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882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882B1
KR100458882B1 KR10-2002-0012636A KR20020012636A KR100458882B1 KR 100458882 B1 KR100458882 B1 KR 100458882B1 KR 20020012636 A KR20020012636 A KR 20020012636A KR 100458882 B1 KR100458882 B1 KR 10045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ssembly
cartridge
developer
photosensitive drum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245A (ko
Inventor
오구마도오루
가라까마도시유끼
요꼬이아끼요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03G15/08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the level being measured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1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기 위한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해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될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전자사진 복사 기계, 전자사진 프린터(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기계, 워드 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고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이는 또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세척 수단, 전자사진 감광 드럼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고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 또는 최소한의 현상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고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또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수단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 내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채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서비스 기사에 의존하지 않고서 장치를 유지 보수할 수 있게 하여, 작업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사용자는 스스로 카트리지를 교체한다. 따라서, 몇몇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에게 현상제의 잔량을 알려주기 위하여 현상제량 검출 수단을 갖추고 있다. 현상제량 검출 수단과 관련하여, 다수의 전극들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전극들 사이의 전정 용량 변화가 검출되어 현상제의 잔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면, 카트리지와 장치 주 조립체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는 전기 접촉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272,299호).
미국 특허 제6,272,299호에 따르면, 전기 접촉부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크기 면에서 감소시키도록 최적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촉부들의 배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을 더욱 발전시킨 결과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측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이 계속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입력 및 출력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소형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측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이 계속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입력 및 출력 전기 접촉부들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측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되는 정확성을 개선하기위해 입력 및 출력 전기 접촉부들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위치되어 있는 소형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 및 출력 전기 접촉부들 모두를 포함하여 전기 접촉부들을 최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실현되는 크기가 소형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측 상의 고압 회로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여러 전극들이 전자사진 감광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기 위한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해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될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3은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상부의 사시도.
도4는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척 유닛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감광 드럼의 접지 전기 접촉부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현상제량 검출 회로의 다이어그램.
도8은 제1 및 제3 전극들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에 어떻게 부착되는 지를 도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9는 제2 전극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에 어떻게 부착되는 지를 도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10은 제1 내지 제3 전극들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에 부착된 후에 현상수단 유지 프레임과 현상제 용기가 상호 어떻게 결합되는 지를 도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및 현상제 용기의 사시도.
도11은 외부 전기 접촉부의 배치를 도시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측면도.
도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전자사진 감광 드럼
8: 대전 롤러
12: 현상 롤러
22a: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
23a: 출력 전기 접촉부
28a: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
29a: 입력 전기 접촉부
40: 접지 전기 접촉부
81: 출력 전극
82: 입력 전극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A)는 (이하에서 감광드럼으로 언급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7)을 갖는다. 감광 드럼(7)은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에 의하여 대전되고 방출된 레이저 광 빔에 노광되며,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형 거울, 렌즈, 편향 거울 등을 포함하는 광학 수단(1)으로부터의 화상 형성 정보에 의해 변조된다.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잠상은 현상 수단에 의하여 현상 화상 또는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 수단은 현상제를 감광 드럼(7)으로 송출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 부재인 현상 롤러(12)와, 현상제가 현상 롤러(12)의 주연 표면에 부착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인 현상 블레이드(18)를 포함한다. 현상 수단은 또한 현상 롤러(12)와 현상 블레이드(18)를 유지하기 위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과, 현상제를 유지하기 위한 현상제 유지 프레임(11)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112)와 현상 블레이드(18)가 유지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과, 현상제가 유지되는 현상제 유지 프레임(11)은 결합되어 현상 유닛(20) 또는 현상 장치를 형성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은 현상 챔버(13a)를 갖는다. 현상 챔버(13a)와 결합된 현상제 유지부(14) 내에 유지되는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 부재(15)의 회전에 의하여 현상 챔버(13a) 내의 현상 롤러(12)를 향해 이송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은 현상 롤러(12)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현상제 교반 부재(16)를 구비한다. 현상제 교반 부재(16)는 현상제가 현상제 유지부(14)로부터 송출된 후에 현상 챔버(13a) 내에서 현상제를 순환시킨다. 현상제는 자성이고, 현상 롤러(12)는 영구 자석(17)을 포함한다. 따라서, 현상제는 현상 롤러(12)의 주연 표면에 부착된다.
현상 롤러(12)가 회전되면, 현상제가 이송되어 현상 블레이드(18)에 의하여 마찰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결과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현상제 층이 현상 롤러(12)의 주연 표면 상에 형성되어 감광 드럼(7)의 현상 영역으로 이송된다. 현상 영역 내에서, 현상제는 잠상에 대응하여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의 영역 상으로 전사되어,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상에서 현상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12)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가 구비하고 있는 현상 바이어스 회로에 연결된다. 보통, AC 및 DC 전압의 조합인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현상 롤러(12)에 인가된다.
한편, 전술한 현상 화상의 형성과 동시에, 시트 공급 카세트(3a) 내에 놓인 기록 매체(2)가 픽업 롤러(3b) 및 이송 롤러 쌍(3c, 3d, 3e)에 의하여 전사 스테이션으로 송출된다. 전사 스테이션 내에, 전사 수단인 전사 롤러(4)가 배치되어 있다. 전사 롤러(4)에 전압이 인가되면, 감광 드럼(7) 상의 현상 화상이 기록매체(2) 상으로 전사된다.
기록 매체(2)는 현상 화상을 수용한 후에 이송 가이드(3f)에 의하여 정착 수단(5)으로 이송된다.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c)와 히터(5a)를 포함하는 정착 롤러(5b)를 구비한다. 현상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2)가 정착 수단(5)을 통과하면, 열과 압력이 기록 매체(2)에 인가되어 그 위의 현상 화상이 정착 수단(5)에 의하여 정착된다. 결과적으로, 현상 화상은 기록 매체(2)에 정착된다.
그 후에, 기록 매체(2)는 배출 롤러 쌍(3g, 3h)에 의하여 더 이송된 다음 역전 통로(3j)를 통해 송출 트레이(6) 내로 배출된다. 송출 트레이(6)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상부 표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기록 매체(2)를 역전 통로(3j)를 통해 보내지 않고서 기록 매체(2)를 배출하도록 피벗 가능한 플래퍼(3k)를 피벗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픽업 롤러(3b), 이송 롤러 쌍(3c, 3d, 3e), 이송 가이드(3f), 및 배출 롤러 쌍(3g, 3h)이 이송 수단을 형성한다.
전사 롤러(4)에 의하여 기록 매체(2) 상에 현상 화상이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 입자가 세척 수단(9)에 의하여 제거되어, 감광 드럼(7)을 화상 형성을 위한 다음 회전 사이클을 위해 준비한다. 세척 수단(9)은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 입자를 긁어내리기 위하여 감광 드럼(7)의 주연 표면과 접촉하여 위치된 탄성 세척 블레이드(9a)를 구비한다. 제거된 현상제 입자는 제거된 현상제 통(9b) 내로 수집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설명)
도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 수단이 제공된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과, 현상제 유지 프레임(11)을 포함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과 현상제 유지 프레임(11)은 서로 용접되어, 현상 유닛(20; 현상 장치)을 형성한다. 현상제 유지 프레임(11)은 현상제 유지부(14)와, 상기 현상제 유지부(14) 내의 현상제가 통과하여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으로 공급되는 현상제 출구(47)를 포함한다. 현상제 유지부(14)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15)가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처음으로 사용될 때까지, 현상제 출구(47)는 현상제 시일(48)로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처음으로 사용될 때, 현상제 시일(48)은 현상제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당겨진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은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12)와, 현상 블레이드(18)를 유지한다.
드럼 유지 프레임(21)은 세척 블레이드(9a) 등과 같은 세척 수단(9)과,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를 유지하여, 세척 유닛(19)을 구성한다.
현상 유닛(20)과 세척 유닛(19)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일체로 연결된다.
다음에, 도3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하거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해제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3은 커버(35)가 개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A)에는 좌측 및 우측 안내 레일(26L, 26R)(26R은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되는데, 이들은 화상 형성 장치(A)의 좌측 및 우측벽의 내부면 상에 각각 존재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볼 때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화상 형성 장치(A)에는 좌측 및 우측 위치설정 홈(26bL, 26bR)(26bR은 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다. 이들 안내 레일(26L, 26R)과, 위치설정 홈(26bL, 26bR)은 커버(35)가 힌지(35a; 도1)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개방됨에 따라 노출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축선이 감광 드럼(7)의 축선과 정렬되는 좌측 및 우측 원통형 안내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에는 좌측 및 우측 위치설정 안내부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가늘고 길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볼 대 일대일로 원통형 안내부 뒤에 존재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및 우측 원통형 안내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및 우측 위치설정 안내부가 안내 레일(26L, 26R)에 삽입된 다음에, 원통형 안내부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대응하는 위치설정 홈(26bL, 26bR)에 끼워맞춰진다.
이와는 반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서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단계가 역으로 수행되는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안내 레일(26L, 26R) 다음에 당겨진다.
(세척 유닛에 대한 설명)
세척 유닛(19)을 구성하도록,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와, 세척 수단 등이 드럼 유지 프레임(21)에 일체로 부착된다.
도4는 아래에서 본 세척 유닛(19)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럼 유지 프레임(21)에는 상기 여러 가지 부품들에 덧붙여다수의 전기 접촉부가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에는 (1)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를 통해 감광 드럼(7)을 접지하도록 감광 드럼(7)에 접속된 접지 접촉부로서의 원통형 안내부(21aL)(이하, 접지 접촉부로서 칭할 때는 도면 부호 40으로 표시함)와, (2) 대전 롤러(8)에 대전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해 대전 롤러축에 접속된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28)가 제공된다.
도5를 참조하면, 접지 접촉부(40)는 전기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플랜지(41)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41)에는 드럼축(27)이 제공되는데, 이 또한 플랜지(41)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그 축선은 접지 접촉부(40)의 중심과 정렬하고 있다. 또한, 감광 드럼(7)은 드럼 실린더(7a) 및 상기 드럼 실린더(7a)와 접촉하는 접지판(7b)을 포함한다. 따라서, 감광 드럼(7)은, 접지판(7b)을 드럼축(27) 위에 직접 가압함으로써 접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도6을 참조하면,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는, 대전 롤러축(8a)과 접촉하는 복합 스프링(8b)을 통해 대전 롤러(8)의 대전 롤러축(8a)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 스프링(8b)은 코일 스프링부(8b1)와 직선 와이어 스프링부(8b2)를 포함한다.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 부재(28)는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와 스프링 시트(28b)를 갖는다. 따라서,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를 통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된 대전 바이어스는 스프링 시트(28b)와, 코일 스프링부(8b1)와, 직선 와이어 스프링부(8b2)를 통해 대전 롤러(8)에 인가된다. 대전 롤러 베어링(8c)은 드럼 유지 프레임(21)의 안내 홈(21b)에 끼워맞춰진다.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는 프로세스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내에 있을 때 하방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드럼 유지 프레임(21)에 부착된다.
상술한 두 개의 전기 접촉부[접지 접촉부(40)와 대전 바이어스 접촉 부재(28)]는 감광 드럼(7)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동일한 단부에 배치된다.
(현상제 양 검출 수단에 대한 설명)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이 제공되는데, 이는 현상제가 소모됨에 따라 현상제 챔버(13a)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에는 제1, 제2 및 제3 전극(81, 82 및 83)이 제공되는데, 이들은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계측 전극을 구성한다. 이들 전극은 현상 롤러(1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전극(81)은 현상 롤러(12)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 전극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하부에 부착된다. 제1 및 제3 전극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내부에서 서로 접속되어, 전위가 같게 된다.
제2 전극(82)은 제1 전극(81)보다 현상제 유지 프레임(11)에 보다 더 인접하여 배치되고,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전극(81)과 대향한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전압이 제1 전극(81) 또는 제2 전극(82)에 인가됨에 따라, 이들 전극 사이에 정전기가 유도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도록, 이 정전기의 양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측에 제공된 검출 회로에 의해 계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가 이들 전극 사이로 들어감에 따라, 이들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한다. 따라서, 이들 전극 사이의 현상제의 양은 이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82)은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으로서 사용되고, 제1 및 제3 전극(81, 83)은 출력 전극으로서 사용된다.
상술된 제1, 제2 및 제3 전극(81, 82, 83)은 현상제 유지 프레임(11)의 현상제 이송 부재(15)에 의해 현상제 수단 유지 프레임(13) 쪽으로 이송된 후 현상제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에 유입되는 곳에 배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 안에 실질적인 양의 현상제가 있을 때,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 부재(15)에 의해, 전극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안으로 밀어지고, 그래서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값은 높은 레벨로 유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계속해서 사용됨에 따라, 그 안의 현상제는 계속 소비되고, 전극 사이의 현상제의 레벨은 점점 떨어지고, 그래서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은 감소된다. 그래서, 현상제의 잔류량은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의 감소에 따라 계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12)에 가해지는 현상 바이어스는 입력 전압으로서 사용되고, 현상 롤러(12)와 제1 전극(81) 사이의 정전 용량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 현상제가 잔류되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검출된다. 즉, 검출 수단은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현상제의 양을 계속해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검출 회로의 설명)
도7은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제 양 검출 회로의 일 예의 개략도이다.
현상제 양 검출 회로(200)는 검출 부분(80), 현상 바이어스 회로(201), 제어 회로(202), 및 증폭 회로(204)를 포함한다. 검출 부분(80)은 상술된 제1, 제2 및 제3 전극(81, 82, 83)과 현상 롤러(12)를 포함한다. 이 검출 부분(80)은 현상제 양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전기를 유도한다. 이 검출 부분(8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 측상에 있다.
이에 비해, 현상 바이어스 회로(201), 제어 회로(202), 및 증폭 회로(204)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측상에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현상 롤러(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 부재(22)가 제공되나, 반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는 현상 바이어스 회로(201)와 접촉하는 전기 접촉부(103)가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안으로 삽입됨에 따라,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 부재(22)의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a)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측상의 전기 접촉부(103)는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하여 배치된다. 현상 롤러(12)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현상 바이어스 회로(201)로부터 전기 접촉부(103) 및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a)를 통해 현상 바이어스가 가해진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화상 형성 장치(A)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 접촉부를 구성하는, 입력 전기 접촉부(29a)와 출력 전기 접촉부(23a)가 제공된다. 이러한 접촉부들(23a, 29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단부 벽들 중 하나에 위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안으로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A) 측상에 제공되는 전기 접촉부(30, 31)와 접촉하게 된다.
검출 부분(80)의 정전 용량(Ca)은 제1 및 제2 전극(82, 81) 사이의 정전 용량과 제2 및 제3 전극(82, 83) 사이의 정전 용량의 조합이다. 이것은 현상제 양에 반응하여 변한다.
검출 부분(80)과 관련하여, 입력 측상에 있는, 임피던스 요소로서의, 전극, 즉 본 실시예에서의 제2 전극(82)은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를 통해, 현상 바이어스 인가 수단을 구성하는 현상 바이어스 회로(201) 및 제어 회로(202)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전극(82)은 입력 전극이고,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전기 접촉부(30)와 입력 전기 접촉부(29a)를 통해 현상 바이어스 회로(201)에 연결된다. 또한 그것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전력 전달 부재(36)를 통해 제어 회로(202)에 연결된다.
검출 부분(80)의 다른 전극들, 또는 출력 전극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및 제3 전극(81, 83)은 출력 전기 접촉부(23a), 및 장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촉부(31), 및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전력 전달 부재(37)를 통해 제어 회로(202)에 연결된다.
제어 회로(202)에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안의, 현상 바이어스 회로(202)에 연결되는, 기준 용량 요소(Cb)가 제공된다. 기준 용량 요소(Cb)는 현상제 양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V1)을 설정하기 위해 현상 바이어스 회로(201)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류(Ⅰ1)를 사용한다. 제어 회로(202)에서, 기준 용량 요소(Cb)로 공급되는 교류 전류(Ⅰ1)는 용적(VR1)으로 나누어지고, 교류 전류(Ⅰ1)를 생성하는데, 이 교류 전류(Ⅰ1)는 저항기(R2)에 의해 감소되는 전압의 양(V2)을 저항기(R3, R4)에 의해 설정되는 전압(V3)에 더함으로써 기준 전압(V1)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증폭 회로(204)에는 전압 차이를 계산하기 위한 비교 소자가 제공된다. 검출 부분(80)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Ⅰ2)는 증폭 회로(204) 안으로 입력되고, 현상제 양의 검출된 값(V1 - Ⅰ2 R5)으로서 출력된다. 이 출력 값은 잔류 현상제의 양의 검출된 값으로서 이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검출된 잔류 현상제의 양과 관련된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제공되는 (도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B) 안의 현상제의 잔류량은 계속적으로 검출되고, 현상제의 소모 양은 현상제의 잔류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준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현상제가 없다는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환하게 할 수 있다.
(전극 부착에 대한 구조의 설명)
다음은,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제1, 제2 및 제3 전극(81, 82, 83)을 현상 장치 구조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가 설명된다. 제1, 제2 및 제3 전극(81, 82, 83)을 포함하는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은 제1 및 제2 전극(82, 81) 사이의 공간과 제3 및 제2 전극(83, 82) 사이의 공간의 정전 용량을 검출함으로써 현상제 양을 검출한다. 그래서, 각 전극의 위치적 정확성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목적들 중 하나는 현상제의 고갈로 인해 의도되지 않는 하얀 얼룩을 갖는 화상의 형성이 언제 시작되는지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그래서, 각 전극은 현상제가 완전히 고갈될 때까지 현상제와 접촉할 현상 롤러(12)에 가깝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것이 이 실시예에서의 전극들(81, 82, 83)이 현상 프레임, 즉 도8 및 도9에 도시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에 부착되는 이유이다.
(제1 및 제3 전극)
도8은 제1 및 제3 전극(81, 83)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에 부착되는 방식을 도시하기 위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81)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전극 부착 표면(13b)에 보스(13c)를 위치시킴으로써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에 대해 정확히 위치되고,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표면(13b)에 접착된다. 제1 전극(81)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에는 아암 부분(81a)이 제공되고, 아암 부분(81a)의 단부는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직립으로 절곡되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홈(13d) 안으로 끼워지는 부분(81b)을 형성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홈(13d) 옆에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내향 측으로부터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외향 측으로 연장되고 그 위치가 직립 절곡된 부분(81b)의 구멍(81c)에 대응되는 측면 구멍(13e)이 제공된다.
제3 전극(83)은 박판의 일편이다. 제3 전극(83)의 종단부들은 아암부(83a, 83b)를 일대일로 구비하며, 이들은 2개의 아암부(83a, 83b) 사이의 제3 전극(83)의 주요부와 사실상 수직이다. 아암부(83a, 83b)는 각각 위치 설정 보스(13k)가 내부로 일대일 끼워 맞춤되는 위치 설정 구멍(83e, 83f)을 구비한다. 아암부(83a)의 단부는 수직으로 절단 및 직립 절곡되어 아암부(83a)의 주요부 및 제3 전극(83)의 주요부에 사실상 수직한 부분(83c)을 형성한다. 제3 전극(83) 아암부(83a)의 직립 절곡부(83c)는 제1 전극(81)의 직립 절곡부(81b)와 동일한 형상이다.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제3 전극(83)을 부착시키기 위해, 위치 설정 보스(13k)는 전극 접촉면(13i, 13j)과 접촉하도록 아암부(83a, 83b)를 배치하여 아암부(83a, 83b)의 위치 설정 구멍(83e)을 통해 일대일로 놓여진 후,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공정 동안, 직립 절곡부(83c)를 갖는 아암부(83c)의 단부는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홈(13d) 내에 끼워 맞춤된다. 제3 전극(83)이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부착되므로, 직립 절곡부(83c)는 후속으로 위치 설정되고 직립 절곡부(81b)와 평행한 구멍(83d)을 구비한다.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측면 구멍(13e)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외향 측면으로부터 측면 구멍(13e) 내로 가압되는 탄성 밀봉 부재(24)를 수용하도록 형상 및 크기에 있어서 탄성 밀봉(24)과 들어 맞는다. 측면 구멍(13e) 내로 탄성 밀봉 부재(24)를 삽입한 후, 원통형 로드의 일편으로 형성된 U자형 전극(25)이 측면 구멍(13e), 특히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구멍에 삽입된 후,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 내의 구멍(81c, 83d)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제1 전극(81), 제3 전극(83) 및 전극(25)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전극)
도9는 제2 전극이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어떻게 부착되는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82)은 박판의 일편으로 형성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사실상 수직으로 절곡된다. 길이방향 단부에 일대일로 위치된 한 쌍의 아암부(82a)를 갖는다. 제2 전극(82)의 아암부(82a) 각각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위치 설정 보스(13h)가 끼워 맞춤되는 위치 설정 구멍(82b) 및 나사 구멍(82c)을 구비한다.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제2 전극(82)을 부착시키기 위해, 먼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보스(13h)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대해 제2 전극(82)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제2 전극(82)의 대응하는 위치 설정 구멍(82b)에 끼워 맞춤된 후, 한 쌍의 소형 나사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제2 전극(82)을 고정시키도록 대응하는 나사 구멍(82c)을 통해 암나사를 갖는 대응하는 구멍(13q)에 나사 결합된다. 이 공정 동안, 판 전극(32)이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고정되는 것과 같이 제2 전극(82)과 접속하게 배치되도록 소형 나사 중 하나(도9에서 전방 측면 상의 나사)는 판 전극(32)의 나사 구멍(32c)을 통해 놓여진다. 판 전극(32)은 제2 전극(82)과 외향 전기 접속된다. 제2 전극(82)이 있는 것이 제1 전극(81)을 부착하는 공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전극(81)의 부착후 제2 전극(82)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베어링의 개재에 의해 현상 롤러(12)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홀더(90)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 부착된다[현상 롤러(12)는 이후에 설명될 초음파 용접에 의해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과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을 결합한 후 홀더(90) 내에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A)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시키는 출력 판 전극(23) 및 현상 롤러(12)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22)가 이 홀더(90)에 부착된다.
화상 형성 장치(A)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시키는 출력 전기 접촉자(23a)를 구성하는 판 전극(23)의 일부는 홀더(90)가 구비하는 사실상 정사각형인 구멍(90a) 내에 끼워 맞춤된다. 출력 판 전극(23)은 접촉부(23b)를 구비한다. 홀더(90)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부착됨에 따라, 접촉부(23b)는 원통형 접촉자(25)와 접촉하게 되고 제1 및 제3 전극(81, 83)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출력 전기 접촉자(23a)를 배치시킨다.
화상 형성 장치(A)와 현상 롤러(12)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22)가 홀더(90)에 부착된다. 현상 바이어스 접촉 부재(22)는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자(22a) 및 접촉부(22b)를 구비한다. 홀더(90)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부착됨에 따라, 접촉부(22b)가 현상 롤러(12)에 부착된 슬리브 전극(12a)과 접촉하게 되고, 슬리브 전극(12a)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극(82)은 제1 및 제3 전극(81, 83)과 전위차에 있어서 상이하다. 따라서, 제2 전극(82)이 제1 전극(81) 또는 제3 전극(83)과 대향하게 배치된다면, 그 사이에 정전기가 유도된다. 이것은 또한 전력 전달 전극(power routing electrode)에도 들어 맞는다. 즉, 제2 전극(82)용 전력 전달 판 전극이 제1 전극(81) 및/또는 제3 전극(83)에 대향하여 배치되더라도, 전력 전달 판 전극과 제1 전극(81) 및/또는 제3 전극(83) 사이에 정전기가 유도되어, 잔여 현상제의 양이 검출되는 정확성을 감소시킨다. 추가로, 전력 전달 판 전극은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전기 전원을 전도하는 기능만을 갖는 판 전극을 의미한다. 판 전극(32)은 제2 전극(82)용 전력 전달 판 전극이기 때문에, 전력 전달 판 전극(23)을 제1 전극(81) 및 제3 전극(83)에 대해 대향하지 않는 식으로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으로부터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으로 발송된다.
다음으로 도10을 참조하여, 현상제 저장부(14)를 갖는 현상제 보유 수단(11)과 결합된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설명된다. 도10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제1 내지 제3 전극(81, 82, 83)을 부착한 후 2개의 프레임이 어떻게 서로 결합되는 지를 도시하기 위한,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 및 현상제 보유 수단(11)의 사시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현상제 밀봉 부재(48)가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이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과 결합되는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표면에 부착된다[도면에서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드러나지 않는 측면에 부착되므로 파선으로 도시함].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이 현상제 보유 프레임(11)과 결합되는 현상 수단 보유프레임(13)의 표면은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이 제공되는 홈(도시되지 않음)에 끼워 맞춤되는 리브(13f, 13g)를 구비한다. 리브(13f, 13g)는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현상제 공급 개구의 상부 및 하부 에지에 각각 인접하여 위치되고,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리브(13f, 13g)의 상부면에는 초음파 용접을 위한 삼각형 리브가 제공된다.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길이 방향 단부들에는, 현상제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과 현상제 보유 프레임(11)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 부재(38, 39)가 부착된다. 또한, 현상제가 전력을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으로 전도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판 전극(32) 주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 부재(46)가 판 전극(32)의 접촉부(26a)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부착된다. 부수적으로, 밀봉 부재(38, 39, 46)는 탄성 스폰지 물질로 형성된다.
각종 구성 요소를 현상제 보유 프레임(11)과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 내에 위치시킨 후에, 초음파 진동이 2개의 프레임에 인가되어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의 리브(13f, 13g)들이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대응하는 홈 내에 끼워진 상태로 2개의 프레임이 서로에 대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전술된 리브(13f, 13g)의 삼각형 상부 리브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용융되고, 홈의 하부에 용접되는데, 바꿔 말하면 현상제 보유 프레임(11)과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이 서로 용접된다.
본 구조적 배열의 경우에서, 전력 전달 판 전극(29)은 현상제 보유프레임(11)에 부착된다. 전극 판(29)에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와의 접속을 이루기 위한 입력 전기 접촉부(29a)와 판 전극(32)과의 접속을 이루기 위한 접촉부(29b)가 제공된다. 판 전극(29)은 그 접촉부(29b)가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플랜지(11a)의 길이방향 단부를 파지하여 접촉부(32a)와 대향하는 방식으로 위치된 상태로,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외부에 부착된다. 또한, 판 전극(29)은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플랜지(11a)의 외부측을 따라 연장되고,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길이방향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조글(joggle, 11b)은 판 전극(29)의 구멍 내에 끼워져 판 전극(29)이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에 고정된다. 판 전극(29)의 입력 접촉부(29b)는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의 접촉 시트(11c)와 부합하도록 절곡된다. 실제 전기 접촉부를 구성하는 입력 전기 접촉부(29a)의 표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방향에 관해 출력 전기 접촉부(23a)와 같이 외향으로 대면한다.
판 전극(29)과 판 전극(32)의 사이의 전기 접속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29b)와 접촉부(32a) 사이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져,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과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이 서로 결합될 때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판 전극(29)은 전극(29)의 주 섹션의 평면이 제3 전극(83)의 아암부(83a)의 평면에 실제로 수직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전극(29)의 주 섹션의 표면이 제3 전극(83)의 아암부(83a)의 표면과 대면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판 전극(29)과 아암부(83a) 사이의 정전기가 유도되지 않도록 최대의 노력이 이루어진다. 판 전극(23, 29)은 또한 이들의 표면이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2개의 판 전극(29, 23)은 각각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과 현상제 보유 프레임(11) 측 상에 배치되어, 2개의 전극(29, 23) 사이에서 정전기가 유도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경우, 전력 전달 판 전극(32)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전압 인가측 상의 판 전극(29)과 전력 출력측 상의 판 전극이 동일한 프레임에 부착되는 상황이 방지된다. 따라서, 정전기는 판 전극(29, 23)들 사이에서 유도되지 않으므로, 잔류 현상제의 양이 검출되는 정확도가 감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전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이 처리된 후,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출력 및 입력 전기 접촉부(23a, 29a)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과 현상제 보유 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된 현상제 밀봉체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서로 근접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부착된다.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의 외부 전기 접촉점(22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접지 전기 접촉부(40)와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는 각각 세척 유닛(19)의 측면 및 하부면 상에 배치된다.
도3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A)에는 각각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입력 및 출력 전기 접촉부(29a, 23a)와 접촉하는 전기 접촉부(30, 31)가 제공된다. 전기 접촉부(30, 31)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전기 접촉 유닛(43)을 형성하는 전기 접촉 홀더(42)에 부착된다. 화상 형성 장치(A)에는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 및 현상 바이어스 전기접촉부(22)와 접촉되는 전기 접촉부(103, 44)가 제공된다. 전기 접촉부(103, 44)는 화상 형성 장치(A)의 하부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A)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방향에 관해 안내 레일(26L)의 [드럼 샤프트(27)가 끼워지는] 위치 설정 홈(26bL)과 정렬되는 방식으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측벽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접지 전기 접촉부(40)와 접촉하는 접지 전기 접촉 부재(45)가 제공된다. 접지 전기 접촉 부재(45)는 장치 주 조립체 섀시를 통해 접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살표 표시(X)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의 입력 및 출력 전기 접촉부(23a, 29a)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하나의 측벽의 내부면 상에서 각각 전기 접촉부(30, 31)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a)와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하부벽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전기 접촉부(103, 44)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접지 전기 접촉부(40)는 장치 주 조립체 측 상의 접지 접촉 부재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5).
전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7)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8)와,
전자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12)와,
현상 롤러(12)를 따라 현상 롤러(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입력 전극(82)과,
현상 롤러(12)를 따라 현상 롤러(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출력 전극(81)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감광 드럼(7)을 장치 주 조립체에 접지 상태로 유지하고, 중심이 감광 드럼(7)의 축방향 선과 일치하는 상태로 감광 드럼(7) 내의 카트리지 프레임(50)의 일 단부로부터 노출되는 접지 전기 접촉부(40)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대전 바이어스를 수용하고 수용된 대전 바이어스를 대전 롤러(8)에 인가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하향으로 대면하는 방식으로 감광 드럼(70)의 길이방향에 관해 카트리지 프레임(50)의 일 단부로부터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고 수용된 현상 바이어스를 현상 롤러(12)에 인가하기 위한 것이고,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 프레임(50)의 일 단부로부터 노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하향 대면하는 방식으로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감광 드럼(7)에 대해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가 대향 위치된 현상 바이어스전기 접촉부(22a)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고 입력 전극(82)으로 수용된 입력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것이고,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 프레임(50)의 하나의 단부 벽에 노출되는 입력 전기 접촉부(29a)와,
장치 주 조립체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입력 전극(82)과 출력 전극(81) 사이의 정전 용량과 현상 롤러(12)와 출력 전극(81) 사이의 정전 용량을 반영한 출력값을 장치 주 조립체에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 프레임(50)의 일 단부벽으로부터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23a)를 포함한다.
입력 전극(82)에는 AC 바이어스가 입력 전기 접촉부(29a)를 통해 인가된다.
카트리지 프레임(50)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12)로부터 사용된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보유부(14)를 갖는 현상제 보유 프레임(11)과 현상 롤러(12)를 지지하기 위한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과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를 지지하기 위한 드럼 보유 프레임(21)을 포함한다. 입력 전기 접촉부(29a)는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에 부착되고 출력 전기 접촉부(23a)는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부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제 보유부(14)내에 보유된 현상제를 현상 롤러(12)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47)를 갖는다. 입력 전기 접촉부(29a)는 현상제 공급 개구(47)를 밀봉하는 현상제 시일(48)이 빠지는 경로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반면, 출력 전기 접촉부(23a)는 타 측면에 배치된다.
입력 전극(82)은 현상제 보유 프레임(11)에 부착되는 반면, 출력 전극(81)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부착된다.
접지 전기 접촉부(40)와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는 드럼 보유 프레임(21)에 부착되는 반면,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a)는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13)에 부착된다.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a)는 또한 현상 롤러(12)와 출력 전극(81) 사이의 정전 용량을 반영한 값을 검출하기 위해 현상 롤러(12)에 인가된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동안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출력 전기 접촉부(23a)와 입력 전기 접촉부(29a)는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동일한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부착된 전자 접촉 유닛(43)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크기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a), 접지 전기 접촉부(40), 입력 전기 접촉부(29a) 및 출력 전기 접촉부(23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동일한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화상 형상 장치(A)의 크기와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전달되어야 하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고전압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전자 접촉 유닛(48)에 연결시키기 위해 현상제 양 검출 회로(200)로 전달되어야 하는 전력 전달 부재(36, 37)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상제 양 검출 정확도가 전력 전달 부재 중의 정전 용량의 불안정성에 의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 전기 접촉부(23a)와 입력 전기 접촉부(29a)는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동일한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자 접촉 유닛(43)은 화상 형성 장치(A)의 크기와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전기 접촉부(23a, 29a)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 측에 제공된다.
더욱이,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8a),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촉부(22a), 접지 전기 접촉부(40), 입력 전기 접촉부(29a) 및 출력 전기 접촉부(23a)는 모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동일한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고전압 회로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전달 부재가 지나가게 되는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서, 이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A)의 크기와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전자 접촉 유닛(48)과 연결하기 위해 현상제 양 검출 회로(200)에 연결되어야 하는 전력 전달 부재(36, 37)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상제 양 검출 정확도가 전력 전달 부재의 정전 용량의 불안정성에 의해 감소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양한 각각의 전기 접촉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최적으로 위치될 것이다.

Claims (20)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될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여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극에는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로부터 AC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현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 및 대전 롤러를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공급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하는 현상제 시일이 견인되는 견인 경로와 나란히 놓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극은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극은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촉부 및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드럼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출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가능한,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주 조립체 접지 접촉부와,
    (b) 주 조립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c) 주 조립체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d) 주 조립체 입력 전기 접촉부와,
    (e) 주 조립체 출력 전기 접촉부와,
    (f)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접지 접촉부와 전기적인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될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상기 주 조립체 입력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여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주 조립체 출력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위치되고,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9.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될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여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현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 및 대전 롤러를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출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되는 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극에는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로부터 AC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삭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공급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하는 현상제 시일이 견인되는 견인 경로와 나란히 놓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극은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극은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촉부 및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드럼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주 조립체 접지 접촉부와,
    (b) 주 조립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c) 주 조립체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d) 주 조립체 입력 전기 접촉부와,
    (e) 주 조립체 출력 전기 접촉부와,
    (f)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접지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되는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입력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여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 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조립체 출력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현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 및 대전 롤러를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출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되는 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되는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여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현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 및 대전 롤러를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공급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하는 현상제 시일이 견인되는 견인 경로와 나란히 놓이고,
    상기 입력 전극은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극은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접지 접촉부 및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드럼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출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되는 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극에는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로부터 AC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주 조립체 접지 접촉부와,
    (b) 주 조립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c) 주 조립체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d) 주 조립체 입력 전기 접촉부와,
    (e) 주 조립체 출력 전기 접촉부와,
    (f)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접지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되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전기적인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되는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입력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여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주 조립체 출력 접촉부와 전기적인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현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 및 대전 롤러를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공급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하는 현상제 시일이 견인되는 견인 경로와 나란히 놓이고,
    상기 입력 전극은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극은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접지 접촉부 및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드럼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출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되는 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9.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되는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여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극에는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로부터 AC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현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 및 대전 롤러를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공급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하는 현상제 시일이 견인되는 견인 경로와 나란히 놓이고,
    상기 입력 전극은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극은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접지 접촉부 및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드럼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출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응답하는 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주 조립체 접지 접촉부와,
    (b) 주 조립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c) 주 조립체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d) 주 조립체 입력 전기 접촉부와,
    (e) 주 조립체 출력 전기 접촉부와,
    (f)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입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출력 전극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상기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접지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가로질러 배치된 접지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롤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의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는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여 노출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감광 드럼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로부터 대향된 측에 배치된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입력 전극에 인가될 입력 바이어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조립체 입력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촉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정전 용량과 상기 출력 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값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출력을 장치의 주 조립체로 전달하여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주 조립체 출력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 표면에서 노출된 출력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전극에는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로부터 AC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한 현상기 프레임, 상기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장치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 및 대전 롤러를 지지하는 드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공급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출력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밀봉하는 현상제 시일이 견인되는 견인 경로와 나란히 놓이고,
    상기 입력 전극은 상기 현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출력 전극은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접지 접촉부 및 상기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드럼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는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출력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되는 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현상 롤러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12636A 2001-03-09 2002-03-09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58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6213 2001-03-09
JP2001066213A JP3697168B2 (ja) 2001-03-09 2001-03-09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245A KR20020072245A (ko) 2002-09-14
KR100458882B1 true KR100458882B1 (ko) 2004-12-03

Family

ID=1892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636A KR100458882B1 (ko) 2001-03-09 2002-03-09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04475B2 (ko)
EP (1) EP1239346B1 (ko)
JP (1) JP3697168B2 (ko)
KR (1) KR100458882B1 (ko)
CN (1) CN1203382C (ko)
DE (1) DE6023690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806A (ja) 2002-02-28 2003-09-1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48191B2 (ja) * 2002-03-25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31216B2 (en) * 2002-06-21 2005-08-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including a feature of detecting a remaining amount of a developer
JP3720802B2 (ja) * 2002-11-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4205950A (ja) * 2002-12-26 2004-07-2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58875B2 (ja) * 2003-08-25 2006-12-20 村田機械株式会社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0454177C (zh) * 2003-09-30 2009-01-21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电摄影成像设备
JP4110143B2 (ja) *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532120B1 (ko) 2004-02-03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분리형 현상기
JP4095589B2 (ja) * 2004-02-27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35516B2 (ja) * 2004-02-27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292356A (ja) * 2004-03-31 2005-10-2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CN100440072C (zh) * 2004-07-30 2008-12-03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电摄影成像设备
US7945184B2 (en) * 2005-05-30 2011-05-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with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image-forming device
JP2007178610A (ja) 2005-12-27 2007-07-1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及び像担持体ユニット
JP4280770B2 (ja) *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KR100685788B1 (ko) * 2006-08-28 2007-02-27 박귀서 탄성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포장용 상자
CN101192030B (zh) * 2006-11-30 2010-09-08 株式会社理光 粉体量检测装置,显影装置,处理卡盒及图像形成装置
JP4667444B2 (ja) 2006-12-13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201340516Y (zh) * 2008-11-19 2009-11-0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充电辊导电片和具有该导电片的显影剂盒
JP5506236B2 (ja) *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TWI442195B (zh) 2009-12-16 2014-06-21 Canon Kk 製程卡匣、感光滾筒單元、顯像單元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JP5029682B2 (ja) 2009-12-25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4846062B1 (ja) *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896337B2 (ja) * 2011-11-15 2016-03-30 株式会社リコー 着脱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482633B2 (en) 2011-12-30 2016-11-01 Lexmark International, Inc. Capacitive measurement multiplexing circuit and method
US8718496B2 (en) 2011-12-30 2014-05-06 Lexmark International, Inc. Capacitive toner level sensor
US9250567B2 (en) 2013-07-12 2016-02-02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ontainer for detecting developer amount based on capacitanc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68456B2 (ja) * 2013-07-12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535398B2 (en) 2014-09-04 201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66617B2 (en) * 2017-12-19 2019-11-05 Lexmark International, Inc. Capacitive toner level sensor
US10649367B2 (en) * 2018-07-30 2020-05-12 Ricoh Company, Ltd. Powd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JP7205361B2 (ja) * 2019-04-17 2023-01-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量検出装置、トナー量検出方法、トナー量検出プログラ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3925A (ja) * 1995-07-31 1997-02-14 Canon Inc 現像ホルダ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44061A (ja) * 1995-07-31 1997-02-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0744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ガイド部品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枠体
JPH1020743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0745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0742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47891A (ja) * 1998-09-04 2000-05-26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撹拌部材
JP2000250380A (ja) * 1998-12-28 2000-09-14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1258A (en) 1981-12-22 1986-05-27 Canon Kabushiki Kaisha Safety means for process kit
EP0276910B1 (en) 1987-01-09 1994-07-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4873549A (en) 1987-03-03 1989-10-10 Mita Industrial Co., Ltd. Device for detecting the life of an image forming process unit, opening of a seal of the unit and attachment of the unit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0285139B1 (en) 1987-03-31 1995-10-11 Canon Kabushiki Kaisha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0331324B1 (en) 1988-03-02 1993-09-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with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hereto
US5142322A (en) 1988-04-05 1992-08-25 Surti Tyrone N Electrophotographic copier process kit having support brackets for providing disassembly of internal process components
US5177529A (en) 1988-11-25 1993-01-05 Xerox Corporation Machine with removable unit having two element electrical connection
JP2909970B2 (ja) 1988-12-19 1999-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404198A (en)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118810B2 (ja) 1990-05-11 2000-12-18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分離膜モジュール
EP0466173B1 (en) 1990-07-13 1998-10-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5126789A (en) 1990-07-26 1992-06-30 Konica Corporatoin Image forming apparatus
US5210573A (en) 1990-07-26 1993-05-11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DE69210534T2 (de) 1991-04-10 1996-10-02 Canon Kk Prozesskartusch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prozesskartusche
US5331373A (en)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JPH05333668A (ja) 1992-05-29 1993-12-17 Canon Inc 接触帯電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20102B2 (ja) 1992-06-3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52155B2 (ja) 1992-06-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86041B1 (en) 1992-09-04 1997-03-19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process cartridge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86044B1 (en) 1992-09-04 1997-03-2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ethod for assembling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85414B2 (ja)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463446A (en) 1993-05-20 1995-10-31 Canon Kabushiki Kaisha Rotary member a process cartridge and an assembling method for rolling members
JP3869868B2 (ja) 1994-04-27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768660A (en) 1995-08-02 1998-06-16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JP3492109B2 (ja) 1996-09-26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30751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859627B2 (en) 1998-12-28 2005-02-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unit frame
JP3363873B2 (ja) 1999-07-13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量逐次表示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92335A (ja) 1999-09-17 2001-04-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出部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3925A (ja) * 1995-07-31 1997-02-14 Canon Inc 現像ホルダ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44061A (ja) * 1995-07-31 1997-02-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0744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ガイド部品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枠体
JPH1020743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0745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0742A (ja) * 1996-07-04 1998-01-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47891A (ja) * 1998-09-04 2000-05-26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撹拌部材
JP2000250380A (ja) * 1998-12-28 2000-09-14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36903D1 (de) 2010-08-19
CN1203382C (zh) 2005-05-25
EP1239346B1 (en) 2010-07-07
US6804475B2 (en) 2004-10-12
KR20020072245A (ko) 2002-09-14
US20020172521A1 (en) 2002-11-21
JP2002268512A (ja) 2002-09-20
CN1387096A (zh) 2002-12-25
JP3697168B2 (ja) 2005-09-21
EP1239346A2 (en) 2002-09-11
EP1239346A3 (en)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88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EP1016939B1 (en)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unit frame
JP365828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
EP1143305B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maining amount of developer
JP374523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735405B2 (en) Method of remanufacturing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ing device
US6832057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10038758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97504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U782688B2 (en)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unit frame
JP2002169448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40791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枠体及び電極取り付け方法
JP2005121762A (ja)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50005920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