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309B1 -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 Google Patents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309B1
KR100423309B1 KR10-2001-0045887A KR20010045887A KR100423309B1 KR 100423309 B1 KR100423309 B1 KR 100423309B1 KR 20010045887 A KR20010045887 A KR 20010045887A KR 100423309 B1 KR100423309 B1 KR 100423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ircular shaft
lower arm
nut
fron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044A (ko
Inventor
문주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3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에 관한 것으로, 크로스멤버(3)부위로 체결되는 클램프결합부(4b)가 그 선단에 형성되는 원형축(4d)에 순차적으로 관통되면서 끼워지는 충격흡수부재(8) 및 클램프(6)와, 이 클램프(6)를 원형축(4d)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원형축(4d)에 구비된 나사홈(4e)으로 체결되는 너트(7e)와, 상기 클램프(6)와 원형축(4d)을 일체로 관통하여 조립되는 고정핀(9)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져, 주행중 로어암(4)에 비교적 큰 진동 및 충격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이 충격하중의 대부분이 상기 충격흡수부재(8)와 결합핀(9)에 의해 흡수되게 됨으로써, 상기 클램프결합부(4b)의 내구성이 향상되면서 로어암(4)의 사용수명도 향상되게 되고, 아울러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운전자가 조행핸들을 조작할 때 휠의 움직임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원활하게 조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lower arm of front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중 발생되는 차체의 진동 및 충격하중을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아울러 차량의 주행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서 크게 전방현가장치와 후반현가장치로 분류되어진다.여기서, 상기 전방현가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된 코일스프링(1)과, 이 코일스프링(1)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업소버(도시않됨)가 구비된 스트럿어셈블리(2)와, 언더바디의 강도 및 강성을 증진시키도록 된 크로스멤버(3)와, 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된 어퍼암(도시않됨) 및 로어암(4)과, 차체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테빌라이저바아(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로어암(4)의 외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티(T)자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세 개의 끝단중 한 개의 끝단은 차륜(D)의 너클(도시않됨)과 나사체결되어 결합되고 나머지 두 개의 끝단은 크로스멤버(3)와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로어암(4)의 끝단 중 부시(도시않됨)가 안쪽으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부시결합부(4a) 및 클램프(6)가 결합되는 클램프결합부(4b)는 각각의 볼트(7a) 및 너트(7b)에 의해 크로스멤버(3)와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고,상기 나머지 끝단인 너클결합부(4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륜(D)의 너클과 볼트(7c) 및 너트(7d)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램프결합부(4b)의 선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원형축(4d)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형축(4d)의 선단 외주면에는 나사홈(4e)이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형축(4d)에 클램프(6)를 관통시켜 끼운 상태에서 상기 원형축(4d)의 나사홈(4e)에 너트(7e)를 결합시게 되면, 상기 클램프(6)가 나사홈(4e) 및 너트(7e)의 결합력에 의해 원형축(4d)이 구비된 클램프결합부(4b)에 결합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어암(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6)가 충격흡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클램프결합부(4b)의 원형축(4d)으로 끼워져서 너트(7e)에 의해 결합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6)를 결합시킬 때 충격흡수부재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하중에 의해 상기 클램프결합부(4b)의 내구성이 점차적으로 약해지면서 로어암(4)의 형상이 변형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운전자가 조행핸들을 조작하게 되더라도 휠의 움직임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원활하게 조작되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램프가 충격흡수부재와 함께 클램프결합부의 원형축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고, 고정핀이상기 클램프와 원형축을 일체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져,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진동 및 충격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이 충격하중이 상기 충격흡수부재와 결합핀에 의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클램프결합부의 내구성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체적인 로어암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운전자가 조행핸들을 조작할 때 휠의 움직임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원활하게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 현가장치의 로어암이 부시결합부와 클램프결합부를 통해 크로스멤버에 2점 체결되고 너클결합부를 통해 차륜쪽으로 1점 체결되되,상기 부시결합부와 너클결합부가 각각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고,상기 클램프결합부는 길게 형성되면서 그 끝단 부위의 외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한 원형축과, 이 원형축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 이 너트가 체결된 원형축에 너트에 인접되도록 끼워져 고정핀을 매개로 원형축과의 체결력을 유지하는 클램프 및 이 클램프에 인접되도록 원형축에 끼워진 충격흡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방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전방현가장치에 사용되는 로어암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건 부분단면도로서, 종래구조에 따른 로어암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로어암 4b - 클램프결합부
4d - 원형축 4e - 나사홈
4f - 원형축관통구멍 6 - 클램프
6a - 클램프관통구멍 7e - 너트
9 - 고정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4)은 전방현가장치의 구성품으로 크로스멤버(3) 및 차륜(D)의 너클쪽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현가장치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된 코일스프링(1)과, 이 코일스프링(1)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업소버(도시않됨)가 구비된 스트럿어셈블리(2)와, 언더바디의 강도 및 강성을 증진시키도록 된 크로스멤버(3)와, 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된 어퍼암(도시않됨) 및 로어암(4)과, 차체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테빌라이저바아(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로어암(4)의 외형은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티(T)자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세 개의 끝단중 한 개의 끝단은 차륜(D)의 너클(도시않됨)과 나사체결되어 결합되고 나머지 두 개의 끝단은 크로스멤버(3)와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로어암(4)의 끝단 중 부시(도시않됨)가 안쪽으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부시결합부(4a) 및 클램프(6)가 결합되는 클램프결합부(4b)는 각각의 볼트(7a) 및 너트(7b)에 의해 크로스멤버(3)와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고, 상기 나머지 끝단인 너클결합부(4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륜(D)의 너클과 볼트(7c) 및 너트(7d)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램프결합부(4b)의 선단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원형축(4d)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형축(4d)의 선단 외주면에는 나사홈(4e)이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축(4d)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춘 도우넛 모양의 충격흡수부재(8) 및 클램프(6)가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원형축(4d)상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6)의 후부에는 원형축(4d)의 나사홈(4e)에 체결되는 너트(7e)가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원형축(4d)의 나사홈(4e)으로 너트(7e)가 체결되면, 상기 충격흡수부재(8) 및 클램프(6)는 나사홈(4e)과 너트(7e)의 결합력에 의해 원형축(4d)이 구비된 클램프결합부(4b)에 결합되어진다.
한편, 상기 클램프(6)에는 소정크기의 클램프관통구멍(6a)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축(4d)에는 원형축(4d)에 클램프(6)가 설치될 때 상기 클램프관통구멍(6a)과 일체로 연결되는 원형축관통구멍(4f)이 형성되는데, 상기 클램프관통구멍(6a)과 원형축관통구멍(4f)내에는 클램프관통구멍(6a)과 원형축관통구멍(4f)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핀(9)이 억지(강제)끼움으로 조립되어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클램프결합부(4b)의 원형축(4d)으로 충격흡수부재(8) 및 클램프(6)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너트(7e)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6)에 형성된 클램프관통구멍(6a) 및 상기 원형축(4d)에 형성된 원형축관통구멍(4f)으로 고정핀(9)이 끼워져서 결합되게 되면,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진동 및 충격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이 충격하중의 대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8) 및 고정핀(9)에 의해 충분히 흡수되게 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4)의 내구성이 그만큼 향상되게 된다.
즉, 주행중 타이어에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4)으로 비교적 큰 진동 및 충격하중이 전달되면, 상기 클램프(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암(4)으로 전달된 충격하중에 의해 충격흡수부재(8)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원형축(4d)상에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클램프(6)와 원형축(4d)을 일체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고정핀(9)이 상기 클램프(6)의 이동력에 의해 파단되면서 충격하중이 일부분을 일차적으로 흡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9)은 클램프(6)와 원형축(4d)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에서 파단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9)을 파단시킨 클램프(6)는 잔존하는 이동력에 의해 클램프결합부(4b)쪽으로 계속적으로 이동되어 충격흡수부재(8)와 접촉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재(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6)의 압축력에 의해 클램프결합부(4b)쪽으로 소정두께만큼 압축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핀(9)에 의해 일차적으로 흡수되지 못한 나머지의 충격하중이 이차적으로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4)에 비교적 큰 진동 및 충격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이 충격하중의 대부분이 상기 충격흡수부재(8)와 결합핀(9)에 의해 흡수되게 됨으로써,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로어암(4)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결합부(4b)의 내구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4)의 사용수명도 그만큼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결합부(4b)의 내구성이 향상되면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운전자가 조행핸들을 조작할 때 휠의 움직임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원활하게 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중 로어암에 비교적 큰 진동및 충격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이 충격하중의 대부분이 상기 충격흡수부재와 결합핀에 의해 흡수되게 됨으로써, 상기 클램프결합부의 내구성이 향상되면서 로어암의 사용수명도 향상되게 되고, 아울러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운전자가 조행핸들을 조작할 때 휠의 움직임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원활하게 조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전방 현가장치의 로어암(4)이 부시결합부(4a)와 클램프결합부(4b)를 통해 크로스멤버(3)에 2점 체결되고 너클결합부(4c)를 통해 차륜(D)쪽으로 1점 체결되되,
    상기 부시결합부(4a)와 너클결합부(4c)가 각각 볼트(7a)와 너트(7b)를 매개로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결합부(4b)는 길게 형성되면서 그 끝단 부위의 외주면에 나사홈(4e)을 형성한 원형축(4d)과, 이 원형축(4d)에 형성된 나사홈(4e)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7e), 이 너트(7e)가 체결된 원형축(4d)에 너트(7e)에 인접되도록 끼워져 고정핀(9)을 매개로 원형축(4d)과의 체결력을 유지하는 클램프(6) 및 이 클램프(6)에 인접되도록 원형축(4d)에 끼워진 충격흡수부재(8)로 이루어진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9)이 클램프(6)에 형성된 클램프관통구멍(6a)과 원형축(4d)에 형성된 원형축관통구멍(4f)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억지(강제)끼움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3. 삭제
  4. 삭제
KR10-2001-0045887A 2001-07-30 2001-07-30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KR100423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887A KR100423309B1 (ko) 2001-07-30 2001-07-30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887A KR100423309B1 (ko) 2001-07-30 2001-07-30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044A KR20030012044A (ko) 2003-02-12
KR100423309B1 true KR100423309B1 (ko) 2004-03-18

Family

ID=2771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887A KR100423309B1 (ko) 2001-07-30 2001-07-30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3017B (zh) * 2005-07-18 2010-10-13 麦格纳国际公司 控制臂及转向节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221A (ja) * 1989-12-25 1991-08-28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4221211A (ja) * 1990-12-21 1992-08-11 Mazd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の防振構造
KR950017459U (ko) * 1993-12-28 1995-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판스프링을 이용한 로워암 지지부싱
KR950017458U (ko) * 1993-12-28 1995-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로워 암 지지부싱
KR970028495U (ko) * 1995-12-29 1997-07-24 서스펜션 로워아암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221A (ja) * 1989-12-25 1991-08-28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4221211A (ja) * 1990-12-21 1992-08-11 Mazd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の防振構造
KR950017459U (ko) * 1993-12-28 1995-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판스프링을 이용한 로워암 지지부싱
KR950017458U (ko) * 1993-12-28 1995-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로워 암 지지부싱
KR970028495U (ko) * 1995-12-29 1997-07-24 서스펜션 로워아암의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044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309B1 (ko)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CA2464162A1 (en) Knuckle to tie rod damping system
KR100456889B1 (ko) 차량용 리어현가장치의 로어암
KR100412858B1 (ko) 현가장치의 어퍼암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100498698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태빌라이저바 장착구조
KR100401872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KR20160059722A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KR20060021999A (ko)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
KR100412842B1 (ko)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의 설치구조
KR20060070011A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KR200141300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암과 차체의 결합구조
KR0124626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취부구조
KR19980021623A (ko) 어퍼암 부쉬
KR20090070187A (ko) 자동차용 볼조인트
KR20030083296A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KR20050018117A (ko) 볼조인트 일체형 스태빌라이저 바 장착구조
KR20070087536A (ko) 차량용 러버마운팅 조립체
KR20090083137A (ko) 차량용 볼 스터드 조립장치
KR20190069896A (ko) 자동차의 로어 암 및 로어 암 마운팅장치
KR20040003197A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구조
KR19980010442U (ko)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 취부구조
KR19980078623A (ko) 텐션로드의 보강 유지장치
KR19990028101A (ko) 프론트 서스펜션 시스템
KR19980031442U (ko) 차량의 리어 스테빌라이저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