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064B1 -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064B1
KR100469064B1 KR10-2002-0054195A KR20020054195A KR100469064B1 KR 100469064 B1 KR100469064 B1 KR 100469064B1 KR 20020054195 A KR20020054195 A KR 20020054195A KR 100469064 B1 KR100469064 B1 KR 100469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isothiazolin
salt
water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589A (ko
Inventor
오민근
김기남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서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서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서켐
Priority to KR10-2002-005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0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 C07D27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5/0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종래 기술에 의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제조할 경우, 그 생성물에 필연적으로 포함되는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 -3-온 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THE PURIFICATION METHOD FOR THE SALT OF METHYL-4-ISOTHIAZOLINE-3-ONE}
본 발명은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종래 기술에 의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제조할 경우, 그 생성물에 필연적으로 포함되는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 -3-온 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은 공업용 냉각수계, 공업용 금속 가공유, 페인트, 화장품, 계면 활성제, 감광제 및 제지 공업 분야 등에 방부제나 살균제 등으로 유용한 물질로써, 그 제조 방법은 유럽 특허 공고 제 0095907 호에 공지되어 있는 바, 그 제조 방법을 요약하면, 하기의 반응식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최초 반응물을 아미드화시킴으로써 N, N'-디메틸-3, 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를 제조하고 나서, 상기 아미드화의 결과물을 염소 기체와 반응시켜, 클로로화 및 고리화 반응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있다.
[반응식 1]
그러나, 상기 유럽 특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필연적으로 2종의 혼합물 즉,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하기 화학식 2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혼합물이 생성되는 바, 이 중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경우에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에 비하여 독성이 높아서 인체에의 적용이 곤란하고, 상온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장기간, 즉, 수주일 이상 사용될 경우, 유효성이 없게 되어, 결국, 이러한 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경우에는 그 응용 범위가 상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상기 제조 방법은 그 수율이 15-22.6%로써 매우 낮은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는 바, 이 때문에 상기 인체에 유해한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화학식 2]
이에 따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고순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다른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왔는 바, 이러한 제법의 하나로써, 특허 등록 제 73596 호(1994. 5. 13. 등록)에는 -20-10℃의 온도에서 N, N'-디메틸-3, 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와 설프릴할라이드를 1:2 내지 1:3.7의 몰비로 반응시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80% 이상의 고수율로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제조에 있어서,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기는 하나, 여전히 미량의 불순물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한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62688 호에도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염화수소가 불용성 또는 난용성인 용매 중에서 하기 화학식 3 또는 4의 화합물을 염화설프릴 또는 염소 기체 등의 염소화제와 반응시킴으로써,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제조하게 된다.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 식에서 R은 알킬기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 공보의 실시예 등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더라도, 0.1-1.0%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여전히 발생하게 되는 바(공개 공보 제 9 페이지 표 2 참조), 이러한 미량의 불순물로 인하여, 최종 생성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여전히 인체에 독성을 가지게 되고, 그 안정성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제조 방법 또는 정제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으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분리 과정에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결국, 순수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불순물로써 함유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유기 용매층으로부터 물층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물층을 유기 용매층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물층을 1/5부피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물에 수용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전체 용액 중에 포함된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부피비가 2:8 내지 1:9가 되도록 하고, 상기 용액을 결정화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결정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의한 정제 방법에 따르면, 불순물이 함유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수용성 유기 용매와 물이 8:2-9:1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후, 이를 결정화시킴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결정화 과정에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순수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상술하면,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하기의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불순물이 포함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수용성 유기 용제만을 사용하여 결정화할 경우, 미량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생성되는데 비하여, 부피비로 10%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불순물을 포함하는 반응 결과물을 결정화할 경우,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얻어질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다만, 물의 부피비가 20% 이상으로 되는 경우,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수득률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바, 결국, 수용성 유기 용매와 물이 8:2-9:1의 부피비로 포함된 혼합 용매에 상기 반응 결과물을 용해시키고 나서, 이를 결정화시킴으로써, 순수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게 된다.
혼합용제 비율(v/v)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수율(%)
아세토니트릴 : 물 70:30 99.8 0 24.5
80:20 99.5 0 63.0
90:10 99.4 0 91.4
100:0 99.2 0.05-.02 99.2
이소프로필 : 물 70:30 99.7 0 14.5
80:20 99.3 0 46.3
90:10 99.2 0 75.7
100:0 98.7 0.1-0.3 90.3
아세톤 : 물 70:30 99.8 0 7.4
80:20 99.4 0 24.3
90:10 99.2 0 58.3
100:0 99.0 0.1-0.2 84.3
메탄올 : 물 70:30 99.6 0 5.2
80:20 99.3 0 22.4
90:10 99.1 0 51.5
100:0 98.8 0.15-0.3 72.4
에탄올 : 물 70:30 99.6 0 5.0
80:20 99.3 0 20.5
90:10 99.2 0 50.2
100:0 98.9 0.2-0.4 68.4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정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 일반적인 수용성 유기 용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아세토 니트릴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세토 니트릴을 사용함으로써,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가장 높은 수율로 정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에 있어서는 처음 가한 물 부피의 1/5가 되도록 감압 농축하게 되는데, 이보다 많은 양을 농축할 경우, 최종 생산물에 착색이 생길 수 있으며, 이보다 적은 양의 물을 농축할 경우, 최종 정제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정제 방법은 상기 결정화에 의하여,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결정을 얻은 후에, 이러한 결정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에 넣고 소량의 물을 가한 후 알칼리 염을 첨가하여 중화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염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만을 고순도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중화 반응은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진행할 경우, 중화 반응이 격렬히 일어나 끓어 넘칠 수 있으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중화 반응이 더디게 일어난다.
또한, 상기 중화 반응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염이 칼륨염인 경우에는 결정화된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 칼륨염의 몰비가 1 : 1.5 내지 1 : 2로 되도록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그네슘염인 경우에는 1 : 0.75 내지 1 : 1의 몰비가 바람직하다. 상기 양보다 적은 양의 알칼리 염을 사용하면, 염화 수소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보다 많은 양의 알칼리염을 사용하는 경우, 반응의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마그네슘 염의 경우, 칼륨염에 비해 1/2만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각 원자의 원자가에 따른 것으로, 마그네슘은 +2가의 알칼리 금속으로 1몰의 마그네슘이 2몰의 염화수소와 반응할 수 있으므로, 칼륨염에 비해 절반의 사용량이면 충분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참고로 본원 발명에 의한 정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유기 용매 중에서 N, N'-디메틸-3, 3'-디티오프로피온아미드와 설프릴할라이드를 반응시키면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염과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98 : 2의 혼합물로 얻어진다. 상기 반응액에 물을 투입하여 물층으로 화합물을 이동시킨 다음 물층을 분리해 내고, 분리해 낸 물층을 처음 물량의 1/5의 양만을 남기고 감압 농축한다. 이후,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부피비가 10:90이 되도록 상기 농축액에 수용성 유기 용매(아세토니트릴,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등)을 투입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결정으로 얻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결정은 순수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만을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순수한 물을 감압 농축하는 공정에 있어서, 너무 많은 양을 농축해 내면 생산품의 착색이 생길 수 있으며, 너무 적은 양을 농축해 내면 생산품의 회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처음 투입한 물양의 15∼20%를 남기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유기용제(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등)에 넣고 소량의 물을 가한 후 알칼리 염(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등)을 첨가하여 중화반응을 1시간 내지 2시간동안 진행한다. 이때의 반응온도는 15에서 25℃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중화반응이 격렬히 일어나 끓어 넘칠 수 있다. 이 때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염(1)과 알칼리 염은 칼륨의 알칼리염일 경우는 1 : 1.5 내지 1 : 2의 몰비로 반응시키는 것이 좋으며 마그네슘의 알칼리 염일 경우는 1 : 0.75 내지 1 : 1의 몰비가 좋다. 마그네슘의 염의 사용량이 반이면 족하는 것은 마그네슘은 +2가의 알칼리금속으로 1몰의 마그네슘이 2몰의 염화수소와 반응하기 때문이다.이 양보다 적은양을 사용하면 염화수소가 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반응액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유기 용제를 제거하면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3)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이 떨어지고 인체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5-클로로-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을 간단한 정제과정을 거친 후 얻을 수 있으며 이 제조방법이 종래의 방법에 비해 경제적으로도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어 정해 지는 것은 아니며, 다만, 하나의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실시예 1
1ℓ 3구 플라스크에 N, N'-디메틸-3, 3'-디티오프로피온아미드102.0g(0.43 몰)를 메틸렌클로라이드 300㎖에 녹인 후 20∼30℃를 유지하면서 교반 한다. 반응액에 설프릴클로라이드 168.0g(1.24 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00㎖에 희석한 액을 적가한다. 동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한 후 물 300ml를 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정체시킨 후 물층을 분리하여 50∼60℃에서 감압 농축하여 250㎖의 물을 농축해 낸다. 농축액에 아세토니트릴 300㎖를 가한 후 5℃로 냉각하여 여과한다. 오븐에서 건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112g(85.6 몰%)을 얻는다.
실시예 2
1ℓ 3구 플라스크에 N, N'-디메틸-3, 3'-디티오프로피온아미드102.0g(0.43 몰)를 메틸렌클로라이드 300㎖에 녹인 후 20∼30℃를 유지하면서 교반 한다. 반응액에 설프릴클로라이드 168.0g(1.24 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00㎖에 희석한 액을 적가한다. 동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한 후 물 300ml를 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정체시킨 후 물층을 분리하여 50∼60℃에서 감압 농축하여 250㎖의 물을 농축해 낸다. 농축액에 이소프로필알코올 300㎖를 가한 후 5℃로 냉각하여 여과한다. 오븐에서 건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111.8g(85.5 몰%)을 얻는다.
실시예 3
1ℓ 3구 플라스크에 N, N'-디메틸-3, 3'-디티오프로피온아미드102.0g(0.43 몰)를 메틸렌클로라이드 300㎖에 녹인 후 20∼30℃를 유지하면서 교반 한다. 반응액에 설프릴클로라이드 168.0g(1.24 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00㎖에 희석한 액을적가한다. 동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한 후 물 300ml를 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정체시킨 후 물층을 분리하여 50∼60℃에서 감압 농축하여 250㎖의 물을 농축해 낸다. 농축액에 에탄올 200㎖를 가한 후 5℃로 냉각하여 여과한다. 오븐에서 건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110g(84.1 몰%)을 얻는다.
실시예 4
1ℓ 3구 플라스크에 N, N'-디메틸-3, 3'-디티오프로피온아미드102.0g(0.43 몰)를 메틸렌클로라이드 300㎖에 녹인 후 20∼30℃를 유지하면서 교반 한다. 반응액에 설프릴클로라이드 168.0g(1.24 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00㎖에 희석한 액을 적가한다. 동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한 후 물 300ml를 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정체시킨 후 물층을 분리하여 50∼60℃에서 감압 농축하여 250㎖의 물을 농축해 낸다. 농축액에 메탄올 200㎖를 가한 후 5℃로 냉각하여 여과한다. 오븐에서 건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107g(81.8 몰%)을 얻는다.
실시예 5
1ℓ 3구 플라스크에 N, N'-디메틸-3, 3'-디티오프로피온아미드102.0g(0.43 몰)를 메틸렌클로라이드 300㎖에 녹인 후 20∼30℃를 유지하면서 교반 한다. 반응액에 설프릴클로라이드 168.0g(1.24 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00㎖에 희석한 액을적가한다. 동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반응한 후 물 300ml를 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액을 정체시킨 후 물층을 분리하여 50∼60℃에서 감압 농축하여 250㎖의 물을 농축해 낸다. 농축액에 아세톤 200㎖를 가한 후 5℃로 냉각하여 여과한다. 오븐에서 건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108g(82.5 몰%)을 얻는다.
실시예 6
1ℓ 3구 플라스크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1) 110g(0.73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400㎖에 담근 후 물 15㎖를 가한다. 반응액에 산화마그네슘 25.6g (0.63몰)을 15∼25℃에서 30분간 조금씩 가한 후 1시간 동안 동 온도에서 교반한다. 반응액에 황산나트륨 100g을 가하여 물을 제거하고 석션으로 여과한다. 여과액을 감압농축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76.8g(92.0 몰%)을 얻는다.
실시예 7
1ℓ 3구 플라스크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1) 110g(0.73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400㎖에 담근 후 물 15㎖를 가한다. 반응액에 탄산마그네슘 25.6g (0.63몰)을 15∼25℃에서 30분간 조금씩 가한 후 1시간 동안 동 온도에서 교반한다. 반응액에 황산나트륨 100g을 가하여 물을 제거하고 석션으로 여과한다. 여과액을 감압농축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76.4g(91.5 몰%)을 얻는다.
실시예 8
1ℓ 3구 플라스크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1) 110g(0.73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400㎖에 담근 후 물 15㎖를 가한다. 반응액에 탄산칼륨 175.5g(1.27몰)을 15∼25℃에서 30분간 조금씩 가한 후 1시간 동안 동 온도에서 교반한다. 반응액에 황산나트륨 100g을 가하여 물을 제거하고 석션으로 여과한다. 여과액을 감압농축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75.5g(90.4 몰%)을 얻는다.
실시예 9
1ℓ 3구 플라스크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1) 110g(0.73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400㎖에 담근 후 물 15㎖를 가한다. 반응액에 탄산수소칼륨 127.1g (1.27몰)을 15∼25℃에서 30분간 조금씩 가한 후 1시간 동안 동 온도에서 교반한다. 반응액에 황산나트륨 100g을 가하여 물을 제거하고 석션으로 여과한다. 여과액을 감압농축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76.2g(91.2 몰%)을 얻는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 의하여, 정제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또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에 포함된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함량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실시예 1 99.6 0
실시예 2 99.4 0
실시예 3 99.8 0
실시예 4 99.4 0
실시예 5 99.6 0
실시예 6 99.8 0
실시예 7 99.6 0
실시예 8 99.8 0
실시예 9 99.7 0
표 2 실시예 1∼5는 염상태이고 6∼9번은 염을 제거한 상태이다.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제 방법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특정 부피비의 수용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결정화시킴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 또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정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제조하는 경우,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하고, 불안정한 불순물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순수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정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제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사용하여, 공업용 방부제 또는 살균제를 제조함으로써, 방부제 등의 안전성 및 유효 기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이 불순물로써 함유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을 유기 용매층으로부터 물층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물층을 유기 용매층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물층을 1/5부피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물에 수용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전체 용액 중에 포함된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부피비가 2:8 내지 1:9가 되도록 하고, 상기 용액을 결정화하여,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결정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에탄올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에 의하여,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결정을 얻은 후에, 이러한 결정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에 넣고 소량의 물을 가한 후 알칼리 염을 첨가하여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중화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KR10-2002-0054195A 2002-09-09 2002-09-09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KR10046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95A KR100469064B1 (ko) 2002-09-09 2002-09-09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95A KR100469064B1 (ko) 2002-09-09 2002-09-09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89A KR20040022589A (ko) 2004-03-16
KR100469064B1 true KR100469064B1 (ko) 2005-02-02

Family

ID=3732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195A KR100469064B1 (ko) 2002-09-09 2002-09-09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26B1 (ko) * 2009-07-22 2010-05-12 디에이치씨 (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정제방법
KR101015466B1 (ko) * 2010-05-27 2011-02-22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8395A (en) * 1988-12-22 1991-04-16 Rohm And Haas Company Purification of isothiazolones
JPH0395103A (ja) * 1989-09-07 1991-04-19 Ichikawa Gosei Kagaku Kk 3―イソチアゾロン組成物の製造法
JPH10195062A (ja) * 1997-01-16 1998-07-28 Nagase Kasei Kogyo Kk 3−イソチアゾロン類の製造方法
KR19990001747A (ko) * 1997-06-17 1999-01-15 조민호 이소티아졸론 무수용액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8395A (en) * 1988-12-22 1991-04-16 Rohm And Haas Company Purification of isothiazolones
JPH0395103A (ja) * 1989-09-07 1991-04-19 Ichikawa Gosei Kagaku Kk 3―イソチアゾロン組成物の製造法
JPH10195062A (ja) * 1997-01-16 1998-07-28 Nagase Kasei Kogyo Kk 3−イソチアゾロン類の製造方法
KR19990001747A (ko) * 1997-06-17 1999-01-15 조민호 이소티아졸론 무수용액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89A (ko)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498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 purity methotrexate and derivatives thereof
RU2345085C2 (ru) Оксалиплатин с низ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сопутствующих примесей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HUT66020A (en) Medhod for the purification of crude clavulanic acid
KR100469064B1 (ko)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EP1679306B1 (en) Process for producing bicalutamide and method of purifying intermediate therefor
KR100493933B1 (ko)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이의 염의 제조 방법
JP6618605B2 (ja) 3−ヒドロキシ−3−メチルブタン酸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組成物
JPH0597782A (ja) 塩酸ベバントロールの製造方法
JP2995576B2 (ja) 4,6―ジメトキシ―2―メタンスルホニルピリミジンの精製方法
JP3859093B2 (ja) 抗腫瘍性白金錯体カルボプラチンの製造方法
JPH111468A (ja) ジヨードメチル−p−トリルスルホンの製造方法
JPH0480918B2 (ko)
KR20000018793A (ko)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제조방법
JPS62288102A (ja) ジシアナミド金属塩の製造方法
JPS5967277A (ja) 立体障害のある2−ベンゾチアゾ−ルスルフエンアミド類の製造方法
RU2186068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цис-дихлороамминизопропиламинплатины (ii)
JPH0525119A (ja) p−トルエンスルホニル酢酸の製造方法
KR820001160B1 (ko) 카보시스테인의 합성법
US4003891A (en) Preparation of metal complexes of 6-methoxy-1-phenazinol 5,10 dioxide
KR100537385B1 (ko) 소듐 티오퓨로에이트의 제조방법
KR820001159B1 (ko) 카보시스테인의 합성법
EP1963309B1 (en) Method for producing metal salts of losartan
CA3104437A1 (en) Method for producing .alpha.-azidoaniline derivative or .alpha., .alpha.'-diazide derivative
JPH10310568A (ja) N−アルコキシカルボニル−l−アスパラギン
JP2003176257A (ja) 高濃度n,n−ジアルキルグリシン水溶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