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006B1 -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006B1
KR100431006B1 KR10-2002-0025921A KR20020025921A KR100431006B1 KR 100431006 B1 KR100431006 B1 KR 100431006B1 KR 20020025921 A KR20020025921 A KR 20020025921A KR 100431006 B1 KR100431006 B1 KR 100431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ressure plate
cover member
paper
pickup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841A (ko
Inventor
신화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006B1/ko
Priority to CNB031063055A priority patent/CN1233523C/zh
Priority to CNB2005100702240A priority patent/CN100377889C/zh
Priority to US10/393,427 priority patent/US6953190B2/en
Priority to DE60308087T priority patent/DE60308087T2/de
Priority to EP03252315A priority patent/EP1361186B1/en
Priority to JP2003131484A priority patent/JP3652689B2/ja
Publication of KR20030087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5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 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판과,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픽업롤러측으로 압력판을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과,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의 선단을 지지하여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되는 용지를 낱장씩 분류하는 클로(claw)유닛을 포함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에 있어서, 용지 카트리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를 덮어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먼지덮개용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Paper cartridge for printer}
본 발명은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팅기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에 사용될 용지를 수용하여 낱장씩 공급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프린팅기기에는 인쇄기기 본체 내로 픽업될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카트리지가 구비된다. 상기 용지 카트리지는 통상 인쇄기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픽업수단에 의해 수용된 용지가 낱장씩 공급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용지 카트리지는, 용지 카트리지 본체(10)에 픽업롤러(11)가 설치된다. 픽업롤러(11)의 하측에 압력판(13)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압력판(13)과 카트리지 본체(10)의 바닥 사이에는 스프링(15)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픽업롤러(11)와 압력판(13)이 일정 압력으로 접촉하여 용지에 소정 픽업포스(pick up force)를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픽업롤러(11)와 압력판(13) 사이에 용지를 적재시킬 때, 상기 압력판(13)을 픽업롤러(11)와 이격시키기 위한 레버(17)가 더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레버(17)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레버(17)의 돌기(17a)가 압력판(13)을 간섭하여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판을 하강하시키고, 그 상태로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픽업롤러(11)와 압력판(13) 사이에 용지를 적재시킨 후에, 다시 레버(17)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압력판(13)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용지는 픽업롤러(1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용지 카트리지는, 레버(17)를 회전시켜서 픽업롤러(11)와 압력판(13)을 이격시킨 다음에, 용지를 압력판(13) 위에 적재시킨다. 이 때, 사용자가 레버(17)를 원위치로 되돌려 놓지 않으면, 픽업롤러(11)와 압력판(13) 사이에 압력이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용지를 정상적으로 픽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레버(17)를 원위치시키지 않을 경우 용지 프린트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버(17)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계상의 어려움과 디자인상의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지를 적재하는 압력판(13)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나 이물질 등에 의해 용지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용지와 픽업가이드면의 접촉각을 가변시켜서 원활한 용지공급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확대도.
도 4 및 도 5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용지 카트리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메인기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카트리지 본체 30..압력판
40..픽업롤러 41..회전축
50..스프링 61..클로(claw)레버
70..커버부재 73..회동축
75..제1회동레버 77..제2회동레버
81..아이들기어 83..메인기어
84..내측기어 85..외측기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 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판과, 상기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측으로 상기 압력판을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의 선단을 지지하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되는 용지를 낱장씩 분류하는 클로(claw)유닛을 포함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용지 카트리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를 덮어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먼지덮개용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클로유닛을 연동되게 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오픈시 상기 클로유닛과 상기 압력판 사이를 이격시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동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오픈시 상기 압력판을 간섭하여 하강시키는 제1회동레버와; 상기 카세트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강하는 압력판에 간섭되어 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클로유닛을 밀어 올려 압력판과 이격시키는 제2회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픽업롤러의 구동시, 상기 커버부재를 자동으로 닫아주어 상기 압력판 및 클로유닛을 원위치되게 하는 자동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자동 구동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압력판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하강시키며, 외주에 소정 구간 기어이가 형성된 제1회동레버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동레버의 회전위치에 따라 그 제1회동레버의 기어이에 선택적으로 기어연결되는 아이들기어; 및 상기 픽업롤러의 동력을 상기 아이들기어로 전달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픽업롤러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아이들기어에 일정토크가 발생되면,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력이 상기 아이들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역할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내측기어와; 상기 내측기어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이들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외측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기어와 외측기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기어가 함께 회전되거나 상기 마찰력보다 큰 토크가 상기 외측기어에 작용할 때 내측기어만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아이들기어로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외측기어의 내주에는 그 회전방향으로 반복해서 곡률반경이 증가 및 축소되게 형성된 마찰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기어는 회전시 상기 마찰그루브에 접촉되어 가이드되면서 탄성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와 상기 마찰그루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기어가 함께 회전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회동레버의 기어이와 상기 아이들기어가 기어연결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에서는 서로 이격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기기의 용지카트리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20)와, 카트리지 본체(2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판(30)과, 압력판(30)에 적재되는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40)와, 압력판(30)을 픽업롤러(40) 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50)과, 상기 압력판(30)에서 픽업되는 용지를 낱장씩 분류하는 클로(claw)유닛(60) 및 먼지덮개용 커버부재(70)를 구비한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20)는 프린팅기기에 장착되어 인쇄될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카트리지 본체(20)에는 적재되는 용지를 정렬시키기 위한 용지 가이더(2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용지 가이더(21)는 카트리지 본체(20)에 상기 픽업롤러(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적재된 용지를 정렬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 압력판(30)은 용지가 적재되는 곳으로, 일단은 카트리지 본체(20)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50)에 의해 픽업롤러(40)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50)이 압력판(30)을 픽업롤러(40)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압력판(30)에 놓인 용지가 픽업롤러(40)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용지와 픽업롤러(40) 간에 일정한 마찰력이 발생하여 픽업롤러(40)의 회전시 용지가 마찰력에 의해 픽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픽업롤러(40)는 카트리지 본체(2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회전축(41)과, 그 회전축(41)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롤러몸체(43)를 가진다. 상기 롤러몸체(43)는 통상의 픽업롤러와 마찬가지로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회전축(41)은 프린팅기기 본체(미도시)로부터 동력전달 기어열(45)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클로유닛(60)은 압력판(30)에 적재된 용지들 중에서 픽업롤러(40)에 의해 픽업되는 용지가 낱장씩 분류되도록 한다. 이러한 클로유닛(60)은 카트리지본체(20)의 측벽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로레버(61)와, 상기 클로레버(61)의 타단을 하측으로 즉, 압력판(3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63)을 구비한다. 상기 클로레버(61)의 타단은 상기 스프링(63)에 연결되며, 압력판(30)에 적재된 용지의 선단 모서리를 지지하여 낱장씩 픽업분류되게 한다.
상기 먼지덮개용 커버부재(70)는 압력판(30)에 적재된 용지를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 커버부재(70)는 플레이트형의 커버본체(71)와, 이 커버본체(71)의 일단에 마련된 회동축(73)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축(73)의 양단은 용지 카트리지 본체(20)의 양측벽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압력판(30)에 용지를 적재시킬 경우, 커버부재(70)를 회동시켜 오픈시킨 후 용지를 적재하고, 다시 커버부재(70)를 원위치로 회동시켜 닫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70)와 클로유닛(60)을 연동시키는 연동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동유닛은 커버부재(70)의 오픈시 클로유닛(60)과 압력판(30)을 서로 이격시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동유닛은 커버부재(70)의 회동축(73)에 결합되는 제1회동레버(75)와, 카트리지 본체(20)에 회동가능하게설치되는 제2회동레버(77)를 구비한다. 상기 제1회동레버(75)는 몸체(75a)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레버돌기(75b)를 가진다. 상기 레버돌기(75b)는 커버부재(70)의 오픈시, A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압력판(30)을 간섭하여 하강시킨다.
상기 제2회동레버(77)는 카트리지 본체(20)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제2회동레버(77)는 서로 길이가 다른 제1 및 제2레버돌기(77a,77b)를 가진다. 제1레버돌기(77a)는 제1회동레버(75)에 연동되어 하강하는 압력판(30)에 밀려서 A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2레버돌기(77b)는 A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클로레버(61)를 밀어 올린다. 그러면, 클로레버(61)가 상승하고 압력판(30)이 하강하면서 서로 이격된다.
또한, 커버부재(70)가 오픈된 상태에서 픽업롤러(40)의 구동시 커버부재(70)를 자동으로 닫아주어 압력판(30) 및 클로유닛(60)이 원위치되도록 하는 자동 구동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자동 구동유닛은 제1회동레버(75)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이(75c)와, 카트리지본체(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들기어(81)와, 픽업롤러(40)의 회전축(41)에 설치되는 메인기어(83)를 구비한다.
상기 기어이(75c)는 제1회동레버(75)의 몸체(75a) 테두리에 소정 구간 형성된다. 따라서, 제1회동레버(75)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들기어(81)와 기어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즉, 커버부재(70)가 오픈되면 기어이(75c)가 아이들기어(81)에 기어연결되고, 커버부재(70)가 닫힌 상태에서는 기어이(75c)가 아이들기어(81)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기어이(75c)가 형성된 부분에는 소정 길이로 슬릿(75d)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75d)은 기어이(75c)가 아이들기어(81)에 연결될 때, 자연스럽게연결 및 분리되도록 기어이(75c)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아이들기어(81)는 메인기어(83)와 제1회동레버(75)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아이들기어(81)는 메인기어(83)에 기어연결되며, 상기 기어이(75c)에 선택적으로 기어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거나 분리된다.
상기 메인기어(83)는 커버부재(70)가 오픈된 상태에서 픽업롤러(40)의 구동시 그 동력을 이용하여 커버부재(70)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기 위해서, 픽업롤러(40)의 회전력을 아이들기어(81)를 통해 커버부재(70)로 전달한다. 또한, 이러한 메인기어(83)는 아이들기어(81)에 일정 토크가 걸렸을 때, 픽업롤러(40)의 회전축(41)의 동력이 아이들기어(81)로 전달되는 것을 상기 토크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메인기어(83)는 픽업롤러(40)의 회전축(41)에 고정되는 내측기어(84)와, 내측기어(84)를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외측기어(85)를 가진다. 상기 외측기어(85)의 외주에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가이들기어(81)에 기어연결된다. 그리고, 내측기어(84)와 외측기어(85) 사이의 접촉부위에는 소정 마찰력이 생긴다. 이 마찰력에 의해 내측기어와 외측기어(84,85)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기어(85)에 상기 마찰력보다 큰 토크가 걸리면, 내측기어(84)가 마찰력을 이기고 미끄러지면서 혼자 회전되면서 클러치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외측기어(85)의 내주에는 그 회전방향으로 반복해서 곡률반경이 증가 및 축소되게 형성된 그루브(85a)가 형성된다. 또한, 내측기어(84)는 상기 그루브(85a)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탄성부(84a)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84a)는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그 끝단이 그루브(85a)에 걸려서 마찰력을발생시킨다. 이 탄성부(84a)는 이웃한 그루브로 미끄러져 통과할 때 압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면서 외측기어(85)와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70)를 들어올리면, 제1회동레버(75)가 A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레버돌기(75b)는 압력판(30)을 간섭하여 하강시킨다. 따라서, 압력판(30)은 픽업롤러(40)와 이격된다. 또한, 압력판(30)은 하강하면서 제1레버돌기(77a)를 간섭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레버돌기(77b)가 회전되면서 클로레버(61)를 간섭하여 밀어올린다. 클로레버(61)는 B 방향으로 회전되며, 압력판(30)이 이격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70)를 오픈시키면, 압력판(30)이 하강하면서 이와 연동하여 클로레버(61)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용지를 압력판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용지를 적재한 후, 다시 커버부재(70)를 닫으면, 압력판(30)과 클로레버(61)등이 원위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버부재(70)가 오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처 커버부재(70)를 닫지 않은 상태로 프린팅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픽업롤러(40)는 프린팅기기의 본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B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러면, 픽업롤러(40)의 회전축(41)과 함께 메인기어(83)의 내측기어(84)가 B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내측기어(84)의 탄성부(84a)와 외측기어(8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외측기어(85)도 함께 B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아이들기어(81)가 외측기어(83)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제1회동레버(75)를 B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커버부재(70)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아이들기어(81)와 제1회동레버(75)의 기어이(75c)가 기어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기어(81)가 회전함에 따라 제1회동레버(75)가 회전된다. 따라서, 커버부재(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방향으로 하강하여 닫히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재(70)가 닫힌 상태가 되면, 아이들기어(81)와 기어이(75c)가 분리되어 더 이상 동력이 제1회동레버(75)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커버부재(70)가 닫힌 상태에서 픽업롤러(40)가 회전되면서 용지를 픽업하는 동작 중에, 사용자가 커버부재(70)를 오픈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회동레버(75)가 A 방향으로 회전되고 압력판(30) 및 클로레버(61) 등이 도 4와 같은 상태로 이동된다. 그리고, 아이들기어(81)는 메인기어(83)의 동력을 전달받아 A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회동레버(75)의 기어이(75c)가 아이들기어(81)에 기어연결되면, 서로 반대방향의 부하가 작용하게 되어 아이들기어(81)는 A 방향으로의 회전이 멈춘다.
또한, 아이들기어(81)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아이들기어(81)에 기어연결된 외측기어(85)도 회전이 멈추게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기어(84)의 탄성부(84a)가 반복적으로 압축 및 복원되게 탄성변형되면서 내측기어(84)만 회전축(41)을 따라 B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탄성부(84a)는 외측기어(85) 그루브(85a)와의 마찰력을 이기고 이웃한 그루브(85a)로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70)를 강제로 오픈시킴에 의해서 외측기어(85)에 걸리는 부하가 탄성부(84a)와 그루브(85a) 사이의 마찰력보다 클경우, 내측기어(84)가 회전됨으로써, 픽업롤러(40)는 정상적으로 회전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역방향으로 걸리는 부하에 의해 각종 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메인기어(83)가 클러치역할까지 함으로써, 커버부재(70)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커버부재(70)의 강제 오픈시의 오동작이나 부품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는, 압력판에 적재되는 용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용지가 먼지 등의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지를 적재하기 위해 커버부재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그 커버부재를 픽업롤러의 회전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용지가 픽업롤러에 일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정상적으로 픽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픽업롤러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커버부재를 강제로 오픈시킬 경우에는 픽업롤러의 회전력이 커버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품의 파손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Claims (9)

  1.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 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판과, 상기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측으로 상기 압력판을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의 선단을 지지하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되는 용지를 낱장씩 분류하는 클로(claw)유닛을 포함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용지 카트리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력판에 적재된 용지를 덮어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먼지덮개용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픽업롤러의 구동시, 상기 커버부재를 자동으로 닫아주는 자동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클로유닛을 연동되게 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오픈시 상기 클로유닛과 상기 압력판 사이를 이격시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동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오픈시 상기 압력판을 간섭하여 하강시키는 제1회동레버와;
    상기 카세트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강하는 압력판에 간섭되어 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클로유닛을 밀어 올려 압력판과 이격시키는 제2회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 구동유닛에 의해 닫히면서 상기 압력판 및 클로유닛이 원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압력판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하강시키며, 외주에 소정 구간 기어이가 형성된 제1회동레버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동레버의 회전위치에 따라 그 제1회동레버의 기어이에 선택적으로 기어연결되는 아이들기어; 및
    상기 픽업롤러의 동력을 상기 아이들기어로 전달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픽업롤러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아이들기어에 일정토크가 발생되면,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력이 상기 아이들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내측기어와;
    상기 내측기어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이들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외측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기어와 외측기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기어가 함께 회전되거나 상기 마찰력보다 큰 토크가 상기 외측기어에 작용할 때 내측기어만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아이들기어로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기어의 내주에는 그 회전방향으로 반복해서 곡률반경이 증가 및 축소되게 형성된 마찰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기어는 회전시 상기 마찰그루브에 접촉되어 가이드되면서 탄성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와 상기 마찰그루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기어가 함께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회동레버의 기어이와 상기 아이들기어가 기어연결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에서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KR10-2002-0025921A 2002-05-10 2002-05-10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KR100431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21A KR100431006B1 (ko) 2002-05-10 2002-05-10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CNB031063055A CN1233523C (zh) 2002-05-10 2003-02-21 用于打印装置的纸盒
CNB2005100702240A CN100377889C (zh) 2002-05-10 2003-02-21 用于打印装置的纸盒
US10/393,427 US6953190B2 (en) 2002-05-10 2003-03-21 Paper cartridge for printing apparatus
DE60308087T DE60308087T2 (de) 2002-05-10 2003-04-11 Papierzufuhrvorrichtung für eine Druckvorrichtung
EP03252315A EP1361186B1 (en) 2002-05-10 2003-04-11 Paper supply apparatus for a printing apparatus
JP2003131484A JP3652689B2 (ja) 2002-05-10 2003-05-09 用紙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ト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921A KR100431006B1 (ko) 2002-05-10 2002-05-10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841A KR20030087841A (ko) 2003-11-15
KR100431006B1 true KR100431006B1 (ko) 2004-05-12

Family

ID=2924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921A KR100431006B1 (ko) 2002-05-10 2002-05-10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3190B2 (ko)
EP (1) EP1361186B1 (ko)
JP (1) JP3652689B2 (ko)
KR (1) KR100431006B1 (ko)
CN (2) CN1233523C (ko)
DE (1) DE6030808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3540B2 (en) 2006-10-20 2011-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ick-up roller c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3202A (ja) *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離給紙装置
CN100348425C (zh) * 2004-01-20 2007-11-1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打印设备的介质盒
JP4346475B2 (ja) * 2004-03-02 2009-10-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2008007311A (ja) * 2006-06-30 2008-01-17 Brother Ind Ltd 画像記録装置
US7571906B2 (en) * 2006-07-10 2009-08-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heet feed mechanism
JP2008114947A (ja) * 2006-11-01 2008-05-22 Seiko Epson Corp ホッパ装置、記録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4388111B2 (ja) * 2007-08-16 2009-12-2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2009286517A (ja) * 2008-05-27 2009-12-10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原稿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5398387B2 (ja) * 2009-06-30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KR101486327B1 (ko) * 2013-11-14 2015-02-06 프리닉스(주)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캠 장치
JP6478598B2 (ja) * 2014-12-02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28303B2 (ja) * 2015-01-24 2018-11-28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KR20200011809A (ko) * 2018-07-25 2020-02-0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녹업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픽업 롤러
US11597617B2 (en) * 2018-08-29 2023-03-07 Seiko Epson Corporation Medium feed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dium feed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229U (ja) * 1982-12-28 1984-07-16 株式会社東芝 給紙カセツト装置
JPH04117841U (ja) * 1991-04-03 1992-10-21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カセツト
JPH1059556A (ja) * 1996-08-22 1998-03-03 Brother Ind Ltd 給紙装置及び印字装置
KR20000018137U (ko) * 1999-03-13 2000-10-16 우석형 화상형성장치의 경사급지트레이
JP2001206572A (ja) * 2000-01-28 2001-07-31 Toshiba Tec Corp 給紙カセットの分離爪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4957A (en) * 1980-02-18 1981-09-09 Canon Inc Transfer material feeder
US4406448A (en) * 1981-07-24 1983-09-27 Pitney Bowes Inc. Paper cassette
JPS5953341A (ja) * 1982-09-17 1984-03-28 Ricoh Co Ltd 枚葉紙収納容器
JPS6155031A (ja) 1984-08-25 1986-03-19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用給紙カセット
US4772007A (en) * 1984-10-19 1988-09-20 Canon Kabushiki Kaisha Cut sheet holding and feeding apparatus
JPH0317066Y2 (ko) * 1986-03-31 1991-04-11
US4852869A (en) * 1987-07-31 1989-08-01 Kabushiki Kaisha Toshiba Feed apparatus capable of feeding image forming media by relatively small drive power
JP3227256B2 (ja) * 1993-03-16 2001-11-12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2804425B2 (ja) 1993-06-30 1998-09-24 ダイキョー・ベバスト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のガイドレール構造
JP3350194B2 (ja) * 1993-12-20 2002-11-25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7267390A (ja) 1994-03-25 1995-10-17 Ricoh Co Ltd 給紙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277534A (ja) * 1994-04-13 1995-10-24 Ricoh Co Ltd 給紙カセット
JP3263268B2 (ja) * 1995-02-01 2002-03-04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8239130A (ja) * 1995-03-06 1996-09-17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726358B2 (ja) 1996-07-01 2005-12-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JPH1059555A (ja) 1996-08-19 1998-03-03 Brother Ind Ltd 給紙装置及び印字装置
US6523821B2 (en) * 2000-02-23 2003-02-25 Kyocera Mita Corporation Paper feeder apparatus for us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326724A (ja) 2001-04-27 2002-11-12 Sharp Corp 記録紙給紙装置
KR100412497B1 (ko) * 2001-11-12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229U (ja) * 1982-12-28 1984-07-16 株式会社東芝 給紙カセツト装置
JPH04117841U (ja) * 1991-04-03 1992-10-21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カセツト
JPH1059556A (ja) * 1996-08-22 1998-03-03 Brother Ind Ltd 給紙装置及び印字装置
KR20000018137U (ko) * 1999-03-13 2000-10-16 우석형 화상형성장치의 경사급지트레이
JP2001206572A (ja) * 2000-01-28 2001-07-31 Toshiba Tec Corp 給紙カセットの分離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3540B2 (en) 2006-10-20 2011-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ick-up roller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1186A3 (en) 2004-05-26
CN1233523C (zh) 2005-12-28
CN1456443A (zh) 2003-11-19
KR20030087841A (ko) 2003-11-15
EP1361186B1 (en) 2006-09-06
CN100377889C (zh) 2008-04-02
EP1361186A2 (en) 2003-11-12
CN1680110A (zh) 2005-10-12
DE60308087D1 (de) 2006-10-19
JP3652689B2 (ja) 2005-05-25
US6953190B2 (en) 2005-10-11
JP2003327335A (ja) 2003-11-19
DE60308087T2 (de) 2007-01-04
US20030209851A1 (en) 200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006B1 (ko)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KR101139325B1 (ko) 화상처리장치 및 반송장치
EP0762719B1 (en) Document conveying arrangement in data processing apparatus
EP0918028B1 (en) A sheet feeding apparatus
KR980008584A (ko) 로울러의 구동전달기구
US7099619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KR10066852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JP2547978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
KR100553871B1 (ko) 인쇄기기의 노크-업 플레이트 리프팅장치
US5905926A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brake force supplier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14274Y2 (ja) 給紙装置
KR100476961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KR20050077360A (ko) 2 가지 방식의 용지 픽업 시스템
GB2213805A (en) Document feeder
JP2003081470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0140107Y1 (ko) 인쇄매체의 연속 급지 방지 장치
KR100514732B1 (ko) 인쇄기기의 노크-업 플레이트 리프팅장치
KR10042854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920003466Y1 (ko) 복사기 급지부의 다매급지 방지장치
JP3157346B2 (ja) 給紙装置
JPH04140233A (ja) 自動給紙機構
JP3315217B2 (ja) 給紙装置
KR20070023190A (ko)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JPH06425B2 (ja) 自動給紙装置
KR20050066381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밀판동력 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