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907B1 - 조립식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907B1
KR100497907B1 KR10-2003-0065505A KR20030065505A KR100497907B1 KR 100497907 B1 KR100497907 B1 KR 100497907B1 KR 20030065505 A KR20030065505 A KR 20030065505A KR 100497907 B1 KR100497907 B1 KR 10049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oker
cooking
top plat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955A (ko
Inventor
코이케토시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조리 냄비를 여유를 갖고 동시에 사용하여 조리할 수 있고, 게다가 하나의 가열부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다른 조리의 방해가 되지 않는 사용하기에 편리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테두리(6) 및 이 지지 테두리(6)에 고정된 톱 플레이트(5), 이 톱 플레이트(5)가 천면 개구부에 부착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가열부, 이 가열부의 출력 등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마련되고, 외부에 제어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주 조작부(10)를 구비한 주 가열 조리기(2)와, 테두리체(32) 및 이 테두리체(32)에 고정된 부 톱 플레이트(33), 이 부 톱 플레이트가 부 천면 개구부에 부착된 저판(31)의 내부에 부 가열부가 마련된 부 가열 조리기(30)를 구비하고, 주 가열 조리기(2)를 톱 플레이트(5)가 싱크대(100)의 천판(101)상에 노출하도록 싱크대(100)에 조립함과 함께, 부 가열 조리기(30)를 주 가열 조리기(2)에 인접하여 싱크대(100)의 천판(101)상에 설치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열 조리기{Built-in type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본 발명은 복수의 가열 수단을 가지며, 싱크대에 조립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 가열 조리기를 구비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 톱 플레이트와, 상기 톱 플레이트의 아래쪽에 마련된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과, 각각에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을 구동하는 인버터 회로부를 마련한 복수의 구동 회로 기판과,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 송풍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는 모터와, 로스터와, 상기 유도 가열 코일과 로스터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유도 가열 코일, 상기 구동 회로 기판, 상기 팬, 상기 모터, 상기 로스터, 상기 조작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곽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부착하고, 각 구동 회로 기판의 인버터 회로부를 팬의 부근에 마련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2001-267054호 공보(제 4 내지 5면, 도 1 내지 3)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복수의 가열부를 갖는 종래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서는 싱크대의 천판에 개구되는 가열 조리기를 조립하기 위한 수용 개구부는 크기가 통일되어 있고, 각 가열부간의 거리를 크게 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큰 조리 냄비 등을 동시에 사용하고 싶는 때 등은 조리 냄비, 특히 손잡니가 옆의 조리 냄비나 손잡이에 접촉하거나, 조리 냄비의 처리가 매우 불편하였고, 또한 조리 냄비끼리가 충돌하여 삶는물건이 엎지러지거나 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조리 냄비를 장시간 톱 플레이트상에 재치하여 두면, 다른 조리 냄비를 사용할 때 방해가 되거나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조리 냄비에 어떠한 이유로 외력이 가하여지면, 조리 냄비가 가열부상의 소정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버려서, 가열 효율의 저하가 생기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열 조리기는 예를 들면 시판의 조리 냄비로 취반 등을 행하는 경우, 짓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후 자동적으로 뜸들임니나 보온용의 소정 온도 제어로 이행하지 않기 때문에 재차 스위치 조작이 필요하였다. 그 때문에 매우 번잡하고, 가사에 바쁜 경우 등에서는 잊어버려 밥이 식을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조리 냄비를 여유를 갖고 동시에 사용하여 조리할 수 있고, 게다가 하나의 가열부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다른 조리의 방해가 되지 않는 사용하기에 편리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는 지지 테두리 및 해당 지지 테두리에 고정된 톱 플레이트, 해당 톱 플레이트가 천면 개구부에 부착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가열부, 해당 가열부의 출력 등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마련되고, 외부에 상기 제어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주 조작부를 구비한 주 가열 조리기와, 테두리체 및 해당 두리체에 고정된 부 톱 플레이트, 해당 부 톱 플레이트가 부 천면 개구부에 부착된 저판의 내부에 부 가열부가 마련된 부 가열 조리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 가열 조리기를 상기 톱 플레이트가 싱크대의 천판상에 노출하도록 해당 싱크대에 조립함과 함께, 상기 부 가열 조리기를 상기 주 가열 조리기에 인접하여 상기 싱크대의 천판상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제1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열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주 가열 조리기와 부 가열 조리기의 일체 구조의 한 예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싱크대(100)에 조립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이고, 2는 주 가열 조리기, 30은 본 주 가열 조리기(2)의 한쪽의 측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싱크대(100)의 천판(101)상에 재치된 부 가열 조리기이다.
주 가열 조리기(2)는 천면이 개구되고 상단부 외주에, 주연(周緣)에 주벽(周壁)(4a)을 갖는 플랜지(4)가 마련된 상자 모양의 본체 케이스(3)와, 주벽(6b)을 가미며 개구부(6a)가 마련되고, 하면에 예를 들면 세라믹스 플레이트와 같은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톱 플레이트(5)가, 개구부(6a)를 덮고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 지지 테두리(6)를 가지며, 이 지지 테두리(6)는 본체 케이스(3)에 그 천면 개구부를 덮고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톱 플레이트(5)의 윗면에는 후술하는 가열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리 냄비(90)나 프라이팬 등의 조리구(이하, 조리 냄비(90)라고 한다)의 재치 위치를 표시하는 재치부(7a, 7b)가 마련되어 있고, 재치부(7a, 7b)의 부근에는 출력 표시부(8a, 8b)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의 앞면측의 한쪽의 측에는 핸들(9a)을 갖는 서랍식의 로스터(9)가 마련되어 있고, 로스터(9)에 인접하여,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11a), 출력 조정 다이얼(11b)이나 예약 타이머 스위치(11c), 취반 스위치, 삶기 스위치 등의 각종의 조작 스위치(12), 표시부(13) 등을 갖는 주 조작부(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주 조작부(10)에, 부 가열 조리기(30)의 출력 조정 다이얼, 예약 타이머 스위치 그 밖의 조작 스위치를 아울러서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 테두리(6)의 후부측의 한쪽의 구석에는 톱 플레이트(5)가 절단 제거되어 외기를 본체 케이스(3) 내로 흡인하는 흡기구(14)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 케이스(3)의 측벽 및 앞벽에는 배기구(15)가 마련되어 있다. 16은 지지 테두리(6)의 앞면측에서, 재치부(7a, 7b)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력 조정 스위치 등을 갖는 보조 조작부이다.
톱 플레이트(5)에 마련한 조리 냄비(90)의 재치부(7a, 7b)의 아래에는 톱 플레이트(5)의 하면측에서, 코일 대(21)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유도 가열 코일(22)이 배설된 가열부(20a, 20b)가 마련되어 있다. 23은 가열부(20a, 20b)의 중심부에 각각 마련되고, 톱 플레이트(5)의 하면에 맞닿아서 재치부(7a, 7b)상에 재치된 조리 냄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이다. 또한, 이 가열부(20a, 20b)는 일부가 저항선으로 이루어지는 히터라도 좋다.
24는 전원부, 25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가열부(20a, 20b)의 출력 제어 회로나 예약 타이머 제어 회로(25a)(도 7 참조) 등이 마련된 제어부이고, 부 가열 조리기(30)의 후술하는 부 가열부(45)의 제어 회로도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부(25)는 각 가열부(20a, 20b)나 후술하는 부 가열부(45)마다 마련하여도 좋고, 이들을 일괄하여 하나의 제어부(25)로 하여도 좋다. 26은 흡기구(14)로부터 외기를 흡인하고, 가열부(20a, 20b), 전원부(24), 제어부(25) 등을 냉각하고, 배기구(15)로부터 배출하는 냉각용 송풍기이다.
30은 주 가열 조리기(2)와 일체로 구성된 박형의 부 가열 조리기이고, 주 가열 조리기(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천면이 개구되고 해당 하면이 플랜지(4)의 하면과 거의 동일 평면(다리부(31b)를 마련한 경우는 다리(31b)의 하단부를 플랜지(4)의 하면과 동일 평면으로 한다)이고, 주벽(31a)이 마련된 저판(31)과, 천면에 개구부(32a)를 가지며, 주벽(32b)이 마련되고 저판(31)에 부착된 단면 ㄷ자 형상의 테두리체(32)를 가지며, 테두리체(32)의 하면에는 개구부(32a)를 덮고 조리 냄비(90)의 재치부(34), 화력 표시부(35)가 마련된 비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부 톱 플레이트(33)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36은 테두리체(32)의 뒷부분에 마련한 외기의 흡입구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저판(31)의 주 가열 조리기(2)측의 측벽(31a)에는 주 가열 조리기(2)의 본체 케이스(3)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다른쪽의 측벽(31a)(테두리체(32)의 측벽(32b)을 포함한다)에는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톱 플레이트(33)에 마련한 재치부(34)의 뒷부분측의 테두리체(32)의 윗면에는 재치부(34)상에 재치된 조리 냄비(90)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부(37)가 마련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37)는 소정의 간격으로 세워진 한 쌍의 가이드 벽(38a, 38b)과, 가이드 벽(38a, 38b)의 사이에 마련된 개구부(39)로 이루어저 있다. 40은 테두리체(32)의 앞면측 윗면에 마련한 부 조작부이고, 후술하는 부 가열부(45)의 화력 조정 스위치, 예약 타이머 스위치 등이 마련되어 있고, 필요에 응하여 취반 스위치나 삶기 스위치 또한 표시부가 마련된다.
부 톱 플레이트(33)의 재치부(34)의 아래에는 부 톱 플레이트(33)의 하면측에서, 코일 대(46)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유도 가열 코일(47)이 배설된 부 가열부(45)가 마련되어 있고, 유도 가열 코일(47)의 중심부에는 온도 센서(4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부 가열부(4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 가열 조리기(2)에 마련한 제어부(25)로 제어되지만, 부 가열 조리기(30) 내에 전용의 부 제어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부 가열부(45)의 냉각은 주 가열 조리부(2)에 마련한 냉각용 송풍기(26)로 행하여도 좋고, 또는 부 가열 조리부(30) 내에 전용의 냉각용 송풍기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주 가열 조리기(2)의 제어부(25)에 마련한 부 가열 조리기(30)의 제어 회로, 또는 부 가열 조리기(30)에 마련한 전용의 부 제어부에는 쌀 또는 그 밖의 조리물을 비등시킨 후 자동적으로 소정의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보온 모드 회로인 보온이 되는 취반 모드 회로 및 필요에 응하여 보온이 되는 삶기 모드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주 가열 조리기(2)와 부 가열 조리기(30)의 일체화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지지 테두리 및 테두리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본체 케이스 및 저판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 가열 조리기(2)의 지지 테두리(6)와 부 가열 조리기(30)의 테두리체(32)를, 테두리체(32)의 윗면을 지지 테두리(6)보다 윗쪽에 위치시켜서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즉, 개구부(6a) 및 주벽(6b)을 갖는 지지 테두리(6)와 테두리체(32)와의 경계부를 비스듬히 윗쪽에 연장하여 경사면(6c)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6c)의 상부를 지지 테두리(6)의 천면과 평행한 천면으로 하고, 개구부(32a) 및 주벽(32b)을 갖는 테두리체(32)를 형성하여 양자를 일체로 한 지지 테두리 프레임(S)을 구성하고, 개구부(6a, 32a)의 하면에 비자성재로 이루어지는 톱 플레이트(5) 및 부 톱 플레이트(33)를 각각 부착한 것이다. 또한, 본체 프레임(3)의 플랜지(4)의 주벽(4a)보다 높은 주벽(31a)을 갖는 단면이 거의 ㄷ자 형상의 저판(31)의 주 가열 조리기(2)측의 주벽(31a)을, 본체 프레임(3)의 플랜지(4)의 주벽(4a)에 맞대어서 고정함과 함께, 맞닿은 플랜지(4)의 주벽(4a)과 저판(31)의 주벽(31a)에, 통풍이나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3a, 41)을 마련하여 본체 박스(B)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체 프레임(3)의 플랜지(4)의 저면과, 저판(31)에 마련한 다리부(31b)의 하면은 거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박스(B)의 윗면에 지지 테두리 프레임(S)을 위치시키고, 그 주벽(6b, 32b)을 본체 박스(B)의 주벽(4a, 31a)의 외주에 끼워맞춘다. 이 때, 본체 케이스(3)와 저판(31)의 접합부의 상단부는 지지 테두리(S)의 경사면(6c)에 맞닿는다.
이 경우, 지지 프레임(S)의 지지 테두리(6)와 테두리체(32)와의 경계부를 경사면(6c)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냄비(90) 등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경계부에 조리 냄비(90) 등이 닿거나 삶는물건이 엎지러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5의 16a, 16b는 보조 조작부(16)의 부착부, 40a는 부 조작부(40)의 부착부이다. 또한, 도 6의 3a는 로스터(9)의 부착부, 3b는 주 조작부(10)의 부착부이다.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전기계의 개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95)으로부터의 전력은 전원 스위치(11a)를 통하여 전압 강하용 부품이나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25), 주 조작부(10)에 가하여지고, 주 조작부(10)의 조작 스위치(12)를 전환함으로써, 주 가열 조리기(2)의 가열부(20a, 20b), 부 가열 조리기(30)의 부 가열부(45)의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통전된다. 25a는 제어부(25)에 마련한 예약 타이머 제어 회로, 11c는 주 조작부(10)에 마련한 예약 타이머 스위치이다. 또한, 전원(95)에는 상용 전원(100V)을 이용하여도 좋지만, 고전압의 200V 이상의 전원을 사용하면, 동시에 복수의 가열부(20a, 20b) 및 부 가열부(45)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고출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싱크대(100)의 천판(101)과 앞면판(102)에 개구하는 수납 오목부(103) 내에 천판 개구부(104)로부터 주 가열 조리기(2)의 본체 케이스(3)가 수용되고, 플랜지(4)가 수납 오목부(103)의 주연에 걸어서 설치되고, 지지 테두리(6)는 천판(101)상에 위치하고, 주 조작부(10) 등은 앞면 개구부(105)에 위치한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는 수납 오목부(103)에 인접하고, 주 가열 조리기(2)와 나란히 하여 천판(101)상에 설치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사용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 가열 조리기(2)의 부 가열 조리기용의 제어부(25) 또는 부 가열 조리기(30)에 마련한 제어부에는 보온 모드 회로인 보온이 되는 취반 모드 회로 및 필요에 응하여 보온이 되는 삶기 모드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보온이 되는 취반 모드 회로에 의한 취반용 제어 패턴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가열 조리기(30)의 유도 가열 코일(47)에 통전하여 쌀, 물이 넣어진 조리 냄비(90)를 발열시켜서 가열하고, 조리 냄비(90)의 온도가 100℃ 부근에 달한 때(이것은 온도 센서(48)로 검출되다)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그 온도를 소정 시간(T) 유지하여 취반를 종료시키고, 그 후 그 온도를 서서히 저하시켜서 거의 73℃ 정도에서 보온한다.
또한, 보온이 되는 삶기 모드 회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가열 조리기(30)의 유도 가열 코일(47)에 통전하고, 삶는물건, 물, 조미료 등이 넣어진 조리 냄비(90)를 발열시켜서 가열하고, 조리 냄비(90)의 온도가 100℃ 부근에 달한 때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그 온도를 소정 시간(t)(이 시간(t)은 일반적으로 t < T이다) 유지하여 푹삶는 공정을 종료시키고, 이 후 해당 온도를 서서히 저하시켜서 예를 들면 80℃ 내지 85℃로 보온(저온 가열)한다.
쌀을 취반하는 경우는 소요량의 쌀과 물이 넣어진 조리 냄비(90)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가열 조리부(30)의 부 톱 플레이트(33)의 재치부(34)상에 재치한다. 계속해서 주 조작부(10)의 전원 스위치(11a)를 투입하고, 조작 스위치(12) 중의 취반 스위치를 ON 하면, 제어부(25)(또는 부 가열 조리기(30)에 마련한 부 제어부)를 통하여 부 가열부(45)의 유도 가열 코일(47)에 통전된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의 부 조작부(40)에 취반 스위치를 마련한 경우는 이것을 조작함으로써 다른 조작 스위치와 실수하는 일이 없다. 이 때, 주 조작부(10)에 마련한 예약 타이머 스위치(11c) 또는 부 조작부(40)에 마련한 예약 타이머 스위치에 의해 예약 타이머를 발동시키면, 표시부(13)에 취반의 잔여 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예약 타이머 스위치에 의해, 부 가열부(45)에의 통전시간을 미리 세트하여 두어도 좋다. 이로써, 도 9에 도시한 취반용 제어 패턴에 따라서 취반되고, 자동적으로 보온된다.
또한, 주 가열 조리기(2)의 재치부(7a, 7b)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예를 들면 삶는물건이나 조미료가 넣어진 조리 냄비(90)를 재치하고 주 조작부(10)의 삶기 스위치를 ON 하면, 취반과 동시에 1개 또는 2개의 조리 냄비(90)에 의해 조리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삶기 등의 조리에서는 보조 조작부(16)로 화력을 조정할 수 있고, 그 조정 출력은 표시부(8a, 8b)에 표시된다. 이 때, 본체 케이스(3) 내에 마련한 냉각용 송풍기(26)에 의해 흡기구(14, 36)로부터 흡인된 외기에 의해 가열부(20a, 20b), 제어부(25), 부 가열부(45) 등이 냉각되고, 배기구(15) 등으로부터 배기된다.
이 경우, 조리 냄비(90)의 외벽 하부에, 선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된 거의 L자 형상의 위치 결정 감합부(도 13 참조)를 마련하고, 조리 냄비(90)를 재치부(34)상에 재치하는 때에, 이 위치 결정 감합부를 가이드부(37)의 가이드 벽(38a, 38b)의 사이 및 개구부(39)에 끼워넣으면, 조리 냄비(90)를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재치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부 가열 조리기(30)에 의해 취반하는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마찬가지로 하여 쌀 이외의 삶는물건 등의 조리를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삶는물건, 물, 조미료 등이 넣어진 조리 냄비(90)를 재치부(34)상에 재치하고, 주 조작부(10)의 삶기 스위치(또는 부 조작부(40)의 삶기 스위치)를 ON 하면, 도 10에 도시한 삶기용 조리 패턴에 따라 조리되고, 자동적으로 보온(저온 가열)된다. 또한, 조리 냄비(90)를 취반용과 삶기용으로 나누면, 냄새가 남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 가열 조리기(2)에 인접하여 부 가열 조리기(30)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종래, 톱 플레이트에 3개의 조리 냄비(90)을 재치하고 있던 가열 조리기에 비하여, 가열부(20a, 20b) 및 부 가열부(45)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큰 조리 냄비(9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각 조리 냄비(90)의 처리도 용이하고, 인접하는 조리 냄비(90)나 손잡이에 닿는 일이 감소한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을 별도로 마련하였기 때문에, 장시간 전용으로 사용하여도 다른 일반 조리의 방해가 되지 않는 등, 사용하기에 편리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 가열 조리기(2)의 톱 플레이트(5)에는 종래와 같이 3개의 조리 냄비(90)를 재치할 수 있도록 하고, 부 가열 조리기(30)에 별도의 조리 냄비(90)를 재치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큰 스페이스를 차지하는 제어부(25)를 주 가열 조리기(2)에 마련하고, 부 가열 조리기(30)의 부 가열부(45)를 이 제어부(25)로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부 가열 조리기(30)를 얇고, 또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를 싱크대(100)의 천판(101)상에 재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싱크대(100)에 부 가열 조리기(30)의 전용 수납 오목부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일반적인 싱크대(100)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싱크대에도 세트할 수 있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를 주 가열 조리기(2)와 동시에 싱크대(100)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주 가열 조리기(2)의 주 조작부(10)에, 부 가열 조리기(30)를 포함한 모두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에 부 가열부(45)를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갖는 부 조작부(40)을 마련하면, 다른 가열부(20a, 20b)와 잘못 조작하는 일이 없고, 편리하다.
또한, 취반이나 푹삶기 등 비등 후의 보온이 필요한 조리에서는 비등 후 특별하게 조작부를 조작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보온 온도로 이행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보온 온도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화시키도록 보온 온도 제어 스위치 등을 마련함으로써, 요리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는 주 가열 조리기(2)의 전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러 콘센트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특히, 200V 등 고압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특별한 공사가 필요없고 유리하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의 속길이를 주 가열 조리기(2)의 속길이보다 L만큼 단축하여 앞면측을 띄우면, 싱크대(100)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하고 조리 냄비를 재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부 가열 조리기 부분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조리 냄비(취반기)의 외관 사시도 및 그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제1의 실시예과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주 가열 조리기(2)의 구성은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음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의 구성도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지만, 테두리체(32) 내에는 쌀 또는 그 밖의 조리물을 비등시킨 후 소정의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보온 모드 회로인 보온이 되는 취반 모드 회로, 및 필요에 응하여 보온이 되는 삶기 모드 회로, 또한 예약 타이머 회로(50a)가 마련된 부 제어부(50), 및 부 냉각용 송풍기(5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37)의 개구부(39) 내에는 가동 단자판으로 이루어지고, 부 제어부(50) 및 부 가열부(45)의 유도 가열 코일(47)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급전부(52a, 52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36은 테두리체(32)의 뒷벽에 마련한 흡기구, 49는 마찬가지로 앞벽에 마련한 배기구이지만, 배기구(49)는 테두리체(32)의 측벽에 마련하여도 좋다.
60은 부 가열 조리기(30)를 이용하여 주로 취반용으로 이용되는 조리 냄비(이하, 취반기라고 한다)이고,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그 하부가 비자성재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개구한 거의 통 형상의 내벽(62) 및 공간부(63a)를 통하여 내벽(62)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벽(63)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의 냄비 용기(61)와, 자성재로 이루어지고, 상부 외주에 플랜지(64a)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속냄비(64)를 가지며, 속냄비(64)는 냄비 용기(61) 내에 삽탈 자유롭게 수용되고 해당 플랜지(64a)가 냄비 용기(61)의 상단부(62a)에 걸리고, 그 저면(64b)은 냄비 용기(61)의 하단부로부터 노출한다.
냄비 용기(61)의 내벽(62)의 하부 외주에는 보조 가열체인 유도 가열 코일로 이루어지는 바닥측면 가열체(65)가 코일 형상으로 적층하여 마련되어 있고, 또한, 상부에는 보조 가열체인 히터로 이루어지는 상측면 가열체(66)가 마련되어 있다.
67은 냄비 용기(61)의 하부에서, 내벽(62)과 외벽(63) 사이의 공간부(63a) 내에서, 바닥측면 가열체(65)의 외측에 마련된 비자성재로 이루어지는 거의 통 형상의 스커트 부재이고, 취반기(60)를 부 톱 플레이트(33)상에 재치한 때에, 그 선단부도 부 톱 플레이트(33)에 맞닿아 냄비 용기(61)를 지지하고, 냄비 용기(61)의 하단부로부터 노출하여 있는 속냄비(64)의 저면(64b)을, 부 톱 플레이트(33)에 확실하게 맞닿게 하여 효율적으로 발열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속냄비(64)의 저면(64b)과 스커트 부재(67)의 하단부는 동일 평면이거나 또는 스커트 부재(67)의 하단부가 약간 윗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커트 부재(67)를 마련함으로써, 냄비 용기(61)의 하단부와 부 톱 플레이트(33) 사이에 형성된 빈틈을 차폐하여 외부로부터의 공기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한 열이 외부로 도망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측면 가열체(65)로부터 발생하는 자기를 차폐하고, 외부로의 자속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68은 냄비 용기(61)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로, 손잡이(70)를 갖는 윗뚜껑(69), 윗뚜껑(69)에 부착된 아래뚜껑(71), 아래뚜껑(7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속뚜껑(72)으로 이루어지고, 덮개체(68)의 중심부에는 속냄비(64) 내로 연통하는 한 증기 빼기 밸브(73)가 마련되어 있다. 74는 아래뚜껑(72)에 마련한 뚜껑 히터이다. 또한, 윗뚜껑(69)의 윗면에는 취반 스위치(75a), 삶기 스위치(75b), 예약 타이머 스위치(도시 생략), 표시부(75c) 등을 가지며, 부 제어부(50)를 제어하는 취반기 조작부(7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덮개체(68)는 일단에 마련한 힌지(76)에 의해 냄비 용기(61)에 개폐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닫은 때는 래치(77)에 의해 로크된다.
또한, 상기한 취반기 조작부(75)는 덮개체(68)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냄비 용기(61)의 외주면 등, 다른 장소에 마련하여도 좋다.
78은 덮개체(68)에 마련한 취반기 조작부(75)와 반대측에서, 냄비 용기(61)의 외벽(63)의 하부로부터 돌출한 위치 결정 감합부이고,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저서 계합부(79)가 마련된 측면 거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감합부(78)는 그 폭이 부 가열 조리기(30)에 마련한 가이드부(37)의 가이드 벽(38a, 38b)의 내측 간격과 거의 같고, 계합부(78)는 가이드부(37)의 개구부(39)에 걸어맞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단자판으로 이루어지고, 부 가열 조리기(30)의 가이드부(37)에 마련한 급전부(52a, 52b)에 접속되는 한 쌍의 수전부(80a, 80b)가 마련되어 있고, 이 수전부(80a, 80b)의 사이에는 취반기 조작부(75)를 통하여 보조 가열체(65, 66) 및 뚜껑히터(7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급전부(52a, 52b) 및 수전부(80a, 80b)는 각 한 쌍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기기에서는 각각 다수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급전부(52a, 52b)는 수전부(80a, 80b)의 전기적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자석 등(도시 생략)을 이용하여도 좋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전기계의 개요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95)에는 전원 스위치(11a), 제어부(25), 주 조작부(10)를 경유하여 주 가열 조리기(2)의 가열부(20a, 20b)의 유도 가열 코일(22)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부 가열 조리기(30)의 가이드부(37)에 마련한 한쪽의 급전부(52a)는 부 제어부(50)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급전부(52b)는 일단이 전원(95)에 접속된 부 가열부(45)의 유도 가열 코일(47)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 3의 급전부(52c)는 전원(9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취반기(60)의 위치 결정 감합부(78)에 마련한 수전부(80a)는 취반기 조작부(75)를 통하여 수전부(80b) 및 보조 가열체(65, 66), 뚜껑 히터(74)를 통하여 제 3의 수전부(80c)에 접속되어 있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전기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부 가열 조리기(30)의 한쪽의 급전부(52a)는 부 제어부(50)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급전부(52b)는 전원(9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취반기(60)의 위치 결정 감합부(48)에 마련한 수전부(80a, 80b)의 사이에는 취반기 조작부(75) 및 부 가열부(45)의 유도 가열 코일(47)과 보조 가열체(65, 66), 뚜껑 히터(74)의 병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의 급전부(52c), 수전부(80c)를 마련하여 부 가열 조리기(45)의 유도 가열 코일(47)을 전원(95)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전기계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95)에 200V 등의 고압 전원을 사용하면, 복수의 가열부(20a, 20b) 및 부 가열부(45)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출력이 얻어져서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부 가열 조리기(2)에 의해 보조 가열체(55, 56)나 뚜껑 히터(74)을 구비한 취반기(50)에 의해 취반이나 조리를 행하는 경우는 안전성의 면에서 부 가열 조리기(30)에는 저압인 100V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200V 전원을 사용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1)에서, 부 가열 조리기(30)의 입구측(급전부(52a)의 상류측)에 전압 강하 수단의 하나인 변압기(81)를 마련하고, 부 가열 조리기(30)에의 공급 전압을 100V로 강하시킨 것으로, 이로써, 부 가열 조리부(45)의 부 제어부(50), 유도 가열 코일(47), 보조 가열체(65, 66) 및 뚜껑히터(74)에 100V 전압을 통전하게 한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사용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취반기(60)에 의해 쌀을 취반하는 경우는 소요량의 쌀과 물이 넣어진 속냄비(64)를 냄비 용기(61) 내에 수용하고 덮개체(68)을 닫고, 부 가열 조리기(30)의 부 톱 플레이트(33)의 재치부(34)상에 재치한다. 이 때, 속냄비(64)의 저면(64b)은 스커트 부재(67)의 하단부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속냄비(64)의 저면(64b)은 부 톱 플레이트(33)에 확실하게 맞닿는다. 동시에, 위치 결정 감합부(78)가 가이드부(37)의 가이드 벽(38a, 38b)의 사이에 끼워들어가고, 계합부(79)가 개구부(39)에 끼워맞추어져서 수전부(80a, 80b)가 급전부(52a, 52b)에 자동적으로 접속되고, 밥솥(60)은 소정의 위치(재치부(34)상)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뒤이어, 주 조작부(10)의 전원 스위치(11a)를 투입하고, 취반기(60)의 취반기 조작부(75)의 취반 스위치(75a)를 ON 하면, 부 제어부(50)를 통하여 부 가열부(45)의 유도 가열 코일(47)에 통전되고, 또한, 보조 가열체(55, 56) 및 뚜껑 히터(74)에도 통전된다. 이 때, 예약 타이머 스위치를 ON 하여 예약 타이머를 발동시키면, 취반기 조작부(75)의 표시부(75c)에 취반의 잔여 시간이 표시되다. 또한, 예약 타이머에 의해 통전 시각을 세트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도 9의 취반용 제어 패턴에 따라서 취반되고, 자동적으로 보온된다. 이 때, 부 냉각용 송풍기(51)에 의해 흡기구(36)로부터 흡인된 외기에 의해 부 가열부(45)나 부 제어부(50) 등이 냉각되고, 배기구(49)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취반기 조작부(75)에 마련한 취반 스위치(75a)를 조작하여 취반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주 조작부(10)에 부 가열 조리기(30)의 취반 스위치나 예약 타이머 스위치를 마련하고 조작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부 가열 조리기(30)의 부 조작부(40)에 취반 스위치나 예약 타이머 스위치를 마련하여 조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주 가열 조리기(2)의 재치부(7a, 7b)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예를 들면 삶는물건, 물, 조미료 등이 넣어진 조리 냄비(90)를 재치하고, 주 조작부(10)의 조리용 스위치를 ON 하면, 취반과 동시에 1개 또는 2개의 조리 냄비(90)에 의해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삶는물건 등의 조리에서는 보조 조작부(16)에 의해 화력을 조정할 수 있고, 그 조정 출력은 표시부(8a, 8b)에 표시된다. 또한, 예약 타이머(11c)를 세트한 경우는 그 발동 시각 또는 잔여 시간이 표시부(13)에 표시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취반기(60)에 의해 쌀을 취반하는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마찬가지로 하여 취반기(60)에 의해 쌀 이외의 삶는물건 등의 조리를 행할 수가 있다.
이 경우는 냄비 용기(61)에 삶는물건, 물, 조미료 등이 넣어진 속냄비(64)를 수용하여 취반기(60)를 재치부(34)상에 재치하고, 취반기 조작부(75) 등의 삶기 스위치(75b)를 ON 하면, 도 10의 삶기용 제어 패턴에 따라 조리되고, 자동적으로 보온(저온 가열)된다. 또한, 속냄비(64)를 취반용과 삶기용으로 나누면, 냄새가 남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보온(저온 가열)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여러가지의 요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냄비(64)의 주위를 위치 결정 감합부(78)를 갖는 냄비 용기(61)로 덮는 전용의 취반기(60)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취반기(60)를 부 톱 플레이트(34)에 재치할 뿐으로 전기적 접속을 행할 수가 있고, 또한, 속냄비(64)의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취반기(60)의 속냄비(64)의 주위에 보조 가열체(65, 66)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취반기(60)에 의해 취반이나 삶기 등의 일반의 조리를 행하는 경우, 속냄비(64)의 거의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기 때문에 가열의 고르지 못함이 없고,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보온성(저온 가열)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라도 따뜻한 밥이나 요리를 먹을 수 있다.
또한, 취반기(60) 자체에 취반 스위치(75a), 삶기 스위치(75b), 예약 타이머 스위치, 표시부(75c) 등을 갖는 취반기 조작부(75)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른 조작 스위치와 잘못 아는 일도 없다.
제3의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본체 박스의 사시도이다. 또한, 제1의 실시예, 2와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주 가열 조리기(2)의 톱 플레이트(5)와 부 가열 조리기(30)의 부 톱 플레이트(33)를 거의 동일 평면상에 배설한 것으로, 그 밖의 구성은 제1의 실시예 또는 2의 경우와 거의 같다.
본 실시예는 주 가열 조리기(2)의 본체 박스(B)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3)와, 부 가열 조리기(30)의 저판(31)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의 주위에 주벽(4a)을 마련함과 함께, 본체 케이스(3)와 저판(31)과의 경계 부근에, 개구부(41)를 갖는 격벽(42)을 마련하고, 이 격벽(42)의 위에, 전후 방향이 길고, 길이 방향의 양측에 지지 암(43a, 43b)를 갖는 단면이 거의 철(凸)자 형상의 연결 부재(43)를 용접 등에 의해 부착한 것이다. 그리고, 3방향의 측벽이 본체 케이스(3)의 플랜지(4)에 결합된 지지 테두리(6)의 부 가열 조리기(30)측의 단부를, 연결 부재(43)의 한쪽의 지지 테두리(43b)상에 재치하여 고정하고, 또한, 3방향의 측벽이 저판(31)에 결합된 테두리체(32)의 주 가열 조리기(2)측의 단부를 연결 부재(43)의 다른쪽의 지지 암(43a)에 재치하여 고정하고,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외케이스를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부 가열 조리기(30)를, 저판(31)과 싱크대(100)의 천판(101)과의 사이에 약간 빈틈이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저판(31)의 자유단측의 하면에,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다리부(31b)를 부착하면, 부 가열 조리기(30)의 부 톱 플레이트(33)를, 주 가열 조리기(2)의 톱 플레이트(6)와 항상 거의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예의 본체 박스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주 가열 조리기(2)의 주벽(4a)이 마련된 플랜지(4)를 갖는 본체 케이스(3)와, 부 가열 조리기(30)의 주벽(31a)을 갖는 단면이 거의 ㄷ자 모양의 저판(31)을 별체로 형성하고, 양자의 주벽(4a, 31a)의 상단부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고, 인접하는 주벽(4a, 31a)를 용접 그 밖의 수단에 의해 접합하여 일체화 하고, 이 접합부를 격벽(42a)으로 하여 개구부(3a, 41)를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도 1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격벽(42a)상에 연결 부재(43)을 부착하고, 본체 케이스(3)와 저판(31)상에 지지 테두리(6) 및 테두리체(32)를 부착하여 외케이스를 구성한 것이다.
도 20은 본체 박스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의 본체 박스(B)에서, 저판(31)의 속길이 방향의 길이를 본체 케이스(3)의 속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이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필요에 응하여 부 가열 조리기(30)에 2개의 가열부(45)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 21은 본체 박스(B)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본체 케이스(3)와 저판(31)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의 주위에 사각형의 주벽(4a)을 마련하여 속길이 방향의 길이를 동등하게 형성함과 함께, 본체 케이스(3)와 저판(31)과의 경계에 격벽을 마련하지 않고, 양자의 사이를 개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3) 내에 마련한 냉각용 송풍기(26)에 의한 냉각풍을 모두 부 가열 조리기(30) 내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가열부(45) 등의 냉각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22, 도 23은 본 실시예의 지지 테두리 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지지 테두리(6)와 테두리체(32)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S)을, 윗면을 동일 평면으로 하고 주벽(6b)과 함께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체 박스(B)상에 위치시키고, 해당 주벽(6b)을 본체 박스(B)의 주벽(4a, 31a)의 외측에 끼워맞추도록 한 것이다.
도 23은 도 22의 부 가열 조리기(30)측의 테두리체(31) 부분의 속길이 방향의 길이를 지지 테두리(6) 부분과 같은 길이로 한 것으로, 도 20, 도 21의 본체 박스(B)에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3에서는 주 가열 조리기(2)측의 톱 플레이트(5)에 3개의 재치부(7a 내지 7c)(따라서 가열부(20))를 마련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도 재치부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실시예 또는 2와 같은 기능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또한, 주 가열 조리기(2)의 톱 플레이트(6)와 부 가열 조리기(30)의 부 톱 플레이트(33)를 거의 동일 평면상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 단차가 없고, 이 때문에 취반기(60)나 조리기(90)의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하고,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삶는물건이 엎지러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제4의 실시예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제1의 실시예과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서, 주 가열 조리기(2)의 지지 테두리(6)의 후부측의 윗면에 흡기구(14)와 배기구(15)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의 테두리체(32)의 후부측을 윗쪽에 돌출시켜서 돌출부(32b)를 마련하고, 저판(31)과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 부 냉각용 송풍기(51)을 배설한 것으로, 그 밖의 구성은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다.
도 25는 본 실시예의 전기계의 개요예를 도시한 것으로, 주 가열 조리기(2)에 마련한 제어부(25)(부 가열 조리기(30)에 부 제어부를 마련한 경우는 해당 부 제어부)로부터 부 조작부(40)에 가하여진 전력은 부 가열부(45)의 유도 가열 코일(47)과 부 냉각용 송풍기(51)에 가하여지고, 부 냉각용 송풍기(51)는 흡기구(36)로부터 외기를 흡인하고, 주로 부 가열부(45)를 냉각한 후, 배기구(49)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주 가열 조리기(2)의 냉각용 송풍기(26)는 흡기구(14)로부터 외기를 흡인하고, 가열부(20a, 20b), 제어부(25) 등을 냉각하고 배기구(15)로부터 배출된다.
본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또한, 부 가열 조리기(30)에 부 냉각용 송풍기(51)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부 가열부(45)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는 냉각풍의 개략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5의 실시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제1의 실시예, 2와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 2의 부 가열 조리기(30)에 마련한 가이드부(37) 대신에, 위치 결정 부재(82)에 의해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82)는 수납 공간부(84)를 갖는 링 형상의 가이드체(83)와 부착 암(85)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체(83)에 마련한 수납 공간부(84)의 내경은 조리 냄비(90)나 취반기(60)의 속냄비(64)의 외경과 거의 동등하거나 또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 암(85)은 부 가열 조리기(30)의 후부측 윗면에 마련한 지지부(87)와 핀(88)으로 이루어지는 힌지부(8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82)를 힌지부(86)를 축으로 회전시켜서, 부 톱 플레이트(33)에 맞닿게 하거나 또는 근접시키면, 수납 공간부(84)가 재치부(34)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82)는 불사용시나 부 톱 플레이트(33)의 청소시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뒤쪽으로 회전시켜서 세워 둔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82)를 뒤쪽으로 세운 경우에, 그 위치에 고정하여 앞면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부(86)에 로크 기구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취반이나 조리를 행하는 때는 위치 결정 부재(82)를 앞쪽으로 회전시켜서, 그 수납 공간부(84)를 재치부(34)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다.
부 가열 조리기(2)에 의해 취반 또는 조리를 행하는 경우는 위치 결정 부재(82)를 앞쪽으로 쓰러뜨리고, 가이드체(83)상에 취반기(60)를 실어서 수납 공간부(84) 내에 속냄비(64)의 하부를 수용하거나 또는 조리 냄비(90)의 하부를 수납 공간부(84) 내에 수용하면, 그 저면을 재치부(34)상에 확실하게 세트할 수 있다.
이로써, 속냄비(64)나 조리 냄비(90)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또한, 취반기(60)나 조리 냄비(90)에 외력이 가하여져도 이동하는 일이 없고, 항상 재치부(34)상에 유지된다.
도 27은 본 실시예의 다른 예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부 가열 조리기(30)의 재치부(34)의 중심부의 양측에서, 테두리체(32)의 윗면에 돌기부(89a, 89b)를 마련함과 함께, 수납 공간부(84)를 갖는 가이드체(83)의 양측에, 상기 돌기부(89a, 89b)에 대응하여 고정 구멍(88a, 88b)이 마련된 부착 암(85a, 85b)을 마련하여 위치 결정 부재(82)를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취반 또는 조리를 행하는 때는 위치 결정 부재(82)를 부 톱 플레이트(33)상에 재치하고 그 고정 구멍(88a, 88b)을 돌출부(89a, 89b)에 끼워맞추어 세트한다. 이 때, 수납 공간부(84)는 재치부(34)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반기(60) 또는 조리 냄비(90)를 세트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20의 경우와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사용하지 않을 때나 청소시에는 위치 결정 부재(82)를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제6의 실시예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의 실시예 내지 3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1)에서, 주 가열 조리기(2)의 다른쪽의 측에도 제 2의 부 가열 조리기(30a)를 마련한 것이다.
이 경우, 제 2의 부 가열 조리기(30a)는 제1의 실시예 내지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주 가열 조리기(2)와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고, 또는 부 가열 조리기(30)와 거의 같은 구성의 제 2의 부 가열 조리기(30a)를 별체로 마련하고, 나사나 그 밖의 수단에 의해 주 가열 조리기(2)에 부착하여도 좋다. 또한, 별체로 마련한 경우는 주 가열 조리기(2)와 제 2의 부 가열 조리기(30a)의 인접하는 측벽에, 전기적 배선이나 냉각 공기 등을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마련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많은 취반기(60)나 조리 냄비(9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만일 어느 하나의 가열부가 고장이 나도, 다른 가열부를 사용하여 취반이나 조리를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 각 실시예는 각각 독립하여 실시하여도 좋고, 또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지지 테두리 및 이 지지 테두리에 고정된 톱 플레이트, 해당 톱 플레이트가 천면 개구부에 부착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가열부, 해당 가열부의 출력 등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마련되고, 외부에 상기 제어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주 조작부를 구비한 주 가열 조리기와, 테두리체 및 이 두리체에 고정된 부 톱 플레이트, 해당 부 톱 플레이트가 부 천면 개구부에 부착된 저판의 내부에 부 가열부가 마련된 부 가열 조리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 가열 조리기를 상기 톱 플레이트가 싱크대의 천판상에 노출하도록 해당 싱크대에 조립함과 함께, 상기 부 가열 조리기를 상기 주 가열 조리기에 인접하여 상기 싱크대의 천판상에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조리 냄비를 동시에 사용하여 조리할 수 있고, 게다가 하나의 가열부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다른 조리의 방해가 되지 않는 사용하기에 편리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열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주 가열 조리기와 부 가열 조리기의 일체화 구조의 한 예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본체 박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전기계의 개략도.
도 8은 도 1의 싱크대의 사시도.
도 9는 취반용 제어 패턴의 설명도.
도 10은 삶기용 제어 패턴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부 가열 조리기 부분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취반기의 외관 사시도 및 해당 주요부의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전기계의 개략도.
도 15는 도 11의 전기계의 다른 예의 개략도.
도 16은 도 11의 전기계의 다른 예의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를 생략한 종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본체 박스의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본체 박스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0은 도 17의 본체 박스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1은 도 17의 본체 박스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2는 도 17의 지지 테두리 프레임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3은 도 17의 지지 테두리 프레임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전기계의 개략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다른 예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조립식 가열 조리기 2 : 주 가열 조리기
3 : 본체 케이스 5 : 톱 플레이트
6 : 지지 테두리 7a, 7b : 재치부
10 : 주 조작부 11a : 전원 스위치
11c : 예약 타이머 스위치 12 : 조작 스위치
16 : 보조 조작부 20a, 20b : 가열부
22 : 유도 가열 코일 25 : 제어부
6 : 냉각용 송풍기 30 : 부 가열 조리기
31 : 저판 32 : 테두리체
33 : 부 톱 플레이트 34 : 재치부
37 : 가이드부 40 : 부 조작부
45 : 부 가열부 47 : 유도 가열 코일
50 : 부 제어부 51 : 부 냉각용 송풍기
52a, 52b : 급전부 60 : 취반기
61 : 냄비 용기 64 : 속냄비
65, 66 : 보조 가열체 68 : 덮개체
75 : 취반기 조작부 78 : 위치 결정 감합부
80a, 80b : 수전부 81 : 전압 강하 수단
82 : 가이드부 90 : 조리 냄비
95 : 전원 100 : 싱크대
101 : 천판 S : 지지 테두리 프레임
B : 본체 박스

Claims (3)

  1. 지지 테두리 및 상기 지지 테두리에 고정된 톱 플레이트, 상기 톱 플레이트가 천면 개구부에 부착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출력 등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마련되고, 외부에 상기 제어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주 조작부를 구비한 주 가열 조리기와,
    테두리체 및 상기 테두리체에 고정된 부 톱 플레이트, 상기 부 톱 플레이트가 부 천면 개구부에 부착된 저판의 내부에 부 가열부가 마련된 부 가열 조리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 가열 조리기를 상기 톱 플레이트가 싱크대의 천판상에 노출하도록 싱크대에 조립함과 함께, 상기 부 가열 조리기를 상기 주 가열 조리기에 인접하여 상기 싱크대의 천판상에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또는 부 제어부에 조리물의 비등 후에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는 보온 모드 회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 가열 조리기에 상기 주 가열 조리기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마련하고,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속냄비와, 비자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속냄비가 저면을 노출하고 삽탈 자유롭게 수용되는 냄비 용기와, 상기 냄비 용기의 윗면 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취반기를 가지며, 취반기의 외측에 상기 취반기를 상기 부 가열 조리기의 톱 플레이트상에 재치한 때에 상기 급전부에 접속하는 수전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
KR10-2003-0065505A 2003-07-04 2003-09-22 조립식 가열 조리기 KR100497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91655A JP3906415B2 (ja) 2003-07-04 2003-07-04 組込式加熱調理器
JPJP-P-2003-00191655 2003-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55A KR20050003955A (ko) 2005-01-12
KR100497907B1 true KR100497907B1 (ko) 2005-06-29

Family

ID=3418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505A KR100497907B1 (ko) 2003-07-04 2003-09-22 조립식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06415B2 (ko)
KR (1) KR100497907B1 (ko)
CN (1) CN10040796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31B1 (ko) 2005-11-04 2007-04-30 보글락에프에스 주식회사 가열 조리장치
KR20210136477A (ko) * 2020-05-07 2021-11-17 (주)쿠첸 복합 조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92B1 (ko) * 2015-03-23 2016-09-08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클러스터형 업소용 취반시스템
JP7142319B2 (ja) * 2018-04-13 2022-09-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CN113081835B (zh) * 2021-04-13 2022-06-03 成都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膏药熬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635A (en) * 1979-12-06 1981-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uction heating type cooking apparatus
JPS594909U (ja) * 1982-06-30 1984-01-1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S62120296U (ko) * 1986-01-22 1987-07-30
JP3743935B2 (ja) * 2001-11-28 2006-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31B1 (ko) 2005-11-04 2007-04-30 보글락에프에스 주식회사 가열 조리장치
KR20210136477A (ko) * 2020-05-07 2021-11-17 (주)쿠첸 복합 조리기기
KR102336127B1 (ko) * 2020-05-07 2021-12-08 (주)쿠첸 복합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7968C (zh) 2008-08-06
CN1575702A (zh) 2005-02-09
JP2005024196A (ja) 2005-01-27
JP3906415B2 (ja) 2007-04-18
KR20050003955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364B1 (ko) 가열 조리기
JP2003077627A (ja) 加熱調理器
KR20050071414A (ko) 가열 조리기
KR100497907B1 (ko) 조립식 가열 조리기
JP2017208218A (ja) 誘導加熱調理器及び厨房家具
JP2017117607A (ja) 加熱調理器
JP2003115367A (ja) 加熱調理器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JP3681112B2 (ja) 炊飯器
JPH065358A (ja) 組み込み式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5310123B2 (ja) 電気炊飯器
JP2008021519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038517A (ja) 表示装置及び加熱調理器
JP2009026572A (ja) 誘導加熱調理器
JP4193131B2 (ja) 加熱調理器
JPS62145Y2 (ko)
JP641664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987193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1017313A (ja) 炊飯器
JP3845277B2 (ja) 炊飯器
JP2004071516A (ja) 誘導加熱式調理器
JP6522216B2 (ja) 加熱調理器
JP4972617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4096353A1 (en) Electric range
EP4350220A1 (en) Electric range
JP2003068434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