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731B1 -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731B1
KR100903731B1 KR1020077010995A KR20077010995A KR100903731B1 KR 100903731 B1 KR100903731 B1 KR 100903731B1 KR 1020077010995 A KR1020077010995 A KR 1020077010995A KR 20077010995 A KR20077010995 A KR 20077010995A KR 100903731 B1 KR100903731 B1 KR 10090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imensional
component
data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675A (ko
Inventor
켄이치 니노미야
Original Assignee
켄이치 니노미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이치 니노미야 filed Critical 켄이치 니노미야
Publication of KR2007006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물품(예를 들면, 가구)의 설계상의 자유도를 더욱 높인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유닛을 구성하는 테두리체에 의해 만들어지는 셀공간(S)에, 그 셀공간(S) 내에 조립된 파트를 둘러싸는 파트공간(P)이 관련지어진다. 셀공간(S)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파트공간 데이터에 의해, 셀공간(S) 내에서의 파트공간(P)의 위치(치수)가 규정된다. 또한, 파트공간(P)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파트(엘리먼트) 데이터에 의해, 파트공간(P) 내에서의 파트의 위치(치수)가 규정된다.
설계지원 시스템, 가구

Description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ARTICLE DESIGN SUPPOR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물품, 한 예로서는 가구의 설계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01/009778(이하, 특허 문헌이라고 한다)에는, 이용자의 희망에 따른 형상, 구조, 치수, 색, 재료, 재질 등의 요소의 몇가지를 갖는 물품(예를 들면 가구)을 설계하기 위한 지원 툴(가구 설계지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된 가구 설계 지원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인 테두리체인 유닛에, 파트(서랍, 문짝, 다리, 문고리 등)가 조립된다. 파트는, 유닛에 규정되는 공간(셀)에 관련지어진다. 즉, 유닛은, 유닛을 구성하는 천판, 지판, 좌측판, 우측판 및 배판(背板)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셀)을 가지며, 이 셀에 서랍 등의 파트가 관련지어져서 조립된다. 셀은, 유닛에 의해 규정되는 셀에 칸막이판을 조합함에 의해 분할할 수 있고, 분할된 셀의 각각에, 파트를 조립할 수 있다.
특허 문헌에 기재된 가구 설계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유닛 및 칸막이판에 의해 규정되는 셀에, 파트를 관련지어서 조합함에 의해, 단지 테두리체만에 의해 구성되는 가구뿐만 아니라, 유닛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셀)에 서랍 등의 여러가지의 파트가 조립된 복잡한 구조를 갖는 가구를 설계할 수 있다.
특허 문헌에 기재된 가구 설계지원 시스템은, 하나의 셀에 대해 하나의 파트를 조립하는 것이다. 하나의 셀에 복수의 파트를 조립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에 기재된 가구 설계지원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파트를 조립하고 하는 경우에는, 칸막이판에 의해, 복수의 셀을 미리 형성하여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설계가 완성된 가구, 또는 완성 도중의 가구의 치수를 변경하는 경우, 특허 문헌에 기재된 가구 설계지원 시스템에서는, 유닛(셀)의 치수의 변경에 따라, 그 유닛(셀)에 조립되어 있는 파트의 치수를 변경하는 것은 용이하지가 않다. 특허 문헌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유닛에 조립되어 있는 파트는, 어느것이나, 셀의 전방 좌하 구석의 좌표(x, y, z)를 기준으로 하여 그 치수(높이, 폭 및 속깊이)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물품(예를 들면, 가구)의 설계상의 자유도를 더욱 높인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닛에 파트가 조립된 상태에서, 파트의 치수를, 유닛의 치수의 변경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은,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유닛)를 나타내는 화상 및 복수종류의 부품(파트)을 표시한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중에서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와 표시된 복수종류의 부품중에서 선택된 부품을 조합함에 의해, 기본구성부재와 부품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물품을 표시(설계)하는 시스템이다.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은, 컴퓨터, 입력 장치, 표시장치, 메모리 등을 구비한 시스템이며,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물품을 설계한다.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은, 예를 들면, 가구의 설계에 이용할 수 있다.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어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유닛)에, 입력 장치가 이용되어 선택된 부품(파트)을 조합시킴에 의해, 기본구성부재 및 부품으로 구성되는 물품을 설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기본구성부재는, 물품의 테두리체를 구성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가구에 관해 말하면, 기본구성부재인 테두리체에, 부품, 예를 들면 서랍, 선반판, 행거 파이프 등을 조합할 수가 있고, 조합되는 부품의 종류, 부품의 배치 위치(조립 위치)에 의해, 다양한 형상 또는 구조를 갖는 가구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은,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의 기억 수단,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의 기억 수단,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과,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을 1대1로 관련지우는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 및 상기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에 의해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워진 3차원 셀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제 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치수를 갖는 부품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물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부품 화상을 포함하는 물품의 화상은, 프린터로부터 프린트 아웃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를 나타내는 화상 및 복수종류의 부품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중에서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와 표시된 복수종류의 부품중에서 선택된 부품을 조합함에 의해, 기본구성부재와 부품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물품의 화상을 표시하는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를 제 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 데이터를 제 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과,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을,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에 의해 1대1로 관련지우고,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워진 상기 3차원 셀공간에서, 상기 제 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제 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결정된 치수를 갖는 부품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에서는, 3차원 셀공간과 3차원 부품공간의 2종류의 공간의 개념을 이용한다.
3차원 셀공간은,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치수(높이, 폭 및 속깊이)를 갖는 3차원 공간이다. 3차원 셀공간은 직육면체형상의 공간이며,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6개의 면을 갖는다. 이들의 6개의 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이 3차원 셀공간이다.
3차원 부품공간은,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에 조립되는 부품을 둘러싸는 직육면체형상의 공간이다.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은 3차원 부품공간을 갖는다. 제 1의 기억 수단(하드 디스크 등)에,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3차원 부품공간은, 상술한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 및 치수를 정한 데이터(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그 위치 및 치수(높이, 폭 및 속깊이)가 규정된다.
한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는,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의 위치를, 상기 3차원 셀공간이 대응하는 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는 것이다. 즉,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의 위치는, 3차원 셀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을 기준으로 한 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의 위치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3차원 셀공간의 반대의 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여도 좋다. 상기 3차원 셀공간의 반대의 면이란, 예를 들면,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에 대해서는 3차원 셀공간의 하면을 의미하고, 3차원 부품공간의 하면에 대해서는 3차원 셀공간의 상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3차원 부품공간의 하면의 위치를, 3차원 셀공간의 상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고, 3차원 부품공간의 나머지 면(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을, 3차원 셀공간의 대응하는 면부터의 거리에 의해 규정한다.
제 2의 기억 수단에,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 및 치수를 정한 데이터(3차원 부품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즉,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은,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하는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와,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하는 3차원 부품 데이터를 갖는다.
상기 부품은, 하나의 최소구성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제 1의 부품과, 복수의 최소구성요소를 조합함에 의해 구성되는 제 2의 부품으로 대별된다. 상기 제 2의 기억 수단은, 상기 제 2의 부품에 관해서는, 복수의 최소구성요소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최소구성요소 데이터를 기억한다.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부품을 구성하는 복수의 최소구성요소의 각각에 관해 3차원 최소구성요소 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데이터 구조를 규정함에 의해, 다양한 구조를 갖는 부품을 규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 또는 상기 3차원 최소구성요소 데이터는,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각각이다. 3차원 부품 데이터 또는 3차원 최소구성요소 데이터를,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중 어느 5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부품 또는 최소구성요소의 두께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에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어진다. 3차원 부품공간은,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그 위치 및 치수가 정해진다. 또한, 부품에는,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 데이터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구성부재에 조합되는 부품은, 3차원 부품공간을 통하여, 3차원 셀공간에 관련시키지게 된다.
3차원 부품공간은,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 및 치수를 갖기 때문에, 3차원 셀공간( 기본구성부재)을 확대 또는 축소시킨 경우, 그 3차원 셀공간에 관련지어져 있는 3차원 부품공간은, 3차원 셀공간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한다. 또한, 부품은,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 및 치수를 갖기 때문에, 3차원 부품공간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부품 또는 최소구성요소는 적절한 개소로 이동하고, 그 치수도 확대 또는 축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셀공간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그 3차원 셀공간에 관련지워진 3차원 부품공간 및 부품(또는 최소구성요소)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설계되어야 할 물품(예를 들면, 가구)의 치수에 따라, 같은 종류의 부품에 관해, 치수가 다른 복수의 데이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3차원 셀공간을 확대 또는 축소한 경우에, 그 3차원 셀공간에 조립되어 있는 부품의 치수(3차원 부품공간의 치수)를, 3차원 셀공간의 확대 또는 축소에 맞추어서 별로도 확대 또는 축소(이중의 확대 또는 축소의 조작)하는 것도 필요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상의 번거로움이 경감된다. 또한, 6방향(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앞방향, 속방향)의 어느 방향의 확대 또는 축소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셀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과,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대응하는 면의 각각을 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각 면마다 정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3의 기억 수단을 또한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3차원 부품공간의 6면의 각각에 관해, 3차원 셀공간의 대응하는 6면의 상대 위치를 보통으로 유지시키는지의 여부(연동의 온 또는 오프)가 규정된다. 예를 들면, 어떤 부품에 관해, 그 부품의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6면중,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5면에 관해서는 3차원 셀공간의 대응하는 각 면에 연동하고, 하면에 관해서는 비연동인 것이 제 3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다고 한다. 3차원 셀공간에 그와 같은 부품(3차원 부품공간)이 조립되면, 그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5면에 관해서는, 3차원 셀공간이 확대 또는 축소되면, 3차원 셀공간의 확대 또는 축소에 수반하여 확대 또는 축소한다(제 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상대적 위치와 같이 된다).
상술한 경우, 예를 들면, 3차원 부품공간의 하면에 관해서는, 3차원 셀공간의 상면부터의 거리에 의해, 그 위치를 규정하여 두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에 의해 관련지워진 3차원 셀공간의 크기가 3차원 부품공간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3차원 셀공간을 분할하는 셀공간 분할 수단이 마련된다. 셀공간 분할 수단에 의해,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하나의 3차원 셀공간이, 2개의 3차원 셀공간으로 분할된다. 3차원 셀공간과 3차원 부품공간은 1대1로 대응하기 때문에, 셀공간 분할에 의해,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어져 있는 3차원 셀공간과,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3차원 셀공간이 만들어진다.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3차원 셀공간에는, 다른 부품(3차원 부품공간)을, 다시 관련지울 수 있다.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워진 3차원 셀공간을 확대함에 의해 3차원 부품공간보다도 큰 3차원 셀공간이 규정된 경우에도, 그 3차원 셀공간을 분할하도록 하여도 좋다.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과, 상기 부품 또는 상기 부품을 구성하는 최소구성요소가 대응하는 면의 각각을 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각 면마다 정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4의 기억 수단을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부품마다, 또는 부품을 구성하는 복수의 최소구성요소마다, 그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을,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연동하여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지의 여부가 정의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3차원 셀공간,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거하여, 물품에 포함되는 기본구성부재, 물품에 포함되는 부품, 및 물품에 포함되는 부품을 구성하는 최소구성요소중의 적어도 하나에 관한 치수를 포함하는 상세 도면을 작성하는 상세 도면 작성 수단, 및 상기 상세 도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치수를 포함하는 상세 도면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3차원 셀공간,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기본구성부재, 부품 및 최소구성요소의 치수(6면 위치)가 규정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해, 치수를 포함하는 상세 도면(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는 평면도, 정면도 등)을 작성하고, 또한 출력(표시 출력, 프린트 출력)할 수 있다.
사각형 형상 이외의 도면 묘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벡터 묘화 데이터를 기억한 벡터 묘화 데이터 기억 수단을 마련하여 둔다. 이 경우, 상기 상세 도면 작성 수단은, 미리 정의된 기본구성부재, 부품 또는 최소구성요소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면에 관한 상세 도면을, 상기 벡터 묘화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벡터 묘화 데이터에 의거하여 묘화한다. 사각형 형상 이외(예를 들면, 원형)의 도면 묘화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제 1 내지 제 4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제 1 내지 제 4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가구설계지원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가구설계지원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가구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완성 가구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완성 가구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셀공간과 파트공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셀공간과 파트공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행거 파이프에 관한 파트공간과, 파트공간에 있어서의 행거 파이프의 위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인 세트 서랍에 관한 파트공간과, 파트공간에 있어서의 인 세트 서랍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인 세트 서랍을 구성하는 전판의 파트공간에 있어서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인 세트 서랍을 구성하는 내전판의 파트공간에 있어서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인 세트 서랍을 구성하는 처판(좌)의 파트공간에 있어서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행거 파이프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인 세트 서랍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인 세트 서랍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인 세트 서랍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인 세트 서랍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인 세트 서랍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인 세트 서랍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유닛에 행거 파이프를 조합시키는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유닛에 행거 파이프를 조합시키는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가구설계지원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3은 가구설계지원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가구설계지원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가구설계지원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가구설계지원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는 가구설계지원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가구설계지원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행거 파이프의 상세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행거 파이프에 관한 상세 도면 묘화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벡터·데이터·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행거 파이프에 관한 상세 도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아웃 세트 서랍의 상세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아웃 세트 서랍을 구성하는 전판의 상세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
1. 하드웨어 구성
도 1은 가구설계지원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2는 가구설계지원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가구설계지원장치는 컴퓨터(20)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컴퓨터(20)에는 FD 드라이브(14), CD-R0M 드라이브(15), 하드 디스크 유닛(HD 유닛)(16), 및 메모리(18)가 접속되고, 이들은 컴퓨터 본체 케이스(19) 내에 내장되어 있다. FD 드라이브(14)는 플렉시블 디스크(FD)(22)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FD(2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CD-R0M 드라이브(15)는 CD-R0M(21)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HD 유닛(16)은 하드 디스크에 기억된 오퍼레이팅·시스템, 가구 설계지원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한다.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의거하여, 컴퓨터·시스템이 가구설계지원장치로서 기능한다.
컴퓨터(20)로부터 주어지는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장치(11)의 표시화면에는 여러가지의 윈도우가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키보드(12) 및 마우스(13)를 이용하여, 클릭(선택), 수치입력 등을 행한다. 표시장치(11)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처리 결과 등은, 프린터(17)로부터 프린트할 수 있다.
HD 유닛(16)의 하드 디스크에는, 가구 설계 데이터가 기억되는 가구 설계 데이터 베이스(25)가 마련되어 있다. 가구 설계 데이터에 의해, 가구설계지원장치가 이용되어 설계된 가구의 화상이나 설계 도면 등이 표시장치(11)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되고, 프린터(17)로부터 프린트된다. 또한, HD 유닛(16)의 하드 디스크에는 정의(定義) 데이터가 기억된 정의 데이터 베이스(26)가 마련되어 있다. 정의 데이터 베이스(26)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유닛, 파트의 각각에 관한 정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정의 데이터의 상세는 후술한다.
2. 유닛 및 파트
도 3은 가구설계지원장치에 의해 설계되는 가구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가구설계지원장치에 있어서, 가구는, 복수종류의 구성 부재의 조합에 의해 작성(설계)된다. 구성 부재는 유닛과 파트로 대별된다.
유닛이란, 가구의 구조의 가장 기본이 된 테두리체를 지칭한다. 유닛은, 기본적으로는 천판, 지판, 우측판, 좌측판 및 배판에 의해 구성되고, 전면은 개구하고 있는 구조를 갖는다.
유닛을 구성한 천판, 지판, 우측판, 좌측판 및 배판의 내측(테두리체 내부)에는 공간이 존재한다. 이 명세서에서, 유닛 내의 상술한 공간을 「셀공간」이라고 부른다. 셀공간은, 파트(예를 들면, 선반판, 서랍 등)에 의해 보다 작은 공간으로 분할된다. 이 분할에 의해 형성되는 보다 작은 공간도 또한, 이 명세서에서 「셀공간」이라고 한다. 셀공간은 직육면체형상의 3차원 공간이다.
가구설계지원장치에서는, 복수종류의 유닛을 조합함에 의해 하나의 가구를 작성할 수 있다. 유닛끼리의 조합을 고려한 복수종류의 유닛이, 미리 정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은, 기본유닛, 상유닛, 하유닛, 중유닛 등으로 분류된다. 기본유닛은 가장 표준적인 유닛이고, 천판, 지판, 우측판, 좌측판 및 배판에 의해 구 성된다. 상유닛은 기본유닛의 상부에 겹치는 유닛이고, 천판, 우측판, 좌측판 및 배판으로 구성되고 지판을 갖지 않는 것이다. 기본유닛의 천판이 상유닛의 지판의 역할을 겸한다. 하유닛은 기본유닛의 하부에 겹치는 유닛이고, 지판, 우측판, 좌측판 및 배판으로 구성되고 천판을 갖지 않는 것이다. 중유닛은, 예를 들면,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된 기본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닛이고, 천판, 지판 및 배판으로 구성되고, 우측판 및 좌측판을 갖지 않는다.
파트는, 가구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중, 유닛을 제외한 구성 부재를 지칭한다. 파트는, 서랍, 의복걸이, 문짝 등으로 분류된다(대분류). 또한, 서랍에 관해서는, 인 세트 서랍, 아웃 세트 서랍(A), 아웃 세트 서랍하고 B, 아웃 세트 서랍(C) 등으로 분류된다(소분류). 의상걸이에 관해서는, 슬라이드 바지걸이, 행거 파이프, 리프트 행거(싱글), 리프트 행거(더블) 등의 소분류로 분류된다. 문짝에 관해서는, 프레임부착 문짝 왼쪽열림, 프레임부착 문짝 오른쪽열림, 프레임부착 문짝 양쪽열림, 플랫 문짝 왼쪽열림 등의 소분류로 분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닛에는 셀공간이 규정된다. 소분류의 파트에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파트를 둘러싸는 파트공간이 규정된다. 파트공간도 직육면체형상의 3차원 공간이다. 파트공간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상술한 유닛 및 파트 이외에도, 가구에 마련되는 부속적인 구성 부재(차륜, 손잡이 등)를 구성 부재로서 준비하여도 좋다.
도 4 및 도 5는 유닛 및 파트를 조합함에 의해 설계된 가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가구(1)에 마련되어 있는 양쪽열림 문 짝(61)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가구(1)는, 천판(31), 지판(32), 좌측판(33), 우측판(34) 및 배판(35)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유닛(30b)과, 행거 파이프(41), 3개의 인 세트 서랍(51, 52, 53), 최상단의 인 세트 서랍(51)의 상면의 선반판(55), 및 양쪽열림 문짝(61)의 6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및 도 5에 도시하는 가구는, 4개의 셀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닛을 구성하는 천판, 지판, 우측판, 좌측판 및 배판의 내측의 셀공간은, 셀공간에 배치되는 파트에 의해 분할된다. 행거 파이프(41), 및 3개의 인 세트 서랍(51, 52, 53)에 의해, 유닛(30)에 의해 규정된 셀공간이, 4개의 셀공간(셀공간(1), 셀공간(2), 셀공간(3) 및 셀공간(4))으로 분할된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양쪽열림 문짝(61)은 부속품으로서 취급되고, 셀공간을 분할하는(파트공간을 갖는) 파트가 아니다.
3. 셀공간 및 파트공간
도 6 및 도 7은 셀공간(S)과 파트공간(P)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셀공간(S)이 실선에 의해, 파트공간(P)이 1점쇄선에 의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구설계지원장치에서는, 유닛에 셀공간(S)이 규정되고, 파트에는 파트공간(P)이 존재한다.
파트공간(P)은, 셀공간(S)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그 위치 및 치수가 규정(정의)된다. 셀공간(S) 및 파공간(P)은, 모두 직육면체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파트공간(P)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6면은, 셀공간(S)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6면의 각각을 기준으로 하여, 그들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공간(S)의 상면부터의 거리(a)에 의해 파트공간(P)의 상면의 위치가, 셀공간(S)의 하면부터의 거리(b)에 의해 파트공간(P)의 하면의 위치가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셀공간(S)의 좌면부터의 거리(c), 셀공간(S)의 우면부터의 거리(d), 셀공간(S)의 전면부터의 거리(e), 셀공간(S)의 배면부터의 거리(f)에 의해, 파트공간(P)의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가 각각 규정된다. 셀공간(S)과 파트공간(P)의 상대적 위치 관계(상대적 치수 관계)는, 파트마다 미리 정해진다.
파트공간(P)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6면중, 하나 또는 복수의 면을, 셀공간(S)의 대응하는 면부터의 거리에 의해 규정하는 것에 대신하여, 셀공간(S)의 반대의 면(예를 들면, 파트공간(P)의 하면에 대한 셀공간(S)의 상면)부터의 거리에 의해 규정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파트공간(P)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는,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셀공간(S)의 대응하는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부터의 각각의 거리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파트공간(P)의 하면의 위치는, 파트공간(P)의 하면과 반대의 셀공간(S)의 면(상면이다)부터의 거리(b1)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파트공간(P)은, 이와 같이, 셀공간(S)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 에 의해, 그 위치 및 치수가 규정된다. 가구설계지원장치에서, 유닛에 파트를 조합하는 처리가 행하여지면, 유닛에 규정되는 셀공간(S)에, 조합된 파트에 관한 파트공간(P)이 관련지어진다. 이때, 조합된 파트의 파트공간(P)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가, 셀공간(S)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파트공간(P)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가 결정됨에 의해, 파트공간(P)의 치수도 정해진다. 셀공간(S)과 파트공간(P)은 1대1로 대응한다.
도 8은 파트의 하나인 행거 파이프(H)와, 행거 파이프(H)에 관한 파트공간(Ph)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파트의 하나인 인 세트 서랍(I)과, 인 세트 서랍(I)에 관한 파트공간(Pi)을 도시하고 있다.
파트는, 하나의 구성 부재만에 의해 구성되는 것과, 복수의 구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대별된다. 행거 파이프(H)(도 8)는, 하나의 구성 부재만에 의해 구성되는 파트의 하나이다.
인 세트 서랍(I)(도 9)은 복수의 구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파트의 하나이다. 이하, 파트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구성 부재를 「엘리먼트」라고 부른다. 행거 파이프(H)는 그 자체가 최소 단위의 구성 부재이기 때문에, 행거 파이프(H) 자체가 엘리먼트이다. 인 세트 서랍(I)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엘리먼트에 의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트마다 파트공간(P)이 규정된다. 파트공간(P)에는, 파트공간(P)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 위치에 의해, 파트 위치가 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행거 파이프(H)는 하나의 엘리먼트에 의해 구성된다. 하나의 엘리먼트에 의해 구성된 파트에 관해서는, 파트공간(P)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6면 중의 어느 5면을 기준으로 한 위치 및 파트의 두께(또는 지름)에 의해, 파트 위치 및 파트 치수가 규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행거 파이프(H)에 관해서는, 파트공간(Ph)의 상면부터의 거리(a)에 의해 행거 파이프(H)의 상면(상단)의 위치가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파트공간(Ph)의 좌면부터의 거리(c), 파트공간(Ph)의 우면부터의 거리(d), 파트공간(Ph)의 전면부터의 거리(e), 파트공간(Ph)의 배면부터의 거리(f)에 의해, 행거 파이프(H)의 좌면(좌단), 우면(우단), 전면(전단) 및 배면(배단(背端))의 위치가 각각 규정된다. 또한, 행거 파이프(H)의 지름(w)도 규정된다. 행거 파이프(H)의 지름(w)이 규정됨에 의해, 파트공간(Ph)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는 행거 파이프(H)의 하면(하단)의 위치가 규정되게 된다. 파트공간(Ph)을 기준으로 하는 행거 파이프(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 및 행거 파이프의 지름이 결정됨에 의해, 행거 파이프(H)의 치수도 정해진다.
인 세트 서랍(I)(도 9)과 같이, 복수의 엘리먼트에 의해 구성되는 파트는, 복수의 엘리먼트의 각각에 관해, 파트공간(P)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 위치 및 엘리먼트의 두께에 의해 엘리먼트 위치 및 치수가 규정된다.
도 9에 도시하는 인 세트 서랍(I)은, 전판, 내전판(內前板), 선판(先板), 처판(妻板)(좌), 처판(우), 저판, 스페이서(좌) 및 스페이서(우)의 8개의 엘리먼트에 의해 구성된다. 8개의 엘리먼트의 각각에 관해, 파트공간(Pi)에서의 위치(엘리먼트 위치) 및 치수가 규정된다.
도 10은 엘리먼트 「전판」의 파트공간(Pi)에서의 위치(치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엘리먼트 「내전판」의 파트공간(Pi)에서의 위치(치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엘리먼트 「처판(좌)」의 파트공간(Pi)에서의 위치(치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 세트 서랍(I)을 구성하는 엘리먼트의 하나인 전판은, 파트공간(Pi)의 상면부터의 거리(a), 저면부터의 거리(b), 좌면부터의 거리(c), 우면부터의 거리(d) 및 전면부터의 거리(e)와, 전판의 판두께(w)에 의해, 파트공간(Pi)에서의 전판의 위치(치수)가 규정된다. 인 세트 서랍(I)을 구성하는 내전판(도 11)도 마찬가지이다. 파트공간(Pi)의 상면부터의 거리(a), 저면부터의 거리(b), 좌면부터의 거리(c), 우면부터의 거리(d) 및 전면부터의 거리(e)와, 내전판의 판두께(w)에 의해, 파트공간(Pi)에서의 위치(치수)가 규정된다.
인 세트 서랍(I)을 구성하는 처판(좌)(도 12)에 관해서는, 파트공간(Pi)의 상면부터의 거리(a), 저면부터의 거리(b), 좌면부터의 거리(c), 전면부터의 거리(e) 및 배면부터의 거리(f)와, 처판(좌)의 판두께(w)에 의해, 파트공간(Pi)에서의 처판(좌)의 위치(치수)가 규정된다.
인 세트 서랍(I)을 구성하는 다른 엘리먼트(선판, 처판(우), 저판, 스페이서(좌) 및 스페이서(우))에 관해서도, 파트공간(Pi)의 상면, 저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중, 어느 5면부터의 거리의 각각과, 판두께에 의해, 파트공간(Pi)에서의 위치(치수)가 규정된다.
파트공간(P)에서의 파트 또는 엘리먼트의 위치 및 치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트공간(P)을 구성하는 6면중의 어느 5면의 각각부터의 거리와, 파트 또는 엘리먼트의 두께(지름)에 의해 규정된다. 물론, 파트공간(P)을 구성하는 6면의 각각부터의 거리에 의해, 파트공간(P)에서의 파트 또는 엘리먼트의 위치 및 치수를 규정할 수도 있다.
4. 정의 데이터
셀공간(S)과 파트공간(P)의 상대적 위치 관계(상대적 치수 관계)(도 6 및 도 7), 파트공간(P)과 파트(또는 파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의 각각)의 상대적 위치 관계(상대적 치수 관계)(도 8 내지 도 12)는, 정의 데이터 베이스(26)에 격납되어 있는 파트마다의 정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된다. 이하, 행거 파이프(H) 및 인 세트 서랍(I)을 예로 하여, 이 정의 데이터를 설명한다.
도 13은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정의 데이터에는,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 및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73)가 포함된다.
(1)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
상술한 바와 같이, 셀공간(S)은, 직육면체모양의 형상을 갖는 3차원 공간이다. 또한, 셀공간(S)에 조립되는 파트공간(P)도, 직육면체모양의 형상을 갖는 3차원 공간이다.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71)는, 셀공간(S)이 확대 또는 축 소된 경우의 파트공간(P)의 확대 또는 축소의 취급을 규정하는 측면과, 파트공간(P)이 조립되는 셀공간(S)이 파트공간(P)보다도 큰 경우에, 셀공간(S)을 분할시키는지, 또는 셀공간(S)에 연동시켜서 파트공간(P)의 위치를 규정하는지를 결정하는 측면을 갖는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상술한 셀공간(Su)의 분할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은 유닛(U)에 의해 규정되는 셀공간(Su)에, 행거 파이프(H)를 조립할 때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행거 파이프(H)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트공간(Ph)이 규정되어 있다. 유닛(U)에 행거 파이프(H)를 조립하는 조작이 행하여지면, 유닛(U)의 셀공간(Su)에,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Ph)이 관련지어진다.
이때,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가 참조된다(도 13). 행거 파이프(H)의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는,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관해 정의 데이터 「0」이 격납되고, 하면에 관해 정의 데이터 「1」이 격납되어 있다. 정의 데이터 「0」은, 셀공간의 면에, 파트공간의 대응하는 면을 연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관해서는, 셀공간(Su)에 따라,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P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가 정해진다.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P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는, 셀공간(Su)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위치(도 6 및 도 7 참조)가 된다.
다른 한편, 하면에 관해서는, 정의 데이터 「1」이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유닛(U)의 셀공간(Su)의 하면과,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Ph)의 하면은 연동하지 않는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공간(Su)(도 20에 도시하는 셀공간(Su)이다)의 도중에, 파트공간(Ph)의 하면이 위치하게 된다(파트공간(Ph)의 하면 위치는, 후술하는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 의해 정해진다). 이때, 셀공간(Su)이 분할된다. 즉, 셀공간(Su)은, 파트공간(Ph)이 조립된 셀공간(S1)과, 파트공간(Ph)의 하면부터 하측에 위치하는 셀공간(S2)으로 분할된다(도 21).
셀공간(S)은, 상면방향, 하면방향, 좌면방향, 우면방향, 전면방향 또는 배면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는, 셀공간(S)이 확대 또는 축소된 때에, 파트공간(P)의 각 면을, 셀공간(S)의 대응하는 면과 연동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는지, 또는 하지 않는지도 규정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서는,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배면에 관해, 셀공간의 면에 파트공간의 면을 연동시키는 것을 정의하는 정의 데이터 「0」이 정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행거 파이프(H)가 조립된 상태(도 21)에 있어서, 유닛(U)이 높이방향(상면방향), 폭방향(좌면방향 또는 우면방향) 또는 속깊이방향(전면방향 또는 배면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되면, 셀공간(S1)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배면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파트공간(P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배면도 확대 또는 축소된다. 즉, 파트공간(P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관 해서는,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 따라, 셀공간(S1)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다른 한편, 도 13에 도시하는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 있어서, 하면에 관해서는, 셀공간의 면에 파트공간의 면을 연동하지 않는 것을 정의하는 정의 데이터 「1」이 정의되어 있다. 파트 공간(Ph)이 높이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도, 파트공간(Ph)의 하면의 위치는 셀공간(S1)의 하면의 위치에 연동하지 않는다.
(2)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는, 셀공간(S)을 기준으로 한 파트공간(P)의 상대 위치(도 7 참조)를 규정한 데이터이다. 상술한 도 21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에는, 기준이 되는 셀공간은, 행거 파이프(H)에 관한 파트공간(Ph)이 조립된 후의 셀공간(S1)이 된다.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서는, 상술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서 정의 데이터 「0」이 규정되어 있는 면에 관해서는, 셀공간(S1)의 대응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가 규정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 있어서,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관한 정의 데이터가 「0」(셀공간과 파트공간은 연동)이다. 행거 파이프(H) 의 파트공간(P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관해서는,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 따라, 셀공간(S1)을 기준으로 하는 파트공간(Ph)의 위치가 정해진다.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 있어서,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어느것에 관해서도, 정의 데이터는 「0」(mm)이다. 이 때문에, 파트공간(P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는, 셀공간(S1)의 대응하는 면의 위치와 일치한다. 셀공간(S1) 확대 처리 또는 축소 처리가 행하여져도, 파트공간(P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는 셀공간(S1)의 대응하는 면의 위치와 일치한다.
다른 한편, 상술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 있어서, 정의 데이터 「1」(셀공간과 파트공간은 비연동)이 규정되어 있는 면에 관해서는,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는, 셀공간의 상대하는 면부터의 거리(단위 :mm)가 규정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서, 하면에 관한 정의 데이터는 「1」(셀공간과 파트공간은 비연동)이다. 이 경우에는,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Ph)의 하면에 관해서는,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 따라, 파트공간(Ph)의 하면과 반대의 셀공간(S1)의 면, 즉 셀공간(S1)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가 규정된다.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서, 하면에 관한 정의 데이터는 「1000」(mm)이다. 파트공간(Ph)의 하면은, 셀공간(S1)의 상면부터 1000mm의 위치가 된다.
행거 파이프(H)는, 양복의 상의 등을 걸 수 있는 것이므로, 행거 파이프(H)의 하방에는, 항상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행거 파이프(H)의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71)에 있어서, 하면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1」(셀공간과 파트공간은 비연동)로 하고, 또한,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서, 행거 파이프(H)에 관한 파트공간(Ph)의 하면의 위치를, 셀공간(S1)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1000」(mm)의 위치로 정의하여 둠에 의해, 행거 파이프(H)의 하방에, 소정의 공간(파트공간(Ph)의 일부이다)을 항상 마련하여 둘 수 있다.
파트공간(Ph)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위치가 결정됨에 의해, 파트공간(Ph)의 치수도 정해지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3)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73)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73)에는, 파트공간-엘리먼트 연동 정의 데이터(도 13에 도시하는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73)의 상단) 및 엘리먼트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도 13에 도시하는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73)의 하단)의 2개의 정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파트공간-엘리먼트 연동 정의 데이터에는, 파트공간(P)이 확대 또는 축소된 경우에, 엘리먼트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을, 파트공간(P)에 연동하여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지, 또는 시키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격납된다. 연동시키는 면에 관해서는 정의 데이터 「0」이, 연동시키지 않는 면에 관해서는 정의 데이터 「1」이 격납된다.
엘리먼트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에는, 파트공간(P)을 기준으로 한 엘리먼트의 상대 위치 및 엘리먼트의 두께(지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격납된다(도 8 참조). 엘리먼트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중, 엘리먼트의 두께(지름)를 나타내는 것은, 파트공간-엘리먼트 연동 정의 데이터에 있어서 정의 데이터 「1」이 격납되어 있는 면에 대응하는 면에 관한 란(欄)이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73)에서는, 상단의 파트공간-엘리먼트 연동 정의 데이터에 있어서, 하면에 관해 정의 데이터 「1」이 격납되어 있다. 이 경우, 하단의 엘리먼트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에 있어서, 「하면」의 란에 격납된 데이터가, 엘리먼트(여기서는, 행거 파이프(H))의 지름을 나타내는 값이 된다.
행거 파이프(H)의 하면 이외의 면(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관해서는, 파트공간(Ph)의 상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격납된다.
도 14 내지 도 19는 인 세트 서랍(I)에 관한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인 세트 서랍(I)에 관해서도, 파이프 행거(H)와 마찬가지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셀공간 분할 정의 데이터)(81),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82),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83A 내지 83H)가 포함된다. 인 세트 서랍(I)은, 전판, 내전판, 선판, 처판(좌), 처판(우), 저판, 스페이서(좌) 및 스페이서(우)의 8개의 엘리먼트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인 세트 서랍(I)에 관한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는, 이들의 8개의 엘리먼트의 각각에 관해 마련된다(부호 83A 내지 83H).
인 세트 서랍(I)에 관해서는,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가정보 정의 데이터(84)가 포함된다. 부가정보 정의 데이터(84)는, 선반판의 자동 부여 및 선반판의 자동 생략을 정의하는 것이다. 인 세트 서랍(I)에 있어서, 선반판은, 인 세트 서랍(I)에 관한 파트공간(Pi)(도 9 참조)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어느 한쪽에 마련된다. 「선반판 필요여부(상)」에는, 셀공간(S)에 인 세트 서랍(I)이 조립된 경우에(셀공간(S)에 인 세트 서랍(I)의 파트공간(Pi)이 조립된 경우에), 파트공간(Pi)의 위에 선반판을 부여하는지의 여부가 정의된다. 부여하는 경우에는 정의 데이터 「1」, 부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의 데이터「0」이 격납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선반판 필요여부(하)」에는, 파트공간(Pi)의 하면에 선반판을 부여하는지의 여부가 정의된다.
예를 들면, 선반판 필요여부(상)에 정의 데이터 「1」이 격납되어 있는 파트(A)의 상단에, 선반판 필요여부(하)에 정의 데이터 「1」이 격납되어 있는 파트(B)가 위치하도록, 유닛에 2개의 파트(A, B)가 조립되면, 파트(A)의 파트공간(P)의 하면의 선반판과, 파트(B)의 파트공간(P)의 상면의 선반판이 2겹으로 된다(파트(A)와 파트(B) 사이에 2겹의 선반판이 규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한쪽의 선반판은 불필요하다고 하여도 좋다. 「선반판 생략(상)」에는, 선반판이 2겹으로 마련되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 파트공간(P)의 상면의 선반판을 생략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의 데이터(「1」이 생략, 「0」이 생략하지 않음)가 격납된다. 「선반판 생략(하)」에는, 선반판이 2겹으로 마련되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 파트공간(P)의 하측의 선반판을 생략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격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구설계지원장치에서는, 가구의 설계에 있어서, 셀공간(S) 및 파트공간(P)의 개념이 이용된다. 파트공간(P)은, 셀공간(S)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 위치에 의해 그 위치 및 치수가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셀공간(S)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파트공간(P)을 자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셀공간(S)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른 파트공간(P)의 확대 또는 축소의 가부(연동 또는 비연동)는,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관해,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이 때문에, 가구 설계를 유연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파트(파트를 구성한 복수의 엘리먼트)는, 파트공간(P)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 위치 및 파트의 두께에 의해 그 위치 및 치수가 규정된다. 셀공간(S)의 확대 또는 축소에 연동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는 파트공간(P)에 따라, 파트(또는 엘리먼트)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도 용이하다. 파트공간(P)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른 엘리먼트의 확대 또는 축소의 가부(연동 또는 비연동)에 관해서도,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에 관해,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파트의 특징에 따른 정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마다 파트공간(P)에서의 위치가 규정되기 때문에, 복수의 엘리먼트에 의해 구성되는 다양한 파트에 관해, 상술한 정의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어떤 파트라도, 정의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 자체는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의 데이터의 추가, 삭제, 변경은 용이하다.
상술한 파트마다의 정의 데이터를, 가구 설계지원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준비되는 정의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을 접수, 또한 정의 데이터 베이 스(26)에 기억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5. 가구설계지원장치의 동작
도 22는 가구설계지원장치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 내지 도 28은 가구설계지원장치의 표시장치(11)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되는 윈도우를 도시하는 것으로, 가구를 설계할 때의 흐름을 나타내는 화면 천이(遷移)이다. 도 22부터 도 28을 참조하여, 가구설계지원장치에서의 가구 설계의 기본적인 흐름을, 표시화면상에서의 표시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가구설계지원장치의 유저(오퍼레이터)가, 마우스(13)를 이용하여,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가구 설계지원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그러면, 표시장치(11)의 표시화면상에, 기본 윈도우(W1)가 표시된다(도 23). 또한, 가구 설계지원 프로그램의 기동에 의해, 유닛/파트 선택 윈도우(W2)도 표시화면상에 표시된다(기본 윈도우(W1) 및 유닛/파트 선택 윈도우(W2)의 총칭을, 설계 윈도우라고 한다)(스텝 91). 설계 윈도우를 구성하는 설계 윈도우(W1)와 유닛/파트 선택 윈도우(W2)는 별체의 윈도우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윈도우(W1)의 대부분은, 가구 표시 영역(W1a)에 의해 차지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구 표시 영역(W1a)에 가구(조립 도중의 가구를 포함한다)의 화상이 표시된다.
유닛/파트 선택 윈도우(W2)의 상부에, 복수의 선택 태그(W2a)가 형성되고, 복수의 선택 태그(W2a)의 하측에 유닛/파트 표시 영역(W2b)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의 선택 태그(W2a)에는, 「유닛」, 「서랍」, 「선반」, 「의상걸이」 등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선택 태그(W2a)는 마우스(13)를 이용하여 클릭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닛」의 선택 태그(W2a)가 클릭되면, 유닛/파트 표시 영역(W2b)에는, 복수종류의 유닛을 나타내는 화상 및 유닛명(유닛 종류명)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종방향으로 나열되어 표시된다(도 23).
기본유닛의 화상을 마우스(13)를 이용하여 클릭하고, 가구 표시 영역(W1a)으로 드래그한다. 그러면, 가구 표시 영역(W1a)에, 선택된 기본유닛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된다(도 24, 스텝 92,93).
가구 표시 영역(W1a)에 표시된 기본유닛은, 미리 설정된 표준의 치수(높이, 폭 및 속깊이)를 가지며, 이로써 초기 상태의 셀공간(S)의 크기가 규정된다. 마우스(13)를 이용하여, 유닛(U)의 높이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별도 표시되는 높이, 폭, 속깊이를 수치에 의해 나타내는 윈도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높이, 폭 또는 속깊이의 치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스텝 94). 높이, 폭, 속깊이가 변경되면, 변경된 치수의 높이 및 폭을 갖도록, 가구 표시 영역(W1a)에 표시되는 기본유닛(U)의 형상이 변경된다. 물론, 메모리(18)상에 있어서, 기본유닛(U)의 형상(치수)의 변경에 따라, 기본유닛(U)의 치수(높이, 폭, 속깊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셀공간(S)의 치수(높이, 폭, 속깊이)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변경된다.
높이의 변경은, 기본유닛(U)의 천판 및 지판의 어느 이동에도 대응한다. 폭의 변경은, 좌측판 및 우측판의 어느 이동에도 대응한다. 속깊이의 변경은, 전면방 향 및 배면방향의 어느 이동에도 대응한다.
기본유닛(U)에 의해 규정되는 셀공간(Su) 내에, 파트가 마련된다(배치된다).
예를 들면, 기본유닛(U)의 셀공간(Su) 내에, 행거 파이프(H)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유닛/파트 선택 윈도우(W2)에서 「의상걸이」의 선택 태그(W2a)가 선택된다(도 25). 「의상걸이」의 선택 태그(W2a)의 선택에 따라, 유닛/파트 표시 영역(W2b)에 행거 파이프(H)의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종류의 의상걸이의 화상이 표시된다. 행거 파이프(H)의 화상 파트를 마우스(13)를 이용하여 클릭하여 선택하고, 가구 표시 영역(W1a)에 표시되어 있는 기본유닛(U)의 셀공간으로 드래그하면, 기본유닛(U)의 셀공간(Su)에 행거 파이프(H)가 추가되어 표시된다(스텝 95에서 N0, 스텝 92 내지 93).
상술한 바와 같이, 행거 파이프(H)가 셀공간(Su)에 조립되면, 기본유닛(U)에 의해 만들어지는 하나의 셀공간(Su)이, 2개의 영역(2개의 셀공간(S1, S2))으로 분할된다(도 21 참조). 셀공간(S1)에, 행거 파이프(H)에 관한 파트공간(Ph)이 배치된다. 메모리(18)에는, 셀공간(S1) 및 셀공간(S2)의 각각에 관한 치수가 격납된다. 또한, 셀공간(S1)에 조립된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Ph)은, 행거 파이프(H)에 관한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도 13)에 따르는 위치 및 치수가 된다. 메모리(18)에는, 셀공간(S1)과 파트공간(Ph)이 관련지어진 것이 기억된다.
또한, 기본유닛(U)의 셀공간(S)으로 행거 파이프(H)를 드래그할 때의 높이방향의 위치에 따라, 행거 파이프(H)의 기본유닛(U)의 셀공간에의 부착 위치(높이방향의 부착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물론, 기본유닛(U)의 셀공간(Su)의 임의의 위치에, 일단 행거 파이프(H)를 조립하고, 그 후에 행거 파이프(H)의 높이방향의 위치를, 마우스(13)를 이용하여 조정할(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실제의 가구에서는, 기본유닛(U)의 좌측판 및 우측판에는 다월(dowel) 구멍이 등간격으로 종방향으로 나열하여 마련되고, 이 다월 구멍의 위치에 행거 파이프가 부착된다. 기본유닛에 관한 데이터에, 이 다월 구멍의 위치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행거 파이프(H)는, 규정된 다월 구멍의 위치에 조립되게 된다.
단, 행거 파이프(H)에 관한 파트공간(Ph)의 하면이, 셀공간(Su)의 하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해 버리는, 그와 같은 셀공간(Su)에서의 높이 위치에는, 행거 파이프(H)를 조립할 수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행거 파이프(H)에 관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71)(도 13)에 있어서, 파트공간(Ph)의 하면은 셀공간의 하면과 연동하지 않는 취지가 정의되어 있고, 또한 행거 파이프(H)에 관해서는, 행거 파이프(H)의 하방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72)에서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Ph)의 하면이 셀공간(Su)의 하면을 초과하여 하방에 위치해 버리는, 그와 같은 셀공간(Su)에서의 높이 위치에 행거 파이프(H)를 조립하려고 하면, 에러 메시지(도시 생략)가 표시된다(또는 조작이 거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행거 파이프(H)는, 양복의 상의를 걸기 위해 이용된 것으로서, 행거 파이프(H)의 하방에는 항상 공간을 마련하여 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는, 파트의 특성을, 가구의 설계(설계 제한)에 반영시키는 것이기도 하다. 이로써, 예를 들면, 양복을 걸 수가 없는 낮은 높이 위치에 행거 파이프(H)가 마련된 가구가 설계되어 버 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행거 파이프(H)가 조립된 기본유닛(U)의 치수를 변경하면(스텝 94), 행거 파이프(H)에 관해 규정된 셀공간-파트공간 연동 정의 데이터(71)(도 13)에 따라, 셀공간(S1)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행거 파이프(H)에 관한 파트공간(Ph)도 확대 또는 축소한다. 또한,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73)(도 13)에 따라, 파트공간(Ph)의 확대 또는 축소에 수반하여 행거 파이프(H)의 위치(화상 위치)가 이동하고, 또한 치수(화상 치수)도 확대 또는 축소한다.
유닛(U)에 의해 규정되는 초기 상태의 셀공간(Su)은, 상술한 바와 같이, 행거 파이프(H)가 조립됨에 의해, 2개의 셀공간(S1, S2)으로 분할된다. 셀공간(S1)은, 행거 파이프(H)의 파트공간(Ph)에 의해 차지된다. 셀공간과 파트공간은 1대1로 대응하기 때문에, 파트공간(Ph)에 의해 차지하는 셀공간(S1)에는, 다른 파트를 조금도 조립할 수가 없다.
다른 한편, 셀공간(S2)에는 파트공간(P)은 조립되어 있지 않다(메모리(18)에서, 셀공간(S2)에는, 아직도 파트공간(P)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격납하여도 좋다). 셀공간(S2)에는, 다른 파트를 조립할 수 있다.
셀공간(S2)에 인 세트 서랍(I)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유닛/파트 선택 윈도우(W2)에서 「서랍」의 선택 태그(W2a)가 클릭된다. 유닛/파트 표시 영역(W2b)에 인 세트 서랍을 포함하는 복수종류의 서랍의 화상이 표시된다. 인 세트 서랍을 클릭하고, 셀공간(S2)의 하부로 드래그하면, 기본유닛(U)의 셀공간에 인 세트 서랍(I1)이 추가되어 표시된다(도 26, 스텝 92 내지 93). 셀공간(S2)은 다시 2개로 분할되고, 그 한쪽이 인 세트 서랍(I1)에 관한 파트공간에 의해 차지된다.
인 세트 서랍(I)의 드래그를 3회 반복함에 의해, 기본유닛(U)의 셀 공간 내에 높이방향으로 나열된 3단의 인 세트 서랍(I1, I2, I3)이 추가되어 표시된다(도 27). 셀공간(S2, S3, S4)이 규정된다(도 5 참조).
또한, 기본유닛(U)의 전면에 양쪽열림 문짝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유닛/파트 선택 윈도우(W2)에서 「문짝」의 선택 태그(W2a)가 선택되고, 유닛/파트 표시 영역(W2b)에 표시되는 양쪽열림 문짝(여기에서는, 플랫 문짝(양쪽열림)이 선택된다. 플랫 문짝(양쪽열림)이 드래그되면, 기본유닛(U)의 전면에 플랫 문짝(양쪽열림)이 추가되어 표시된다(도 28). 양쪽열림 문짝은 파트공간을 갖는 파트가 아니라, 부속 부품으로서 취급된다.
보존 처리가 행하여지면, 가구 표시 영역(W1a)에 표시된 가구(완성 도중이라도 좋다)를 구성하는 유닛의 명칭(또는 선택된 유닛을 식별하는 부호), 파트의 명칭(부분을 식별하는 부호), 셀공간의 위치 및 치수, 셀공간과 파트공간의 관련지움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가구 설계 데이터(25)에 기억된다(스텝 95에서 YES, 스텝 96). 필요에 따라,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가구의 상세 도면, 가격, 가구를 구성하는 유닛, 파트의 각각의 치수, 재질 등이 표시화면상에 표시되고, 프린터(17)로부터 출력된다.
최후로, 가구를 구성하는 유닛 및 파트의 상세 도면(설계 도면 또는 치수 도면이라고 말하여도 좋다)의 묘화(描畵) 처리에 관해 설명하여 둔다.
가구의 설계자가 가구설계지원장치를 이용하여 설계한 가구를 실제로 제작하 는 가구제작 업자는, 가구를 구성하는 유닛 및 파트의 상세 도면(설계 도면 또는 치수 도면)에 따라, 목재가공 등을 행하여, 설계된 가구를 구성하는 유닛 및 파트의 각각을 작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닛은 직육면체형상의 셀공간을 가지며, 이 셀공간에, 선택된 파트에 관한 파트공간이 관련지어진다. 파트공간의 6면은,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도 12, 도 13 참조)에 의해, 셀공간이 대응하는 6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각각의 위치가 정해진다. 또한, 파트공간중에서의 파트(또는 파트를 구성하는 엘리먼트)의 5면 위치는,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도 12, 도 13 내지 도 18 참조)에 의해, 파트공간이 대응하는 5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각각의 위치가 정해지고,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중의 엘리먼트의 두께의 정의에 의해 나머지 1면의 위치도 정해진다. 따라서, 셀공간의 크기가 결정하면, 파트(또는 엘리먼트)의 치수도 결정되게 된다.
도 29는 셀공간,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 및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행거 파이프에 관한 상세 도면(설계 도면 또는 치수 도면)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행거 파이프에 관해서는, 상면도(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가, 상세 도면중에 치수와 함께 도시된다.
셀공간,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 및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상세 도면은, 전부 사각형 형상에 의해 표시된다.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 및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는, 파트공간의 6면 위치 및 파트(또는 엘리먼트)의 6면 위치를 결정하도록 작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원주형상의 행거 파이프라도,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 및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만을 이용한 경우,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우측면도는 사각형으로 표시되게 된다.
상세 도면을, 보다 정확하게 묘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예를 들면, 행거 파이프가 원주형상이며, 이 원주현상 행거 파이프에 관한 상세 도면에 있어서 우측면도를 원형으로 묘화하는 경우), 가구설계지원장치의 하드 디스크에, 파트 및 엘리먼트마다, 파트(엘리먼트) 상세 도면 묘화 정의 데이터가 준비되고, 또한 사각형 이외의 형상 묘화를 위한 벡터·데이터가 준비된다.
도 30은 행거 파이프에 관한 파트(엘리먼트) 상세 도면 묘화 정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1은 벡터·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파트(엘리먼트) 상세 도면 묘화 정의 데이터에는, 묘화 정의, 면(面) 위치, 벡터 묘화 및 참조 넘버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묘화 정의에 「1」이 격납되어 있는 면 위치에 관해, 상세 도면이 묘화된다. 도 30에 도시하는 행거 파이프에 관한 파트(엘리먼트) 상세 도면 묘화 정의 데이터에서는, 상면(평면), 우면(우측면) 및 전면(정면)의 3개의 상세 도면을 묘화하여야 하는 취지가 나타나 있다.
벡터 묘화에 「1」이 격납되어 있는 경우, 그 면 위치에 관한 도면이, 도 31에 도시하는 벡터·데이터·테이블중에 격납되어 있는 벡터·데이터에 의거하여 도시(묘화)된다. 벡터 묘화에 「0」이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트공간 상대 위치 정의 데이터 및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가 이용되어, 사각형 형 상의 도면이 묘화된다.
벡터 묘화에 「1」이 격납되어 있는 경우, 참조 넘버에 의해 관련지어져 있는 벡터·데이터·테이블중에 격납되어 있는 벡터·데이터가 판독되고, 판독된 벡터·데이터에 의거한 묘화 처리가 행하여진다.
벡터·데이터·테이블에는, 원(타원을 포함한다), 직선, 곡선 등을 묘화하기 위한 벡터·데이터가, 벡터 묘화가 필요하게 되는 파트(엘리먼트)의 면 위치마다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행거 파이프의 우측면도로서 원형을 묘화하는 경우에는, 원형 묘화를 위한 벡터·데이터가 준비된다. 또한, 원의 직경(반경)에 관해서는, 엘리먼트 정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원 직경(반경)(행거 파이프인 경우, 두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원 직경을 의미하게 된다)을 이용하는 취지가 기술된다.
도 32는 파트(엘리먼트) 상세 도면 묘화 정의 데이터 및 벡터·데이터를 이용한 행거 파이프에 관한 상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벡터·데이터를 이용함에 의해, 원형으로 묘화된 우측면도를 상세 도면상에 그릴 수 있다.
도 33은 아웃 세트 서랍(A)에 관한 상세 도면을, 도 34는 도 33에 도시하는 아웃 세트 서랍(A)을 구성하는 복수의 엘리먼트중의 하나인 전판의 상세 도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모양의 형상을 갖지 않는 아웃 세트 서랍(A)의 전판에서도, 파트(엘리먼트) 상세 도면 묘화 정의 데이터 및 벡터·데이터를 이용함에 의해, 그 형상을 정확하게 상세 도면에 묘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구설계지원장치는 1대의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가구설계지원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15)

  1.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를 나타내는 화상 및 복수종류의 부품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장치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중에서 선택된 기본구성부재라고 표시된 복수종류의 부품중에서 선택된 부품을 조합함에 의해, 기본구성부재와 부품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물품의 화상을 표시하는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의 기억 수단,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의 기억 수단,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과,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을 1대1로 관련지우는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
    상기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에 의해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워진 3차원 셀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제 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치수를 갖는 부품 화상을, 상기 기본 구성 부재의 화상과 함께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 및
    상기 3차원 셀 공간의 확대 또는 축소를 접수하는 치수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하나의 최소구성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제 1의 부품과, 복수의 최소구성요소를 조합함에 의해 구성되는 제 2의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기억 수단은,
    상기 제 2의 부품에 관해서는, 복수의 최소구성요소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최소구성요소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는,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의 위치를, 상기 3차원 셀공간이 대응하는 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는,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의 위치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3차원 셀공간의 반대의 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고, 나머지 면의 위치를 상기 3차원 셀공간이 대응하는 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 또는 상기 3차원 최소구성요소 데이터는, 상기 부품 또는 최소구성요소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의 위치를,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대응하는 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 또는 상기 3차원 최소구성요소 데이터는, 상기 부품 또는 최소구성요소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의 위치를,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중 어느 5면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부품 또는 최소구성요소의 두께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해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셀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과,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대응하는 면의 각각을 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각 면마다 정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3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전면 및 배면의 각각과, 상기 부품 또는 상기 부품을 구성하는 최소구성요소의 대응하는 면의 각각을 연동시키는지의 여부를 각 면마다 정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4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에 의해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워진 3차원 셀공간의 크기가 그 3차원 셀공간에 관련지워진 3차원 부품공간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3차원 셀공간을 분할하는 셀공간 분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에 의해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워진 3차원 셀공간의 크기가 그 3차원 셀공간에 관련지워진 3차원 부품공간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3차원 셀공간이 확대된 경우에, 상기 3차원 셀공간을 분할하는 셀공간 분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셀공간,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거하여, 물품에 포함되는 기본구성부재, 물품에 포함되는 부품, 및 물품에 포함되는 부품을 구성하는 최소구성요소중의 적어도 하나에 관한 치수를 포함하는 상세 도면을 작성하는 상세 도면 작성 수단, 및
    상기 상세 도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치수를 포함하는 상세 도면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벡터 묘화 데이터를 기억한 벡터 묘화 데이터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세 도면 작성 수단은, 미리 정의된 기본구성부재, 부품 또는 최소구성요소에 있어서의 미리 정의된 면에 관한 상세 도면을, 상기 벡터 묘화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벡터 묘화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를 나타내는 화상 및 복수종류의 부품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장치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중에서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와 표시된 복수종류의 부품중에서 선택된 부품을 조합함에 의해, 기본구성부재와 부품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물품의 화상을 표시하는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를 입력 수단으로부터 접수하여 제 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한 3차원 부품 데이터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접수하여 제 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고,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과,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을, 셀공간/부품공간 관련지움 수단에 의해 1대1로 관련지우고,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이 관련지워진 상기 3차원 셀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제 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된 부품에 관한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 및 상기 3차원 부품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치수를 갖는 부품 화상을, 상기 기본 구성 부재의 화상과 함께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고,
    치수 변경 수단에 의해, 상기 3차원 셀 공간의 확대 또는 축소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를 나타내는 화상 및 복수종류의 부품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종류의 기본구성부재중에서 선택된 기본구성부재와 표시된 복수종류의 부품중에서 선택된 부품을 조합함에 의해, 기본구성부재와 부품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물품을 표시하는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기본구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셀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하는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접수한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를 제 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 및
    복수종류의 부품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하는 3차원 부품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접수한 3차원 부품 데이터를 제 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용 데이터 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하나의 최소구성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제 1의 부품과, 복수의 최소구성요소를 조합함에 의해 구성되는 제 2의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부품에 관해서는, 복수의 최소구성요소의 각각에 관해, 상기 3차원 부품공간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3차원 부품공간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치수를 정하는 3차원 최소구성요소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상기 제 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설계지원 시스템용 데이터 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77010995A 2004-12-17 2005-12-16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3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6311 2004-12-17
JP2004366311 2004-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675A KR20070064675A (ko) 2007-06-21
KR100903731B1 true KR100903731B1 (ko) 2009-06-19

Family

ID=3658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995A KR100903731B1 (ko) 2004-12-17 2005-12-16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84818B2 (ko)
EP (1) EP1837785A4 (ko)
JP (1) JP4722058B2 (ko)
KR (1) KR100903731B1 (ko)
CN (1) CN100538709C (ko)
HK (1) HK1114429A1 (ko)
WO (1) WO2006064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0168A (ja) * 2007-02-27 2008-09-11 D Arch:Kk 家具設計装置及び設計方法
US8086060B1 (en) * 2007-10-11 2011-12-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enhancement of two-dimensional images
JP6022290B2 (ja) * 2012-10-03 2016-11-09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ユニットのデータ構造,ユニット設計装置および方法,家具設計装置,家具設計システム,ならびに家具製造支援装置
US9524585B2 (en) * 2012-11-05 2016-12-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structing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with pre-computed lighting
US9785727B1 (en) 2014-01-10 2017-10-10 Verso Furniture, Inc. Method and system of assembly design
CN107209788A (zh) * 2014-12-29 2017-09-26 层层生活有限公司 家具线上设计系统
CN104615828A (zh) * 2015-02-05 2015-05-13 北京尔宜居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板式家具设计方案的生成方法
WO2016139874A1 (ja) 2015-03-05 2016-09-09 株式会社ミスミ 設計支援方法
KR101830305B1 (ko) * 2015-03-27 2018-02-20 도만즈 가부시키가이샤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수주·제조 발주 시스템, 방법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JP5913721B1 (ja) * 2015-11-26 2016-04-27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3次元立体構造物を設計し、その3次元立体構造物の寸法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913720B1 (ja) * 2015-11-26 2016-04-27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立体構造物を設計し、その寸法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135222A1 (ja) * 2016-02-02 2017-08-10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オーダーメード家具の設計及び製造方法、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CN105787165B (zh) * 2016-02-23 2020-03-13 北京数码大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家具连接件的配置方法及装置
JP6000486B1 (ja) * 2016-03-28 2016-09-28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複数のパーツ部材を組み合わせて構成される家具をコンピューターを用いて設計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479705B2 (ja) * 2016-03-31 2019-03-06 開成工業株式会社 除塵設備の設計支援装置、除塵設備の設計支援方法および除塵設備の設計支援プログラム
CN110495254B (zh) * 2017-01-13 2022-04-01 路创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配置负载控制系统的方法和装置
JP6582278B2 (ja) 2017-07-28 2019-10-02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を用いて設計した家具のパーツ部材を加工機械を用いて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FI20205053A1 (en) * 2020-01-17 2021-07-18 Trimble Solutions Corp MODEL AND TECHNICAL DOCUMEN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6046A (ja) * 1996-06-03 1997-12-16 Honda Motor Co Ltd 3次元cadシステム、3次元モデル作成方法、及び3次元モデル作成用記憶媒体
JPH11144095A (ja) * 1997-11-10 1999-05-28 Fujitsu Ltd 三次元モデル作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三次元モデル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575A (en) * 1996-05-06 1998-10-27 Amadasoft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design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throughout a sheet metal production facility
US5886897A (en) * 1996-05-06 1999-03-23 Amada Soft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design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throughout a sheet metal production facility
US5971589A (en) * 1996-05-06 1999-10-26 Amadasoft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design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throughout a sheet metal production facility
CN1326080C (zh) 1999-08-03 2007-07-11 二宫健一 物品设计辅助系统、物品加工图作成系统以及物品使用说明书作成系统
JP3877492B2 (ja) * 1999-08-31 2007-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遠隔受注設計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遠隔受注設計方法
JP3650574B2 (ja) * 2000-07-25 2005-05-18 浩 秋田 円錐面の測地線を利用した工業製品
AU2002243272A1 (en) * 2000-12-07 2002-07-08 Eagle Engineering Of America, Inc. A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specifications for parts
US7079908B2 (en) * 2003-01-31 2006-07-18 Delphi Technologies,Inc. Horizontally-structured modeling for analys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6046A (ja) * 1996-06-03 1997-12-16 Honda Motor Co Ltd 3次元cadシステム、3次元モデル作成方法、及び3次元モデル作成用記憶媒体
JPH11144095A (ja) * 1997-11-10 1999-05-28 Fujitsu Ltd 三次元モデル作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三次元モデル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7785A1 (en) 2007-09-26
CN101080716A (zh) 2007-11-28
JPWO2006064971A1 (ja) 2008-06-12
WO2006064971A1 (ja) 2006-06-22
JP4722058B2 (ja) 2011-07-13
HK1114429A1 (en) 2008-10-31
US7884818B2 (en) 2011-02-08
CN100538709C (zh) 2009-09-09
KR20070064675A (ko) 2007-06-21
US20070262982A1 (en) 2007-11-15
EP1837785A4 (en)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731B1 (ko) 물품의 설계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707910B2 (ja) 物品の設計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物品の設計支援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媒体
US11829685B2 (en) Method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custom-made furniture using computer, system, and program therefor
JP5850594B1 (ja) オーダーメード家具の設計・受注・製造発注システム、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6022290B2 (ja) ユニットのデータ構造,ユニット設計装置および方法,家具設計装置,家具設計システム,ならびに家具製造支援装置
KR20020069050A (ko) 요소크기제어를 위한 육면체유한요소 모델링방법 및 그기록매체
CN101499179B (zh)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JP2016186785A (ja) 3次元立体構造物を設計し、その3次元立体構造物の寸法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025992B2 (ja) 設計装置および設計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Bronsvoort et al. Feature model visualization
JP2007115033A (ja) 物品部材のデータ構造、物品の設計装置または設計方法
EP1300806A2 (en) Design support method and design support apparatus
JPH086989A (ja) 間取り図立体表示システムおよび住宅模型作成システム
JP2012108734A (ja) 設計支援装置
JP2016189193A (ja) 複数のパーツ部材を組み合わせて構成される家具をコンピューターを用いて設計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ohnson B-shelves: a web based mass customized product
JP2007156891A (ja) 建築空間配置計画支援装置および建築空間配置計画支援方法
WO1999064968A2 (en) Cad/cam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collection of three dimensional objects
JP2010267138A (ja) 設計支援方法、設計支援システムおよび設計支援装置
JP2012079079A (ja) 設計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11571A (ja) 多正面構造体設計支援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20200364934A1 (en) 3d rendering software
JP2004310486A (ja) 三次元cg画像作成装置及び三次元cg画像作成システム及び三次元cg画像作成用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7323242A (ja) 家具設計支援装置及び設計支援方法
JP3071737B2 (ja) 3次元cadによる組立品群の図面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