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264B1 -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264B1
KR100398264B1 KR10-2001-0054389A KR20010054389A KR100398264B1 KR 100398264 B1 KR100398264 B1 KR 100398264B1 KR 20010054389 A KR20010054389 A KR 20010054389A KR 100398264 B1 KR100398264 B1 KR 10039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side frame
air conditioner
conditioning apparatu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333A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2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프런트엔드멤버(22)와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23)사이에 공조장치(21)가 위치되면서 이 공조장치(21)의 양측면이 측면결합수단(30)에 의해 상기 사이드프레임(23)과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조장치(21)에 구비된 하부부시(21a)가 상기 사이드프레임(23)에 결합된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의 일단으로 끼워져서 설치되어져, 상기 공조장치(21)의 전체적인 결합강성이 향상되면서 실내로 전달되는 공조장치(21)의 구동소음 및 진동들이 최대한 감소되어 차량의 NVH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공조장치(21)의 공기흐름 면적이 증대되면서 전체적인 공조성능도 향상되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for frame body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로 전달되는 공조장치의 구동소음 및 진동을 최대한 감소시켜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공조장치의 공기흐름 면적을 증대시켜 공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크게 모노코크바디와 프레임바디로 구분되는 바, 상기 모노코크바디는 차체패널과 프레임이 상호 적절하게 조합되어 박스형태를 띠는 것으로 주로 세단(sedan)형식의 승용자동차에서 채택되고 있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바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1)이 플로어패널의 주골격을 이루면서 그 위에 차체(2)가 구성되는 것으로 주로 SUV(Sports Utility Vehicle)차량이나 상용차 또는 대형차량에서 채택되고 있다.
한편, 에어컨과 라디에이터 및 라디에이터팬 등으로 구성되면서 프레임바디 자동차에 설치되는 공조장치(11)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서포트어퍼멤버(12)와 라디에이터서포트로어멤버(14) 및 다수개의 브라켓트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공조장치(1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한 쌍의 상단부시(11a) 및 하부부시(11b)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라디에이터서포트어퍼멤버(12)에는 계단모양으로 절곡형성되면서 공조장치(11)의 상부부시(11a)가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부시결합구멍(13a)이 형성된 한 쌍의 어퍼멤버마운팅브라켓트(13)가 용접으로 면접합되어 설치되고, 상기라디에이터서포트로어멤버(14)에는 J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공조장치(11)의 하부부시(11b)가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부시결합구멍(15a)이 형성된 한 쌍의 로어멤버마운팅브라켓트(15)가 용접으로 면접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멤버마운팅브라켓트(15)의 일면에는 ㄴ의 모양으로 형성된 로어멤버지지브라켓트(16)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로어멤버마운팅브라켓트(15)와 로어멤버지지브라켓트(16)사이로 라디에이터서포트로어멤버(14)가 삽입되면서 서로 접촉을 이루는 부위가 용접에 의해 면접합됨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A는 라디에이터서포트로어멤버(14)의 아래쪽으로 설치되는 프런트엔드멤버이고, 미설명부호 B는 프런트엔드멤버에 접합되면서 공조시스템(11)의 양측부로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을 표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조장치(11)는 상부부시(11a)가 어퍼멤버마운팅브라켓트(13)에 형성된 상부부시결합구멍(13a)으로 끼워져 결합되면서 하부부시(11b)가 로어멤버마운팅브라켓트(15)에 형성된 하부부시결합구멍(15a)으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조장치(11)의 종래 설치구조에 의하면, 상기 공조장치(11)가 단순히 상부부시(11a) 및 하부부시(11b)의 결합에 의해서만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1)의 전체적인 결합강성이 취약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공조장치(11)의 구동소음 및 진동의 대부분이 차체프레임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면서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11)의 일부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멤버마운팅브라켓트(15)에 의해 가려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1)의 공기흐름 면적이 그만큼 감소됨은 물론 이로 인해 공조장치(11)의 전체적인 성능도 감소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조장치의 양측부를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면서 상기 공조장치의 하부를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로 부시결합시켜, 상기 공조장치의 전체적인 결합강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공조장치의 구동소음 및 진동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하면서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의 일부분이 멤버부재이외의 브라켓트들에 의해 가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공조장치의 공기흐름 면적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전체적인 공조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설치구조는, 프런트엔드멤버(22)와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23)사이에 공조장치(21)가 위치되면서 이 공조장치(21)의 양측면이 측면결합수단(30)에 의해 상기 사이드프레임(23)과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조장치(21)에 구비된 하부부시(21a)가 상기 사이드프레임(23)에 결합된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의 일단으로 끼워져서 설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결합수단(30)이, 상기 공조장치(21)의 양측면에 면접합되어 결합되면서 선단이 상기 사이드프레임(23)의 윗면쪽을 향하도록 절곡형성되는 제1결합브라켓트와(31), 일단이 상기 제1결합브라켓트와(31)와 고정부재(32)를 매개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사이드프레임(23)의 윗면에 접합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트(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브라켓트(33)에는 상기 공조장치(21)의 측면 결합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측면보강브라켓트(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에는 공조장치(21)의 하부부시(21a)가 끼워져 결합되는 소정크기의 하부부시결합구멍(5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임바디 자동차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구조에 따른 공조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배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공조장치 21a - 하부부시
22 - 프런트엔드멤버 23 - 사이드프레임
30 - 측면결합수단 31 - 제1결합브라켓트와
32 - 고정부재 33 - 제2결합브라켓트
40 - 측면보강브라켓트 50 -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
50a - 하부부시결합구멍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에어컨과 라디에이터 및 라디에이터팬 등으로 구성되면서 프레임바디 자동차에 설치되는 공조장치(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엔드멤버(22)와 사이드프레임(23) 및 브라켓트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공조장치(21)의 하부면에는 도 2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부시(21a)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엔드멤버(22)의 양단에는 선단이 실내쪽을 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23)이 용접에 의해 면접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프레임(23)사이에는 공조장치(21)가 위치되고 이 공조장치(21)의 양측면은 한 쌍의 측면결합수단(30)에 의해 사이드프레임(23)의 윗면과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결합수단(3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대략 ㄴ자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그 일단은 상기 공조장치(21)의 양측면에 면접합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프레임(23)의 윗면쪽을 향하도록 절곡형성된 제1결합브라켓트와(31), 종단면이 대략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제1결합브라켓트와(31)와 고정부재(32)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프레임(23)의 윗면에 접합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트(3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2)는 공조장치(21)의 결합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통 볼트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브라켓트와(31)와 제2결합브라켓트(33)에는 상기 고정부재(32)가 관통되는 나사구멍(31a,3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양으로 형성된 제2결합브라켓트(33)의 안쪽으로는 제2결합브라켓트(33)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체적인 공조장치(21)의 측면 결합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측면보강브라켓트(40)가 결합되는데, 상기 측면보강브라켓트(40)는 보통 용접에 의한 접합구조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23)의 밑면에는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대략 ㄴ자의 모양으로 형성된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가 각각 접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사이드프레임(23)에 접합되지 않는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의 선단이 상기 공조장치(21)의 밑면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21)의 밑면쪽으로 위치되는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의 일단에는 공조장치(21)의 하부부시(21a)가 끼워져서 결합되는 소정크기의 하부부시결합구멍(5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프런트엔드멤버(22)의 위쪽으로는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서포트어퍼멤버(12) 및 라디에이터서포트로어멤버(14)가 층상의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공조장치(21)의 양측면에 접합된 제1결합브라켓트(31)와 사이드프레임(23)에 접합된 제2결합브라켓트(33)가 고정부재(32)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상기 공조장치(21)에 구비된 하부부시(21a)가 사이드프레임(23)에 접합된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에 끼워져서 결합되면,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공조장치(11)가 상하부부시(11a,11b)만을 이용해 설치되던 종래의 구조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21)의 전체적인 결합강성이 향상되게 되고, 이로 인해 실내로 전달되는 공조장치(21)의 구동소음 및 진동들이 최대한 감소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그만큼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21)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의해 설치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장치(21)의 일부분이 브라켓트부재들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방지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공조장치(21)의 공기흐름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전체적인 공조성능도 그만큼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장치의 전체적인 결합강성이 향상되면서 실내로 전달되는 공조장치의 구동소음 및 진동들이 최대한 감소되어 차량의 NVH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공조장치의 공기흐름 면적이 증대되면서 전체적인 공조성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프런트엔드멤버(22)와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23)사이에 공조장치(21)가 위치되면서 이 공조장치(21)의 양측면이 측면결합수단(30)에 의해 상기 사이드프레임(23)과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조장치(21)에 구비된 하부부시(21a)가 상기 사이드프레임(23)에 결합된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의 일단으로 끼워져서 설치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결합수단(30)이, 상기 공조장치(21)의 양측면에 면접합되어 결합되면서 선단이 상기 사이드프레임(23)의 윗면쪽을 향하도록 절곡형성되는 제1결합브라켓트와(31), 일단이 상기 제1결합브라켓트와(31)와 고정부재(32)를 매개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사이드프레임(23)의 윗면에 접합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트(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브라켓트(33)에는 상기 공조장치(21)의 측면 결합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측면보강브라켓트(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마운팅브라켓트(50)에는 공조장치(21)의하부부시(21a)가 끼워져 결합되는 소정크기의 하부부시결합구멍(5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KR10-2001-0054389A 2001-09-05 2001-09-05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KR100398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389A KR100398264B1 (ko) 2001-09-05 2001-09-05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389A KR100398264B1 (ko) 2001-09-05 2001-09-05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333A KR20030021333A (ko) 2003-03-15
KR100398264B1 true KR100398264B1 (ko) 2003-09-19

Family

ID=2772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389A KR100398264B1 (ko) 2001-09-05 2001-09-05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2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729U (ko) * 1979-07-13 1981-02-07
JPS586623U (ja) * 1981-07-07 1983-01-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ラジエ−タ取付装置
JPS5836722A (ja) * 1981-08-26 1983-03-0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ラジエ−タ支持構造
JPS61138717U (ko) * 1985-02-19 1986-08-28
JPH01158324U (ko) * 1988-04-26 1989-11-01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729U (ko) * 1979-07-13 1981-02-07
JPS586623U (ja) * 1981-07-07 1983-01-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ラジエ−タ取付装置
JPS5836722A (ja) * 1981-08-26 1983-03-0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ラジエ−タ支持構造
JPS61138717U (ko) * 1985-02-19 1986-08-28
JPH01158324U (ko) * 1988-04-26 1989-11-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333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0931A (ko) 자동차의 파워 플랜트 마운트
JP3864154B2 (ja) 車両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JP2002337741A (ja) 自動車用カウルクロスメンバーのマウンティング部の構造
KR100747795B1 (ko) 차량 히터 고정 구조
KR100398264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설치구조
KR20020080077A (ko) 자동차의 변속기 마운팅부 구조
KR100410519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JPH11227474A (ja) エンジン補機の組付構造
KR20060109632A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패널 보강구조
JP2003237382A (ja) 車両の防振装置
JPH0270915A (ja) 自動車の前部分
KR100471475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 모듈의 센터멤버 구조
CN216942602U (zh) 一种悬置总成及汽车
KR100578059B1 (ko) 공조장치의 하부강성증대를 위한 자동차용프론트엔드모듈의 결합구조
KR100391657B1 (ko) 자동차의 리어서스펜션 마운팅부 구조
JP4300307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メンバの取付構造
KR100428152B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리어부의 마운팅구조
JPH051503Y2 (ko)
JPH0612131U (ja) 空調装置におけるルーバーの取付構造
KR20020016694A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로워멤버
KR100507657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라디에이터 지지구조
JP2553129Y2 (ja) エアコン用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KR100581111B1 (ko) 자동차의 프런트 엔드 캐리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의 하부 장착 구조
KR100362078B1 (ko) 차량의 리어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
KR20030049773A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