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27B1 - 복합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복합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27B1
KR102336127B1 KR1020200054771A KR20200054771A KR102336127B1 KR 102336127 B1 KR102336127 B1 KR 102336127B1 KR 1020200054771 A KR1020200054771 A KR 1020200054771A KR 20200054771 A KR20200054771 A KR 20200054771A KR 102336127 B1 KR102336127 B1 KR 102336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body frame
frame
cooking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477A (ko
Inventor
박현중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05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내솥이 수용된 본체 프레임; 상기 내솥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된 본체 뚜껑; 조리 용기가 놓이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연결된 레인지 프레임; 상기 내솥을 유도 가열시키기 위한 제1 워킹 코일; 상기 레인지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상에 놓인 상기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시키기 위한 제2 워킹 코일;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2 인버터를 포함하는 가열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조리기기 {COMPLEX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합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조리기기를 포함하는 복합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전기 밭솥과 전기 레인지가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피가열체인 조리용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용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전기를 이용한 가열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포함한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할 때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자속 밀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가열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피가열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리기기를 포함하는 복합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내솥이 수용된 본체 프레임; 상기 내솥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된 본체 뚜껑; 조리 용기가 놓이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연결된 레인지 프레임; 상기 내솥을 유도 가열시키기 위한 제1 워킹 코일; 상기 레인지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상에 놓인 상기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시키기 위한 제2 워킹 코일;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2 인버터를 포함하는 가열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가 탑재되는 인버터 케이스; 상기 인버터 케이스 상에 탑재된 히트 싱크; 및 상기 본체 프레임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트 싱크를 향하여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냉각 팬;을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가열 제어부는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각각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내솥 및 상기 조리 용기를 동시에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의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밥솥을 이용한 조리 동작과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조리 동작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의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복합 조리기기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a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b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복합 조리기기(10)는 제1 조리기기(100)와 제2 조리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기기(100)는 복합 조리기기(10)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조리기기(100)는 내부에 피가열체인 내솥(170)을 수용하고,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내솥(170)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전기 밥솥일 수 있다.
제1 조리기기(100)는 본체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본체부(110)와, 본체 프레임(120)에 결합된 본체 뚜껑(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20)은 본체부(1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용기 형태를 가지는 내솥(170)이 수용될 수 있는 조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뚜껑(150)은 상기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 뚜껑(150)은 조리 재료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본체부(110)의 상기 조리 공간 내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본체부(110)의 조리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뚜껑(150)은 본체부(1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조리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체 뚜껑(150)은 본체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본체부(110)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피가열체인 내솥(170)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제1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열부는 열판 방식의 히터 또는 유도가열 방식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가열부는 내솥(170)의 외면 상에 배치된 제1 워킹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2 조리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화구를 포함하고,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화구에 놓여진 조리 용기(27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전기 레인지일 수 있다. 상기 화구라는 용어는 다양하게 정의가 가능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화구는 피가열체인 조리 용기(270)가 놓여지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화구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전자기 유도 작용을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인덕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구는 열선이 포함된 금속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하는 핫플레이트, 열선이 분포되어 세라믹 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하는 하이라이트에 해당할 수도 있다.
제2 조리기기(200)는 피가열체인 조리 용기(270)가 놓일 수 있는 상판(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리기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레인지 프레임(210)과, 상판(211) 상에 놓인 조리 용기(27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제2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가열부는 레인지 프레임(210) 내에 마련된 제2 워킹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인지 프레임(210)은 상기 본체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레인지 프레임(210)은 상기 본체 프레임(120)에 결합된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판(211)이 본체 프레임(120) 내에 위치된 제1 위치와, 상기 상판(211)이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에 삽입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에 삽입되어 숨겨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의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의 상판(211)이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레인지 프레임(210)의 상기 상판(211) 상에 조리 용기(270)가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복합 조리기기(10)는 직류 전원 생성부(149) 및 가열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직류 전원 생성부(149) 및 가열 제어부(140)는 제1 조리기기(100)에 탑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직류 전원 생성부(149)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수신하고, 교류 전원에 대한 평활화 동작을 통해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용 전원은 사용하는 국가 및/또는 지역에 따라 110V 교류 전원, 220V 교류 전원, 380V 교류 전원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전압 레벨을 갖는 교류 전원에 해당할 수 있다.
가열 제어부(140)는 제1 조리기기(100)에 탑재된 제1 가열부 및 제2 조리기기(200)에 탑재된 제2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제어부(140)는 제1 조리기기(100)의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조리기기(200)의 제2 워킹 코일(220)을 이용한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열 제어부(140)는 제1 워킹 코일(130)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1 인버터(141) 및 제2 워킹 코일(220)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2 인버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버터(141) 및 제2 인버터(143)는 각각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는 스위치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 회로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IGB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위칭 회로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MOS-FET 또는 IGCT(Integrated Gate-Commutated Thyristor) 등 다양한 종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인버터(141) 및 제2 인버터(143)는 직류 전원 생성부(149)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에 대한 고주파 스위칭 동작을 통해 고주파 교류 전원(예컨대, 교류 전압 또는 교류 전류)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인버터(141) 및 제2 인버터(143)를 통해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워킹 코일(220)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워킹 코일(220)은 각각 피가열체와 전류 공진하게 되고, 이에 의해 피가열체가 발열될 수 있다.
가열 제어부(140)는 제1 인버터(141) 및 제2 인버터(14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주파수 및 듀티(duty)를 조절할 수 있다. 가열 제어부(140)에 의해 제1 인버터(141) 및 제2 인버터(14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주파수 및 듀티가 조절됨에 따라, 제1 워킹 코일(130)을 통해 출력되는 유도 가열 출력 및 제2 워킹 코일(220)을 통해 출력되는 유도 가열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가열 제어부(140)는 제1 인버터(141) 및 제2 인버터(143)의 기능이 통합된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의 인버터는 제1 워킹 코일(13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스위칭 회로와 제2 워킹 코일(220)에 공급되는 스위칭 회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10)의 동작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에 마련된 수용 공간(121)에 삽입된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워킹 코일(220)은 본체 프레임(120)에 수용된 내솥(170)의 바닥면의 하방에 위치되고 내솥(170)의 바닥면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워킹 코일(220)이 내솥(17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어, 제2 워킹 코일(220)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내솥(170)을 유도 가열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가열 제어부(140)는 내솥(170)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워킹 코일(130) 및 내솥(17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된 제2 워킹 코일(220)에 각각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내솥(170)을 유도 가열시킬 수 있다. 제1 인버터(141) 및 제2 인버터(143)를 통해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워킹 코일(220)에 각각 교류 전원이 공급되면,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워킹 코일(220)은 내솥(170)과 전류 공진하게 되고, 이에 의해 내솥(170)이 발열되어 내솥(170)에 담긴 조리 재료가 가열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가열 제어부(140)는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워킹 코일(220) 중 어느 하나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내솥(170)을 가열시킬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워킹 코일(220)을 함께 이용한 내솥(170)에 대한 가열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1 워킹 코일(130)과 제2 워킹 코일(220)은 상호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 밥솥에서, 내솥(170)을 유도 가열시키기 위해 내솥(170)의 측면 및 바닥면 상에 각각 워킹 코일이 배치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2 조리기기(200)의 제2 워킹 코일(220)을 제1 조리기기(100)의 내솥(170)에 대한 유도 가열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1 조리기기(100)는 내솥(170)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워킹 코일(130)을 포함하되, 내솥(17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워킹 코일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내솥(17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제1 조리기기(100)의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조리기기(200)의 제2 워킹 코일(220)을 함께 이용하여 내솥(170)에 대한 유도 가열에 요구되는 유도 가열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2 조리기기(200)의 상판(211)에 놓인 조리 용기(270)에 대한 조리를 진행하지 않을 때에는, 레인지 프레임(210)을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에 삽입하여,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은 상판(211)이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레인지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판(211)이 노출되므로 상판(211) 상에 피가열체인 조리 용기(270)가 놓일 수 있다.
이 때, 가열 제어부(140)는 제1 워킹 코일(130) 및 제2 워킹 코일(220)에 각각 교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본체 프레임(120)에 수용된 내솥(170)에 대한 가열 및 레인지 프레임(210) 상에 놓인 조리 용기(270)에 대한 가열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70)에 담긴 조리 재료에 대한 조리 및 조리 용기(270)에 담긴 조리 재료에 대한 조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가열 제어부(140)는 제2 워킹 코일(220)에만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조리 용기(270)에 담긴 조리 재료에 대한 조리만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10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의 복합 조리기기(10a)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의 이동 방식을 제외하고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된 복합 조리기기(10)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된 복합 조리기기(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 내에는 레인지 프레임(21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2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은 가이드 레일(129)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29)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판(211)이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 내에 위치된 제1 위치와, 상기 상판(211)이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10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의 복합 조리기기(10b)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이 고정형인 점을 제외하고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된 복합 조리기기(10)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된 복합 조리기기(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은 제1 조리기기(100)의 본체 프레임(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프레임(120)과 레인지 프레임(210)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제1 조리기기(100)는 내솥(17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된 워킹 코일(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제어부(140)의 제1 인버터(141)는 내솥(170)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워킹 코일(130) 및 내솥(170)의 바닥면 상의 워킹 코일(131)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내솥(170)을 가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4b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의 복합 조리기기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이 지지 레그(230)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된 복합 조리기기(10)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된 복합 조리기기(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레인지 프레임(210)은 지지 레그(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인지 프레임(210)이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에 있을 때, 지지 레그(230)는 지면(GRD)에 접촉되어 레인지 프레임(2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지지 레그(230)는 레인지 프레임(21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접이식 지지 레그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에 마련된 수용 공간(121)에 삽입된 제1 위치에 있을 때, 지지 레그(230)는 지지 레그(230)가 레인지 프레임(210)의 내부에 삽입된 초기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레그(230)의 초기 위치에서, 지지 레그(230)는 레인지 프레임(210)의 내부에 매립되며, 레인지 프레임(210)에 결합된 회동축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지지 레그(230)는 레인지 프레임(21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인지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하는 것에 연동하여, 지지 레그(230)는 레인지 프레임(210)에 결합된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레인지 프레임(21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지지 레그(230)의 돌출 위치에서, 지지 레그(230)는 레인지 프레임(210)에 결합된 회동축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레그(230)는 복합 조리기기가 놓이는 지면(GRD)에 접촉되어 레인지 프레임(2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지지 레그(230)가 레인지 프레임(21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지지 레그(230)를 탄성 바이어스하도록 구성된 탄성체가 지지 레그(23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레그(230)가 본체 프레임(120)으로 벗어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지 레그(230)는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지지 레그(230)는 본체 프레임(120)에 맞물려 가압되어 레인지 프레임(210)에 결합된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 레그(230)는 상기 돌출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전환하게 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레인지 프레임(210)이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에서 레인지 프레임(210)과 지면(GRD)으로부터 이격되지만, 레인지 프레임(210)은 지지 레그(230)에 지지될 수 있으므로, 레인지 프레임(210) 상에 놓인 조리 용기 등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된 복합 조리기기(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조리기기(100)의 본체 프레임(120) 내에는 인버터 케이스(191)가 배치될 수 있다. 인버터 케이스(191) 상에는 제1 회로 기판(193) 및 제2 회로 기판(195)이 탑재될 수 있고, 제1 회로 기판(193) 상에는 제1 워킹 코일(13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1 인버터(141)가 탑재되고, 제2 회로 기판(195) 상에는 제2 워킹 코일(22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2 인버터(143)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케이스(191) 상에는,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가 탑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회로 기판(193) 및 제2 회로 기판(195) 상에는, 각종 전장품이 더 탑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인버터 케이스(191)는 절곡된 형태로서, 예를 들어 제1 판과 제2 판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93), 제1 인버터(141) 및 제1 히트 싱크(197)는 인버터 케이스(191)의 상기 제1 판 상에 배치되고, 제2 회로 기판(195), 제2 인버터(143) 및 제2 히트 싱크(199)는 인버터 케이스(191)의 상기 제2 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는 발열량이 많은 부품에 부착 또는 인접 배치되어, 상기 부품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트 싱크(197)는 제1 회로 기판(193) 상의 제1 인버터(141) 및/또는 다른 전장품에 부착 또는 인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히트 싱크(199)는 제2 회로 기판(195) 상의 제2 인버터(143) 및/또는 다른 전장품에 부착 또는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다수의 방열 핀이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조리기기(100)의 본체 프레임(120)에는 냉각 팬(180)이 탑재될 수 있다. 냉각 팬(180)은 복합 조리기기의 외부의 공기를 본체 프레임(120)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본체 프레임(120) 내부에서 강제 유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팬(180)은 본체 프레임(120)의 하측에 탑재되며, 인버터 케이스(191)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20)에는 수용 공간(121)과 연통하는 공기 홀이 마련되며, 냉각 팬(180)은 공기 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 팬(180)은 공기 홀을 통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냉각 팬(180)은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인버터 케이스(191),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버터 케이스(191) 상에 탑재된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를 향하여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 팬(180)에 의해 공기가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를 통과하는 동안,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냉각 팬(180)은 역방향 구동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프레임(120) 내부의 공기는 본체 프레임(120)에 형성된 상기 공기 홀을 통해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레인지 프레임(210)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리기기(200)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한 직후와 같이 레인지 프레임(210)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냉각 팬(180)의 역방향 구동을 통해 레인지 프레임(210)에 대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20)의 사시도들이다. 도 6a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이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6b는 제2 조리기기(200)의 레인지 프레임(210)이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2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복합 조리기기(20)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조리기기(20)의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앞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합 조리기기(20)는 제1 조리기기(100)와 제2 조리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리기기(100)는 전기 밥솥이고, 상기 제2 조리기기(200)는 인덕션 레인지일 수 있다.
제1 조리기기(100)는 본체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본체부(110)와, 본체 프레임(120)에 결합된 본체 뚜껑(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내솥(170)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워킹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워킹 코일(130)은 상기 내솥(170)의 측면을 따라 권취될 수 있고, 제1 워킹 코일 베이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20)의 후면 측에 배치된 인버터 케이스(191), 및 인버터 케이스(191)에 인접하게 배치된 냉각 팬(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 케이스(191) 상에는, 제1 워킹 코일(130)과 소정의 도전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인버터(141) 및 제2 조리기기(200)의 제2 워킹 코일(220)과 소정의 도전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인버터(143)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본체 프레임(120)의 전면 측에 배치된 메인 제어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19)는 제1 조리기기(100)의 각종 동작 및 제2 조리기기(2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제어부(119)는 제1 인버터(141) 및 제2 인버터(143)의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각 팬(18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메인 제어부(119)는 마이크로컴퓨터, 로직 회로,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뚜껑(150)은 뚜껑 커버(151), 탑 플레이트(152), 잠금 링(153), 핸들(154), 내솥 커버(155), 및 내솥 패킹(156)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커버(151)는 본체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뚜껑 커버(151)에는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고 잠금 링(153)에 연결된 핸들(154)이 설치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52)는 뚜껑 커버(151)의 하측에 결합되며, 본체 프레임(120)에 수용된 내솥(170)을 덮을 수 있다. 탑 플레이트(152)에는 내솥(170)에 담긴 조리 재료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취사가 완료된 후에 본체부(110)의 조리 공간 내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소정의 배기 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조립체는 본체부(110)의 조리 공간 내의 증기 배출을 제어하여, 본체부(110)의 조리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 공간의 압력을 취사에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기 조립체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포이즈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링(153)은 탑 플레이트(15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링(153)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휠(wheel)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잠금 링(153)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됨으로써, 내솥(170)의 상단에 마련된 플랜지부에 잠금된 잠금 위치 및 상기 플랜지부에 대해 잠금 해제된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잠금 링(153)은 핸들(154)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잠금 링(153)과 핸들(154)은 핸들(154)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잠금 레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잠금 레버의 일단은 핸들(154)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 레버의 타단은 잠금 링(153)의 연결 포스트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잠금 레버는 핸들(154)과 연결된 상기 잠금 레버의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핸들(154)이 회전되면, 상기 핸들(154)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잠금 레버와 맞물린 상기 잠금 링(15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잠금 링(153)이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게 된다.
내솥 커버(155)는 탑 플레이트(152)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체 뚜껑(150)이 닫힌 위치에 있는 동안, 내솥 커버(155)는 내솥(17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내솥 패킹(156)은 링 형상의 부재로서, 탑 플레이트(15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내솥 패킹(156)은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내솥(17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솥(170)과 탑 플레이트(152)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리기기(200)는 조리 용기(270)가 놓일 수 있는 상판(211)을 포함하는 레인지 프레임(210)과, 레인지 프레임(210) 내에 마련된 제2 워킹 코일 베이스, 및 나선 형태로 권취되어 제2 워킹 코일 베이스 상에 탑재된 제2 워킹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인지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20)에 연결된 연결부(240)를 포함하며, 레인지 프레임(210)은 연결부(240)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인지 프레임(210)은 회동축인 연결부(240)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본체 프레임(120)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제1 위치와, 상기 본체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인지 프레임(210)의 연결부(240)는 제1 조리기기(100) 내의 부품과 제2 조리기기(200) 내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체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버터(143)에서 생성된 교류 전원은 상기 연결부(240)의 홀을 통해 연장된 도전체를 통해 제2 워킹 코일(22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체 프레임(120)은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과 본체 프레임(12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 공기 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홀(123)은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레인지 프레임(2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 팬(180)은 제1 공기 홀(12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인지 프레임(210)이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에 수용되었을 때, 냉각 팬(180)은 제1 공기 홀(123)을 통해 레인지 프레임(210)과 마주할 수 있다. 냉각 팬(180)은 제1 공기 홀(123)을 통해 본체 프레임(120)의 외부와 본체 프레임(120)의 내부 사이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냉각 팬(180)이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외기는 수용 공간(121) 및 제1 공기 홀(123)을 거쳐 본체 프레임(120)의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인버터 케이스(191)에 탑재된 제1 및 제2 히트 싱크(197, 199)를 향하여 유동하며, 본체 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제2 공기 홀(125)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냉각 팬(180)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공기가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를 통과하는 동안, 제1 히트 싱크(197) 및 제2 히트 싱크(199)에 대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냉각 팬(180)이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본체 프레임(120) 내부의 공기는 제1 공기 홀(123)을 통해 수용 공간(12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리기기(200)를 이용한 조리 직후와 같이 레인지 프레임(210)의 온도가 높은 경우, 냉각 팬(180)의 역방향 구동을 통해 본체 프레임(120)의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레인지 프레임(210)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의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밥솥을 이용한 조리 동작과 인덕션 레인지를 이용한 조리 동작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기기(100)를 이용하여 밥을 취사하는 것과 동시에, 제2 조리기기(200)를 이용하여 찌개, 국, 반찬 등의 조리를 하나의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로 기능하는 조리기기는 복합 조리기기(20) 내에 매립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합 조리기기(20)는 좁은 공간 내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조리 장치 100: 제1 조리기기
110: 본체부 120: 본체 프레임
130: 제1 워킹 코일 140: 가열 제어부
150: 본체 뚜껑 200: 제2 조리기기
210: 레인지 프레임 211: 상판
220: 제2 워킹 코일

Claims (3)

  1. 내솥이 수용된 본체 프레임;
    상기 내솥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된 본체 뚜껑;
    조리 용기가 놓이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 연결된 레인지 프레임;
    상기 내솥을 유도 가열시키기 위한 제1 워킹 코일;
    상기 레인지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상에 놓인 상기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시키기 위한 제2 워킹 코일;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제1 판 및 제2 판을 포함하는 인버터 케이스;
    상기 인버터 케이스의 상기 제1 판에 탑재된 제1 회로 기판;
    상기 인버터 케이스의 상기 제2 판에 탑재된 제2 회로 기판;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고, 상기 제1 워킹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1 인버터;
    상기 제2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2 인버터;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제1 히트 싱크;
    상기 제2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제2 히트 싱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1 히트 싱크 및 상기 제2 히트 싱크를 향하여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냉각 팬;
    을 포함하는 복합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프레임은 상기 상판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된 제1 위치 및 상기 상판이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팬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공기 홀 상에 배치된 복합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가열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제어부는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모두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내솥 및 상기 조리 용기를 동시에 가열하도록 구성된 복합 조리기기.
KR1020200054771A 2020-05-07 2020-05-07 복합 조리기기 KR102336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771A KR102336127B1 (ko) 2020-05-07 2020-05-07 복합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771A KR102336127B1 (ko) 2020-05-07 2020-05-07 복합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77A KR20210136477A (ko) 2021-11-17
KR102336127B1 true KR102336127B1 (ko) 2021-12-08

Family

ID=7870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771A KR102336127B1 (ko) 2020-05-07 2020-05-07 복합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240A (ja) 1999-05-21 2000-11-28 Misawa Homes Co Ltd 調理用コンロ
JP2004267581A (ja) 2003-03-11 2004-09-30 Tiger Vacuum Bottle Co Ltd 炊飯器
KR100497907B1 (ko) * 2003-07-04 2005-06-29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조립식 가열 조리기
KR101897176B1 (ko) 2018-02-14 2018-09-12 코박스 주식회사 복합구조를 갖는 인덕션레인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240A (ja) 1999-05-21 2000-11-28 Misawa Homes Co Ltd 調理用コンロ
JP2004267581A (ja) 2003-03-11 2004-09-30 Tiger Vacuum Bottle Co Ltd 炊飯器
KR100497907B1 (ko) * 2003-07-04 2005-06-29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조립식 가열 조리기
KR101897176B1 (ko) 2018-02-14 2018-09-12 코박스 주식회사 복합구조를 갖는 인덕션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77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68850A1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冷却装置
JP490981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021477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336127B1 (ko) 복합 조리기기
KR102275852B1 (ko) 복합 조리기기
JP5326552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5509107A (zh) 一种可自动调节火力的电磁炉
JP2007330453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CN209782743U (zh) 一种电磁加热装置的锅架组件
KR100497907B1 (ko) 조립식 가열 조리기
JPH04123790A (ja) 水蒸気発生装置付き加熱調理器
EP4055993B1 (en) Induction hob
US20240057226A1 (en) Cooking appliance
JP6416648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40725B1 (ko) 수납형 유도가열조리기
JP7372743B2 (ja) 炊飯器
EP3448119B1 (en) Induction cooker
KR102318939B1 (ko) 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가열되는 회전식 로스터
CN209726279U (zh) 烹饪炉具
KR102232819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JP2011070873A (ja) 誘導加熱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誘導加熱調理器
US20230422359A1 (en) Induction heating-type cooktop
JP5765979B2 (ja) 加熱調理器
KR101813279B1 (ko) 전기 호브
JP2019164926A (ja) 高周波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