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415B1 -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415B1
KR100448415B1 KR10-2001-7009800A KR20017009800A KR100448415B1 KR 100448415 B1 KR100448415 B1 KR 100448415B1 KR 20017009800 A KR20017009800 A KR 20017009800A KR 100448415 B1 KR100448415 B1 KR 100448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metal plate
injection molding
mol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1964A (ko
Inventor
다무라시게키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덴손 가부시키가이샤
유겐가이샤 에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덴손 가부시키가이샤, 유겐가이샤 에이블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45/1419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positioned around an edge of the injecte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44Joining a heated non plastics element to a plastics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44Joining a heated non plastics element to a plastics element
    • B29C65/46Joining a heated non plastics element to a plastics element heated by in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 B29C66/30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303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making use of protrusion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 B29C66/30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3032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making use of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5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one hollow-preform being placed insid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29C66/7422Aluminium or alloys of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29C66/7428Transition metals or their alloys
    • B29C66/74281Copper or alloys of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금속판과 합성수지가 결합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금속판으로부터의 합성수지의 박리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금속판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내에 부착하고, 합성수지를 당해 금형내에 사출주입하여 금속판과 합성수지를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금속판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컬링부 또는 되접어꺾기부를 미리 설치하여 둔다, 당해 컬링부 또는 되접어꺾기부내에 가압주입된 합성수지의 발포, 팽창, 그리고, 당해 컬링부 또는 되접어꺾기부내에 들어간 합성수지의 경화, 수축을 이용하여, 금속판과 합성수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한다.
서로의 맞닿음면이 상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과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을 준비하고, 가열된 금속판에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을 가압, 맞닿음시키고,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의 맞닿음면의 용융, 그 후의 경화, 수축을 이용하여 금속판과 합성수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시키는 방법{METHOD FOR JOINING SYNTHETIC RESIN TO METALLIC PLATE}
종래, 합성수지제품에 금속판을 결합하는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시에 금속판을 인서트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금속판과, 합성수지의 양방에 친화성이 있는 합성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접착제의 도포, 접착, 건조 등의 여분의 가공공정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사출성형시에 금속판을 인서트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금속판을 보강 등의 목적으로 합성수지내에 매립구조의 경우에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단순히 결합하는 경우에는, 금속판과 합성수지의 열팽창의 상위 등에 의해, 박리가 용이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합성수지와 금속판 사이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얻을 수 있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의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사출성형 금형의 일부를 절단한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방법에서 되접어꺾기부의 확장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한 방법에서 되접어꺾기부에서의 합성수지의 수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d)는 도 1(a)에 도시한 다른 방법에서 컬링부에서의 합성수지의 수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사출성형 금형의 일부를 절단한 정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방법에서 금속판이 변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 확대도.
도 2(c)는 도 2(a)에 도시한 방법에서 금속판이 변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의한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a)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사용되는 가열수단을 설명하는 도면.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가열수단을 설명하는 도면.
도 5(a)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판의 단면도.
도 5(b)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금속판의 단면도.
도 5(c)는 도 5(a)에 도시한 금속판의 외측에 합성수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a)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판으로서, 동심원상 오목부를 갖는 것의 평면도.
도 6(b)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판으로서, 6각형 오목부를 갖는 것의 평면도.
도 6(c)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판으로서, 4각형 오목부를 갖는 것의 평면도.
도 6(d)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판으로서, 타원형 오목부를 갖는 것의 평면도,
도 7(a)는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의 일부 단면도.
도 7(b)는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른 제품의 일부 단면도.
도 7(c)는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또 다른 제품의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으로서, 외부에서 열감지가능한 제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으로서, 금속판외벽의 표시가외부에서 인지가능한 제품의 정면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제품의 일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으로서, 전자유도가열가능한 제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금속프레스한 금속판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내에 부착하고, 합성수지의 당해 금형내로의 사출에 의해, 당해 합성수지와 상기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의 사출을 이용하고, 상기 금속판의 둘레 가장자리부나 그 외의 부분에, 합성수지와의 사이의 긴밀 고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한 금속판에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을 직접 접촉시킨 후 냉각하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수축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은 것이다.
제 1은, 도 1(a) 내지 도 1(d), 도 2(a) 내지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프레스한 금속판(4,6)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10)내에 부착하고, 합성수지(14,20)를 당해 금형(10)내로 사출하고, 합성수지(14,20)와 금속판(4,16)을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가운데 한 방법은, 금속판(4)이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합성수지(14)가 결합하는 측을 향해서 만곡하는 컬링(curling)부(5a)로서, 그 선단부(5b)측과 금속판(4)의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측의 면의 사이의 간격이 당해 컬링부(5a)내부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컬링부(5a)를 구비하고 있고(도 1(d)), 사출성형 금형(10)내의 금속판(4)의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측의 면에 사출된 합성수지(14)의 일부가, 컬링부(5a)내로 가압주입되어 금속판(4)과 합성수지(14)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컬링부(5a)내로 가압주입되는 합성수지(14)의 발포, 팽창, 컬링부(5a)내에 잔존하는 합성수지(14)가 경화될 때의 수축을 이용하여, 금속판 둘레 가장자리부와 합성수지 사이에서 긴밀한 고착성을 증강시키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금속판(4)이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측을 향해서 만곡하는 되접어꺾기부(5)를 구비하고 있고(도 1(b)), 사출성형 금형(10)내의 금속판(4)의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측의 면으로 사출된 합성수지(14)의 일부가, 되접어꺾기부(5)내에 가압주입되고, 되접어꺾기부(5)의 내부가 되접어꺾기부(5)의 선단부측과 금속판(4)의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측의 면과의 사이의 간격보다 확장되고, 금속판(4)과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되접어꺾기부(5)에 가압주입되는 합성수지의 발포, 팽창에 의해 되접어꺾기부(5)를 가압변형시키는 것을 이용하고, 또 상기와 동일하게, 되접어꺾기부(5)내에 잔존하는 합성수지(14)가 경화할 때의 수축을 이용하여, 금속판 둘레 가장자리부와 합성수지 사이에서 긴밀한 고착성을 증강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의 경우,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10)의 금속판(4)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되접어꺾기부(5)에 대향하는 부분과, 금형(10)내에 부착된 금속판(4)의 되접어꺾기부(5)와의 사이에, 되접어꺾기부(5) 내부의 상기 확장에 따른 되접어꺾기부(5)의 확장을 흡수하는 공간(7)을 존재시켜둘 필요가 있다.
상기의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사출성형 금형(10)내의 금속판(16)의 합성수지(20)가 결합되는 측의 면에 사출된 합성수지(20)의 압력에 의해, 금속판(16)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부분에서 요철곡면으로 변형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합성수지(20)의 금형(10)내로의 주입압력에 의해, 금속판(16)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부분을 요철곡면으로 변형시키고, 합성수지(20)가 경화할 때의 수축을 이용하여, 금속판(16)에 형성한 이 요철곡면부분으로의 합성수지(20)의 부착상태를 경고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10)과, 당해 금형(10)내에 부착된 금속판(16) 사이에, 금속판(16)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부분에서 요철곡면으로의 변형을 흡수하는 공간을 존재시켜 둘 필요가 있다.
더욱이, 상기중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사출성형 금형(10)내에 부착되는 금속판(4,16)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의 면에 미리 요철부가 존재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금형(10)내에 사출, 주입되어 당해 요철부에 부착된 합성수지는, 경화시의 수축에 의해 당해 요철부에 강력하게 부착되어, 합성수지와 금속판의 부착상태를 한층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의하면, 합성수지와 금속판이 결합하는 제품을, 금속판(4,16)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10)내에 부착하고, 합성수지(14,20)를 당해 사출성형 금형(10)내로 사출하여, 일체 성형품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 성질상, 합성수지와 금속판이 결합되는 제품의 형상, 크기 등에 대한 제약이 크다. 또, 수축율이 큰 합성수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과의 수축율의 차이로, 금속을 변형시키고 마는 것을생각할 수 있으므로, 합성수지와 금속판이 결합된 제품의 용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중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금속판(4)은 공기압을 이용함으로써 사출성형 금형(10)내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른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한 금속판에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을 직접 접촉시키고, 그 접촉면을 녹인 후에, 냉각하고, 경화시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수축을 이용함으로써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것이고, 이것에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즉, 금속판(22)과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의 맞닿음면을 서로 상사형으로 형성한 후, 금속판(22)을 가열하고,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의 맞닿음면에 가압 맞닿게 하여 금속판(22)과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을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 금속판(22)의 맞닿음면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요철로 형성하여 둘 수 있다. 또한, 금속판(22)의 가열은, 히터에 의한 가열, 또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전류에 의한 유도가열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금속판 및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을 미리 성형하고, 양자를 끼워맞춤 또는 맞닿게 하고, 가열·가압하여 일체화하므로, 전술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을 이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공정수는 많아지는데,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은 이미 경화되고, 수축되어 있으므로, 금속과의 수축율의 차이는적다.
상기에 있어서, 금속판은, 냄비와 같은 조리기, 볼, 머그컵(mug cup:원통형 찻잔) 등의 음식기 등의 용기로서 사용되는 형상으로 미리 금속프레스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 합성수지를 결합함으로써, 금속판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조리기, 음식기로서, 조리, 음식, 세정 등에 있어서 통상의 사용온도에서, 금속과 합성수지 사이에 박리 등이 생기지 않는 조리기, 음식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형상, 크기는, 평면에서 보아, 3각형, 4각형 등의 다각형, 둥근형, 타원형 등, 여러가지 형상, 크기의 조리기, 음식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한 조리기, 음식기는, 내측이 금속판으로 외측에 합성수지가 결합되어 있는 조합에 한하지 않고, 외측이 금속판으로 내측에 합성수지가 결합되어 있는 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내측이 금속판으로 외측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조리기, 음식기로 하면,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전류에 의해 유도가열 조리기 등을 사용하여, 가열조리, 보온을 행함에 있어, 가열효율이 좋게 되고 편리하다.
또한, 상기중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합성수지,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투명한 합성수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할 수 있다. 내측이 금속판으로 외측에 투명한 합성수지,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결합되어 있는 조리기, 음식기로 하면, 형성된 조리기, 음식기의 외부에 적외선이용의 열감지기를 배열비치하고, 투명한 합성수지,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통해서 조리기, 음식기의 온도에 관하여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와 금속판은 접착제 그외의 것을 사용하지 않고 결합되어 있으므로, 리사이클링시에, 단지 금속판 둘레 가장자리부의 컬링부, 되접어꺾기부, 또는 금속판의 요철부분 등을 가열하는 것만으로,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리사이클링이 간단, 용이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a) 내지 도 1(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형(1)과 하형(2)에 의해 제품형상의 형 구멍(3)이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10)을 준비한다.
이 사출성형 금형(10)의 상형(1)측으로 금속판(4)을 부착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금속판(4)으로서, 금속프레스된 금속 반구체를 사용한다.
상형(1)의 볼록부 중심부에는, 흡인구멍(32)이 열려 있고, 이 흡인구멍(32)은,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의 진공펌프(31)와, 호스(33)로 접속되어 있다. 사출성형 금형(10)으로의 금속판(4)의 부착은, 도 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판(4)의 둘레에 O링(30)을 부착하고, 화살표(35)(도 1(a))방향으로 진공펌프(31)로 흡인함으로써, 공기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금속판(4)이 상형(1)으로부터 낙하하는 일은 없다.
금속판(4)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측을 향해서 만곡하는 되접어꺾기부(5)가 설치되어 있다(도 1(a), 도 1(b)). 되접어꺾기부(5)에대향하는 상형(1)의 부분에는 환상홈(7)이 있고, 되접어꺾기부(5)와 이것에 대향하는 상형(1)의 부분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하형(2)의 주입구(6)로부터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를 화살표(11)와 같이 사출주입하면, 합성수지(14)는, 화살표(8,9)와 같이 압입되고(도 1(a)), 되접어꺾기부(5)를 화살표(12,12)(도 1b))와 같이 가압하여, 환상홈(7)의 내벽에 눌러붙이고, 이것에 의해, 환상홈(7)의 내벽과 상사형의 외벽을 갖는 컬링부(5a)가 형성된다(도 1(c)).
그 후, 사출성형 금형(10)내에서 합성수지(14)가 고화되면, 도 1(c)에서 화살표(13)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화시의 수축을 발생시키게 하는데, 컬링부(5a)의 내부에 합성수지(14)가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14)와 컬링부(5a)는 긴밀히 걸려 고정되고, 금속판(4)의 둘레 가장자리와 합성수지(14)의 외주 가장자리는 견고히 고정되고, 조리, 음식, 세정 등 할 때에 온도변화에 의해 박리될 염려가 없다.
또한, 도 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컬링부(5a), 즉, 금속판(4)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측을 향해서 만곡하는 컬링부(5a)로서, 그 선단부(5b)(도 1(c))측과 금속판(4)의 합성수지(14)가 결합되는 측의 면 사이의 간격이 컬링부(5a)의 내부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컬링부(5a)가,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는 금속판(4)을 사용해도, 동일하게 금속판(4)과 합성수지(14)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도, 도 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14)의 경화, 수축시에 화살표(15)방향으로 힘이 걸리고, 합성수지(14)와 컬링부(5a)는 긴밀히 걸려 고정되고, 금속판(4)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합성수지(14)의 외주 가장자리는 견고히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방법중, 최초로부터 금속판(4)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컬링부(5a)를 설치해 두는 것보다는, 되접어꺾기부(5)를 설치해 두는 쪽이, 금속판(4)의 가공,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2(a) 내지 도 2(c)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형(1)과 하형(2)에 의해 사출성형 금형(10)을 형성한다. 사출성형 금형(10)내에, 상자형상으로 금속프레스형성되어 있는 금속판(1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a)에서 설명한 공기압 이용에 의한 금속판(16)의 부착수단은, 도 2(a)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형(1)과 하형(2)에 의해 형 구멍(3)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형(1)에는, 금속판(16)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부분에서 요철곡면으로의 변형용의 형 구멍(3b)이 설치되어 있다.
이 형 구멍(3b)은, 합성수지(20)가 사출성형 금형(10)내에 사출주입된 때에, 합성수지의 압력에 의해 금속판(16)의 저면부(16a)의 변형을 흡수하기 위한 성형 구멍이다.
금속판(16)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되접어꺾기부(16a)가 구비되어 있고, 합성수지(20)의 사출성형 금형(10)내로의 사출주입에 의해, 이 되접어꺾기부(16a)가 컬링부쪽으로 가압변형되므로, 이것을 흡수하도록, 상형(1)의 되접어꺾기부(16a)에대향하는 부분에 빈 간극(3a)이 구비되어 있다(도 2(b)).
주입구(6)로부터 합성수지(20)가 화살표(17)와 같이 사출주입되면, 합성수지(20)는 화살표(18,19)와 같이 진행되고, 금속판(16)의 되접어꺾기부(16a)를 컬링부(16a)와 같이 변형시키고, 금속판(16)의 바닥부(16b)를 볼록형상부(16d)와 같이 변형시킨다(도 2(c)).
합성수지(20)가 경화, 수축하면, 컬링부(16c) 및 볼록형상부(16d)에 접촉되어 있는 합성수지가 수축하므로, 금속판(16)과, 합성수지체(20)는 긴밀하게 결합된다.
또한, 최초로부터 볼록형상부(16d)를 갖도록 금속판(16)을 형성하여 두고, 사출성형 금형(10)내에 사출주입된 합성수지(20)가, 그 경화, 수축에 따라 당해 볼록형상부(16d)에 강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a) 내지 도 7(c)는, 상기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판과 합성수지의 결합제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a)는,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것과 역으로, 외측의 금속판(16)의 내측에 합성수지(2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7(b)는,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내측의 금속판(16)의 외측에 합성수지(2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지만, 금속판(16)과 합성수지(20) 사이에 다른 부재(34)로서 고무, 유리, 세라믹, 폐플라스틱 등의 부재를 사이에 장착한 것이다. 도 7(c)는, 도 7(a)와 동일하게 외측의 금속판(16)의 내측에 합성수지(2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더욱이, 금속판(16)과 합성수지(20) 사이에 고무 등의 다른 부재(34)를 사이에 장착한 것이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22)과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의 맞닿음면을 서로 유사형으로 형성하여 둔다. 금속판(22)은, 예를 들면, 프레스성형하고,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은 사출성형하고, 충분히 수축시켜 둔 것이다.
금속판(22)을 가열하고,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의 맞닿음면에 가압 맞닿음하면,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의 맞닿음면이 금속판(22)으로부터의 직접 가열에 의해 녹아 나온다. 그 후, 이 녹은 부분이 경화되고, 수축함으로써, 금속판(22)과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이 일체화되고, 금속판(22)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의 금속판(22)에 맞닿음하는 맞닿음면이 오직 녹아 나오고,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21)의 다른 면(도 3에서는 외측면)은, 이미 충분히 수축하여 형성되어 있던 그대로이므로, 최종제품인 금속판(22)과 합성수지의 결합제품의 치수가 안정되고 있다.
여기서 금속판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에 맞닿음하는 면은,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부(26,26a), 요철부(29,29a,29b,29c)를 갖도록 형성하여 두면, 일단 녹은 열가소성 합성수지의경화, 수축에 의한 금속판으로의 부착을 한층 더 견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요철부(26,26a)를 갖는 반구형상의 금속판(27)에 열가소성 합성수지 성형품이 일체화하여 부착되는 공정의 개략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6(a)는, 금속판(25)에 동심원형상의 오목부(29)를 설치한 예, 도 6(b)는, 6각형의 금속판(25a)에 상사의 오목부(29a)를 설치한 예, 도 6(c)는, 4각형의 금속판(25b)에 상사의 오목부(29b)를 설치한 예, 도 6(d)는, 타원형의 금속판(25c)에 상사의 오목부(29c)를 설치한 예이다. 금속판(25,25a,25b,25c)은 어느 것도 평면에서 본 형태를 나타내지만, 음식기용의 용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금속판(22)은, 금속판(22)이 철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동제품이나 알루미늄제품인 때에는, 히터에 의해 가열할 수 있다.
금속판(22)이 철 손상이 발생하는 부재에 의한 것인 때에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전류에 의한 유도가열에 의해 금속판(22)을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 도 4(a), 도 4(b)이다. 도 4(a)는, 전선을 동심원형상으로 배치한 단극코일(28)에 의한 것이고, 도 4(b)는, 독립전선에 의한 전선을 복수극(24a, 24b, 24c, 24d, 24e, 24f)배치한 다극코일에 의한 것이다.
(실시예 5)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금속판과 합성수지의 결합 한 제품의 용도 등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것은 어느 것도 금속판의 외측에 합성수지를 결합한 제품이다.
도 8은, 내측의 금속판(38)에 외측의 합성수지(39)를 결합하여 조리기(36)를 제조한 것이다. 유도가열용 코일(43)이 내장되어 있는 가열기(41)의 위에, 내용물(37)을 수용한 조리기(36)를 실어 가열한다.
이 때, 합성수지(39)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하면, 가열기(41)에 내장되어 있는 적외선센서(42)에 의해, 조리기(36)의 내측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감지된 온도를 참고로 하여,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과열상태, 조리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39)가 투명한 합성수지가 아닌 경우에도, 부호(40)로 도시한 부분에 투명한 유리부재나 열감지에 이용될 수 있는 부재가 배치되도록 하여 두면, 조리기(36)를 가열하면서, 외부에서 조리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9(a), 도 9(b)는, 내측의 금속판(45)에 외측의 합성수지(47)를 결합시켜 음식기(44)를 제조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합성수지(47)로서 투명한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미리, 금속판(45)의 외측에 상표 등의 마크(46)를 부착하여 두므로써, 음식기(44)의 외측에서, 그 마크(46)를 인지할 수 있다.
도 10은, 전자유도가열기(51)를 사용하여 가열할 수 있는 조리기(48)를 나타낸 것이다. 조리기(48)는, 내측의 금속판(49)에 외측의 합성수지(50)를 결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금속판(49)은, 전자유도가열될 수 있는 부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철 등에 의해 제조되어 있으므로, 전자유도가열기(51)의 위에 두고, 가열, 조리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50)로서는 PP(폴리프로필렌), PC(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금속프레스한 금속판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내에 부착하고, 합성수지를 당해 금형내로 사출하고, 당해 합성수지와 상기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을 향해서 만곡하는 컬링부로서, 그 선단부측과 상기 금속판의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의 면 사이의 간격이 당해 컬링부 내부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컬링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사출성형 금형의 당해 컬링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금속판이 상기 사출성형 금형내에 부착되었을 때에, 당해 컬링부와 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금형내의 상기 금속판의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의 면에 사출된 합성수지의 일부가, 상기 컬링부내로 가압주입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컬링부가 상기 사출성형 금형의 홈에 눌러붙여진 후, 상기 합성수지가 경화, 수축하여 상기 금속판과 합성 수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
  2. 금속프레스한 금속판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내에 부착하고, 합성수지를 당해 금형내로 사출하고, 당해 합성수지와 상기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을 향해서 만곡하는 되접어꺾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사출성형 금형의 당해 되접어꺾기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금속판이 상기 사출성형내에 부착되었을 때에, 당해 되접어꺾기부와 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금형내의 상기 금속판의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의 면에 사출된 합성수지의 일부가, 상기 되접어꺾기부내로 가압주입되고, 상기 되접어꺾기부의 내부가 상기 되접어꺾기부의 선단부측과 상기 금속판의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의 면 사이의 간격보다 확장되고, 이것이 의해 상기 되접어꺾기부가 상기 사출성형 금형의 홈에 눌러붙여진 후, 상기 합성수지가 경화, 수축하여 상기 금속판과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 금형내의 상기 금속판의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의 면에 사출된 합성수지의 압력에 의해, 상기 금속판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부분에서 요철곡면으로 변형되는 부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 금형과, 당해 금형내에 부착된 상기 금속판 사이에는, 상기 금속판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부분에서 요철곡면으로의 변형을 흡수하는 공간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 금형내에 부착되는 금속판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측의 면에 요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금속판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금형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1-7009800A 1999-02-05 2000-02-04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시키는 방법 KR100448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29048 1999-02-05
JP2904899 1999-02-05
PCT/JP2000/000605 WO2000046007A1 (fr) 1999-02-05 2000-02-04 Procede permettant d'assembler une resine synthetique et une plaque metall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64A KR20010101964A (ko) 2001-11-15
KR100448415B1 true KR100448415B1 (ko) 2004-09-13

Family

ID=1226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800A KR100448415B1 (ko) 1999-02-05 2000-02-04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57800A4 (ko)
JP (1) JP3650966B2 (ko)
KR (1) KR100448415B1 (ko)
CN (1) CN1130281C (ko)
TW (1) TW466164B (ko)
WO (1) WO20000460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081B1 (ko) * 2009-06-19 2011-12-29 케이씨케미칼 주식회사 전자제품용 수지 일체형 금속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141425B1 (ko) * 2019-10-29 2020-08-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이너패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4618B2 (ja) * 2000-09-13 2012-03-28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KR20040035441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새샘 복층 구조를 갖는 조리용 볼 및 요철무늬 성형방법
JP5517889B2 (ja) * 2010-11-09 2014-06-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金属端子をインサートした樹脂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615772B (zh) * 2012-03-31 2014-10-15 上海琥达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表面具有镶嵌件的昆仑晶石复合材料制品及制备方法
KR102145388B1 (ko) * 2013-07-09 2020-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101509540B1 (ko) * 2013-09-09 2015-04-07 이환길 사출 금형
JP5543004B1 (ja) * 2013-09-30 2014-07-09 日新製鋼株式会社 塗装金属素形材
CN107221788B (zh) * 2017-05-17 2020-11-17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及其制作方法、开关固定架、插座
CN111605132A (zh) * 2020-06-23 2020-09-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外观件的制作方法及外观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047A (ko) * 1974-04-05 1975-10-18
JPH08156015A (ja) * 1994-11-29 1996-06-18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表皮一体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成形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5171A (ko) * 1973-03-08 1974-11-02
US4797244A (en) * 1982-09-29 1989-01-10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Multiwalled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024912U (ja) * 1983-07-27 1985-02-20 三井造船株式会社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と金属との接着継手構造
JPS6111525U (ja) * 1984-06-26 1986-01-23 株式会社 飛弾製作所 容器
JPS62164525A (ja) * 1986-01-16 1987-07-21 Toshiba Corp フツ素樹脂の接着構造
JPH07115379B2 (ja) * 1988-03-11 1995-12-1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表皮体を有する合成樹脂製品の成形方法
JPH01279045A (ja) * 1988-04-22 1989-11-09 Showa Denko Kk 缶容器
JPH05261823A (ja) * 1992-03-19 1993-10-12 Toshiba Chem Corp 外殻筐体
JP2576355Y2 (ja) * 1992-08-10 1998-07-0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ローラ
DE4235769A1 (de) * 1992-10-23 1994-04-28 Riesselmann & Soh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rägers mit einem Verkleidungselement und danach hergestelltes Teil
JPH09314590A (ja) * 1996-05-29 1997-12-09 Alpha Corp フィルムを被着した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047A (ko) * 1974-04-05 1975-10-18
JPH08156015A (ja) * 1994-11-29 1996-06-18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表皮一体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成形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081B1 (ko) * 2009-06-19 2011-12-29 케이씨케미칼 주식회사 전자제품용 수지 일체형 금속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141425B1 (ko) * 2019-10-29 2020-08-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이너패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64A (ko) 2001-11-15
JP3650966B2 (ja) 2005-05-25
EP1157800A1 (en) 2001-11-28
CN1338986A (zh) 2002-03-06
CN1130281C (zh) 2003-12-10
WO2000046007A1 (fr) 2000-08-10
EP1157800A4 (en) 2003-10-15
TW466164B (en) 200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415B1 (ko) 합성수지와 금속판을 결합시키는 방법
KR100977108B1 (ko) 용기의 열성형 방법
US5672397A (en) Composite article of an automotive vehicle
US5728443A (en) Composite article of an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5701385A (zh) 自行车架组件的热压接合方法及其成品
JP4725888B2 (ja) カップ状容器及びその熱成形方法
CN205478532U (zh) 风扇扇轮结构
TWI618625B (zh) 物件的製法及其製品
JP5942224B2 (ja) 誘導加熱調理用容器
JP4744739B2 (ja) リブ付成形品の成形方法
JP2005096467A (ja) 合成樹脂と金属板を張り合せる方法
JPS581518A (ja) 真空成形部品の製造方法
CN111988933A (zh) 具有软硬材质的壳体、制作壳体的方法和电子装置
JP2960483B2 (ja) 把手付きボトルの製造方法
JP3212678B2 (ja) ゴム−樹脂複合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63354B2 (ja) 包装容器の製造方法
JP3590771B2 (ja) 溶着用フランジを有するブロー成形体
JP3280754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送風機翼の製造法
CN107120308A (zh) 风扇扇轮结构
KR200293488Y1 (ko) 비닐용기
JP3016030U (ja) 食 器
JP2004122410A (ja) 紙シート成形体
JPS6121366Y2 (ko)
JPS598331B2 (ja) 熱可塑性樹脂中空体の成形法
JPS62199414A (ja) モ−ルディン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