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535B1 - 급발진쇼크저감을위한마운팅부시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급발진쇼크저감을위한마운팅부시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535B1
KR100266535B1 KR1019960076422A KR19960076422A KR100266535B1 KR 100266535 B1 KR100266535 B1 KR 100266535B1 KR 1019960076422 A KR1019960076422 A KR 1019960076422A KR 19960076422 A KR19960076422 A KR 19960076422A KR 100266535 B1 KR100266535 B1 KR 10026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rubber
vehicle body
mounting
rub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150A (ko
Inventor
김창우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7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5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발진 쇼크 저감을 위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리어크로스멤버의 양측 전후부에 러버부시가 삽입 설치된 부시케이스가 형성되고 이 부시케이스의 상하측에는 상부러버스톱퍼와 하부러버스톱퍼가 구비되며 상기 러버부시와 상부러버스톱퍼의 중앙 내부에 인너튜브가 삽입 설치되어 차체의 스텃볼트에 삽입 체결되는 마운팅부시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튜브(5)는 프런트측의 상부러버스톱퍼(3)와 차체(B)의 간격이 1,5mm가 되도록 연장형성하여 상기 상부러버스톱퍼(3)와 러버부시(2)의 중앙 내부에 삽입 설치하여 리어크로스멤버의 양측 전방부에 구비된 마운팅부시가 차량의 급발진에 의해 차체와 접촉되어도 접촉 충격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차체에 전달되는 임팩트쇼크를 저감시키는 등 차량의 정숙성과 주행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급발진 쇼크 저감을 위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
본 발명은 급발진 쇼크 저감을 위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급발진시 마운팅부시와 차체가 접촉됨으로 의해 발생되는 쇼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급발진 쇼크 저감을 위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측 현가장치에 구비된 리어크로스멤버는 디퍼렌셜기어장치를 지지하면서 레터럴링크 등과 같은 여러 부품이 연결 설치되어 차체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리어크로스멤버는 리어현가장치측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이 리어크로스멤버와 차체사이에 마운팅부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어크로스멤버(M)의 양측 전후부에는 부시케이스(C)가 형성되고, 이 부시케이스(C)에는 상단부에 상부러버스톱퍼(3)가 형성된 러버부시(2)가 삽입 설치되며, 이 러버부시(2)의 내부 중앙에는 인너튜브(5)가 접착 설치되고, 이 인너튜브(5)의 하단부에는 하부러버스톱퍼(4)가 설치되어 차체(B)에 체결된 스텃볼트(S)에 삽입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 마운팅부시 설치구조는 전방측의 상부러버스톱퍼(3)와 차체(B)사이의 간격과 리어측의 상부러버스톱퍼(3)와 차체(B)사이의 간격이 대략 4mm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차량의 급발진으로 인해 디퍼렌셜 기어장치(D)의 동력전달에 의해 리어휠(W)에 반시계 방향으로 토오크가 발생되면, 이 리어휠(W)을 지지하는 리어크로스멤버(M)의 마운팅부시(1)에는 시계방향으로 반작용 하려는 토오크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부시(1)의 전방측 상부러버스톱퍼(3)는 리어크로스멤버 (M)에 발생된 시계방향의 토오크에 의해 탄선변형(인장)되면서 차체(B)와 접촉 충돌하게 되어 급발진할 때마다 충격음을 발생시키게 되며, 리어측 마운팅부시(1)는 하측방으로 이송되어 하부러버스톱퍼(4)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충격음은 상부러버스톱퍼(3)와 차체(B)사이의 4mm 간격에 의해 임팩트 전까지의 마운팅러버(1)의 운동에너지가 증가되어 충돌하게 되므로 차체(B)에 임팩트쇼크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운팅부시 설치구조는 리오크로스멤버의 전방측에 설치된 마운팅부시의 상부러버스톱퍼와 차체가 4m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급발진할 때마다 발생되는 시계방향의 강한 토오크에 의해 상부러버스톱퍼가 차체와 순간적으로 접촉되면서 충격음을 발생시키므로 차량의 정숙성과 주행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마운팅부시를 제작하지 않고 상부러버부시와 차체사이의 간격을 축소시켜 차량의 급발진 할 때에 상부러버스톱퍼와 차체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급발진 쇼크를 저감시키는 마운팅부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어현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도 2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운팅부시 2 : 러버부시
3 : 상부러버스톱퍼 4 : 하부러버스톱버
5 : 인너튜브 S : 스텃볼트
B : 차체 M : 리어마운팅멤버
C : 부시케이스 W : 리어휠
D : 디퍼렌셜기어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발진 쇼크 저감을 위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는 상기 리어크로스멤버의 양측 전후부에 부시케이스가 형성되고 이 부시케이스의 내부에는 상단부에 상부러버스톱퍼가 형성된 러버부시가 삽입 설치되며 이 러버부시의 하측에는 하부러버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러버부시의 내부 중앙에는 인너튜브가 삽입 접착되어 차체의 스텃볼트에 삽입 체결되는 마운팅부시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크로스멤버(M)의 양측 전방부에 설치되는 마운팅부시(1)는 러버부시(2)의 상부러버스톱퍼(3)와 차체(B)의 간격은 1.5mm가 되도록 상기 러버부시(2)의 저면과 하측러버스톱퍼(4) 사이의 간격은 6.5mm가 되도록 상기 러버부시(2)의 내측 중앙에 인터튜브(5)를 삽입 고정시켜 차체(B)의 스텃볼트(S)에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도 2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급발진 쇼크 저감을 위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는 리어마운팅멤버(M)의 전방측에 부시케이스(C)가 구비되고, 이 부시케이스(C)의 내부에는 부시러버(2)가 삽입되며, 이 부시러버(2)의 상단부에는 상부러버스톱퍼(3)가 형성되고, 상기 부시러버(2)의 내부 중앙에는 인너튜브(5)가 삽입 접착 고정된다.
상기 인너튜브(5)는 상부러버스톱퍼(3)와 차체(B)와의 간격 1.5mm가 유지되면서 러버부시(2)의 저면과 하부러버스톱퍼(4) 사이의 간격이 6.5mm가 유지되도록 상기 러버부시(2)의 상하측으로 돌출되게 삽입 설치하여 차체(B)에 고정 설치된 스텃볼트(S)에 삽입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급발진에 의해 리어크로스멤버(M)에 시계방향의 토오크가 발생되면 이 리어크로스멤버(M)의 양측 전후부에 구비된 각각의 마운팅부시(1)중 전방측의 마운팅부시(1)는 러버부시(1)는 러버부시(2)의 탄성변형에 의해 인장되어 이 마운팅부시(1) 상측방의 차체(B)에 접촉하게 된다.
즉, 마운팅부시(1)는 도 1,3에서와 같이 차동기어장치(D)의 구동에 의해 리어휠(W)이 회전될 때 마다 리어크로스멤버(M)에 발생되는 시계방향의 비틀림 하중에 의해 차체(B)와 접촉하게 되나, 러버부시(2)의 상부러버스톱퍼(3)가 상승하는 구간이 1.5mm 이므로 차체(B)와 접촉한 상태에서 리어크로스멤버(M)의 강한 비틀림을 전달받게 되므로 상부마운팅러버(3)의 순간적인 접촉 충격(임팩트쇼크)이 적게 되어 차량이 급발진 할 때에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마운팅부시의 러버부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차체와의 간격이 1.5mm가 되도록 마운팅부시를 이동 설치하여 리어크로스멤버의 양측 전방부에 구비된 마운팅부시가 차량의 급발진에 의해 차체와 순간 접촉되는 경우 임팩트쇼크를 발생시키지 않음으로 접촉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정숙성과 주행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리어마운팅멤버(M)의 전방측에 부시케이스(C)가 구비되고, 이 부시케이스(C)의 내부에는 부시러버(2)가 삽입되며, 이 부시러버(2)의 상단부에는 상부러버스톱퍼(3)가 형성되고, 상기 부시러버(2)의 내부 중앙에는 인너튜브(5)가 삽입 접착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인터튜브(5)는 상부러버스톱퍼(3)와 차체(B)와의 간격이 1.5mm가 유지되면서 러버부시(2)의 저면과 하부러버스톱퍼(4) 사이의 간격이 6.5mm가 유지되도록 상기 러버부시(2)의 상하측으로 돌출되게 삽입 설치하여 차체(B)에 고정 설치된 스텃볼트(S)에 삽입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발진 쇼크 저감을 위한 마운팅부시 설치구조.
KR1019960076422A 1996-12-30 1996-12-30 급발진쇼크저감을위한마운팅부시설치구조 KR10026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422A KR100266535B1 (ko) 1996-12-30 1996-12-30 급발진쇼크저감을위한마운팅부시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422A KR100266535B1 (ko) 1996-12-30 1996-12-30 급발진쇼크저감을위한마운팅부시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50A KR19980057150A (ko) 1998-09-25
KR100266535B1 true KR100266535B1 (ko) 2000-09-15

Family

ID=1949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422A KR100266535B1 (ko) 1996-12-30 1996-12-30 급발진쇼크저감을위한마운팅부시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5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50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535B1 (ko) 급발진쇼크저감을위한마운팅부시설치구조
KR100428110B1 (ko) 차량의 엔진 마운팅용 롤 로드
KR100475889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보강구조
KR20090103102A (ko) 차량의 엔진 마운트
KR200151156Y1 (ko) 댐퍼볼트조립체
KR100803819B1 (ko) 차량의 바디 마운트
KR20040032394A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터 브라켓 어셈블리
KR0130621Y1 (ko)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KR100315356B1 (ko) 그물망 형태의 강관이 삽입된 로어 암 부쉬
KR200229855Y1 (ko) 쇽업소버의마운팅구조
JP3094908U (ja) 自転車のチェーンテンショナー装置
KR19980059935U (ko) 자동차 파워트레인 조립용 서브프레임의 보강구조
KR0119237Y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 브라켓(Bracket)
KR890005194Y1 (ko) 오우토바이용 범퍼
KR100210304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KR19980074612A (ko) 상용차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브라켓트
KR0185346B1 (ko) 슬리브가 일체화 된 자동차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20020048489A (ko) 차량의 바디 마운트 구조
KR100448829B1 (ko) 차량의 프론트 휠 하우스
KR20000013172U (ko) 자동차용 리어휠하우징
KR100471844B1 (ko) 차량의 프론트 앤드부 결합구조
KR19990031164U (ko)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KR0126057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9990002044U (ko) 엔진룸의 서스펜션 타워 구조
KR19990013622U (ko) 자동차의 중공구동축용 다이나믹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