호(in)와 제 2 NAND 게이트(52)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여 논리 조합한다. 제 2 NAND 게이트(52)는 기준 신호(ref)와 제 1 NAND 게이트(51)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논리 조합한다. 여기서, 입력 신호(in)는 제 2 지연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연 신호중 어느 하나이고, 기준 신호(ref)는 제 1 지연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이다. 제 1 전달 게이트(T51)는 제어 신호(act) 및 그 반전 신호(actb)에 따라 구동되어 제 1 NAND 게이트(51)의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제 1 및 제 2 인버터(I51 및 I52)로 구성된 래치(53)는 제 1 전달 게이트(T51)를 통해 전달된 제 1 NAND 게이트(51)의 출력 신호를 래치한다. 그리고, 제 3 인버터(I53)는 래치(53)에 의해 래치된 데이터를 반전시켜 출력하는데, 이 신호가 검출 신호(det)이다.
도 6은 도 2의 인코더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제 1 인버터(I61)는 검출 수단의 제 2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제 2 검출 신호(det2)를 반전시켜 제 1 출력 신호(dout0)를 생성한다. 제 1 NAND 게이트(61)는 제 1 인버터(I61)의 출력 신호와 검출 수단의 제 1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제 1 검출 신호(det1)를 입력하고 논리 조합한다. 제 2 NAND 게이트(62)는 제 2 검출 신호(det2)와 검출 수단의 제 3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제 3 검출 신호(det3)를 입력하고 논리 조합한다. NOR 게이트(63)는 제 1 NAND 게이트(61) 및 제 2 NAND 게이트(62)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논리 조합하여 제 2 출력 신호(dout1)를 출력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선택 수단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로서, 도 7(a)는 퓨즈 신호 생성 수단의 회로도이고, 도 7(b)는 선택 신호 생성 수단의 회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전원 단자(Vcore)와 제 1 노드(Q71) 사이에 제 1 퓨즈(F71)가 접속된다. 제 1 노드(Q7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인에이블 신호(enable)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N71)와 제 2 노드(Q72)의 전위에 따라 구동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N72)가 병렬 접속된다. 제 1 인버터(I71)는 제 1 노드(Q71)의 전위를 반전시켜 제 2 노드(Q72)의 전위를 결정하는데, 제 2 노드(Q72)의 전위는 제 1 퓨즈 신호(fu0)가 된다. 그리고, 제 2 노드(Q72)의 전위는 제 2 인버터(I72)를 통해 반전되어 제 1 퓨즈 바 신호(fu0_b)로서 출력된다.
한편, 전원 단자(Vcore)와 제 3 노드(Q73) 사이에 제 2 퓨즈(F72)가 접속된다. 제 3 노드(Q73)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인에이블 신호(enable)에 따라 구동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N73)와 제 4 노드(Q74)의 전위에 따라 구동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N74)가 병렬 접속된다. 제 3 인버터(I73)는 제 3 노드(Q73)의 전위를 반전시켜 제 4 노드(Q74)의 전위를 결정하는데, 제 4 노드(Q74)의 전위는 제 2 퓨즈 신호(fu1)가 된다. 그리고, 제 4 노드(Q74)의 전위는 제 4 인버터(I74)를 통해 반전되어 제 2 퓨즈 바 신호(fu1_b)로서 출력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1 NAND 게이트(71)는 제 1 퓨즈 바 신호(fu0_b) 및 제 2 퓨즈 바 신호(fu1_b)를 입력하고 논리 조합하고, 제 5 인버터(I75)는 제 1 NAND 게이트(71)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제 3 출력 신호(out2)를 출력한다. 제 2 NAND 게이트(72)는 제 1 퓨즈 바 신호(fu0_b) 및 제 2 퓨즈 신호(fu1)를 입력하고 논리 조합하고, 제 6 인버터(I76)는 제 2 NAND 게이트(72)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제 1 출력 신호(out0)를 출력한다. 제 3 NAND 게이트(73)는 제 1 퓨즈 신호(fu0) 및 제 2 퓨즈 바 신호(fu1_b)를 입력하고 논리 조합하고, 제 7 인버터(I77)는 제 3 NAND 게이트(73)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제 4 출력 신호(out3)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 4 NAND 게이트(74)는 제 1 퓨즈 신호(fu0) 및 제 2 퓨즈 신호(fu1)를 입력하고 논리 조합하고, 제 8 인버터(I78)는 제 4 NAND 게이트(74)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제 2 출력 신호(out1)를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선택 수단은 DQ 버퍼(26)를 통해 입력되는 퓨즈 정보(Fuse Info)에 따라 제 1 및 제 2 퓨즈(F71 및 F72)를 선택적으로 절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검출 수단(23)을 구성하는 다수의 검출기(31 내지 34)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예를들어 퓨즈 정보(Fuse Info)에 따라 제 1 퓨즈(F71)만이 끊어지게 하였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에이블 신호(enable)에 따라 제 1 NMOS 트랜지스터(N71)가 턴온되면 제 1 퓨즈(F71)가 끊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제 1 노드(Q71)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노드(Q71)의 전위는 제 1 인버터(I71)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고,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72)의 전위가 제 1 퓨즈 신호(fu0)의 전위가 된다. 또한, 제 2 노드(Q72)의 전위에 의해 제 2 NMOS 트랜지스터(N72)가 턴온되고, 제 2 노드(Q72)의 전위는 제 2 인버터(I72)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1 퓨즈 바 신호(fu0_b)의 전위가 된다.
한편, 인에이블 신호(enable)에 따라 제 3 NMOS 트랜지스터(N73)가 턴온되면 제 2 퓨즈(F72)는 정상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3 노드(Q73)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노드(Q73)의 전위는 제 3 인버터(I73)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고,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4 노드(Q74)의 전위가 제 2 퓨즈 신호(fu1)의 전위가 된다. 또한, 제 4 노드(Q74)의 전위에 의해 제 4 NMOS 트랜지스터(N74)가 턴오프되고, 제 4 노드(Q74)의 전위는 제 4 인버터(I74)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어 제 2 퓨즈 바 신호(fu2_b)의 전위가 된다.
그리고, 로우 상태의 제 1 퓨즈 바 신호(fu0_b)와 하이 상태의 제 2 퓨즈 바 신호(fu1_b)는 제 1 NAND 게이트(71)에 입력되고, 제 1 NAND 게이트(71)는 이들을 논리 조합하여 하이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NAND 게이트(71)의 출력 신호는 제 5 인버터(I75)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3 출력 신호(out2)가 된다. 로우 상태의 제 1 퓨즈 바 신호(fu0_b)와 로우 상태의 제 2 퓨즈 신호(fu1)는 제 2 NAND 게이트(72)에 입력되고, 제 2 NAND 게이트(72)는 이들을 논리 조합하여 하이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NAND 게이트(72)의 출력 신호는 제 6 인버터(I76)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1 출력 신호(out0)가 된다. 하이 상태의 제 1 퓨즈 신호(fu0)와 하이 상태의 제 2 퓨즈 바 신호(fu1_b)는 제 3 NAND 게이트(73)에 입력되고, 제 3 NAND 게이트(73)는 이들을 논리 조합하여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NAND 게이트(73)의 출력 신호는 제 7 인버터(I77)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어 제 4 출력 신호(out3)가 된다. 로우 상태의 제 1 퓨즈 신호(fu0)와 로우 상태의 제 2 퓨즈 신호(fu1)는 제 4 NAND 게이트(74)에 입력되고, 제 4 NAND 게이트(74)는 이들을 논리 조합하여 하이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4 NAND 게이트(74)의 출력 신호는 제 8 인버터(I78)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2 출력 신호(out1)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검출기를 이용하여 온도 검출 회로가 검출할 수 있는 온도 변화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인코더에 의해 다수의 검출기의 상태를 외부에서 검출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퓨즈 트리밍 정보를 선택 수단을 통하여 검출기에 전달하여 올바른 온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 한개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공정 변화 또는 전압 변화에 따라 트리밍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 검출 회로의 구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온도에 따라 리프레쉬 주기를 달리할 수 있어 스탠바이 전류의 소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온도 검출 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검출 회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 2 지연 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4는 도 2의 검출 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검출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로도.
도 6은 도 2의 인코더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7(a) 및 도 7(b)은 도 2의 선택 수단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 1 지연 수단 22 : 제 2 지연 수단
23 : 검출 수단 24 : 인코더
25 : 선택 수단 26 : DQ 버퍼

Claims (6)

  1.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입력 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 지연된 기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지연 수단;
    상기 입력 신호를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 시간으로 지연시켜 다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지연 수단;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다수의 지연 신호 각각을 비교하여 다수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검출 수단;
    상기 다수의 검출 신호를 소정 수의 출력 신호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퍼;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가능하며, 프로그램 상태에 따라 상기 검출 신호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검출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다수의 지연 신호 각각을 비교하여 다수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검출기;
    상기 검출기와 동수로 구성되며, 상기 선택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검출 신호중 하나만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전달 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검출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절단 가능한 퓨즈를 이용하여 퓨즈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퓨즈 신호 생성 수단;
    상기 다수의 퓨즈 신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선택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선택 신호 생성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검출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신호 생성 수단은 전원 단자와 제 1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절단 가능한 퓨즈;
    상기 제 1 노드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병렬 접속된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그 출력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동시에 퓨즈 신호가 되는 제 1 인버터; 및
    상기 퓨즈 신호를 반전시켜 퓨즈 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검출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다수의 퓨즈 신호 및 그 반전 신호를 논리 조합하기 위한 다수의 NAND 게이트;
    상기 NAND 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각각 반전시켜 상기 선택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검출 회로.
  6.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입력 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 지연된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지연 수단;
    상기 입력 신호를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 시간으로 지연시켜 다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지연 수단;
    다수의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는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다수의 지연 신호 각각을 비교하여 다수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
    상기 다수의 검출 신호를 소정 수의 출력 신호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퍼; 및
    절단 가능한 다수의 퓨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퓨즈를 절단하고, 상기 퓨즈의 상태에 따른 퓨즈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검출기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검출 회로.
KR10-2003-0034128A 2003-05-28 2003-05-28 온도 검출 회로 KR10050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128A KR100501634B1 (ko) 2003-05-28 2003-05-28 온도 검출 회로
US10/732,430 US6967521B2 (en) 2003-05-28 2003-12-10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128A KR100501634B1 (ko) 2003-05-28 2003-05-28 온도 검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607A KR20040102607A (ko) 2004-12-08
KR100501634B1 true KR100501634B1 (ko) 2005-07-18

Family

ID=3344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128A KR100501634B1 (ko) 2003-05-28 2003-05-28 온도 검출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67521B2 (ko)
KR (1) KR100501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6039B2 (en) * 2005-07-08 2007-09-04 Winbond Electronics Corp. Circuitry and method for adjusting signal length
KR100689711B1 (ko) * 2005-08-12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 센싱 회로 및 그에 따른 온도 센싱 방법
KR101190683B1 (ko) * 2010-10-29 2012-10-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그의 신호 지연 방법,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신호 생성 방법
TW201317551A (zh) * 2011-10-19 2013-05-01 Ili Technology Corp 溫度感測裝置
KR20150051471A (ko) * 2013-11-04 2015-05-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6658A (ja) * 1992-01-21 1993-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度検知回路およびダイナミッ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装置
JP2001014896A (ja) * 1999-06-24 2001-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2358799A (ja) * 2001-05-30 2002-12-13 Nec Microsystems Ltd セルフリフレッシュ機能を備えた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KR100363103B1 (ko) * 1998-10-20 2003-02-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셀프 리프레쉬 발진기
KR20040055902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 디텍터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9006B1 (en) * 1992-06-26 2002-09-10 Apollo Camera, Llc LED illumination system for endoscopic cameras
JP3224286B2 (ja) * 1992-11-02 2001-10-2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超音波を用いた温度測定装置
US5994937A (en) * 1996-11-06 1999-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mperature and power supply adjusted address transition detector
JPH11238990A (ja) * 1998-02-19 1999-08-31 Murata Mfg Co Ltd 放射ノイズ抑制部品
US6876623B1 (en) * 1998-12-02 2005-04-05 Agere Systems Inc. Tuning scheme for code division multiplex broadcasting system
JP3696077B2 (ja) * 2000-11-13 2005-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圧変換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621320B2 (en) * 2001-03-28 2003-09-16 Intel Corporation Vcc independent time delay circuit
WO2003009590A1 (en) * 2001-07-19 2003-01-30 Thomson Licensing S.A. Fade resistant digit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6646488B2 (en) * 2002-02-21 2003-11-11 Broadcom Corporation Delay circuit with delay relatively independent of 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variations
US6593791B1 (en) * 2002-04-03 2003-07-15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Precision digital delay element having stable operation over varied manufacturing processes and environmental operating conditions
JP3919176B2 (ja) * 2002-05-28 2007-05-23 シャープ株式会社 補正回路、遅延回路およびリングオシレータ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6658A (ja) * 1992-01-21 1993-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度検知回路およびダイナミッ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装置
KR100363103B1 (ko) * 1998-10-20 2003-02-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셀프 리프레쉬 발진기
JP2001014896A (ja) * 1999-06-24 2001-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2358799A (ja) * 2001-05-30 2002-12-13 Nec Microsystems Ltd セルフリフレッシュ機能を備えた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KR20040055902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 디텍터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39371A1 (en) 2004-12-02
KR20040102607A (ko) 2004-12-08
US6967521B2 (en)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4680B2 (en) Ring based impedance control of an output driver
KR100652362B1 (ko) 정상동작에서는 고정된 카스 레이턴시를 갖고테스트시에는 다양한 카스 레이턴시로 테스트 가능한반도체 메모리 장치
GB2286911A (en) Data output buffer control circuit
KR100501634B1 (ko) 온도 검출 회로
KR100904425B1 (ko) 스큐 보상 회로
US20110208471A1 (en) Synchronous multi-temperature sensor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KR100543912B1 (ko) 안티퓨즈를 이용하여 동작 타이밍 조절이 가능한 반도체장치
KR100780765B1 (ko) 반도체 장치
US6570796B2 (en) Wafer burn-in test and wafer test circuit
US7525863B2 (en) Logic circuit setting optimization condition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regardless of fuse cut
JPH10334668A (ja) 半導体メモリ素子の感知増幅器インエーブル信号発生回路
KR100599215B1 (ko) 시그너쳐 회로 및 시그너쳐 정보 독출방법과 이를 이용한반도체 칩
US6778456B2 (en)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KR100543193B1 (ko) 어드레스신호의 처리시간이 단축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65600B1 (ko) 워드라인 신호 제어장치
KR100919807B1 (ko) 기준전압 생성회로
KR100997430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23809B1 (ko) Io 제어회로의 바이패스부
KR101043739B1 (ko) 집적회로
KR101096205B1 (ko) 반도체 장치
KR20010061480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용 입력버퍼
KR101735706B1 (ko) 반도체 소자의 파워업 신호 생성 회로
KR19990085079A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동작모드결정회로
JPH03203897A (ja) 半導体メモリ
KR2008002281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이 식별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