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066B1 -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및 방법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및 방법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066B1
KR100464066B1 KR10-2002-0020695A KR20020020695A KR100464066B1 KR 100464066 B1 KR100464066 B1 KR 100464066B1 KR 20020020695 A KR20020020695 A KR 20020020695A KR 100464066 B1 KR100464066 B1 KR 10046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printed circui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114A (ko
Inventor
테라사카신지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2008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9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visual or optic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88Other aspects of conductors
    • H05K2201/0394Conductor crossing over a hole in the substrate or a gap between two separate substrate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18Optically detected marks used for aligning tool relative to the PCB, e.g. for mount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 H05K2203/166Alignment or registration; Control of regis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Liquid Crystal (AREA)
  • Wire Bond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배선기판이 테이프캐리어패키지(TCP)의 뒷면쪽에 배치되며, 최좌측 TCP의 노치의 상부가장자리와 배선기판의 최좌측 출력단자부의 최좌측 단자의 가지의 외부가장자리는 동일면상에 배치되며, 그 하부가장자리 및 가지의 외부가장자리는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하나의 단자와 출력단자부의 대응 단자는 그것들간에 이동(shift)없이 서로 중첩된다. 마찬가지로, 최우측 TCP의 노치의 상부가장자리와 최우측 출력단자부의 최우측 단자의 가지의 외부가장자리는 동일면상에 배치되며, 그 하부가장자리와 가지의 외부가장자리는 동일면상에 배치되고, 하나의 단자와 출력단자부의 대응하는 단자는 이동 없이 서로 중첩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Construction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wiring boar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회로배선기판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과, 액정표시(LCD)장치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테이프캐리어패키지(TCP)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과, 이 상호접속구조를 갖는 LCD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여기에 참조로써 통합된 2001년 4월 16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1-117553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LCD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기판 및 색필터(CF)기판간의 틈을 액정으로써 채운 다음, LCD패널에 LCD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집적회로(IC)가 탑재된 TCP를 접속하고, TCP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기판을 접속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 공정에서, 종래에는, 예를 들어 TCP와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경우, 그것들은 정렬표지들(alignment markers), 즉, TCP 및 배선기판에 각각 미리 형성된정렬홀들 또는 TCP의 입력단자부 및 배선기판의 출력단자부 각각의 가장자리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피트 및 스파이크를 중첩함으로써 서로 정렬된다.
그러나, 정렬표지로서 사용되는 이러한 정렬홀 및 피트(스파이크)는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는 다른 단계에 의해 형성되었고, 그래서 정렬표지들과 회로패턴간의 상대위치에는 오류가 발생하고, 따라서 TCP 및 배선기판간에 오정렬이 발생하게 된다.
게다가, 피트 또는 스파이크를 정렬표지로서 사용하는 방법에 의하면, 피트가 형성되는 경우, TCP의 입력단자부와 배선기판의 출력단자부를 상호접속하기 위한 면적이 감소하고, 한편,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경우, TCP의 입력단자부와 배선기판의 출력단자부가 상호접속될 때, 스파이크가 교접식(mating)단자부에 부딪치어 그것을 손상시킨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대한 예방을 위해,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2730572호는, 회로패턴이 TCP 및 배선기판위에 형성될 때, 동시에 더미리드 및 더미랜드가 원래의 회로패턴에 무관하게 정렬표지로서 형성되어, 더미리드 및 더미랜드는 이것들 두 개의 정렬을 위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중첩되게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특히, 도 18a에 보인 것처럼, TCP들(102)은 LCD패널(100)에 연결되고, 예를 들면, 최우측 및 최좌측 TCP들(102)은 배선기판(101)과 정렬되어 배선기판을 TCP들(102)의 각각에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TCP(102)의 구성 및 배선기판(10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a에 보인 것처럼, 각 TCP(102)에서, 절연성과 유연성 또는 가요성을 갖는 테이프캐리어의 탑재부에는 LCD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IC(104)가 탑재된다.
테이프캐리어(103)는 절연성 및 가요성을 갖는 기초막(미도시)과 그 위에 형성된 입력단자부(105)와 출력단자부(106)를 포함하는 회로패턴(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입력단자부(105)는, 도 18a, 19 및 21에 보인 것처럼, 복수개의 선형단자들(1051, 1052, ..., 105n, 예컨대, n=384)을 가진다. 최외곽 단자들(1051및 105n) 바깥에는 추가로 더미리드들(103a)이 형성된다.
또, 도 18a, 18b, 19 및 21에 보인 것처럼, 절연성 및 가요성의 기초막(미도시)은 그것의 양측의 소정 영역에서 절단되어, 노치들(107)을 형성하고, 노치(notch)들 속에 더미리드들(103a)이 형성되어 나중에 설명되는 U자형 더미랜드들(113)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한다.
노치(107)는 구체적으로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그것의 상부가장자리(108) 및 하부가장자리(109)는 입력단자부(105)를 이루는 선형단자들(1051, 1052, ..., 105n)의 연장방향(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배선기판(101)은, 도 18b에 보인 것처럼, 절연기판(110)으로 이루어지고 TCP들(102)의 입력단자부들(105)에 연결되는 출력단자부들(111)을 구비하도록 그 위에 회로패턴이 형성된다.
출력단자부들(111)의 각각은 입력단자부(105)에 대응하는 n개의단자들(1121, 1122, ..., 112n)을 가진다. 또, 도 18b, 20 및 22에 보인 것처럼, 예를 들면, 최좌측 출력단자부(111)의 최외곽단자(1121) 바깥과 최우측 출력단자부(111)의 최외곽단자(112n)의 바깥에는, U자형 더미랜드들(113)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배선기판(101)을 각 TCP(102)에 연결할 때의 정렬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방성전도막(ACF)이 배선기판(101)의 각 출력단자부(111)위에 탑재된 다음, 각 출력단자부(111)가 각 TCP(102)의 입력단자부(105)와 마주하게 하는 방식으로 TCP(102)의 뒤쪽에 정렬된다.
다음에, 양쪽 최외곽 TCP들(102)에는, 더미리드들(103a)이 U자형 더미랜드들(113)의 세로부분에 입력단자부(105)의 연장방향(출력단자부(111))에 수직하게 정렬하여 중첩된다.
다음에, 도 23 및 24에 보인 것처럼, 입력단자부(105)의 연장방향으로 정렬이 수행되어, U자형 더미랜드(113)는 노치(107) 속에 놓이며, 노치(107)의 상부가장자리(108)는 U자형 더미랜드(113)의 바깥 상부가장자리(114)와 정렬되고, 노치(107)의 하부가장자리(109)는 U자형 더미랜드(13)의 바깥 하부가장자리(115)와 정렬된다.
다음에, 가열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TCP(102) 및 배선기판(101)을 가압 하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TCP(102) 및 배선기판(101)을 상호접속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TCP(102)위에 단자들(1051, 1052,..., 105n) 이외에 더미리드들(103a)을 제공하기 위한 영역을 남겨두는 것이 필요하고, 따라서 TCP(102)는 폭이 넓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다수의 TCP들(102)이 많은 수의 화소들을 갖는 고품위 LCD패널 위에서 접속되는 경우, 이러한 TCP들(102) 중 서로 인접한 것들은 어떤 경우에는 서로 간섭한다는 다른 문제가 생기게 한다.
한편, 단자간 피치가 감소되어 TCP(102)의 폭이 감소된다면, 회로단락이 일어나 신뢰도가 나빠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접속의 신뢰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TCP의 폭을 줄이고 정확한 정렬을 할 수 있는, TCP와 배선기판 및 LCD장치를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CD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개략도들,
도 2는 도 1의 LCD장치의 LCD패널, TCP, 및 배선기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데이터구동기TCP가 도 2의 LCD패널 및 배선기판과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부분 "B"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6은 도 5의 D-D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부분 "C"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8은 도 7의 E-E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9a 및 9b는 TCP와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0은 도 9a의 부분 "F"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11은 도 9b의 부분 "G"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12는 도 9a의 부분 "H"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13은 도 9b의 부분 "I"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14a 및 14b는 TCP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5는 TCP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려고 가압 하에서 가열하는 경우의 시간과 가열온도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LCD장치를 구성하는 TCP의 주요 부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평면도,
도 17a 및 17b는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에 따른 LCD장치를 구성하는 TCP 및 배선기판의 상호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7a는 TCP의 주요 부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평면도이고 도 17b는 배선기판의 출력단자부의 주요 부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평면도,
도 18a 및 18b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9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 18a의 부분 "J"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20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 18b의 부분 "K"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2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 18a의 부분 "L"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2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 18b의 부분 "M"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평면도,
도 23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
도 24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도.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상호접속구조가 제공되며, 이 상호접속구조에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는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과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소정 영역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와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한 제2회로패턴이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절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기초막의 한 쪽에 상기 배선기판과 마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제1정렬부가 그것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절단되어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정렬부와, 상기 노치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제2정렬부 사이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은 그것들간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된다.
전술한 제1양태에서,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노치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정렬부간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은 그것들간의 적어도 상기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되는 것이다.
또,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복수개의 선형출력단자들을 갖는 입력단자부 또는 출력단자부는,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며 복수개의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복수개의 선형출력단자들을 갖는 출력단자부 또는 입력단자부에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다른 방향들은 상기 제1회로패턴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연장방향과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정렬부는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의 일부이며,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상기 입력단자부의 일부이며,
상기 노치는 적어도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제1정렬부는 상기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와 상기 배선기판의 각각의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가 서로 정확히 정렬될 때, 상기 제2정렬부의 일부가 상기 제1정렬부에 중첩되게 하고 상기 제2정렬부의 다른 부분의 가장자리가 상기 노치의 상기 가장자리와 정렬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에 더하여,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제1정렬부가,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가장 주변의 입력단자 또는 가장 주변의 출력단자의 일부이고,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제1회로패턴의 대응하는 상기 선형입력단자 또는 대응하는 상기 선형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일부인 것이다.
게다가,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제1정렬부와 상기 제2정렬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동일 폭을 갖는 개별영역들을 가지며, 그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제1정렬부로서 형성된 부분을 갖는 상기 선형입력단자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는 상기 제1정렬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중앙쪽 입력단자 또는 중앙쪽출력단자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증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플렉시블 인쇄회로는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과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소정 영역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며, 배선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와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한 제2회로패턴이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절연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상호접속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상에 형성된 상기 제1회로패턴의 일부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에 사용되는 제1정렬부로서 상기 배선기판과 마주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기판상에 형성된 상기 제2회로패턴의 일부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에 사용되는 제2정렬부로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을 그것의 소정 영역에서 절단하여, 상기 제1정렬부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하는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간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을 그것들간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2양태에서,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노치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정렬부간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은 그것들 간의 상기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되는 것이다.
또,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두 개의 다른 방향들은, 상기 제1회로패턴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연장방향과,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고, 상호접속방법은,
상기 제1정렬부로서,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며 복수개의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복수개의 선형출력단자들을 갖는 입력단자부 또는 출력단자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정렬부로서,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며 복수개의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복수개의 선형출력단자들을 갖는 출력단자부 또는 입력단자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치에,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또 상기 연장방향에 평행한 상기 제1정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와 상기 배선기판의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가, 상기 제1회로패턴을 각각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의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을 따라 서로 정확히 정렬되는 경우,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2정렬부의 다른 부분의 가장자리도 상기 노치의 상기 가장자리와 정렬되도록, 상기 제2정렬부를 미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를 서로 정렬한 다음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제1정렬부로서,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가장 주변의 단자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정렬부로서,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부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부들의 일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회로패턴의 상기 가장 주변의 단자에 접속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에 동일한 폭의 개별 영역들을 서로 중첩되게 마련하고, 상기 제1정렬부로서 형성되는 일부를 갖는 상기 선형입력단자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를, 상기 단자의 폭이 상기 제1정렬부를 제외하고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적어도 중앙쪽 입력단자 또는 중앙쪽 출력단자 쪽으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를 서로 정렬한 다음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다른 추가적인 바람직한 형태는, 적어도 상기 제1정렬부로서 형성되는 일부를 갖는 상기 선형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부의 폭과, 상기 선형입력단자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 및 인접한 단자간의 거리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이 상호접속될 때의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팽창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에 따른상호접속구조가 마련된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되며, 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LCD)패널;
상기 LCD패널에 연결된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연결된 배선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며, 상기 배선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르면, 제2양태에 따른 상호접속방법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제조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LCD패널에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발명의 전술한 및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선의 실시형태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형태]
먼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가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배선기판상호접속구조는, 절연성 및 가요성의 기초막과 이것의 양 측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 위에는 소정의 영역에 반도체소자가 탑재되는 제1회로패턴이 형성된 플렉시블 인쇄회로; 그리고 플렉시블 인쇄회로와 접속되는 절연성 배선기판으로서, 그것의 양 측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 위에는 플렉시블 인쇄회로와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한 제2회로패턴이 형성된 배선기판을 구비하고, 그러한 구성에서,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소정 영역이 노치를 형성하도록 절단되어,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쪽에 형성되는 제1정렬부는, 배선기판에 마주하게 형성되며 제1회로패턴을 이루고 배선기판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간의 정렬에 관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그래서,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은, 제1정렬부와,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간의 정렬을 위한 노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제2정렬부 사이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그것들간에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방향들에서 서로 정렬된다.
이 구성에서, 플렉시블 인쇄회로와 배선기판이 상호접속될 때, 제1 및 제2회로패턴들의 각각의 일부는 그것의 정렬에 사용되어, 상호접속의 신뢰도의 열화 없이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폭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 단자간 피치에 허용오차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제1 및 제2회로패턴들의 각각의 일부는 그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CP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과, LCD장치 및 제조방법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1b, 1c, 2 및 3에 보인 것처럼, 이 실시예에 따른 LCD장치(1)는, LCD패널(2), LCD패널(2)을 구동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TCP)들(3 및 4), 신호 및 전력을 TCP들(3)에 공급하기 위한 배선기판(5), 신호 및 전력을 TCP들(4)에 공급하기 위한 배선기판(6), LCD패널(2)에 위쪽으로 조명광을 인가하기 위한 백라이트(7), 및 LCD장치(1)의 본체를 보지하기 위한 캐비넷으로서 소용되는 앞면섀시판(8)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 TCP들(3 및 4)과 배선기판들(5 및 6)(즉, 플렉시블 인쇄회로들인 TCP들(3 및 4)과 배선기판들(5 및 6))은 TCP(3)에 미리 만들어진 노치의 소정 위치에서 배선기판(5)과 TCP(3)가 정렬되는 구조로 상호접속된다.
LCD패널(2)은, 예를 들어, 1536×2048×3(RGB)의 화소들을 갖는 투명한 종류의 QXGA(Quad Extended Graphic Array)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고 TFT기판(11), CF기판(12) 및 그것들 사이에 들어있는 액정(13)을 구비한다(도 4 참조).
TFT기판(11)은 투명한 유리기판(미도시)으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는 배열된 신호선들(미도시) 및 주사선들(미도시)이 매트릭스형태로 되어 있고 그 선들의 각 교차부에는 TFT(미도시)와 화소전극(미도시)이 연결된다. 한편 CF기판(12)은 투명한 유리기판(미도시)으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는 색필터(미도시)와 공통전극(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보인 것처럼, 각각이 384개의 출력들을 갖는 16개의 TCP들(3)을 구비한 하나의 행과, 각각이 256개의 출력들을 갖는 6개의 TCP들(4)을 구비한 하나의 열은, LCD패널(2)에 접속된다.
도 3 및 4에 보인 것처럼, 각 TCP(3)는 그것의 입력측에 있는 배선기판(5)에그리고 그것의 출력측에 있는 LCD패널(2)의 신호선(미도시)에 연결되고, 그것의 절연성 및 가요성 테이프캐리어(14)의 탑재부(14a)에 탑재된 데이터구동기IC를 가진다.
도 3 및 4에 보인 것처럼, 절연성 및 가요성 테이프캐리어(14)는 세로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형상이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로 된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 입력단자부(제1회로패턴의 일부, 미도시)(15) 및 출력단자부(제2회로패턴의 일부, 미도시)(16)로 이루어지고, 입력단자부 및 출력단자부는 예를 들면 동박(copper foil)으로 형성되고 회로패턴(미도시)을 구성한다.
도 3 및 4에 보인 것처럼, 입력단자부(15)는 전도성접착층(18)을 통해 배선기판(5)의 출력단자부(19)에 연결되고, 출력단자부(16)는, 전도성접착층(21)을 통해, LCD패널(2)의 신호선에 연결된 외부입력단자(22)에 연결된다.
여기서 솔더레지스트(20)와 밀봉수지들(20a 및 20b)은 도 4에 보여진다.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입력단자부(15)는, 예를 들면, 384개의 단자들(231, 232, ..., 23384)을 가진다. 입력단자부(15)의 단자간 피치는 예를 들면 300㎛이다. 또, 출력단자부(16)의 단자간 피치는 예를 들면 65㎛이다.
또한, 도 3, 5 및 7에 보인 것처럼,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은 그것의 양측이 각각 절단되어 최외곽단자들(231및 23384)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하는 노치들(24 및 25)을 형성한다.
노치들(24 및 25)은, 노치들(24, 25)의 상부가장자리들(24a, 25a) 및 하부가장자리들(24b, 25b)이 단자들(231및 23384)의 연장방향(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도 5에서 화살표 X로 표시됨)으로 연장되게 하는 방식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TCP(3)는 그것이 LCD패널(2)에 연결될 때의 정렬을 위하여 그것의 출력단자부(16) 쪽의 왼쪽 및 오른쪽 모퉁이들에 형성된 정렬표지들(26a 및 26b)을 가진다.
한편, 도 2에 보인 것처럼, TCP(4)는, 그것의 입력측이 배선기판(6)에 그리고 그것의 출력측이 LCD패널(2)의 주사선(미도시)에 연결되고, 절연성 및 가요성 테이프캐리어(미도시)의 탑재부(미도시)에 탑재된 게이트구동기IC(4a)를 가진다.
각 TCP(4)에서, 그것의 입력단자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1㎜의 단자간 피치를 가지고, 그것의 출력단자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100㎛의 단자간 피치를 가진다.
도 3 및 4에 보인 것처럼, 배선기판(5)은 예를 들어 유리에폭시로 된 절연기판(31)과, 절연기판(31)위에 형성되어 회로패턴을 구성하고 또 TCP들(3)의 입력단자부들(15)에 연결된 출력단자부들(제2회로패턴의 일부)(19)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8에 보인 것처럼, 각 출력단자부(19)는 예를 들어 입력단자부(15)에 대응하는 384개의 단자들(321, 322, ..., 32384)을 가진다.
도 5 및 6에 보인 것처럼, 배선기판(5)상의 각 출력단자부(19)의 단자(321)는 단자(321)의 연장방향(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배선기판(5)의 왼쪽으로 2개의 가지들(33a 및 33b)로 펼쳐진다.
여기서 개별 가지들(33a 및 33b)의 선단들(33m 및 33n)은 연결된 TCP(3)의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의 측면끝(17a)과 대략 동일한 면에 배치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가지들(33a 및 33b)의 최외곽 끝들(33s 및 33t)은 노치(24)의 상부가장자리들(24a 및 24b)과 대략 동일한 면에 배치됨에 유의해야 한다.
또, 도 7에 보인 것처럼, 배선기판(5)상의 각 출력단자부(19)의 단자(32384)는 단자(32384)의 연장방향(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배선기판(5)의 오른쪽으로 2개의 가지들(34a 및 34b)로 펼쳐진다.
여기서 개별 가지들(34a 및 34b)의 선단들(34m 및 34n)은 연결된 TCP(3)의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의 측면끝(17b)과 대략 동일한 면에 배치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가지들(34a 및 34b)의 최외곽 끝들(34s 및 34t)은 노치(25)의 상부가장자리들(25a 및 25b)과 대략 동일한 면에 배치됨에 유의해야 한다.
각 TCP(3)의 입력단자부(15)와 배선기판(5)의 TCP(3)에 대응하는 출력단자부(19)를 전도성 접착층(18)을 통해 상호접속하면, 입력단자부(15)의 단자들(232, 233, 234, ..., 23383)은 출력단자부(19)의 단자들(322, 323, 324, ..., 32383)과 연결되고 그것들은 거의 동일한 피치로써 정렬된다.
각 TCP(3)에서 입력단자부(15)의 최외곽 단자들(231및 23384)은 그것들이 출력단자부(19)의 최외곽단자들(321및 32384)과 연결될 때 TCP(3)의 가장자리쪽으로 약간 이동(shift)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에 따른 LCD장치(1)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9a에 보인 것처럼, 각 TCP(3)가 LCD패널(2)에 연결된 후, 배선기판(5)이 각 TCP(3)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TCP(3)는 정렬표지들(26a 및 26b)을 사용하여 LCD패널(2)에 정렬시킴으로써 LCD패널(2)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배선기판(5)을 각 TCP(3)에 어떻게 연결시키는지를 설명한다.
도 9a에 보인 것처럼, TCP(3)는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에 부착된 동박에 대해 포토에칭을 수행하여 입력단자부(15) 및 출력단자부(16)를 포함한 회로패턴을 형성한 다음 탑재부분에 데이터구동기IC(3a)를 탑재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경우, 도 9a 내지 13에 보인 것처럼, 입력단자부(15)위에는, 단자들(231, 232, ..., 23384)이, TCP(3)의 단변에 나란한 방향(도 10에서 화살표 X로 표시됨)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TCP(3)의 장변에 나란한 방향(도 10 및 12에서 화살표 Y로 표시됨)으로 연장된다.
또, 도 14a에 보인 것처럼, 단자들(231, 232, 233, ..., 23384)의 폭들(a1, a2, a3,..., a384)과 단자들(231및 232, 232및 233, 233및 234, ..., 23383및 23384)간의 거리들(s1, s2, s3, ..., s384)은,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을 가압 하에 가열하는 나중의 처리 동안 팽창할 것을 고려하여, 배선기판(5, 도 9b에 도시)의 출력단자부(19)의 단자들(321, 322, 323, ..., 32384)에 정확히 연결되도록 하는 소정의 값들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거리들(s1, s2, s3, ..., s384)은, 이룰 수 있는 피크온도, 이 피크온도를 이루는데 필요한 시간, 및 나중에 설명되는 가압 하의 가열단계,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을 구성하는 폴리이미드의 팽창계수 등에 기초하여, 소정의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폭들(a1, a2, a3,..., a384)은 주변부의 단자의 폭이 중간에 있는 단자의 폭보다 약간 작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폭 a1은 0.15㎜로 설정된다.
그러나, 단자들(231및 23384)의 경우, 노치들(24 및 25)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없는 영역의 폭들(a01및 a0384)은, TCP(3)의 중앙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a01> a1및 a0384> a384의 관계가 성립된다.
회로패턴이 형성된 후,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은 그것의 양측이 소정의 직사각형영역으로 절단되어 오목한 형상의 노치들(24 및 25)이 각각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단자들(231및 23384)은 노치들(24 및 25)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10 및 12에 보인 것처럼, 노치들(24 및 25)의 상부가장자리들(24a 및 25a) 및 하부가장자리들(24b 및 25b)은, 단자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방향(X)에서 단자들(231및 23384)의 연장방향(길이방향; Y)에 수직하도록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가장자리들(24a 및 25a)과 하부가장자리들(24b 및 25b)간의 거리들(c1및 c3)은 약 0.5㎜이다. 또, 상부가장자리들(24a 및 25a)과 하부가장자리들(24b 및 25b)의 길이들(c2및 c4)은 약 0.5㎜이다.
배선기판(5)은 출력단자부(19)에 관련한 회로패턴을 예를 들면 유리에폭시로 이루어진 절연기판(31) 위에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11에 보인 것처럼, 배선기판(5)의 각 출력단자부(19)의 단자(321)는 단자(321)의 연장방향(단자길이방향)에 수직한 병렬배치방향(단자폭방향)을 따라 배선기판(5)의 한 쪽으로 2개의 가지들(33a 및 33b)로 펼쳐진다.
이 실시예에서, 개별 가지들(33a 및 33b)의 폭들(d1및 d3)은 둘 다 0.15㎜로 되며, 가지들(33a 및 33b)의 길이(d4)는 0.15㎜로 되고, 가지(33a)의 외부가장자리(33s) 및 가지(33b)의 외부가장자리(33t)간의 거리(d2)는 0.5㎜로 된다.
또, 도 13에 보인 것처럼, 배선기판(5)의 각 출력단자부(19)의 단자(32384)는, 단자(32384)의 연장방향(단자길이방향)에 수직한 평행배치방향(단자폭방향)을 따라 배선기판(5)의 한 쪽으로 2개의 가지들(34a 및 34b)로 펼쳐진다.
이 실시예에서, 개별 가지들(34a 및 34b)의 폭들(d5및 d7)은 둘 다 0.15㎜로되며, 가지들(34a 및 34b)의 길이(d8)는 0.15㎜로 되고, 가지(34a)의 외부가장자리(34s) 및 가지(34b)의 외부가장자리(34t)간의 거리(d6)는 0.5㎜로 된다.
또한, 도 14a에 보인 것처럼, 단자들(321, 322, 323, ..., 32384)의 폭들(b1, b2, b3, ..., b384)과 단자들(321및 322, 322및 323, 323및 324, ...,32383및 32384)간의 거리들(t1, t2, t3, ..., t384)은, 단자들(321, 322, ..., 32384)이 단자들(231, 232, ..., 23384)에 정확히 연결되도록 하는 소정의 값들로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폭들(b1및 b384)은 폭들(a1및 a384)과 동일하게 0.15㎜로 된다. 또, 단자들(32197및 32198)의 중앙점과 단자(32197)의 중앙선간의 거리(q0)는, 단자들(23197및 23198)의 중앙점과 단자(23197)의 중앙선간의 거리(p0)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 폭들(a2, a3, a4, ..., a383)과 폭들(b2, b3, b4, ..., b383)은 (a2/b2) = (a3/b3) =, ..., = (a383/b383) < 1의 관계를 성립하도록 설정되고, 거리들(s2, s3, s4, ..., s382)과 거리들(t2, t3, t4, ..., t382)은 (s2/t2) = (s3/t3) =, ..., = (s382/t382) < 1의 관계를 성립하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정렬 단계가 수행된다.
먼저, 도 14a에 보인 것처럼, 이방성 전도막(41)은 배선기판(5)의 출력단자부(19)상에 탑재되고, 그 다음에 각 출력단자부(19)가 TCP(3)의 입력단자부(15)에 마주하는 방식으로 각 TCP(3)의 뒷면에 탑재된다.
이 이방성 전도막(41)은, 플라스틱구슬 심에 니켈이나 금을 도금하여 만들어진 약 5㎛ 직경의 전도성 입자를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막 속에 혼합하여 제조되어, 두께방향으로 압축될 때, 이 두께방향으로만 전도성을 나타내게 된다.
다음으로, 단자들(231및 321)은 최좌측(즉, LCD패널(2)의 TCP들(4)이 정렬되는 변에 가장 가까운) TCP(3)의 노치(24)를 통해 눈에 보이게 서로 대략적으로 정렬되나, 동시에 단자들(23384및 32384)은 최우측(즉, LCD패널(2)의 TCP들(4)이 정렬되는 변으로부터 가장 먼) TCP(3)의 노치(25)를 통해 눈에 보이게 서로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최좌측 TCP(3)의 단자(231)와 단자(321)의 연장방향(단자길이방향; Y)에 평행한 영역은 위에서 보았을 때 정확히 서로 중첩된다. 이는 평행한 방향(단자폭방향; X)으로의 정렬을 완료한다.
또, 최좌측 TCP(3)의 노치(24)의 상부가장자리(24a)와 출력단자부(19)의 단자(321)의 가지(33a)의 외부가장자리(33s)는 동일면상에 배치되고(즉, 위에서 보았을 때 서로 중첩되고), 동시에 하부가장자리(24b)와 가지(33b)의 외부가장자리(33t)는 동일면상에 배치된다. 이는 연장방향(단자길이방향; Y)으로의 정렬을 완료한다.
동시에, 최우측 TCP(3)의 단자(23384)와 단자(32384)의 연장방향(단자길이방향)에 평행한 영역은 위에서 보았을 때 그것들 간에 이동 없이 서로 중첩된다. 이는 평행한 방향(단자폭방향; X)으로의 정렬을 완료한다.
또한, 최우측 TCP(3)의 노치(25)의 상부가장자리(25a)와 출력단자부(19)의 단자(32384)의 가지(34a)의 외부가장자리(34s)는 동일면상에 배치되고(즉, 위에서 보았을 때 서로 중첩되고), 동시에 하부가장자리(25b)와 가지(34b)의 외부가장자리(34t)는 동일면상에 배치된다. 이는 연장방향(단자길이방향)으로의 정렬을 완료한다.
전술한 2개의 최외곽 부분들 이외의 다른 부분들을 정렬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그 이유는, TCP들(3)이 그것들간에 65㎛의 피치를 갖고 LCD패널(2)위에서 서로 정렬되므로, 이러한 다른 부분들은 전술한 2개의 부분들을 정렬하는 것만으로 소정의 정확도로 자동으로 정렬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가압 하의 가열 단계가 수행된다.
정렬단계를 통해 정렬이 완료된 후, 배선기판(5)과의 사이에 이방성 전도막(41)이 끼어있는 각 TCP(3)에 대하여 가열기구(미도시)가 아래쪽으로 눌러지고, 이것에 의해 이방성 전도막은 가압하에서 가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15에 보인 것처럼, 이것은 실온(T0,예컨대, T0 = 20℃)에서 달성하려는 피크온도(T1, T1 = 180℃)까지 피크온도를 이루는데 필요한 시간 tm(tm= t1- t0= 20초)동안 가열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가열된다. 또, 인가압력은예를 들면 30㎏/㎠로 설정된다.
이러한 단계들에 의해, 도 14b에 보인 것처럼, 각 TCP(3)와 배선기판(5)은 TCP(3)의 입력단자부(15)의 단자들(231, 232, ..., 23384) 및 배선기판(5)의 대응하는 출력단자부(19)의 단자들(321, 322, ..., 32384)이 서로 정확히 정렬되면서 상호접속된다.
그러나, 도 14b에 보인 것처럼, 각 TCP(3)의 입력단자부(15)의 최외곽 단자들(231및 23384)과 출력단자부(19)의 최외곽 단자들(321및 32384)은 바깥쪽(TCP(3)의 주변 측)으로 약간 이동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자들(231및 23384)의 노치들(24 및 25)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없는 영역의 폭들(a01및 a0384)은 TCP(3)의 중앙 쪽으로 폭이 증가하기 때문에, 단자들(231및 23384와 321및 32384)간에는 충분한 접촉면적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처럼 배선기판(5)이 TCP(3)에 연결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선기판(6)은 TCP(4)에 연결된다.
그 후, TCP들(3, 4)과 배선기판들(5 및 6)은 LCD패널(2)에 연결되고, LCD패널 위에는 백라이트(7)와 앞면섀시판(8)이 조립되어, LCD장치(1)가 완성된다.
이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회로패턴의 일부는 정렬에 사용되어, 상호접속의 신뢰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TCP들(3 및 4)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또, 얼마간의 허용오차가 단자간 피치에 주어질 수 있다.
게다가, 회로패턴의 일부가 정렬을 위해 이와 같이 사용되므로, 구성요소들은 다른 단계들에 의해 정렬표시 및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방법보다 더 정확하게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또, 입력단자부(15)의 최외곽 단자들(231및 23384)은 노치를 통한 시각적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큰 폭으로 형성되므로, 가압 하의 가열 단계에 의해 야기된 이동으로 인한 접촉면적의 감소를 보상할 수 있다.
또, 단자들의 폭과 피치는 가압 하의 가열 때문인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17)의 재료의 팽창을 고려하므로, TCP와 배선기판은 정확히 상호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불충분한 상호접속 또는 불량한 접촉을 야기하지 않고 상호접속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는 각 TCP(3)의 양측에 노치들(24 및 25)을 그리고 각 출력단자부(19)의 최외곽 끝에 가지들(33a 및 33b와 34a 및 34b)을 제공하였지만, 노치들(24 및 25)은 최우측 TCP의 우측에만 제공해도 좋고 가지들(33a 및 33b와 34a 및 34b)은 최좌측 출력단자부(19)의 최좌측 단자 및 최우측 출력단자부(19)의 최우측 단자에만 제공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TCP 폭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는 노치들(24 및 25)이 최외곽 TCP(3)에서 형성되는 2 위치들만의 구성요소들을 정렬하였지만, 노치들(24 및 25)이 각 TCP(3)에 형성되는 각각의 두 부분들 모두가 정렬에 사용되어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예는 노치를 통한 시각적 정렬을 위해 사용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입력단자부의 비교적 큰 최외곽 단자들(231및 23384)을 형성하였지만, 도 16에 보인 것처럼, 입력단자부의 최외곽 단자(51)는, 노치를 통한 시각적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과 TCP(3A)상에 놓인 부분 모두가 일정한 폭을 가져도 좋다.
또, 노치는 TCP(4)가 정렬되는 쪽의 양끝에는 형성되지 않고, 도 17a에 보인 것처럼, 창모양의 노치(52)가 예를 들면 중앙에 형성되어, TCP(3)의 단자와 배선기판의 단자에, 정렬을 위해 이러한 단자들의 연장방향에서 동일한 폭 및 동일한 길이를 갖는 개별 교차부들(53 및 54)이 제공되어도 좋다.
또, 노치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이라도 좋다. 각 노치는 복수개의 단자들이 그것을 통해 보여질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예는 발명이 투과형 LCD패널에 적용되는 경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반사형 LCD패널이 채용되어도 좋다. 액정도 TN(Twisted-Nematic)형 또는 STN(Super Twisted-Nematic)형이라도 좋다. 또, 발명은 색필터가 대향기판상에 형성된 LCD패널뿐만 아니라 색필터가 TFT기판상에 형성된 LCD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구조는, 배선기판들(5 및 6)이 TCP들(3 및 4)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TCP들(3 및 4)이 LCD패널(2)에 연결되는 구조도 될 수 있다.
게다가,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구조는, LCD장치에 대한 적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정밀한 정렬이 필요한 부분에 채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이 상호접속될 때, 회로패턴의 부분은 정렬을 위해 사용되고, 따라서 상호접속의 신뢰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단자간 피치에 얼마간의 허용오차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그에 더하여, 회로패턴의 부분이 정렬 시에 사용되므로, 정렬은 정렬표지가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것과는 다른 단계에서 정렬표지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정확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입력단자부의 단자들 중 가장 주변의 것이 노치를 통한 시각적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큰 폭으로 형성되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와 배선기판이 상호접속될 때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단자의 이동 때문인 접촉면적의 감소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정렬부로서 형성되는 부분을 갖는 단자의 폭과, 이 단자와 이 단자와 인접 단자간의 거리가 플렉시블 인쇄회로와 배선기판이 상호접속될 때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팽창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므로, 그것들은 정확히 상호접속될 수 있어, 예를 들면, 불충분한 상호접속면적 또는 불량한 접촉이 없게 하고, 따라서 상호접속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Claims (13)

  1.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상호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는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과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소정 영역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와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한 제2회로패턴이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절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쪽에 상기 배선기판과 마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제1정렬부가 그것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절단되어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정렬부와, 상기 노치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제2정렬부 사이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은 그것들간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되는 상호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정렬부간의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은 그것들간의 적어도 상기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되는 상호접속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복수개의 선형출력단자들을 갖는 입력단자부 또는 출력단자부는,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며 복수개의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복수개의 선형출력단자들을 갖는 출력단자부 또는 입력단자부에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다른 방향들은 상기 제1회로패턴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연장방향과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정렬부는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의 일부이며,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의 일부이며,
    상기 노치는 적어도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제1정렬부는 상기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와 상기 배선기판의 각각의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가 서로 정확히 정렬될 때, 상기 제2정렬부의 일부가 상기 제1정렬부에 중첩되게 하고 상기 제2정렬부의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노치의 상기 가장자리와 정렬되게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상호접속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는,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가장 주변의 입력단자 또는 가장 주변의 출력단자의 일부이고,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제1회로패턴의 대응하는 상기 선형입력단자 또는 대응하는 상기 선형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일부인 상호접속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와 상기 제2정렬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동일 폭을 갖는 개별영역들을 가지며, 그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제1정렬부로서 형성된 부분을 갖는 상기 선형입력단자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는 상기 제1정렬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중앙쪽 입력단자 또는 중앙쪽 출력단자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증가되는 상호접속구조.
  6. 플렉시블 인쇄회로는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과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소정 영역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며, 배선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와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위한 제2회로패턴이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절연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상호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상에 형성된 상기 제1회로패턴의 일부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에 사용되는 제1정렬부로서 상기 배선기판과 마주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기판상에 형성된 상기 제2회로패턴의 일부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에 사용되는 제2정렬부로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을 그것의 소정 영역에서 절단하여, 상기 제1정렬부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하는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간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을 그것들간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접속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정렬부간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은 그것들 간의 상기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되는 상호접속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다른 방향들은, 상기 제1회로패턴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연장방향과,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고, 상호접속방법은,
    상기 제1정렬부로서,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며 복수개의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복수개의 선형출력단자들을 갖는 입력단자부 또는 출력단자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정렬부로서,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며 복수개의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복수개의 선형출력단자들을 갖는 출력단자부 또는 입력단자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치에,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또 상기 연장방향에 평행한 상기 제1정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와 상기 배선기판의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가, 상기 제1회로패턴을 각각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의 상기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을 따라 서로 정확히 정렬되는 경우,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2정렬부의 다른 부분의 가장자리도 상기 노치의 상기 가장자리와 정렬되도록, 상기 제2정렬부를 미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를 서로 정렬한 다음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접속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로서,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출력단자부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들의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가장 주변의 단자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정렬부로서,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부 또는 상기 입력단자부에서의 상기 선형입력단자부들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부들의 일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회로패턴의 상기 가장 주변의 단자에 접속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접속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에 동일한 폭의 개별 영역들을 서로 중첩되게 마련하고, 상기 제1정렬부로서 형성되는 일부를 갖는 상기 선형입력단자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를, 상기 단자의 폭이 상기 제1정렬부를 제외하고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의 적어도 중앙쪽 입력단자 또는 중앙쪽 출력단자 쪽으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를 서로 정렬한 다음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호접속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정렬부로서 형성되는 일부를 갖는 상기 선형입력단자부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부의 폭과, 상기 선형입력단자 또는 상기 선형출력단자 및 인접한 단자간의 거리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이 상호접속될 때의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팽창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는 상호접속방법.
  12.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연결된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연결된 배선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며, 상기 배선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상호접속구조를 가지며,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는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과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소정 영역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와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한 제2회로패턴이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절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쪽에 상기 배선기판과 마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회로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제1정렬부가 그것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절단되어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정렬부와, 상기 노치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로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제2정렬부 사이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은 그것들간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되는 액정표시장치.
  13.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과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의 소정 영역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를, 액정표시장치패널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와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한 제2회로패턴이 한 면 또는 두 면들상에 형성된 절연기판을 포함하는 상기 배선기판을,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에 상호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호접속단계는,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상에 형성된 상기 제1회로패턴의 일부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에 사용되는 제1정렬부로서 상기 배선기판과 마주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기판상에 형성된 상기 제2회로패턴의 일부를,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의 정렬에 사용되는 제2정렬부로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성 및 가요성 기초막을 그것의 소정 영역에서 절단하여, 상기 제1정렬부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하는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상기 제1정렬부 및 상기 제2정렬부간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상기 배선기판을 그것들간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방향들로 서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02-0020695A 2001-04-16 2002-04-16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및 방법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7553 2001-04-16
JP2001117553A JP4742441B2 (ja) 2001-04-16 2001-04-16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と配線基板との接続構造、その接続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114A KR20020081114A (ko) 2002-10-26
KR100464066B1 true KR100464066B1 (ko) 2005-01-03

Family

ID=1896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695A KR100464066B1 (ko) 2001-04-16 2002-04-16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및 방법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44638B2 (ko)
JP (1) JP4742441B2 (ko)
KR (1) KR100464066B1 (ko)
TW (1) TW5509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867A (ko) * 2009-09-24 2011-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418B2 (ja) * 2001-02-28 2006-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2336317A1 (en) * 2002-10-28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nection structure of wiring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60127965A (ko) * 2004-02-05 2006-12-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2개 성분의 다수의 신호 라인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위한 시스템
KR100684793B1 (ko) * 2004-12-07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릴상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와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TWI302290B (en) * 2005-08-17 2008-10-21 Au Optronics Corp Structure for circuit assembly
JP4923528B2 (ja) * 2005-11-14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317861A (ja) * 2006-05-25 2007-12-06 Nec Lcd Technologies Ltd 多層プリント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7932470B2 (en) 2006-09-05 2011-04-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Printed wiring board
JP2008091895A (ja) * 2006-09-05 2008-04-1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8130803A (ja) * 2006-11-21 2008-06-0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基板装置および基板
JP5068067B2 (ja) * 2006-11-22 2012-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および平面型表示装置
JP2009258655A (ja) * 2008-03-24 2009-11-05 Epson Imaging Devices Corp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049367A (ja) * 2009-08-27 2011-03-10 Panasonic Corp 基板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11049375A (ja) * 2009-08-27 2011-03-10 Panasonic Corp 基板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US9148957B2 (en) * 2011-03-04 2015-09-29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ircuit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wiring substrate
WO2013030888A1 (ja) * 2011-08-31 2013-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4985B1 (ko) * 2012-09-17 2019-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286911B2 (ja) * 2013-07-26 2018-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構造、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3558940B (zh) * 2013-11-05 2016-08-17 金龙机电(东莞)有限公司 触摸屏绑定fpc的装置及方法
AT517120B1 (de) * 2015-05-04 2020-01-15 Zkw Group Gmbh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zumindest einer elektronischen komponente auf einer leiterplatte
TWI559824B (zh) * 2015-10-06 2016-11-21 Hong-Jie Dai 柔性印刷電路板、連接器組件及電子裝置
CN109389903B (zh) * 2017-08-04 2021-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加工方法、加工系统
JP2019066750A (ja) * 2017-10-04 2019-04-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7101512B2 (ja) * 2018-03-28 2022-07-15 Fdk株式会社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471A (ja) * 1992-07-24 1994-02-18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7176838A (ja) * 1993-12-20 1995-07-14 Sharp Corp 配線基板並びに配線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並びに表示パネルの実装構造
JPH07239478A (ja) * 1994-03-01 1995-09-12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H09218420A (ja) * 1997-02-06 1997-08-1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9258252A (ja) * 1996-03-21 1997-10-03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8936A (ja) * 1992-01-20 1993-08-06 Sharp Corp ヒートシールコネクタの接続方法
TW232065B (ko) * 1992-04-16 1994-10-11 Sharp Kk
JPH05323352A (ja) * 1992-05-20 1993-12-07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613175U (ja) * 1992-07-28 1994-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回路基板の接続構造
JP2732553B2 (ja) * 1993-11-26 1998-03-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ディスプレイ、接続方法、熱応力伝搬防止方法
US5436745A (en) * 1994-02-23 1995-07-25 Ois Optical Imaging Systems, Inc. Flex circuit board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H0846314A (ja) * 1994-07-27 1996-02-16 Toshiba Corp 電気的接続方法
JP3186925B2 (ja) * 1994-08-04 2001-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ネルの実装構造並びに集積回路搭載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36850A (en) * 1995-03-03 1999-08-10 Canon Kabushiki Kaisha Circuit board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and liquid crystal device including the connection structure
US6011599A (en) * 1995-11-06 2000-01-04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tegrated type of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ing patterning electrodes, and its packaging case
JPH09260837A (ja) * 1996-03-27 1997-10-03 Fujikura Ltd 可撓性導体の半田接続方法
JP3405657B2 (ja) * 1996-11-29 2003-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ープキャリアパッケージ及びそれを使った表示装置
US6525718B1 (en) * 1997-02-05 2003-02-25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JPH11121894A (ja) * 1997-08-12 1999-04-30 Optrex Corp 回路基板の接続構造
KR100476524B1 (ko) * 1997-12-31 2005-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모듈용테이프캐리어패키지
JP2003198090A (ja) * 2001-12-25 2003-07-11 Olympus Optical Co Ltd コネクトフレキの位置決め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471A (ja) * 1992-07-24 1994-02-18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7176838A (ja) * 1993-12-20 1995-07-14 Sharp Corp 配線基板並びに配線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並びに表示パネルの実装構造
JPH07239478A (ja) * 1994-03-01 1995-09-12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H09258252A (ja) * 1996-03-21 1997-10-03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18420A (ja) * 1997-02-06 1997-08-1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867A (ko) * 2009-09-24 2011-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603228B1 (ko) 2009-09-24 2016-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14212A (ja) 2002-10-25
JP4742441B2 (ja) 2011-08-10
KR20020081114A (ko) 2002-10-26
US6744638B2 (en) 2004-06-01
US20020149921A1 (en) 2002-10-17
TW550993B (en) 200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066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 및 배선기판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구조및 방법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54153B1 (ko) 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US605497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ape carrier packages
US7728945B2 (en) Structure for circuit assembly
KR100524033B1 (ko) 전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7062B1 (ko)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및 전자기기
KR10159895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30095227A1 (en) Method of mounting flexible circuit boards, and display device
WO2020039709A1 (ja) 表示装置及び集積回路モジュール
US20020173178A1 (en) Peripheral circuit boar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therewith
US6930384B2 (en) Tape carrier package
KR10053159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EP0645949A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210343758A1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1286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02392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551440B1 (ko) 칩 온 글라스 타입의 엘씨디 패널
JP2001183692A (ja) 液晶装置及びその位置合わせ方法
KR100637058B1 (ko) 액정표시장치
JP2511526Y2 (ja) 液晶表示装置
JP2001222237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38523A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39676A (ko) 액정 모듈
JP2008083312A (ja)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40078447A (ko) 액정표시 모듈의 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