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975B1 -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975B1
KR100492975B1 KR10-2002-0058017A KR20020058017A KR100492975B1 KR 100492975 B1 KR100492975 B1 KR 100492975B1 KR 20020058017 A KR20020058017 A KR 20020058017A KR 100492975 B1 KR100492975 B1 KR 10049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nozzle
release agent
nozzles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510A (ko
Inventor
정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to KR10-2002-005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9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58Applying the relea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29C33/3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continuously movable in one direction, e.g. in a closed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8Upholstery or cushions, e.g. vehicle upholstery or interior pad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는 다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박스의 내부에 메인설치대가 설치되고,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피스톤실린더가 상기 메인설치대에 설치된 실린더설치대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는 노즐설치대가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로드 선단부에 설치되고,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하는 다수의 상부전자노즐이 상기 노즐설치대에 상하로 설치된 제1설치로드 상에 상하로 이격 설치되고,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하는 다수의 하부전자노즐이 상기 노즐설치대에 전후로 설치된 제2설치로드 상에 전후로 이격 설치되고, 상부금형에 형성된 중판 뒤쪽면에 이형제를 위쪽에서 분사하는 중판상측전자노즐이 상기 노즐설치대의 상측 단부에 설치된 제3설치로드 상에 설치되고, 상부금형에 형성된 중판 뒤쪽면에 이형제를 아래쪽에서 분사하는 중판하측전자노즐이 상기 노즐설치대에 설치된 자바라호스와 연결되며, 금형의 유무를 감지하는 금형감지수단이 상기 메인설치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대차에 고정된 금형의 종류를 기록한 태그가 상기 대차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태그에 기록된 금형의 종류를 인식하는 리더가 상기 태그에 근접 가능하게 상기 메인설치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닫혀진 상태를 감지하는 금형개폐감지센서가 상기 부스박스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전자노즐, 하부전자노즐, 중판상측전자노즐 및 중판하측전자노즐을 각각 독립적으로 단속 제어하는 제어기가 상기 리더의 신호를 받아서 대차에 설치된 금형의 종류를 인식하면서 금형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노즐들을 금형에 따라 각각 독립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금형개폐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피스톤실린더와 컴프레셔 사이에 설치된 방향제어밸브를 작동하여 상기 전자노즐들을 금형으로부터 이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각각 분사하는 다수의 전자노즐을 적절한 시기에 분사하기 때문에, 대차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다양한 금형의 내부에 이형제를 용이하게 분사 도포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의 로보트에 투자되는 설비비보다 매우 저렴하고, 대차에 설치되는 금형이 교체되더라도 태그에 기록된 금형의 종류에 따라 제어기를 셋팅하는 작업만으로 금형에 이형제를 분사 도포할 수 있으며, 자바라호스와 연결된 중판하측전자노즐을 수잡업으로 손쉽게 위치를 가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바라호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중판 뒤쪽면에 이형제를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분사 도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MOLD RELEASE SPRAYER FOR MOLD MANUFACTURING SEAT SPONG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스펀지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노즐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다양한 금형의 내부에 이형제를 용이하게 분사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와 시트백의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스펀지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사용되는 이형제는 금형의 표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등의 성질을 보유하게 되고,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도포되어 금형의 내부에서 발포된 시트스펀지를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게 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고압이형제탱크와 노즐건을 호스로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작업자는 상기 노즐건을 잡고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벌려지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이형제를 도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작업자의 안정성과 건강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다른 예로서 6절 로보트를 이용하여 로보트의 최선단에 노즐을 설치하게 되는 바, 도포 궤도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따라 셋팅한 뒤, 로보트를 작동하여 연속적으로 순환 이송되면서 벌려지는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이형제를 도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로보트를 이용한 종래 기술은 산업용 로보트의 신용성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로보트의 가격이 매우 증대하게 되고, 순환하는 금형의 순서에 따라 도포 궤도를 셋팅하기 때문에 금형의 교체할 때에 로보트의 도포 궤도를 다시 정확하게 셋팅하지 못할 경우에 작업 불량이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로보트가 셋팅된 도포 궤도로만 작동하기 때문에 금형 근처에 간혹 근접한 작업자를 다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 시작이나 작업 종료시에 닫혀진 금형에 로보트의 선단부가 부딪혀서 화재 등과 같은 안전 사고를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내부에 공간을 보유한 시트스펀지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는 중판이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바, 종래에는 로보트로 상기 중판의 뒤쪽면에 이형제를 도포할 수 없기 때문에 중판의 뒤쪽면을 수작업으로 수행하게 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노즐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구석구석 분사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다양한 금형의 내부에 이형제를 용이하게 분사 도포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스박스를 연속적으로 순환 관통하는 컨베이어 상에 설치된 다수의 대차 상에 다수의 금형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부스박스를 관통하면서 벌려지는 다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박스의 내부에 메인설치대가 설치되고,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피스톤실린더가 상기 메인설치대에 설치된 실린더설치대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는 노즐설치대가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로드 선단부에 설치되고,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하는 다수의 상부전자노즐이 상기 노즐설치대에 상하로 설치된 제1설치로드 상에 상하로 이격 설치되고,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하는 다수의 하부전자노즐이 상기 노즐설치대에 전후로 설치된 제2설치로드 상에 전후로 이격 설치되고, 상부금형에 형성된 중판 뒤쪽면에 이형제를 위쪽에서 분사하는 중판상측전자노즐이 상기 노즐설치대의 상측 단부에 설치된 제3설치로드 상에 설치되고, 상부금형에 형성된 중판 뒤쪽면에 이형제를 아래쪽에서 분사하는 중판하측전자노즐이 상기 노즐설치대에 설치된 자바라호스와 연결되며, 금형의 유무를 감지하는 금형감지수단이 상기 메인설치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대차에 고정된 금형의 종류를 기록한 태그가 상기 대차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태그에 기록된 금형의 종류를 인식하는 리더가 상기 태그에 근접 가능하게 상기 메인설치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닫혀진 상태를 감지하는 금형개폐감지센서가 상기 부스박스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전자노즐, 하부전자노즐, 중판상측전자노즐 및 중판하측전자노즐을 각각 독립적으로 단속 제어하는 제어기가 상기 리더의 신호를 받아서 대차에 설치된 금형의 종류를 인식하면서 금형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노즐들을 금형에 따라 각각 독립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금형개폐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피스톤실린더와 컴프레셔 사이에 설치된 방향제어밸브를 작동하여 상기 전자노즐들을 금형으로부터 이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이형제 도포장치는 부스박스(1)를 연속적으로 순환 관통하는 컨베이어(2) 상에 설치된 다수의 대차(3) 상에 다수의 금형(4)이 배치되고, 상기 부스박스(1)를 관통하면서 벌려지는 다수의 상부금형(4a)과 하부금형(4b)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량용 시트스펀지는 시트에 내장되는 시트쿠션이나 시트스펀지이나 시트백에 내장되는 시트쿠션이나 시트스펀지를 모두 지칭하는 것이다.
아무튼 본 발명에 의한 이형제 도포장치는 상기 부스박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설치대(11), 상기 메인설치대(11)에 설치된 실린더설치대(12)에 설치되는 피스톤실린더(13), 상기 피스톤실린더(13)의 로드(13a) 선단부에 설치되는 노즐설치대(14), 상기 노즐설치대(14)에 상하로 설치된 제1설치로드(15) 상에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전자노즐(16), 상기 노즐설치대(14)에 전후로 설치된 제2설치로드(17) 상에 전후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전자노즐(18), 상기 노즐설치대(14)의 상측 단부에 설치된 제3설치로드(19) 상에 설치되는 중판상측전자노즐(20), 상기 노즐설치대(14)에 설치된 자바라호스(21)와 연결되는 중판하측전자노즐(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메인설치대(1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금형감지수단, 상기 대차(3)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태그(23), 상기 태그(23)에 근접 가능하게 상기 메인설치대(11)에 설치되는 리더(24), 상기 부스박스(1)의 입구(1a)에 설치되는 금형개폐감지센서(25), 상기 리더(24), 금형감지수단 및 금형개폐감지센서(25)의 신호를 받아서 이를 산출하여 지령전류를 출력하여 상기 상부전자노즐(16), 하부전자노즐(18), 중판상측전자노즐(20) 및 중판하측전자노즐(22)을 각각 독립적으로 단속 제어하는 제어기(26)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기(26)가 상기 리더(24)의 신호를 받아서 대차(3)에 설치된 금형(4)의 종류를 인식하면서 금형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을 금형(4)에 따라 각각 독립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금형개폐감지센서(25)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피스톤실린더(13)와 컴프레셔(27) 사이에 설치된 방향제어밸브(28)를 작동하여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을 금형(4)으로부터 이격하는 것이다.
상기 금형감지수단은 금형(4)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설치된 제1센서(29)와 제2센서(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센서(29)와 제2센서(30) 사이의 상측에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이 위치되며, 상기 제1센서(29)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기(26)가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을 작동하고, 상기 제2센서(3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기(26)가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을 작동을 정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센서(29)와 제2센서(30) 사이의 거리는 금형(4) 내부에 몰딩된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스박스(1)는 반복 순환하는 금형(4)에 이형제를 분사 도포하기 위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본 실시예의 설치대(11)는 금형(4)의 한쪽 측면에 이격된 위치의 상기 부스박스(1)의 내부에 설치되나, 금형(4)이 이동하는 동작에 방해되지 않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실린더설치대(12)는 피스톤실린더(13)를 경사진 자세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설치대(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절곡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13)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노즐설치대(14)를 피스톤실린더(13)의 길이 방향으로 그대로 위치 가변하게 되는 바, 노즐설치대(14)를 길이 방향으로 쉽게 가변하기 위하여 피스톤실린더(13)의 양측에 가이드바(13b)를 각각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바(13b)를 상기 실린더설치대(12)에 각각 관통하여 상기 노즐설치대(14)에 설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3b)가 상기 실린더설치대(12)의 지지를 받아서 길이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은 상기 제어기(26)에서 출력되는 전기에 따라 작동되어 액상의 이형제를 금형(4)으로 분사 도포하게 되고, 전기가 비인가되는 경우에는 닫히게 되는 바, 이들 내부에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종래와 마찬가지로 고압의 이형제를 발생하는 고압이형제 발생장치(31)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상부전자노즐(16)은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하여 상부금형(4a)의 내부를 도포하게 되고, 상기 하부전자노즐(18)은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하여 하부금형(4a)의 내부를 도포하게 되고, 상기 중판상측전자노즐(20)과 중판하측전자노즐(22)은 시트스펀지의 종류에 따라 구비되는 중판(4c)의 뒤쪽면을 상하에서 이형제로 분사 도포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상부전자노즐(16)은 제1설치로드(15) 상에서 상호 이격 설치되어 상부금형(4a)의 전면에 이형제를 분사하게 되고, 다수의 하부전자노즐(18)은 제2설치로드(17) 상에서 상호 이격 설치되어 하측금형(4a)에 이형제를 분사하게 되며, 상기 중판상측전자노즐(20)은 제3설치로드(19) 상에 설치되어 중판(4c)의 뒤쪽면에서 이형제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하게 되고, 상기 중판하측전자노즐(22)은 상기 자바라호스(21)에 의해 지지되어 금형(4) 쪽으로 돌출되어 중판(4c)의 뒤쪽면에서 이형제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분사하게 된다.
물론 각각의 전자노즐들(16,18,20,22)은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설치로드(15,17,19)와 자바라호스(21)에 의하여 그 위치를 쉽게 가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자바라호스(21)는 주판하측전자노즐(22)의 분사 방향을 쉽게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혹시나 발생될 수 있는 금형(4)과 전자노즐(22)의 간섭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금형(4)에 부딪혀서 불꽃이 발생될 수 없는 것이다.
금형(4)의 유무를 감지하는 금형감지수단이 제1,제2센서(29,30)는 셋팅된 거리 내의 물체를 인식하여 금형(4)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26)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통상적으로 광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그(23)는 상기 대차(3)에 고정된 금형(4)의 종류를 기록하여 상기 리더(24)로 하여금 금형(4)의 종류를 인식하게 하며, 상기 리더(24)는 태그(23)에 기록된 금형(4)의 종류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기(26)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통상적으로 태그(23)에 기록된 고유번호를 상기 리더(24)가 인식하게 되며, 이러한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금형에 이형제를 다수의 전자노즐(16,18,20,22)로 분사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금형개폐감지센서(25)는 닫혀진 상태의 금형(4)이 전자노즐들(16,18,20,22)과 간섭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형(4)이 닫혀진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기(26)에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26)가 방향제어밸브(28)에 전류를 인가하여 피스톤실린더(13)를 작동하여 다수의 전자노즐들(16,18,20,22)을 금형(4)으로부터 이격하게 된다.
물론 상기 금형개폐감지센서(25)도 상술한 제1,제2센서(29,30)와 마찬가지로 광센서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작업이 시작되면 부스박스(1)에 투입되는 금형(4)의 상부금형(4a)이 하부금형(4b)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호 벌려진 상태로 투입됨과 더불어 피스톤실린더(13)이 공기압에 의하여 다수의 전자노즐들(16,18,20,22)을 도면상 우측하향으로 이동하여 중판하측전자노즐(22)을 상부금형(4a)과 하부금형(4b)의 연결 부분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더(25)가 태그(23)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제어기(26)에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기(26)가 이에 해당하는 금형(4)의 종류를 인식한 뒤, 이 금형(4)에 해당하는 각각의 전자노즐들(16,18,20,22)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중판이 없는 금형인 경우에는 중판상측전자노즐(20)과 중판하측전자노즐(22)을 분사할 필요가 없으며, 이형제를 도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전자노즐들(16,18,20,22) 모두를 작동하지 않게 하며, 중판이 있는 금형인 경우에는 중판상측전자노즐(20)과 중판하측전자노즐(22)을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되는 바, 다수의 전자노즐(16,18,20,22)을 제어하는 경우의 수가 많아서 다양한 금형(4)에 맞추어서 이형제를 분사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아무튼 금형(4)이 이동되면서 제1센서(29)에 인식되면 제어기(26)의 신호에 의하여 금형(4) 상에 몰딩된 형상에 이형제가 다수의 전자노즐들(16,18,20,22)에 의하여 분사 도포되는 것이다.
그리고 금형(4)이 이동되면서 금형(4) 뒤쪽이 제2센서(29)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제2센서(29)의 신호를 받은 제어기(26)가 다수의 전자노즐들(16,18,20,22)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그러면 상기 금형(4)의 상부금형(4a)과 하부금형(4b)에 몰딩된 형상에 이형제가 용이하게 도포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 시작시, 작업 종료시, 작업 도중, 닫혀진 금형(4)이 부스박스(1) 안으로 투입되면 금형개폐감지센서(25)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제어기(26)가 상기 금형개폐감지센서(25)의 신호를 받아서 방향제어밸브(28)를 작동하여 피스톤실린더(13)를 초기 상태로 작동하여 다수의 전자노즐들(16,18,20,22)이 금형(4)으로부터 이격되어 금형(4)과 부딪히지 않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는 고정된 다수의 전자노즐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몰딩된 부분을 이형제로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각각 분사하는 다수의 전자노즐을 적절한 시기에 분사하기 때문에, 대차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다양한 금형의 내부에 이형제를 용이하게 분사 도포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의 로보트에 투자되는 설비비보다 매우 저렴하고, 대차에 설치되는 금형이 교체되더라도 태그에 기록된 금형의 종류에 따라 제어기를 셋팅하는 작업만으로 금형에 이형제를 분사 도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자바라호스와 연결된 중판하측전자노즐을 수잡업으로 손쉽게 위치를 가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바라호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중판 뒤쪽면에 이형제를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분사 도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스박스 4 : 금형
11 : 메인설치대 12 : 실린더설치대
13 : 피스톤실린더 14 : 노즐설치대
15,17,19 : 제1,제2,제3설치로드 16 : 상부전자노즐
18 : 하부전자노즐 20 : 중판상측전자노즐
22 : 중판하측전자노즐 23 : 태그
24 : 리더 25 : 금형개폐감지센서
26 : 제어기 29,30 : 제1,제2센서

Claims (2)

  1. 부스박스를 연속적으로 순환 관통하는 컨베이어 상에 설치된 다수의 대차 상에 다수의 금형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부스박스를 관통하면서 벌려지는 다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이형제를 분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박스(1)의 내부에 메인설치대(11)가 설치되고,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피스톤실린더(13)가 상기 메인설치대(11)에 설치된 실린더설치대(12)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실린더(13)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는 노즐설치대(14)가 상기 피스톤실린더(13)의 로드(13a) 선단부에 설치되고,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하는 다수의 상부전자노즐(16)이 상기 노즐설치대(14)에 상하로 설치된 제1설치로드(15) 상에 상하로 이격 설치되고, 고압의 이형제를 분사하는 다수의 하부전자노즐(18)이 상기 노즐설치대(14)에 전후로 설치된 제2설치로드(17) 상에 전후로 이격 설치되고, 상부금형(4a)에 형성된 중판(4c) 뒤쪽면에 이형제를 위쪽에서 분사하는 중판상측전자노즐(20)이 상기 노즐설치대(14)의 상측 단부에 설치된 제3설치로드(19) 상에 설치되고, 상부금형(4a)에 형성된 중판(4c) 뒤쪽면에 이형제를 아래쪽에서 분사하는 중판하측전자노즐(22)이 상기 노즐설치대(14)에 설치된 자바라호스(21)와 연결되며, 금형(4)의 유무를 감지하는 금형감지수단이 상기 메인설치대(11)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대차(3)에 고정된 금형(4)의 종류를 기록한 태그(23)가 상기 대차(3)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태그(23)에 기록된 금형(4)의 종류를 인식하는 리더(24)가 상기 태그(23)에 근접 가능하게 상기 메인설치대(11)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4a)과 하부금형(4b)이 닫혀진 상태를 감지하는 금형개폐감지센서(25)가 상기 부스박스(1)의 입구(1a)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전자노즐(16), 하부전자노즐(18), 중판상측전자노즐(20) 및 중판하측전자노즐(22)을 각각 독립적으로 단속 제어하는 제어기(26)가 상기 리더(24)의 신호를 받아서 대차(3)에 설치된 금형(4)의 종류를 인식하면서 금형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을 금형(4)에 따라 각각 독립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금형개폐감지센서(25)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피스톤실린더(13)와 컴프레셔(27) 사이에 설치된 방향제어밸브(28)를 작동하여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을 금형(4)으로부터 이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감지수단은 금형(4)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설치된 제1센서(29)와 제2센서(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센서(29)와 제2센서(30) 사이의 상측에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이 위치되며, 상기 제1센서(29)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기(26)가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을 작동하고, 상기 제2센서(3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기(26)가 상기 전자노즐들(16,18,20,22)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KR10-2002-0058017A 2002-09-25 2002-09-25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KR10049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17A KR100492975B1 (ko) 2002-09-25 2002-09-25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17A KR100492975B1 (ko) 2002-09-25 2002-09-25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663U Division KR200301686Y1 (ko) 2002-09-25 2002-09-25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10A KR20040026510A (ko) 2004-03-31
KR100492975B1 true KR100492975B1 (ko) 2005-06-07

Family

ID=3732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017A KR100492975B1 (ko) 2002-09-25 2002-09-25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9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42B1 (ko) 2011-06-29 2013-03-27 한희주 차량용 시트 성형을 위한 발포 수지 금형 내주면의 미세 캐비티 형성에 의한 이형층 형성 방법
KR102289613B1 (ko) 2021-03-30 2021-08-17 한성산업(주) 적층세라믹콘덴서 제조용 초고압 압착지그의 고분자 레진 코팅방법
KR102296669B1 (ko) 2021-03-30 2021-09-01 한성산업(주) 적층세라믹콘덴서 제조용 초고압 압착지그의 고분자 레진 코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303A (ko) 2015-02-12 2016-08-22 (주)대유플러스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차량용 금형
KR20160099318A (ko) 2015-02-12 2016-08-22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60100510A (ko) 2015-02-16 2016-08-24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60100508A (ko) 2015-02-16 2016-08-24 (주)대유플러스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차량용 금형
KR20160101344A (ko) 2015-02-17 2016-08-25 (주)대유플러스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차량용 금형
KR20160128643A (ko) 2015-04-29 2016-11-08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발포체의 검사장치
KR20160129341A (ko) 2015-04-30 2016-11-09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발포체의 검사장치
KR20160138654A (ko) 2015-05-26 2016-12-06 (주)대유플러스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60139140A (ko) 2015-05-27 2016-12-07 (주)대유플러스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70001233A (ko) 2015-06-26 2017-01-04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70001966A (ko) 2015-06-29 2017-01-06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70002818A (ko) 2015-06-30 2017-01-09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70012907A (ko) 2015-07-27 2017-02-06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70013502A (ko) 2015-07-28 2017-02-07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70014107A (ko) 2015-07-29 2017-02-08 (주)대유플러스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80002154U (ko) 2017-01-04 2018-07-12 김종희 수저통
CN114800773A (zh) * 2022-05-18 2022-07-29 唐山贺祥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水箱高压注浆成型机
CN117798349B (zh) * 2024-02-28 2024-05-10 福建省鼎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压缩机铝合金静盘的自动化浇注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536A (ja) * 1991-12-24 1995-07-1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鉛蓄電池用格子鋳造金型の離型剤自動塗布装置
JPH0857622A (ja) * 1994-08-22 1996-03-05 Toyota Motor Corp 鋳造用金型への離型剤塗布方法
KR19980016671A (ko) * 1996-08-29 1998-06-05 오상수 다이캐스팅용 슬라이드 코어의 이형제 분무장치
KR0145251B1 (ko) * 1994-07-23 1998-07-15 배순훈 이형제의 분사장치
KR19980063163A (ko) * 1996-12-30 1998-10-07 권문구 이형제의 자동 분사 장치
KR20000075064A (ko) * 1999-05-28 2000-12-15 조충환 이형제 분무장치
JP2001277256A (ja) * 2000-03-29 2001-10-09 Ube Ind Ltd 金型スプレー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536A (ja) * 1991-12-24 1995-07-1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鉛蓄電池用格子鋳造金型の離型剤自動塗布装置
KR0145251B1 (ko) * 1994-07-23 1998-07-15 배순훈 이형제의 분사장치
JPH0857622A (ja) * 1994-08-22 1996-03-05 Toyota Motor Corp 鋳造用金型への離型剤塗布方法
KR19980016671A (ko) * 1996-08-29 1998-06-05 오상수 다이캐스팅용 슬라이드 코어의 이형제 분무장치
KR19980063163A (ko) * 1996-12-30 1998-10-07 권문구 이형제의 자동 분사 장치
KR20000075064A (ko) * 1999-05-28 2000-12-15 조충환 이형제 분무장치
JP2001277256A (ja) * 2000-03-29 2001-10-09 Ube Ind Ltd 金型スプレ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42B1 (ko) 2011-06-29 2013-03-27 한희주 차량용 시트 성형을 위한 발포 수지 금형 내주면의 미세 캐비티 형성에 의한 이형층 형성 방법
KR102289613B1 (ko) 2021-03-30 2021-08-17 한성산업(주) 적층세라믹콘덴서 제조용 초고압 압착지그의 고분자 레진 코팅방법
KR102296669B1 (ko) 2021-03-30 2021-09-01 한성산업(주) 적층세라믹콘덴서 제조용 초고압 압착지그의 고분자 레진 코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10A (ko)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975B1 (ko)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US20170246650A1 (en) Methods for continuously moving a fluid dispenser while dispensing amounts of a fluid material
US4988260A (en) Automobile door opening/closing equipment
CA1232628A (en) Industrial robot having a sensor unit
KR950013584A (ko) 분무 도장 방법 및 장치
KR20070068279A (ko) 다이캐스팅 머신에서의 이형제의 분사방법 및 장치
KR200301686Y1 (ko) 차량의 시트스펀지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US6857463B1 (en) Mold spraying system
KR102235385B1 (ko) 멀티 토출 타입 디스펜서 장치
US7516774B2 (en) Method of operating a die casting reciprocator
KR100492963B1 (ko) 차량의 시트쿠션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KR200299283Y1 (ko) 차량의 시트쿠션의 제조 금형용 이형제 도포장치
JP2014061537A (ja) スプレイ装置
JPS6231987B2 (ko)
JP4510501B2 (ja) スプレーヘッド用スプレー要素
JPS6215265B2 (ko)
JPH04356356A (ja) フラックス塗布方法
JPH034423Y2 (ko)
CN216937436U (zh) 自动清洁装置及自动清洁系统
JPH05193736A (ja) 部品供給制御装置
JP3175522U (ja) 塗型剤のスプレー装置
JPS5630069A (en) Spraying apparatus for die casting machine
JPH09164466A (ja) スプレー装置
JPH09225589A (ja) 粉体塗型剤の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H0494755A (ja) 塗幅制御機構を備えたレシプロ塗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