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683B1 -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 Google Patents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683B1
KR100458683B1 KR10-1999-7002591A KR19997002591A KR100458683B1 KR 100458683 B1 KR100458683 B1 KR 100458683B1 KR 19997002591 A KR19997002591 A KR 19997002591A KR 100458683 B1 KR100458683 B1 KR 10045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terminal housing
protruding
reluctan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648A (ko
Inventor
미카엘즈폴지
뉴버거베리엠
허긴스마셀제이
키퍼버논이
Original Assignee
에머슨 일렉트릭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머슨 일렉트릭 컴파니 filed Critical 에머슨 일렉트릭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4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1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light 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 H02K3/487Slot-clos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02Synchronous motors
    • H02K19/10Synchronous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 H02K19/103Motors having windings on the stator and a variable reluctance soft-iron rotor without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12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windage losses or windage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럭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고정자극을 형성하는 고정자와, 고정자극을 중심으로 감긴 위상 권선과, 회전자극을 형성하는 회전자를 포함한다. 소정 윤곽의 탑스틱(35), 방진 커버(30) 및 엔드실드(12a, 12b)는 릴럭턴스 장치에서 발생된 소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은 단자 하우징의 조작을 위해 그리고 주요한 와이어들을 보호하면서 정렬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REDUCED NOISE RELUCTANCE MACHINE}
당해 기술 분야에서 릴럭턴스 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릴럭턴스 장치는, 여기된 권선의 인덕턴스가 최대로 되는 위치(즉, 릴럭턴스가 최소로 되는 위치)로 가동부(movable part)가 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토크를 이용한 전기 장치이다.
제어된 주파수에서 위상 권선(phase winding)이 여자(勵磁)되는 형태의 릴럭턴스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릴럭턴스를 대개 동기식 릴럭턴스 장치로 부른다. 또 다른 형태의 릴럭턴스 장치로는, 장치의 회전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회로가 마련되어 있고 위상 권선이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여자되는 것이 있는데, 이를 스위치식 릴럭턴스 장치라고 부른다. 본 발명은 비록 스위치식 릴럭턴스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동기식 릴럭턴스 모터와 스위치식 릴럭턴스 모터, 그리고 스위치식 릴럭턴스 장치의 위상 권선 구조와 유사한 위상 권선을 구비하는 다른 장치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릴럭턴스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스위치식 릴럭턴스 장치의 구조 및 작동의 기본 이론은 잘 알려져 있는데, 예컨대 1993년 6월 21-24일 독일 누렘버그에서 개최된 PCIM '93 컨퍼런스 박람회에서 스테펀선과 브레이크(Stephenson and Blake)가 발표한 "스위치식 릴럭턴스 모터 및 드라이브의 특성, 구성 및 응용" 에 잘 설명되어 있다.
스위치식 릴럭턴스 모터(또는 제너레이터)가 작동할 때, 자속은 그 장치의 여러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증감하게 된다. 자속의 변화는 상기 장치의 강자성 부분에 인가되는 자력을 변동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자력은 불쾌한 소음 및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자력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주요한 메카니즘으로는, 공기 간극에 직교하는 자력에 의해 발생된 고정자를 타원형화시키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속이 주어진 직경의 고정자를 따라 증가함으로써, 이 고정자는 자력에 의해 타원 형상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자속이 감속함에 따라, 고정자는 뒤틀리지 않는 형상으로 당겨지거나 또는 반동된다. 이러한 고정자의 타원형화 및 반동은 가청의 소음을 발생시키고 원하지 않는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전술한 현상으로부터 기인한 고정자의 뒤틀림에 추가하여, 모터에서의 자력 요동은 릴럭턴스 장치의 회전자 및 다른 부품의 뒤틀림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고정자를 뒤틀리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회전자의 뒤틀림은 회전자의 엔드실드 (endshield)의 공진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뒤틀림은 원하지 않는 진동 및 소음을 잠재적으로 발생시킬 가능성을 갖고 있다.
릴럭턴스 장치에서 원하지 않는 소음 발생의 또 다른 근원의 예로는 "사이렌 (siren)" 효과라고 불리는 현상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릴럭턴스 장치에 사용되는 회전자 및 고정자는 돌극(突極)을 구비한다. 이러한 돌극 회전자를 돌극 고정자에 의해 형성된 코어 내에 배치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계적 구조는 부분적으로 사이렌 효과의 관점에서는 유사하고, 또, 예컨대, 소음을 발생하는 사이렌 효과의 유리한 현상과 동일한 현상에 따라 원하지 않는 가청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몇 가지의 릴럭턴스 장치에 관련한 또 다른 원하지 않는 소음 발생의 근원의 예로는 릴럭턴스 장치의 작동중 이 장치 내로 공기가 인출되어 그 장치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릴럭턴스 장치는 작동 중 회전자의 회전, 특히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자가 배치되어 있는 공동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원하지 않는 "풍손(風損)" 소음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비록 원하지 않는 가청 소음 및 진동과 관련한 문제가 발견되었지만, 릴럭턴스 모터의 공지의 제어 장치로는 이러한 문제점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없었다. 하나의 해결책으로는 상기 장치의 위상 권선에 인가된 전류를 신중히 조정하는 복잡한 제어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해결책의 일례가 씨.와이. 우(C.Y.Wu)와 씨. 폴록(C. Pollock)에 의해 발표된 "스위치식 릴럭턴스 드라이브에서의 가청 소음 및 진동의 분석 및 저감" 이라는 제목으로 IAS '93 회의록 제106-113면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전류 제어 방법에 의한 해결책은 릴럭턴스 장치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지만, 실행하는데는 많은 비용이 든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의 소음 저감 전류 스위칭을 이용한 해결책은 소음 저감에 있어서 한가지의 가능성만 제공하고 원하지 않는 잠재적인 소음의 모든 근원을 없앨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그리고 릴럭턴스 장치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 전류 스위칭 방식과 무관하게 또는 이와 조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릴럭턴스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위치식 릴럭턴스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스위치식 릴럭턴스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의 전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의 탑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의 고정자의 단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의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고정자의 단면도이며,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용의 방진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 개의 고정자극을 형성하는 고정자와,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자극을 중심으로 감긴 권선 코일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위상 권선과, 상기 권선 코일 일부의 외측 표면상에서 하나 이상의 극간 영역 내에 배치된 소정 윤곽(contoured)의 탑스틱(top-stick)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한 고정자극은 그 고정자극들 사이의 극간 영역과 중앙 보어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자극 각각은 주어진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 표면을 형성하는 영역을 종단에 구비하며, 상기 권선 코일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극간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보어로 면하는 외측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윤곽의 탑스틱은 그 외측 표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주어진 곡률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외측 오목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는,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고정자와,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구비하는 공동을 형성하는 제1 엔드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제2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자의 제1 단부의 외측 표면이 상기 제1 표면 및 제2 표면과 합치되도록 상기 제1 엔드실드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복수 개의 위상 권선의 단자들을 전력원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 하우징이 제공되는데, 이 단자 하우징은 위상 권선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중공 공동을 형성하는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인 제1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레그와,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날개(wing)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날개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례로는 각종 릴럭턴스 장치에 알맞은 단자 하우징을 사용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 권선과, 전력을 상기 위상 권선에 연결하기 위한 돌출형 단자 하우징을 포함하는 릴럭턴스 장치용의 방진(防塵) 커버가 제공되는데, 이 방진 커버는 단자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슬릿에 의해 분리된 복수 개의 가요성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는 탑스틱, 제1 및 제2 엔드실드 및 전술한 방진 커버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후술될 상세한 설명으로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릴럭턴스 장치(10)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릴럭턴스 장치(10)와 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이 전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럭턴스 장치(10)는 적절한 재료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박층상의 적층체(예컨대, 박층상의 강철)로 구성된 중앙 고정자 (11)를 포함한다. 전방 엔드실드(12a)와 후방 엔드실드(12b)는, 전방 및 후방 엔드실드(14a, 14b)에 의해 형성된 구멍과, 고정자(11)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볼트(13a, 13b)에 의해 고정자(11)에 인접하게 고정·배치된다. 전방 및 후방 엔드실드(12a, 12b)를 고정자(11)에 적절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볼트와 너트가 필요하지만, 도 1B에는 단지 하나의 너트와 볼트 조립체(13a, 13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릴럭턴스 장치(10)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자 (11)의 적층체는 중앙 보어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고정자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자극의 주위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감겨 있는 복수 개의 위상 권선이 배치되어 있다. 탑스틱(35)은 고정자의 내측 극간 영역 내에 위치하고, 고정자의 중심 보어에 노출될 위상 권선의 일부를 덮기 위해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3개의 위상 권선이 구비되어 있는데, 각각의 위상 권선은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위상 권선의 단부 각각은 단자로 종결된다. 릴럭턴스 장치(10)의 3개의 위상 권선과 관련된 6개의 단자는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 내에 배치된다.
회전자 조립체(16)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고정자극에 의해 형성된 중앙 보어 내에 배치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 조립체(16)는 샤프트(19)에 결합된 거의 동일한 회전자 박층상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또한, 베어링 조립체(17a, 17b)는 회전자 적층체의 양측에서 샤프트에 결합된다. 베어링 조립체(17a, 17b)는 도 1A에서 도면 부호18로 표시된 클립 기구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회전자 조립체(16)는 고정자극에 의해 형성된 중앙 보어 내에 끼워지고, 베어링 조립체(17a, 17b)와 전방 및 후방 엔드실드(12a, 12b) 간의 상관 관계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및 후방 엔드실드(12a, 12b)는 모두 베어링 조립체(17a, 17b)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엔드실드들이 고정자에 결합될 때, 베어링 조립체(17a, 17b)는 엔드실드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되고, 회전자(16)는 고정자(11)의 중앙 보어 내에서 정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스프링(20)과 같은 압축 기구는 회전자 조립체를 정위치에 꼭 맞도록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9)의 전방부는 전방 엔드실드 (12)에 의해 형성된 보어를 통해 연장한다. 샤프트의 전방부는 홈이 있는 부재(21)를 포함하며, 이 부재는 부하에 연결되어 릴럭턴스 장치(10)의 작동에 의해 적절한 방식으로 부하를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9)의 후방부는 그 종단부에 후방 엔드실드(12b)에 의해 형성된 보어를 관통하는 소직경부(22)를 구비한다. 소직경부(22)에는 클립(24)에 의해 셔터 기구(23)가 결합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기구(23)는 복수 개의 돌출하는 셔터 톱니를 형성한다.
센서 보드(25)는 볼트 혹은 나사(26)(도 1B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후방 엔드실드(12b)에 연결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보드(25)는 하나 이상의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데, 이 센서는 셔터 기구(23)의 셔터 톱니를 수용하고 고정자에 대한 회전자의 각위치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회전자의 위치 신호를 전달하는 리이드는 센서 보드(25)로부터 연장하는 플러그(27)에서 출력와이어에 연결된다.
셔터(23)를 회전자(16)에 대해 위치시키는 바람직한 방법과 셔터 기구(23) 및 센서 보드(24)의 양호한 구조는 1996.10.1일자로 베리 엠 뉴버그(Barry M. Newberg)에 의해 출원되고 "로터 위치 변환기의 정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라는 제목의 본 출원인 명의의 공동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8/724,69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이 특허 출원을 참조하였다.
방진 커버(30)는 셔터 기구(23)와 센서 보드(25) 위로 배치되어 간단한 상호 체결 수단에 의해 후방 엔드실드(12b)에 결합되는데, 여기서 상기 방진 커버(30)는 후방 엔드실드(12b)에 마련된 홈으로 스냅식으로 끼워지게 될 소형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진 커버(30)는 가요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후방 엔드실드(12b)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방진 커버(30)는 제1 슬릿 영역(31)과 제2 슬릿 영역(32)으로 형성된다.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의 일부는 제1 슬릿 영역(31)을 통해 연장하고, 플러그(27)의 일부는 제2 슬릿 영역을 통해 연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릴럭턴스 장치(10)의 정상 작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장치는 여러 가지의 특징적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탑스틱(35), 전방 및 후방 엔드실드(12a, 12b), 그리고 단자 하우징(15), 플러그(27) 및 방진 커버(30)를 사용함으로써, 본 장치(10)의 정상 작동 중에 발생하는 소음 레벨을 저감시키게 된다.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릴럭턴스 장치(10)가 갖는 특징의 일례로는 고정자(11)의 극간 영역 내에서 구성 배치된 탑스틱(35)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도 2A 내지 도 2C에 상세하게 예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대표적인 탑스틱(35)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된 탑스틱(35)은 고정자(11)의 두께와 대체로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 탑스틱(35)을 포함한다. 이 탑스틱(35)은 제1 두께의 중앙 영역과, 2개의 대향하는 측영역(36a, 36b)을 구비하며, 상기 측영역의 두께가 중앙 영역의 두께보다 더 작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 태양의 탑스틱(35)에 따르면, 측영역(36a, 36b)은 약간 홈이 파인 노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노치는 복수 개의 탑스틱(35)의 단면을 나타낸 도 2C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스틱(35)은 고정자(11)의 극간 영역으로 삽입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극간 영역 내에 배치된 위상 권선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고정자(11)에 대해 정위치에 탑스틱(35)을 배치 및 유지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장치의 일례는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11)의 돌극 각각은 소형의 연장 돌출 부분(37)을 형성하여 각각의 극간 영역이 하나의 고장자 극으로부터의 하나의 돌출 부분(37a)과 다른 고정자 극으로부터의 제2 돌출 부분(37b)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 탑스틱(35)은 극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돌출 부분(37a, 37b)은 탑스틱(35)을 정위치에 유지하도록 노치(36a, 36b)내에 끼워지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탑스틱(35)은 적절한 극간 영역 내에 배치된 자석 와이어의 상부에 놓이기 때문에 상기 자석 와이어는 탑스틱(35)을 밀어 탑스틱(35)이 정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조하는 압축력을 제공하게 된다.
당업계에 종사하는 자들에게는 돌출 부분(37a, 37b)과 노치(36a, 36b)를 사용하는 것이 탑스틱(35)을 고정자(11)에 결합시킬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의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탑스틱(35)은 평탄하지는 않지만 고정자의 극의 곡률 반경과 거의 일치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형상의 내측 표면(37)을 형성한다. 이 내측 표면은 도 2C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고정자극 및 탑스틱의 내측 표면(37)에 의해 형성된 내부 반경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되어 있다.
적절하게 형상을 갖는 내측 표면(37)을 구비한 탑스틱(35)을 사용함으로써 어떤 탑스틱도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평탄한(즉, 굴곡이 없는) 내측 표면을 갖는 탑스틱을 구비하는 유사한 릴럭턴스 장치보다 소음이 덜한 릴럭턴스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중앙 고정자 보어를 구비하는 장치는 앞서 언급한 "사이렌" 효과를 지체시키는 경향이 있고, 또, 돌극을 갖는 회전자(16)가 돌극을 갖는 고정자(11)를 지나 회전할 때 발생하게 되는 "풍손" 소음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굴곡을 갖는 탑스틱(35)에 의해 릴럭턴스 장치(10)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릴럭턴스 장치(10)에 의해 발생된 소음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고 예상되는 본 발명의 장치(10)의 또 다른 특징은, 전방 엔드실드(12a)와 후방 엔드실드(12b)의 구조 및 구성과 관련이 있다. 특히, 전방 엔드실드(12a)와 후방 엔드실드(12b)는 이들이 고정자(11)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게 되도록 두께를 변화시킨 내측 연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전방 엔드실드(12a) 및 후방 엔드실드(12b)가 고정자(11)에 고정될 때, 이러한 외형을 갖는 내측 연부는 고정자(11)의 외측 연부와 일치하게 되어, 모터 외부의 주위로부터 고정자(11)에 의해 형성된 중앙 보어로 또는 그 역으로 공기의 흐름이 억제된다. 이러한 공기 유동의 억제는 릴럭턴스 장치(10)의 정상 작동 중에 발생하게 되는 가청 소음량을 상당히 저감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도 3A 내지 도 3C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고정자(11)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자(11)에 엔드실드 (12a, 12b)를 고정시키도록 사용한 볼트를 수용하는 전술한 보어(14c)가 상기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11)는 매끈하고 연속적인 외측 표면을 갖고 있지 않지만, 그 대신 노치 영역(38a, 39b),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측 프로파일(40)을 구비한 영역, 그리고 실질적으로 굴곡지거나 둥근 외측 프로파일(41)을 구비한 영역 등과 같은 다수의 요철을 갖는 외측 표면을 구비한다.
가변적인 형상의 외측 표면을 갖는 고정자(11)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 엔드실드(12a)와 후방 엔드실드(12b)는 고정자(11)를 수용하는 엔드실드(12a, 12b)의 일부가 고정자(11)의 외측 표면의 형상과 매우 닮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엔드실드(12a, 12b)가 고정자(11)와 부드럽게 합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추가하여, 가변적인 형상의 외측 표면을 갖는 고정자(11)를 수용하기 위해, 엔드실드들은 고정자(11)를 수용하도록 "돌출" 표면이 마련되어, 샤프트(19)가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릴럭턴스 장치(10)가 배치되었을 때, 상기 선단 표면의 수평 부분이 고정자(11)의 수평면과 합치되고 선단 표면의 수직 부분이 고정자의 수직 부분과 합치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도 3B 및 도 3C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릴럭턴스 장치(10)의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C는 도 3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내의 부분을 확대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11)는 고정자의 일부가 엔드실드에 의해 마련된 수평면과 합치되고 고정자의 또 다른 일부가 엔드실드에 의해 마련된 수직면과 합치되도록 전방 및 후방 엔드실드(12a, 1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면과 수직면의 형상은 고정자(11)의 외측 표면과 합치되도록 주의 깊게 이루어져 있다.
도 3C는 고정자(11)와 엔드실드(12a) 간의 합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의 일부는 엔드실드(12b)의 수평면(40)과 합치되는 반면, 고정자(11)의 또 다른 부분은 엔드실드(12b)에 의해 마련된 수직면과 합치된다.
엔드실드(12a, 12b)와 고정자(11)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그리고 엔드실드와 고정자(11) 간의 합치가 소정의 형상을 갖는 수평면과 수직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릴럭턴스(10)의 정상 작동 중에 흡입 또는 방출되는 공기의 양은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공기 유동의 저감은 상기 장치(10)의 소음 저감에 기여한다. 더욱이, 고정자(11)를 엔드실드(12a, 12b)에 합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방음벽은 고정자 보어 내에서 발생된 가청 소음이 외부 환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장치(10)에 의해 발생되는 주위 소음을 더 저감시킨다.
릴럭턴스 장치(10)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은 방진 커버(30)의 사용과, 그리고 엔드실드(30),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 센서 보드 플러그(27)와의 상호 작용에 관련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방진 커버(30)는 릴럭턴스 장치(10)가 작동할 때 고정자의 중앙 보어를 향해 또는 그 보어로부터 빠져나가는 공기 유동을 더 제한하도록 후방 엔드실드(12b)에 고정되고, 또 가청 소음이 중앙 보어에서 외부 환경으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먼저 커버(30)는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과 센서 보드 플러그(27)와 맞물려 그들을 수용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 에워싸인 슬롯 영역(31, 32)을 구비하며, 공기의 유동과 상기 슬롯 영역을 통한 가청 소음의 전달을 억제하고 또 플러그(27)와 단자 하우징(15)을 정위치에 배치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태양과 관련한 상세 설명은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은 고정자(11)에 고정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은 가요성을 가지며 또 적절한 재질(예, 플라스틱)로 형성된다.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은 2개의 고정자극들 사이의 극간 내에 끼워지기에 알맞은 크기의 2개의 돌출 레그(45a, 45b)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돌출 레그는 고정자에 대해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의 위치 설정을 보조한다.
또한,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은 외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날개(46a, 46b)를 구비하는 데, 이 날개들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 부분(48)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외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날개(46a, 46b)들은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을 고정자(11)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해주는 소정의 표면을 구비한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가 달린 하우징(15)은 외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날개(46b) 위로 지나고 위상 권선을 포함하는 코일들 중 하나 둘레에서 그것을 하방으로 통과하는 플라스틱 끈(도면 부호47로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고정자에 고정된다.
중앙 부분(48)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될 경우, 외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날개(46a, 46b)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일반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4A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부분(48)은 고정자(11) 내에 배치된 위상 권선의 6개의 단부를 수용하는 6개의 분리된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6개의 위상 권선은 스냅 온 단자까지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플러그(도시 생략)는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과 합치되어 위상 권선을 적절한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도 4A에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은 제작시 상기 하우징이 고정자(11)와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제공되는 돌출형 위치 설정 탭(50)을 포함한다. 이 위치 설정 탭(50)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과는 상이한 각도로부터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 위치 설정 탭(50)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2개의 대응면을 형성하는 노치 부분이 종단으로 되는 돌출 탭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형 탭(50)의 돌출 길이는 고정자의 한 쪽 가장자리와, 이 고정자(11)를 넘어 연장하는 위상 권선의 최종 권회부의 외측부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형 탭(50)은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을 고정자(11)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서 적절하게 배치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형 위치 설정 탭(50)은 이 탭(50)에 의해 형성된 2개의 합치면의 하나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분쇄 리브(51)를 형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분쇄 리브는 모터의 조립 중에 일어날 수 있는 공차의 일부를 수용하게 된다.
돌출형 위치 설정 탭(50)은 고정자(11)에 의해 형성된 노치 영역(39a, 39b) 내에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이 탭은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을 고정자에 대해 추가의 위치 설정을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의 실시 태양은 도 4C 및 4D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C는 고정자(11)의 단면을 도시한 도 3B와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고정자(11)의 노치 영역(39b)에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의 상기 돌출형 위치 설정 탭(50)을 정렬시킴으로써 고정자(11)에 대해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을 위치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D는 릴럭턴스 장치(10)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자(11)는 전방 및 후방 엔드실드(12a, 12b)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위상 권선을 형성하는 코일 세트(52a, 52b)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 세트(52a, 52b)는 고정자(11)의 외측으로 연장한다.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은 코일 세트(52a)를 위한 최종 권회부의 일 세트 다음에 배치된다. 따라서, 중앙 부분(48)은 코일의 최종 권회부 위에 안착되고 날개가 달린 돌출부(46a, 46b)는 상기 최종 권회부의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또한, 레그 돌출부(45a, 45b)는 고정자 코일 세트(52a) 둘레로 그리고 그곳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 탭(50)은 코일 세트(52a)의 최종 권회부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고정자(11)를 향해 연장하여 탭(50)의 단부가 고정자(11)와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림에 의해 상기 탭(50)은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이 적절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실드(12b)는 탭(50)에 의해 형성된 노치와 맞닿으며, 그리고 분쇄 리브(51)를 변형(또는 분쇄)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분쇄 리브(51)의 변형은 엔드실드(12b)의 제작시의 최소 공차를 보상해주는 경향이 있으므로 엔드실드와 고정자 적층 간에 더욱 양호한 끼워맞춤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기밀한 끼워맞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가청 소음량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은 전기 제어기를 릴럭턴스 장치(10)의 위상 권선에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10)가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구성되도록 해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의 가요성과,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30)이 고정자(11) 및 코일 세트(52a)에 견고하지 않게 고정되는 성질 때문에,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은 이 하우징(15)과 고정자(11) 및 코일(52a) 간의 연결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조립 중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날개가 달린 하우징(15)의 중앙 부분(48)이 후방 엔드실드(12b)에 형성된 적절한 크기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중앙 부분(48)은 방진 커버(30)에 마련된 슬롯 개구(31)에 의해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진 커버(30)가 날개가 달린 하우징(15)의 중앙 부분(48)에 수용됨으로써, 릴럭턴스 장치(10)의 소음 저감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태양에 따른 방진 커버(30)의 상세한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후방 엔드실드(12b)와 방진 커버(30)의 전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롯 개구(31, 32)들이 방진 커버(3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 개구(31)를 주의 깊게 관찰해 보면, 상기 개구(31)는 실선55로 표시된 외부 지지 영역과, 슬릿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6개의 내측으로 향하는 돌출부(56-61)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6개의 내측 돌출 슬릿들 각각은 슬롯 개구를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선55에 의해 형성된 외측 지지 영역은 날개가 달린 하우징(15)의 중앙 영역(48)의 단면적 보다 약간 크고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56-61)은 가요성 재료(즉, 얇은 플라스틱)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영역의 단면적 보다 약간 작고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구(62)를 형성하도록 돌출한다. 따라서, 방진 커버(30)는 중앙 부분(48) 위에 놓여 후방 엔드실드(12b)에 스냅식으로 결합될 때, 날개가 달린 단자 하우징(15)의 중앙 부분(48)은 상기 개구(62)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56-61)와 날개가 달린 하우징(15)의 중앙 부분(48)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돌출부(56-61)를 상향으로 변형시키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밀봉은 다음과 같은 2가지의 기능을 갖는데, 즉, ⅰ) 날개가 달린 하우징(15)을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 기능과, ⅱ) 작동 중에 고정자의 중앙 부분으로 또 중앙 부분으로부터 공기의 유동의 제한하여 가청 소음이 릴럭턴스 장치(10)의 내부로부터 주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영역(32)은 플러그(27)의 중앙 부분보다 약간 작지만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4개의 돌출부(62-66)에 의해 형성된 것만 제외하고 슬롯 영역(31)과 유사하다. 상기 슬롯 영역(32)의 기능 및 작동은 전술한 슬롯 영역(31)의 그것과 유사하다.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들의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할 목적이 아니고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수정과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와 취지로부터 벗어남 없이 당업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의 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실제적인 실시 태양 전부에 대해 기재하지 않았다. 물론, 전술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수정한 변형례들은 주어진 목적에 따라 소정의 설비 및 사업 목표에 적합하게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변형례는 복잡하고 시간 소모가 많겠지만 본 발명의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및 사상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3)

  1.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 개의 고정자극을 형성하는 고정자와,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자극을 중심으로 감긴 권선 코일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위상 권선과,
    상기 권선 코일 일부의 외측 표면상에서 하나 이상의 극간 영역 내에 배치된 소정 윤곽(contoured)의 탑스틱(top-stick)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한 고정자극은 그 고정자극들 사이의 극간 영역과 중앙 보어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자극 각각은 주어진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 표면을 형성하는 영역을 종단에 구비하며, 상기 권선 코일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극간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보어로 면하는 외측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 윤곽의 탑스틱은 그 외측 표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주어진 곡률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외측 오목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자극 각각은 고정자극에 인접한 극간 영역으로 연장하는 돌출 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탑스틱은 상기 오목 표면을 형성하는 중앙 부분과 2개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 각각은 노치를 형성하며, 상기 탑스틱은, 상기 탑스틱이 위치하게 되는 극간 영역을 형성하는 고정자극으로부터의 돌출 부분을 상기 노치가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스틱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4. 주어진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 영역을 종단에 구비한 복수 개의 고정자극을 포함하는 릴럭턴스 장치에 사용되는 소정 윤곽의 탑스틱으로서, 상기 주어진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중앙의 오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스틱.
  5.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고정자와,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구비하는 공동을 형성하는 제1 엔드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제2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자의 제1 단부의 외측 표면이 상기 제1 표면 및 제2 표면과 합치되도록 상기 제1 엔드실드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상기 외측 표면은 비교적 직선인 영역과 비교적 만곡된 영역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제3 표면과 제4 표면을 구비하는 공동을 형성하는 제2 엔드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표면은 상기 제4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자의 제2 단부의 외측 표면이 상기 제3 표면 및 제4 표면과 합치되도록 상기 제2 엔드실드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8. 전기 장치의 복수 개의 위상 권선의 단자들을 전력원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 하우징으로서,
    상기 위상 권선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중공 공동을 형성하는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인 제1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레그와,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날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하우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하우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하우징은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위치 설정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설정 탭은 단자 하우징을 상기 전기 장치에 대한 주어진 배치에 맞게 위치시키도록 상기 전기 장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하우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는 고정자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설정 탭은 상기 전기 장치의 고정자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노치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하우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탭은 복수 개의 분쇄 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하우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1 날개 부재가 연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날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하우징.
  14.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 둘레에 감기고, 고정자 외측으로 연장하는 최종 권회부와 종단자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위상 권선과,
    상기 위상 권선의 단자를 전력원에 연결시키기 위한 단자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 하우징은 중공의 공동을 형성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위상 권선의 단자는 중공의 공동 내에 배치되고 제1 날개 부재는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단자 하우징은 제1 날개 부재가 하나 이상의 최종 권회부 위로 연장하여 그 권회부에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1 날개 부재가 연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날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 부재는 가요성의 끈에 의해 하나 이상의 최종 권회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복수 개의 돌출 고정자극과 극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단자 하우징은 극간 영역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하우징은 상기 고정자와 맞물리고 상기 단자 하우징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위치 설정 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 하우징의 중앙 영역이 통과하게 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엔드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실드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 하우징의 중앙 영역이 통과하게 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방진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커버에 마련된 통로는 슬릿에 의해 분리된 복수 개의 돌출형 가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22. 릴럭턴스 장치용의 방진 커버로서,
    상기 릴럭턴스 장치는 위상 권선과, 전력을 상기 위상 권선에 연결하기 위한 돌출형 단자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방진 커버는 단자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슬릿에 의해 분리된 복수 개의 가용성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커버.
  23.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 개의 고정자극을 형성하는 고정자로, 상기 돌출한 고정자극은 그 고정자극들 사이의 극간 영역과 중앙 보어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자극 각각이 주어진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 표면을 형성하는 영역을 종단에 구비하고 있는 고정자와,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자극을 중심으로 감긴 권선 코일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위상 권선으로, 상기 권선 코일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극간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보어를 면하는 외측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자 외측으로 연장하는 최종 권회부와 종단자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위상 권선과,
    상기 권선 코일 일부의 외측 표면상에서 하나 이상의 극간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 외측 표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주어진 곡률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외측 오목 표면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소정 윤곽의 탑스틱과,
    상기 위상 권선의 단자들을 전력원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 하우징으로, 중공의 공동을 형성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위상 권선의 종단자는 중공의 공동 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날개 부재는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중앙 부분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날개 부재가 하나 이상의 최종 권회부를 가로질러 연장하여 그 최종 권회부에 연결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는 단자 하우징과,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구비하는 공동을 형성하는 제1 엔드실드로서,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제2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자의 제1 단부의 외측 표면이 상기 제1 표면 및 제2 표면과 합치되도록 상기 제1 엔드실드에 대해 배치하도록 되어 있는 제1 엔드실드와,
    제3 표면과 제4 표면을 구비하는 공동을 형성하는 제2 엔드실드로서, 상기 제3 표면은 상기 제4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자의 제2 단부의 외측 표면이 상기 제3 표면 및 제4 표면과 합치되도록 상기 제2 엔드실드에 대해 배치되며, 상기 단자 하우징의 중앙 영역을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어 있는 제2 엔드실드와,
    상기 엔드실드에 연결되고, 단자 하우징의 중앙 영역이 통과하게 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방진 커버로, 상기 방진 커버에 마련된 상기 통로는 슬릿에 의해 분리된 복수 개의 돌출형 가용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방진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럭턴스 장치.
KR10-1999-7002591A 1996-10-01 1997-09-17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KR100458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25,007 US5877572A (en) 1996-10-01 1996-10-01 Reduced noise reluctance machine
US8/725,007 1996-10-01
US08/725,007 1996-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648A KR20000048648A (ko) 2000-07-25
KR100458683B1 true KR100458683B1 (ko) 2004-12-03

Family

ID=2491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591A KR100458683B1 (ko) 1996-10-01 1997-09-17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77572A (ko)
EP (1) EP0929928A2 (ko)
JP (1) JP2001501435A (ko)
KR (1) KR100458683B1 (ko)
CN (1) CN1200501C (ko)
AU (1) AU4354997A (ko)
WO (1) WO19980150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1510B2 (ja) * 1997-12-05 2004-01-26 国産電機株式会社 磁石発電機用固定子
US6232693B1 (en) 1997-05-13 2001-05-15 Emerson Electric Co. Switched reluctance motor having stator inserts for noise reduction, magnet positioning, and coil retention
JP3440782B2 (ja) 1997-10-29 2003-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ラクタンスモータ及び圧縮機駆動用リラクタンスモータ
FR2780828B1 (fr) * 1998-07-02 2000-09-29 Valeo Equip Electr Moteur Alternateur de vehicule ayant un enroulement isole du carter
JP3454234B2 (ja) * 1999-09-27 2003-10-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分割コアモータ
JP2001245451A (ja) * 2000-02-28 2001-09-07 Pioneer Electronic Corp モータ装置
DE10035540A1 (de) * 2000-04-01 2001-10-04 Vorwerk Co Interholding Reluktanzmotor und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Reluktanzmotors
CA2379631C (en) * 2001-03-30 2006-08-01 Robertshaw Controls Company Rotary damper assembly
US6661140B2 (en) * 2001-12-11 2003-12-09 Black & Decker Inc. Brushless motor having housing enabling alignment of stator and sensor
GB0130149D0 (en) * 2001-12-18 2002-02-06 Johnson Electric Sa Electric motor
DE10334608B3 (de) * 2003-07-29 2005-03-1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Elektromotors
US7109616B2 (en) * 2003-10-16 2006-09-19 Fasco Industries, Inc. Electric motor with hall effect memory module
US20070063603A1 (en) * 2005-08-22 2007-03-22 Levine Gregory M Integrated motor and controller assemblies for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s
US7352092B2 (en) * 2005-08-22 2008-04-01 Emerson Electric Co. Integrated motor and controller assemblies for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s
CN100385773C (zh) * 2006-03-30 2008-04-30 南京航空航天大学 凸极转子电机的圆柱凸极复合型转子
KR101240268B1 (ko) 2006-09-21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KR101422320B1 (ko) * 2010-09-20 2014-07-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
CN102355112A (zh) * 2011-10-24 2012-02-15 常州华阳电子科技有限公司 开关磁阻电机
US20130154406A1 (en) * 2011-12-19 2013-06-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witched reluctance motor assembly
US9246362B2 (en) * 2013-03-14 2016-01-26 Nidec Motor Corporation Electrical motor with adjustable stator stack height and reduced yoke diameter
US9225220B2 (en) * 2013-07-02 2015-12-2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Integrated gas turbine engine accessories
JP6282506B2 (ja) * 2014-03-26 2018-02-21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CN104539078B (zh) * 2014-12-03 2017-02-22 胡超 转子设有防尘结构的永磁无刷电机
DE102015114192A1 (de) * 2015-08-26 2017-03-02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Verbindungssystem zur Steckerpositionierung
US10447100B2 (en) 2016-06-17 2019-10-15 Nidec Corporation Motor
US20170366062A1 (en) * 2016-06-17 2017-12-21 Nidec Corporation Motor
CN106208502A (zh) * 2016-08-25 2016-12-07 东莞市利发爱尔空气净化系统有限公司 一种电机罩及其制作工艺
CN106300774B (zh) * 2016-09-06 2019-09-17 博世电动工具(中国)有限公司 电机
CN112075013B (zh) * 2018-04-25 2023-08-18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单元以及马达单元的制造方法
CN110870181B (zh) * 2018-06-30 2022-05-3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电机定位装置、电机及云台
US10998792B2 (en) * 2018-12-21 2021-05-04 Abb Schweiz Ag Polymeric industrial electrical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698A (en) * 1901-08-28 1903-12-22 Gen Electric Dynamo-electric machine.
US1279810A (en) * 1916-12-01 1918-09-24 Allis Chalmers Mfg Co Retaining-wedge for dynamo-electric machines.
SE359410B (ko) * 1971-12-27 1973-08-27 Asea Ab
US4037312A (en) * 1972-11-16 1977-07-2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mechanically stable electrical winding having cooling openings therein
GB1591346A (en) * 1977-03-30 1981-06-17 Chloride Group Ltd Reluctance electric motor drive systems
US4147946A (en) * 1977-05-31 1979-04-03 Sundstrand Corporation Rotor structure for an electric machine
DE2736831C2 (de) * 1977-08-16 1982-07-01 Danfoss A/S, 6430 Nordborg Anschlußvorrichtung für die Statorwicklung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S4523117A (en) * 1978-06-16 1985-06-11 Emerson Electric Co. Dynamoelectric machine with self-sealing lead wire grommet
US4249116A (en) * 1979-03-23 1981-02-03 Nasa Controller for computer control of brushless DC motors
DE3008937A1 (de) * 1980-03-08 1981-09-24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Kollektormotor zum antrieb von hausgeraeten
US4447771A (en) * 1981-08-31 1984-05-08 Kollmorgen Technologies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synchronous brushless motors
US4427910A (en) * 1982-03-01 1984-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Magnetic slot wedge with low average permeabilit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US4488101A (en) * 1982-12-23 1984-12-11 Borg-Warner Corporation Starting system for chopper controlled motor-commutated thyristor inverter
JPS60170435A (ja) * 1984-02-13 1985-09-03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交流発電機
US4500824A (en) * 1984-05-21 1985-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commutation and converter circuit for switched reluctance motors
EP0180815B2 (en) * 1984-10-19 1994-12-28 Kollmorgen Corporation Variable speed variable reluctance electrical machines
DE3579286D1 (de) * 1984-10-19 1990-09-27 Kollmorgen Corp Regelungssysteme fuer variable reluktanzmaschinen.
EP0181511B1 (en) * 1984-10-19 1990-08-22 Kollmorgen Corporation Servomotor control systems
DE3540011A1 (de) * 1984-11-13 1986-05-15 Hewlett-Packard Co., Palo Alto, Calif. Verfahren und treiberschaltung zum antreiben eines buerstenlosen gleichstrommotors
US4659798A (en) * 1985-06-24 1987-04-21 Union Carbide Corporation Novel room temperature vulcanizable polydiorganosiloxane compositions
DE3546891C2 (de) * 1985-10-21 2000-06-08 Papst Licensing Gmbh & Co Kg Treiberschaltung zum Betrieb eines kollektorlosen Gleichstrommotors in einem Lüfter oder zum Antrieb eines Lüfters
JPH07118944B2 (ja) * 1986-03-17 1995-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ラシレス直流モ−タ
US4761580A (en) * 1987-06-17 1988-08-02 Magnetek, Inc. Magnetic top wedge
US4868477A (en) * 1987-06-23 1989-09-19 The Superior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orque and torque ripple in a variable reluctance motor
EP0307663B1 (de) * 1987-09-04 1992-05-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llektormotor zum Antrieb von Hausgeräten, insbesondere Waschmaschinen
US4859921A (en) * 1988-03-10 1989-08-22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control circuits,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systems, switching regulator power supplies, and methods
DE3812996A1 (de) * 1988-04-19 1989-11-09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omotor, insbesondere wischermotor zum antrieb einer scheibenwischeranlage in einem kraftfahrzeug
DE3905997A1 (de) * 1989-02-25 1990-08-30 Licentia Gmbh Von einem elektronischen leistungswandler gespeister reluktanzmotor
US4933621A (en) * 1989-05-12 1990-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Current chopping strategy f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s
US5124607A (en) * 1989-05-19 1992-06-23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s including metal filled glass cloth slot closure wedg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4973871A (en) * 1989-08-23 1990-11-27 Lucas Aerospace Power Equipment Corporation Stator assembly having magnet retention by mechanical wedge constraint
JPH03284147A (ja) * 1990-03-28 1991-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US5270603A (en) * 1990-04-26 1993-12-14 Sawafuji Electric Co., Ltd. Coil-end supporting apparatus and a rotary-machinery stator equipped with same
US5239220A (en) * 1990-04-26 1993-08-24 Mitsubishi Denki K.K. Stator wedge and guide jig therefor
US5072166A (en) * 1990-06-18 1991-12-10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Position sensor elimination technique for the switched reluctance motor drive
AU630820B2 (en) * 1990-07-04 1992-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ushless dc motor
DE4036565C1 (en) * 1990-11-16 1992-05-21 Braun Ag, 6000 Frankfurt, De Electronic drive system using variable reluctance electric motor - slows down variations in magnetic induction of stator by electronic control of winding current
US5196775A (en) * 1991-02-20 1993-03-23 Honeywell Inc. Switched reluctance motor position by resonant signal injection
US5119000A (en) * 1991-02-25 1992-06-02 Motorola, Inc. Low noise motor drive circuit
US5075610A (en) * 1991-03-28 1991-12-24 Honeywell Inc. Switched reluctance motor control circuit with energy recovery capability
US5175458A (en) * 1991-09-04 1992-12-29 Onan Corporation Insulator for terminating electrodynamic stator coils
US5210474A (en) * 1992-02-27 1993-05-11 Quantum Corporation Digital-analog driver for brushless D.C. spindle motor
US5239217A (en) * 1992-05-18 1993-08-24 Emerson Electric Co. Redundant switched reluctance motor
GB9311176D0 (en) * 1993-05-29 1993-07-14 Univ Warwick Electric motor drive
DE4327775A1 (de) * 1993-08-18 1995-02-23 Abb Management Ag Nutverschlußanordnung
US5446359A (en) * 1993-12-29 1995-08-29 Emerson Electric Co. Current decay control in switched reluctance motor
US5461295A (en) * 1994-01-28 1995-10-24 Emerson Electric Co. Noise reduction in a switched reluctance motor by current profile manipulation
JP3268573B2 (ja) * 1994-04-25 2002-03-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ドレラクタンスモ−タの制御装置
US5487213A (en) * 1994-05-02 1996-01-30 Emerson Electric Co.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i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15049A3 (en) 1998-08-06
EP0929928A2 (en) 1999-07-21
CN1232580A (zh) 1999-10-20
US5877572A (en) 1999-03-02
AU4354997A (en) 1998-04-24
CN1200501C (zh) 2005-05-04
JP2001501435A (ja) 2001-01-30
WO1998015049A2 (en) 1998-04-09
KR20000048648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683B1 (ko) 저소음 릴럭턴스 장치
WO1998015049A9 (en) Reduced noise reluctance machine
US6774523B2 (en) Electric motor
JP2017189093A (ja) ステータ、これを備えるモータ、及びこれを製作する方法
CA2145262A1 (en) Flux Controlled Permanent Magnet Dynamo-Electric Machine
JP2000295805A (ja) 永久磁石回転電機
JP3322954B2 (ja) 小型モータの組立式整流子
KR10263335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블로어 모터
US20190372445A1 (en) Brush motor
KR100706193B1 (ko) 모터 고정자용 인슐레이터
US6954012B2 (en) Permanent electric motor with a speed sensor
JPH11187601A (ja) 整流子電動機
JPH1155879A (ja) 電動機
CN112994300A (zh) 永磁空心线圈发电机
JPH0213254A (ja) ブラシレス発電機
JP2002176737A (ja) 電動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器
JP3173245B2 (ja) 直流同期モータ
KR100262784B1 (ko) 모터
JPH0937493A (ja) 単相交流整流子モータ
JPH09322442A (ja) モータ
KR200413099Y1 (ko) 모터 고정자용 인슐레이터
KR100511272B1 (ko)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의 회전자 구조
JPH06178468A (ja) モータ用固定子
JP2001128403A (ja) 小型モータおよびその回転子の製造方法
KR20220113573A (ko) 소음저감성능을 개선시킨 bldc 모터의 스테이터 코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