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128B1 -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128B1
KR100488128B1 KR10-2002-7002217A KR20027002217A KR100488128B1 KR 100488128 B1 KR100488128 B1 KR 100488128B1 KR 20027002217 A KR20027002217 A KR 20027002217A KR 100488128 B1 KR100488128 B1 KR 10048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ata
building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330A (ko
Inventor
신고 아까사까
아쯔히로 이시다
신이찌 다니구찌
히데아끼 스즈끼
마사히로 오까
아끼히꼬 모리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7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2CAD in a network environment, e.g. collaborative CAD or distributed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4Constraint-based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축 구조안에 적합한 수주 기기의 사양안을 신속하게 작성한다.
설비 설계자측에는 WWW 서버(11), 데이터 베이스 서버(12)가 설치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각 제품의 CAD 심볼이 등록된 도면 데이터 베이스(9)를 구비한다. 각 제품의 CAD 심볼에는 각각, 제품의 설치를 위해서 확보할 필요가 있는 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유효 스페이스 정보, 제품명을 나타내는 제품명 정보, 제품의 구조 상의 특징(사이즈, 형상 등)을 나타내는 구조 정보, 제품의 사양 정보, 옵션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한편, WWW 서버(11)는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 데이터를 WWW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접수함과 함께 수주 제품의 CAD 심볼을 WWW 클라이언트 단말측에서 추출 가능하게 하는 심볼 생성용 데이터 인터페이스(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REMOTE ORDER ACCEPTANCE DESIGN SYSTEM AND ELEVATOR REMOTE ORDER ACCEPTANCE METHOD}
본 발명은 수주 제품의 설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수주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공정에서는, 통상 이것을 구성하는 각 공정에 각각 컴퓨터 원용 설계 시스템(이하, CAD 시스템이라고 함)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 6-89314호 공보에는 건축 공정 중, 특히 설비 설계 공정에 적용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 따르면, 건축 설계자의 요구 사양에 맞춘 기기를 신속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런데, 공정과 공정 사이의 정보 전달은 오로지 종이를 매개로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건축 구체(軀體) 설계 공정과 설비 설계 공정 사이 등에 있어서는, 통상 지면(紙面)을 이용한 사양 전달이나 사양 대조(건축할 집과 기기와의 균형 검토, 기기의 설치 구조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CAD 시스템 사이에서의 CAD 데이터의 수수에 대해서는, 중간 파일 포맷을 규정하는 규격 「DXF 형식」이 데이터 교환 형식의 사실 상의 표준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닛케이(日經) BP사 1997년 8월 발행 「속·건축 CAD 현명한 사용 방법」(P63∼P69)에는 건축업자 등이 인터넷, 퍼스널 컴퓨터 통신 등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기기의 CAD 심볼 데이터(DXF 형식)를 기기 메이커측(기기 설계자측)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 따르면, 건축 설계자는 필요한 기기의 형상이나 사이즈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파악 내용에 기초하여 그 기기가 설계 중 건축물 구체에 들어가는지의 균형 검토를 행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그런데, 상기 종래의 DXF 형식에서는, 선분, 원호, 원 등, 도형 요소 레벨의 데이터 표현은 되어 있으나, 건축물을 구성하는 구조물, 예를 들면 벽, 기둥, 대들보 등에 대응한 데이터 표현은 되어 있지 않다. 즉, 단순한 설계도를 그리는 정보만이 수수되고, 설계도 상에서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정보의 수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기기 설계자는 각 물건마다, 각각 그 설계도에 나타난 건축 구조를 이해한 뒤에, 추가로 기기의 설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특징, 예를 들면 기둥이나 대들보 등의 건축 요소의 유무, 설치 기기와 그 주변 건축 요소와의 위치 관계, 구조물의 사이즈나 재질 등을 설계도로부터 추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기기 설계자측에서의 처리, 즉 건축 설계자의 건축 구조안에 적합한 기기의 사양안 작성 처리에 시간이 필요하였다.
그런데, IFC(Industrial Foundation Classes), STEP 등, 업계 표준의 건축 프로덕트 모델 형식의 책정이 진행되고, CAD 시스템을 포함한 관련 시스템의 제휴가 실현되고 있다. 그 관련 기술이 건축 지식사(建築知識社) 1998년 6월 발행 파드마가 「건축 CAD 데이터의 유효 활용과 표준화 ①」(P117∼P124)에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은, 모델 표현에 필요한 오브젝트(기둥, 벽, 도어 등)의 집합을 클래스 라이브러리로서 정의해두고, 이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하여 액세스나 계산을 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준 프로덕트 모델의 CAD 데이터 교환 기술에 따르면, 상술한 DXF 형식으로는 불가능한 대들보나 기둥 등의 건축 요소의 정의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 프로덕트 모델의 CAD 데이터 교환 기술을 채용해도, 건축 설계자의 건축 구조안에 적합한 기기의 사양안의 작성 처리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기기의 설치 구조를 결정하는 데는, 그 기기에 관련하는 오브젝트를 대규모이며 복잡한 구조의 건축 데이터 중에서 추출하고, 그 기기의 설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특징(기둥이나 대들보 등의 유무, 설치 기기와 그 주변 구조물과의 위치 관계 등)을 파악한 뒤에, 그 기기와 건축 구조와의 간섭 체크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건축 구조안은 설계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변경이 반복되기 때문에, 그 때마다 기기 설계자측에서는 일일이 기기와 변경 후의 건축 구조와의 간섭 체크를 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에는 신속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설계 중인 건축물에 수주 기기를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구조안을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는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수주 성립에 이르기까지의 수주 처리를 지원하는 원격 수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품의 점유 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유효 스페이스 정보를 포함한 CAD 심볼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1 이상의 기기를 포함한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을 접수하는 제1 입력 접수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접수 수단이 입력을 접수한 요구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수주 제품의 점유 스페이스를 정하고, 해당 점유 스페이스에 적합한 유효 스페이스 정보를 포함한 CAD 심볼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수단과,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CAD 심볼을 상기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원은 수주 제품의 점유 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유효 스페이스 정보를 포함한 CAD 심볼을 얻을 수 있다.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원에서, 이 CAD 심볼을 포함하는 건축 데이터가 작성되면, 이 건축 데이터로부터 수주 제품의 점유 스페이스 내에서의 간섭의 유무를, 연산 처리에 의해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에, 또한,
제품에 포함되는 기기의 배치 규칙을 나타내는 1 이상의 배치 규칙 정보가 저장된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수주 제품의 CAD 심볼을 포함한 건축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제2 입력 접수 수단과,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접수한 건축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주 제품의 CAD 심볼의 유효 스페이스 정보가 나타내는 점유 스페이스 내의 구조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영역 내에서의 간섭의 유무를, 해당 구조 특징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구조 특징 추출 수단과,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영역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CAD 심볼에 대응하는 배열 규칙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배열 규칙 정보와 상기 건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도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설치 도면 생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수단이,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건축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설치 도면 생성 수단이 작성한 설치 도면 데이터를, 상기 건축 데이터의 입력원으로 출력하도록 하면,
수주 제품의 점유 스페이스 내에서의 간섭 발생의 유무가,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원에서 작성된 건축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속하게 자동 체크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기기 설계자의 판단으로 간섭 체크를 행하는 경우보다도 신속하게, 수주 제품을 적절하게 건축물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도면 데이터를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설계자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또한, 이러한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에,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입력을 접수한 건축 데이터를, 해당 건축 데이터의 입력원에 대응시켜 보존하는 건축 데이터 보존 수단과,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접수한 경우에는, 해당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와 변경 전의 건축 데이터와의 차분을 산출하고, 상기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에 정해진 수주 제품 설치 영역에서의 간섭의 유무를 해당 차분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정정 관리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 도면 생성 수단이,
상기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에서의 수주 제품 설치 영역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배열 규칙 정보와 상기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도면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해두면,
설계 과정에서 건축 데이터에 반복하여 변경이 가해지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어도, 건축 데이터의 변경에 의한 새로운 간섭의 발생도 신속하게 자동 체크되기 때문에, 기기 설계자의 노동력이 삭감됨과 함께,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원에 의한 수정 설치 도면 데이터 입수 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컴퓨터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에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배포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컴퓨터에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단계적으로 완성시키기 위한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절차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축물에 관한 건축물 정보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상기 건축물 정보에 따른 엘리베이터 중 적어도 기종에 관한 정보를 상기 건축물 정보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엘리베이터에 관한 요구 사양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해당 요구 사양에 적합한 CAD 심볼을 해당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CAD 심볼을 포함하는 건축 데이터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해당 건축 데이터를 기초로 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해당 건축 데이터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
중에서 하나의 단계, 또는 2 이상의 단계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에서, 상부 도면은 수주 제품의 일례인 엘리베이터의 개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부 도면은 그 단면도.
도 3은 엘리베이터 설치 부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되는 GUI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되는 GUI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처리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처리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처리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처리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처리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가 실행하는 승강로 관련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 처리의 흐름도.
도 13은 기기 설계자측의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도면 작성 처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가 실행하는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의 흐름도.
도 15는 기기 설계자측의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도면 작성 처리에 의해 작성된 엘리베이터의 설치 도면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원격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18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7의 단계 S201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20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기종 대수 계획 맵의 개념도.
도 22는 도 17의 단계 S202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23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17의 단계 S203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26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도 17의 단계 S203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28은 도 17의 단계 S203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29는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도 17의 단계 S204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31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도 17의 단계 S205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34는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는 WWW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5는 건축 설계자가 작성한 전자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6은 도 17의 단계 S205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37은 도 17의 단계 S205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의 일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건축 설계자측에는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된 WWW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단말(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사용자 단말(2)(이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이라고 함)에는 WWW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브라우저, 표준 프로덕트 모델 대응의 CAD 프로그램의 인스톨이 완료된다.
한편, 설비 설계자측에는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된 WWW 서버(11), 데이터 베이스 서버(12), 사용자 단말(1)(이하,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은 LAN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WWW 서버(11)는 ①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 데이터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부터 접수함과 함께 수주 제품의 CAD 심볼을 WWW 클라이언트 단말측으로부터 추출 가능하게 하는 심볼 생성용 데이터 인터페이스(3), ② 수주 제품의 설치 구조 검토 의뢰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부터 접수함과 함께 수주 제품의 설치 구조 데이터를 WWW 클라이언트 단말측으로부터 추출 가능하게 하는 설치도 작도 의뢰 인터페이스(8), ③ CAD 심볼을 자동 생성하는 CAD 심볼 자동 생성 처리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모두 CGI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구성이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도면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 외부 기억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제품의 CAD 심볼이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각 CAD 심볼에는, 각각 제품명을 나타내는 제품명 정보, 제품의 구조 상의 특징(사이즈, 형상 등)을 나타내는 구조 정보, 카의 용량 데이터(정원, 적재 하중) 및 도어 열림 방법 데이터(중앙 열림 등)를 포함하는 사양 정보, 제품의 설치를 위해 확보할 필요가 있는 스페이스(이하, 점유 스페이스라고 함)를 나타내는 유효 스페이스 정보, 및 옵션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은 하드디스크로부터 메모리에 판독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은 수주 제품의 설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 특징을 건축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가 추출한 구조 특징에 기초하여 간섭 체크를 행하고나서 구성 기기 선정 등을 행하는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설치 도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설치도 자동 작성 처리부(6), 및 건축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 전후의 건축 데이터의 차분에 기초하여 간섭 체크를 행하는 사양 정정 관리부(10) 등을 구비한다.
또한, 이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의 하드디스크에는 표준 프로덕트 모델 대응의 CAD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것 외에,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 및 구조 특징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다.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제품마다, 각각 그 제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배치 규칙 정보가 등록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그 배치 규칙 정보에는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명(카, 권상기 등),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품명(중간 빔, 레일 등), 엘리베이터의 설치 구조의 강도 계산의 일련의 절차,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의 형식과 기기 사양(카의 경우에는 폭과 높이)을 대응시킨 테이블,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조건식 등이 포함된다(도 14 참조).
또한, 구조 특징 데이터 베이스에는 후술하는 승강로 관련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 처리에서, 승강로로의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관련하는 건축 요소가 등록된다.
이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원격 수주 설계 처리의 설명에 앞서, 수주 제품을 예로 들어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승강로 내에 배치된 카와 균형추를 연결한 와이어 로프를 권상기의 권동에 감고, 이 권상기의 동력에 의해서 카를 승강로 내에서 승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권상기 등을 제어하는 제어반은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기계실 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승강로의 하단에는 완충 장치 등의 안전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를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대들보에 중간 빔을 걸치고, 카 및 균형추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이 이 중간 빔에 레일 브래킷으로 고정된다. 단, 건축물의 건축 구조에 따라서는 카 안내용 레일이 건축물 벽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를 건축물에 여러대 설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카가 승강로 내에 배치되는 점이 다르지만, 기본적인 설치 방법은 이것과 다르지 않다.
한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치수(폭 치수, 높이 치수)는 이들의 구성 기기(카, 카 안내용 레일 등)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가 확보되도록 정해져 있어야만 한다. 기기 설계자측에서 행해지는 균형 검토에서는, 이러한 승강로 치수가 확보되어 있는지, 즉 건축 설계자의 요구 사양(정원, 적재중량 등)을 만족시키는 사이즈를 갖는 카 등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에 기둥 등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승강로 치수가 정해져 있는지가 판단된다.
이하, 이러한 엘리베이터를 수주 제품의 예로 들어,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원격 처리 중, 주로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1) 사이에서 실행되는 CAD 심볼 취득 처리에 대하여, 도 4 및 다른 도면(도 5∼도 11)으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건축 설계자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 상에서 CAD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그에 따른 CAD 윈도우 상에서 엘리베이터가 있는 건축물의 건축 설계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엘리베이터가 있는 건축물을 설계하는 건축 설계자는 그 설계 과정에서 엘리베이터가 들어갈 공간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필요한 승강로 치수나, 설계도 상의 승강로 내에 엘리베이터가 들어갈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 등에, 건축 설계자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 상에서 브라우저를 기동하면,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1)와의 연결이 확립됨과 함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설계 WWW 페이지가 열린다(S401). 이 엘리베이터 설계 WWW 페이지 상에는 각각의 엘리베이터마다, 엘리베이터 용도의 입력을 접수하는 엘리베이터 용도 입력 박스(50), 엘리베이터 기본 사양의 지정의 입력을 접수하는 사양 번호 입력 박스(51),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리는 방법의 입력을 접수하는 도어 열림 방향 입력 박스(52)가 배치되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설치 대수분의 엘리베이터의 각 입력 박스(51, 52, 53)에, 각각 적당한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단, 이 엘리베이터 설계 WWW 페이지 상에는 엘리베이터의 용도가 엘리베이터 용도 입력 박스에 입력되면, 그 용도로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기본 사양의 일람(54), 구체적으로는 카의 용량(정원, 적재량)과 상승·하강 속도와의 대응 정보의 일람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이 일람 중에서 적당한 기본 사양을 선택하여, 그 번호를 번호 입력 박스에 입력하면 된다. 또한, 트렁크의 유무, 카운터웨이트 위치 등의 옵션 선택 역시, 이 엘리베이터 설계 WWW 페이지 상에서 행하여도 된다.
건축 설계자가, 필요한 대수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기본 사양 데이터 등의 설정을 종료하고나서, 심볼 표시 버튼(53)을 클릭하면, 기본 사양 데이터 및 도어 열림 방향 데이터를 포함한 CAD 심볼 검색 의뢰가 WWW 서버(11)로 보내진다(S402).
이 CAD 심볼 검색 의뢰를 접수한 WWW 서버(11)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기본 사양 데이터 및 도어 열림 방향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들을 요구 사양 데이터로서 버퍼 메모리에 저장함과 함께, 이 요구 사양 데이터의 기본 사양 데이터를 검색 키로 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데이터 베이스 서버(12)에 의뢰한다.
또한, 이 때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의 의뢰 처리는 메모리 상에 판독된 CGI 프로그램(도 7 참조)의 실행에 의해 실현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도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키로서 지정된 기본 사양 데이터 등을 포함한 CAD 심볼을 도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이것을 WWW 서버(11)로 회신한다. 이 때,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실패하면, 그러한 취지의 메시지를 WWW 서버(11)로 회신한다.
WWW 서버(11)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부터의 회신 데이터를 접수하면, 이 회신 데이터에 따라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회신 데이터에 CAD 심볼이 포함되는 경우, WWW 서버(11)는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에, 기본 사양 데이터 등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서, 이 CAD 심볼을 송신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엘리베이터 설계 WWW 페이지 상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CAD 심볼, 즉 건축 설계자의 요구 사양에 적합한 엘리베이터의 구조 및 유효 스페이스가 파라메트릭 표현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6에는 1대의 엘리베이터의 CAD 심볼의 표시예를 나타내었지만, 건축 설계자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기본 사양 등이 설정된 경우에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CAD 심볼, 즉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집합체의 구조 및 유효 스페이스가 파라메트릭 표현으로 표시된다.
한편,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실패한 취지의 메시지가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WWW 서버(11)는, 요구 사양에 적합한 CAD 심볼의 작성이 종료하면 그 저장 장소를 보고하는 전자 메일을 송신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엘리베이터 설계 WWW 페이지 상에 표시한다. 더불어, 이 전자 메시지의 송신처 메일 어드레스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한 응답을 접수한 WWW 서버(11)는, 일단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의 연결을 단절한다(도 8 참조).
그리고, CAD 심볼 자동 생성 처리부(7)는 사전에 정한 규칙에 따라 건축 설계자 지정의 기본 사양 데이터를 엘리베이터의 각 구성 부품의 형상 치수(카의 형상 및 사이즈, 균형추의 형상 및 사이즈 등)로 변환하고, 또한 이들의 구성 부품의 조립품 주위에, 그 크기에 따른 점유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또한, 여기서 정한 점유 스페이스 및 각 구성 부품의 형상 치수, 제품명 정보, 요구 사양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제품명 정보, 구조 정보, 사양 정보, 유효 스페이스 정보, 옵션 데이터 등)를 포함한 CAD 심볼을 작성한다(S403).
그 후, WWW 서버(11)는 새롭게 작성한 CAD 심볼의 등록을 데이터 베이스 서버(12)에 의뢰함과 함께, CAD 심볼의 완성과 그 저장 장소를 통지하는 설계 건축자앞으로의 전자 메일의 배신을 네트워크 상의 메일 서버에 의뢰한다(도 9 및 도 10 참조). 또한, 이 때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12) 및 메일 서버로의 의뢰 처리는 모두 메모리 상에 판독된 CGI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실현된다.
건축 설계자가 WWW 서버(11)로부터의 전자 메일의 착신에 의해 CAD 심볼의 완성과 그 저장 장소를 알고, 그 CAD 심볼을 저장 장소로부터 다운로드하면(도 11 참조),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엘리베이터 설계 WWW 페이지 상에는 그 CAD 심볼, 즉 건축 설계자의 요구 사양에 적합한 엘리베이터의 구조 및 유효 스페이스가 파라메트릭 표현으로 표시된다.
건축 설계자는 이 엘리베이터 설계 WWW 페이지로부터 CAD 심볼을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CAD 윈도우 상에서 작성 중인 건축 설계도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요구 사양을 만족하는 엘리베이터가 주변 건축 요소와 간섭을 일으키는지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S404). 예를 들면, CAD 심볼의 유효 스페이스 정보가 나타내는 점유 스페이스가 주변 건축 요소(기둥, 벽 등)에 중첩되어 있으면, 건축 설계자는 자신의 요구 사양을 만족하는 엘리베이터가 건축 설계도 상의 승강로 내로 다 들어갈 수 없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의 요구 사양 및 작성 중인 건축 설계도 상의 승강로 치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요구 사양에 변경을 가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건축 설계자는 적절한 CAD 심볼이 얻어질 때까지 요구 사양에 적절한 수정을 가하면서 이상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하면 된다.
한편, 여기서, 요구 사양을 만족하는 엘리베이터가 주변 건축 요소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요구 사양을 만족하는 엘리베이터와 주변 건축 요소와의 간섭이 건축 도면 수정에 의해 방지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설비 기기 설계자(엘리베이터 설계자)는 자신의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에서 엘리베이터 설치 도면 작성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하, 이 엘리베이터 설치 도면 작성 처리에 대하여, 도 4 및 다른 참고도(도 12∼도 15)에 의해 설명한다.
건축 설계자는 CAD 심볼을 포함한 건축 도면 데이터를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부터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로 송신한다(S405). 설비 기기 설계자가 이 송신 데이터의 수신을 확인하고나서, 설치 도면 작성 처리의 실행 커맨드를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등)로 입력하면,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에서는 이하의 처리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1) 승강로 관련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 처리(S406)
우선,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로부터 건축 도면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건축 도면 데이터로부터 승강로로의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관련된 건축 요소, 구체적으로는 승강로 내로 돌출될 가능성이 있는 기둥·벽·대들보를 특징 구조로서 건축물의 각 층마다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가 기둥, 대들보 및 벽의 3 종류의 건축 요소의 오브젝트 모두를 건축 도면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S901), 이 오브젝트군을 모(母) 집단으로 하여, 그 중에서 CAD 심볼 근방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건축물의 각 층마다 추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하와 같다.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는 처리 대상층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나서(S902), CAD 심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추출한다(S903).
그리고,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는 건축 도면 상에서의 CAD 심볼의 위치 및 방향을 산출한다(S904). 또한, CAD 심볼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고, CAD 심볼의 정면 방향을 -Y 방향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를 새롭게 정의하고, 건축 도면 상에서의 좌표계로부터, 이 새로운 직교 좌표계로 좌표 변환을 행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오브젝트군의 위치 좌표가 새로운 좌표계의 좌표로 변환된다.
그리고,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는 전술한 오브젝트군에 포함되어 있는 처리 대상층의 벽 오브젝트 중에서 CAD 심볼의 전후 좌우의 벽 오브젝트를 추출한다(S905). 이 때 더불어서, CAD 심볼과 전후 좌우의 벽 오브젝트의 평행성을 체크하고, CAD 심볼과 전후 좌우의 벽 오브젝트에 대하여 CAD 심볼이 기울어져 있으면, 그 기울기에 따른 회전각만큼, 처리 대상층의 건축도 상의 모든 오브젝트를 회전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건축 도면 상에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CAD 심볼이 배치된 것에 기인하는 건축 도면 상의 오차가 수정된다.
또한,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는 전술한 오브젝트군에 포함되어 있는 처리 대상층의 대들보 오브젝트 중에서 CAD 심볼의 전후 좌우의 대들보 오브젝트를 추출한다(S906). 마찬가지로 하여, 전술한 오브젝트군에 포함되어 있는 처리 대상층의 기둥 오브젝트 중에서 CAD 심볼에 인접하는 콘트리트제 기둥 오브젝트를 추출하고(S907), CAD 심볼에 인접하는 철골성 기둥 오브젝트를 더 추출한다(S908). 그리고, 처리 대상층의 층 높이를 산출하고나서(S909), 처리 대상층에 대하여 행한 이상의 연산 처리의 기록을 로그 파일로 출력함과 함께, 처리 대상층에 대하여 행한 이상의 연산 처리 결과와 건축 도면 식별 정보(예를 들면, 건축 설계자의 사용자명 등)를 대응시킨 대응 정보를 특징 구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910). 또한, 로그 파일은 건축 설계자의 작업 상 편의를 위해 적절하게 참조 가능하다.
그 후,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는 처리 대상층이 건축물의 최상층인지를 판단하고(S911), 최상층이 아니면 처리 대처층 파라미터를 1 증가한 후(S912), 단계 S905 이하에 이어지는 처리를 반복한다.
(2)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S407)
승강로 관련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 처리(S406)에서, 최상층까지의 각 층에 대하여, 각각 단계 S905∼S910까지의 처리가 실행되면, 계속해서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가 엘리베이터의 배치 규칙 정보를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는 엘리베이터의 배치 규칙 정보를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이 배치 규칙 정보에 포함되는 테이블에 정해져 있는 대응 관계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의 형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카이면, CAD 심볼에 포함되는 카 사이즈에 대응된 형식을 채용 형식으로서 결정한다(S101). 또한, CAD 심볼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각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각각 그 구성 기기의 형식 등이 배치 규칙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는 배치 규칙 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를 배치해나간다. 구체적으로는, 배치 규칙 정보에 포함되는 절차에 따라서 강도 계산을 행함과 함께, 미배치의 구성 기기를, 이미 배치 완료한 구성 기기에 대하여, 배치 규칙 정보에 포함되는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CAD 심볼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각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각각 그 구성 기기의 배치 위치가 배치 규칙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는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가 특징 구조로서 추출한 각 오브젝트의 좌표에 기초하여, 이들 오브젝트가 건축 도면 상에 확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점유 스페이스를 침입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여기서, 엘리베이터의 점유 스페이스를 침입한 오브젝트가 없으면,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는 엘리베이터와 주변 건축 요소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배치 규칙 정보에 이름이 포함되는 구성 부품(카, 권상기 등)을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배치 규칙 정보에 이름이 포함되는 설치 부품(중간 빔, 패스너 등)을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점유 스페이스에 침입된 오브젝트가 있으면,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는 엘리베이터와 주변 건축 요소에 간섭이 발생한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설계 건축자 앞으로의 전자 메일의 배신을 네트워크 상의 메일 서버에 의뢰한다. 이 전자 메일의 착신에 의해 건축 설계자는 엘리베이터와 주변 건축 요소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작성 중인 건축 도면 데이터 변경의 검토에 들어 갈 수 있다.
엘리베이터와 주변 건축 요소에 간섭이 발생한다는 취지의 전자 메일을 수취한 건축 설계자는 설치 도면 데이터를 입수하기 위해서 건축 설계도의 수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건축 설계자가 수정 후의 건축 도면 데이터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2)로부터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로 송신하면,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가 그 건축 도면 데이터로부터 특징 구조를 추출하는 점은 전술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지만, 이 경우에는 특징 구조의 추출 후에 사양 정정 관리부(10)가 금회 추출된 특징 구조와 전회 추출된 특징 구조(특징 구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특징 구조 데이터)와의 차분을 산출하고, 이 차분에 해당하는 오브젝트에 대해서만 간섭의 유무를 체크한다. 그리고, 간섭이 생기지 않으면,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는 전술한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S407)와 마찬가지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설치 도면 자동 작성 처리부(6)는 전술한 설치 도면 생성 처리(S408)와 마찬가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설치 도면 데이터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설계 과정에서 건축 도면 데이터에 변경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더라도, 건축 도면 데이터의 변경에 의한 새로운 간섭의 발생도 신속하게 자동 체크되기 때문에, 설비 기기 설계자의 노동력이 적게 해결되고, 또한 설비 기기 설계자에 의한 설치 도면 데이터 입수 시간도 단축된다.
엘리베이터와 주변 건축 요소에 간섭이 발생하는 취지의 전자 메일을 수취한 건축 설계자는 설치 도면 데이터를 입수하기 위해서 건축 설계도의 수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건축 설계자가 수정 후의 건축 도면 데이터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2)로부터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로 송신하면,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부(4)가 그 건축 도면 데이터로부터 특징 구조를 추출하는 점은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지만, 이 경우에는 특징 구조의 추출 후에 사양 정정 관리부(10)가 금회 추출된 특징 구조와 전회 추출된 특징 구조(특징 구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특징 구조 데이터)와의 차분을 산출하고, 이 차분에 해당하는 오브젝트에 대해서만 간섭의 유무를 체크한다. 그리고, 간섭이 생기지 않으면,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부(5)는 전술한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S407)와 마찬가지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설치 도면 자동 작성 처리부(6)는 전술한 설치 도면 생성 처리(S408)와 마찬가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설치 도면 데이터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설계 과정에서 건축 도면 데이터로 변경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도, 건축 도면 데이터의 변경에 의한 새로운 간섭의 발생도 신속하게 자동 체크되기 때문에, 설비 기기 설계자의 노동력이 적게 해결되고, 또한 설비 기기 설계자에 의한 설치 도면 데이터 입수 시간도 단축된다.
(3) 설치 도면 생성 처리(S408)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S407)에서, 설치 부품의 배치 위치가 결정되면, 이어서 설치 도면 자동 생성 처리부(6)가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S407)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치 도면 자동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의 구성 기기 및 설치 부품을,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의 처리 결과에 의해 정해지는 건축 도면 상의 위치에 배치한다. 예를 들면, 3대의 엘리베이터를 건축물에 설치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설치 도면 자동 생성 처리의 실행에 의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치 도면이 작성된다. 그리고, 이 건축 도면 데이터를 설치 도면 데이터로서 원래의 건축 도면의 발신원에 송신한다(S409).
이상 진술한 설치 도면 작성 처리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점유 스페이스 내에서의 간섭 발생의 유무가 연산 처리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체크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기기 설계자의 독자적인 판단으로 간섭 체크를 행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신속하게, 엘리베이터를 적절하게 건축물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도면 데이터를 건축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등의 설비의 설치 구조의 조기 파악이라는, 건축 설계자측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기기 설계자의 노동력도 경감된다. 또한, 설치 도면 작성 처리의 흐름을 간략화하여 도 13에 도시한다.
한편, 이상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더 확장하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기기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이 확장 시스템에 대하여 전술한 시스템과 다른 점에 포인트를 두고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의 설비 설계자측에는 전술한 WWW 서버(11)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12) 외에, 관리 단말(112), 복수의 사용자 단말(1, 1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은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LAN에 의해서 서로 접속된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 100) 중에는 전술한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이 적어도 1대 포함되는 것 외에, 새로운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100)(이하, 의장 설계자용 단말(100)이라고 함)이 적어도 1대 포함된다.
이 의장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00)은, 내장 하드디스크로부터 메모리 상에 판독된 소프트웨어 및 CPU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적 구성으로서, ① 디자인 정보 파일 등의 검색을 데이터 베이스 서버(12)에 의뢰하는 요구 사양 판독부(122), ② 디자인 정보 파일 등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내장 구조를 결정하는 구조 검토 처리부(123), ③ 구조 검토 처리부(123)의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등을 작성하는 의장도 작성 처리부(124), ④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의 변경 요구가 있는 경우에 변경 전후의 의장 요구 사양의 차분을 산출하는 사양 정정 관리부(125) 등을 가진다.
또한, 이 의장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00)의 내장 하드디스크에는 표준 프로덕트 모델의 CAD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것 외에, 재질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다. 이 재질 데이터 베이스에는 수주 제품의 내장재마다, 각각 그 내장재의 제품 규격(형상, 치수, 품질, 기능 등)을 나타내는 제품 규격 정보가 등록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의 측판재로서 사용되는 화장(化粧) 강판이면, 제품으로서 판매되는 화장 강판의 종횡 치수 등이 제품 규격 정보로서 등록된다.
그리고, 관리 단말(112)은, 내장 하드디스크로부터 메모리 상에 판독된 소프트웨어 및 CPU에 의해서 실현되는 기능적 구성으로서, ① 설비 설계자측의 납기를 추정하는 기한 회답 처리부(113), ② 건축 설계자측으로부터의 작도 의뢰를 개개의 설계 담당자에게 할당하는 부서 할당 처리부(114) 등을 가진다. 또한, 이 관리 단말(112)의 외부 기억 장치(117)에는 각 처리부(113, 114)의 처리 실행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2개의 데이터 베이스(115, 116)가 저장된다. 한쪽 데이터 베이스(115)(부하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담당자마다 각각 그 담당자의 식별 정보(이름, ID 번호, 메일 어드레스 등), 그 담당자가 담당하는 안건의 안건 ID 및 납기가 등록된다. 그리고, 다른 쪽 데이터 베이스(116)(서비스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는 설비 설계자측의 각 제공 서비스마다 각각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담당자의 식별 정보가 등록된다.
그리고, 이 경우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12)의 외부 기억 장치(9)에는 전술한 도면 데이터 베이스 외에, 건축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 설치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 의장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다.
건축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는 안건마다 각각, 안건 ID, 건축도 데이터가 등록된다. 또한, 설치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는 안건마다, 각각 안건 ID, 설치도 데이터가 등록된다. 또한, 의장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엘리베이터마다 엘리베이터 의장 도면 데이터, 엘리베이터 퍼스 데이터, 엘리베이터 의장 도면 데이터 및 엘리베이터 퍼스 데이터의 작성에 이용한 각종 데이터(엘리베이터 도어 열림 방향, 엘리베이터 정원, 천정 디자인 패턴, 재질 데이터 등)가 저장된다. 또한,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는 의뢰 안건에 관한 검토 완료 정보, 의뢰 안건에 할당된 안건 ID, 의뢰 안건에 관한 부가 정보(데이터 베이스 등록일, 건축 설계자의 메일 어드레스 등)가 등록된다.
또한, 이 경우의 WWW 서버(11)는, 전술한 인터페이스(3, 8) 및 CAD 심볼 자동 생성 처리부(7) 외에, 추가로 CGI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3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④ ⑤ ⑥, 즉 ④ 엘리베이터의 설치 빌딩에 관한 빌딩 정보(빌딩 용도, 플로어수, 각 플로어의 거주 인구 등)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부터 접수함과 함께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을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측으로부터 추출 가능하게 하는 기종·대수 계획용 인터페이스(103), ⑤ 엘리베이터 내장 검토 의뢰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부터 접수함와 함께 엘리베이터 내장 이미지 데이터를 WWW 클라이언트 단말측으로부터 추출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 이미지 생성용 인터페이스(107), 및 ⑥ 엘리베이터 의장도 작도 의뢰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부터 접수함과 함께 엘리베이터 의장 도면 데이터 및 엘리베이터 퍼스 데이터를 WWW 클라이언트 단말측으로부터 추출 가능하게 하는 의장도 작도 의뢰 인터페이스(108)를 구비한다.
또한, 이 WWW 서버(11)의 외부 기억 장치(126)에는 빌딩 특징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다. 이 빌딩 특징 데이터 베이스에는 건축물의 용도(사무실 빌딩, 아파트 등)마다 그 용도의 건축물을 위해 작성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맵이 각각 등록된다. 그리고, 각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맵은, 모두 빌딩의 플로어수 및 거주 인구의 조합을 검색 키로 하여, 추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정보(엘리베이터의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의 추천 수송 속도, 엘리베이터의 추천 설치 대수)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사무실 빌딩에 대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맵의 데이터 구조는 개념적으로, 도 21과 같이 도시된다. 이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맵에 따르면, 플로어수 「10층」 및 거주 인구 「300명」에 대한 추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정보로서, 엘리베이터 수송 속도 「105m/min」, 엘리베이터 정원 「9명」,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 「2대」를 취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6에 도시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원격 처리에 대하여 단계대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전술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를 수주 제품의 예로서 든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처리는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건축 설계자측에서 보면, 이하의 5개 단계(제1 단계 S201, 제2 단계 S202, 제3 단계 S203, 제4 단계 S204, 제5 단계 S205)로 나누어진다.
(1) 제1 단계(S201)
도 19의 흐름도에, 이 제1 단계(S201)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건축물에는 건축물 내의 교통 수요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건축물의 용도(사무실 빌딩, 아파트 등)에 따라 설치 엘리베이터의 최적의 필요 수송 능력은 달라지며, 동일한 용도의 건축물이어도, 그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설치 엘리베이터의 최적 운송 속도는 달라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있는 건축물을 설계하는 건축 설계자는 사전에 그 건축물의 용도 및 거주 인구에 적합한 엘리베이터 사양 및 대수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건축 설계자는, 우선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 상에서 브라우저를 기동함과 함께,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1)와의 연결을 확립하고,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서 엘리베이터 설계 서비스 제공 WWW 페이지를 연다. 이 엘리베이터 설계 서비스 제공 WWW 페이지의 톱 페이지 상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토 의뢰 안건 ID를 입력하기 위한 안건 ID 입력 박스(155), 제공 서비스 일람(150∼154)이 배치된다.
이 페이지 상에서 건축 설계자가, 우선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제공 서비스 일람으로부터 「기종·대수 계획 서비스」(150)를 선택하면,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빌딩 정보 입력 페이지(160)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린다.
이 빌딩 정보 입력 페이지(160)에는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에 관한 빌딩 정보(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용도,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플로어수,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거주 인구)를 입력하기 위한 툴 킷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용도를 입력하기 위한 빌딩 용도 입력 박스(161),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플로어수를 입력하기 위한 빌딩 계층수 입력 박스(162),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거주 인구를 입력하기 위한 거주 인구 입력 박스(163), 모든 입력 박스의 데이터 설정을 확정하기 위한 OK 버튼(164)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이들 각 입력 박스에 적당한 데이터(161, 162, 163)를 입력하고나서, OK 버튼(164)을 클릭할 필요가 있다. 단, 각 입력 박스(161, 162, 163)에는 각각 버튼이 부속되고, 이 버튼이 클릭되면, 각 입력 박스로의 입력 데이터 후보가 일람 표시된 풀 다운 메뉴가 열리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그 풀 다운 메뉴의 일람 중에서, 각 입력 박스로의 입력 데이터로서 적당한 입력 데이터 후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예를 들면, 빌딩 용도 입력 박스(161)의 부속 버튼이 클릭되면,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표준 용도(사무실 빌딩, 관청 빌딩, 아파트 등)가 일람 표시된 풀 다운 메뉴(161A)가 열리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이 빌딩 용도 일람 중에서 적당한 빌딩 용도를 하나 선택함으로써, 빌딩 용도 입력 박스(161)로의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면 된다.
건축 설계자가 이들 각 입력 박스(161, 162, 163)로의 데이터 입력을 완료하고나서, OK 버튼(164)을 클릭하면, 각 입력 박스(161, 162, 163) 내의 설정 데이터(빌딩 정보)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검색 의뢰가 WWW 서버(11)로 보내진다(S2011).
이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검색 의뢰를 접수한 WWW 서버(11)는 그 중에서 빌딩 정보(빌딩 용도, 플로어수, 거주 인구)를 추출하고, 이 빌딩 정보를 검색 키로 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빌딩 특징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키의 하나(빌딩 용도)에 대응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맵(도 21 참조)으로부터, 남은 2개의 검색 키(플로어수 및 거주 인구)에 대응된 추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 정보를 취득한다(S2012).
그리고, WWW 서버(11)는 그 검색 결과(엘리베이터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 추천 수송 속도, 엘리베이터 추천 설치 대수)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 회신한다.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는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 표시 페이지(165)가 열리고, 이 페이지(165) 상에 건축 설계자 지정의 빌딩 용도 및 WWW 서버(11)에 의한 검색 결과(엘리베이터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 추천 수송 속도, 엘리베이터 추천 설치 대수)가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166)으로 표시된다. 더불어서, 현재 표시 중인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을 보존하는지를 건축 설계자에게 묻는 메시지와 함께, 그 메시지에 대한 회답을 접수하는 2개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Y」 「N」이 표시된다(S2013). 여기서, 건축 설계자가 한쪽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N」을 클릭하면, 재차 도 18의 톱 페이지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지만(S20215), 다른 쪽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Y」를 클릭하면, 현재 표시 중인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 및 포함한 데이터 보존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보내진다(S2014).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이 데이터 보존 의뢰를 접수하면, 그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의뢰 안건에 관한 검토 완료 정보)과, 미등록 안건 ID 중에서 가장 새로운 안건 ID와, 현재의 날짜를 대응시켜서,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신규 등록한다(S2015).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의 신규 데이터 등록이 종료하면, 이 때 등록한 신규 안건 ID가 WWW 서버(11)를 통해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 회신된다(S2016).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는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건 ID 확인 페이지(168)가 열린다. 이 안건 ID 확인 페이지 상에는 건축 설계자의 의뢰 안건에 할당된 신규 안건 ID가 표시됨과 함께 OK 버튼(169)이 배치된다. 건축 설계자가 신규 안건 ID를 확인한 후, OK 버튼(169)을 클릭하면,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 상에 톱 페이지(도 18 참조)가 재표시됨과 함께, 금회 제공된 서비스의 서비스명 「기종·대수 계획 서비스」와 신규 안건 ID가 대응되어 보존된다.
엘리베이터가 있는 건축물의 건축 설계에서는, 건축 설계자는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이 정해진 후, 반드시 즉시 엘리베이터가 들어갈 공간을 검토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은 그 전에, 건축물의 건축 설계를 진행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 확장 시스템에 따르면, WWW 페이지 상에 나타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166)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그 안(166)을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베이스에 일단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1)와의 연결을 단절하고 자신의 건축 설계 작업에 되돌아갈 수 있다.
(2) 제2 단계(S202)
도 22의 흐름도에, 이 제2 단계(S202)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건축 설계자는 그 후의 건축 설계 과정에서 엘리베이터가 들어갈 공간을 검토하는 단계에까지 오면, 재차,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1)와의 연결을 확립하고,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서 엘리베이터 설계 서비스 제공 WWW 페이지(도 18 참조)를 연다.
전회 제시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과는 다른 안에 기초하여 검토를 진행하는 건축 설계자가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제공 서비스 「엘리베이터 CAD 심볼 제공 서비스」(151)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설계 페이지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축 설계자는 최저한, 이 페이지 상에서 설치 대수분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각 입력 박스(50, 51, 52)에 각각 데이터(엘리베이터 용도, 사양 번호, 도어 열림 방향)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S2022). 또한, 트렁크의 유무, 카운터 웨이트 위치 등의 옵션 선택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행해지면 된다.
한편, 전회 제시된 엘리베이터 기종·대수 계획안에 기초하여 검토를 진행시키는 건축 설계자가 전회 발행된 안건 ID를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입력하고나서 리턴 키를 누르면, WWW 페이지 상의 텍스트가 그 스타일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의 WWW 페이지 상의 제공 서비스명 일람 중, 입력 안건 ID에 대응하는 보존 중인 서비스명 「기종·대수 계획 서비스」의 다음에 표시되는 서비스명, 즉 건축 설계자가 다음에 제공받아야 하는 서비스의 서비스명 「엘리베이터 CAD 심볼 제공 서비스」(151)가 강조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는 전회의 액세스로부터 상당 시간 경과해도 금회의 액세스로 최초로 받아야 하는 서비스를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건축 설계자가 제공 서비스 「엘리베이터 CAD 심볼 제공 서비스」(151)를 선택하면,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입력된 안건 ID를 포함한 검토 완료 정보 검색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보내진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이 검색 의뢰에 포함되는 안건 ID를 검색 키로 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의해,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토 완료 정보(빌딩 용도, 엘리베이터 추천 설치 대수, 엘리베이터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 추천 수송 속도)를 추출하고 그것을 회신한다(S2023).
이 회신 데이터(빌딩 용도, 엘리베이터 추천 설치 대수, 엘리베이터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 추천 수송 속도)를 접수한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에는 도 23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기본 사양 입력 페이지가 표시된다. 단, 이 경우에는 빌딩 용도 입력 박스(170),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추천 설치 대수분의 카 용량 입력 박스(173) 및 수송 속도 입력 박스(175)에는 이미 디폴트 데이터(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빌딩 용도, 엘리베이터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 추천 수송 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건축 설계자는 엘리베이터 추천 설치 대수분의 엘리베이터 용도 입력 박스(171) 및 도어 열림 방향 입력 박스(172)에 적당한 데이터를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카 용량 입력 박스(173) 및 수송 속도 입력 박스(175)의 디폴트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된다(S2024). 또한, 트렁크의 유무, 카운터 웨이트 위치 등의 옵션 선택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각 입력 박스(174, 176)에 적절한 데이터 설정이 이루어져 있으면 된다.
한편, 건축 설계자가 도 5 및 도 23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 상에서, 필요 데이터의 설정 후, 심볼 표시 버튼(53, 177)을 클릭하면,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베이스 서버(12)에 의해 CAD 심볼의 데이터 베이스 검색이 행해진다(S2025).
이 때, 데이터 베이스 서버(12)가 CAD 심볼의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성공하면(S2026),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검색 결과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 회신된다(S2029). 이에 따라,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 설계자의 요구 사양에 적합한 CAD 심볼(180)이 표시된다(S20210). 단, 이 경우에는 현재 표시 중인 CAD 심볼 및 그 관련 정보를 보존하는지를 건축 설계자에게 묻는 메시지(181)가 표시됨과 함께, 그 메시지에 대한 회답을 접수하는 2개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Y」, 「N」이 표시된다.
여기서, 건축 설계자가 한쪽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N」을 클릭하면(S20211), 재차, 톱 페이지(도 18 참조)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지만, 다른 쪽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Y」를 클릭하면(S20211), 현재 표시 중인 CAD 심볼과 그 관련 정보(빌딩 정보,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 수송 속도, 정원, 도어 열림 방향 등)가 포함한 데이터 보존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보내진다. 또한, 금회 CAD 심볼의 제공을 의뢰한 안건에 이미 안건 ID가 할당되어 있으면, 이 때 안건 ID도 데이터 보존 의뢰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보내진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이 데이터 보존 의뢰를 접수하면, 그 데이터 보존 의뢰로부터 안건 ID를 추출한다(S20212).
여기서, 데이터 보존 의뢰로부터 안건 ID를 추출할 수 없으면, 데이터 보존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CAD 심볼 등(의뢰 안건에 관한 검토 완료 정보)과, 미등록 안건 ID 중에서 가장 새로운 안건 ID와, 현재의 날짜를 대응시켜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신규 등록한 후, 이 때 등록한 신규 안건 ID를, WWW 서버(11)를 통해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 회신한다(S20213).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는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건 ID 확인 페이지(168)가 열린다. 이 안건 ID 확인 페이지 상에는 건축 설계자의 의뢰 안건에 할당된 신규 안건 ID가 표시됨과 함께, OK 버튼(169)이 배치된다. 건축 설계자가 신규 안건 ID를 확인한 후 OK 버튼(169)을 클릭하면, 도 18의 톱 페이지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 상에 재표시됨과 함께, 금회 제공된 서비스의 서비스명 「엘리베이터 CAD 심볼 제공 서비스」와 신규 안건 ID가 대응하여 보존된다.
한편, 데이터 보존 의뢰로부터 안건 ID를 추출할 수 있으면, 그 안건 ID에 대응시켜서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등록일과 검토 완료 정보를, 데이터 보존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현재의 날짜 및 CAD 심볼 등에 의해서 갱신한 후, CAD 심볼의 데이터 베이스 등록이 성공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WWW 서버(11)를 통해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 회신한다(S20214). 이 메시지를 접수한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측에서는 도 18의 톱 페이지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 상에 재표시됨과 함께, 금회 제공된 서비스의 서비스명 「엘리베이터 CAD 심볼 제공 서비스」와 신규 안건 ID가 대응되어 보존된다.
그런데, 데이터 베이스 서버(12)가 CAD 심볼의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실패하면(S2026),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WWW 서버(11)는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의 연결을 단절하고나서 건축 설계자의 요구 사양에 적합한 CAD 심볼을 생성한다(S2027). 그 후,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WWW 서버(11)는 새롭게 생성된 CAD 심볼의 데이터 베이스 등록을 데이터 베이스 서버(12)에 의뢰함과 함께, CAD 심볼 완성과 그 저장 장소를 통지하는 건축 설계자 앞으로의 전자 메일의 배신을 네트워크 상의 메일 서버에 의뢰한다(S2028).
건축 설계자가 WWW 서버(11)로부터의 전자 메일의 착신에 의해 CAD 심볼의 완성과 그 저장 장소를 알아, 그 CAD 심볼을 저장 장소로부터 다운로드하면,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 설계자의 요구 사양에 적합한 CAD 심볼(180)이 표시된다(S20210). 단, 이 경우에는 현재 표시 중인 CAD 심볼을 보존하는지를 건축 설계자에게 묻는 메시지(181)가 표시됨과 함께, 그 메시지에 대한 회답을 접수하는 2개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Y」, 「N」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건축 설계자가 2개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Y」, 「N」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해도(S20211), 그 후에는 CAD 심볼의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성공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된다.
체인점 점포 등, 내부에 통일감을 갖게 한 복수의 건축물의 건축 설계는 동일한 건축 설계자가 다른 시기에 청부맡은 경우가 있다. 이들 복수의 건축물에는, 통상 기본 사양(수송 속도, 정원) 등이 공통인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 확장 시스템에서는 WWW 페이지 상에서 제공된 CAD 심볼 및 그 관련 정보가 건축 설계자의 희망에 따라 네트워크 상의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고, 그 후 건축업자의 필요에 따라 몇번이나 그 CAD 심볼 및 기본 사용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3) 제3 단계(S203)
도 25의 흐름도에, 이 제3 단계(S203)의 전반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건축 설계자는 그 후의 건축 설계의 과정에서 기기 설계자(엘리베이터 설계자)에 설치 도면 작성을 의뢰하는 단계에까지 오면, 재차,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1)와의 연결을 확립하고,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서 엘리베이터 설계 서비스 제공 WWW 페이지 도 18을 연다.
전회의 액세스 시에 보존해 두지 않은 CAD 심볼을 이용하여 건축 도면 데이터를 작성한 건축 설계자가, 우선 도 18의 톱 페이지 상에서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제공 서비스 일람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설치도 작도 서비스」(152)를 선택하면, 도 26의 (a)에 도시한 설치도 작도 페이지가 열린다. 이 페이지 상에는 엘리베이터 설치도의 작도 의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툴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설치 도면 데이터의 작성을 의뢰하는 안건 ID를 입력하기 위한 안건 ID 입력 박스(190), 엘리베이터의 설치 대수를 입력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 입력 박스(191),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용도를 입력하기 위한 빌딩 용도 입력 박스(192),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플로어수를 입력하기 위한 빌딩 계층수 입력 박스(193), 각 엘리베이터의 기본 사양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박스(194), 건축도 데이터의 파일명을 입력하기 위한 건축도 데이터 입력 박스(195), 설치도의 희망 납기(날짜)를 입력하기 위한 작도 요망 시기 입력 박스(196), 및 각 입력 박스의 설정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송신 버튼(197)이 배치된다. 단, 이 때, 안건 ID 입력 박스(190)는 비액티브 표시로 된다.
이 경우, 건축 설계자는 안건 ID 입력 박스(190) 이외의 각 입력 박스(191∼196)에 각각 적당한 데이터를 입력하고나서, 송신 버튼(164)을 클릭하면(S2031), 안건 ID 입력 박스(190) 이외의 각 입력 박스(191∼196) 내의 설정 데이터를 포함한 설치도 작도 의뢰가 WWW 서버(12)를 통해 설비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로 송신된다(S2032).
한편, 전회의 액세스 시에 보존해 둔 CAD 심볼을 이용하여 건축 도면 데이터를 작성한 건축 설계자가, 전회 발행된 안건 ID를 설치 도면 작성 의뢰 안건 ID로서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입력하고나서 리턴 키를 누르면, 톱 페이지 상의 텍스트가 그 스타일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의 톱 페이지 상의 제공 서비스명 일람 중, 설치 도면 작성 의뢰 안건 ID에 대응하는 보존 중인 서비스명 「엘리베이터 CAD 심볼 제공 서비스」의 다음에 표시되는 서비스명, 즉 건축 설계자가 다음에 제공받아야 하는 서비스의 서비스명 「엘리베이터 설치도 작도 서비스」(152)가 강조 표시된다.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는 전회의 액세스로부터 상당 시간 경과하여도 금회의 액세스로 최초로 받아야 하는 서비스를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건축 설계자가 제공 서비스 「엘리베이터 설치도 작도 서비스」(152)를 선택하면, 설치 도면 작성 의뢰 안건 ID를 포함한 검토 완료 정보 검색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보내진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이 검색 의뢰에 포함되는 안건 ID를 검색 키로 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의해,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토 완료 정보를 추출하고 그것을 회신한다.
이 회신 데이터를 접수한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에는 도 26의 (a)에 도시한 설치도 작도 의뢰 페이지가 표시된다(S2033). 단, 이 경우에는 건축도 데이터 입력 박스(195) 및 작도 요망 시기 입력 박스(196) 이외의 입력 박스(190∼194)에는 이미 디폴트 데이터(회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안건 ID, 엘리베이터 대수, 빌딩 용도, 플로어수, 엘리베이터 정원, 엘리베이터 수송 속도, 도어 열림 방향, 옵션 데이터 등)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건축 설계자는 건축도 데이터 입력 박스(195) 및 작도 요망 시기 입력 박스(196)에 적당한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된다(S2034). 그리고, 건축 설계자는 이들 데이터 입력 후, 송신 버튼(164)을 클릭하면, 각 입력 박스(190∼196) 내의 설정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보존 의뢰가 WWW 서버(12)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송신된다.
한편, 건축 설계자 사용자 단말(2)로부터의 데이터 보존 의뢰를 접수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이 데이터 보존 의뢰에 포함되는 파일명에 해당하는 건축도 데이터를 업로드한다(S2035). 그리고, 이 데이터 보존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안건 ID와, 그 건축도 데이터를 대응시켜 건축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고, 이 때 등록한 안건 ID를 건축 설계자 사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
건축 설계자 사용자 단말(2)은 이 회신 안건 ID를 포함하는 설치도 작도 의뢰를 WWW 서버(11)를 통해 관리 단말(112)에 송신한다. 관리 단말(112)은 우선, 설치도 작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비 기기 설계자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관리 데이터 베이스(116)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이 때 추출된 각 식별 정보에 대응된 안건 ID 및 납기를 부하 관리 데이터 베이스(115)로부터 각각 추출한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담당 안건의 가장 적은 설비 기기 설계자를 금회의 설치도 작도 의뢰의 담당자로서 결정하고, 이 설비 기기 설계자의 최종 안건의 납기에 소정의 공사 기간을 가산함으로써, 금회 의뢰된 설치도의 납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관리 단말(112)은 이 때의 결정 결과를 WWW 서버(11)로 송신함과 함께, 이 때의 결정 결과에 의해서 부하 관리 데이터 베이스(115)를 갱신한다.
WWW 서버(11)는 이 송신 데이터를 수취하면, 건축 데이터의 파일명과 그 저장 장소, 안건 ID, 납기를 통지하는 담당자 앞으로의 전자 메일의 배신을 네트워크 상의 하나의 서버에 의뢰함과 함께, 안건 ID 및 납기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S2036).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는 도 26의 (b)에 나타낸 납기 회답 페이지가 열린다. 이 납기 회답 페이지 상에는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안건 ID(198) 및 납기(199)가 표시된다. 또한, 이 납기 회답 페이지 상에는 OK 버튼(200)이 배치되고, 건축 설계자가 현재 표시 중인 내용을 확인한 후에 이 OK 버튼(169)을 클릭하면, 도 18의 톱 페이지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서 다시 열려짐과 함께, 금회 제공된 서비스의 서비스명 「엘리베이터 설치도 작도 서비스」와 설치도 작도 의뢰 안건의 안건 ID가 대응되어 보존된다.
도 27 및 도 28의 흐름도에, 이 제3 단계에서의 후반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금회의 설치 도면 의뢰의 담당이 된 설비 기기 설계자의 설비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에서는 스케줄로 정한 시기가 도래하면, 도 27에 도시한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건축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건축도 데이터가 추출되고나서 (S20312),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토 완료 정보가 추출된다(S20313). 그리고, 이들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술한 승강로 관련 건축 데이터 자동 판독 처리 및 기기 선정·배치 계산 처리(S20314)가 실행된다. 또한, 설치 도면 생성 처리(S20315)가 실행되고, 그 결과 작성된 설치도 데이터가 설치 도면 작성 의뢰 안건 ID와 동시에 설치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다(S20316). 그리고, 이상의 처리 과정에서 정해진 상세 데이터를,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검토 완료 정보로서 추가 등록함과 함께, 설치도 데이터의 저장 장소 및 설치도 작성 의뢰 안건 ID를 통지하는 의뢰처 앞으로의 전자 메일의 배신을 네트워크 상의 메일 서버에 의뢰한다(S20317).
건축 설계자는, 이 전자 메일의 착신에 의해서 설치도 데이터의 완성을 알면, 그 설치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재차,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 상에서 브라우저를 기동하고,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2)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고,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치도 다운로드 페이지를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서 연다. 이 설치도 다운로드 페이지 상에는 다운로드를 원하는 설치 도면의 작성 의뢰 안건 ID를 입력하기 위한 안건 입력 박스(210), 작성 의뢰 안건 ID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송신 버튼(211)이 배치된다. 건축 설계자가 전자 메일에 의해 알게 된 설치 도면 작성 의뢰 안건 ID를 안건 입력 박스(210)에 입력하고, 송신 버튼(211)을 클릭하면(S2038),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페이지가 열린다. 이 페이지 상에는 설치 도면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지시하기 위한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열(212)이 배치된다. 건축 설계자가 이 문자열(212)을 클릭하면, 설치 도면 작성 의뢰 안건 ID를 포함한 설치 도면 검색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송신된다. 이것에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설치 도면 작성 의뢰 안건 ID에 대응된 설치 도면 데이터를 설치 도면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S2039). 그리고, 이 설치 도면 데이터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에 다운로드된다(S20310).
건축 설계자측의 근로 시간과 설비 기기 설계자측과의 근로 시간이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기 설계자측에서는 건축 설계자로부터 새롭게 설치도 작성 의뢰가 있어도, 먼저 받은 설치도 작성 의뢰와의 관계 등에 의해, 반드시 새로운 설치도 작성 의뢰에 곧바로 대응할 수 있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건축 설계자측도 설비 기기 설계자측에서 설치도 데이터가 완성하는 것에 더불어서 작업을 진행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건축 설계자측과 설비 기기 설계자로서는 각각의 스케줄이 맞추어져서, 상호 그것을 일방적으로 상대측에 맞추어서만 들어가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 확장 시스템에서는 건축 설계자 사용자 단말과 설비 기기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도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건축 설계자측의 설계 작업 진척 상황과 설비 기기 설계자측의 설치도 작업 진척 상황에 발생하는 타임 러그를 흡수한다.
또한, 각 설비 기기 설계자의 현재의 부하 상황도 관리되고 있어, 현재 가장 부하가 가벼운 설비 기기 설계자가 새로운 설치도 작도 의뢰를 청부맡게 되어 있어, 건축 설계자측에는 의뢰로부터 설치도 완성까지의 대기 시간의 단축화라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설비 기기 설계자측에는 부하의 평탄화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 효율화라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4) 제4 단계(S204)
도 30의 흐름도에, 이 제4 단계(S204)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건축 설계자는 엘리베이터 설치도 데이터(자신이 작성한 것을 포함)가 완성되면,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의 카의 내장 사양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단계에까지 오면, 재차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1)와의 연결을 확립하고,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서 엘리베이터 설계 서비스 제공 WWW 페이지(도 18 참조)를 연다.
독자적으로 엘리베이터 설치도 데이터를 완성시킨 건축 설계자가 우선 도 18의 톱 페이지 상에서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제공 서비스 일람으로부터 희망하는 제공 서비스 「카·출입구 의장 사양 검토 서비스」(153)를 선택하면, 도 31에 도시한 의장 사양 검토 페이지가 열린다. 이 페이지 상에는 엘리베이터의 의장 사양의 검토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툴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의장 검토를 의뢰하는 안건 ID를 입력하기 때문에 안건 ID 입력 박스(220),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용도를 입력하기 위한 빌딩 용도 입력 박스(221),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의 플로어수를 입력하기 위한 계층수 입력 박스(222), 각 엘리베이터의 카 사이즈 등을 결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도어 열림 방향, 정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박스(223), 천정 디자인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군(224), 측판 재질을 선택하기 위한 리스트 박스(225), 플로어 재질을 선택하기 위한 리스트 박스(226), 핸드레일의 설치 유무 및 재질을 선택하기 위한 체크 버튼(228) 및 리스트 박스(227), 송신 버튼(229) 등이 배치된다. 단, 이 때 안건 ID 입력 박스(220)만은 비활성화 표시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건축 설계자는 안건 ID 입력 박스(220) 이외의 각 입력 박스(221∼223)에 각각 적당한 데이터를 입력하고나서, 그 밖의 리스트 박스(224∼227)로부터 적당한 재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S2044). 또, 핸드레일의 재질은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경우에만 선택하면 된다.
한편, 기기 설비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로 작성된 엘리베이터 설치도 데이터를 입수한 건축 설계자가, 안건 ID를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입력하고나서 리턴 키를 누르면, WWW 페이지 상의 텍스트가 그 스타일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의 WWW 페이지 상의 제공 서비스명 일람 중, 입력 안건 ID에 대응하는 보존 중인 서비스명 「엘리베이터 설치도 작도 서비스」의 다음에 표시되는 서비스명, 즉 건축 설계자가 다음에 제공받아야 되는 서비스의 서비스명 「카·출입구 의장 사양 검토 서비스」(153)가 강조 표시된다.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는 금회의 액세스로 최초로 받아야되는 서비스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건축 설계자가 제공 서비스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제공 서비스 「카·출입구 의장 사양 검토 서비스」(153)를 선택하면, 안건 ID 입력 박스(155)에 입력된 안건 ID를 포함한 검토 완료 정보 검색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보내진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이 검색 의뢰에 포함되는 안건 ID를 검색 키로 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에 의해,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토 완료 정보(빌딩 용도, 엘리베이터 추천 설치 대수, 엘리베이터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 추천 수송 속도)를 추출하고, 그것을 회신한다(S2042).
이 회신 데이터(빌딩 용도, 엘리베이터 추천 설치 대수, 엘리베이터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 추천 수송 속도)를 접수한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에는 도 31에 도시한 의장 사양 검토 페이지가 표시된다. 단, 이 경우에는 페이지 상의 각 입력 박스(220, 221, 222, 223)에는 이미 디폴트 데이터(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빌딩 용도, 계층수, 엘리베이터 추천 정원, 엘리베이터 추천 수송 속도, 도어 열림 방향, 옵션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건축 설계자는 그 밖의 리스트 박스(224∼227)로부터 적당한 재질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된다(S2044). 또, 핸드레일의 재질은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경우에만 선택하면 된다.
한편, 건축 설계자가 도 32에 진술한 페이지 상에서 필요 데이터의 설정 후에, 송신 버튼(229)을 클릭하면,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이 그 페이지 상의 설정 데이터 중에 특수 천정 디자인 패턴 또는 특수 재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45).
그 결과, 특수 천정 디자인 패턴 또는 특수 재질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후의 처리는 다음의 제5 단계(S205)로 이행한다.
한편, 특수 천정 디자인 패턴 및 특수 재질의 모두를 포함하지 않으면, 각 엘리베이터에 관한 설정 데이터(정원, 도어 열림 방향, 재질 데이터, 천정 패턴 등)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검색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송신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이 데이터 베이스 검색 의뢰를 접수하면, 그것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대응된 엘리베이터 의장 도면 데이터 및 엘리베이터 퍼스 데이터를 의장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 검색한다(S2046). 그리고, 그 검색 결과를,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검색 의뢰처(2)로 회신한다.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 열려져 있는 페이지에는 도 3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퍼스 데이터(230)가 그래픽적으로 표시된다. 더불어서,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 및 그 관련 정보를 보존하는지를 건축 설계자에게 묻는 메시지(231)가 표시됨과 함께, 그 메시지에 대한 회답을 접수하는 2개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Y」 「N」이 표시된다(S2047).
여기서, 건축 설계자가 한쪽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N」을 클릭하면(S2048), 재차, 톱 페이지(도 18 참조)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리지만, 다른 쪽의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 「Y」를 클릭하면(S2048),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와 그 관련 정보(엘리베이터 퍼스 데이터, 엘리베이터 의장 도면 데이터, 천정 디자인 패턴, 재질 데이터, 빌딩 정보,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 수송 속도, 정원, 도어 열림 방향 등)를 포함한 데이터 보존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보내진다. 또한, 금회 의장 검토를 의뢰한 안건에 이미 안건 ID가 할당되어 있으면, 이 때 안건 ID도 데이터 보존 의뢰와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보내진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이 데이터 보존 의뢰를 접수하면, 그 데이터 보존 의뢰로부터 안건 ID를 추출한다(S2049).
여기서, 데이터 보존 의뢰로부터 안건 ID를 추출할 수 없으면, 데이터 보존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등(의뢰 안건에 관한 검토 완료 정보)과, 미등록 안건 ID 중에서 가장 새로운 안건 ID와, 현재의 날짜를 대응시켜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신규 등록한 후, 이 때 등록한 신규 안건 ID를 WWW 서버(11)를 통해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 회신한다(S40411).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는, 도 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건 ID 확인 페이지(232)가 열린다. 이 안건 ID 확인 페이지 상에는 건축 설계자의 의뢰 안건에 할당된 신규 안건 ID가 표시됨과 함께, OK 버튼(233)이 배치된다. 건축 설계자가 신규 안건 ID를 확인한 후 OK 버튼(233)을 클릭하면, 재차 도 18의 톱 페이지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림과 동시에 금회 제공된 서비스의 서비스명 「카·출입구 의장 검토 서비스」와 신규 안건 ID가 대응되어 보존된다.
한편, 데이터 보존 의뢰로부터 안건 ID를 추출할 수 있으면(S4049),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그 안건 ID에 대응되어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등록일을 현재 날짜로 갱신함과 함께, 그 안건 ID에 대응되어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검토 완료 정보에, 데이터 보존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등을 추가 등록한다(S20410). 그 후,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등의 데이터 베이스 등록이 성공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WWW 서버(11)를 통해 의장 검토 의뢰처(2)로 회신한다(S20214). 이 메시지를 접수한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측에서는 재차, 도 18의 톱 페이지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 열림과 함께, 금회 제공된 서비스의 서비스명 「카·출입구 의장 검토 서비스」와 안건 ID가 대응되어 보존된다.
(5) 제5 단계(S205)
도 33의 흐름도에, 이 제5 단계(S205)의 전반에서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제4 단계의 S2045에서, 의장 사양 검토 페이지의 설정 데이터 중에 특수 천정 디자인 패턴 또는 특수 재료 중 한쪽이 포함되면, 건축 설계자측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는 도 34의 (a)에 도시한 의장도 작성 의뢰 페이지가 열린다. 이 의장도 작성 의뢰 페이지 상에는, 그것까지의 설정 데이터의 확인 정보(241)가 표시됨과 함께,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송신 버튼(245)이 배치된다. 단, 특수 천정 디자인 패턴 또는 특수 재질의 확인 정보(241a)의 근방에는 건축 설계자가 희망하는 특수 천정 디자인 패턴 또는 특수 재질의 데이터의 저장 파일(이하, 디자인 정보 파일이라고 부른다)의 파일명을 입력하기 위한 파일명 입력 박스(242)가 배치되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이 파일명 입력 박스(242)에 적당한 전자 파일명을 입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기에 파일명이 입력되는 디자인 정보 파일에는 건축 설계자가 적당한 묘화 툴로 작성한 화상 등이 저장되고, 예를 들면 특수 천정 디자인 패턴의 디자인 정보 파일이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천정 디자인 화상이 저장된다.
또한, 이 의장도 작성 의뢰 페이지 상에는 의장도의 희망 납기(날짜)를 입력하기 위한 작도 요망 시기 입력 박스(243)가 배치되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는 작도 요망 시기 입력 박스(243)에도 적당한 데이터를 입력하고나서, 송신 버튼(245)을 클릭할 필요가 있다.
한편, 건축 설계자가 이 의장도 작성 의뢰 페이지 상에서, 각 입력 블록(242, 243)에 각각 적당한 데이터를 입력하고나서, 송신 버튼(245)을 클릭하면,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보존 의뢰가 WWW 서버(12)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송신된다(S2053).
이 데이터 보존 의뢰를 접수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이 데이터 보존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명에 해당하는 디자인 정보 파일을 업로드한다(S2054). 그리고, 이 데이터 보존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데이터와, 그 디자인 정보 파일 등을 대응시켜 디자인 정보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고, 그 데이터 저장 장소 및 안건 ID를 건축 설계자 사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
건축 설계자 사용자 단말(2)은 이 회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장도 작성 의뢰를, WW 서버(11)를 통해 관리 단말(112)에 송신한다. 관리 단말(112)은 우선, 엘리베이터 의장도 작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장 설계자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관리 데이터 베이스(116)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이 때 추출된 각 식별 정보에 대응된 안건 ID 및 납기를 부하 관리 데이터 베이스(115)로부터 각각 추출한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담당 안건의 가장 적은 의장 설계자를 금회의 설치도 작도 의뢰의 담당자로서 결정하고, 이 의장 설계자의 최종 안건의 납기에 소정의 공사기간을 가산함으로써, 금회 의뢰된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의 납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관리 단말(112)은 이 때의 결정 결과에 의해 부하 관리 데이터 베이스(115)를 갱신함과 함께, 이 때의 결정 결과와 디자인 정보 파일 등의 저장 장소를 WWW 서버(11)로 송신한다.
WWW 서버(11)는 이 송신 데이터를 수취하면, 디자인 정보 파일의 파일명과 그 저장 장소, 안건 ID, 납기를 통지하는 의장 설계 담당자 앞으로의 전자 메일의 배신을 네트워크 상의 메일 서버에 의뢰함과 함께, 안건 ID 및 납기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로 송신한다(S2055).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는 도 34의 (b)에 도시한 납기 회답 페이지가 열린다. 이 납기 회답 페이지 상에는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안건 ID 및 납기(246)가 표시된다. 또한, 이 납기 회답 페이지 상에는 OK 버튼(247)이 배치되고, 건축 설계자가 현재 표시 중인 내용을 확인한 후에 이 OK 버튼(247)을 클릭하면, 도 18의 톱 페이지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서 다시 열린다.
도 36 및 도 37의 흐름도에 이 제5 단계에서의 후반의 상세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금회의 의장도 작성 의뢰의 담당이 된 의장 설계자의 의장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스케줄로 정한 시기가 도래하면, 도 36에 도시한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디자인 정보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디자인 정보 파일 등이 추출된다(S2057). 이 때 추출된 각 재질 데이터가 나타내는 내장재의 제품 규격 정보가 재질 데이터 베이스로 검색된다(S2058). 그리고, 디자인 정보 파일 등 및 제품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내장 구조가 결정되고, 그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및 엘리베이터 퍼스 데이터가 작성된다(S2060). 그 결과 얻어진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및 엘리베이터 퍼스 데이터 의장도 데이터가 의장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다(S2061). 그리고, 이상의 처리 과정에서 정해진 상세 데이터를 고객 사양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검토 완료 정보로서 추가 등록함과 함께, 의장도 작성 의뢰 안건 ID와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등의 저장 장소를 통지하는 의뢰처 앞으로의 전자 메일의 배신을 네트워크 상의 메일 서버에 의뢰한다.
건축 설계자는 이 전자 메일의 착신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등의 완성을 알게 되면, 그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재차,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 상에서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과 WWW 서버(12)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고,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의장도 다운로드 페이지를 자신의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의 표시 화면 상에서 연다. 이 의장도 다운로드 페이지 상에는 다운로드를 원하는 의장 도면의 작성 의뢰 안건 ID를 입력하기 위한 안건 입력 박스(210), 작성 의뢰 안건 ID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송신 버튼(211)이 배치된다. 건축 설계자가, 전자 메일에 의해 알게 된 의장도 작성 의뢰 안건 ID를 안건 입력 박스(210)에 입력하고, 송신 버튼(211)을 클릭하면(S2063),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페이지가 열린다. 이 페이지 상에는,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지시하기 위한 언더라인되어 있는 문자열(212)이 배치된다. 건축 설계자가 이 문자열(212)을 클릭하면, 의장 도면 작성 의뢰 안건 ID를 포함한 의장도 검색 의뢰가 WWW 서버(11)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12)는 의장도 작성 의뢰 안건 ID에 대응된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 등을 의장도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S2064). 그리고, 이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가 건축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2)에 다운로드된다(S2065).
그 후, 건축 설계자측에서 이 엘리베이터 의장도 데이터에 대한 변경 희망이 있는 경우에는, 건축 설계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로 의장 사양 검토 페이지를 열고, 이 페이지 상에서 안건 ID를 입력한 뒤에, 데이터를 다시 설정하면 된다. 이에 따라, 담당의 의장 설계자의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전회의 설정 데이터와 금회의 설정 데이터와의 차분이 산출되고, 이 차분에 기초하여 의장 도면 데이터가 수정된다. 이 때문에, 의장 설계자측에서는 의장 도면 데이터를 처음부터 다시 작성하는 것보다도 신속하게 수정 후의 의장 도면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고, 건축 설계자측은 그것을 신속하게 입수할 수 있다.
건축 설계자와 의장 설계자의 관계는 전술한 건축 설계자와 기기 설계자의 관계와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이 확장 시스템에서는 건축 설계자 사용자 단말과 의장 설계자용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건축 설계자측의 설계 작업 진척 상황과 의장 설계자측의 의장도 작성 진척 상황에 발생하는 타임 러그를 흡수한다.
또한, 각 의장 설계자의 현재의 부하 상황도 관리되고, 현재 가장 부하가 덜한 의장 설계자가 새로운 의장도 작도 의뢰를 청부맡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 설계자측에는 의뢰로부터 의장도 완성까지의 대기 시간의 단축화라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의장 설계자측에는 부하의 평탄화에 따른 전체로서의 작업 효율화라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으로는 수주 제품으로서 엘리베이터를 예로 들고 있지만, 엘리베이터 이외의 부대 설비를 수주 제품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기 설계자측의 사용자 단말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정의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가능하게 하면, 건축 설계자측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여 도면 데이터를 작성할 수도 있다. 물론, 기기 설계자측의 사용자 단말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정의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로부터 그 프로그램을 건축 설계자측 사용자 단말에 인스톨해도 이것과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주 기기와 주변 기기와의 간섭 체크를 연산 처리에 의해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중인 건축물에 수주 기기의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구조안을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 설계자에게는 (1) 설비의 설치 구조의 조기 파악에 의한 설계 기간의 단축화라는 이익이 제공되고, 기기 설계자에게는 (2) 건축 구조에 따른 기기의 설치 도면의 작성 처리의 간략화 및 간단화가 도모된다는 이익이 제공된다.
또한, 건축물 구체에 설비 기기가 들어갈지의 여부의 균형 검토에 있어서, 건축 설계자는 요구 사양을 만족시키는 설비 기기가 주변 건축 요소와 간섭을 일으키는지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균형 검토의 신속화 및 간단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건축 설계자가 설치 구조안을 입수할 때까지 기간의 단축화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발주자와 엘리베이터 수주자 사이의 일련의 거래 절차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사양 결정을 인터넷 등을 통해 용이하게 행하고, 해당 엘리베이터와 그 건축물의 설계·사양과의 정합성의 조정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

Claims (10)

  1.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각 제품에 대해서, 해당 제품의 제품명을 나타내는 제품명 정보와, 해당 제품의 구조에 관한 구조 정보와, 해당 제품의 사양 정보와, 해당 제품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유효 스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CAD 심볼이 각각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1 이상의 기기를 포함하는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을 접수하는 제1 입력 접수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접수 수단이 입력을 접수한 요구 사양을 포함하는 CAD 심볼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캐드 심볼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제1 입력 접수 수단이 접수한 요구 사양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상기 수주 제품의 각 구성 부품의 형상 치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를 정하고, 상기 정해진 점유 스페이스와 상기 수주 제품의 제품명과 상기 수주 제품의 각 구성 부품의 형상 치수와 상기 요구 사양으로부터, 상기 수주 제품의 제품명을 나타내는 제품명 정보와, 상기 수주 제품의 구조에 관한 구조 정보와,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유효 스페이스 정보와, 상기 수주 제품의 사양 정보를 포함하는 CAD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CAD 심볼의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의 등록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의뢰하는 CAD 심볼 자동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CAD 심볼을 추출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추출한 CAD 심볼을, 상기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CAD 심볼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CAD 심볼 자동 생성 수단이 생성한 CAD 심볼을, 상기 수주 제품의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품에 포함되는 기기의 배치 규칙을 나타내는 1 이상의 배치 규칙 정보가 저장된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수주 제품의 CAD 심볼을 포함한 건축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제2 입력 접수 수단과,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접수한 건축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주 제품의 CAD 심볼의 유효 스페이스 정보가 나타내는 점유 스페이스 내의 구조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영역 내에서의 간섭의 유무를 상기 구조 특징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구조 특징 추출 수단과,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영역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CAD 심볼에 대응하는 배치 규칙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배치 규칙 정보와 상기 건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도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설치 도면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수단은,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건축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설치 도면 생성 수단이 작성한 설치 도면 데이터를 상기 건축 데이터의 입력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품에 포함되는 기기의 배치 규칙을 나타내는 1 이상의 배치 규칙 정보가 저장된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수주 제품의 CAD 심볼을 포함한 건축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제2 입력 접수 수단과,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접수한 건축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주 제품의 CAD 심볼의 유효 스페이스 정보가 나타내는 점유 스페이스 내의 구조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영역 내에서의 간섭의 유무를 상기 구조 특징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구조 특징 추출 수단과,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영역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품 사양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CAD 심볼에 대응하는 배치 규칙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배치 규칙 정보와 상기 건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도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설치 도면 생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출력 수단은,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건축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설치 도면 생성 수단이 작성한 설치 도면 데이터를 상기 건축 데이터의 입력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입력을 접수한 건축 데이터를 상기 건축 데이터의 입력원에 대응시켜 보존하는 건축 데이터 보존 수단과,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접수 수단이 접수한 경우에, 상기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와 변경 전의 건축 데이터와의 차분을 산출하고, 상기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에 정해진 수주 제품 설치 영역에서의 간섭의 유무를 상기 차분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정정 관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 도면 생성 수단은,
    상기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에서의 수주 제품 설치 영역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배치 규칙 정보와 상기 변경 후의 건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주 제품의 설치 도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6. 삭제
  7. 컴퓨터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에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배포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순차 제공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컴퓨터에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단계적으로 완성시키기 위한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절차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엘리베이터의 설치 빌딩에 관한 빌딩 정보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상기 빌딩 정보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기종 및 설치 대수를 상기 빌딩 정보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엘리베이터에 관한 요구 사양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상기 요구 사양을 포함하는 CAD 심볼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CAD 심볼을 상기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회신하고, 상기 검색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관한 요구 사양을,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각 구성 부품의 형상 치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를 정하고, 상기 정해진 점유 스페이스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명칭과 상기 각 구성 부품의 형상 치수와 상기 요구 사양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품명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관한 구조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유효 스페이스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사양 정보를 포함하는 CAD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CAD 심볼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검색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한 CAD 심볼을 상기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회신하고, 상기 검색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생성한 CAD 심볼을 상기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CAD 심볼을 포함하는 건축 데이터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상기 건축 데이터를 기초로 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상기 건축 데이터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
    중에서, 2 이상의 단계를 이 순서대로, 또는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에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장 부품의 의장에 관한 요구 사양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상기 요구 사양에 따른 의장 도면을 상기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해당 단계에서의 입력 데이터와 회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가 상기 컴퓨터의 제어 하에서 보존되고, 상기 보존된 정보를 다음의 단계에서 이용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상기 회신 데이터와 함께 회신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식별 정보를 접수하면,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킨 과거의 입력 데이터 및 회신 데이터를 다음 단계의 입력 데이터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10. 컴퓨터로부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로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배포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순차 제공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컴퓨터에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단계적으로 완성시키기 위한 절차를 포함하고,
    상기 절차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축물에 관한 건축물 정보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상기 건축물 정보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적어도 기종에 관한 정보를, 상기 건축물 정보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엘리베이터에 관한 요구 사양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상기 요구 사양을 포함하는 CAD 심볼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CAD 심볼을 상기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회신하고, 상기 검색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관한 요구 사양을,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각 구성 부품의 형상 치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를 정하고, 상기 정해진 점유 스페이스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명칭과 상기 각 구성 부품의 형상 치수와 상기 요구 사양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품명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관한 구조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유효 스페이스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사양 정보를 포함하는 CAD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CAD 심볼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검색에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한 CAD 심볼을상기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회신하고, 상기 검색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생성한 CAD 심볼을 상기 요구 사양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CAD 심볼을 포함하는 건축 데이터의 입력을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수하면, 상기 건축 데이터를 기초로 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도를 상기 건축 데이터의 입력원으로 회신하는 단계
    중에서, 하나의 단계, 또는 2 이상의 단계를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KR10-2002-7002217A 1999-08-31 2000-08-30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KR100488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495599 1999-08-31
JPJP-P-1999-00244955 1999-08-31
JPJP-P-2000-00099724 2000-03-31
JP2000099724A JP3877492B2 (ja) 1999-08-31 2000-03-31 遠隔受注設計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遠隔受注設計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330A KR20020077330A (ko) 2002-10-11
KR100488128B1 true KR100488128B1 (ko) 2005-05-06

Family

ID=2653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217A KR100488128B1 (ko) 1999-08-31 2000-08-30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249250B1 (ko)
EP (1) EP1225522B1 (ko)
JP (1) JP3877492B2 (ko)
KR (1) KR100488128B1 (ko)
CN (1) CN100483423C (ko)
AU (1) AU6865200A (ko)
HK (1) HK1050406A1 (ko)
WO (1) WO2001016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968A1 (en) * 2000-12-22 2002-06-27 Knowles Deric Blair Virtual procurement folder
JP2002366802A (ja) * 2001-06-11 2002-12-20 Juken Sangyo Co Ltd 商品受発注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812206B2 (ja) * 2001-07-31 2011-11-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ライフプラン設定支援システム
JP2003076893A (ja) * 2001-09-04 200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昇降機の電子商取引システム
GB0206338D0 (en) * 2002-03-18 2002-05-01 Aes Eng Ltd Product selection
US20040024623A1 (en) * 2002-07-31 2004-02-05 Ciscon Lawrence A. Method and system for leveraging functional knowledge in an engineering project
US20040024624A1 (en) * 2002-07-31 2004-02-05 Ciscon Lawrence A. Method and system for leveraging functional knowledge using a requirement and space planning tool in an engineering project
EP1416404A3 (en) * 2002-10-31 2010-01-06 Hartela Oy Effective implementation of Open Building
US20050192874A1 (en) 2004-02-24 2005-09-01 First Data Corporation System for maintaining party and communication point data
JP2005284830A (ja) * 2004-03-30 2005-10-13 Toshiba Elevator Co Ltd 建築検討システム
JP2005310061A (ja) * 2004-04-26 2005-11-04 Nsk Ltd 自動設計システム、自動設計方法、および自動設計プログラム
JP4575078B2 (ja) * 2004-08-10 2010-11-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Cadシステム
JP2006065742A (ja) * 2004-08-30 2006-03-09 Toshiba Elevator Co Ltd 設計製造支援システム
US7467122B2 (en) 2004-11-05 2008-12-16 Hitachi, Ltd. System for aiding the design of product configuration
KR100903731B1 (ko) * 2004-12-17 2009-06-19 켄이치 니노미야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7630783B2 (en) * 2005-02-01 2009-12-08 Proto Labs, Inc. Communicating mold/part manufacturability issues
KR101043885B1 (ko) * 2006-01-20 2011-06-2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실시간으로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를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JP4806280B2 (ja) * 2006-03-20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部品間干渉管理方法および部品間干渉管理装置
US8688664B2 (en) * 2007-06-08 2014-04-01 Captivate, Llc Updating floor-specific information
JP2010262580A (ja) * 2009-05-11 2010-11-18 Toshiba Elevator Co Ltd チェックシステム、該チェックシステムを備える設備計画システム及び設備計画方法
US8532962B2 (en) * 2009-12-23 2013-09-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roach for planning, designing and observing building systems
US8990049B2 (en) 2010-05-03 2015-03-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structure discovery and display from various data artifacts at scene
US8538687B2 (en) 2010-05-04 2013-09-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guidance and navigation in a building
US10254745B2 (en) 2010-05-20 2019-04-09 Mechanical Software Technologies, Inc. Computer-implemented automated design, modeling and manufacturing system for a project
US9613458B2 (en) 2010-05-20 2017-04-04 Mechanical Software Technologies, Inc. Self drawing tool for a computer-implemented automated design, modeling and manufacturing system
US8773946B2 (en) 2010-12-30 2014-07-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rtable housings for generation of building maps
US9342928B2 (en) 2011-06-29 2016-05-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building information
JP5542877B2 (ja) * 2012-06-29 2014-07-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Bim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FI123951B (fi) * 2012-08-17 2013-12-31 Kone Corp Menetelmä hissiin liittyvän tiedon hallinnoinnissa
CA3180765A1 (en) * 2013-03-29 2019-11-21 Jvckenwood Corporation Picture decoding device, picture decoding method and picture decoding program
NL2011132C2 (en) * 2013-07-10 2015-01-13 Stertil Bv Lifting system for lif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ifting system.
JP6322544B2 (ja) * 2014-10-21 2018-05-0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据付図作成装置、据付図作成方法及び据付図作成プログラム
DE102017108456A1 (de) * 2017-04-20 2018-10-25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Montage eines Aufzugsystems
US11487913B2 (en) * 2017-12-14 2022-11-01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commissioning a passenger-transportation installation to be manufactured, by creation of a digital replica
US11029810B2 (en) * 2018-05-07 2021-06-08 Otis Elevator Company Equipment service graphical interface
US11708244B2 (en) 2018-09-26 2023-07-25 Inventio Ag Method for planning and at least partially installing an elevator system in an elevator shaft
US11261054B2 (en) * 2020-05-19 2022-03-01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Method of generating buttons for car operating panels
DE102020127060A1 (de) * 2020-10-14 2022-04-14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Verfahren zum Modellieren eines Aufzugschienensystems
CN112623891B (zh) * 2020-12-14 2022-08-26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基于客户需求的电梯非标设计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810B1 (en) * 1982-07-28 1995-09-05 Technology Inc Const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uct work for producing patterns for conduit sections in the designated duct work
JPH0689314A (ja) 1992-04-16 1994-03-29 Hitachi Ltd 設計支援方式および装置
CA2134645C (en) * 1992-04-29 2000-04-18 Linda M. Norman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nd editing a distribution system for a building
JPH07277615A (ja) 1994-04-11 1995-10-24 Hitachi Ltd 昇降機システム
US5918219A (en) * 1994-12-14 1999-06-29 Isherwood; John Philip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onstruction project costs and schedules based on historical data
US5761328A (en) * 1995-05-22 1998-06-02 Solberg Creations, Inc. Computer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source-documents bearing alphanumeric text relating to survey measurements
JPH0950455A (ja) 1995-08-09 1997-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生産準備装置
JP3697299B2 (ja) 1995-09-12 2005-09-21 株式会社東芝 筐体製造支援システム
US5983010A (en) * 1996-01-24 1999-11-09 Jeffrey Earl Murdock Method of describing a building structure
JPH09293088A (ja) * 1996-04-26 1997-11-11 Toshiba Corp 仮想試作方法
JPH1097558A (ja) 1996-09-20 1998-04-14 Mibunri:Kk インターネットによる建築・生活関連備品配置デザイン及びその関連データの構築システム装置
US5920849A (en) * 1997-01-22 1999-07-06 Quickpen International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building materials
JPH10307850A (ja) * 1997-05-01 1998-11-17 Misawa Homes Co Ltd ユニット式建物の平面図作成用cadシステム
GB2325996B (en) * 1997-06-04 2002-06-05 Lsi Logic Corp Distributed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and method
US6910184B1 (en) * 1997-07-25 2005-06-21 Ricoh Company, Ltd. Docu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GB2333383A (en) * 1997-12-04 1999-07-21 Ford Global Tech Inc CAD system for ergonomic vehicle design
US6003012A (en) * 1997-12-05 1999-12-14 Square D Company Methodology and computer-based tools for design, production and sales of customized switchboards
US6310627B1 (en) * 1998-01-20 2001-10-30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of a garment
US5975908A (en) * 1998-04-27 1999-11-02 Hulten; Andrew J. Custom building modeling system and kit
US6466953B1 (en) * 1998-05-12 2002-10-15 Auto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drawing sheet management
US6499006B1 (en) * 1999-07-14 2002-12-24 Wireless Valley Communications, Inc. System for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erformance
US6493677B1 (en) * 2000-01-19 2002-12-10 Jones Soda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ordering customized branded merchandise over a computer network
US20020062339A1 (en) * 2000-02-22 2002-05-23 Carter Mason N. Remote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and method
US6859768B1 (en) * 2000-03-03 2005-02-22 The Beck Technology Computer-implemented automated building design and modeling and project cost estimation and scheduling system
GB2364813B (en) * 2000-07-13 2004-12-29 Vhsoft Technologies Company Lt Computer automated process for analysing and interpreting engineering drawings
US6922701B1 (en) * 2000-08-03 2005-07-26 John A. Ananian Generating cad independent interactive physical description remodeling, building construction plan database profile
US20020133415A1 (en) * 2001-03-16 2002-09-19 Adolph Zarovinsky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 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5522A1 (en) 2002-07-24
US7249250B1 (en) 2007-07-24
US7359840B2 (en) 2008-04-15
WO2001016812A1 (fr) 2001-03-08
JP3877492B2 (ja) 2007-02-07
CN1384943A (zh) 2002-12-11
US20070250199A1 (en) 2007-10-25
EP1225522B1 (en) 2012-03-28
KR20020077330A (ko) 2002-10-11
CN100483423C (zh) 2009-04-29
AU6865200A (en) 2001-03-26
JP2001142935A (ja) 2001-05-25
EP1225522A4 (en) 2009-04-29
HK1050406A1 (en) 200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128B1 (ko) 원격 수주 설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원격 수주 방법
JP3204063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
Miyatake et al. Experiencing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JPH11110204A (ja) システム構成提案支援方法およびツール
Sadeghpour et al. A CAD-based model for site planning
Venkrbec et al. Construction process optimisation–review of methods, tools and applications
Jrade et al. Computer-integrated system for estimating the costs of building projects
JP4403160B2 (ja) 遠隔受注設計方法
JP2019003259A (ja) ダイヤ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Sacks et al. A project model for an automated building system: design and planning phases
Bravoco et al. A methodology to model the dynamic structure of an organization
JP2003171069A (ja) エレベータの新規設置仕様設定支援システム
CN115564381A (zh) 装配式建筑施工进度的信息化控制方法
KR101151981B1 (ko) 전자 설계 편람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5284830A (ja) 建築検討システム
JP20023045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設計支援方法
JP3200786B2 (ja) 作業検査用タッチパネル式携帯型端末器、及び作業管理装置
JP440284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遠隔受注設計支援方法
Wang 28 ESSCAD: EXPERT SYSTEM INTEGRATING CONSTRUCTION SCHEDULING WITH CAD DRAWING
JP2006163514A (ja) 要員選定支援システム及びそれに適用されるプログラム
JP7274243B1 (ja) 鉄筋納入支援システム、及び、鉄筋納入支援方法
JP7195681B1 (ja) 鉄筋納入支援システム、及び、鉄筋納入支援方法
JP7424341B2 (ja) 出荷支援システム、出荷支援装置及び出荷支援プログラム
JP7421323B2 (ja) 建築物の施工管理方法及び施工管理システム
Warszawski et al. The project model of an automated bui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