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425B1 -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425B1
KR100323425B1 KR1019990047556A KR19990047556A KR100323425B1 KR 100323425 B1 KR100323425 B1 KR 100323425B1 KR 1019990047556 A KR1019990047556 A KR 1019990047556A KR 19990047556 A KR19990047556 A KR 19990047556A KR 100323425 B1 KR100323425 B1 KR 10032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ing rod
bushing
shif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250A (ko
Inventor
김세철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4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4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조립공정에서 와셔를 제거하여 부품수를 줄임과 동시에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케이블 연결부을 연결로드에 고정시킴으로서 변속조작시 소음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는 변속레버의 끝부분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끼워지는 부싱과, 상기 부싱의 둘레에 감싸지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둘레를 감싸고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연결로드의 끝부분 양쪽 측면에는 축방향에 직각으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의 끝부분 양쪽 측면에는 축방향에 직각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삽입홀과 걸림턱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로드와 케이블 연결부 사이를 고정시키는 록킹핀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Cable connective structure of shif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케이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조작기구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변속레버와 변속기의 일측에 부착되는 선택레버 사이는 셀렉트 케이블로 연결되어 변속단을 선택하고, 변속레버와 변속기의 일측에 부착되는 조절레버 사이는 시프트 케이블로 연결되어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을 행한다.
즉, 변속단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셀렉트 케이블을 통해 선택레버로 전달되어 변속단을 선택하고, 변속을 행하는 방향으로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시프트 케이블을 통해 조절레버로 전달되어 변속을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레버와 케이블 사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A-A 선의 단면도이다.
변속레버(2)의 하단에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로드(8)가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연결로드(8)에는 케이블(4)이 연결된다.
케이블 연결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로드(8)에 부싱(14)이 끼워지고, 이 부싱(14)의 둘레로 방진작용을 하는 고무재질의 탄성체(16)가 끼워지고, 이 탄성체(16)의 둘레로 감싸고 케이블(4)이 연결되는 연결링(18)이 장착된다.
그리고, 케이블 연결부(10)이 연결로드(8)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연결부(10)를 연결로드(8)에 끼운 뒤 그 측면에 와셔(20)를 끼워 넣고 연결로드(8)의 끝부분에 형성된 핀홀(22)에 코터핀(24)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케이블 연결구조는 케이블 연결부를 연결로드에 끼운 뒤 다시 와셔를 끼워 넣고 코터핀으로 고정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부와 코터핀이 끼워지는 연결로드의 핀홀 사이의 유격이 클 경우 변속 조작시 케이블 연결부가 흔들리면서 진동 소음이 발생되고, 이와 반대로 케이블 연결부와 핀홀 사이의 유격이 작을 경우 조립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조립공정에서 와셔를 제거하여 부품수를 줄임과 동시에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케이블 연결부을 연결로드에 고정시킴으로서 변속조작시 조음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과 변속레버 사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과 변속레버 사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C-C 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케이블과 변속레버 사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변속레버 4 : 케이블
50 : 연결로드 52 : 연결부
56 : 부싱 58 : 탄성체
60 : 연결링 70 : 록킹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조는 변속레버의 끝부분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끼워지는 부싱과, 상기 부싱에 둘레에 감싸지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둘레에 감싸지고 케이블과연결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연결로드의 끝부분 양쪽 측면에는 축방향에 직각으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의 끝부분 양쪽 측면에는 축방향에 직각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삽입홀과 걸림턱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로드와 케이블 연결부 사이를 고정시키는 록킹핀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와 케이블 사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B-B선의 단면도이다.
변속레버(2)의 끝부분에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연결로드(50)가 형성되고, 케이블의 끝부분에는 케이블을 연결로드(50)에 연결하는 연결부(52)가 형성되며, 연결로드(50)와 연결부(52) 사이는 연결부(52)가 연결로드(5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설치된다.
변속레버(2)의 일측 끝부분에는 변속단을 선택하거나,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을 행하는 케이블(6)이 연결된다.
케이블은 셀렉트 케이블과 시프트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데, 셀렉트 케이블은 변속레버(2)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되어 변속레버의 변속단 선택조작을 변속기로 전달하고, 시프트 케이블은 변속레버(2)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조작을 행하도록 조작력을 전달한다.
도 4는 케이블(4)과 변속레버(2) 사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 C-C 선의 단면도이다.
변속레버(2)의 끝부분에는 케이블(4)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로드(50)가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연결로드(50)에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52)가 끼워진다.
케이블 연결부(52)는 연결로드(50)에 끼워지는 부싱(56)과, 이 부싱(56)의 둘레에 개재되어 방진작용을 하는 탄성체(58)와, 이 탄성체(58)의 둘레에 장착되고 케이블(4)의 끝부분과 연결되는 연결링(6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로드(50)에 케이블 연결부(52)를 끼운 뒤 케이블(4)이 연결로드(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연결로드(50)와 케이블 연결부(52) 사이에 설치된다.
이탈방지수단은 케이블 연결부(52)에 장착되는 부싱(56)이 일정 길이만큼 외측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된 일측 부위의 양쪽 측면에 수평하게 두 방향으로 일정폭 만큼 패인 걸림턱(64)과, 연결로드의 끝단에 상기 걸림턱(64)과 동일한 각도로 양쪽 측면이 수평하게 일정 깊이로 패인 고정홈(68)과, 이 고정홈(68)과 걸림턱(64)에 양 다리가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록킹핀(70)으로 이루어진다.
록킹핀(70)은 일정 탄성력을 갖고 양 갈래로 분리되는 두 개의 다리를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 한쪽 다리의 끝부분은 록킹핀(70)이 고정홈(68)과 걸림턱(64)에서 빠지지 않도록 직각으로 꺽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은 부싱(56)의 걸림턱(64)과 연결로드의 삽입홈(68)에 록킹핀(70)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끼워 넣으면 케이블 연결부(52)와 연결로드(50) 사이가 고정되고, 변속조작시 케이블 연결부(52)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조의 조립 과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변속레버(2)의 끝부분에 형성된 연결로드(50)에 케이블 연결부(52)를 끼운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 연결부의 부싱(56)에 형성된 걸림턱(64)과 연결로드(50)에 형성된 삽입홈(68)을 서로 맞춘 뒤 록킹핀(70)을 걸림턱(64)과 삽입홈(68)을 통과하도록 끼운 뒤 록킹핀(70)이 걸림턱(64)과 삽입홈(6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록킹핀(70)의 한쪽 끝부분을 직각으로 꺽어 조립을 완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은 케이블 연결부의 부싱(56)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한 쪽 일측면이 패인 걸림턱(76)이 형성되고, 연결로드(50)의 끝부분에는 부싱의 걸림턱(76)과 동일한 각도로 한쪽 측면이 패인 삽입홈(74)이 형성되며, 록킹핀(80)의 한쪽 다리(82)는 삽입홀(74)과 걸림턱(76)을 관통하도록 끼워지며, 다른 한쪽 다리(84)는 부싱(5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관통되는 다리의 끝부분은 삽입홀(74) 및 걸림턱(76)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각으로 꺽인다.
즉, 부싱(56)에 하나의 걸림턱(76)이 형성되고 연결로드(50)에도 역시 하나의 삽입홈(74)이 형성되며, 록킹핀(80)의 한쪽 다리(82)는 삽입홀(74)과 걸림턱(76)에 끼워지고 다른 한쪽 다리(84)는 부싱(56) 외주면 측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는 케이블 연결부의 부싱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변속레버의 연결로드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록킹핀이 일체로 끼워지므로 케이블 연결부와 변속레버 사이가 고정되어 변속조작시 케이블 연결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로드에 케이블 연결부를 끼운 뒤 록킹핀을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변속레버의 끝부분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끼워지는 부싱과, 상기 부싱에 둘레에 감싸지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둘레에 감싸지고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연결로드의 끝부분 양쪽 측면에는 축방향에 직각으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의 끝부분 양쪽 측면에는 축방향에 직각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삽입홀과 걸림턱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로드와 케이블 연결부 사이를 고정시키는 록킹핀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은 상기 부싱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연결로드의 양측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양쪽 다리가 각각 탄성적을 끼워지며, 그 중 한 쪽 다리의 끝부분은 일정 각도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턱과 삽입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3. 변속레버의 끝부분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끼워지는 부싱과, 상기 부싱에 둘레에 감싸지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둘레에 감싸지고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연결로드의 끝부분 한쪽 측면에는 축방향에 직각으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의 끝부분 한쪽 측면에는 축방향에 직각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며, 한쪽 다리는 상기 삽입홀과 걸림턱에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다른 한쪽 다리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록킹핀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4. 삭제
KR1019990047556A 1999-10-29 1999-10-29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KR10032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56A KR100323425B1 (ko) 1999-10-29 1999-10-29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56A KR100323425B1 (ko) 1999-10-29 1999-10-29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50A KR20010039250A (ko) 2001-05-15
KR100323425B1 true KR100323425B1 (ko) 2002-02-06

Family

ID=1961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556A KR100323425B1 (ko) 1999-10-29 1999-10-29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817B1 (ko) * 2002-09-0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KR100756922B1 (ko) * 2006-06-27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메스 댐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60U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트랜스밋션의 시프트 케이블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60U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트랜스밋션의 시프트 케이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50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425B1 (ko)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KR100461817B1 (ko)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EP3705741A1 (en) Terminal support device and control cable assembly using terminal support device
KR100836100B1 (ko) 쉬프트 케이블 매스댐퍼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KR100516591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케이블 지지 장치
KR200162153Y1 (ko) 수동 변속기용 릴리스 포크 조립 구조
KR0139739Y1 (ko) 트렌스밋션의 시프트 케이블 구조
KR20050064179A (ko) 변속 케이블 연결 구조
KR0167502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트케이블의 고정구조
KR100501389B1 (ko) 변속기용 쉬프트 케이블의 연결구조
KR0115651Y1 (ko) 크러치 케이블 고정구조
KR20170141985A (ko) 수동 변속기의 레버 조립체
KR100986369B1 (ko)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KR200152691Y1 (ko) 브레이크 페달암의 소음 방지 접속구조
KR20050122711A (ko) 수동변속기 케이블의 길이조정기구
KR200149905Y1 (ko) 클러치 페달용 턴오버 스프링
KR19990032354U (ko) 차량 변속기용 변속 케이블의 연결구조
KR10052687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9980036194A (ko) 릴리스 포크와 펄크롬 결합 구조
KR20050042691A (ko) 변속 케이블 매스 댐퍼
KR19980048283U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구조
KR200409186Y1 (ko) 자동차의 케이블용 연결구
KR100309348B1 (ko) 변속레버의 중립 복원장치
KR100461079B1 (ko) 진동절연성을 갖춘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