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117Y1 -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 Google Patents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117Y1
KR200339117Y1 KR20-2003-0033666U KR20030033666U KR200339117Y1 KR 200339117 Y1 KR200339117 Y1 KR 200339117Y1 KR 20030033666 U KR20030033666 U KR 20030033666U KR 200339117 Y1 KR200339117 Y1 KR 200339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bracket
vehicle
vibration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성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3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16F2226/045Press-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부속되는 장치를 차체측에 장착함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진동과 하중은 물론 상하 방향의 진동과 하중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방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차체의 장착 부위에 대향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을 구비한 브래킷; 상기 삽입공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압입홈과, 정면부로부터 상기 삽입공을 지나 상기 차체의 장착 부위를 향해 관통된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진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삽입공 가장자리가 삽입공의 전후 및 중심 방향으로 연이어 절곡되고, 상기 방진 고무의 압입홈은 상기와 같이 절곡된 브래킷의 삽입공 가장자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Devices for Fixing of Accessory Equipment in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부속되는 장치를 상하 및 전후 방향의 진동과 하중에 견디도록 차체측에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공기조화기/냉난방 장치를 구성하는 콘덴서, 라디에이터, 히터, 쿨러 등과 같은 부속 장치들은 모듈화 즉 통합 조립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장치를 차체측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를 설계함에 있어서 차량의 진동과 부속 장치 자체의 하중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첨부도면 도 1은 이러한 장착용 부재가 개시된 차량 부속 장치의 일례로서 히터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모듈의 측면부에 장착용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데, 히터 모듈과 차체측을 연결하기 위한 'ㄱ'자 형태의 브래킷(B)과, 이 브래킷(B)에 끼워져 차체로부터 히터 모듈로 전달되는 진동과 히터 모듈의 하중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R)를 주체로 하고 있다.
한편, 도 2a의 측단면도 및 도 2b의 정면도에는 상기와 같은 장착용 부재가 적용된 부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조가 나타나 있다. 먼저, 브래킷(10)의 일측면이 도면에서와 같이 차체의 장착 부위(M)와 나란히 배치된 상태를 볼 수 있는데, 이 브래킷(10)의 타측면은 히터 모듈과 같은 부속 장치(미도시)에 고정이 된다. 특히, 브래킷(10)에는 차체의 장착 부위(M)쪽을 향하는 삽입공(1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삽입공(10a)을 통해 방진 고무(20)가 끼워지되, 방진 고무(20)의 원주면에는 브래킷(10)의 삽입공(10a) 가장자리가 압입되도록 홈(20a)이 파여져 있다. 또, 방진 고무(20)의 정면 중앙부에는 브래킷(10)의 삽입공(10a)을 지나 차체의 장착 부위(M)를 향해 관통하는 관통공(20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20b)에는 관통공(20b) 자체의 내주면과 방진 고무(20)의 정면부를 커버함으로써 방진 고무(20)에 대한 체결 강성을 보강하는 강철제의 스토퍼(30)가 끼워져 있는데, 이 스토퍼(30) 자체에도 방진 고무(20)의 관통공(20b)과 동일하게 체결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30)의 체결공(30a)을 통해 차체의 장착 부위(M)까지 볼트(40)를 삽입한 뒤에 너트(50)를 조임으로써 차체의 장착 부위(M)에 대한 차량 부속 장치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착용 부재의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 진동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방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차체로부터 부속 장치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과 부속 장치 자체의 하중에는 매우 취약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상하 방향 진동과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얇은 판재로 되어 있는 브래킷(10)의 상하 운동에 의해 방진 고무(20)가 쉽게 찢어짐으로써, 방진 효과의 와해와 부속 장치의 장착 상태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최근과 같이 자동차의 부속 장치들이 모듈화되는 추세에서는 방진 고무(20)가 감당해야 하는 하중이 점점 늘어가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기존의 장착용 부재로는 효율적인 방진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에 부속되는 장치를 차체측에 장착함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진동과 하중은 물론 상하 방향의 진동과 하중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방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 : 차량 부속 장치의 일례로서 히터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 종래의 차량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b : 도 2a의 적용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3a :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b : 도 3a의 적용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4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래킷 1a : 삽입공
1b : 삽입공 가장자리 2 : 방진 고무
2a : 압입홈 2b : 관통공
2c : 테이퍼면 2d,2d' : 절취홈
3 : 스토퍼 3a : 체결공
4 : 볼트 5 : 너트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는, 차체의 장착 부위에 대향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을 구비한 브래킷; 상기 삽입공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압입홈과, 정면부로부터 상기 삽입공을 지나 상기 차체의 장착 부위를 향해 관통된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진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삽입공 가장자리가 삽입공의 전후 및 중심 방향으로 연이어 절곡되고, 상기 방진 고무의 압입홈은 상기와 같이 절곡된 브래킷의 삽입공 가장자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진 고무의 정면부로부터 압입홈 형성 부위까지의 외주면은, 외경이 증가하는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상기 방진 고무에는 방진 고무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절취된 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착용 부재는, 브래킷(1)과 이 브래킷(1)에 끼워지는 방진 고무(2)를 주요 구성품으로 하고 있다. 브래킷(1)은, 도면으로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대략 'ㄱ'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일측면은 차체의 장착 부위(M)에 대향하면서 하나의 삽입공(1a)을 구비하고 있고, 타측면은 차량의 부속 장치에 고정이 된다. 그리고, 방진 고무(2)의 외주면에는 브래킷(1)의 삽입공 가장자리(1b)가 끼워지는 압입홈(2a)이 형성되어 있고, 방진 고무(2)의 정면부로부터는 브래킷(1)의 삽입공(1a)을 지나 차체의 장착 부위(M)를 향해 관통된 관통공(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브래킷(1)의 삽입공 가장자리(1b)가 삽입공(1a)의 전후 및 중심 방향으로 연이어서 절곡됨으로써 대략 'ㄱ'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삽입공의 가장자리(1b)가, 삽입공(1a)의 전후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은 차량의 상하 방향 진동과 하중에 대응하여 방진 고무(2)가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며, 삽입공(1a)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은 차량의 전후 방향 진동과 하중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방진 고무(2)의 압입홈(2a)은 이와 같이 절곡된 브래킷(1)의 삽입공 가장자리(1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브래킷(1)의 삽입공 가장자리(1b)를 방진 고무(2)의 압입홈(2a)에 압입시키면서 브래킷(1)의 삽입공(1a)에 방진 고무(2)를 삽입할 때에 방진 고무(2)가 브래킷(1)에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방진 고무(2)의 정면부로부터 압입홈(2a) 형성 부위까지의 외주면을 외경이 점점 증가하는 테이퍼면(2c)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방진 고무(2)가 상하 방향의 진동이나 하중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방진 고무(2)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절취홈(2d)을 더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절취홈(2d)은, 도면에서와 같이, 방진 고무(2)의 정면부와 배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보다 균형적인 구조가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착용 부재를 이용하여 차량 부속 장치를 차체의 장착 부위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브래킷(1)의 삽입공(1a)에 방진 고무(2)를 삽입하고, 방진 고무(2)의 관통공(2b)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관통공(2b)과 동일하게 체결공(3a)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3)를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공(3a)을 통해 볼트(4)와 너트(5)를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착용 부재가 적용된 상태에서는, 브래킷(1)의 삽입공 가장자리(1b) 부위가 종래에 비하여 방진 고무(2)와 보다 더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하게 되므로 접촉면이 넓어진 만큼 방진 효과가 더욱 증대되며, 방진 고무(2)의 파손 우려도 현격히 저감된다. 즉, 브래킷(1)의 삽입공 가장자리(1b)부위중에, 삽입공(1a)의 전후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은 차량의 상하 방향 진동과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삽입공(1a)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은 차량의 전후 방향 진동과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방진 고무(2)의 방진 효과와 내구성이 보다 향상됨을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진 고무(2)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절취홈(2d)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의 진동과 하중에 대해 방진 고무(2)가 보다 더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는, 차량의 부속 장치를 차체측 장착 부위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의 진동과 하중은 물론 상하 방향의 진동과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가 있으므로, 방진 기능과 내구성이 향상되어, 차체측 장착 부위에 대한 차량 부속 장치의 장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차체의 장착 부위에 대향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을 구비한 브래킷; 상기 삽입공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압입홈과, 정면부로부터 상기 삽입공을 지나 상기 차체의 장착 부위를 향해 관통된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진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삽입공 가장자리가 삽입공의 전후 및 중심 방향으로 연이어 절곡되고, 상기 방진 고무의 압입홈은 상기와 같이 절곡된 브래킷의 삽입공 가장자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고무의 정면부로부터 압입홈 형성 부위까지의 외주면은, 외경이 증가하는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고무에는 방진 고무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절취된 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KR20-2003-0033666U 2003-10-28 2003-10-28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KR200339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666U KR200339117Y1 (ko) 2003-10-28 2003-10-28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666U KR200339117Y1 (ko) 2003-10-28 2003-10-28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117Y1 true KR200339117Y1 (ko) 2004-01-16

Family

ID=4942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666U KR200339117Y1 (ko) 2003-10-28 2003-10-28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955B1 (ko) * 2018-09-13 2019-11-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벽걸이 기기용 벽면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955B1 (ko) * 2018-09-13 2019-11-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벽걸이 기기용 벽면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7077B2 (ja) 駆動モータ取付構造
US6321890B1 (en) Vibration reduc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KR100405359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US6772982B2 (en) Mounting structure
JP3864154B2 (ja) 車両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KR20070102957A (ko) 배관 고정 구조
KR200339117Y1 (ko)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KR101818344B1 (ko) 차량의 트랜스미션 케이블을 위한 그로멧 어셈블리
US10759263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H09196095A (ja) 防振装置の弾性ストッパ
JP2005036762A (ja) ポンプの取付部材および取付構造
KR1009027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JP2005147226A (ja) 減衰機能付き締結部材およびその締結部材を用いた防振装置
KR102213306B1 (ko) 변속기용 서포트 브라켓
KR100537002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링케이지 방진체
KR100483119B1 (ko) 자동차용 트랜스미션의 마운팅 구조
KR100578059B1 (ko) 공조장치의 하부강성증대를 위한 자동차용프론트엔드모듈의 결합구조
KR100534876B1 (ko) 변속 케이블 고정용 클립 댐퍼 구조물
KR970000617Y1 (ko) 차량의 카울그릴조립용 보호재
KR100530129B1 (ko) 자동차의 액셀케이블 고정장치
KR100398264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KR200206513Y1 (ko) 엔진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100205901B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어셈블리
KR200152179Y1 (ko) 차량용 카울의 겸용 클립구조
KR19980023220A (ko) 변속기의 케이블 브라켓 방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