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621Y1 -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 Google Patents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621Y1
KR0130621Y1 KR2019950040090U KR19950040090U KR0130621Y1 KR 0130621 Y1 KR0130621 Y1 KR 0130621Y1 KR 2019950040090 U KR2019950040090 U KR 2019950040090U KR 19950040090 U KR19950040090 U KR 19950040090U KR 0130621 Y1 KR0130621 Y1 KR 0130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inner diameter
bus
leaf spr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840U (ko
Inventor
박인갑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0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621Y1/ko
Publication of KR970042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6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의 일단 스프링아이에 설치되는 부시를 개선하여 충격완화에 따른 소음을 줄여 버스의 정숙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보 고안은 판 스프링(10)의 일단인 스프링아이(10a)에 압입설치되며 소정길이 나사부(30a)가 형성된 연결핀(30)으로 차체프레임으로 취부되는 브라켓트(40)와 관통설치되어 와셔(50)및 너트(60)로 고정설치되는 부시(20)에 있어서, 상기 부시(20)는 소정직경의 내경(21a)을 갖는 외측부시(21)와, 상기 내경(21a)에 압입되며 소정직경의내경(22a) 갖는 루버(22)와, 상기 내경(22a)에 압입되며 소정직경의 내경(23a)을 갖는 내측부시(23)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제1도는 종래 판 스프링에 부시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결합상태에 따른 일부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판 스프링의 일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상태 일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부시 21 : 외측부시
21a : 내경 22 : 루버
22a : 내경 23 : 내측부시
23a : 내경 23b : 암나사공
본 고안은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버스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의 일단에 형성된 스프링아이에 설치되는 부시를 개선하여 충격완화에 따른 소음을 줄여 버스의 정숙함을 향상시키도록 한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저면 차체프레임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은 적당히 휘어진 판을 여러장 겹쳐서 가운데를 중심볼트(center bolt)로 묶어 조립한 상태로 스프링의 양단을 둥글게 형성한 스프링 아이(spring eye)에 스프링핀으로 차체프레임에 설치하고 다른 한쪽은 주행중에 스프링의 상하움직임이나 좌우 흔들림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연결부재인 섀클로 연결설치되어 차체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버스의 차체프레임에 소정길이의 판 스프링(1)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판 스프링(1)의 일단인 스프링아이(1a)에 압입설치되는 소정길이의 부시(2)와, 상기 부시(2)에 압입되도록 일단에 소정길이의 나사부(3a)를 갖는 연결핀(3)과, 상기 연결핀(3)이 차체프레임에 취부되는 브라켓트(4)에 연설되도록 소정직경의 와셔(5)와 너트(6)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판 스프링의 스프링 아이(1a)로 설치되는 부시(2)는 먼저, 고무망치의 공구로 상기 스프링 아이(1a)에 압입시켜 삽입고정한 다음 상기 부시(2)의 양측으로 첨부도면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프레임(도면에서 생략함)에 마운팅되는 브라켓트(4)를 위치시켜 연결핀(3)의 끼워 브라켓트(4)와 상기 부시(2)를 통해 관통삽입되게 한후, 상기 연결핀(3)에 와셔(5)를 끝단에 또하나의 와셔(5)를 개재시키고 연결핀(3)의 일단에 형성한 나사부(3a)에 너트(6)를 체결시켜 차체충격에 대해 상기 연결핀(3)을 스프링 아이(1a)로부터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시켜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프링 아이(1a)로 압입설치되는 부시(2)는 보통 금속재인 스틸재질로 스프링 아이(1a)에 압입된 상태로 버스의 완충작용을 할때 상기 부시(2)에 관통조립된 연결핀(3)이 부시(2)와 심한 마찰로 인해 소음이 상당히 많이 발생되어 버스에 정숙함을 요하는데 큰영향을 미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연결핀(3)과 부시(2)가 단순히 압입되어 결합된 관계로 연결핀(3)과 부시(2)가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연결핀(3)과 부시(2)가 면접촉하면서 마찰소음이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판 스프링의 일단인 스프링아이에 설치되는 부시에 고무재질의 루버를 구비하여 충격완화에 따른 소음을 줄여 버스의 정숙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부시와 연결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부시와 연결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판 스프링의 일단인 스프링아이에 압입 설치되며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핀으로 차체 프레임에 취부되는 브라켓트와 관통 설치되어 와셔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고, 일정한 직경의 내경을 갖는 외측부시, 이 외측부시의 내경에 압입되며 소정직경으로 내경이 형성된 루버, 이 루버의 내경에 압입되며 일정한 직경으로 내경이 형성된 내측부시를 구비한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시의 내경에 상기 연결핀의 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토대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판 스프링의 일부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상태 일부 종단면도로, 판 스프링(10)의 일단인 스프링 아이(10a)에 압입 설치되며 나사부(30a)가 형성된 연결핀(30)으로 차체프레임에 취부되는 브라켓트(40)와 관통 설치되어 와셔(50) 및 너트(60)로 고정 설치되고, 일정한 직경의 내경(21a)을 갖는 외측부시(21), 이 외측부시(21)의 내경(21a)에 압입되며 소정직경으로 내경(22a)이 형성된 루버(22), 이 루버(22)의 내경(22a)에 압입되며 일정한 직경으로 내경(23a)이 형성된 내측부시(23)를 구비한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20)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시(23)의 내경(23a)에 상기 연결핀(30)의 나사부(30a)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공(23b)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판 스프링(10)의 스프링아이(10a)로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부시(20)는 외측 부시(21)의 내경(21a)에 소정직경의 루버(22)를 압입시켜 고정시켜주고, 상기 루버(22)의 내경(22a)으로 소정직경의 내측부시(23)를 압입시켜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부시(20)를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부시(20)의 양측으로 첨부도면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프레임(도면에서 생략함)에 마운팅되는 브라켓트(40)를 위치시켜 연결핀(30)에 와셔(50)를 끼워 브라켓트(40)와 상기 부시(20)를 통해 관통시켜 주는데, 이대 상기 연결핀(30)에 형성된 나사부(30a)를 내측부시(23)에 형성한 암나사공(23b)으로 나삽시켜 관통시켜 준다.
상기 연결핀(30)과 내측부시(23)를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연결핀(30)과 내측부시(23)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축방향애 대한 유동이 방지되며, 연결핀(30)와 내측부시(23)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소음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측부시(23)로 나삽되어 소정길이 돌출되게 관통한 연결핀(30)에 또하나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와셔(50)를 개재시키고 너트(60)를 체결시켜 차체충격에 대해 상기 연결핀(30)을 스프링아이(10a)로 부터 회전자재하게 설치시켜 준 다.
한편, 버스가 주행됨에 있어 판 스프링(10)의 스프링아이(10a)로 설치된 부시(20)에 판 스프링(10)의 마찰작용에 대한 충격감쇄작용을 할때, 상기 부시(20)의 외측부시(21)가 스프링아이(10a)로 부터 회전자재하게 마찰되는상태가 되고, 이때 외측부시(21)와 스프링아이(10a)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및 진동력은 상기 외측부시(21)와 내측부시(23)에 압입개재된 루버(22)가 흡수하게되어 판 스프링(10)의 감쇄작용에 의한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아이에 설치되는 부시에 고무재질인 루버를 추가하여 판 스프링의 작용상태에 따른 마찰소음의 전달을 완화시켜 버스의 정숙함을 구현할 수 있고, 연결핀과 부시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연결핀의 축방향에 대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판 스프링(10)의 일단인 스프링아이(10a)에 압입 설치되며 나사부(30a)가 형성된 연결핀(30)으로 차체 프레임에 취부되는 브라켓트(40)와 관통 설치되어 와셔(50) 및 너트(60)로 고정 설치되고, 일정한 직경의 내경(21a)을 갖는 외측부시(21), 이 외측부시(21)의 내경(21a)에 압입되며 소정직경으로 내경(22a)이 형성된 루버(22), 이 루버(22)의 내경(22a)에 압입되며 일정한 직경으로 내경(23a)이 형성된 내측부시(23)를 구비한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20)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시(23)의 내경(23a)에 상기 연결핀(30)의 나사부(30a)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공(2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KR2019950040090U 1995-12-12 1995-12-12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KR0130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090U KR0130621Y1 (ko) 1995-12-12 1995-12-12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090U KR0130621Y1 (ko) 1995-12-12 1995-12-12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840U KR970042840U (ko) 1997-07-29
KR0130621Y1 true KR0130621Y1 (ko) 1999-02-18

Family

ID=1943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090U KR0130621Y1 (ko) 1995-12-12 1995-12-12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6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507A (ko) * 2014-11-13 201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판스프링의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507A (ko) * 2014-11-13 201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판스프링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840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7690B1 (en) Mounting bracket for an anti-lock brake/traction control system control valve
KR0130621Y1 (ko)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JPH10238574A (ja) 弾性ブッシュ
KR100423309B1 (ko)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KR100412865B1 (ko)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71828B1 (ko) 상용차의 스태빌라이저바 장착구조
JP3094908U (ja) 自転車のチェーンテンショナー装置
KR0131250Y1 (ko) 크로스 멤버와 차체의 진동저감 결합구조
KR200181789Y1 (ko) 자동차의 로어암 취부구조
KR0152734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지지장치
JP2552959Y2 (ja) エンジンマウンチング装置
KR100210304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KR100325202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KR200179255Y1 (ko) 판스프링의 클램프구조
KR19980048748U (ko) 부쉬구조
KR0126076Y1 (ko)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KR101261941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유닛
KR19990033398A (ko) 분할 압입형 스프링 부시
KR0112308Y1 (ko) 차량용 쇽업소어버용 밸브 압입장치
KR20030083296A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KR960005626Y1 (ko) 차량용중간조향샤프트의 방진구조
KR19980047211U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마운팅
KR19990013622U (ko) 자동차의 중공구동축용 다이나믹댐퍼
KR19980031366A (ko) 다이내믹 댐퍼와 리프스프링의 취부구조
KR19980067927U (ko) 컨트롤아암의 부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