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795B1 - 차량 히터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히터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795B1
KR100747795B1 KR1020050108978A KR20050108978A KR100747795B1 KR 100747795 B1 KR100747795 B1 KR 100747795B1 KR 1020050108978 A KR1020050108978 A KR 1020050108978A KR 20050108978 A KR20050108978 A KR 20050108978A KR 100747795 B1 KR100747795 B1 KR 100747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vehicle
heater case
cowl cross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433A (ko
Inventor
권혁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7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 장치의 히터 케이스와 카울 크로스 부재를 연결함에 있어 카울 크로스 부재와 히터 케이스의 연결 부위를 증가시키고 히터 케이스의 하부에는 차체 대쉬 보드와 차체 플로어와의 연결 부위를 형성하여 히터 케이스의 무게에 의해 카울 크로스 부재의 비틀림이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 히터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카울 크로스 부재에 히터 케이스를 연결함에 있어서, 히터 케이스(2)의 상단부 전면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브라켓(10), 카울 크로스 부재(1)의 중간부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0)과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20), 카울 크로스 부재(1)의 일측에 형성되고 히터 케이스(2)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단(35)과 결합되는 제 3 고정 브라켓(30), 히터 케이스(2)의 하부에 형성되어 차체 플로어에 결합되는 제 4 고정 브라켓(40)으로 구성된다.
차량, 공조 장치, 고정

Description

차량 히터 고정 구조{A heater fixing structure in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공조 장치의 히터 케이스와 카울 크로스 부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차량 히터 고정 구조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 4 고정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제 1 고정 브라켓 20 : 제 2 고정 브라켓
30 : 제 3 고정 브라켓 40 : 제 4 고정 브라켓
본 발명은 차량 히터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공조 장치의 히터 케이스와 카울 크로스 부재를 연결함에 있어 카울 크로스 부재와 히터 케이스의 연결 부위를 증가시키고 히터 케이스의 하부에는 차체 대쉬 보드와 차체 플로어와의 연결 부위를 형성한 차량 히터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카울 크로스 부재는 정면 충돌시에 스티어링 컬럼의 후방변위를 억제함과 동시에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카울 크로스 부재의 양단은 프론트 필러 인너로워 패널에 결합하고 카울 크로스 부재와 카울 패널 사이는 서포터로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 유닛은 조수석으로부터 차량 중앙부까지의 대시패널 내부에 위치하여, 그 내부에 냉방을 위한 증발기와 난방을 위한 히터 코어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에어덕트 및 실내 토출구와 연통 체결되어 있어, 상기 에어덕트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조 유닛의 내부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실내 토출구로 송풍됨으로서 차실 내부의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공조 장치의 히터 케이스와 카울 크로스 부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차량 공조 장치의 히터 케이스(2)의 일측 상단부가 차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카울 크로스 부재(1)에 고정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히터 케이스(2)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단(2a)이 카울 크로스 부재(1)와 차체 플로어(미도시)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단(3a)과 연결되어 공조 장치의 고정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히터 케이스(2)는 카울 크로스 부재(1)에 고정되어 있으나, 차량의 크러쉬 패드(미도시)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이는 크러쉬 패드의 정비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히터 케이스가 카울 크로스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는 히터 케이스가 카울 크로스 부재에 매달리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케이스의 자중에 의해 카울 크로스 부재와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면 이러한 현상은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공조 장치의 히터 케이스와 카울 크로스 부재를 연결함에 있어 카울 크로스 부재와 히터 케이스의 연결 부위를 증가시키고 히터 케이스의 하부에는 차체 대쉬 보드와 차체 플로어와의 연결 부위를 형성하여 히터 케이스의 무게에 의해 카울 크로스 부재의 비틀림이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 히터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차량 히터 고정 구조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차량의 카울 크로스 부재에 히터 케이스를 연결함에 있어서, 히터 케이스(2)의 상단부 전면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브라켓(10), 카울 크로스 부재(1)의 중간부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0)과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20), 카울 크로스 부재(1)의 일측에 형성되고 히터 케이스(2)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단(35)과 결합되는 제 3 고정 브라켓(30), 히터 케이스(2)의 하부에 형성되어 차체 플로어에 결합되는 제 4 고정 브라켓(4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공조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중 카울 크로스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히터 케이스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 발명을 사용하도록 한다.
우선, 차량의 공조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중 히터 케이스(2)의 상단부에 직사각형 형태의 제 1 고정 브라켓(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카울 크로스 부재(1)의 중간부에는 제 2 고정 브라켓(20)이 형성되도록 한 후,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제 2 고정 브라켓(20)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 고정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제 2 고정 브라켓(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제 2 고정 브라켓(20)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울 크로스 부재(1)의 일측에는 제 3 고정 브라켓(30)을 설치하도록 한다. 제 3 고정 브라켓(30)의 일측은 카울 크로스 부재(1)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히터 케이스(2)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단(35)에 결합되도록 한다.
차량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카울 크로스 부재(1)와 차체 플로어(미도시)를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고정 브라켓(30)과 연결되어 있는 히터 케이스(2)의 하부 양측에는 차체 플로어와 연결되는 제 4 고정 브라켓(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히터 케이스(2)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려는 현상이 발생되려고 하 면, 히터 케이스(2)의 측면을 결합되어 있는 제 3 고정 브라켓(30)과 차체 플로어와 연결되어 있는 제 4 고정 브라켓(40)에 의해 히터 케이스가 지지되어 히터 케이스의 처짐에 의해 카울 크로스 부재의 비틀림 발생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 장치의 히터 케이스와 카울 크로스 부재를 연결함에 있어 카울 크로스 부재와 히터 케이스의 연결 부위를 증가시키고 히터 케이스의 하부에는 차체 대쉬 보드와 차체 플로어와의 연결 부위를 형성하여 히터 케이스의 무게에 의해 카울 크로스 부재의 비틀림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카울 크로스 부재에 히터 케이스를 연결함에 있어서, 히터 케이스(2)의 상단부 전면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브라켓(10), 카울 크로스 부재(1)의 중간부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0)과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20), 카울 크로스 부재(1)의 일측에 형성되고 히터 케이스(2)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단(35)과 결합되는 제 3 고정 브라켓(30), 히터 케이스(2)의 하부에 형성되어 차체 플로어에 결합되는 제 4 고정 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히터 고정 구조.
KR1020050108978A 2005-11-15 2005-11-15 차량 히터 고정 구조 KR100747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978A KR100747795B1 (ko) 2005-11-15 2005-11-15 차량 히터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978A KR100747795B1 (ko) 2005-11-15 2005-11-15 차량 히터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433A KR20070051433A (ko) 2007-05-18
KR100747795B1 true KR100747795B1 (ko) 2007-08-08

Family

ID=3827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978A KR100747795B1 (ko) 2005-11-15 2005-11-15 차량 히터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861B1 (ko) 2011-03-25 2013-03-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의 마운팅구조
KR20160058339A (ko) 2014-11-14 2016-05-25 덕양산업 주식회사 카울크로스바와 냉난방공조장치 결합용 브래킷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706B1 (ko) 2011-09-05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울크로스 구조
KR102047734B1 (ko) * 2013-08-26 2019-11-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41253A (ko) * 2020-05-15 2021-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울크로스바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856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차량용 통합 빔 구조
KR20040065743A (ko) * 2003-01-16 2004-07-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856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차량용 통합 빔 구조
KR20040065743A (ko) * 2003-01-16 2004-07-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체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861B1 (ko) 2011-03-25 2013-03-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의 마운팅구조
KR20160058339A (ko) 2014-11-14 2016-05-25 덕양산업 주식회사 카울크로스바와 냉난방공조장치 결합용 브래킷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433A (ko)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75804A1 (ja) 車体の前部構造
KR20130026262A (ko) 카울크로스 구조
JP2001527483A (ja) 車両の運転席領域のための構成群
JP4250858B2 (ja) 車両用コクピットモジュール構造
JP5741268B2 (ja) 車体構造
JP2000108725A (ja) 自動車におけ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支持構造
KR100747795B1 (ko) 차량 히터 고정 구조
JP4204140B2 (ja) 空気調和装置とステアリングメンバのアセンブリ構造
CN111516494B (zh) 用于车辆仪表板总成的结构仪表板构件
KR20050017878A (ko) 자동차의 에어덕트 일체형의 통합빔 구조
JP2002205529A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空調装置の車両搭載構造
KR20170050099A (ko) 여객용 상용차의 에어컨 유닛 지지구조
JP3340539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5858326B2 (ja) キャブの前部構造
JP6641618B2 (ja) コクピットモジュール
KR200427148Y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마운팅 구조
JP4635576B2 (ja) 車両用のトーボード補強構造
KR100581111B1 (ko) 자동차의 프런트 엔드 캐리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의 하부 장착 구조
JP2019217982A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構造
KR100380052B1 (ko) 차량용 통합 빔 구조
WO2017038496A1 (ja) 車室の前部構造
KR100610940B1 (ko) 차량 히터 고정 구조
WO2017065166A1 (ja) 車室の前部構造
JP357410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802409B1 (ko) 에바코어 밀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