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076Y1 -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076Y1
KR0126076Y1 KR2019950002914U KR19950002914U KR0126076Y1 KR 0126076 Y1 KR0126076 Y1 KR 0126076Y1 KR 2019950002914 U KR2019950002914 U KR 2019950002914U KR 19950002914 U KR19950002914 U KR 19950002914U KR 0126076 Y1 KR0126076 Y1 KR 0126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lower arm
bush
outer pip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234U (ko
Inventor
박경일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02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076Y1/ko
Publication of KR960029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2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4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로어아암(low arm)에 체결되는 부쉬(bush)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비틀림 모우먼트에 의해 탈거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파이프(22)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파이프 내주면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고무(21) 외주면에 상기 요홈부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로어아암(10)이 상하 유동에 의해 부쉬(20)에 비틀림모우먼트가 작용되면, 고무(21)의 외주면에 돌출된 돌출부가 자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외측파이프(22)의 요홈부와 일체로 유동되도록 하는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로어아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로어아암의 부쉬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3도는 종래 로어아암의 부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부쉬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부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어아암 11 : 관통구멍
20 : 부쉬 21 : 고무
22 : 외측파이프 23 : 내측파이프
30 : 스핀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로어아암(low arm)에 체결되는 부쉬(bush)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틀림 모우먼트에 대한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탈거되는 것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로어아암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어아암(10)의 일측에 관통구멍(11)이 형성되어 관통구멍(11) 내주면에 부쉬(20)의 외주면이 기밀하게 장착되고, 스핀들(30)이 부쉬(20)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너트(31)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의 로어아암은, 차량의 운행중 운행환경에 따라 로어아암(10)이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데, 부쉬(20)가 로어아암(10)의 관통구멍(11)과 스핀들(30) 사이에서 윤활기능을 하여 유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부쉬(20)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무(21)의 외주면에 외측파이프(22)가 기밀하게 끼워지고, 고무(21)의 내주면에 내측파이프(23)가 기밀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로어아암의 부쉬는, 로어아암(10)의 상하 유동에 의해 외측파이프(22)와 내측파이프(23)에 비틀림모우먼트가 작용하는데, 원형단면의 고무(21)가 원형단면의 외측파이프(22)의 재주면에 압입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파이프(22)와 내측파이프(23) 사이에서 고무(21)가 미끄러지게 되고, 이로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무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 외주면에 끼워지는 외측파이프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요홈부가 형성되어, 비틀림모우먼트가 작용되면 상기 고무의 돌출부가 탄력적으로 외측파이프와 함께 연동되도록 하는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장착되는 로어아암의 구조도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어아암(10)의 일측에 관통구멍(11)이 형성되어 관통구멍(11) 내주면에 부쉬(20)의 외주면이 기밀하게 장착되고, 스핀들(30)이 부쉬(20)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너트(31)에 의해 체결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파이프(22)의 내주면에 측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내측파이프(23)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고무(21) 외주면에 외측파이프(22)의 요홈부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축방향으로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차량의 운행중 로어아암(10)이 상하 유동에 의해 부쉬(20)에 비틀림모우먼트가 작용되면, 고무(21)의 외주면에 돌출된 돌출부가 자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외측파이프(22)의 요홈부와 일체로 유동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부쉬(20)에 비틀림모우먼트가 작용되어도 고무(21)의 미끄러지는 현상이 억제되어, 미끄럼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돌출부와 요홈부의 결합에 의해 고무(21)의 체결력이 향상되어 탈거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무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외측파이프 내주면에 형성되어, 비틀림모우먼트에 대한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소음과 탈거를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파이프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파이프 내주면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고무 외주면에 상기 요홈부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KR2019950002914U 1995-02-22 1995-02-22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KR0126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914U KR0126076Y1 (ko) 1995-02-22 1995-02-22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914U KR0126076Y1 (ko) 1995-02-22 1995-02-22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234U KR960029234U (ko) 1996-09-17
KR0126076Y1 true KR0126076Y1 (ko) 1998-12-01

Family

ID=1940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914U KR0126076Y1 (ko) 1995-02-22 1995-02-22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0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234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3014A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stabilizer
KR0126076Y1 (ko) 자동차 로어아암의 부쉬구조
KR100435273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JP2007112318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KR0129014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랙부시
JPH0114461B2 (ko)
JP2594762Y2 (ja) キャブマウント装置
JPH0246453Y2 (ko)
KR101454906B1 (ko) 토션 바 지지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200308592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아웃터 볼 조인트 구조
JP5876267B2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および軸受装置
JP5860273B2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および軸受装置
KR200301928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JPH0322020Y2 (ko)
KR970004338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랙부쉬(Rack Bush)구조
JPH0681970B2 (ja) ブッシュ組立体
KR0130621Y1 (ko) 버스의 판 스프링 장착용 부시
KR200181789Y1 (ko) 자동차의 로어암 취부구조
JPH074459A (ja) 筒形防振ゴム及び防振装置
KR20050060873A (ko) 스태빌라이저 바 부시의 소음방지 구조
KR200203474Y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댐퍼 구조체
KR200198939Y1 (ko) 자동차용 인슐레이터 베어링의 구조
KR100434661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구조
KR20050092894A (ko)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200153771Y1 (ko) 스태빌라이저 바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