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055Y1 -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055Y1
KR200238055Y1 KR2019980028553U KR19980028553U KR200238055Y1 KR 200238055 Y1 KR200238055 Y1 KR 200238055Y1 KR 2019980028553 U KR2019980028553 U KR 2019980028553U KR 19980028553 U KR19980028553 U KR 19980028553U KR 200238055 Y1 KR200238055 Y1 KR 200238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knob
groove
shif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165U (ko
Inventor
정원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80028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05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055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조립 작업시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이의 결합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변속레버의 상단에 변속노브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상측부에 일정크기의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변속노브의 결합홈에는 상기 고정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배치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작업시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수동 변속기가 탑재된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자가 변속을 행하기 위해서는 운전석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변속레버를 차폭방향으로 이동시켜 1,2속 중립, 3,4속 중립, 5속 및 후진 중립위치로 셀렉팅 한 후, 다시 전후방향으로 시프팅하면, 이의 변속레버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셀렉팅 케이블과 시프팅 케이블이 이에 연동되면서 변속기에 마련되어 있는 변속제어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변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변속레버의 상단에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의 변속노브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의 변속노브를 변속레버와 결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변속레버(100)의 상단에 숫나사부(102)를 형성하고, 변속노브(104)의 내경부에는 상기 숫나사부(102)와 대응되는 암나사부(106)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변속레버(100)의 숫나사부(102) 하측에는 일정의 테이퍼 각(α)을 갖는 경사면(108)이 형성되고, 변속노브(104)의 암나사부(106) 하측에는 일정의 테이퍼 각(β)을 갖는 경사면(110)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 각은 α가 β 보다 크게 이루어져 체결시 강력 체결력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체결방식에 있어서는 암나사부 및 숫나사부의 피치가 대개 12 내지 13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노브의 결합을 위해서는 조립과정에서 노브를 적어도 12회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번거로움과 육체적인 고통이 뒤따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변속레버의 경사면 테이퍼 각이 변속노브의 경사면 경사각 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시 4 ∼ 5 피치 이후부터는 강한 조입력이 요구되는 바, 조립 작업자의 육체적인 고통을 가중시키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작업자들이 노브를 완전히 체결하지 않게 되는 바, 이의 상태에서 차량이 출고되는 경우, 소비자의 불만 사항이 되어 결국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작업시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이의 결합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조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조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6의 (A)(B)는 종래 기술의 설명하기 위한 분해 및 조립 단면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변속레버의 상단에 변속노브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상측부에 일정크기의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변속노브의 결합홈에는 상기 고정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배치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중간부가 일측으로 굴곡되어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보유하는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홈에 상기 탄성부의 돌출이 가능한 크기로 개구된 상태에서 그 상,하측으로 일정길이의 홈이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홈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부호 2는 변속노브를 지칭한다.
상기 변속노브(2)는 촉감이 좋도록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외측부재(4)의 내부에 경질의 나일론재의 내측부재(6)가 매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부재(6)의 중심부에는 하측이 개구되며, 그 내경이 후술하는 변속레버(8)의 외경과 대응하는 결합홈(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0)의 중간에는 내경부로 개구되고, 그 상하측으로 일정길이의 홈(12)이 형성된 탄성부재 고정홈(14)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탄성부재 고정홈(14)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2개가 형성되는데, 이의 숫자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탄성부재 고정홈(14)에 조립되는 탄성부재(16)는 중간부가 일측으로 굴곡되어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8)를 보유하는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져 그의 상하측 부분이 상기 탄성부재 고정홈(14)의 상,하 홈(12)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고정홈(14)의 상, 하부에는 내경부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돌출되는 볼록부(20)(2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변속노브(2)가 결합되는 변속레버(8)는 상기 탄성부재(16)의 탄성부(18)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2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변속노브(2)를 변속레버(8)에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는 변속노브(2)의 결합홈(10)과 변속레버(8)를 동일선상으로 한 후에 변속노브(2)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은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탄성부재(16)의 돌출 탄성부(18)가 상기 고정홈(24)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결합홈(10)의 상하부에 볼록부(20)(22)를 형성하고 있는 바, 변속레버(8)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체결력이 매우 강해져 체결력 증대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변속노브(2)를 탈거하고자 할 때에는 변속노브(2)를 일정 힘 이상으로 들어올리면, 변속노브(2)가 탈거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1 실시예의 탄성부재(16)의 확대 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에서는 탄성부(18)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하 대칭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2 실시예의 탄성부재(16)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탄성부(18)의 하측 부분 경사도를 완만하게 하여 조립시 변속레버(8)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외의 작용효과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변속노브를 원터치 방식으로 변속레버와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고, 그 결합상태가 견고하여 종래와 같이 변속레버를 완전 체결하지 않아 신뢰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전혀 없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변속레버(8)의 상단에 변속노브(2)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8)의 상측부에 일정크기의 고정홈(24)을 형성하고, 상기 변속노브(2)의 결합홈(10)에는 상기 고정홈(24)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16)를 탄성부재 고정홈(14)을 통하여 배치하되,
    상기 탄성부재(16)는 중간부가 일측으로 굴곡되어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하측부분이 상측부 보다 완만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부(18)를 보유하는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 고정홈(14)은 상기 결합홈(10)에 상기 탄성부(18)의 돌출이 가능한 크기로 개구된 상태에서 그 상,하측으로 일정 길이의 홈(12)이 형성되며, 그 상, 하측부에는 변속레버(8)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볼록부(20)(2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
KR2019980028553U 1998-12-31 1998-12-31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KR200238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553U KR200238055Y1 (ko) 1998-12-31 1998-12-31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553U KR200238055Y1 (ko) 1998-12-31 1998-12-31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165U KR20000015165U (ko) 2000-07-25
KR200238055Y1 true KR200238055Y1 (ko) 2001-11-22

Family

ID=6950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553U KR200238055Y1 (ko) 1998-12-31 1998-12-31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0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817B1 (ko) * 2002-09-0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US9169919B2 (en) 2012-10-29 2015-10-27 Hyundai Motor Company Assembly of knob and le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817B1 (ko) * 2002-09-0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US9169919B2 (en) 2012-10-29 2015-10-27 Hyundai Motor Company Assembly of knob and le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165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3631B2 (en) Binding tool
US5394770A (en) Core length adjuster
WO1982001525A1 (en) Windsurf provided with a foot retaining belt
EP0978669A2 (en) Shift lever unit for dual-mode automatic transmission
US5228798A (en) Assembly comprising two components which are telescop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EP0038123A2 (en) Automotive transmission shifter
KR200238055Y1 (ko)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DE19959024A1 (de) Kabelbaumstecker mit Rastarm
DE102005030102A1 (de) Steifigkeitseinstellstruktur eines Übertragungsseils für ein manuelles Getriebe
DE102007018731B4 (de) Schalt- und Wählvorrichtung
DE102011053177A1 (de) Schaltvorrichtung
DE102004055964B4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Seillängenausgleich
DE69702160D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n Schalthebel
US3383941A (en) Cable interconnecting mechanism for conversion adaptor
KR100326665B1 (ko) 수동변속기용 기어 시프트 레버
DE69806196T2 (de) Schalthebel
KR970004794Y1 (ko) 변속레버의 중립위치 단속장치
EP1045154B1 (de)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 auf einem Bolzen eines Stellgliedes zu montierendes Ende eines Betätigungszuges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DE19542555A1 (de) Außenschaltvorrichtung für ein Wechsel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KR970001963Y1 (ko) 자동차 변속 레버의 콘트롤 케이블 고정구조
DE10132000A1 (de) Gehäuse für Betätigungseinrichtung
KR19980053461U (ko) 변속레버 노브 결합구조
KR100534854B1 (ko) 진동저감을 위한 변속 케이블 고정 구조
KR0157732B1 (ko) 자동차의 기어시프트 셀렉터의 셀렉터 레버와 셀렉터 케이블의 개선된 연결구조 및 그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