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837B1 -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837B1
KR100473837B1 KR1020040017449A KR20040017449A KR100473837B1 KR 100473837 B1 KR100473837 B1 KR 100473837B1 KR 1020040017449 A KR1020040017449 A KR 1020040017449A KR 20040017449 A KR20040017449 A KR 20040017449A KR 100473837 B1 KR100473837 B1 KR 10047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ish meat
mixed
squid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영
Original Assignee
김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영 filed Critical 김달영
Priority to KR102004001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종류 이상의 어육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쥐치, 화살오징어를 포함하는 오징어, 명태, 꽁치, 가오리 또는 한치 중 선택된 2이상의 어육을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단계, 이들을 혼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된 어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맛을 제공하면서 각 어포 고유의 맛을 살리고 담백한 맛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어포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며, 미관상으로도 독특하고 문양이 새겨진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Dried slices of mixed fish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두 종류 이상의 어육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쥐치, 화살오징어를 포함하는 오징어, 명태, 꽁치, 가오리 또는 한치 중 선택된 2이상의 어육을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단계, 이들을 혼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된 어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포은 한 종류의 어육으로 제조된 것으로써 쥐치어로 제조한 쥐치어포나 오징어로 제조한 오징어포 등을 술안주나 간식 혹은 반찬으로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각각의 제품을 다양하게 맛보기 위해서는 포장되어 있는 각 제품을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며, 따라서 어포의 각각 구입으로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어포를 구입함으로 인하여, 1차 소비후 나머지의 장기간 보관에 따른 변질로 비위생적이고 비용의 손실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상기의 각 어육을 혼합하여 하나의 어포로 제조함으로써 여러 가지 맛을 한번에 제공함으로써 미각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여러 가지 어포를 재료로 하는 혼합어포를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었음에도, 각 어육을 부착함에 곤란함이 있고, 각 어육의 혼합부착에 따른 특유의 냄새를 줄여 각 어육 고유의 맛을 내는 혼합어포로 제조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어육을 함께 혼합하여 어포를 제조하더라도 각각의 어육 고유의 맛을 살리면서 담백한 어육과 조미액의 혼합비율에 대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두 가지의 맛이 조화되어 비린내가 나지 않고 각 어육의 고유한 맛이 나는 담백한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종류 이상의 어육을 혼합하여 각각의 어육 고유의 맛을 살리면서 담백한 두 가지 이상의 어육의 맛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혼합어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어육 고유의 맛을 살리면서 담백하고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맛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혼합어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종류 이상의 어육을 다듬고 세척하는 원재료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어육을 조각내거나 포를 떠서 얻어진 서로 다른 종류의 어편을 조립하여 일정 형상이 되도록 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된 어육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어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원재료 준비단계 또는 상기 성형단계 다음으로 어육에 조미액을 섞는 배합단계; 및 상기 배합단계 후 어육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어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원재료 준비단계의 어육은 쥐치, 화살오징어를 포함하는 오징어, 명태, 꽁치, 가오리 및 한치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어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혼합어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어포 제조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원재료 준비단계 : 혼합하고자 하는 어육을 선택하여 다듬고 저민 후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이때 선택될 수 있는 어육은 쥐치어와 오징어 또는 화살오징어 중 선택된 1 이상이며, 혼합비율은 어육의 총 중량에 대하여 쥐치어 40~70중량%, 오징어 또는 화살오징어는 30~55중량% 혼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쥐치어와 오징어의 두가지 어육을 한번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배합단계 : 상기 원재료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어육에 조미액을 배합기에서 20~40분간 배합한다.
이 때 상기 어육 : 조미액을 1 : 0.1~1의 비율로 배합하며, 조미액은 조미액의 총중량에 대하여 설탕 66~80중량%, 정제염 6~10중량%, 조미료 0.8~4중량%, 감미료 8~18중량%, 합성보존료 0.4~2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다.
숙성단계 : 상기 배합된 어육을 0℃~5℃에서 5~10일정도 숙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숙성시킴으로써 상기의 배합단계에서 첨가된 조미액이 어육에 잘 침투하게 된다.
성형단계 : 상기 숙성된 어육을 다양한 형태로 성형한다. 예컨데, 직사각형이나 삼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모양이나 삼각형과 원형을 붙인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며, 크기는 가로 및 세로 각각 3~30㎝로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성형된 어편을 예컨데, 크기가 큰 어편 상부면에 작은 크기의 어편을 접합, 조립시킬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하는 건조단계를 거치면서 서로 단단하게 접합된다. 따라서 소비자의 기호나 취향,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1차 건조단계 : 상기 성형된 어육을 수분함량이 30%~50%가 되도록 자연건조시킨다. 태양열을 이용하여 자연건조시킴으로써 별도로 살균단계를 거치지 않더라도 어육의 변질을 막을 수 있다.
이때, 한종류의 어육 상부면에 다른 종류의 어육을 적층하여 건조시키게 되고, 어육에서 수분이 건조됨에 따라 두 종류의 어육이 접합하게 된다.
2차 건조단계 : 상기 1차 건조된 어육을 수분함량이 10~15%가 되도록 건조시킨다. 이때의 건조방법으로는 열풍건조 또는 냉풍건조 등 어떠한 방법으로 건조시키더라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두단계의 건조를 통하여 어육이 서로 단단하게 접합하고 떨어지지 않고 하나의 어포로 제조되게 된다.
이상의 단계들를 거쳐 제조된 혼합어포를 모양별로 포장하여 운송 및 보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어육 총 중량 1kg에 대하여 쥐치어 45.5중량%, 오징어 55.5 중량%의 어육을 다듬어 저민 후 깨끗하게 세척한다. 이때 오징어는 가로 5㎝, 세로 1㎝ 정도로 절단한다.
상기 세척된 어육에 조미액을 조미액의 총 중량 100g에 대하여 설탕 75중량%, 정제염 7.5중량%, D-솔비톨액 15중량%, L-글루타민산 나트륨 2중량% 및 솔빈산칼륨 0.5중량%를 첨가한다.
상기 조미된 어육을 배합기에서 30분간 골고루 배합한다.
상기 배합된 어육을 5℃에서 5일정도 숙성시킨다.
상기 숙성된 어육을 타원형태로 성형한다.
상기 성형된 어육을 수분함량이 50%가 되도록 자연건조시킨다.
상기 자연건조된 어육을 수분함량이 10%가 되도록 열풍건조시킨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혼합어포를 기존의 쥐포와 오징어포의 맛을 비교 평가하는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요원은 20~40대의 훈련받은 남, 여 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9점 채점법(9:아주좋음, 5:보통, 1:아주나쁨)으로 2회 반복실시하여 평균으로 나타내었으며, 시료는 상기의 어포를 잘게 썰어 준비하여 맛과 향으로 평가하였다.
통계처리 검사결과는 SAS package를 이용하여 Duncan's 다중검정법에 의해 검증하였으며, 같은 세로줄에서 서로 다른 알파벳 사이에는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다.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 분 냄새 담백한 맛 뒷맛
본 발명의 혼합어포 6.3a 8.2b 6.5a
기존의 쥐포 6.5a 7.8a 5.8b
기존의 오징어포 5.6b 8.1a 5.5b
상기 실험결과, 기존의 쥐포의 냄새 점수가 가장 높고, 본 발명의 혼합어포의 냄새가 상기 쥐포의 냄새와 유사한 정도로 점수가 높았으며, 담백한 맛과 뒷맛은 본 발명의 혼합어포가 가장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두 종류의 어육을 혼합하더라도 그 냄새와 맛이 기존의 각각의 어육으로 제조한 어포의 냄새와 맛에 대하여 동등이상이므로, 이들을 기호식품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종류 이상의 어육을 혼합하여 어포를 제조함으로써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맛을 제공하면서 각 어포 고유의 맛을 살리고 담백한 맛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어포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며, 미관상으로도 독특하고 문양이 새겨진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두 종류 이상의 어육을 다듬고 세척하는 원재료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어육을 조각내거나 포를 떠서 얻어진 서로 다른 종류의 어편을 조립하여 일정 형상이 되도록 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어육에 조미액을 섞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된 어육을 0℃~5℃에서 5~10일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된 어육을 서로 적층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어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준비단계의 어육은 쥐치, 화살오징어를 포함하는 오징어, 명태, 꽁치, 가오리 및 한치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어포 제조방법.
KR1020040017449A 2004-03-15 2004-03-15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449A KR100473837B1 (ko) 2004-03-15 2004-03-15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449A KR100473837B1 (ko) 2004-03-15 2004-03-15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837B1 true KR100473837B1 (ko) 2005-03-14

Family

ID=3722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449A KR100473837B1 (ko) 2004-03-15 2004-03-15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8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16B1 (ko) * 2009-01-08 2012-03-12 양봉원 녹차 분말이 함유된 조미쥐치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788B1 (ko) 2009-01-08 2012-03-12 양봉원 죽염이 함유된 조미쥐치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624470B1 (ko) * 2015-11-26 2016-05-25 양재철 아귀포의 제조방법
KR20230007293A (ko) * 2020-07-10 2023-01-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넙치포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6914A (ko) * 1981-09-09 1983-10-12 안창수 건어포의 제조방법
KR910009180A (ko) * 1989-11-14 1991-06-28 백웅기 돈 정육의 보관성 육포 제조방법
KR19980072044A (ko) * 1998-07-10 1998-10-26 박영식 건어포의 제조방법
KR20000054358A (ko) * 2000-06-02 2000-09-05 김달영 어포 가공방법 및 그 제조물품
KR20010088780A (ko) * 2000-03-21 2001-09-28 조인순 녹차 추출액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조미 건 어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6914A (ko) * 1981-09-09 1983-10-12 안창수 건어포의 제조방법
KR910009180A (ko) * 1989-11-14 1991-06-28 백웅기 돈 정육의 보관성 육포 제조방법
KR19980072044A (ko) * 1998-07-10 1998-10-26 박영식 건어포의 제조방법
KR20010088780A (ko) * 2000-03-21 2001-09-28 조인순 녹차 추출액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조미 건 어포 제조방법
KR20000054358A (ko) * 2000-06-02 2000-09-05 김달영 어포 가공방법 및 그 제조물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16B1 (ko) * 2009-01-08 2012-03-12 양봉원 녹차 분말이 함유된 조미쥐치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788B1 (ko) 2009-01-08 2012-03-12 양봉원 죽염이 함유된 조미쥐치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624470B1 (ko) * 2015-11-26 2016-05-25 양재철 아귀포의 제조방법
KR20230007293A (ko) * 2020-07-10 2023-01-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넙치포 제조방법
KR102594773B1 (ko) * 2020-07-10 2023-10-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넙치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4976A (zh) 一种蘑菇调味品及其生产方法
KR101217884B1 (ko) 짬뽕 순두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짬뽕 순두부
KR100736466B1 (ko) 유자미 명란젓의 제조방법
KR20070027025A (ko) 조미고등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조미고등어
KR100473837B1 (ko) 혼합어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708227B1 (ko) 닭 정육을 이용한 햄버거 패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햄버거
KR20190078999A (ko) 무 간장 장아찌의 제조방법
KR20200143590A (ko) 수비드와 초음파 공법을 활용한 닭가슴살 육포의 염지 제조 방법
KR100381543B1 (ko) 사과고추장
CN112237270B (zh) 微波熟化葱香蛋片及其配方和制备方法
KR101166438B1 (ko) 쌀을 주원료로 하는 커틀릿 및 그 제조방법
KR100428011B1 (ko) 파파야 장아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30567B1 (ko) 웰빙 건강식 떡볶이용 떡 및 떡볶이의 제조방법
KR101617012B1 (ko) 다랑어 및 매생이를 이용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KR102647815B1 (ko) 곤드레나물 간장 양념을 활용한 잡채 제조방법
KR101893329B1 (ko) 다즙성이 우수한 만두의 제조 방법
KR20150124083A (ko) 명란 돈까스의 제조방법
KR101233979B1 (ko) 호두 함유 식물성 고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 고기의 제조방법
KR102171815B1 (ko) 아귀강정의 제조방법
KR20180106201A (ko) 저나트륨 두부 스테이크 제조방법
KR100761344B1 (ko) 열풍건조식품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열풍건조식품 블록
KR20100110909A (ko) 양파피클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30589B1 (ko) 감자를 소재로 하는 한과의 제조방법
RU266392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чинки для мучных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KR100310425B1 (ko) 스파게티를 함유한 만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