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864B1 - 함불소계중합체수성분산액 - Google Patents

함불소계중합체수성분산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864B1
KR100494864B1 KR1019960703128A KR19960703128A KR100494864B1 KR 100494864 B1 KR100494864 B1 KR 100494864B1 KR 1019960703128 A KR1019960703128 A KR 1019960703128A KR 19960703128 A KR19960703128 A KR 19960703128A KR 100494864 B1 KR100494864 B1 KR 10049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containing polymer
group
monomer
aqueous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540A (ko
Inventor
노부히꼬 쓰다
야스시 요네이
류우지 이와끼리
가쯔히꼬 이모또
Original Assignee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08K5/5419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Si—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체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규소 화합물의 고형분 1 ∼ 20 중량부가 배합되어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으로서 각종 기재에의 밀착성, 성막성, 내후성, 내오염성이 뛰어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도료에 유용한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
본 발명은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규소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이며, 각종 도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종래, 도료 등의 분야에 있어서 각종의 수성 분산액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 4-17907호 공보에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성 분산액, 콜로이드 실리카 및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실란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수성 분산액이 기재되어 있으나, 분산액의 안정성, 내후성, 장기 내구성 등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특공평 5-46394 호 공보에서는 오르가노트리히드록시실란, 그의 부분축합물, 콜로이드 실리카 및 실리콘 변성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성 분산액이 기재되어 있으나, 내후성, 장기 내구성의 점에서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특정의 함불소계 중합체와 유기 규소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도료에 배합하여 분산액의 안정성, 장기에 걸친 밀착성, 내후성, 내오염성이 뛰어난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하는 것이 목적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체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규소화합물 1 ∼ 20 중량부가 배합되어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체중의 함불소계 중합체가 플루오로 올레핀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 또는 플루오로올레핀과의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와 플루오로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이며, 이러한 중합 또는 공중합한 후 유기 규소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체중의 함불소계 중합체가 플루오로 올레핀을 중합하여 수득되는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 또는 플루오로 올레핀과의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와 플루오로 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수득되는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의 존재하에,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를 시이드 중합하여 수득되는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이며, 이 시이드 중합한 후, 유기규소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의 일부가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화합물로서, 이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중의 0.1 ∼ 50 중량% 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함불소 중합체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70 ∼ 95 몰 %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5 ∼ 30 몰 % 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체 중의 함불소계 중합체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70 ∼ 95 몰 %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5 ∼ 30 몰 % 를 함유하고 있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의 존재하에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시이드 중합하여 수득되는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이며, 이 공중합 또는 이 시이드 중합후, 유기 규소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유기 규소화합물이 일반식 (I) :
R1aSi(OR2)4-a (I)
(식중, R1 은 비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a 는 0, 1 또는 2 이다)로 표시되는 유기규소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이 일반식 (III) :
(식중, R1 은 비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c 는 2 ∼ 50 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유기규소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이 일반식 (V) :
(식중, R1 은 비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B 는 계면활성기, e 는 2 ∼ 50 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유기규소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규소 화합물이란, 유기규소 단량체 및 이의 부분축합물 (선상 폴리실록산 및 3 차원 폴리실록산)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규소 화합물의 1 종 이상이며, 상기 함불소계 중합체의 골격에 결합되어 있든가 또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을 사용하는 목적은 도료화하였을 때 무기질 기재나 유기질 기재에의 장기에 걸친 밀착성, 내후성, 내약품성, 성막성에 더하여 가요성, 내오염성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유기규소 단량체는 일반식 (I) :
R1 aSi(OR2)4-a (I)
(식중, R1 은 비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a 는 0, 1 또는 2 이다)로 표시되는 단량체이다.
상기 일반식 (I) 에 있어서 비가수분해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메시틸기 등의 아릴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γ - 클로로프로필기 등의 할로알킬기, γ - 아미노프로필기, γ - (2 -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기 등의 아미노알킬기, γ - 글리시독시프로필기, β - (3, 4 - 에폭시시클로헥실) 에틸기 등의 에폭시 알킬기, γ - 메르캅토알킬기, γ -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등의 메타크릴로일옥시알킬기, γ - 히드록시프로필기 등의 히드록시알킬기 등을 들수 있다. 이것들의 치환기 중에서 본 발명에 보다 바람직한 것은 치환기의 탄소수가 많으면 반응성이 저하한다는 점에서 탄소수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기는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 및 그것에 치환기가 부가된 아미노알킬기, 에폭시알킬기, 메타크릴로일옥시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및 아릴기의 1 종인 페닐기, 탄소수 2 또는 3 의 알케닐기이다. 또 R2 의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에 관해서도 상기 R1 과 동일하나 특히 바람직한 것은 치환기의 탄소수가 많으면 반응성이 저하한다는 점에서,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이다.
상기 일반식 (I) 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γ - 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 -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 - (β -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 -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 - (3, 4 - 에폭시시클로헥실) 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 - 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 -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 - 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수 있으나, 반응성, 성막성, 가요성 등의 점에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γ -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I) 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부분 축합물인 선상폴리실록산은 일반식 (II) :
(식중 R1 및 R2 는 상기와 같고, b 는 2 ∼ 50 의 정수이다),
일반식 (III)
(식중, R1 및 R2 는 상기와 같고, c 는 2 ∼ 50 의 정수이다), 일반식 (IV) :
(식중 R1 은 상기와 같고, d 는 2 ∼ 50 의 정수이다), 일반식 (V) :
(식중 R1 및 R2 는 상기와 같고, B 는 계면활성기, e 는 2 ∼ 50 의 정수이다) 및 일반식 (VI) :
(식중 R1 및 R2 는 상기와 같고, A 는 불소함유기, B 는 계면활성기, f, g, h 및 i 는 각각 0 또는 1 ∼ 20 의 정수이다)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이다.
상기 일반식 (II) 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b 는 2 ∼ 20 의 정수) 등을 들수 있으나, 축합도가 높으면 함불소계 수성분산체에의 상용성이 저하하는 동시에 도막의 가요성이 부족하게 되어, 기재에의 밀착성이 저하한다는 점에서 b 는 2 ∼ 8 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III) 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c 는 2 ∼ 20 의 정수) 등을 들수 있으나 축합도가 높으면 함불소계 수성 분산체에의 상용성이 저하하는 동시에 도막의 가요성이 부족하게 되어, 기재에의 밀착성이 저하한다는 점에서 c 는 2 ∼ 10 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IV) 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d 는 1 ∼ 50 의 정수) 등을 들수 있으나 축합도가 높으면 함불소계 수성 분산체에의 상용성이 저하하는 동시에 도막의 가요성이 부족하게 되어 기재에의 밀착성이 저하한다는 점에서 d 는 1 ∼ 20 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V) 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e 는 1 ∼ 20 의 정수) 등을 들수 있으나 축합도가 높으면 함불소계 수성 분산체에의 상용성이 저하하는 동시에 도막의 가요성이 부족하게 되어 기재에의 밀착성이 저하한다는 점에서 e 는 1 ∼ 10 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VI) 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기란, 함불소계 중합체 예컨대 플루오로올레핀 공중합체의 입자 등의 불소화합물과의 상용성을 높히는 작용이 있으며, 예컨대 플루오로알킬기, 퍼플루오로알킬기, 폴리플루오로알킬기 등을 들수 있다.
상기 일반식 (V), (VI) 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기로서는 예컨대 카르복실산염, 알킬설페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페이트, 폴리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설페이트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기,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중합체, 소르비탄유도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기 등을 들수 있으나 상용성이나 수분산안정성 등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나 이것들의 비이온성 계면활성기와 음이온 계면활성기를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VI) 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f, g, h 및 i 는 각각 0 또는 1 ∼ 20 의 정수) 등을 들수 있으나 성막성이나 기재에의 밀착성의 점에서 f 는 0 또는 1 ∼ 5 의 정수, g 는 2 ∼ 10 의 정수, h 는 0 또는 1 ∼ 5 의 정수, i 는 1 ∼ 10 의 정수, f, g, h 및 i 의 합계는 3 ∼ 30 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선상 폴리실록산으로부터 수득되는 3 차원 폴리실록산이란, 일반식 (VII) :
(식중 R1 은 상기와 같다), 일반식 (VIII) :
및 일반식 (IX) :
(식중, R1 은 상기와 같다)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실록산 단위를 1 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일반식 (II) ∼ (VI) 으로 표시되는 선상폴리실록산의 분자사슬의 적어도 일부를 더욱 축합시킨 것이다.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중, 특히 유기규소 단량체는 후술하는 함불소 중합체나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의 합성시에 배합하는 것이 가요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유기규소 단량체 중에서도 후술하는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이 성막성, 광택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시에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과량사용함으로써도 합성후에 이 유기규소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중, 특히 유기규소 단량체의 부분 축합물은 후술하는 함불소 중합체나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를 합성한 후에 배합하는 것이 수성분산액의 안정성과 기재에의 밀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이 부분 축합물 중에서도 기재에의 밀착성, 성막성의 점에서 일반식 (III), (V), (VI) 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일반식 (III), (V) 의 구체예에 있어서, 분산액의 안정성, 기재에의 밀착성, 성막성의 점에서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이란, 특정의 함불소계 중합체의 입자가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체에 유기규소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특정의 함불소계 중합체란, 특정의 함불소 중합체 또는 특정의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이다.
상기 특정의 함불소 중합체로서는 플루오로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플루오로올레핀과의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와 플루오로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수득되는 중합체이다.
상기 플루오로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Vd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C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HFP),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 불화비닐 등의 탄소수 2 ∼ 4 정도의 플루오로올레핀 등을 들수 있으나 중합성의 점에서 VdF, TFE, CTFE, HFP 가 바람직하다.
상기 플루오로 올레핀과의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CHVE), 에틸비닐에테르 (EVE), 부틸비닐에테르, 메틸비닐에테르 등의 알킬비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릴에테르 (POEAE), 에틸알릴에테르 등의 알케닐비닐에테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VSi),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화합물, 아세트산비닐, 라우릴산비닐 등의 지방족 카르복실산비닐, 벤조산비닐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비닐,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등을 들수 있으나 공중합성, 성막성, 내후성의 점에서 알킬비닐에테르, 알릴비닐에테르,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CHVE, EVE, POEAE, VSi 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특정의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란, 상기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의 존재하에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수득되는 것이다.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부틸 (BA), 아크릴산에틸 (EA), 아크릴산 2 - 에틸헥실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 (MMA), 메타크릴산부틸 (BMA), 폴리옥시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POEMA)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γ -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 트리메톡시실란 (SiMA), γ -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화합물, 스티렌, p - t - 부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세트산비닐, 벤조산비닐 (쉘 (사)제 비닐 에스테르, 상품명 베오바)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등을 들수 있으나, 성막성, 내후성 등의 점에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화합물, 비닐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고, BA, MMA, POEMA, SiMA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의 고형분 농도로서는 예컨대 30 ∼ 60 % (중량 %, 이하 동일) 이며, 바람직하기는 35 ∼ 55 % 이며, 이 고형분 농도가 30 % 미만에서는 도료화 할 때의 점도 조성이 곤란케 되는 경향이 있고, 60 %를 초과하면 분산액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 중의 함불소계 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으로서는 예컨대 50 ∼ 250 nm이며, 바람직하기는 80 ∼ 200 nm 이며 이 평균 입자지름이 50 nm 미만에서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고농도의 분산액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고, 250 nm를 초과하면 수성 분산액의 보존시에 분산입자가 침강하여 응고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의 배합비율로서는 예컨대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체의 고형분 100 부 (중량부, 이하 동일) 에 대하여 유기규소화합물 1 ∼ 20 부이며, 바람직하기는 1 ∼ 10 부이며, 이 배합비율이 1 부 미만에서는 유기규소화합물을 배합한 효과 (밀착성, 내후성) 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고 20 부를 초과하면 유기규소 화합물을 여분으로 배합한 분의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시이드 중합에 사용하는 목적은,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를 사용한 도막에 가요성을 주고 또 기재에의 밀착성, 성막성, 도막의 내후성을 얻는데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의 사용비율로서는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 중의 0.1 ∼ 50 % 를 차지하고, 바람직하기는 0.1 ∼ 40 %, 더욱 바람직하기는 0.1 ∼ 30 % 이며, 이 사용비율이 0.1 % 미만에서는 가요성, 기재에의 밀착성, 도막의 내후성을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50 % 를 초과하면 여분으로 배합한 분의 효과를 얻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함불소 중합체에는 상기 VdF 가 70 ∼ 95 몰 %, 바람직하기는 75 ∼ 90 몰 %, 더욱 바람직하기는 75 ∼ 85 몰 % 및 상기 CTFE 가 5 ∼ 30 몰 %, 바람직하기는 10 ∼ 25 몰 %, 더욱 바람직하기는 15 ∼ 25 몰 %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dF 가 75 몰 % 미만에서는 함불소 중합체 (시이드 중합시의 종) 과 (메타)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의 상용성이 저하하고, 성막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투명성, 기계적 특성이 얻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고, 또 상기 CTFE 가 5 몰 % 미만에서는 함불소 중합체 (시이드 중합시의 종) 과, (메타)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의 상용성이 저하하여 성막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투명성, 기계적 특성이 얻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을 얻는데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하면 좋다.
(1) 반응용기에 물, 유화제를 투입하고, 질소압입, 탈기 (脫氣) 를 반복한 후, 플루오로 올레핀의 단량체를 압입하고 필요가 있으면 플루오로올레핀과의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를 첨가하고 중합개시제를 투입하고, 이 용기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소정시간 경과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린 후,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을 첨가하여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을 얻는 방법.
(2) 상기 (1) 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분산체를 얻고 또 이 분산체를 소정온도까지 승온한 후,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의 유화액을 서서히 투입하고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시이드 중합을 개시하고, 소정시간 경과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중화시킨 후,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을 첨가하여,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을 얻는 방법.
(3) 상기 (2) 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 중합체로서 VdF 70 ∼ 95 몰 % 및 CTFE 5 ∼ 30 몰 %를 함유하고 있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로서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방법.
(4)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로서 상기 일반식 (I), (III) 또는 (V)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것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내용량 1 리터의 교반기가 부착된 내압반응용기에 탈이온수 500 밀리리터, 퍼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염 0.5 g,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 (POE 40) 0.05 g을 투입하고, 질소압입, 탈기를 반복하고 용존공기를 제거한 후 VdF / TFE / CTFE 의 74 / 14 / 12 mol % 비의 혼합 단량체로 60℃ 에서 10 kgf/㎠ 까지 가압하였다. 다음에, 과황산암모늄 0.2 g 을 투입하여 조내 압력이 10 kgf/㎠ 로 일정하게 되도록 VdF / TFE / CTFE 의 74 / 14 / 12 mol % 비의 혼합 단량체를 연속 공급하고, 30 시간 반응을 실시한 후 조내를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합성예 1 의 함불소 중합체 수성 분산체를 수득하였다.
합성예 2 및 3
공급단량체를 표 1 에 표시하는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합성예 1 과 동일하게 해서 합성예 2 및 3 의 함불소 중합체 수성분산체를 얻었다.
합성예 4
200 밀리리터의 스테인레스제 교반기가 부착된 오토클레이브에 표 1 에 표시한 조성의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CHVE) 14.2 g, 폴리옥시에틸렌 알릴에테르 (POEAE) (닛뽕유시 (주), 상품명 PKA 5003) 4.2 g, 에틸비닐에테르 (EVE) 8.1 g, 이온교환수 66.1 g, 퍼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 (유화제) 0.35 g, 탄산칼륨 K2CO3) 0.35 g, 아황산수소나트륨 (NaHSO3) 0.02 g, 과황산암모늄 (개시제) 0.08 g을 투입하고 얼음으로 냉각하여 질소기체를 3.5 kg/㎠ 로 되도록 가압하여 탈기한다. 이 가압 · 탈기를 2 회 반복한 후 10 mmHg 까지 탈기하여 용존산소를 제거한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CTFE) 27.5 g을 투입하고, 30℃에서 12 시간 반응을 실시하고 합성예 4 의 함불소 중합체 수성분산체를 수득하였다.
합성예 5
합성예 4 의 단량체를 표 1 에 표시한 단량체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합성예 4 와 동일하게하여 합성예 5 의 함불소 중합체 수성분산체를 수득하였다. 또한 표 1 중 VSi 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표시한다.
합성예 6
교반기, 냉각관, 온도계를 구비한 내용량 200 밀리리터의 4 개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1에서 수득된 함불소 중합체 수성분산체 100 g을 투입하고, 이것에 알킬알릴술포석시네이트 알칼리염 (상요가세이고오교 (주) 제, 상품명 에레미놀 JS2) 을 고형분에 대하여 1.0 % 첨가하였다. 교반하에 수욕중에서 가온하고, 반응조 온도가 80℃ 에 달한 곳에서 메타크릴산메틸(MMA) 13.0 g, 아크릴산부틸 (BA) 3.5 g, 폴리옥시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POEMA) (신나까무라가가꾸고오교 (주) 제, 상품명 M90G) 2.2 g 의 혼합단량체를 알킬알릴술포석시네이트 알칼리염의 0.5 % 수용액으로 유화하고, 이 유화액을 1 시간 걸려서 적하하였다. 그 직후에 과황산암모늄의 2 % 수용액 1 밀리리터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반응 개시 3 시간 후에 반응조내 온도를 85℃ 로 올리고 1 시간 유지한 후, 냉각시키고 암모니아수로 pH를 7 로 조정하고 300 메쉬의 체로 여과하여 청백색의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 수성분산체를 수득하였다.
합성예 7 ∼ 9
함불소 중합체 수성분산액, 아크릴단량체 조성을 표 2 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합성예 6 과 동일하게하여 합성예 7 ∼ 9 의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 수성 분산체를 수득하였다.
합성예 10
합성예 6 에 있어서 함불소 중합체 수성분산액을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는 합성예 6 과 동일하게하여 합성예 10 의 아크릴수지 수성 분산체를 수득하였다.
합성예 1 ∼ 10 의 수성 분산체에 관하여 이하의 항목을 측정하였다.
수성 분산체의 특성
고형분 농도 : 150℃ 진공건조기 중에서 1 시간 건조시키고, 건조후의 중량을 건조전의 수성 분산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최저성막온도 (MFT) : 온도 구배시험장치 (리껜센이끼세이사꾸쇼 제)를 사용하여 연속된 막으로 된 최저온도를 측정하였다.
평균 입자지름 : 레이저광 산란입경 측정장치 (오쓰까덴시 DLS-3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2 에 표시한다.
실시예 1 ∼9, 비교예 1 ∼ 6
표 3 및 4 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합성예 4 ∼ 10 에서 수득된 수성 분산체에 이하에 표시한 A ∼ E 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표 3 및 표 4 에 표시한 양 만큼 혼합하고, 본 발명의 함불소 중합체 수성 분산액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중합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하고 다시 이것으로부터 투명필름을 만들고 그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투명필름의 특성 : 신장도, 탄성율을 JIS K6301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표시한다.
또한 표 3 및 표 4 에 있어서의 유기 규소 화합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 (A ∼ E) 는 다음과 같다.
A :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갖는 실란 축합물 (올리고머)
B :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 (단량체)
C :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갖는 실란 축합물 (올리고머)
D, E : 반응성기를 함유하지 않는 실리콘 오일 (축합물)
투명 도막의 특성
합성예 4 ∼ 10에서 수득된 수성 분산체의 고형분 100 부에 대하여 표 3 및 표 4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 규소 화합물을 가하고 다시 성막조제로서 텍사놀 (이스트만 케미칼 (사) 제) 10 부를 가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투명도료를 조정하였다.
수득된 도료를 공기가 없는 스프레이 총으로 건조후의 막두께가 30 ㎛ 로 되도록 슬레이트 판상에 도포하였다. 이 도판을 실온에서 1 주간 건조시키고, 이하와 같이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또 이 투명 도장 도판을 촉진 내후성 시험장치 (SUV) 중에서 1000 hr 경과후 동일하게 밀착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표시한다.
흰도막의 특성
합성예 4 ∼ 10에서 수득된 수성 분산체의 고형분 100 부에 대하여 표 3 및 표 4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규소화합물을 가하고 다시 무기안료로서 산화티탄 (상품명 CR90 (이시하라산교 (주) 제)) 50 부, 분산제로서 디스코우트 H-14 (닛뽕뉴우까자이 (주)제) 2 부, 동결방지제로서 에틸렌글리콜 1 부, 소포제로서 FS 안티폼 013B (닛뽕뉴우까자이 (주) 제) 0.5 부, 증점제로서 SN 시크너 - A - 818 (선노프코 (주) 제) 0.5 부, 성막조제로서 텍사놀 (이스트만 케미칼사 제) 10 부를 가하고 디스파 교반기를 사용하여 충분히 혼합하여 도료를 조정하였다.
광택 : 수득된 도료를 알루미늄판상에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건조후의 도막두께가 20 ㎛로 되도록 연신하고, 실온에서 1 주간 건조후 광택계 (스가시껭끼 (주) 제)를 사용하여 광택을 측정하였다.
밀착성 : 수득된 도료를 공기가 없는 스프레이총으로 건조후의 도막의 두께가 40 ㎛ 로 되도록 슬레이트판상에 도포하였다. 또 동일하게 도료를 아크릴수지계 수성 에멀션형 실러, 모비닐 940 (헥스트고세이(주) 제)를 도포한 슬레이트판상에 공기가 없는 스프레이총으로 건조후의 도막의 두께가 40 ㎛ 로 되도록 도포하였다. 도포한 슬레이트판을 실온에서 1 주간 건조후 JIS K5400 에 준하여 밀착시험을 실시하고 100 의 되량중에서 세로테이프 박리시험 후 남은 되량의 수를 측정하였다.
내후성 시험 : 이것들의 도판을 촉진 내후성 시험장치 (아이스파 UV 테스터 (SUV-W13))중에서 1000 시간 경과후의 광택 및 밀착성을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광택 : 알루미늄기재에 도포한 도막의 시험 후의 광택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밀착성 : 슬레이트 기재 직접도포 및 아크릴실러 도포 슬레이트판 상에서의 밀착성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표시하였다.
상기한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특정의 함불소계 중합체와 유기규소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으로부터 얻어지는 도료는 기재에의 초기 및 장기에 걸친 밀착성이 뛰어나고 내후성, 장기 내구성, 내찰과성, 내오염성 등에 뛰어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1) 반응용기에 물, 유화제를 투입하고, 질소압력, 탈기를 반복한 후, 플루오로 올레핀의 단량체를 압입하고, 필요하다면, 플루오로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첨가하고, 중합개시제를 투입하고 이 용기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소정시간 경과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린 후 유기규소 화합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은 기재에의 밀착성이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2) 또 상기 (1) 에 있어서, 유기규소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았던 것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분산액을 얻고 또 이 분산액을 소정온도까지 승온한 후,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의 유화액을 서서히 투입하여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시이드 중합을 개시하고, 소정시간 경과후, 상온, 상압으로 되돌리고 중화시킨 후, 유기규소화합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은 기재에의 밀착성과 성막성이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3) 또 상기 (2) 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 중합체로서 VdF 70 ∼ 95 몰 % 및 CTFE 5 ∼ 30 몰 % 를 함유하고 있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로서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성막성과 성막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투명성이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4)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식 (I), (III), (V), (VI) 로 표시되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기재에의 밀착성, 내후성, 내오염성이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5) 또, 상기 일반식 (III), (V) 의 구체예로서의
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분산액의 안정성과 밀착성, 성막성이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6)

  1.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체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일반식(V):
    (식중, R1 은 비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내고, R2 는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B 는 계면활성기, e 는 2 ∼ 50 의 정수이다)으로 표시되는 유기규소 부분축합물 1 ∼ 20 중량부가 후배합되어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체중의 함불소계 중합체가 플루오로올레핀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 또는 플루오로올레핀과의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와 플루오로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이며, 이러한 중합 또는 공중합 후 유기규소 부분축합물이 후배합되어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체중의 함불소계 중합체가 플루오로올레핀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 또는 플루오로올레핀과의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와 플루오로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의 존재하에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를 시이드 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이며, 이 시이드 중합 후, 유기규소 부분축합물이 후배합되어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α, β -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인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 .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 중합체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70 ∼ 95 몰 %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5 ∼ 30 몰 % 를 함유하고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분산체 중의 함불소계 중합체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70 ∼ 95 몰 %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5 ∼ 30 몰 % 를 함유하고 있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중합체의 입자의 존재하에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시이드 중합하여 얻어지는 함불소 시이드 중합체이며, 이러한 공중합 또는 시이드 중합후 유기규소 부분축합물이 후배합되어 있는 함불소계 중합체 수성 분산액.
KR1019960703128A 1994-10-24 1995-10-19 함불소계중합체수성분산액 KR100494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58173 1994-10-24
JP25817394A JP3239645B2 (ja) 1994-10-24 1994-10-24 含フッ素系重合体水性分散液
PCT/JP1995/002152 WO1996012773A1 (fr) 1994-10-24 1995-10-19 Dispersion fluoropolymere aque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540A KR960706540A (ko) 1996-12-09
KR100494864B1 true KR100494864B1 (ko) 2005-12-26

Family

ID=1731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128A KR100494864B1 (ko) 1994-10-24 1995-10-19 함불소계중합체수성분산액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12335A (ko)
EP (1) EP0736583A4 (ko)
JP (1) JP3239645B2 (ko)
KR (1) KR100494864B1 (ko)
WO (1) WO1996012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8745B2 (ja) * 1996-11-28 2005-05-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水性分散体及び防水剤
WO1998044546A1 (en) * 1997-04-03 1998-10-08 W.L. Gore & Associates, Inc. Method to improve adhesion of a thin submicron fluoropolymer film on an electronic device
WO1998044545A1 (en) * 1997-04-03 1998-10-08 W.L. Gore & Associates, Inc. Method to improve adhesion of a thin submicron fluoropolymer film on an electronic device
TW491824B (en) * 1997-04-30 2002-06-21 Daikin Ind Ltd Aqueous dispersion composition
CA2264590A1 (en) 1997-07-17 1999-01-28 Xavier F. Drujon Fluoropolymer powder coatings from modified thermoplastic vinylidene fluoride based resins
US6433076B1 (en) * 1997-07-24 2002-08-13 Sk Kaken Co., Ltd. Low-staining agent for aqueous paint, low-staining aqueous pai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use thereof
US5948849A (en) * 1997-08-18 1999-09-07 Therma-Tru Corporation Weatherable coating for stained composite thermoset or thermoplastic surface plastic building products
JPH11124535A (ja) 1997-10-24 1999-05-11 Daikin Ind Ltd 架橋性含フッ素樹脂水性分散組成物
JP3387392B2 (ja) * 1997-10-24 2003-03-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系重合体水性分散組成物
US6133373A (en) 1998-12-21 2000-10-17 Lauren International, Inc. Water-borne fluoroelastomer coatings and cured films therefrom
US6225403B1 (en) * 1999-02-03 2001-05-01 Barry R. Knowlto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fibrous substrates to impart oil, water and dry soil repellency
JP3724988B2 (ja) * 1999-07-30 2005-12-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US6251521B1 (en) 1999-08-09 2001-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ic compositions
US6312807B1 (en) 1999-08-09 2001-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V-absorbing core/shell particles
US6352764B1 (en) 1999-08-09 2002-03-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rticles including UV-absorbing polymeric compositions
DE60039181D1 (de) * 1999-09-17 2008-07-24 Daikin Ind Ltd Anorganisches/organisches hybridmaterial enthaltendes oberflächenbehandlungsmittel
JP4343354B2 (ja) * 1999-11-02 2009-10-14 Agcセイミケミカル株式会社 半田用フラックス這い上がり防止剤組成物とその用途
US6710123B1 (en) 1999-11-12 2004-03-23 Atofina Chemicals, Inc. Fluoropolymers containing organo-silan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833414B2 (en) * 2002-02-12 2004-12-21 Arkema Inc. Cross-linkable aqueous fluoropolymer based dispersions containing silanes
US7754287B2 (en) * 2006-05-31 2010-07-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forming filled bearings from fluoropolymer dispersions stabilized with anionic polyelectrolyte dispersing agents
JP4937872B2 (ja) * 2007-09-27 2012-05-23 コニシ株式会社 水性樹脂組成物
US20090148653A1 (en) * 2007-12-07 2009-06-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emulsions
US8329822B2 (en) * 2009-11-09 2012-12-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emulsions
US8507601B2 (en) * 2009-11-09 2013-08-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using fluoropolymer emulsions
WO2013047880A1 (ja) * 2011-09-30 2013-04-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組成物、及び、塗装物品
JP2013248874A (ja) * 2012-05-30 2013-12-1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 修飾されたパーフルオロポリマー材料
JP5882969B2 (ja) * 2013-10-01 2016-03-09 Jsr株式会社 塗料用組成物、塗料及び塗装体の製造方法
CN104479270B (zh) * 2014-12-31 2017-09-12 广东玉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环保树脂、制备方法及应用
EP3287491B1 (en) * 2015-04-21 2019-10-09 Daikin Industries, Ltd. Aqueous dispersion, coating film, and coated article
KR102270374B1 (ko) * 2016-10-24 2021-07-01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중합체 조성물, 재료 및 제조 방법
JP7293214B2 (ja) * 2017-10-17 2023-06-19 ソルベイ スペシャルティ ポリマーズ イタリー エス.ピー.エー. フルオロポリマーの合成方法
CN109722082A (zh) 2017-10-31 2019-05-07 株式会社E-Tec 涂膜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909A (ja) * 1991-12-20 1993-07-0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重合体粒子の水性分散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5434A (en) * 1961-07-20 1967-06-13 Gen Electric Polytetrafluoroethylene-silicone rubber extrusion composition
US3838082A (en) * 1971-05-25 1974-09-24 Du Pont Polytetrafluoromethylene coatings containing water soluble polyhydrolyzable compound for glass fabrics
US3879302A (en) * 1973-07-10 1975-04-22 Ebert Michael Fluorocarbon-based sealing compound
JPS57135871A (en) * 1981-02-13 1982-08-21 Daikin Ind Ltd Fluororubber-containing water paint and product coated therewith
US4514537A (en) * 1984-02-09 1985-04-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trafluoroethylene polymer dispersions
US5194335A (en) * 1984-04-13 1993-03-16 Chemical Fabrics Corporation Fluoropolymer coating and casting compositions and films derived therefrom
US4701508A (en) * 1984-12-14 1987-10-20 Mitsui Sekiyu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olvent soluble fluorine-containing polymer,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coating process thereof
JPS62141073A (ja) * 1985-12-17 198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ツ素樹脂被覆用組成物
JP2715540B2 (ja) * 1989-04-15 1998-0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樹脂の水性分散体、複合粉末およびオルガノゾル組成物
US5216081A (en) * 1990-06-29 1993-06-01 Daikin Industries, Ltd.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and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H04292673A (ja) * 1991-03-20 1992-10-16 Daikin Ind Ltd フッ素樹脂水性分散液及び織物繊維布の被覆用組成物
US5344862A (en) * 1991-10-25 1994-09-06 Kimberly-Clark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and nonwoven webs prepared therefrom
JPH05339537A (ja) * 1992-06-05 1993-12-21 Asahi I C I Furoro Polymer-Zu Kk 塗膜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909A (ja) * 1991-12-20 1993-07-0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重合体粒子の水性分散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6583A1 (en) 1996-10-09
WO1996012773A1 (fr) 1996-05-02
EP0736583A4 (en) 1998-10-14
JPH08120211A (ja) 1996-05-14
US5712335A (en) 1998-01-27
JP3239645B2 (ja) 2001-12-17
KR960706540A (ko) 199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864B1 (ko) 함불소계중합체수성분산액
KR100616797B1 (ko) 불소계 공중합체의 수성분산액 및 수성도료용 조성물
KR960003930B1 (ko) 수성 분산액의 제조방법, 수성 분산액 및 수성 도포 조성물
JP3289700B2 (ja) 水性塗料用樹脂組成物
WO1996006887A1 (fr) Dispersion aqueuse de copolymere de fluorure de vinylidene, dispersion aqueuse de polymere souche de fluorure de vinilidene et procedes de realisation de ces dispersions
US6051665A (en) Coating composition
JP5292367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およびデバイス用低反射フルオロポリマー層
JP2023501265A (ja) エチレン性不飽和と電子供与性基とを有する硬化剤を含むフルオロ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コーディングされた基材
JP3257288B2 (ja) 含フッ素系重合体水性分散液
JP6478988B2 (ja) 湿気硬化性組成物、使用法、及び複合物品
JP2000128934A (ja) フッ素系共重合体の水性分散液
JPH09194538A (ja) フッ素樹脂水性分散液
JP4175323B2 (ja) 撥水性および滑水性に優れる表面処理用組成物
JP2003192749A5 (ko)
JP3638076B2 (ja) 水性塗料用水性フッ素樹脂組成物
JPH1161028A (ja) 水性含フッ素樹脂塗料用組成物
TWI719113B (zh) 水性分散液、其製造方法、水性塗料及塗裝物品
JP3485650B2 (ja) 含フッ素ビニルエーテル共重合体
JP3957790B2 (ja) 塗料用組成物
JPH11246826A (ja) 耐汚染性水性塗料組成物
JP2002256203A (ja) 水性塗料用組成物
JP2000129195A (ja) 含フッ素水性塗料組成物
JP3366949B2 (ja) 水性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0129194A (ja) 含フッ素水性塗料組成物
JP2001164065A (ja) フッ素系共重合体の水性分散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403

Effective date: 200408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