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833B1 -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833B1
KR100446833B1 KR10-2002-0006527A KR20020006527A KR100446833B1 KR 100446833 B1 KR100446833 B1 KR 100446833B1 KR 20020006527 A KR20020006527 A KR 20020006527A KR 100446833 B1 KR100446833 B1 KR 10044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ithin
egg yolk
purity
ethanol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196A (ko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강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식 filed Critical 강성식
Priority to KR10-2002-000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83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08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09Esters of phosphoric acids
    • C07F9/10Phosphatides, e.g. lecithin
    • C07F9/103Extraction or purification by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natural phosphatides; Preparation of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atides of unknown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황(egg yolk)으로부터 레시틴(lecithin)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난황 분말에 에탄올 함유 용매를 가하고 30 내지 70℃로 10 분 내지 2 시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추출액을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의 에탄올 순도를 92 내지 97%(v/v)로 조절하는 단계; (C) 결과적인 여액을 20 내지 50℃로 냉각한 후 10 분 이상 정치하여, 인지질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상층 상등액과 중성지질의 하층으로 층분리하는 단계; 및, (D) 하층의 침강 중성지질을 제거하고 상층 상등액을 진공농축하여 에탄올과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인지질의 순도가 60% 이상이고 회수율이 90% 이상인 레시틴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난황 레시틴 제조방법에 따르면, 사용하는 에탄올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고순도의 난황 레시틴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최소의 비용으로 난황 레시틴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Egg Yolk Lecithin}
본 발명은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황 분말에 주정과 같은 에탄올 함유 용매를 가하여 지질을 추출하고 이를 여과한 후 얻어지는 여액을 냉각/정치하여 침강된 중성지질 분획을 제거하는 과정에 의해 난황 분말로부터 고순도의 레시틴을 손쉽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레시틴은 지질을 구성하는 인지질의 한 성분으로서, 학술적으로는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이라고 명명되며, 대두, 난황과 같은 식품에 다량 함유되어있다. 인지질은 생체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한 성분으로 세포의 활성화, 기억력 증진과 같은 생체내 기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레시틴은 강력한 유화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산업적으로도 유화제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생체내에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유화시켜 콜레스테롤의 동맥 벽 침착을 방지하는 기능으로도 응용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지질의 함량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인지질의 함량이 60% 이상을 레시틴이라 명하고, 인지질의 함량이 60% 이하인 경우를 난황유라고 명하고 있다. 레시틴에 포함되어있는 인지질 이외의 성분으로는 주로중성지질이 있고, 그 외에 극미량의 다당류, 콜레스테롤 등이 포함되어있다. 식품분야에서 레시틴 규정요건은, 인지질 함량이 60% 이상인 경우이고 수분의 함량이 1.5% 이내이다. 그러나, 인지질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예를 들어, 80%인 경우에는 점도가 크게 높아져서 식품 첨가제 등으로의 가공상의 문제와 농축에 의한 수분 제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60% 이상의 인지질을 포함하고 있지만 적당량의 중성지질도 함유되어있어서, 전체적으로 균형이 맞춰진 레시틴이 구성될 수 있다.
레시틴은 일반적으로 원료로서 대두와 난황을 원료로 추출하고 정제함으로써 제조된다. 최근에는 난황을 원료로하여 얻어진 난황 레시틴의 생체활성화 기능이 많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난황 레시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난황에는 많은 종류의 지질이 함유되어있기 때문에, 레시틴을 고순도로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는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국특허 제4,157,404호(Process for obtaining yolk lecithin from raw egg yolk)는, 난황을 디메틸 에테르(dimethyl ether)로 추출한 다음, 추출 혼합물로부터 난황 단백질과 디메틸 에테르를 제거한 후, 탈수(dehyration)를 행하여 난황 레시틴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844,926호(Egg lecithin process)는, 계란으로부터 분리한 난황을 약하게 저으면서 약 화씨 150도에서 5분간 가열하는 제 1 가열 단계, 약하게저으면서 약 화씨 200도에서 30분간 가열하는 제 2 가열 단계, 약 화씨 190도에서 30분간 가열하는 제 3 가열 단계, 약하게 저으면서 약 화씨 200도에서 20분간 가열하는 제 4 가열 단계, 필터 수단에 의해 이를 거르는 단계, 및 이를 대략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거쳐 난황 레시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847,015호(Process for producing egg yolk lecithin having reduced PE content and/or containing substantially no impurities)는, 강극성 용매 또는 강극성 용매와 비극성 용매의 혼합액에 난황 레시틴을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을 이온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의 량이 적은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028,449호(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egg lecithin) 역시, 상기 미국특허 제4,884,826호와 가열온도 및 시간만을 달리한 거의 유사한 방법에 의한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공개 제1987-6843호(난황유의 제조방법)는, 멸균 수세건조한 계란을 무균하에 할란하여 난황만을 탈기 분리 수거한 후 균질화하고, 외기의 접촉이 없도록 밀폐 도관을 통하여 질소대기가 충전된 고온분무 건조기로 이송시켜 수분함량 5%이하로 건조시키고, 이 건조 난황분을 연속 연결도관을 통하여 n-핵산에 함침 후 추출하여 난황유를 충분히 추출하고 이어서 공지의 원심분리 혹은 여과 그리고 진공증류장치에 의하여 순수한 난황유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공개 제1989-4713호(난황유의 추출방법)는, 계란을 200 ppm의유리 염소제가 들어 있는 세란조에 일정시간 동안 침지시킨 다음, 난각을 파열시켜 난황과 난백을 분리한 후, 난황만을 채취하여 약 65℃에서 3 내지 5 분 동안 살균하고, 살균된 난황액을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시킨 다음, 난황분을 100 메쉬 정도의 여과포로된 포낭에 넣어서 난황 분량의 2배 정도인 메탄올, 노르말헥산, 또는 에틸렌디클로라이드의 용제를 선택하여 난황분에 첨가시켜, 난황에 함유된 난유를 추출하는 난황유의 추출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종래의 난황 레시틴 제조방법(또는 추출방법)은 특정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거나 단계적 열처리 또는 이온교환 수지와 접촉과 같은 다양한 수단이 동원하고 있으나, 추출 수율이 매우 낮거나, 생산공장에 적용시 제품의 질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하며, 얻어진 레시틴의 순도가 낮고,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용매 또는 재료 등의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간단한 제조방법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율로 고순도의 난황 레시틴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강하게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행한 끝에, 인지질을 고수율로 회수하면서 고순도의 레시틴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서, 난황을 에탄올 용액에 용해시켜 추출한 여액의 에탄올 농도를 특정한 수준으로 맞춘 뒤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키게 되면, 60% 이상의 인지질이 함유되어있는 상층 상등액과 대부분 중성지질로 이루어진 하층의 층분리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인지질이 알코올에 용해되며 물에 일부 용해된다는 사실은 공지되어있으나, 난황을 용해시킬 경우 중성지질 또한 알코올에 용해된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추출 여액의 에탄올 순도를 특정한 수준으로 맞출 경우 인지질을 60% 이상 함유하고있는 레시틴을 냉각에 의한 층분리로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은 전혀 새로운 사실이며, 이를 교시 내지 암시하고 있는 선행기술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에탄올에 의한 용해/추출, 추출 여액의 에탄올 순도 조절, 여액의 냉각에 의한 층분리, 및 중성지질 하층의 제거와 같이, 저렴한 용매의 사용 및 간단한 공정에 의해,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고순도와 고회수율의 중요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지질 순도가 60% 이상인 난황 레시틴을 90% 이상의 회수율로 제조방법으로서,
(A) 난황 분말에 에탄올 함유 용매를 가하고 30 내지 70℃로 10 분 내지 2 시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추출액을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의 에탄올 순도를 92 내지 97%(v/v)로 조절하는 단계;
(C) 결과적인 여액을 20 내지 55℃로 냉각한 후 10 분 이상 정치하여, 인지질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상층 상등액과 중성지질의 하층으로 층분리하는 단계; 및,
(D) 하층의 침강 중성지질을 제거하고 상층 상등액을 진공농축하여 에탄올과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저렴한 용매와 간단한 제조공정에 의해, 인지질의 순도가 60%(w/w) 이상인 난황 레시틴을 90% 이상의 회수율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최소의 설비로 최대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획기적인 장점을 가진다.
난황(egg yolk)은 계란의 노른자위로서, 그것의 50%(w/w) 정도가 수분이고, 고형분 중 60%(w/w) 정도가 지질이며, 지질 중 30%(w/w)에 해당하는 양이 인지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하는 난황 분말은 액상의 난황을 건조한 것으로 수분 함량이 1 내지 3%(w/w)인 것을 사용한다. 수분 함량이 너무 많으면 에탄올의 순도를 많이 저하되어 중성지질의 제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너무 적으면 난황 분말을 고품질의 상태로 제조하기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난황 분말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지질은 알코올에 가용성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분말 난황으로부터 인지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에탄올 함유 용매의 바람직한 예로는 식용 에탄올인 순도 90%(v/v) 이상의 주정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순도가 95 내지 96%(v/v)로 생산되는 주정을 쉽게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A)의 구체적인 예로는, 순도 95 내지 96%(v/v)의 주정을 난황 분말에 대해 3 내지 10 배(부피비)로 가하고, 이를 서서히 교반하면서 30 내지 70℃로 10 분 내지 2 시간 동안 가온하여 난황으로부터 지질을 추출한다. 에탄올 용액의 더욱 바람직한 부가량은 난황 분말에 대해 4 내지 8 배(부피비)이다. 추출 공정의 시간 및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추출 공정을 30℃ 이하나 10 분 이하로 행할 경우에는 추출의 효율이 떨어지고, 70℃ 이상이나 2 시간 이상 동안 행할 경우에는 지질의 산화를 초래할 수 있다.
단계(B)에서는, 추출이 완료된 추출액으로부터 고형분을 우선 제거하는 바, 바람직한 예로는 1 차적으로 50 내지 200 메쉬의 망으로 여과하고, 2 차적으로 이를 0.5 내지 10 마이크론의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실험 결과, 이 상태에서의 레시틴의 순도는 25 내지 45%(w/w)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형분의 제거를 통해 얻어진 여액의 층분리(단계(C))를 위해서는 여액의 에탄올 순도를 특정한 수준으로 유지한 뒤 이를 냉각 및 정치하는 것이 필요한데, 우선 여액의 에탄올 순도는 적어도 92 내지 97%(v/v)이어야 한다. 에탄올의 순도가 너무 낮으면 중성지질의 하층으로의 침강이 너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인지질의 침강도 많아지므로 결과적으로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에탄올의 순도가 너무 높으면 중성지질이 침강되지 않아 60% 이상의 인지질이 함유된 레시틴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여액의 에탄올 순도를 93 내지 96%이다.
여액의 에탄올 순도는 단계(A)에서 사용되는 에탄올 순도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설정 범위내로 조절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별도로 순도 조절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단계(A)에서 사용된 에탄올 용액의 에탄올 순도는 추출과정을 거쳐 다소 희석되게 되는바, 이는 난황 분말에 포함되어있는 물이 여액에 합체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계(B)에서 별도로 행할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여액의 에탄올 순도가 낮을 경우 추가적으로 고순도의 에탄올 용액을 여액에 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여액의 에탄올 순도가 낮을 경우에는, 저순도의 에탄올 또는 증류수를 여액에 가하여 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층분리를 위한 또하나의 과정인 냉각 및 정치는, 단계(C)에 대한 상기 설명과 같이, 20 내지 55℃로 냉각하여 10 분 이상 정치하게 되는데, 과다 추출된 여분의 중성지질이 방울을 형성하면서 여액의 하부로 침강하게 된다. 냉각 온도가 너무 낮으면 레시틴의 침강 손실이 커지고, 반대로 너무 높으면 침강되는 중성지질의 량이 줄어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냉각 온도의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30 내지 40℃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1 내지 30 rpm(회전/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rpm으로 천천히 저어주어 중성지질의 침강 속도를 높일 수도 있다. 상기 교반 속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교반의 효과가 적고, 너무 높을 경우에는 중성지질의 침강을 방해하게 된다.
여액을 정치하는 시간은 여액의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떨어진 후 10 분 이상이면 충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24 시간 이상 정치하여도 무방하다. 냉각 후 침강된 중성지질은 일반적으로 붉은색을 띠며, 용기의 하부에 가라앉아 층분리되어 있으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하층에는 중성지질이 95% 이상의 순도로 함유되어 있고 미량의 인지질이 함유되어있다. 실험 결과, 상층 상등액의 레시틴의 순도는 중성지질을 제거한 상태에서 50 내지 7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계(D)에서, 상층 상등액을 진공농축하여 에탄올과 수분을 제거하면 페이스트 상태의 레시틴이 얻어진다. 상기 진공농축의 바람직한 예로는, 0.005 내지 0.1 기압에서 수행하며 내용물의 온도가 4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진공농축시의 온도가 40℃ 이상일 경우에는 인지질의 산화가 초래되어 이취(異臭)를 발생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페이스트 상태의 난황 레시틴은 수분의 함량이 1.5% 이하로 매우 높은 점성을 가지고 있으며, 10℃ 이하로 냉각할 경우 고체처럼 딱딱해진다. 단계(B)에서의 여액의 에탄올 순도가 너무 낮으면, 앞서 설명했던 문제점 이외에, 기화열이 높은 물의 제거를 위해 농축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분 함량 1.5%(w/w)의 난황 분말 1 ㎏에 주정(96.2%(v/v)의 에탄올 함유) 5ℓ를 가하고 60℃에서 30 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4.2ℓ의 여액을 얻었으며, 이 때 여액의 에탄올 순도는 95.8%(v/v)였다. 얻어진 여액을 25℃로 냉각한 후, 1 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였다. 상층의 인지질 농도는 60.6%(w/w)였고, 하층의 인지질 농도는 2.1%(w/w)였으며, 하부에 침강된 중성지질은 9 g이었다. 상층의 상등액을 0.004 기압에서 20℃로 진공농축한 결과, 적황색의 고점도인 인지질 순도 60%(w/w)의 레시틴 278.5 g이 얻어졌다. 인지질의 회수율은 92.8% 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난황 분말 100 ㎏에 주정(95.1%(v/v)의 에탄올 함유) 300ℓ를 가하고 이를 6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그러한 추출물을 여과하여 203ℓ의 여액을 얻었고, 나머지 난황박에 다시 추가로 주정 300ℓ를 가하여 60℃에서 1 시간 동안 추출 후 여과하여 307ℓ의 여액을 얻었다. 먼저 얻어진 203ℓ의 여액과 추가로 얻어진 307ℓ의 여액을 혼합하였는바, 이 때 얻어진 혼합 여액의 에탄올 순도는 94.2%(v/v)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45℃로 1 시간 동안 정치하여 하부에 가라앉는 중성지질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상층 상등액을 35℃에서 0.08 기압으로 진공농축한 결과 레시틴 27.5 ㎏이 얻어졌다. 얻어진 레시틴의 인지질 순도는 62.1%(w/w)였고, 인지질의 회수율은 94.8%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실험실 조건의 소량 실험과 마찬가지로 양산 조건의 다량 실험에서도 동일한 조건으로 고순도의 레시틴이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난황 분말 150 ㎏에 주정(94.1%(v/v)의 에탄올 함유) 600ℓ를 가하고, 이를 55℃에서 60 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440ℓ의 여액을 얻고, 추가로 주정(95.0%(v/v)의 에탄올 함유) 450ℓ를 가하여, 55℃에서 60 분 동안 추출한 후, 상기 여액 440ℓ를 혼합하였는바, 이 때 얻어진 혼합 여액의 에탄올 순도는 93.5%(v/v)였다. 상기 혼합 여액을 38℃로 60 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시킨 후, 층분리된 하층에 가라앉는 중성지질을 제거한 뒤, 상층 상등액을 30℃에서 0.03 기압으로 진공농축한 결과, 레시틴 40.8 ㎏이 얻어졌다. 얻어진 레시틴의 인지질 순도는 65.2%였다. 얻어진 레시틴의 량은 난황에 존재하는 인지질 이론치의 94%에 해당하는 높은 수율이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난황 분말 100 g에 99.9%(v/v)의 무수 에탄올 700 ㎖를 가하고, 이를 60℃에서 추출하여 여과한 뒤, 여액 604 ㎖를 얻었다. 얻어진 여액에 증류수 33 ㎖를 가하여 에탄올의 순도가 94.5%(v/v)로 되도록 조절하였다. 에탄올 순도가 조절된 여액을 38℃로 1 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시킨 뒤, 하층의 중성지질층을 제거하였다. 상층 상등액을 30℃에서 0.05 기압으로 진공농축한 결과, 수분 함량 1.2%(w/w)의 레시틴 26.8 g이 얻어졌다. 얻어진 레시틴의 인지질 순도는 62.3%(w/w)이었다. 인지질의 회수율은 92.8%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난황 분말 500 g에 순도 92.5%(v/v)의 에탄올을 7 배수 가하고, 이를 60℃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 후 얻어진 추출액 중 에탄올의 순도는 92%(v/v)였으며, 인지질의 순도는 32%(v/v)였다. 얻어진 추출액 2.93 ℓ를 39℃로 냉각하여, 하부에 가라앉는 중성지질 24 g을 제거하였다. 중성지질층에는 인지질이 1.1%(w/w)함유되어 있었다. 상층액을 진공농축하여, 인지질 60.3%(w/w)의 레시틴 140.8 g을 얻었다. 인지질의 회수율은 94%였으며, 최종 레시틴의 수분함량은 1.48%(w/w)이였다.
[비교예 1]
분말난황 250 g에 순도 90%(v/v)의 에탄올 1.5 ℓ를 가하고 60℃에서 20 분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 1.18 ℓ를 얻었다(추출 후의 여과 시간이 실시예 1의 고순도 에탄올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2 배 정도 많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여액의 에탄올 순도는 89.1%(v/v)였다. 얻어진 여액 중 인지질의 순도는 45%(w/w)였으며, 이를 45℃로 냉각하였을 때 하부에 가라앉는 중성지질층의 양은 미미하였다. 이를 추가로 10℃까지 냉각하자 11.2 g의 중성지질층을 분리할 수 있었고, 이 중성지질 층에는 2.1 g의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었다(중성지질 층에 함유되어있는 인지질의 함량은 18.8%로 고순도의 에탄올을 사용한 실시예 1의 1%에 비하면 매우 높은 양이다). 중성지질 층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진공농축하여 수분 함량 3.7%(w/w), 인지질 75%(w/w)의 레시틴 44.2 g을 얻었다. 여기서, 수분 함량이 높은 이유는 인지질의 순도가 필요이상으로 높아 지나치게 점도가 높아져, 진공농축에 의해 더이상 수분을 제거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시간을 많이 연장한다면 수분을 낮출 수는 있으나, 그 경우 과다한 열로 인해 레시틴의 이취발생과 같은 품질저하가 나타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인지질의 회수율은 75% 수준으로 낮은 편이며, 과다한 냉각과 품질저하를 고려한다면 생산원가가 현저히 높아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난황 분말 100 g에 주정(95.1%(v/v)의 에탄올 함유) 700 ㎖를 가하고, 이를 60℃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15℃로 냉각 후 1 시간 동안 정치하여, 하층에 가라앉는 중성지질을 제거하고, 상층 상등액을 25 ℃에서 0.04 기압으로 진공농축한 결과, 레시틴 16.1g이 얻어졌다. 얻어진 레시틴의 인지질 순도는 71.3%(w/w)이었으며, 인지질의 회수율은 62%이었다.
비교예 2는 필요이상으로 냉각함으로써, 중성지질과 일부 인지질이 동시에 침강되어 제거됨으로써, 상층 상등액의 순도는 높아지고 회수율은 실시예 4의 94%와 비교하여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난황 분말 500 g에 주정(95.1%(v/v)의 에탄올 함유) 2ℓ를 가하고 55℃에서 25 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1.45ℓ의 여액을 얻었으며, 이 때 여액의 에탄올 순도는 94.5%(v/v)였다. 얻어진 여액을 40℃로 냉각한 후, 30 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시킨 뒤, 하부에 가라앉은 중성지질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상층 상등액을 0.5 기압에서 25℃로 진공농축한 결과, 적황색의 고점도인 55%(w/w)의 레시틴 161.8 g이 얻어졌다. 수분함량은 8%(w/w) 였다. 진공농축을 위한 기압을 상대적으로 고압인 0.5 기압으로 하였기에 농축 후 물 등의 잔존량이 많아져 인지질의 순도가 60% 이하인 레시틴이 얻어졌다. 상기 기압에서 에탄올을 증발시키려면 적어도 50℃ 정도가 되어야하며, 이 온도에서 장시간 농축하게되면 이취가 발생하고 농축 후 수분함량이 5 내지 10%로 매우 높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을 바탕으로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난황 레시틴 제조방법에 따르면, 값싼 용매를 사용하고 온화한 조건 및 간단한 공정을 통해 고순도의 레시틴을 높은 회수율로 난황으로부터 제조할수 있으므로, 양산(대량생산)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제품의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작업이 단순하고 손쉽게 고순도의 레시틴을 얻을 수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난황(egg yolk)으로부터 레시틴(lecithin)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난황 분말에 에탄올 함유 용매를 가하고 30 내지 70℃로 10 분 내지 2 시간 동안 가온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추출액을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의 에탄올 순도를 92 내지 97%(v/v)로 조절하는 단계;
    (C) 결과적인 여액을 20 내지 55℃로 냉각한 후 10 분 이상 정치하여, 인지질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상층 상등액과 중성지질의 하층으로 층분리하는 단계; 및,
    (D) 하층의 침강 중성지질을 제거하고 상층 상등액을 진공농축하여 에탄올과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인지질 순도가 60% 이상이며 회수율이 90% 이상인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의 여액의 에탄올 순도가 93 내지 9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질 순도가 60% 이상이며 회수율이 90% 이상인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KR10-2002-0006527A 2002-02-05 2002-02-05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KR10044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27A KR100446833B1 (ko) 2002-02-05 2002-02-05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27A KR100446833B1 (ko) 2002-02-05 2002-02-05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196A KR20030066196A (ko) 2003-08-09
KR100446833B1 true KR100446833B1 (ko) 2004-09-04

Family

ID=3222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27A KR100446833B1 (ko) 2002-02-05 2002-02-05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283B1 (ko) 2009-03-13 2011-08-16 주식회사 고센바이오텍 난황 레시틴 함유 수용성 나노 에멀션의 제조 방법
KR102531373B1 (ko) * 2022-02-21 2023-05-12 이광미 난황 레시틴으로부터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912B1 (ko) * 2002-10-24 2005-03-10 이경용 난황 레시틴의 제조 방법
KR100472911B1 (ko) * 2002-10-24 2005-03-10 주식회사 고센바이오텍 난황 레시틴의 추출 방법
KR101862570B1 (ko) * 2018-01-19 2018-05-30 정시호 사포닌 흡수 증진을 위한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13717220A (zh) * 2021-10-11 2021-11-30 江苏曼氏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豆磷脂中糖脂去除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3192A (ja) * 1986-05-09 1987-11-16 Nisshin Oil Mills Ltd:The 卵黄レシチンの製造方法
JPS63190892A (ja) * 1987-02-03 1988-08-08 Q P Corp 水添レシチンの分画法
US5319116A (en) * 1992-02-12 1994-06-07 Gary Viole Lecithin fractions and dilution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ological uses thereof
US5670175A (en) * 1994-02-21 1997-09-23 Nawrocki; Werner C. Process for obtaining ultrapure egg oil and its use
JPH1118688A (ja) * 1997-07-02 1999-01-26 Q P Corp 卵黄レシチ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3192A (ja) * 1986-05-09 1987-11-16 Nisshin Oil Mills Ltd:The 卵黄レシチンの製造方法
JPS63190892A (ja) * 1987-02-03 1988-08-08 Q P Corp 水添レシチンの分画法
US5319116A (en) * 1992-02-12 1994-06-07 Gary Viole Lecithin fractions and dilution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ological uses thereof
US5670175A (en) * 1994-02-21 1997-09-23 Nawrocki; Werner C. Process for obtaining ultrapure egg oil and its use
JPH1118688A (ja) * 1997-07-02 1999-01-26 Q P Corp 卵黄レシチン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283B1 (ko) 2009-03-13 2011-08-16 주식회사 고센바이오텍 난황 레시틴 함유 수용성 나노 에멀션의 제조 방법
KR102531373B1 (ko) * 2022-02-21 2023-05-12 이광미 난황 레시틴으로부터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196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7345B1 (en) A process for the isolation of a phospholipid
CN1084790C (zh) 生产植物溶血卵磷脂的方法
JP3160673B2 (ja) 原料レシチンからのオイルの除去方法
JP2772213B2 (ja) ツェインの製造方法
JPH01108952A (ja) スパイス抽出物の製造方法
US5833858A (en) Method of concentration of acidic phospholipid
KR100446833B1 (ko) 난황 레시틴의 제조방법
CA1335054C (en) Extraction of fresh liquid egg yolk
US5077441A (en) Selective gossypol abatement process from oil extraction of cottonseed
NO813336L (no) Separasjonsprosess.
JPS587639B2 (ja) ジヨウリユウニヨル ステロ−ルルイノ セイセイホウホウ
CN100363378C (zh) 一种生产植物甾醇和维生素e混合物的方法
CN108299495A (zh) 一种食用磷脂的生产方法及生产得到的食用磷脂
JPH0560839B2 (ko)
JPH01277457A (ja) レシチンの精製方法
KR100472912B1 (ko) 난황 레시틴의 제조 방법
CA2288469A1 (en) Production process, used in particular for obtaining lecithin from dehydrated egg
KR100472911B1 (ko) 난황 레시틴의 추출 방법
JP4936273B2 (ja) 精製ライスワックスの製造方法
JPH08283773A (ja) 化学合成添加物無添加サラダ油製造方法
KR20200104569A (ko) 미강유의 정제방법
JPS6245592A (ja) 高純度リン脂質の製造方法
US10645951B2 (en) Industrial method for recovering phospholipids and producing lecithin from a residue from the production of soy protein concentrate
JPS6239594A (ja) 高純度粉末レシチンの製造方法
KR20230001330A (ko) 크릴 오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