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363B1 -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363B1
KR100461363B1 KR10-2001-0067405A KR20010067405A KR100461363B1 KR 100461363 B1 KR100461363 B1 KR 100461363B1 KR 20010067405 A KR20010067405 A KR 20010067405A KR 100461363 B1 KR100461363 B1 KR 10046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oupled
bracket member
engine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358A (ko
Inventor
임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3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8Vibration dampers, e.g. dual mass fly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조립볼트(51)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와, 이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암수결합되면서 다수개의 결합볼트(53)를 매개로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와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이동브라켓트부재(63)와, 외주면이 상기 이동브라켓트부재(63)와 일체로 접합되어 결합되면서 변속기(2)와 결합되는 변속기마운팅부시(55)가 안쪽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브라켓트부재(65)로 구성되어져, 변속기(2)를 엔진룸내에 설치할 때 엔진(1)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토크롤축(S)이 가변되더라도 작업자의 오조립을 미리 예방하면서 엔진(1)과 변속기(2)를 연결하는 토크롤축(S)상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엔진(1)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승차감 및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이 향상됨은 물론, 상기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60)가 결합되는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전체적인 강성도 향상시킬 수가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transmission mounting bracke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기의 조립시 작업자의 오조립을 미리 예방하면서 아울러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있도록 된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과 변속기의 어셈블리는 그 하단이 서브프레임에 결합되고, 이 서브프레임이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엔진과 변속기의 어셈블리가 엔진룸내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1)과 변속기(2)의 어셈블리가 서브프레임을 매개로 엔진룸내에 설치될 때 상기 엔진(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마운팅브라켓트(10)를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2)는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엔진(1)과 변속기(2)의 어셈블리는 프런트롤마운팅브라켓트(30) 및 리어롤마운팅브라켓트(40)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기(2)를 엔진룸내에 조립시키기 위한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쇽업소버하우징패널(3)과 일체로 접합되면서 엔진룸을 형성하는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소정부위에 다수개의 조립볼트(22a,23a)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종래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는 변속기마운팅부시(21)가 안쪽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원통형브라켓트부재(21a)와, 이 원통형브라켓트부재(21)의 외주면에 일단이 각각 접합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런트사이드멤버(4)에 복수개의 조립볼트(22a,23a)를 매개로 각각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제1사이드멤버브라켓트부재(22) 및 제2사이드멤버브라켓트부재(23)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엔진(1)과 변속기(2)의 어셈블리를 엔진룸내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상기 엔진(1)을 엔진마운팅브라켓트(10)를 이용하여 조립시킨 다음 상기 변속기(2)를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를 이용하여 조립시키게 되는데, 상기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과 변속기(2)를 연결하는 토크롤축(S)상에 항상 위치하도록 프런트사이드멤버(4)에 조립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크롤축(S)이란 엔진(1)의 구동시 차체로의 진동전달을 최소화하는 엔진(1)과 변속기(2)의 가상 회전중심축이다.
상기한 토크롤축(S)은 엔진(1)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S1이나 또는 S2와 같이 다양하게 변화되는데, 이와 같이 변화되는 토크롤축(S)상에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사이드멤버(4)상에 다수개의 볼트구멍(4a)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켜야만 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를 엔진(1)과 변속기(2)를 연결하는 토크롤축(S)상에 위치시키기 위해 프런트사이드멤버(4)상에 다수개의 볼트구멍(4a)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상기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전체적인 강성이 약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프런트사이드멤버(4)상에 다수개의 볼트구멍(4a)을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작업자의 오조립(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가 토크롤축상에 위치되지 않는 조립)이 빈번하게 발생됨은 물론, 이로 인해 엔진(1)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의 대부분이 차체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나빠지게 됨은 물론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감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속기가 프런트사이드멤버의 전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되는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를 매개로 엔진룸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프런트사이드멤버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상기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가 엔진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변화되는 토크롤축상에 항상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오조립을 방지하면서 엔진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하여 승차감 및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는, 프런트사이드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조립볼트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트부재와, 이 베이스브라켓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암수결합되면서 다수개의 결합볼트를 매개로 베이스브라켓트부재와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이동브라켓트부재와, 외주면이 상기 이동브라켓트부재와 일체로 접합되어 결합되면서 변속기와 결합되는 변속기마운팅부시가 안쪽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브라켓트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엔진과 변속기어셈블리의 마운팅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2와 도 3은 종래구조에 따른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4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변속기 4 - 프런트사이드멤버
51 - 조립볼트 53 - 결합볼트
55 - 변속기마운팅부시 61 - 베이스브라켓트부재
61a - 안내홈 63 - 이동브라켓트부재
63a - 안내돌기 65 - 원통형브라켓트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50)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1)과 변속기(2)를 연결하는 토크롤축(S)상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기(2)를 지지함과 더불어 엔진(1)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차체하는 것을 최대한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5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조립볼트(51)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와, 이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암수결합되면서 다수개의 결합볼트(53)를 매개로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와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이동브라켓트부재(63)와, 외주면이 상기 이동브라켓트부재(63)와 일체로 접합되어 결합되면서 변속기(2)와 결합되는 변속기마운팅부시(55)가 안쪽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브라켓트부재(65)로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에는 다수개의 안내홈(61a)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브라켓트부재(63)에는 상기 안내홈(61a)과 암수결합되면서 이동브라켓트부재(63)의 슬라이드이동을 도와주도록 된 다수개의 안내돌기(63a)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볼트(53)는 그 선단이 상기 이동브라켓트부재(63)를 관통하여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의 안내홈(61a)내에 체결됨으로써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 전술한 토크롤축(S)이란 엔진(1)의 구동시 차체로의 진동전달을 최소화하는 엔진(1)과 변속기(2)의 가상 회전중심축이다.
따라서, 엔진(1)과 변속기(2)의 어셈블리를 서브프레임에 결합시키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프레임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엔진(1)과 변속기(2)의 어셈블리가 엔진룸내에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엔진(1)과 변속기(2)의 어셈블리를 엔진룸내에 설치할 때에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엔진마운팅브라켓트(10)를 이용하여 엔진(1)을 설치한 다음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를 이용하여 변속기(2)를 설치시키게 된다.
즉, 상기 엔진(1)을 엔진마운팅브라켓트(10)를 이용하여 엔진룸내에 설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브라켓트부재(63)를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의 안내홈(61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엔진(1)과 변속기(2)의 토크롤축(S)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볼트(53)를 이용해 상기 이동브라켓트부재(63)와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를 결합시킨 다음 원통형브라켓트부재(65)에 구비된 변속기마운팅부시(55)와 변속기(2)의 플랜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엔진(1)과 변속기(2)의 어셈블리가 엔진룸내에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속기(2)를 엔진룸내에 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60)는 엔진(1)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토크롤축(S)이 가변되더라도 작업자의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엔진(1)과 변속기(2)를 연결하는 토크롤축(S)상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오조립(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가토크롤축상에 위치되지 않는 조립)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진룸내에 변속기(2)가 설치될 때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60)가 항상 토크롤축(S)상에 정확하게 설치되게 되면, 엔진(1)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승차감 및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20)를 토크롤축(S)상에 설치시키기 위해 프런트사이드멤버(4)상에 다수개의 볼트구멍(4a)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전체적인 강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60)를 단순히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토크롤축(S)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에 됨으로써, 상기 프런트사이드멤버(4)상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되고, 아울러 상기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전체적인 강성도 그만큼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는, 변속기를 엔진룸내에 설치할 때 엔진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토크롤축이 가변되더라도 작업자의 오조립을 미리 예방하면서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는 토크롤축상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엔진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승차감 및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이 향상됨은물론, 상기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가 결합되는 프런트사이드멤버의 전체적인 강성도 향상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프런트사이드멤버(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조립볼트(51)를 매개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와, 이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암수결합되면서 다수개의 결합볼트(53)를 매개로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와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이동브라켓트부재(63)와, 외주면이 상기 이동브라켓트부재(63)와 일체로 접합되어 결합되면서 변속기(2)와 결합되는 변속기마운팅부시(55)가 안쪽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브라켓트부재(65)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에는 다수개의 안내홈(61a)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브라켓트부재(63)에는 상기 안내홈(61a)과 암수결합되면서 이동브라켓트부재(63)의 슬라이드이동을 도와주도록 된 다수개의 안내돌기(63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볼트(53)가 이동브라켓트부재(63)를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 베이스브라켓트부재(61)의 안내홈(61a)내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KR10-2001-0067405A 2001-10-31 2001-10-31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KR10046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405A KR100461363B1 (ko) 2001-10-31 2001-10-31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405A KR100461363B1 (ko) 2001-10-31 2001-10-31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358A KR20030035358A (ko) 2003-05-09
KR100461363B1 true KR100461363B1 (ko) 2004-12-10

Family

ID=2956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405A KR100461363B1 (ko) 2001-10-31 2001-10-31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3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394Y1 (ko) * 1996-05-29 1998-10-01 양재신 자동차의 캐니스터 브라켓트 조립구조
KR19990009650A (ko) * 1997-07-10 1999-02-05 오상수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어퍼 마운팅 브라켓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27001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슬라이딩식 고정거리 가변구조를 갖는 소화기 보관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394Y1 (ko) * 1996-05-29 1998-10-01 양재신 자동차의 캐니스터 브라켓트 조립구조
KR19990009650A (ko) * 1997-07-10 1999-02-05 오상수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어퍼 마운팅 브라켓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27001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슬라이딩식 고정거리 가변구조를 갖는 소화기 보관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358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3228A (ko)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파워 트레인의 일체형 마운팅 구조
KR100461363B1 (ko)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KR20190062757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KR100461835B1 (ko) 차량용 추진축의 센터 베어링 구조
KR0185345B1 (ko) 엔진롤 제어 기능을 갖는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20200122775A (ko) 변형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드라이브 액슬
KR100795092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마운팅브라켓
KR20030077178A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KR20040090657A (ko) 롤 로드 시스템
KR20070045604A (ko)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부의 변형방지 구조
JP5013589B2 (ja) 車両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KR20240055251A (ko) 차량용 티엠 마운트
CN116054469A (zh) 电机及车辆动力系统
KR200301928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KR20160112850A (ko)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KR100364268B1 (ko) 자동차용 차동기어케이스의 장착구조
KR100440007B1 (ko) 종감속 차동장치의 드라이브 샤프트
KR0181542B1 (ko) 전기자동차의 진동방지용 조향 칼럼
KR100537002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링케이지 방진체
KR200339117Y1 (ko)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KR0185346B1 (ko) 슬리브가 일체화 된 자동차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100276818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고정구조
KR19980059935U (ko) 자동차 파워트레인 조립용 서브프레임의 보강구조
KR20050038459A (ko) 자동차용 비틀림 강성 보강구조
KR20020049982A (ko)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