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466B1 -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466B1
KR101015466B1 KR1020100049643A KR20100049643A KR101015466B1 KR 101015466 B1 KR101015466 B1 KR 101015466B1 KR 1020100049643 A KR1020100049643 A KR 1020100049643A KR 20100049643 A KR20100049643 A KR 20100049643A KR 101015466 B1 KR101015466 B1 KR 101015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unit
unit
vme
test signal
t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창
한국찬
안용진
Original Assignee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하는 원격소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연결된 기능부로 출력하고,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연결된 기능부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간이한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System diagnosing remote terminal unit}
본 발명은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소장치에 연결하여 원격소장치를 진단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소, 및 발전소에서의 전력을 수용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여러 단계에 걸쳐 전압을 승압해주거나 강압시키며, 발전력 및 송전력을 집중하거나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변전소에는 차단기, 단로기, 및 계전기 등의 여러 종류의 전력 설비(현장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전소 및 변전소에 산재해 있는 전력 설비를 감시하며, 상위 급전소 시스템과 연계하여 전력 설비의 운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에 원격소장치, 즉 RTU(Remote Terminal Unit)가 설치된다.
원격소장치는 원격지에 산재해 있는 변전소 또는 발전소 등의 전력 설비로부터 운전정보를 취득, 분석, 처리하며 처리된 정보를 상위 급전(분)소의 호스트(Host)로 전송하거나 상위 급전(분)소의 호스트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전력 설비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치이다.
원격소장치에 단말 장치를 직접 연결하거나 통신 선로를 통해 원격소장치와 단말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전력 설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를 구비한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소장치에 접속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전력 설비에 대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현장 설비에 대한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대해서는 원격소장치의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현장 설비를 진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원격소장치에서 자체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현장 설비를 진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원격소장치에서 발생한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또는 시스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청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원격소장치에 연결하여 원격소장치에서 발생한 문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계통에 이용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하는 원격소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연결된 기능부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후, 상기 연결된 기능부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테스트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연결된 기능부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소장치는, FPD, IAPD, 및 호스트와 통신하기 위한 MPD, 현장 설비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FPD, 및 상기 현장 설비의 계측값을 상기 MPD로 전송하는 IAPD를 포함하며, 상기 MPD, 상기 FPD, 및 상기 IAPD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는, 제1 단일 PCB(Printed Circuit Board)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일 PCB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의 처리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일 PCB의 타 영역에 VME 버스(Versa Module Eurocard Bus)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VME 통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단 장치는, 제2 단일 PCB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일 PCB의 일 영역에 상기 처리 블록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기능부 테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일 PCB의 타 영역에 상기 VME 통신부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VME 테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VME 테스터는, 상기 원격소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VME 통신부를 자동 인식하고, 상기 기능부 테스터는, 상기 원격소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처리 블록을 자동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VME 통신부 및 처리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 장치를 원격소장치의 기능부에 장착하기만 하면, 기능부의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고장 진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원격소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1000)은 기능부(100) 및 진단 장치(200)를 포함한다.
기능부(100)는 처리부(110), VME 통신부(120), 처리 블록(130), 디스플레이부(140), 제1 연결 단자(150), 및 제2 연결 단자(160)를 포함한다.
처리부(110)는 기능부(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VME 통신부(120)는 VME 버스(Versa Module Eurocard Bus)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처리 블록(130)은 AIM(Analog Input Module), AOM(Analog Output Module), DIM(Digital Input Module), DOM(Digital Output Module), PIM(Pulse Input Module), POM(Pulse Output Module), BCD(BCD Input Module), AIU(Analog Input Unit), AIIU(Analog Input Isolation Unit), MMU(Multi Measurement Unit), MPU(Main Processor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SIO(Serial Input Output Communication), CCU(Communication Control Unit), OCU(Optical Communication Unit) 등과 같은 기능부(100)의 각 기능을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기능부(100)의 전원 입력 상태, 정상 동작 여부 등을 LED(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FND(Flexible Numerical Display)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150)는 VME 통신부(120)를 진단 장치(200)의 VME 테스터(200A)와 연결한다.
제2 연결 단자(160)는 처리 블록(130)을 진단 장치(200)의 기능부 테스터(200B)와 연결한다.
제1 연결 단자(150) 및 제2 연결 단자(160)는 커넥터, 인터페이스, 단자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진단 장치(200)가 기능부(100)에 연결되면, 진단 장치(200)는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처리 블록(130)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피드백되면 피드백된 신호를 기초로 처리 블록(130)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한다.
진단 장치(200)는, 제어부(210), 제1 연결부(220), 제1 입출력부(230), 제1 표시부(240), 제2 연결부(250), 제2 입출력부(260), 및 제2 표시부(27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며, 진단 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테스트 신호는, 그 유형에 제한이 없으며, 기설정된 듀티 비(duty ratio)를 갖는 구형파 신호, 인에이블 신호 등 다양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진단 장치(200)가 기능부(100)에 장착(부착)되면,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입출력부(230) 및 제2 입출력부(26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단 장치(220)는 제어부(210)의 구동 신호에 따라 VME 테스터(200A)만 동작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기능부 테스터(200B)만 동작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VME 테스터(200A) 및 기능부 테스터(200B)가 함께 동작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우선, 제1 연결부(220), 제1 입출력부(230), 및 제1 표시부(240)를 포함하는 VME 테스터(200A)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연결부(220)는 기능부(100)의 제1 연결 단자(150)와 연결되며, 커넥터, 인터페이스, 단자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입출력부(230)는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제1 연결부(220)를 통해 VME 통신부(120)로 출력하고,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피드백되면 피드백된 신호를 입력받는다.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입출력부(230)는 입력부(미도시) 및 출력부(미도시)와 같이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표시부(240)는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제1 입출력부(230)에 정상적으로 피드백되면, 일 예로서,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녹색 LED를 ON 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240)는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제1 입출력부(230)에 정상적으로 피드백되지 않는다면, 일 예로서, 고장(즉, 오류, 에러, 문제) 동작을 나타내는 적색 LED를 ON 시킬 수 있다.
VME 테스터(200A)는, 기능부(100)가 진단 장치(200)에 연결되면,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연결된 VME 통신부(120)를 자동 인식한다.
다음으로, 제2 연결부(250), 제2 입출력부(260), 및 제2 표시부(270)를 포함하는 기능부 테스터(200B)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연결부(250)는 기능부(100)의 제2 연결 단자(160)와 연결되며, 커넥터, 인터페이스, 단자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제2 입출력부(260)는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제2 연결부(250)를 통해 처리 블록(130)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피드백되면 피드백된 신호를 입력받는다.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달리, 제2 입출력부(260)는 입력부(미도시) 및 출력부(미도시)와 같이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표시부(270)는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입출력부(230)에 정상적으로 피드백되면, 일 예로서,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녹색 LED를 ON 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270)는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제2 입출력부(260)에 정상적으로 피드백되지 않는다면, 일 예로서, 고장(즉, 오류, 에러, 문제) 동작을 나타내는 적색 LED를 ON 시킬 수 있다.
VME 테스터(200B)는, 기능부(100)가 진단 장치(200)에 연결되면,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처리 블록(130)을 자동 인식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VME 테스터(200A) 및 기능부 테스터(200B)가 제어부(210)를 공유하지만, VME 테스터(200A) 및 기능부 테스터(200B)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1000)은 진단 장치(200)를 기능부(100)에 장착하기만 하면, 기능부(100)의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진단 장치(200)의 제1 표시부(240)를 통해 기능부(100)의 VME 통신부(120)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진단 장치(200)의 제2 표시부(270)를 통해 기능부(100)의 처리 블록(130)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1000)은 제1 오디오 출력부(미도시) 및 제2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1000)은 시각적 진단 이외에, 비프음 또는 음성을 이용한 청각적 진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진단 장치(200)는 기능부(10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1 연결부(220) 및 제2 연결부(25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진단 장치(200)가 기능부(100)에 장착되면, 본 진단 장치(200)에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는 본 진단 장치(200)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자체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진단 장치(200)는 기능부(100)에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능부(100)의 VME 통신부(120) 및 처리 블록(1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진단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원격소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소장치(300)는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330)과 계측 정보를 통신할 수 있고, 현장 설비를 감시, 제어, 및 계측할 수 있다.
원격소장치(300)는 자료를 저장 및 분석하고 상위 급전(분)소 등 외부 장치 및 FPD와 IAPD 등 내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MPD(Main Processing Device), 현장 설비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FPD(Field Processing Device), 및 현장 설비의 값을 계측하여 다중 전력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아날로그 입력 측정값 데이터를 MPD로 전송하는 IAPD(Intelligent Analog Processing Device)를 포함한다.
MPD는 메인 CPU모듈(MPU), 고속통신모듈(CCU), 저속통신모듈(SIO), 및 광전송모듈(OCU) 등을 포함하며, 외부 장치는 현장 설비, RTU 감시반(SMS : System Management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PD는 CPU모듈(CPU), 측정모듈(AIM), SetPoint제어모듈(AOM), 감시모듈(DIM), ON-OFF제어모듈(DOM), 누산모듈(PIM), Pulse제어모듈(POM), BCD입력모듈(BCD), 및 광전송모듈(OCU) 등을 포함하며, IAPD는 통신제어모듈(CPU), 아날로그입력모듈(AIU), 아날로그입력절연모듈(AIIU), 다중계측모듈(MMU), 및 광전송모듈(OC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FPD의 AIM(100-1), AOM(100-2), IAPD의 AIU(100-3), MMU(100-4), MPD의 SIO(100-5), CCU(100-6) 등이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일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는 도 2에서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MPD, FPD, IAPD는 직렬(Serial) 통신,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및 광(Optical) 통신 등을 통해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MPD 내의 MPU, SIO, CCU 등은 VME 버스를 통해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FPD 내의 CPU, AIM, AOM 등은 VME 버스를 통해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IAPD 내의 CPU, AIU, MMU 등은 VME 버스를 통해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원격소장치(300)는 현장 설비(35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330)에 그 데이터 값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330)은 감시 모듈과 제어 모듈로 구성되어 현장 설비(35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현장 설비(350)로 전송하는 모자익 배전반과, 입력모듈 및 출력 모듈로 구성되어 현장 설비를 감시하는 정보처리반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서 도시된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과 달리, VME 테스터(200A)는 입력부 및 출력부(230)와 제1 표시부(240)만을 포함하며, 기능부 테스터(200B)는 입력부 및 출력부(260)와 제2 표시부(270)만을 포함한다. 즉, 연결부(220) 및 연결부(250)는 각각 VME 테스터(200A) 및 기능부 테스터(200B)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진단 장치(200)는 제어부(2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도 3에서 도시된 진단 장치(200)는 제어부(210) 없이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VME 테스터(200A)의 입력부 및 출력부(230)에서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고, 기능부 테스터(200B)의 입력부 및 출력부(260)에서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VME 테스터(200A) 및 기능부 테스터(200B)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VME 테스터(200A)는 테스트 신호를 출력부에서 출력하고, 입력부에서 테스트 신호를 피드백받아 VME 통신부(120)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고, 기능부 테스터(200B)는 테스트 신호를 출력부에서 출력하고, 입력부에서 테스트 신호를 피드백받아 처리 블록(130)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할 수 있다.
도 4는 본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400)는 AIM(400-1), AOM(400-2), DIM(400-N-1), DOM(400-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장치(500)에는 AIM(400-1), AOM(400-2), DIM(400-N-1), DOM(400-N)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AIM(400-1)이 진단 장치(500)에 연결되면, IO 테스터(500B)는 AIM 테스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진단 장치(5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400) 중 장착되는 기능부의 유형을 자동 인식할 수 있다.
AIM(400-1)은 외부(즉, 현장 설비)로부터 신호(데이터)를 입력받기 때문에, 진단 장치(500)로부터의 테스트 신호가 AIM(400-1)로 인가되면, 이를 진단 장치(500)로 다시 전송하게 된다. 그 후, 진단 장치(500)에서 AIM(400-1)으로부터 피드백된 신호를 정상 수신하게 되면, 진단 장치(500)는 AIM(400-1)이 정상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녹색 LED를 점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AOM(400-2)은 외부(즉, 현장 설비)로 신호(데이터)를 출력하기 때문에, 진단 장치(500)가 AOM(400-2)과 연결되면, AOM(400-2)은 AOM 테스터로 동작하는 IO 테스터(500B)로 출력 신호를 전송한다.
진단 장치(5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단 장치(500)가 AOM(400-2)에 장착된 후 AOM(400-2)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면, AOM(400-2)이 정상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녹색 LED를 점등할 수 있다.
한편, DIM(400-N-1)의 동작은 AIM(400-1)의 동작과 동일하며, DOM(400-N)의 동작은 AOM(400-2)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능부(100)의 일 예로서, AIM이 도시되어 있다.
기능부(100)는 단일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기능부(100)의 일 영역(A-1)에는 전원 입력 상태, 정상 동작 여부 등을 처리하는 소자들로 이루어진 블럭(즉, 모듈)이 형성되며, 기능부(100)의 일 측(A-2)에 형성된 LED 등을 통해 전원 입력 상태, 정상 동작 여부 등을 처리하는 소자들로 이루어진 블럭의 정상 동작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능부(100)의 타 영역(B-1)에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값을 처리하는 소자들로 이루어진 블럭(즉, 모듈)이 형성되며, 기능부(100)의 또 다른 일 측(B-2)에 형성된 FND 등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의 값을 처리하는 소자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능부(100)의 또 다른 일 영역(C)에는 VME 버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VME 통신부가 형성된다.
기능부(100)의 또 다른 타 영역(D)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의 처리 블록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기능부(100)의 단일 PCB 상에 기능부(100)의 처리 블록 및 VME 통신부가 공간상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진단 장치(200)의 단일 PCB 상에서도 VME 테스터와 기능부 테스터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부(100)의 처리 블록 및 VME 통신부의 동작 상태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5에서는 단일 PCB에 형성되는 기능부(100)의 각 측면을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도 1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한 것처럼, 진단 장치(200)는 기능부(100)에서 전원을 제공받을 수도 있으나, 도 5에서 도시된 E 영역을 통해 전원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진단 장치(200)는, 단일 PCB에 형성되며, 단일 PCB의 일 영역에 VME 통신부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VME 테스터가 형성되며, 단일 PCB의 타 영역에 처리 블록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기능부 테스터가 형성된다.
기능부(100)의 단일 PCB는 제1 단일 PCB이며, 진단 장치(200)의 단일 PCB는 제2 단일 PCB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기능부 110 : 처리부
120 : VME 통신부 130 : 처리 블록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제1 연결 단자
160 : 제2 연결 단자 200 : 진단 장치
210 : 제어부 220 : 제1 연결부
230 : 제1 입출력부 240 : 제1 표시부
250 : 제2 연결부 260 : 제2 입출력부
270 : 제2 표시부 300 : 원격소장치
330 :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 350 : 현장 설비
400 :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500 : 진단 장치
1000 :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Claims (9)

  1. 전력 계통에 이용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하는 원격소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연결된 기능부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는, 제1 단일 PCB(Printed Circuit Board)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일 PCB의 일 영역에 VME 버스(Versa Module Eurocard Bus)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VME 통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일 PCB의 타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의 처리 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진단 장치는, 제2 단일 PCB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일 PCB의 일 영역에 상기 VME 통신부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VME 테스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일 PCB의 타 영역에 상기 처리 블록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기능부 테스터가 형성되며,
    상기 VME 테스터는,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VME 통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VME 통신부로 출력된 테스트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VME 통신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고,
    상기 기능부 테스터는,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처리 블록으로 출력하고, 상기 처리 블록으로 출력된 테스트 신호를 피드백 받아 상기 처리 블록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후, 상기 연결된 기능부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테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동작 상태를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테스트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연결된 기능부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소장치는, 외부 장치 및 내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MPD, 현장 설비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FPD, 및 상기 현장 설비의 계측값을 상기 MPD로 전송하는 IAPD를 포함하며,
    상기 MPD, 상기 FPD, 및 상기 IAPD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ME 테스터는, 상기 원격소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VME 통신부를 자동 인식하고,
    상기 기능부 테스터는, 상기 원격소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처리 블록을 자동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기능부의 VME 통신부 및 처리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KR1020100049643A 2010-05-27 2010-05-27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KR10101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43A KR101015466B1 (ko) 2010-05-27 2010-05-27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43A KR101015466B1 (ko) 2010-05-27 2010-05-27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5466B1 true KR101015466B1 (ko) 2011-02-22

Family

ID=4377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643A KR101015466B1 (ko) 2010-05-27 2010-05-27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770A (ko) 2020-07-07 2022-01-14 한국전력공사 원격소 장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05646A (ko) * 2021-07-01 2023-01-10 한국전력공사 변전소 진단 시스템의 자동 시험 장치 및 자동 시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943A (ja) * 1995-06-19 1997-01-10 Hitachi Denshi Ltd 画像処理装置の故障診断方法
KR20040022589A (ko) * 2002-09-09 2004-03-16 주식회사 한서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KR200422589Y1 (ko) * 2006-05-12 2006-07-27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전력설비용 다기능제어 터미널 유닛의 원격감시 및분석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943A (ja) * 1995-06-19 1997-01-10 Hitachi Denshi Ltd 画像処理装置の故障診断方法
KR20040022589A (ko) * 2002-09-09 2004-03-16 주식회사 한서켐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정제 방법
KR200422589Y1 (ko) * 2006-05-12 2006-07-27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전력설비용 다기능제어 터미널 유닛의 원격감시 및분석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770A (ko) 2020-07-07 2022-01-14 한국전력공사 원격소 장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05646A (ko) * 2021-07-01 2023-01-10 한국전력공사 변전소 진단 시스템의 자동 시험 장치 및 자동 시험 방법
KR102553444B1 (ko) * 2021-07-01 2023-07-11 한국전력공사 변전소 진단 시스템의 자동 시험 장치 및 자동 시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1271C (en) Trainline integrity locomotive test device
MX2009000921A (es) Dispositivos y sistemas de seguridad electrica para el uso con cableado electrico, y metodos de uso de los mismo.
KR20150104173A (ko) 프로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네트워크 진단 모듈
CN104777772A (zh) 仪表化系统及其维护方法
KR20080098950A (ko) 분전장치용 화재감시시스템
KR101015466B1 (ko) 원격소장치 진단 시스템
AU2016201881A1 (en) Monitoring of power switching modules
KR20140139268A (ko) 초음파를 이용한 변압기 감시 장치
JP2014050117A (ja) 報知モジュール、開閉器子局及び開閉器監視システム
KR20160104311A (ko) 안테나 연결 상태 진단 시스템
JP3183952U (ja) 状態表示器付きコネクタ/端子台変換アダプタ
KR20100069418A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원력 라디오 유닛 시험 장치 및 방법
CN211236661U (zh) 监测系统
KR20170023574A (ko) 항공 전자 장비의 입출력 모듈용 다기능 테스트 장치
KR101093515B1 (ko) 배전반 환경감시기
KR20120030641A (ko) 플랜트 다중화 제어 시스템
RU78952U1 (ru) Тестер проводного монтажа и печатных плат stc-1000
JP4749277B2 (ja) 調査システム
KR100736744B1 (ko) 배전반용 케이블통신방식의 집합형 경보장치
KR20200029782A (ko) 항공장비의 벤치테스트 시스템
KR101937714B1 (ko) 지능형 커넥터 제어반 및 지능형 커넥터 제어반을 이용한 지능형 컨넥터반 회선 관리 방법
KR100767328B1 (ko) 지능형 광 분배장치
JP2012212298A (ja) 火災報知設備の中継器
JP5445785B2 (ja) 進路表示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656963B2 (ja) 集中監視制御システムの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