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622B1 - 2축배향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를사용한콘덴서 - Google Patents

2축배향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를사용한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622B1
KR100444622B1 KR1019960035695A KR19960035695A KR100444622B1 KR 100444622 B1 KR100444622 B1 KR 100444622B1 KR 1019960035695 A KR1019960035695 A KR 1019960035695A KR 19960035695 A KR19960035695 A KR 19960035695A KR 100444622 B1 KR100444622 B1 KR 100444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oriented polypropylen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9933A (ko
Inventor
다쿠미 히라노
이츠오 나가이
시게루 다나카
마사요시 아사쿠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0112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446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0Metal-oxide dielect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14Organic dielectrics
    • H01G4/18Organic dielectrics of synthetic material, e.g. derivatives of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Abstract

본 발명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아이소택틱성이 98∼99.5%이고,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9%를 초과하고, 120℃에서의 기계방향과 폭방향의 열수축율의 합이 1∼4%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고, 또 필름의 회분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10ppm% 이하이고, 아이소택틱 팬타드 분율이 99%를 초과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고온에서의 내절연파괴특성에 우수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콘덴서는,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콘덴서의 최고사용온도였던 85℃ 보다도 최고 20℃ 높은 사용온도에서 장기간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사용한 콘덴서
기술분야
본 발명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하여, 특히 내열성 및 내절연파괴특성에 우수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를 유전체로서 사용한 내열성, 내절연파괴특성에 우수한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투명성, 광택성 등의 광학적 특성에 우수하고, 더욱 수증기 차단 성능, 우수한 전기특성 등에 의하여, 포장용도, 콘덴서 용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필름 콘덴서의 유전체로서 대표적인 소재의 하나이지만, 또하나의 대표적 소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비교하여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콘덴서로서의 최고사용온도가 85℃ 정도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 원인으로서, 사용온도가 고온으로 되면, 필름의 비정부(非晶部), 이물질의 영향 등으로부터, 본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특징이어야할 절연파괴강도가 급격히 저하하여 버리고, 특히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기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소자의 밀집화 및 고온화가 진전하고,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콘덴서의 최고사용온도를 더욱 상승시키려는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콘덴서의 최고사용온도인 85℃ 보다도 고온으로 게다가 장기로 성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1) 단시간의 급속한 가열에 의한 기계적 변형, 즉 열수축율이 적당히 작고, (2) 고온에서의 필름전기특성이 우수하며, 및 (3) 전기특성의 고온하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라 저하가 작을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1)의 이유로서는, 콘덴서 소자 작성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전극과 포개서 감아 어니일링된 단계에서 일정온도하에 열처리가 실시되어, 알맞는 열수축을 부여하여 감아죄임을 발생시킴으로 인한 형태보존이나, 필름층간의 공기의 추출등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열수축이 지나치게 크면 소자의 변형에 의한 콘덴서의 용량의 저하나 소자의 파괴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열수축율이 지나치게 작으면 감아죄임이 불충분하고, 장기고온사용하에서의 유전정접의 상승에 의한 소자의 파괴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하여, 일본 특개평 6-236709호 공보에는 회분이 낮고, 비등 n-헵탄가용분이 1∼10중량%인 것으로부터 가공성에 우수하고, 실온에서 80℃까지의 전기절연성에 우수한 고분자 절연재료가 개시되어 있고, 비등 n-헵탄 불용분의 아이소택틱 펜타드(isotactic pentad) 분율이 90%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시사가 있다.
또, 일본 특개평 7-25946호 공보에는 같은 비등 헵탄 불용분이 8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6중량% 이상이고, 해당 비등 헵탄 불용성분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0.970∼0.995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의 개시가 있다.
그러나, 이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비등 n-헵탄 불용분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의 높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서는, 본 발명이 지향하는 85℃를 초과하는 고온에서의 내절연 파괴특성과 이 필름을 유전체로서 사용한 콘덴서 소자의 장기 내열성이 불충분하였다. 즉, 상기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입체 규칙성이 높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비등 n-헵탄 불용분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적당히 높다고는 하지만, n-헵탄 가용분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낮기 때문에, 필름으로서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결과로서 낮고, 입체 규칙성이 불충분하였다. 또 아이소택틱성이 극히 높은, 소위 고결정성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입체 규칙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제막성이 극히 나쁘고, 내열성과 내절연 파괴특성에 우수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공업적으로 유용한 기술로서 확립되기에는 이루지 못하였다.
이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일본 특공평 4-28727호 공보에는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0.960∼0.990의 범위에 있고, 동시에 비등 n-헥산 및 비등 n-헵탄으로 순차 추출한 피추출물의 전량이 3.0∼6.0%로 하는 것으로 성형성에 우수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개시가 있다. 그러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충분하지 않고, 고온에서의 내절연 파괴 특성이 불충분하였다.
더욱, 일본 특개평 5-217799호 공보에는 특정의 열변형온도와 영(Young) 율을 갖고, 결정화도가 높고, 입체 규칙성이 좋은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고강성 증착 금속화 필름을 사용한 증착 필름 콘덴서의 개시가 있다.
그러나 입체 규칙성은 기껏 90% 정도이고, 고온에서의 절연파괴특성이 불충분하였다.
더욱더 일본 특개평 7-50224호 공보에는 120℃에 있어서 열수축율이 길이방향에서 4.0% 이하, 폭방향에서 0.8% 이하인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개시가 있다. 그러나, 필름의 아이소택틱성 및 입체 규칙성이 종래의 것이고, 이후의 고도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인 고온에서의 내절연 파괴특성이 꼭 충분하다고 할 수는 없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및 고온에서의 장기 내절연 파괴특성에 우수한 2축 배향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고, 더욱더 이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유전체로서 사용한 내열성 및 고온에서의 장기 내절연파괴특성에 우수한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아이소택틱성과 입체 규칙성을 고도로 제어하는 것으로, 극히 아이소택틱성의 높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막을 가능하게 하고, 더욱 적정한 제막조건을 채용함으로써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열수축율을 적정화시켜, 종래의 기술로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특징인 내절연파괴특성을 보다 향상시켜, 더욱더 고온에서의 해당 특성저하 및 고온에서의 장기열화의 억제된 콘덴서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이소택틱성이 98∼99.5%이고,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9%를 초과하여, 120℃에서의 기계방향과 폭방향의 열수축율의 합이 1∼4%인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유전체로서 사용한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9%를 초과하여, 하기식의 특성을 갖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를 유전체로서 사용한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다만, Ash는 필름의 회분, H는 내부 헤이즈(haze)를 표시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2축 배향 필름이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불포화 탄화수소에 의한 공중합성분 등을 함유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를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 3-메틸부텐-1, 1-헥센, 4-메틸펜텐-1, 5-에틸헥센-1, 1-옥텐, 1-데센, 1-도데센, 비닐시클로헥센, 스티렌, 아릴벤젠, 시클로펜텐, 노르보르넨, 5-메틸-2-노르보르넨 등이 열거된다.
공중합량은, 내절연파괴특성, 내열성의 점에서 1% 미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아이소택틱성은 제막성의 점에서 99.5% 이하이다. 여기서 아이소택틱성이란 필름을 비등 n-헵탄으로 추출한 경우의 추출전필름 중량에 대한 불용분의 중량의 비율에 의하여 정의된다.
아이소택틱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일본 특개평 6-236709호 공보에 있는 것과 같이 2축 연신(延伸)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연신성이 나쁘고, 제막이 현저히 곤란하게 된다.
또 내열성, 내절연파괴특성의 점에서 아이소택틱성은 98% 이상이다.
양호한 제막성과 내열성, 내절연파괴특성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아이소택틱성은 98.5∼99.5%이고, 더욱 98.7∼99.3%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이소택틱성을 갖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하는데는, 원료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비등 n-헵탄에 녹기 쉬운 저분자량 성분이나, 입체규칙성의 낮은 소위어택틱(atactic) 부분의 비율이 적당히 낮은 것을 선택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입체 규칙성은,13C-NMR에 의하여 측정한 메틸기의 흡수피크에 의한 펜타드 분율에 의하여 평가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분자 사슬에 있어서 5개의 반복단위(펜타드)의 입체 배좌는 mmmm, mmmr. rmmr, ‥, rrrr, mrrr, mrrm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m은 메조(meso), r은 라세모(rasemo)의 입체 배좌를 표시한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펜타드 분율은, 예를들면 T. Hayashi 등의 보고[Polymer, 29. 138∼143 (1988)] 등에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각 입체 배좌를 갖는 단편의 비율을13C-NMR로부터 구할 수가 있다.
이들중, 전 메틸기의 흡수강도에 대한 mmmm의 입체 배좌의 비율, 즉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하 mmmm으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은 m(mmmm)m, m(mmmm)r, r(mmmm)r의 3개의 헵타드 분율의 합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 mmmm은, 99%를 초과한다.
이같은 필름은, 극히 긴 아이소택틱 단편을 갖는 분자로부터 구성된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이루어졌으므로, 고결정성, 고내열성, 고내절연파괴특성의 필름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mmmm은 고내열성, 고내절연파괴특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9.1%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2%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9.3% 이상이다. 이와 같은 입체 규칙성을 부여함에는,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입체 규칙성을 고도로 제어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와 같은 원료를 작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을 중합할 때의 촉매계(고체촉매, 외부첨가전자 공여성 화합물)나 이들의 순도에 의하여 달성된다.
원료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mmmm이 높은 것일수록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mmmm이 높아지는 경향이 인정되지만, 원료의 압출계내에서의 극도의 열열화도 mmmm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고온압출계에서의 원료의 장시간 체류를 피하는 등의 구조적 연구 및 압출조건이 적당히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내열성은 120℃, 15분 가열시의 열수축율로 평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20℃, 15분간 가열시의 기계방향과 폭방향의 열수축율의 합이 1∼4%의 범위이다.
열수축율이 지나치게 크면, 전극으로서의 금속층 형성시에 치수변화를 일으켜 필름로울에 주름이 들거나, 콘덴서 소자 작성시의 열에 의한 기계적 변형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필름 중 및/또는 외부전극과의 접촉부에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콘덴서의 용량저하가 크게 되거나 소자의 파괴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열수축율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는, 콘덴서 소자 작성시의 열처리에 의한 죄어감기가 불충분하게 되고, 형태간직성이나 용량 변화율에 악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한 열수축율은, 상기의 합이 1∼3.5%이고, 더욱이 1.5∼3%, 더욱이 1.5∼2.8%, 특히 1.8∼2.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열수축율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에는, 제막시의 조건이 극히 중요하다. 종래의 아이소태틱성과 mmmm을 갖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일본 특개평 7-502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85℃ 이상의 캐스팅 드럼 온도로 주조되어 있었던데 대하여,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40∼85℃ 보다는 낮은 캐스팅 드럼 온도로 주조되는 것이 알맞다.
캐스팅 드럼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필름의 결정화가 지나치게 진행하고 후공정에서의 연신이 곤란하게 되든가, 열수축율이 지나치게 크게된다. 또, 종래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40℃ 이하의 기계방향 연신온도와 160℃ 이하의 폭방향 연신온도가 채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들 온도를 초과하는 연신온도에서는 배향이 내려가기 때문에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의 탄성율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서는 140∼150℃의 기계방향 연신온도와 160∼165℃의 폭방향 연신온도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의 탄성율을 간직한 채로 목적으로 하는 열수축율을 얻기 위하여 알맞게 채용된다.
이들 연신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열수축율이 지나치게 크게된다.
더욱 폭방향의 완화를 시키면서의 열처리온도는 150∼160℃로 하는 것도 유효하다.
열처리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열수축율이 지나치게 커지고, 지나치게 높으면 열수축율이 지나치게 작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사용되는 입체규칙성에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의 극한 점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막성의 점에서 1∼10dℓ/g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230℃, 2.16kg 가중에 있어서 멜트 플로레이트는 제막성의 점에서 2∼5g/10분의 것이 바람직하다. 극한 점도나 멜트 플로레이트를 상기의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평균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를 제어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폴리프로필렌의 중합과정에 있어서는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촉매로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중합후에 이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잔류물은 수지를 완전히 연소시킨 나머지의 금속산화물의 양을 구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고, 이를 회분이라 부른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회분은 3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pp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하이다.
회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해당 필름의 내절연파괴특성이 저하하고, 이를 사용한 콘텐서의 절연파피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회분을 이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촉매 잔류물의 적은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제막시의 압출계로부터의 오염도 극력저감하는 등의 방법, 예를들면 블리드 시간을 1시간 이상 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의 발명은 전술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9%를 초과하고, 전술의 필름의 회분(ppm)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10ppm% 이하의 콘덴서용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필름 회분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지나치게 크면 내절연파괴특성이 저하한다. 필름 회분과 내부 헤이즈의 곱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8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ppm% 이하이다.
필름의 회분이 적은 것은 상기 이유에 의하여 내절연파괴특성에 있어서 중요하지만, 원료특성 및/또는 제막조건에 의하여, 내부 헤이즈에 반영되는 공동(보이드)이 발생하고, 이것도 내절연파괴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회분과 내부 헤이즈와의 곱이 특정치로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내절연파괴특성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회분이 작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본 발명의 입체 규칙성이 높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있어서는, 고온의 캐스팅 드럼 온도에서는 결정화가 진행하기 쉽고, 이러한 주조 필름을 저온으로 연신하면 내부 헤이즈가 높아지기 쉽다.
내부 헤이즈를 낮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캐스팅 드럼 온도를 85℃ 이하로 하거나, 기계방향의 연신온도를 140℃를 초과하는 온도로 하거나, 폭방향의 연신온도를 160℃를 초과하는 온도로 하거나 더욱 이들을 병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회분이 30ppm 이하이고, 회분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10ppm%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고, 더욱 필름의 밀도로부터 구한 결정화도가 72∼78%이면,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내열성과 내절연파괴특성을 균형있게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화도가 73∼77%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4∼76%이다.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내열성 및/혹은 내절연파괴특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고,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보이드가 발생하고 내절연파괴특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에는 제막시의 캐스팅 드럼 온도의 선택이 가장 중요하고, 40℃ 미만의 저온이면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낮아지고, 85℃ 이상의 고온이면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막성이나 기계특성의 점으로 0.5∼4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로서는 1∼12㎛의 범위가 금속화 가공시의 열의 부담을 방지하거나 내절연파괴특성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내절연파괴특성은 105℃에서의 직류의 절연파괴강도로 평가할 수 있다. 일반으로 2축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절연파괴강도는, 막 두께가 작아지면 단위 두께당의 절연파괴강도(V/㎛)가 작아진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105℃에서의 절연파괴강도는, 막두께를 d(㎛)로 하면 580-(200/d0.5) (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200/d0.5) (V/㎛) 이상이다.
105℃에서의 절연파괴강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고온에서의 절연파괴가 용이하게 발생하여 콘덴서 용도로서 실용에 적합치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회분과 내부 헤이즈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결정화도를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될 수 있는대로 크게 하거나 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 거칠기는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지만, 금속화 필름 콘덴서 용도로서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로 0.02∼0.2㎛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중심선 평균 거칠기가 지나치게 크면, 필름을 적층한 경우에 층간에 공기가 들어가 콘덴서 소자의 열화에 연계되는 경우가 있다.
역으로 지나치게 작으면 필름의 미끄럼이 나빠지고 핸들링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오일함침용도를 위해서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로 0.1∼0.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표면 거칠기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특해 캐스팅 드럼 온도의 선택이 중요하고, 캐스팅 드럼 온도를 40∼85℃의 범위로 선택하는 것이 유효하다.
캐스팅 드럼 온도를 지나치게 올리면 표면 거칠기가 지나치게 크게 되고, 지나치게 내리면 표면 거칠기가 지나치게 작게 된다.
또 예를들면 오일함침용도를 위한 표면 거칠기로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0.5∼1.5㎛의 두께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를 적층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는, 공지의 첨가제, 예를들면 결정핵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미끄럼제, 대전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충전제, 점도 조정제, 착색방지제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이들중에서, 산화방지제의 종류 및 첨가량의 선정은 장기 내열성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첨가되는 산화방지제는 입체 장해성을 갖는 페놀성의 것으로, 그중 적어도 1종은 분자량 500 이상의 고분자량 형의 것이 용융누름시의 비산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 구체예로서는 여러가지 것이 열거되지만, 예를들면 2, 6-디-t-부틸-p-크레졸(BHT:분자량 220.4)과 함께 1, 3, 5-트리메틸-2, 4, 6-트리스(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예를들면 지바가이기제 Irganox 1330: 분자량 775.2) 또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예를들면 지바가이기제 Irganox 1010: 분자량 1177.7)등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화방지제의 총 함유량은 폴리프로필렌 전량에 대하여 0.03∼1중량%(300∼10000pp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0.03중량% 미만에서는 장기 내열성에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이들 산화방지제의 블리드 아우트에 의한 고온하에서의 블로킹에 의하여 콘덴서 소자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1∼0.9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8중량%이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는, 금속층을 형성하는 면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코로나 방전처리 혹은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처리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처리할 때에 분위기 가스로서 공기, 탄산가스, 질소가스 및 이들의 혼합가스 중에서의 처리가 바람직하다. 또 플라즈마 처리는 여러가지 기체를 플라즈마 상태로 두고 필름표면을 화학변성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고, 예를들면 일본 특개소 59-9814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콘덴서에 유전체로서 사용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금속박과 함께 골고루 감은 것도 좋고, 전극으로서 미리 금속화를 행한 것도 좋지만, 콘덴서 소자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금속화를 행하고 골고루 감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경우의 금속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루미늄, 아연, 구리, 주석, 은, 니켈 등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금속화층의 내구성,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진공증착법, 스퍼터링(sputtering)법, 이온빔법 등이 열거되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화 필름의 막저항치는 1∼40Ω/□의 범위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0Ω/□이다.
막저항치가 지나치게 작으면, 증착막의 두께가 두껍고 증착시에 열 부담이 생겨 분화구 같은 표면 결점이나 4㎛ 전후의 얇은 필름에서는 구멍간격등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막저항치가 지나치게 크면 과전시에 증착막의 클리어링이 생겼을 때, 막의 소실이 생기기 쉽고, 용량변화가 크게 되는 일이 있다. 막저항치를 이 범위로 하는 것은 증착시의 막저항치의 모니터에 의하여 제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금속층을 형성할 때에 설치되는 마진(전기절연목적등에 의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면에 설치되는 금속층이 없는 부분)의 특성은, 통상 타이프 이외에 퓨즈 기구를 설치한 여러가지 것 등 목적에 응하여 채용할 수 있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콘덴서의 형식은 건식이나 오일침식 등이 열거되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유전체로서 사용한 필름 콘덴서의 105℃에서의 교류절연파괴강도는 단위 두께당 200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필름 콘덴서의 정격전압은 통상 45∼50V/㎛이고, 안전성을 고려하여 그의 4배 이상의 값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V/㎛ 이상이다.
필름 콘덴서의 절연파괴강도를 이 범위로 하기 위하여는 콘텐서에의 가공시에서의 주름이나 상처의 발생을 피하는 것 등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유전체로서 사용한 필름 콘덴서의 105℃에서의 단위 두께당 60V/㎛(정격전압의 1.2∼1.3배)의 교류전압과전하에서의 수명은, 콘덴서가 장전된 장치의 보증시간의 점에서 500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시간 이상이다. 수명을 이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양의 산화방지제를 첨가하고, 콘덴서에의 가공시에 100℃ 정도의 열처리를 행하고, 주름이나 상처의 발생을 피하고, 에폭시 수지 포매(包埋)나 수지나 오일함침후 금속관내에의 봉인 등(외장)에 의하여 외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 등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콘덴서의 제조방법을 이하에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가열용융하고, 여과필터를 통한 후, 220∼320℃의 온도로 슬릿상 거푸집으로부터 용융압출하고 40∼85℃의 온도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에 감아서 냉각고화케 하고, 미연신 필름을 만든다.
다음에 이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하고, 2축 배향케 한다.
연신방법으로서는 순차 2축 연신방법이 바람직하다.
순차 연신방법으로서는 우선 미연신 필름을 120∼150℃로 유지된 로울에 통하여 예열하고, 계속 해당 시트를 140∼150℃의 온도로 유지하고 주속차(周速差)를 설치한 로울 사이를 통하고, 길이방향으로 2∼6배 연신하고, 곧 실온으로 냉각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mmmm이 99%를 초과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예열온도 130℃ 이하, 연신온도 140℃ 이하에서는 열량이 부족하여 연신 얼룩을 일으키거나 찢어져서 제막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140℃를 초과하는 연신온도를 채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계속 해당 연신필름을 텐터로 유도하여, 160∼165℃의 온도로 폭방향으로 5∼10배 연신하고, 뒤이어 폭방향으로 2∼20%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50∼160℃의 온도에서 열고정하여 감아서 꺼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열고정의 온도는 중요하고 열고정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열수축율이 크게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그후, 증착을 입히는 면에 증착 금속의 접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공기중, 질소중, 탄산가스중 혹은 이들의 혼합기체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하여 와인더로 감아서 꺼낸다.
얻어진 필름을 진공증착장치에 고정하고, 목적에 응한 금속을, 소정의 막저항으로 증착한다.
이 증착필름을 슬릿하고, 콘덴서 소자를 만들기 위한 2 리일 한쌍의 증착리일로 한다.
그후 소자상태로 골고루 감고, 열압착하여 편평상으로 성형하고, 단부의 금속 용사, 리드 꺼내기, 외장을 경우하여 콘덴서로 한다.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콘텐서 용도 이외에, 낮은 열수축율을 살려서 증착, 인쇄, 라미네이트화, 열 접착화 등의 가공시의 열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포장용도로서, 예를들면 이에 열 접착층과 라미네이트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점착테이프나 윤내기 필름(프린트 라미네이트)등으로도 알맞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성치의 측정방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아이소택틱성 (아이소택틱 인덱스: I I)
시료를 60℃ 이하의 온도의 n-헵탄으로 2시간 추출하고, 폴리프로필렌에의 첨가물을 제거한다. 그후 130℃에서 2시간 진공건조한다. 이것에서 중량 W(mg)의 시료를 취하고, 속슬레(Soxhlet) 추출기에 넣어 비등 n-헵탄으로 12시간 추출한다.
다음에 이 시료를 꺼내고 아세톤으로 충분히 세정한 후, 130℃에서 6시간 진공건조하여 그후 상온까지 냉각하고, 중량 W'(mg)를 측정하여, 다음식으로 구하였다.
(2)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
시료를 o-디클로로벤젠에 용해하여, JEOL제 JNM-GX 270 장치를 사용하여, 공명주파수 67.93 MHz로13C-NMR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스펙트럼의 귀속 및 펜타드 분율의 계산에 대하여는, T. Hayashi 등이 행한 방법[Polymer, 29, 138∼143 (1988)]에 의거하여, 메틸기 유래의 스펙트럼에 대하여, mmmmmm 피크를 21.855 ppm으로 하여 각 피크의 귀속을 행하고 피크 면적을 구하여 메틸기 유래 전피크 면적에 대한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상세한 측정조건은 이하와 같다.
측정용매 : o-디클로로벤젠(90wt%)/ 벤젠-D6 (10wt%)
측정온도 : 120∼130℃
공명주파수 : 67.93MHz
펄스폭 : 10μsec(45°펄스)
펄스반복시간 : 7.091 sec
데이타 지점 : 32K
적산횟수 : 8168
측정모드 : 노이즈 디커플링
(3) 열수축율
필름을 기계방향과 폭방향으로 각각 세로 260mm, 가로 10mm로 샘플링하여, 양 끝에서 30mm의 곳에 표시를 하여 원치수(L0 : 200mm)로 한다.
이 샘플의 하단에 3g의 가중을 걸고 120℃의 오븐중에 매달고 15분간 열처리한다.
그후 샘플을 꺼내고, 표시한 길이(L1)를 측정하고, 다음식에 의하여 열수축율을 산출하고 기계방향과 폭방향의 합을 열수축율로 하였다.
열수축율 ≡[(L0-L1) / L0] ×100 (%)
(4) 회분
JIS-C-2330에 준한다. 초기중량 W0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백금 도가니에 넣어, 우선 가스버너로 충분히 연소한 후, 750∼800℃의 전기로에서, 약1시간 처리하여 완전히 재로 하고, 얻어진 회분의 중량 W1를 측정하여 아래식에서 구하였다.
회분 ≡(W1/W0) ×1000000 (ppm)
W0: 초기중량 (g)
W1: 회분화 중량 (g)
(5) 내부 헤이즈
JIS-K-7105에 준하여 측정하고, 하기식에서 구하였다.
다만 필름표면의 凹凸(요철)에 의한 광산란을 제거하기 위하여, 샘플을 유동 파라핀으로 채워진 석영 셀에 담근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H ≡(Td/Tt) × 100 (%)
H : 내부 헤이즈 (%)
Td : 확산투과율
Tt : 전광선투과율
(6) 결정화도
JIS-K-7112-D법에 준하여, 에탄올-수계 밀도 구배관에서 23±0.5℃에서 측정한 시료의 밀도로부터, 하기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결정화도 ≡[(dc/d) × (d-da) / (dc-da)] × 100 (%)
d : 시료의 밀도
dc : 폴리프로필렌의 완전결정의 밀도 (0.936g/㎠)
da : 폴리프로필렌의 비결정상태의 밀도 (0.850g/㎠)
(7) 필름 두께
다이얼 게이지식 두께 계(JIS-B-7503)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8) 필름절연파괴강도
JIS-C-211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음극에 두께 100㎛, 10cm 각의 알루미박 전극, 양극에 놋쇠성 25mmφ의 전극을 사용하여, 그 사이에 필름을 끼우고, 가스가 덴키(주)제 직류고압 안정화 전원을 사용하여, 200V/초의 속도로 승압하면서 전압을 인가하고, 전류가 10mA 이상 흐른 경우를 절연파괴한 것으로 하였다. 그때의 전압을 측정점의 필름두께로 나눈 값을 절연파괴강도로 하고, 20점 측정한 평균치로 표시한다.
105℃에서의 측정은, 열풍 오븐에 전극, 샘플을 고정하고, 내열 코드로 전술의 전원에 접속하고, 오븐 투입후 1분에서 승압을 개시하여 측정하였다.
(9) 소자절연파괴강도
열풍 오븐중 105℃로 유지된 콘덴서 소자를 가스가 덴키(주)제 직류 (또는 교류) 고압안정화 전원에 접속하고, 200V/초의 속도로 승압하면서 전압을 인가하고 소자가 파괴되었을 때의 전압을 구하고, 10소자 측정한 평균치를 소자 BDV로 하였다.
(10) 소자 수명 시험
필름 두께당 60V/㎛의 교류전압을 콘덴서 소자에 인가하고, 105℃의 분위기로 소자가 파괴되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I I가 98.8%, mmmm이 99.5% 회분이 19ppm의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2, 6-디-t-부틸-p-크레졸(BHT) 3000ppm,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Irganox 1010) 5000ppm을 첨가한 것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80℃의 온도에서 용융하고, T형 거푸집으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성형하여, 70℃의 온도의 캐스팅 드럼에 감아 냉각고화하였다.
이어서, 해당 시트를 135℃로 예열하고, 계속 143℃의 온도로 유지하고 주속차를 설치한 로울 사이에 통하고, 길이방향으로 5배 연신하였다.
계속 해당 필름을 텐터로 유도하고, 162℃의 온도에서 폭방향으로 10배 연신하여 뒤이어 폭 방향으로 8%의 이완을 부여하면서 158℃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5㎛의 두께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더욱이 30W·min/㎡의 처리강도로 대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회분 및 펜타드 분율은, 원료의 그것들의 값과 차가 없었다.
이 필름을 진공증착기에 고정하고, 구리를 핵이 있는 금속으로 하고, 코로나 처리면에 아연을 막저항이 4.0Ω/□으로 되도록 증착하였다.
이 필름을 슬릿하여, 전폭 38mm, 마진폭 1mm의 금속화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한쌍 2 리일을 사용하여 소자 감기하고, 소자의 단면에 녹인 금속을 분무하고, 여기서 리드선을 꺼내어 용량 5μF의 콘덴서 소자를 작성하였다.
실시예 2, 3
I I가 98.9%, mmmm이 99.1%, 회분이 18ppm 및 I I가 98.3%, mmmm이 99.1%, 회분이 19ppm의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실시예 4
I I가 98.8%, mmmm이 99.1%, 회분이 31ppm의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실시예 5, 6
실시예 1과 동일 원료를 사용하여 동일 조건에서 필름 두께 2㎛와 8㎛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실시예 7
I I가 99.3%, mmm이 99.6%, 회분이 15ppm의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이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특성과 콘덴서 소자의 특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어느 것이든, I I. mmmm, 열수축율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고, 그결과 높은 절연파괴강도와, 콘덴서 소자에 의한 높은 절연파괴강도, 및 충분한 소자 수명이 얻어졌다.
더욱이 실시예 4에 대하여는 회분이 31ppm으로 농도가 높았기 때문에, 실시예 5에 대하여는 필름 두께가 작았기 때문에, 절연파괴강도가 580-(200/d0.5)의 값보다 약간 작아졌지만 소자 수명의 실용상 문제는 없었다.
실시예 8, 9
실시예 1과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2, 6-디-t-부틸-p-크레졸(BHT) 200ppm만을 첨가한 것(실시예 8) 및 BHT 3000ppm, 테트라키스[에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Irganox 1010) 8000ppm을 첨가한 것(실시예 9)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을 행하고,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어느 것이나 열수축율, 필름의 절연파괴강도 및 콘덴서 소자로서의 절연파괴강도는 실시예 1과 동등의 값을 표시하였지만, 실시예 8에서는 소자 수명이 480시간, 실시예 9에서는 450시간으로 약간 불만족하였다.
비교예 1, 2
I I가 97.5%, mmmm이 97.2%, 회분이 18ppm의 폴리프로필렌 원료와 I I가 98.3%, mmm이 98%, 회분이 19ppm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캐스팅 드럼온도를 8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이 특성을 동일하게 표 1에 표시한다.
I I 및 mmmm이 본 발명의 범위외였지만, 열수축율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로 되었다.
어느것이든 필름의 절연파괴강도가 불충분하고, 콘덴서 소자로서의 절연파괴강도 및 소자 수명도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3
I I가 99.7%, mmmm이 99.2%, 회분이 22ppm의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실시예 1의 조건으로 제막하려 하였지만 필름 파열에 의하여 제막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30℃의 캐스팅 드럼온도, 153℃의 세로 연신온도, 167℃의 가로 연신온도로서 제막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이 특성을 표 1에 표시한다. I I가 본 발명의 상한을 초과하여 있고, 열수축율은 본 발명의 범위로 되었지만. 결정화도가 79%로 높고. 내부 헤이즈가 0.6%로 크게 된 것으로부터 회분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13.2ppm·%로 되고, 그결과 필름의 절연파괴강도가 불충분하고 콘덴서 소자로서의 절연파괴강도 및 소자 수명도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같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50℃의 캐스팅 드럼온도로 한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하고,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열수축율이 4.5%로 되고 내부 헤이즈가 0.7%로 크게 된 것으로부터 회분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15.4%·ppm으로 크게 되고, 그결과 필름의 절연파괴강도가 불충분하고 콘덴서 소자로서의 절연파괴강도 및 소자 수명도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캐스팅 드럼온도를 9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제막을 행하고,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열수축율이 4.2%로 크고, 내부 헤이즈가 0.8%로 크게 된 것으로부터 회분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15.2ppm·%로 되고, 그결과 필름의 절연파괴강도가 불충분하고, 콘덴서 소자로서의 절연파괴강도 및 소자 수명도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6
I I가 98.1%, 회분이 15ppm이고, 티탄이 0.3ppm, 염소분이 0.4ppm의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23℃ 및 80℃에서의 절연파괴강도는 각각 605V/㎛, 520V/㎛로 양호하였지만, 105℃에서의 절연파괴강도가 380V/㎛로 급격히 저하하고, 소자절연파괴강도, 소자 수명 모두 불충분하였다. 필름의 n-헵탄 불용분의 mmmm을 측정한 즉, 99.3%로 매우 높은 값을 표시하였지만 필름의 mmmm은 98.3%였다.
비교예 7
I I가 96.8%이고, 회분 20ppm, 230℃, 2.16kg 하중에 있어서 멜트 플로레이트가 32g/10분의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필름의 절연파괴강도, 소자의 절연파괴강도, 소자 수명 어느것도 불충분하였다.
n-헵탄 불용분의 mmmm을 측정한 즉 99.3%이고, 불용분의 결정화도는 77%였지만 필름의 mmmm은 95.5%이고, 필름의 결정화도는 70%였다.
비교예 8, 9
실시예 1과 같은 원료를 사용하여, 열처리온도를 145℃(비교예 8), 167℃(비교예 9)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제막을 행하고, 2축 배향 플리프로필렌 필름과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각각의 열수축율은 4.6%, 0.9%로 되고 필름의 절연파괴강도는 실시예 1과 같은 값을 표시하였지만 콘덴서 소자로서의 절연파괴강도가 148V/㎛, 161V/㎛, 소자 수명도 46시간, 17시간으로 불만족스러웠다.
표 1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내열성 및 고온에서의 장기 내절연파괴특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이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유전체로서 사용한 콘덴서의 사용가능온도를, 종래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한 콘덴서의 최고사용온도 85℃ 보다도 최고 20℃ 향상시킬 수가 있고, 이로써 전기장치의 소형화, 소자의 밀집화에 대응할 수가 있다. 또 열수축율의 작음을 이용하여, 각종 포장용도에서 가공시의 열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산업상의 이용가치는 극히 크다.

Claims (12)

  1. 아이소택틱성이 98∼99.5%이고,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9%를 초과하고, 120℃에서의 기계방향과 폭방향의 열수축율의 합이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아이소택틱성이 98.5∼99.5%이고,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9%를 초과하고, 120℃에서의 기계방향과 폭방향의 열수축율의 합이 1.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필름의 회분이 30ppm 이하이고, 필름의 회분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10ppm% 이하이고, 동시에 필름의 결정화도가 72∼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4. 하기의 특성을 갖고,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9%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다만, Ash는 필름의 회분, H는 내부 헤이즈를 표시한다.)
  5. 제 4항에 있어서, 아이소택틱성이 98.5∼99.5%이고, 120℃에서의 기계방향과폭방향의 열수축율의 합이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필름의 두께 d가 0.5∼40㎛이고, 105℃에서의 두께당의 절연파괴전압이 580-(200/d0.5) (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분자량이 500 이상의 페놀계의 산화방지제가 적어도 1종 이상 첨가되어,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이 0.03∼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유전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9. 제 8항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금속화하고, 골고루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
  10. 제 8항에 있어서, 105℃에서의 유전체로서 사용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당 교류절연파괴강도가 200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11. 제 8항에 있어서, 105℃에서의 유전체로서 사용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당 60V/㎛의 교류전압과전에서의 수명이 500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12. 제 8항에 있어서, 105℃에서의 유전체로서 사용하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당 60V/㎛의 교류전압과전에서의 수명이 1000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KR1019960035695A 1995-11-29 1996-08-27 2축배향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를사용한콘덴서 KR100444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10944 1995-11-29
JP31094495A JP3654541B2 (ja) 1995-11-29 1995-11-29 耐熱性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933A KR970029933A (ko) 1997-06-26
KR100444622B1 true KR100444622B1 (ko) 2004-12-03

Family

ID=1801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695A KR100444622B1 (ko) 1995-11-29 1996-08-27 2축배향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를사용한콘덴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24222A (ko)
EP (1) EP0776926B1 (ko)
JP (1) JP3654541B2 (ko)
KR (1) KR100444622B1 (ko)
CN (1) CN1105123C (ko)
CA (1) CA2184133A1 (ko)
DE (1) DE69627272T2 (ko)
MY (1) MY1202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956A (ko) * 2015-08-03 2018-04-1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적층 필름 및 필름 콘덴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7339B1 (fr) * 1995-07-28 1997-10-17 Bollore Technologies Condensateur a dielectrique en polypropylene et film metallise pour la realisation d'un tel condensateur
EP0885918B1 (en) * 1996-08-09 2002-07-17 Toray Industries, Inc. Polypropylene film and capacitor made by using the same as the dielectric
US6090325A (en) * 1997-09-24 2000-07-18 Fina Technology, Inc. Biaxially-oriented metallocene-based polypropylene films
WO2000025330A1 (de) * 1998-10-28 2000-05-04 Hoechst Trespaphan Gmbh Biaxial orientierte elektroisolierfolie mit verbessertem schrumpf bei erhöhten temperaturen
EP1400992B1 (en) * 2001-06-08 2011-08-17 Panasonic Corporation Production process of a metallized film capacitor
JP2005503015A (ja) * 2001-09-07 2005-01-27 ディアボーン・エレクトロニ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高温使用のためのフィルムコンデンサ
DE10222348A1 (de) * 2002-05-21 2003-12-04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hydrolysebeständige Folie aus einem Thermoplast mit einem Hydrolysestabilisato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Verwendung sowie aus der Folie hergestellte Kondensatoren
EP1607990A4 (en) * 2003-03-19 2009-11-25 Toray Industries FLAT CAPACITOR USE POLYPROPYLENE FILM AND FLAT CONDENSER THEREWITH
JP2005280287A (ja) * 2004-03-31 2005-10-13 Tokai Aluminum Foil Co Ltd 共振ラベル用積層材の製造法
WO2006051804A1 (ja) * 2004-11-12 2006-05-18 Toray Industries, Inc. 白色フイ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CN1298527C (zh) * 2004-12-31 2007-02-07 浙江南洋电子薄膜有限公司 适用于大功率电容器的耐高温双向拉伸聚丙烯膜及其制作方法
EP1726602A1 (en) 2005-05-27 2006-11-29 Borealis Technology Oy Propylene polymer with high crystallinity
JP4784279B2 (ja) * 2005-11-17 2011-10-05 王子製紙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ーフィルム
US7611652B2 (en) * 2005-11-22 2009-11-03 Shaw Industries Group, Inc. Monoxially-oriented and annealed films with high cross machine toughness and related process
CN100491458C (zh) * 2006-04-20 2009-05-2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高性能聚丙烯组合物的制备方法
EP1894715B8 (de) 2006-08-31 2010-11-10 Treofan Germany GmbH & Co.KG Biaxial orientierte Elektroisolierfolie
ES2385999T3 (es) 2006-08-31 2012-08-07 Treofan Germany Gmbh & Co. Kg Película aislante eléctrica orientada biaxialmente.
JP5061842B2 (ja) * 2006-11-01 2012-10-31 王子製紙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US20080191883A1 (en) * 2007-02-12 2008-08-14 Checkpoint Systems, Inc. Resonant tag
CN102089839B (zh) * 2008-07-10 2013-04-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模制电容器和其制造方法
US20110100727A1 (en) * 2009-10-30 2011-05-05 Shin John Choi Touch Sensitive Device with Dielectric Layer
MY163624A (en) 2009-12-31 2017-10-13 Specscan Sdn Bhd Low inductance integrel capacitor assembly
US20120008251A1 (en) * 2010-07-12 2012-01-12 Wei-Ching Yu Film capacitors comprising melt-stretched films as dielectrics
US20120075769A1 (en) * 2010-09-29 2012-03-29 Lobo Edward M High temperature high current metalized film capacitor
CN103429416B (zh) 2011-03-10 2015-08-05 东丽株式会社 双轴拉伸聚丙烯膜、金属化膜和薄膜电容器
EP2733157B1 (en) * 2012-11-16 2015-01-07 Borealis AG Highly isotactic PP resin with wide melting distribution having improved BOPP film properties and easy processing characteristics
EP2977398B1 (en) * 2013-03-22 2019-09-18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metallized film and film capacitor
KR102352439B1 (ko) * 2013-07-23 2022-01-1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CN103434151B (zh) * 2013-08-30 2016-05-04 华威聚酰亚胺有限责任公司 一种高性能超薄聚丙烯电容器薄膜及其制造方法
WO2015091829A1 (en) * 2013-12-18 2015-06-25 Borealis Ag Bopp film having low shrinkage
KR101953505B1 (ko) * 2015-03-31 2019-02-28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필름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콘덴서용 이축 연신 필름, 필름 콘덴서 및 이들의 제조 방법
WO2017159103A1 (ja) * 2016-03-17 2017-09-21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US11142618B2 (en) 2016-09-23 2021-10-12 Oji Holdings Corporation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metallized film for capacitors, and capacitor
CN106409507B (zh) * 2016-10-20 2019-03-01 无锡宸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高湿应用的薄膜电容器及其加工方法
EP3315543B1 (en) 2016-10-27 2020-09-23 Borealis AG Polypropylene film structure having increased life time
KR102494812B1 (ko) * 2017-04-03 2023-02-06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층 일체형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필름 콘덴서
DE102017004111A1 (de) 2017-04-27 2018-10-31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Polyolefinfolie und deren Verwendung
DE102017118202A1 (de) 2017-05-15 2018-11-15 Epcos Ag Folienkondensator
CN108116021B (zh) * 2017-12-19 2019-01-15 西安交通大学 一种多层结构聚丙烯薄膜及其制备方法
KR20210045391A (ko) * 2018-08-29 2021-04-26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화 필름, 금속화 필름 롤 및 필름 콘덴서
CN112638645B (zh) * 2018-08-29 2023-03-21 王子控股株式会社 金属层一体型聚丙烯薄膜、薄膜电容器和金属层一体型聚丙烯薄膜的制造方法
DE202020003627U1 (de) 2020-08-26 2021-01-11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Polyolefinzusammensetzungen, Formkörper enthaltend diese und deren Verwendung
DE102020006588A1 (de) 2020-10-27 2022-04-28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Kondensator enthaltend biaxial verstreckte Polypropylen-Cycloolefinpolymer-Folie als Dielektrikum und Verwendung dieser Folie
CN115232394A (zh) * 2021-04-23 2022-10-25 全球能源互联网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容器用聚丙烯薄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DE102021128332A1 (de) 2021-10-29 2023-05-04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Biaxial-orientierte Folie enthaltend Cycloolefinpolymere und alpha-Olefinpolym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im Kondens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775A (en) * 1980-06-20 1983-09-20 Mitsubishi Petrochemical Company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S5963611A (ja) * 1982-10-05 1984-04-11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高い絶縁破壊電圧を有する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よりなる電気絶縁材料
JPS62122009A (ja) * 1985-11-20 1987-06-0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電気特性の改良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延伸フイルムよりなる電気絶縁材料
JPH0428727A (ja) * 1990-05-24 1992-01-31 Mitsubishi Kasei Polytec Co レトルト食品包装用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
US5292563A (en) * 1990-11-24 1994-03-08 Hoechst Aktiengesellschaft Metallizable, twist wrap,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69028A1 (de) * 1968-03-22 1972-02-03 Kalle Ag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US3715639A (en) * 1969-07-07 1973-02-06 Gen Electric Electrical apparatus containing dielectric solution
JPS6178115A (ja) * 1984-09-26 1986-04-21 東レ株式会社 含浸式コンデンサ−
DE3540214A1 (de) * 1985-11-13 1987-05-14 Hoechst Ag Koextrudierte, biaxial orientierte mehrschichtfolie
JPS62215646A (ja) * 1986-03-17 1987-09-22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DE3805165A1 (de) * 1988-02-19 1989-08-31 Hoechst Ag Rohstoff und daraus hergestellte folie mit verbesserten elektrischen eigenschaften
DE3831355A1 (de) * 1988-09-15 1990-03-29 Hoechst Ag Hochleistungsdielektrikumsfolie mit verbesserter thermostabilitaet
DE4101650A1 (de) * 1991-01-22 1992-07-23 Hoechst Ag Biaxial gestreckte polypropylenmonofolie
DE4118572A1 (de) * 1991-06-06 1992-12-10 Hoechst Ag Siegelbare weisse folie aus polyolefin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775A (en) * 1980-06-20 1983-09-20 Mitsubishi Petrochemical Company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S5963611A (ja) * 1982-10-05 1984-04-11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高い絶縁破壊電圧を有する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よりなる電気絶縁材料
JPS62122009A (ja) * 1985-11-20 1987-06-0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電気特性の改良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延伸フイルムよりなる電気絶縁材料
JPH0428727A (ja) * 1990-05-24 1992-01-31 Mitsubishi Kasei Polytec Co レトルト食品包装用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
US5292563A (en) * 1990-11-24 1994-03-08 Hoechst Aktiengesellschaft Metallizable, twist wrap,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956A (ko) * 2015-08-03 2018-04-1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적층 필름 및 필름 콘덴서
KR102525861B1 (ko) 2015-08-03 2023-04-2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적층 필름 및 필름 콘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6926B1 (en) 2003-04-09
DE69627272T2 (de) 2004-01-29
JPH09148176A (ja) 1997-06-06
CA2184133A1 (en) 1997-05-30
US5724222A (en) 1998-03-03
MY120294A (en) 2005-10-31
KR970029933A (ko) 1997-06-26
CN1105123C (zh) 2003-04-09
EP0776926A3 (en) 1997-09-10
DE69627272D1 (de) 2003-05-15
EP0776926A2 (en) 1997-06-04
JP3654541B2 (ja) 2005-06-02
CN1154374A (zh) 199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622B1 (ko) 2축배향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를사용한콘덴서
KR100513965B1 (ko) 폴리프로필렌필름및그것을유전체로서사용한콘덴서
JP3752747B2 (ja) コンデンサー
KR20180080191A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막 적층 필름 및 필름 콘덴서
US9991052B2 (en)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for capacitor, metallized film, and film capacitor
US11795282B2 (en) Polypropylene film, metal film laminated film using same, and film capacitor
US9721728B2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for capacitor, metallized film, and film capacitor
EP4105281A1 (en) Polypropylene film, polypropylene film integrated with metal layer, and film capacitor
JP7367769B2 (ja)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3791038B2 (ja) 耐熱耐電圧性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H10156940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誘電体とするコンデンサー
JP2002154187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
JPH10156939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コンデンサー
CN116390850A (zh) 聚丙烯膜、金属层一体型聚丙烯膜和膜电容器
JP2001048998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H10156938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誘電体として用いたコンデンサー
JP3799685B2 (ja) 金属化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コンデンサー
JPH11273990A (ja) 耐熱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H02129905A (ja) コンデンサー
JPH10112419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
EP4324642A1 (en) Metallized polypropylene film
JPH11286071A (ja) 金属化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H11273991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コンデンサ
JPH1053655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
JPH11268145A (ja) 電気絶縁用フイ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