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9982A -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9982A
KR20020049982A KR1020000079311A KR20000079311A KR20020049982A KR 20020049982 A KR20020049982 A KR 20020049982A KR 1020000079311 A KR1020000079311 A KR 1020000079311A KR 20000079311 A KR20000079311 A KR 20000079311A KR 20020049982 A KR20020049982 A KR 20020049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axle
assembling
coupling member
ang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9982A/ko
Publication of KR20020049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98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액슬 상측에 용접 고정되어 판 스프링을 지지하게 되는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에 있어서, 동일 차종에서 엔진 사양의 다양화로 프로펠러 축에 연결된 리어액슬의 장착시 그 수평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리어액슬 상측에 용접 고정되는 하부 결합부재와, 판 스프링을 지지하게 되는 상부 결합부재로 분리 구성하고, 조정되는 리어액슬의 각도에 따라 적절한 하면 경사각을 갖는 상부 결합부재를 선택 사용하여 리어액슬의 수평각도를 조정, 장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이할 시 구분이 난해한 리어액슬의 용접부 각도를 일원화할 수 있어 오조립에 따른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리어액슬 사양의 단순화로 조립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Spring seat of rear ax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액슬 상측에 용접 고정되어 판 스프링을 지지하게 되는 차량용 리어액슬의스프링 시트에 있어서, 동일 차종에서 엔진 사양의 다양화로 프로펠러 축에 연결된 리어액슬의 장착시 그 수평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리어액슬 상측에 용접 고정되는 하부 결합부재와, 판 스프링을 지지하게 되는 상부 결합부재로 분리 구성하고, 조정되는 리어액슬의 각도에 따라 적절한 하면 경사각을 갖는 상부 결합부재를 선택 사용하여 리어액슬의 수평각도를 조정, 장착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R(Front Engine Rear Drive) 차량인 경우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은 변속기를 거쳐 프로펠러 축에 의해 리어액슬 축까지 전달된다.
도 1은 차량용 리어액슬의 장착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프로펠러 축(30)은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설치되며, 구동륜인 후측 차륜이 노면 상태에 따라 구동하므로 상기 프로펠러 축(30)은 전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요철 도로의 주행에서는 리어액슬 축이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프로펠러 축(30)의 길이방향 신축이 필요하고, 변속기(20)와의 각도변동에 따라서도 엔진의 동력을 원활하게 리어액슬 축에 전달하도록 프로펠러 축(30)에는 십자축이 내장된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32)와 스플라인(spline)(34) 등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로펠러 축(30)의 각도가 불량할 경우,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변속기(20)와 리어액슬(40) 간에 프로펠러 축(30)을 장착할 시, 일직선 배치가 되도록 상기 변속기(20)와 리어액슬(40)의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액슬(40)과 상기 리어액슬(40)로부터 전달되는 반발력에 의한 응력에 견디도록 설계된 프레임(10) 사이에는 판 스프링(60)이 장착되고, 화물의 적재량에 따라 리어액슬(40)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판 스프링(60)은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고 도로면에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와 화물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최근, 엔진의 사양이 다양해짐에 따라 상기의 목적으로 판 스프링(60)을 장착할 시에는 프로펠러 축(30)에 연결된 리어액슬(40)의 수평각도를 엔진의 사양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리어액슬(40) 상측에 스프링 시트(50)를 용접하여 리어액슬(40)의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일 차종에 엔진이 상이한 경우, 리어액슬(40)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용접시 판스프링이 장착되는 스프링 시트(50)의 각도를 변경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리어액슬(40)에서 상기 스프링 시트(50)가 용접되는 용접부의 각도를 다르게 하여 이에 용접되는 스프링 시트(50)의 각도를 변경하였다.
그러나, 리어액슬(40)의 용접부 각도가 달라진다는 것은 리어액슬(40)의 다원화를 의미하게 되므로, 종래에는 용접부의 각도를 다르게 한 여러 종류의 리어액슬(40)이 동일 작업장에서 장착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부피가 큰 리어액슬(40)의 육안 식별이 곤란하여 자재 혼용의 우려가 있고, 이에 따른 품질저하가 발생되며, 작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어액슬 상측에 용접 고정되어 판 스프링을 지지하게 되는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에 있어서, 동일 차종에서 엔진 사양의 다양화로 프로펠러 축에 연결된 리어액슬의 장착시 그 수평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리어액슬 상측에 용접 고정되는 하부 결합부재와, 판 스프링을 지지하게 되는 상부 결합부재로 분리 구성하고, 조정되는 리어액슬의 각도에 따라 적절한 하면 경사각을 갖는 상부 결합부재를 선택 사용하여 리어액슬의 수평각도를 조정, 장착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차량용 리어액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20 : 변속기
30 : 프로펠러 축40 : 리어액슬
50 : 스프링 시트52 : 상부 결합부재
54 : 하부 결합부재56 : 결합용 핀
58a, 58b : 결합홀60 : 판 스프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는 리어액슬(40) 상측에 용접 고정되어 판 스프링(60)을 지지하게 되는 차량용 리어액슬(40)의 스프링 시트(50)에 있어서,
리어액슬(40) 상측에 용접 고정되고 소정의 하면 경사각(A)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홀(58b)이 형성된 하부 결합부재(54)와, 상기 판 스프링(60)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52)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면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홀(58a)이 형성된 상부 결합부재(52)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하부 결합부재(54)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52)가 상기 각 결합홀(58a, 58b)에 삽착되는결합용 핀(56)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는 리어액슬(40)의 용접부 변경없이, 조정되는 리어액슬(40)의 각도에 따라 적절한 각도의 하면 경사각을 갖는 상부 결합부재(52)를 선택하여 리어액슬(40)의 수평각도를 조정,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 시트(50)로서, 리어액슬(40) 상측에 용접 고정되는 하부 결합부재(54)와, 판 스프링(60)을 지지하는 상부 결합부재(52)로 분리 구성하고, 이들을 결합용 핀(56)으로써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재(52)는 그 하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홀(5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결합부재(54)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52)의 하면에 접하게 되는 상면이 수평면이거나 알고 있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52)의 결합홀(58a)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하 관통하는 결합홀(5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재(52)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54)가 결합될 시, 상기 결합용 핀(56)은 일치된 상태의 결합홀(58a, 58b)에 삽착되어 상기 상부 결합부재(52)와 상기 하부결합부재를 결합하게 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용 핀(56)의 단면형상은 상기 상부 결합부재(52)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54)가 결합된 후 접촉면상에서 서로 미끄러져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엔진의 사양에 따라 리어액슬(40)이 다양한 각도로 조정, 장착되어야 하는 경우, 리어액슬(40)의 용접부 변경없이 조정되는 리어액슬(40)의 각도에 따라 적절한 하면 경사각을 갖는 상부 결합부재(52)를 선택 사용하여 리어액슬(40)의 수평각도를 조정,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에 의하면 상이할 시 구분이 난해한 리어액슬의 용접부 각도를 일원화할 수 있어 오조립에 따른 품질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리어액슬 사양의 단순화로 조립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어액슬(40) 상측에 용접 고정되어 판 스프링(60)을 지지하게 되는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에 있어서,
    리어액슬(40) 상측에 용접 고정되고 소정의 하면 경사각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홀(58b)이 형성된 하부 결합부재(54)와, 상기 판 스프링(60)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52)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면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홀(58a)이 형성된 상부 결합부재(52)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하부 결합부재(54)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52)가 상기 각 결합홀(58a, 58b)에 삽착되는 결합용 핀(56)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KR1020000079311A 2000-12-20 2000-12-20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KR20020049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311A KR20020049982A (ko) 2000-12-20 2000-12-20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311A KR20020049982A (ko) 2000-12-20 2000-12-20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982A true KR20020049982A (ko) 2002-06-26

Family

ID=2768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311A KR20020049982A (ko) 2000-12-20 2000-12-20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99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790Y1 (ko) * 2020-04-14 2021-06-03 김광석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790Y1 (ko) * 2020-04-14 2021-06-03 김광석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5316A (ko)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JP4296987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2009166796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10003228A (ko)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파워 트레인의 일체형 마운팅 구조
KR20020049982A (ko) 차량용 리어액슬의 스프링 시트
JP2000272535A (ja) 車両のサブフレーム構造
KR100846936B1 (ko)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차량용 서브 프레임
CN215705640U (zh) 悬置系统及车辆
KR100398336B1 (ko) 차량용 리어 액슬 구조
KR200229855Y1 (ko) 쇽업소버의마운팅구조
KR20040032394A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터 브라켓 어셈블리
KR100461363B1 (ko)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JPWO2006070440A1 (ja) リンク装置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KR100266076B1 (ko) 트레일링 암형 현가장치의 서스펜션 부시(A suspension bush using in a trailing arm type)
KR100483119B1 (ko) 자동차용 트랜스미션의 마운팅 구조
KR100388201B1 (ko) 전방 현가장치의 고정구조
KR100276818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고정구조
KR100391205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팅의 설치구조
KR200158671Y1 (ko) 자동차용 리어서스페션 구조
KR0185346B1 (ko) 슬리브가 일체화 된 자동차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100266535B1 (ko) 급발진쇼크저감을위한마운팅부시설치구조
KR100231516B1 (ko) 자동차 프론트구조의 비틀림강성 증대구조
KR19980054113U (ko) 자동차의 엔진 장착구조
KR20050120942A (ko) 리프 스프링의 차체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