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338B1 - 습식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71338B1 KR100471338B1 KR10-2002-0013688A KR20020013688A KR100471338B1 KR 100471338 B1 KR100471338 B1 KR 100471338B1 KR 20020013688 A KR20020013688 A KR 20020013688A KR 100471338 B1 KR100471338 B1 KR 100471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photosensitive drum
- image forming
- gap
- guide wa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현상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현상 화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빠르고 또한 확실하게 건조 제거하고, 잉여 캐리어액을 원인으로 하는 전사 불량 및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여 고품위의 전사 화상을 얻는 동시에, 습식 화상 형성 장치의 고속화의 실현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갭(G)을 거쳐서 감광체 드럼(11)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벽(202)에 형성되는 2단 슬릿형의 개구(202a, 202b)로부터, 2단 노즐(203a, 203b)에 의해 감광체 드럼(11)에 공기를 불어댄다. 이에 의해 갭(G) 내에 고속의 기류를 흘리고, 이 갭(G) 내를 반송하는 동안의 긴 시간에 걸쳐서 현상 화상을 고속의 기류에 노출시켜 잉여 캐리어액을 건조 제거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너 입자 및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 화상을 형성하는 습식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상 화상 상의 잉여 캐리어액을 제거하는 습식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제 상을 얻는 습식 화상 형성 장치는 서브 미크론 사이즈의 매우 미세한 토너 입자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고화질을 실현할 수 있는 것과, 소량의 토너로 충분한 화상 농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데다가 인쇄(예를 들어 오프셋 인쇄)와 같은 질감을 실현할 수 있는 것과, 비교적 저온으로 토너를 용지에 정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습식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시, 감광체 상에 형성되는 현상 화상을 전사재에 전사하는 전사 방법 중의 하나로서, 감광체와 전사재를 가압 접촉하여 토너 입자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감광체 표면의 토너 입자를 전사재에 전사하는 압력 전사 방법이 있다. 이 압력 전사 방법에 있어서는 전사시에 감광체 표면이 캐리어액에 의해 젖어 있으면 전사 효율이 열화하므로, 그 전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사 공정 전에 현상 화상 상의 잉여 캐리어액을 충분히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현상 종료후 감광체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로워를 이용하여 건조 제거하거나, 혹은 일본 특허 공개 평11-2494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495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5981호 공보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상 종료후 감광체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다공질 탄성 롤러를 이용하여 흡수 제거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잉여 캐리어액의 제거 효율을 높이는 일본 특허 공개 소58-66953호 공보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상 종료후 감광체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탄성 롤러를 이용하여 흡수 제거한 후, 또한 블로워를 이용하여 건조 제거하는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고속화에 의해 잉여 캐리어액 제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이 요구되므로, 상기와 같이 다공질 탄성 롤러에 의한 흡수 제거와 블로워에 의한 건조 제거를 병용했다고 해도, 현상 종료후, 현상 화상이 전사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잉여 캐리어액을 충분히 제거하는데 이르지 않아, 압력 전사 방식에 의한 전사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압력 전사 방식에 의한 전사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고속화에 수반하여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력이 증대되고, 이와 같은 큰 가압력하에서는 잉여 캐리어액의 잔류를 원인으로 하는 전사 효율의 열화 현상은 더욱 현저해져 전사 효율을 현저하게 손상시키고, 표시 품위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현상 종료 후에 있어서 전사 전에 감광체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빠르면서도 또한 확실하게 제거하고, 고속이면서도 압력 전사 방식에 의한 전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여, 전사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양질인 전사 화상을 얻음으로써, 고속 기종의 실용화도 가능하게 하는 습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면에 정전 잠상을 보유 지지하는 잠상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정전 잠상에 토너 입자 및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에 현상제 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 상의 상기 현상제 상을 전사재에 전사하는 전사체와, 상기 현상기로부터 상기 전사재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현상제 상의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갭을 거쳐서 피복하여 상기 갭에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면에 정전 잠상을 보유 지지하는 잠상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정전 잠상에 토너 입자 및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에 현상제 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 상의 상기 현상제 상에 가압 접촉하는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서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 상의 상기 현상제 상을 전사재에 전사하는 전사체와, 상기 현상기로부터 상기 전사재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현상제 상의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갭을 거쳐서 피복하고, 상기 갭에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전사 전에 현상제 상의 반송 경로에 따라 길게 공기를 불어대고, 캐리어액을 건조 제거함으로써 화상 형성 속도의 고속화에 상관없이 잉여 캐리어액을 확실하게 제거하고, 압력 전사 방식에 의한 전사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양호한 전사에 의한 양질의 전사 화상을 얻는 동시에 고속 기종의 실용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도1 및 도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습식 화상 형성 장치인 전자 사진 장치(10)의 잠상 보유 지지 부재이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기체 상에 유기계 혹은 비결정 실리콘계의 감광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체 드럼(11) 주위에는 감광체(11)의 화살표 q 방향의 회전에 따라 차례로 감광체 드럼(11) 상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액체 현상제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2Y 내지 12K)이 배열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12Y 내지 12K)은 각 액체 현상제의 색이 다른 것, 그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상류에 배치되는 옐로우(Y)의 화상 형성 유닛(12Y)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다른 화상 형성 유닛(12Y 내지 12K)에 대해서는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와 각각의 색을 나타내는 첨자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옐로우(Y)의 화상 형성 유닛(12Y)은 주지의 코로나 대전기 혹은 스콜로트론 대전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대전기(14Y),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조사 장치로부터의 옐로우(Y)의 광신호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26Y)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노광부(17Y), 도시하지 않은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옐로우(Y)의 액체 현상제(18Y)를 수납하여 현상 전압이 인가되는 롤러형의 화상 전극(20Y) 및 롤러형의 블루밍 제거 전극(21Y)을 갖는 현상 장치(22Y)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액체 현상제(18Y 내지 18K)는 입경 0.1 ㎛ 내지 2 ㎛ 정도의 각각의 색이 다른 토너 입자와, 이 토너 입자를 분산시키는 캐리어액을 갖는다. 캐리어액으로서는 아이소퍼 L(액슨사제) 등의 석유계의 비극성 용매가 이용된다.
감광체 드럼(11) 주위의 각 화상 형성 유닛(12Y 내지 12K)의 하류에는 현상 종료 후에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흡수 제거하는 흡수 수단인 다공질 탄성 롤러(100)가 설치되고, 계속해서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건조 제거하는 송풍 장치인 노즐 블럭(20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1) 주위의 노즐 블럭(200)의 하류에는 전사체이며 압력 전사를 행하는 전사 장치(29) 및 전사후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제거하는 클리너(31)가 설치되어 있다.
전사 장치(29)는 가압 롤러(27) 및 이 가압 롤러(27)에 의해 감광체 드럼(11)에 약 0.5 내지 50 ㎏f/㎠의 가압력으로 압박 접촉되는 중간 전사 롤러(28)로 이루어지고, 감광체 드럼(11) 상에 형성되는 토너 입자로 이루어지는 토너상을 토너 입자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중간 전사 롤러(28)에 전사한 후, 전사재인 용지(30)에 전사하는 것이다.
다음에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제거하는 다공질 탄성 롤러(100) 및 노즐 블럭(200)에 대해 상술한다. 현상 종료후, 현상 화상에 처음 접촉시키는 다공질 탄성 롤러(100)는 토너 입자의 부착을 방지하는 도전성을 갖는 미세한 다공질 탄성체 표면으로 이루어지고, 감광체 드럼(11)과 구름 접촉하는 형상으로 감광체 드럼(11)과 동일한 주연 속도로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다공질 탄성 롤러(100)의 다공질 탄성체 표면은 다공질 구멍 직경을 매우 미세하게 함으로써, 그 표면의 평활도를 높여 토너 입자의 부착을 방지하는 동시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캐리어액의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실제로는 다공질 탄성체 재료로서는 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스폰지 등의 고무계 재료나, 고어텍스(고어텍스사제) 등으로 대표되는 미세 다공 시트 재료에, 미세 카본분을 분산시켜 도전성을 갖게 하거나, 혹은 다공질 탄성체의 최외곽 표면에 폴리피롤 등의 도전성의 도막을 매우 얇게 도포하는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다공질 구멍 직경이 0.2 ㎛로부터 크게 해도 3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 탄성 롤러(100)는 그 표면의 평활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연마제에 의해 경면 마무리 등을 하여도 좋다. 그리고 다공질 탄성 롤러(10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토너 입자와 역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다공질 탄성 롤러(100)측으로의 토너 입자의 부착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노즐 블럭(200)에 대해 설명한다. 노즐 블럭(200)의 하우징(201)의 감광체 드럼(11)과 대향하는 면에는 감광체 드럼(11) 표면과 약 2 ㎜의 갭(G)을 거쳐서 다공질 탄성 롤러(100)로부터 중간 전사 롤러(28)에 도달하기까지 동안의 감광체 드럼(11)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벽(202)을 갖고 있다. 이 피복벽(202) 표면은 갭(G) 내에서의 난기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이 없는 매끈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피복벽(202)은 알루미늄(Al)이나 스테인레스강 등을 600번 정도의 줄로 표면 연마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감광체 드럼(11) 표면과 대략 동축형의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벽(202)에는 하우징(201)의 2단 노즐(203a, 203b) 선단부로부터 감광체 드럼(11) 표면에 공기를 불어대기 위한 2단 슬릿형의 개구(202a, 20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2단 슬릿형의 개구(203a, 203b)는 길이 방향이 감광체 드럼(11)의 회전 방향인 화살표 q 방향에 대해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2단 노즐(203a, 203b)에는 750 W의 블로워(204)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가 배관(204a)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203a, 203b)로부터의 화살표 r 방향의 기류는 감광체 드럼(11) 표면의 기류가 닿는 위치(A)에 있어서의 법선(B)보다 상류측으로부터 감광체 드럼(11)에 불어대고 있다. 따라서 노즐(203a, 203b)로부터의 기류는 감광체 드럼(11)에 닿은 후에는 감속되는 일 없이 감광체 드럼(11) 표면에 따라서 좁은 갭(G) 사이를 흐른다. 이 때, 전자 사진 장치(10)의 프로세스 속도는 220 ㎜/s로 하면, 노즐(203a, 203b)로부터의 기류는 풍속 약 40 내지 50 m/s의 속도로 감광체 드럼(1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화살표 q 방향으로 흐른다.
다음에 작용에 대해 서술한다. 화상 형성 공정 개시에 의한 감광체 드럼(11)의 화살표 q 방향의 회전에 따라 감광체 드럼(11)은 화상 형성 유닛(12Y)에서 대전기(14Y)에 의해 대전되고, 계속해서 화상 정보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발광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황색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26Y)이 선택적으로 조사되어 옐로우(Y)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감광체 드럼(11)은 비접촉으로 배치되는 현상 전극(20Y)과의 간극에 공급된 옐로우(Y)의 액체 현상제(18Y)의 토너 입자가 전기 영동에 의해 흡착되고, 옐로우(Y)의 토너상이 형성되어 블루밍 제거 전극(21Y)에 의해 블루밍 토너 입자가 제거된다. 또한 이 블루밍 제거 전극(21Y)에 의해 현상시에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하는 액체 현상제 중의 캐리어액을 긁어내어, 잉여 캐리어액의 양을 미리 감량해 두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하여 감광체 드럼(11) 상에는 후속의 화상 형성 유닛(12M 내지 12K)에 의해 차례로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토너상이 겹치게 되어 풀칼라의 현상제 상이 형성된다.
이 현상 종료후, 감광체 드럼(11)의 회전에 따라 감광체 드럼(11) 상의 풀칼라 현상제 상이 다공질 탄성 롤러(100)와의 구름 접촉 위치에 도달하면,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하고 있는 잉여 캐리어액은, 우선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다공질 탄성 롤러(100) 표면에 흡인된다. 이 때 다공질 탄성 롤러(100)의 주위 속도가 감광체 드럼(11)의 주위 속도와 일치하고 있으므로, 감광체 드럼(11) 상의 현상제 상은 화상을 흐트러지게 하는 일이 없다.
또한, 다공질 탄성 롤러(100)에는 토너 입자와 역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구름 접촉 위치 통과시, 감광체 드럼(11) 상의 토너 입자는 감광체 드럼(11) 표면측에 강하게 압박되고, 다공질 탄성 롤러(100)에 의한 잉여 캐리어액의 흡수 제거시에 감광체 드럼(11) 표면으로부터 토너 입자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의 열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토너 입자 흡인에 의해 다공질 탄성 롤러(100) 표면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공질 탄성 롤러(100)에 의한 캐리어액 흡수 제거후, 감광체 드럼(11) 상의 현상제 상은 노즐 블럭(200)의 피복벽(202)에 의해 형성되는 갭(G)을 통과한다. 노즐 블럭(200)에 있어서는 블로워(204)에 의해 발생된 기류가 2단의 슬릿형 개구(202a, 202b)를 취출구로 하는 2단 노즐(203a, 203b)로부터 감광체 드럼(11) 표면에 불어대고, 갭(G) 내에는 화살표 q 방향으로서 풍속 약 40 내지 50 m/s 속도의 기류가 발생되고 있다.
이 때 피복벽(202) 표면은 갭(G) 내에서 난기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요철이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류는 갭(G) 내에서 풍속을 줄이는 일 없이 고속으로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감광체 드럼(11) 상의 현상제 상은 갭(G) 내를 반송하게 되는 동안, 풍속 약 40 내지 50 m/s 기류의 송풍이 지속되므로, 잔류되어 있던 잉여 캐리어액이 충분히 건조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잉여 캐리어액이 제거된 현상제 상이 전사 장치(29)에 도달하면, 현상제 상은 토너 입자의 점착력에 의해 가압 롤러(27)의 하중으로 감광체 드럼(11)에 압박 접촉되는 중간 전사 롤러(28)에 압력 전사되고, 또한 중간 전사 롤러(28)로부터 화살표 w 방향으로 반송되는 용지(30)에 압력 전사되어 용지(30) 상에 풀칼라 화상을 형성한다. 이 압력 전사시, 감광체 드럼(11) 상에 있어서는 잉여 캐리어액이 충분히 제거되어 있으므로, 토너 입자의 점착력이 손상되는 일 없이 현상제 상은 높은 전사 효율로 중간 전사 롤러(28) 또는 용지(30)에 전사된다. 그리고 전사 종료후, 감광체 드럼(11)은 클리너(31)에 의해 잔류 토너 입자를 제거시켜 일련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다음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노즐 블럭(200)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사진 장치(10)에서 프로세스 속도가 220 ㎜/s로 현상 화상을 형성하고, 그 전사 시험을 행한 바, 감광체 드럼(11)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은 중간 전사 롤러(28) 도달 전에 확실하게 제거되고, 높은 전사 효율을 얻을 수 있어 표시 품위가 높은 양호한 전사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제1 비교예)로서, 상기 전자 사진 장치(10)에서 노즐 블럭(200)으로 바꾸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750 W의 블로워를 이용하여 종래형의 건조 노즐(301)로부터 기류를 불어대는 건조 장치(302)를 탑재하여 전사 시험을 행한 바, 1회의 송풍에서는 캐리어액을 제거할 수 없으며, 충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6회의 송풍 조작(감광체 드럼을 6 회전)이 필요했다.
마찬가지로 (제2 비교예)로서, 상기 전자 사진 장치(10)에서 노즐 블럭(200)으로 바꾸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750 W의 블로워(300)를 이용하여 종래형의 건조 노즐(301)을 2개 설치하여 기류를 불어대는 건조 장치(303)를 탑재하여 전사 시험을 행한 바, 1회의 송풍에서는 캐리어액을 제거할 수 없으며, 충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회의 송풍 조작(감광체 드럼을 4 회전)이 필요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노즐 블럭(200)에 있어서는 도2에 점선 m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화상(L)은 피복벽(202)에 의해 형성되는 갭(G)을 반송하는 동안의 긴 시간에 걸쳐 화살표 q 방향의 고속 기류에 노출되어 건조 영역이 광범위하므로, 캐리어액이 효율적으로 건조 제거되는 것에 비하여, 비교예에 나타난 종래의 건조 노즐(301)은 도5에 점선 n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노즐(301)로부터 불어대는 화살표 f 방향의 기류가 감광체 드럼(11)에 스폿형 혹은 슬릿형으로 닿은 후에는 화살표 g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빠르게 주변으로 확산되어 감쇠해 버리므로, 실제로 캐리어액의 건조 제거에 관여하는 건조 영역이 매우 좁고, 건조 효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프로세스 속도가 빠른 경우일지라도, 감광체 드럼(11)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은 다공질 탄성 롤러(100)에 의한 흡수 제거후, 노즐 블럭(200)과의 사이의 갭(G)을 통과하는 동안의 광범위한 건조 영역에 긴 시간에 걸쳐서 노출되고, 갭(G) 사이를 고속으로 흐르는 기류에 의해 충분히 건조 제거된다. 따라서 압력 전사를 행할 때에, 잉여 캐리어액의 제거 불량을 원인으로 하는 전사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전사 효율에 따른 고품위의 전사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는 고속의 습식 화상 형성 장치의 실현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노즐 블럭(200)은 그 피복벽(202)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갭(G) 내에서 난기류에 의해 기류가 감속될 우려가 없고, 또한 노즐(203a, 203b)로부터의 공기의 송풍 방향이 감광체 드럼(11)의 회전 방향과 순방향이므로 감광체 드럼(11)에 의한 저항이 적고, 기류의 고속성을 양호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캐리어액을 보다 양호하게 제거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캐리어액을 건조 제거하는 송풍 장치를 가이드판과 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노즐로 형성하는 것이며, 그 밖에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장치인 건조 장치(210)는 다공질 탄성 롤러(100)의 통과후부터 중간 전사 롤러(28)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감광체 드럼(11) 표면과 약 2 ㎜의 갭(G)을 거쳐서 감광체 드럼(11) 표면을 피복하는 알루미늄(Al)이나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211)을 갖고 있다. 이 가이드판(211) 표면은 갭(G) 내에서의 난기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이 없는 매끈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감광체 드럼(11) 표면과 대략 동축형의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211)의 감광체 드럼(1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는 750 W의 블로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발생되는 기류를 갭(G) 내에 불어대는 노즐(212)이 인접하여 설치되고, 노즐(212)로부터의 화살표 t 방향의 기류는 감광체 드럼(11) 표면의 기류가 닿는 위치(D)에 있어서의 법선(E)보다 상류측으로부터 불어대게 된다. 이에 의해 전자 사진 장치(10)의 프로세스 속도가 220 ㎜/s인 경우, 노즐(212)로부터의 기류의 송풍에 의해, 갭(G) 내에는 감광체 드럼(11) 표면을 따라서 풍속 약 40 내지 50 m/s의 고속 기류가 감광체 드럼(1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화살표 q 방향으로 흐른다.
그리고 화상 형성 프로세스시, 감광체 드럼(11) 상의 잉여 캐리어액은 다공질 탄성 롤러(100)에 의해 흡인 제거된 후, 건조 장치(210)의 가이드판(211)에 형성되는 갭(G)을 통과하는 동안에 갭(G) 내에 발생하는 화살표 q 방향의 고속의 기류에 장시간 노출되어 더욱 충분하게 건조 제거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프로세스 속도가 빠른 경우일지라도, 잉여 캐리어액은 갭(G) 내를 고속으로 흐르는 기류에 의해 충분히 건조 제거된다. 따라서 압력 전사를 행할 때에, 잉여 캐리어액의 제거 불량에 의한 전사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전사 효율에 의한 고품위의 전사 화상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고속의 습식 화상 형성 장치의 실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211)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류는 갭(G) 내에서 난기류에 의해 감속될 우려가 없고, 또한 노즐(212)에 의한 공기의 송풍 방향이 감광체 드럼(11)의 회전 방향과 순방향이므로 감광체 드럼(11)에 의한 기류에 대한 저항이 적어 기류의 고속성을 양호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3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간 전사 롤러 상에 전사된 현상 화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또한 노즐 블럭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며, 그 밖에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광체 드럼(11) 상의 잉여 캐리어액을 건조 제거하기 위한 노즐 블럭(200) 외에, 중간 전사 롤러(28) 상의 잉여 캐리어액을 건조 제거하기 위한 송풍 장치인 제2 노즐 블럭(220)을 중간 전사 롤러(28)에 대향하여 설치한다. 제2 노즐 블럭(220)의 하우징(221)의 중간 전사 롤러(28)와 대향하는 면에는 중간 전사 롤러(28)가 감광체 드럼(11)과 접촉하는 중간 전사 위치로부터 중간 전사 롤러(28)가 용지(30)와 접촉하는 전사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약 2 ㎜의 갭(H)을 거쳐서 중간 전사 롤러(28) 표면을 피복하는 알루미늄(Al)이나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요철이 없는 매끈하고, 또한 중간 전사 롤러(28) 표면과 대략 동축형의 피복벽(2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벽(222)에 형성되는 2단 슬릿형의 개구(222a, 222b)로부터는 블로워(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노즐(223a, 223b) 선단부로부터의 기류가 중간 전사 롤러(28)에 불어대어지고, 갭(H) 내에는 중간 전사 롤러(28) 표면에 따라 고속의 기류가 중간 전사 롤러(28)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화살표 u 방향으로 흐른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프로세스시, 감광체 드럼(11)으로부터 전사된 중간 전사 롤러(28) 상의 현상 화상은 중간 전사 롤러(28)의 회전에 따라 갭(H)을 반송하는 동안에 갭(H) 내에 발생하는 고속의 기류에 노출되고, 부착되어 있는 캐리어액이 건조 제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에다가, 제2 노즐 블럭(220)에 의해 중간 전사 롤러(28)에 부착된 캐리어액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므로, 중간 전사 롤러(28)로부터 용지(30)에 압력 전사를 행할 때의 전사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용지(30)에 캐리어액이 부착되어 화상을 오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품위의 전사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바꾸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잠상 보유 지지 부재는 회전 가능한 환형의 탄성체 벨트 표면에 감광체층을 형성한 감광체 벨트라도 좋고, 전사체는 중간 전사 롤러를 거치는 일 없이 직접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용지에 전사하는 등 임의이며, 가압력도 한정되지 않고, 또한 필요에 따라 압력 전사시에 열을 가하는 것 등도 좋다. 또한 현상기의 수나 이용하는 액체 현상제의 색 등도 임의이고, 또한 화상 형상 장치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도 각 화상제마다의 현상 공정 종료마다 송풍 장치를 이용하여 잉여 캐리어액을 건조 제거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송풍 장치에 의해 현상제 상의 반송 경로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의 간격은 갭 내의 기류를 고속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지만, 기류의 고속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갭의 간격은 0.5 내지 5 ㎜ 정도로 좁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갭의 형상은 전체 길이에 걸쳐 균등하지 않아도 좋으며,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한 제1 변형예와 같이 감광체 드럼(11)에 대향하는 노즐 블럭(230)의 피복벽(231)과 감광체 드럼(11) 사이의 갭폭을 감광체 드럼(11)의 화살표 q 방향의 회전 방향 상류의 갭폭(J1)에 비하여, 하류의 갭폭(J2)이 넓어지도록 완만하게 경사지게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갭(J)의 출구에서 발생되는 난기류를 저감할 수 있어, 갭(J) 내의 기류의 속도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갭출구에서 발생되는 난기류를 저감하고, 갭 내의 기류의 속도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9에 도시한 제2 변형예와 같이 감광체 드럼(11)에 대향하는 노즐 블럭(240)의 피복벽(241)의 갭의 출구측에 선단부가 완만하게 넓어지도록 형성된 블레이드(242)를 설치하는 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송풍 장치에 의한 갭 내의 기류의 고속성을 보유 지지하기 위해, 감광체 드럼의 길이 방향의 양 사이드로부터 기류가 새지 않도록 감광체 드럼의 양측에 플랜지를 설치해도 좋으며, 송풍 장치에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블로워의 구동 전력의 크기도 임의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즐 블럭에 설치하는 노즐의 단수도 2단으로 한정되지 않고, 또한 단수를 많게 해도 좋으며, 한편 갭 내에 고속의 기류가 발생 가능하면 1단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고속화에도 불구하고, 현상 화상 상에 잔류하는 잉여 캐리어액을 현상제 상을 흐트러지게 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충분히 건조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압력 전사에 의한 현상제 상의 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품위의 양호한 전사 화상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고속의 습식 화상 형성 장치의 실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진 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노즐 블럭에 의한 캐리어액의 건조 상태를 도시한 개략 설명도.
도3은 제1 비교예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4는 제2 비교예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5는 비교예의 건조 노즐에 의한 캐리어액의 건조 상태를 도시한 개략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사진 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전자 사진 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의 노즐 블럭을 도시한 개략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의 노즐 블럭을 도시한 개략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자 사진 장치
11 : 감광체 드럼
12Y 내지 12K : 화상 형성 유닛
14Y 내지 14K : 대전기
17Y 내지 17K : 노광부
18Y 내지 18K : 액체 현상제
20Y 내지 20K : 현상 전극
22Y 내지 22K : 현상 장치
26Y 내지 26K : 레이저 빔
27 : 가압 롤러
28 : 중간 전사 롤러
29 : 전사 장치
30 : 용지
100 : 캐리어액 회수 장치
200 : 노즐 블럭
201 : 하우징
202 : 피복벽
202a, 202b : 슬릿형 개구
203a, 203b : 노즐
204 : 블로워
Claims (21)
- 정전 잠상과 잠상 보유 지지 부재 상에 형성되는 현상제 상을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잠상 보유 지지 부재와,상기 정전 잠상에 토너 입자 및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 상에 현상제 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 상의 상기 현상제 상을 전사재로 전사하며, 상기 현상제 상의 반송 경로가 상기 현상기로부터 상기 전사재까지 형성되는 전사체와,0.5 mm 이상 5 mm 이하의 갭이 구비되고 현상제 상의 반송 방향과 직각인 슬릿을 가지며 상기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기 위한 가이드 벽과, 상기 갭에 기류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릿에 연결되는 기류 발생원을 구비하는 송풍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복수개의 슬릿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체에는 잠상 보유 지지 부재에 인접하는 중간 전사 롤러가 구비되고, 가이드 벽은 상기 중간 전사 롤러의 표면 상에서 반송 경로를 피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의 방향은 현상제 상의 반송 방향과 동일한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현상제 상의 반송 방향의 하류로 연장하는 일단부를 갖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의 표면 상에서 반송 경로를 피복하며, 상기 가이드 벽은 잠상 보유 지지 부재의 표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 벽과 상기 잠상 보유 지지 부재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중간 전사 롤러의 표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 벽과 상기 중간 전사 롤러 사이에 상기 갭이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감광체 드럼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감광체 드럼과,상기 정전 잠상에 토너 입자 및 캐리어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체 드럼 상에 현상제 상을 형성하는 현상기와,상기 감광체 드럼 상의 상기 현상제 상을 전사재로 전사하며, 상기 현상제 상의 반송 경로가 상기 현상기로부터 상기 전사재까지 형성되는 전사체와,0.5 mm 이상 5 mm 이하의 갭이 구비되고 현상제 상의 반송 방향과 직각인 슬릿을 가지며 상기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기 위한 가이드 벽과, 상기 갭에 기류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릿에 연결되는 기류 발생원이 구비된 노즐 블럭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발생원은, 슬릿에 구비되며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공기를 불어대는 노즐과, 공기를 노즐에 공급하는 팬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복수개의 슬릿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발생원은 감광체 드럼에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복수개의 슬릿 각각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노즐과, 복수개의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발생원에 의한 기류 발생 방향은 감광체 드럼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현상제 상의 반송 방향의 하류로 연장하는 일단부를 가지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현상제 상의 반송 경로 사이에 상기 갭이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감광체 드럼의 표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며, 상기 가이드 벽과 감광체 드럼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감광체 드럼을 피복하고, 상기 가이드 벽과 감광체 드럼 사이에 갭이 제공되며, 상기 갭은 감광체 드럼의 회전 방향의 하류를 향하여 확대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감광체 드럼의 회전 방향의 하류 단부에서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블레이드는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완만하게 분리되는 형상인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상과 접촉하는 다공질 탄성 롤러가 현상 장치로부터 가이드 벽까지 반송 경로 상에 추가로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에는 현상제 상의 반송 방향의 하류로 연장하는 일단부를 갖춘 가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일단부와 감광체 드럼 사이에 상기 갭이 제공되며, 상기 기류 발생원은 현상제 상의 반송 방향의 상류에서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갭에 대해 기류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074539 | 2001-03-15 | ||
JP2001074539A JP3647762B2 (ja) | 2001-03-15 | 2001-03-15 | 湿式画像形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3398A KR20020073398A (ko) | 2002-09-26 |
KR100471338B1 true KR100471338B1 (ko) | 2005-03-09 |
Family
ID=1893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3688A KR100471338B1 (ko) | 2001-03-15 | 2002-03-14 | 습식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6650857B2 (ko) |
JP (1) | JP3647762B2 (ko) |
KR (1) | KR10047133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2262B1 (ko) | 2008-06-27 | 2010-04-09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도전 패턴 형성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02141A (ja) | 2003-03-31 | 2004-10-28 | Toshiba Corp | 液体現像剤の乾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5292252A (ja) * | 2004-03-31 | 2005-10-20 | Toshiba Corp | 電子写真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
JP2005292251A (ja) * | 2004-03-31 | 2005-10-20 | Toshiba Corp | 電子写真装置 |
JP2006145592A (ja) * | 2004-11-16 | 2006-06-08 | Toshib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4735462B2 (ja) * | 2006-07-27 | 2011-07-2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導電パターン形成装置と導電パターン形成方法 |
US7907873B2 (en) * | 2008-04-18 | 2011-03-1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ink drying level during a printing process |
JP6906931B2 (ja) * | 2016-11-28 | 2021-07-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66953A (ja) * | 1981-10-16 | 1983-04-21 | Ricoh Co Ltd | カラ−画像記録方法 |
JPS6265054A (ja) * | 1985-09-18 | 1987-03-24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08190276A (ja) * | 1995-01-12 | 1996-07-23 | Fuji Xerox Co Ltd | 湿式電子写真装置 |
JPH0915981A (ja) * | 1995-04-28 | 1997-01-17 | Fuji Xerox Co Ltd | 余剰現像液除去装置 |
JPH11249524A (ja) * | 1998-01-08 | 1999-09-17 | Xerox Corp | 余剰液除去システム |
JPH11249445A (ja) * | 1998-01-08 | 1999-09-17 | Xerox Corp | 余剰液を除去するシステム |
KR19990074127A (ko) * | 1998-03-06 | 1999-10-05 | 윤종용 | 습식인쇄기용 캐리어 건조장치 |
KR19990074126A (ko) * | 1998-03-06 | 1999-10-05 | 윤종용 | 습식인쇄기용 캐리어 건조장치 |
KR20000040189A (ko) * | 1998-12-17 | 2000-07-05 | 윤종용 | 습식 인쇄기용 캐리어 건조장치 |
KR20000040179A (ko) * | 1998-12-17 | 2000-07-05 | 윤종용 | 습식 인쇄기용 기체분사장치 |
JP2001083806A (ja) * | 1999-09-13 | 2001-03-30 | Toshiba Corp | 湿式電子写真装置 |
KR20020018905A (ko) * | 2000-09-04 | 2002-03-09 | 윤종용 | 습식인쇄기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체 캐리어건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1944A (en) * | 1990-04-16 | 1993-06-22 | Fuji Photo Film Co., Ltd. | Liquid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
JPH1010874A (ja) | 1996-06-21 | 1998-01-16 | Ricoh Co Ltd | 湿式画像形成装置 |
US6608982B2 (en) * | 2000-09-04 | 2003-08-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rying unit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and liquid carrier drying method using the same |
-
2001
- 2001-03-15 JP JP2001074539A patent/JP364776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3-11 US US10/093,415 patent/US665085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3-14 KR KR10-2002-0013688A patent/KR10047133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66953A (ja) * | 1981-10-16 | 1983-04-21 | Ricoh Co Ltd | カラ−画像記録方法 |
JPS6265054A (ja) * | 1985-09-18 | 1987-03-24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08190276A (ja) * | 1995-01-12 | 1996-07-23 | Fuji Xerox Co Ltd | 湿式電子写真装置 |
JPH0915981A (ja) * | 1995-04-28 | 1997-01-17 | Fuji Xerox Co Ltd | 余剰現像液除去装置 |
JPH11249524A (ja) * | 1998-01-08 | 1999-09-17 | Xerox Corp | 余剰液除去システム |
JPH11249445A (ja) * | 1998-01-08 | 1999-09-17 | Xerox Corp | 余剰液を除去するシステム |
KR19990074127A (ko) * | 1998-03-06 | 1999-10-05 | 윤종용 | 습식인쇄기용 캐리어 건조장치 |
KR19990074126A (ko) * | 1998-03-06 | 1999-10-05 | 윤종용 | 습식인쇄기용 캐리어 건조장치 |
KR20000040189A (ko) * | 1998-12-17 | 2000-07-05 | 윤종용 | 습식 인쇄기용 캐리어 건조장치 |
KR20000040179A (ko) * | 1998-12-17 | 2000-07-05 | 윤종용 | 습식 인쇄기용 기체분사장치 |
JP2001083806A (ja) * | 1999-09-13 | 2001-03-30 | Toshiba Corp | 湿式電子写真装置 |
KR20020018905A (ko) * | 2000-09-04 | 2002-03-09 | 윤종용 | 습식인쇄기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체 캐리어건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2262B1 (ko) | 2008-06-27 | 2010-04-09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도전 패턴 형성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20131794A1 (en) | 2002-09-19 |
JP2002278302A (ja) | 2002-09-27 |
JP3647762B2 (ja) | 2005-05-18 |
US6650857B2 (en) | 2003-11-18 |
KR20020073398A (ko) | 200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206553A1 (en) | Object detection apparatus, object detection method, object detection program, and distance sensor | |
KR100471338B1 (ko) | 습식 화상 형성 장치 | |
JP2004294847A (ja) | 定着方法、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060029430A1 (en) | Wet type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liquid developing agent cleaner therefor | |
US697328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liquid developer drying device | |
JP2002278307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除電手段のバイアス制御方法 | |
KR100445774B1 (ko) |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 형성 방법 | |
US719422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uperimposed toner images of a plurality of colors | |
JP3774452B2 (ja) | 電子写真装置および潜像保持体上のトナーを除去する方法 | |
JP200301543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3091162A (ja) | 湿式画像形成装置 | |
US712037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liquid developer in which carrier liquid backflow is inhibited | |
JP2001083806A (ja) | 湿式電子写真装置 | |
JP3984235B2 (ja) | 現像画像の乾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019419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5292251A (ja) | 電子写真装置 | |
JP2002287515A (ja) | 湿式画像形成装置 | |
KR200218914Y1 (ko) |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 |
JP3760107B2 (ja) | 湿式電子写真装置および現像装置 | |
JP3850745B2 (ja) | 湿式電子写真装置及び乾燥装置 | |
KR100297757B1 (ko) |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의 현상장치 | |
JP2001228766A (ja) |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 |
JP2003208071A (ja) |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1326056A (ja) |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4361956A (ja) | 湿式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