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817B1 -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817B1
KR100461817B1 KR10-2002-0053596A KR20020053596A KR100461817B1 KR 100461817 B1 KR100461817 B1 KR 100461817B1 KR 20020053596 A KR20020053596 A KR 20020053596A KR 100461817 B1 KR100461817 B1 KR 100461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ing
cable
shift
installation structure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329A (ko
Inventor
김명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8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이 변속기와 변속레버에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는 변속 케이블의 케이블 연결부가 한번의 동작에 의해 변속기 또는 변속레버의 연결로드에 간편하게 착탈되므로, 상기 변속 케이블의 양단이 변속기와 변속레버에 간편하게 조립되고, 상기 변속 케이블의 조립 작업시 작업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Shift cable mounting structure of shif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이 변속기와 변속레버에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조작기구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기구로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력에 따라 상기 변속기의 변속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그리고, 상기 변속레버와 컨트롤 레버는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변속 케이블 또는 변속 로드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의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컨트롤 레버(2) 또는 변속레버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연결로드(4)와, 변속 케이블(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로드(4)에 끼움되는 케이블 연결부(14)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14)가 연결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로드(4)에 체결되는 스냅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상기 케이블 연결부(14)는 상기 연결로드(4)가 끼움되는 내측링(6)과, 상기 내측링(6)의 외주 둘레에 감싸도록 배치된 탄성체(8)와, 상기 탄성체(8)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변속 케이블(10)의 일단에 연결된 외측링(12)으로 이루어진다.상기 연결로드(2)는 끝단부 일측에 고정홈(1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링(6)의 끝단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걸림턱(18)이 형성되며, 상기 스냅핀(20)이 고정홈(16)과 걸림턱(18)에 관통되게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6)은 상기 케이블 연결부(14)에서 일정 길이 만큼 돌출된 상기 연결로드(4)의 끝단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14)와 특정 높이(a) 만큼 유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8)은 일정 길이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내측링(6)에 상기 고정홈(16)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냅핀(20)은 일정 탄성력을 가지면서 양 갈래로 분리된 제 1 다리(22)와 제 2 다리(24)로 이루어진 핀으로, 상기 스냅핀(20)의 제 1 다리(22)는 상기 고정홈(16)과 걸림턱(18)을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제 2 다리(24)는 상기 내측링(6)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스냅핀(20)이 장착되면 관통된 제 1 다리(22)의 끝단은 고정홈(16) 및 걸림턱(18)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직각으로 꺾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의 조립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트롤 레버(2)의 연결로드(4)에 케이블 연결부(14)를 끼운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 연결부의 내측링(6)에 형성된 걸림턱(18)과 연결로드(4)에 형성된 고정홈(16)을 서로 맞춘 뒤 스냅핀(20)의 제 1 다리(22)가 상기 걸림턱(18)과 고정홈(16)을 통과하도록 끼우고, 아울러 제 2 다리(24)는 상기 내측링(6)의 외측에 탄성적으로 장착한다.
상기 스냅핀(20)이 끼움 및 장착되면 상기 걸림턱(18)과 고정홈(1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 다리(22)의 끝단을 직각으로 꺾어 조립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는 상기 연결로드(4)와 케이블 연결부(14)의 조립이 매우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조립 작업이 수행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또한, 상기 스냅핀(20)이 고정홈(16)에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16)과 케이블 연결부(14) 사이에는 일정 높이(a)의 유격이 형성되므로, 상기 케이블 연결부(14)가 연결로드(4)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변속조작기구의 변속감과 변속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변속 케이블(10)은 외측 파이프와 내측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변속레버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게 된다.상기와 같이 와이어가 밀리는 변속레버에 의해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가 꼬인 다음 순간적으로 펴지면서 상기 스냅핀(20)에 힘이 전달되고, 상기 스냅핀(20)과 외측링(6) 사이의 유격(a)으로 인해 상기 스냅핀(20)이 떨리면서 소음 진동이 발생되어 변속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 케이블의 양단에 형성된 케이블 연결부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냅링을 삭제하여 변속시 상기 스냅링에 의해 발생되던 소음 진동을 방지하고, 부품수의 감소로 인해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컨트롤 레버 54 : 끼움홈
56 : 연결로드 58 : 끼움부
60 : 내측링 62 : 탄성체
64 : 케이블 66 : 외측링
68,74 : 케이블 연결부 72 : 밀폐링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변속 케이블과, 상기 변속 케이블의 양단부에 설치된 링형의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중앙홀에 끼움되도록 상기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기의 컨트롤 레버에 형성된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탄력적으로 눌림되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외주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 걸림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변속 케이블(64)과, 상기 변속 케이블(64)의 양단부에 설치된 링형의 케이블 연결부(68)와, 상기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기의 컨트롤 레버(52)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연결부(68)의 구멍에 끼움되는 연결로드(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로드(56)는 상기 컨트롤 레버(52)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고, 외주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끼움홈(54)이 형성된다.상기 끼움홈(54)은 연결로드(56)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연결로드(56)의 축방향으로 상기 끼움부(58)의 삽입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끼움홈(54)의 벽면에는 일정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된다.상기 끼움홈(54)의 경사면은 상기 케이블 연결부(68)가 연결로드(56)에 끼움되는 방향으로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끼움홈(54)의 전방 벽면과 후방 벽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68)는 상기 연결로드(56)가 끼움되고 상기 끼움홈(54)에 삽입되는 끼움부(58)가 내주면에 돌출된 내측링(60)과, 상기 내측링(60)의 외주 둘레에 감싸도록 배치된 탄성체(62)와, 상기 탄성체(62)의 외주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변속 케이블(64)이 연결된 외측링(66)으로 이루어진다.상기 내측링(60)은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끼움부(58)에 적당한 열처리를 통해 탄성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58)는 탄성적으로 눌림되어 상기 끼움홈(54)에 삽입 걸림되거나 또는 탈거된다.상기 끼움부(58)는 상기 내측링(60)의 일측이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돌출된 구조로서, 상기 끼움부(58)에는 내측링(60)의 축방향으로 상기 끼움홈(54)과 대응되게 일정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된다.상기 끼움부(58)의 경사면은 상기 케이블 연결부(68)가 연결로드(56)에 끼움되는 방향으로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끼움부(58)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끼움홈(54)과 끼움부(58)에 형성된 경사면의 경사각도(θ1, θ2)가 커지게 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68)에서 상기 연결로드(56)를 분리시키기 위한 빠짐력이 증대되고, 반면에 상기 경사각도(θ1, θ2)가 작아지게 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68)에서 상기 연결로드(56)를 분리하기 위한 빠짐력은 감소된다.따라서, 상기 경사각도(θ1, θ2)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68)와 연결로드(56)의 조립과 분해시 작용되는 작용력을 각각 조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끼움부(58)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끼움부(58) 이외의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끼움부(58)를 보다 용이하게 절곡 돌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58)는 내측링(60)의 원주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개구홀(70)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개구홀(70)에 의해 상기 끼움부(58)는 단독으로 변형되고, 아울러 상기 끼움부(58)의 성형시 상기 내측링(60)의 내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절곡 가공된다. 상기와 같은 끼움부(58)는 상기 내측링(6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62)는 탄성을 가진 고무나 기타 유사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 레버(52)와 케이블 연결부(68)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저감하는 방진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의 조립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트롤 레버(52)의 연결로드(56)에 상기 케이블 연결부(68)의 내측링(60)이 위치되면, 상기 내측링(60)의 중앙에 형성된 홀부에 상기 연결로드(56)가 끼움되도록 상기 컨트롤 레버(52)에 케이블 연결부(68)가 조립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링(60)이 연결로드(56)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내측링(60)의 끼움부(58)는 연결로드(56)에 의해 눌림된 후 상기 연결로드(56)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컨트롤 레버(52)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이때, 상기 연결로드(56)의 끝단에 내측링(60)이 끼움됨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56)가 끼움부(58)의 경사면을 누르게 되고, 상기 끼움부(58)가 내측링(60) 측으로 눌림됨에 따라 상기 내측링(60)의 중앙에 형성된 홀로 연결로드(56)가 삽입된다.상기 끼움부(58)는 케이블 연결부(68)가 연결로드(56)의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56)의 끼움홈(54)에서 눌림이 회복되어 상기 끼움홈(54)에 걸림된다.
반면에, 상기 케이블 연결부(68)가 연결로드(56)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끼움부(58)는 상기 끼움홈(54)의 경사면을 따라 눌림되면서 상기 끼움홈(54)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케이블 연결부(68)가 연결로드(56)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컨트롤 레버(52)로부터 완전히 빠지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 레버(52)와 케이블 연결부(68)는 자동차의 흔들림에 의해실제로 큰 힘이 작용치 않으므로 상기 끼움부(58)와 끼움홈(54)의 결합력만으로도 충분하나, 필요시 상기 끼움홈(54)의 경사면과 끼움부(58)의 경사면의 경사각도(θ1,θ2)를 조정하여 상기한 결합력을 높이거나 낮추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는 내측링(60)의 개구홀(70)로 상기 탄성체(62)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링(60)과 탄성체(62) 사이에 상기 내측링(60)을 감싸도록 밀폐링(72)이 장착된 케이블 연결구(7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기타의 구성은 상기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밀폐링(72)은 용접에 의해 상기 내측링(60)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홀(70)을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62)의 유동성이 클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는 변속 케이블의 케이블 연결부가 한번의 동작에 의해 변속기 또는 변속레버의 연결로드에 간편하게 착탈되므로, 상기 변속 케이블의 양단이 변속기와 변속레버에 간편하게 조립되고, 상기 변속 케이블의 조립 작업시 작업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던 스냅핀이 삭제됨으로서, 상기 스냅핀의 체결 공정이 생략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부품비용이 절감되며, 중량도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냅핀이 삭제되면 상기 스냅핀의 체결을 위한 케이블 연결부와 고정홈 사이의 유격이 생략되므로, 상기 케이블 연결부가 연결로드를 따라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변속 케이블의 전달효율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또한, 차량의 변속 진동으로 인한 스냅핀의 떨림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므로, 상기 스냅핀의 떨림에 의한 소음 진동이 유발되지 않아 차량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변속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변속 케이블과, 상기 변속 케이블의 양단부에 설치된 링형의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중앙홀에 끼움되도록 상기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기의 컨트롤 레버에 형성된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탄력적으로 눌림되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외주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 걸림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부는 상기 변속 케이블의 일단에 고정된 외측링과, 상기 외측링의 내주를 따라 배치된 링형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내주에 장착되고 내주면에 상기 끼움부가 돌출된 내측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내측링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절곡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은 상기 끼움부의 옆에 개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방진 성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링은 상기 탄성체가 상기 개구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링과 탄성체 사이에 밀폐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열처리를 통해 탄성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내측링의 내주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끼움부가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로드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내측링이 연결로드에 끼움되는 방향으로 전부와 후부에 일정 각도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내측링이 연결로드에 끼움되는 방향으로 전방 벽면과 후방 벽면에 상기 끼움부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KR10-2002-0053596A 2002-09-05 2002-09-05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KR100461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96A KR100461817B1 (ko) 2002-09-05 2002-09-05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96A KR100461817B1 (ko) 2002-09-05 2002-09-05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329A KR20040022329A (ko) 2004-03-12
KR100461817B1 true KR100461817B1 (ko) 2004-12-14

Family

ID=3732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596A KR100461817B1 (ko) 2002-09-05 2002-09-05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22B1 (ko) 2006-06-27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메스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31B1 (ko) 2006-11-21 200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마운팅용 절연부시
KR100836364B1 (ko) * 2007-06-20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조립장치
KR101360704B1 (ko) * 2008-06-02 2014-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CN102126432A (zh) * 2011-01-06 2011-07-2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换档拉索总成的密封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605A (ko) * 1997-05-23 1998-12-05 김영귀 콘트롤케이블의 결합구조
KR20010001390U (ko) * 1999-06-28 2001-01-15 이중아 자동차용 변속기의 케이블 접속구
KR20010039250A (ko) * 1999-10-29 2001-05-15 이계안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KR200238055Y1 (ko) * 1998-12-31 2001-11-22 이계안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605A (ko) * 1997-05-23 1998-12-05 김영귀 콘트롤케이블의 결합구조
KR200238055Y1 (ko) * 1998-12-31 2001-11-22 이계안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KR20010001390U (ko) * 1999-06-28 2001-01-15 이중아 자동차용 변속기의 케이블 접속구
KR20010039250A (ko) * 1999-10-29 2001-05-15 이계안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22B1 (ko) 2006-06-27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메스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329A (ko) 200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4303B2 (en) Structure for fixing shift cable
US20190054813A1 (en) Torque rod
KR100461817B1 (ko)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KR20030039832A (ko) 자동변속 차량용 트랜스미션 기어 시프트케이블
KR100836100B1 (ko) 쉬프트 케이블 매스댐퍼
KR100323425B1 (ko)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WO2016208549A1 (ja) ガスケットユニットおよび球面継手ユニット
KR100501389B1 (ko) 변속기용 쉬프트 케이블의 연결구조
CN100383373C (zh) 用于谐振器的安装结构
KR100537002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링케이지 방진체
KR100756922B1 (ko) 메스 댐퍼
KR100439986B1 (ko) 차량용 변속케이블의 착탈구조
KR100435285B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
KR100836919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WO2022114203A1 (ja) 固定構造
KR101057932B1 (ko) 강도가 보강된 커넥터
KR102554924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장치
KR100986369B1 (ko)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KR100423057B1 (ko) 데드웨이트 구조
KR200396905Y1 (ko) 프로펠러 샤프트 어셈블리
KR0134963Y1 (ko) 자동차용 케이블파이프와 그로메트의 결합구조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KR20180131872A (ko) 변속레버 조립체
KR100461363B1 (ko)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KR100405860B1 (ko) 자동차용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