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190A -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190A
KR20070023190A KR1020050077497A KR20050077497A KR20070023190A KR 20070023190 A KR20070023190 A KR 20070023190A KR 1020050077497 A KR1020050077497 A KR 1020050077497A KR 20050077497 A KR20050077497 A KR 20050077497A KR 20070023190 A KR20070023190 A KR 20070023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v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fri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3190A/ko
Publication of KR2007002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41J13/16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movable for insertion or release of sheet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일측에 커버가 설치된 본체,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부, 용지 적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픽업롤러 측으로 탄성 지지된 마찰패드 유닛, 커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용지 적재부 측으로 연장되어 커버가 열리면 타단부가 마찰패드 유닛에 외력을 전달하여 마찰패드 유닛을 픽업롤러로 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유닛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마찰패드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픽업롤러와 마찰패드 유닛에서 발생한 중송 또는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한 용지 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잼 용지를 제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부 부품들의 손상이나 이탈 그리고 조립 상태의 불량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내구성의 향상과 유지 보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APER FEE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급지부를 도시한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커버가 열림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0...본체
185...마찰패드 유닛
190...이격유닛
191...누름 링크바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용지를 급지하는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을 일컫는 것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함께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 급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급지부는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와 이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1매씩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구비한다. 픽업롤러 후방에는 화상형성부가 구비된다.
용지는 보통 카세트의 최상위에 위치한 것이 급지되며, 이 과정에서 그 하위의 용지는 용지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나 마찰력에 의해 상위 용지의 급지시에 조금씩 급지 방향으로 진행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진행상태가 심한 경우 상위 용지와 함께 급지되는 중송(double feeding)이 발생한다.
이러한 중송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수단을 갖춘 용지 급지부가 제안되고 있다. 다만,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복잡한 기구적인 구조를 가질 경우 설치가 불편하고 용지 급지부의 전체적인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의 중송방지수단이 요구된다.
하지만 비록 중송방지수단이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완전히 중송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그 이유는 화상형성장치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구성품들의 구조적인 손상 이나 마모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중송이 발생하면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설치된 중송감지부재 등에 의하여 중송이 감지된다. 그리고 중송이 감지되면 화상형성장치는 그 동작을 멈추게 된다. 특히 대부분의 중송에 의한 동작 정지는 피딩롤러에 의하여 용지가 급지되던 중에 발생한다. 즉 용지는 피딩롤러에 물려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중송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를 열고, 용지가 물려있는 상태를 제거하여야 하지만,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경우 강제로 용지를 제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럴 경우 픽업롤러를 구동시키는 픽업 샤프트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또는 중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마찰패드 유닛이 설치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송에 의한 잼(Jam)이 픽업롤러와 마찰패드 유닛 사이에서 발생할 경우 픽업롤러와 마찰패드 유닛의 압착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커버를 열면 픽업롤러와 마찰패드 유닛 사이의 압착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일측에 커버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부; 상기 용지 적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탄성 지지된 마찰패드 유닛; 상기 커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용지 적재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타단부가 상기 마찰패드 유닛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마찰패드 유닛을 상기 픽업롤러로 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용지 적재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마찰패드 유닛과 연동하도록 된 녹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유닛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외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격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지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녹업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바닥측으로 누르도록 설치된 누름 링크바와, 상기 누름 링크바에 일단이 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축 결합된 구동 링크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링크바는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구동 링크바가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커버의 회동방향으로 연장된 제 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 링크바에는 상기 지지축이 슬라이딩 동작하도록 하는 제 2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급지부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지 급지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0)를 구비한다. 본체(100)의 우측면에는 본체(100)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110)가 설치된다. 커버(110)는 하단이 본체(100)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내측면에 리브(111)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00) 내부에는 감광체(120)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130), 감광체(120)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유닛(140), 그리고 토너를 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50) 및 토너를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160)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 내부 하측에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부(170)과 용지 적재부(170)의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 급지부(180)가 구비된다. 용지 적재부(170)는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171)와 녹업 플레이트(172)로 마련된다. 녹업 플레이트(172)는 스프링(173)에 의하여 상향 탄성 지지되어 있다. 용지 급지부(180)는 용지 적재부(170)의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81)와 용지의 픽업시 픽업롤러(181)와 밀착되며 중송을 방지하는 마찰패드 유닛(185)으로 구비된다.
픽업롤러(181)는 녹업 플레이트(172)의 끝단 상측에 위치한다. 픽업롤러(181)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를 위하여 픽업롤러(181)의 구동축(182)의 끝단에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기어(184)가 설치된 다.
구동축(182)에는 픽업캠(183)이 설치된다. 이 픽업캠(183)은 픽업롤러(181)를 경계로 구동축(18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픽업캠(183)의 외주에는 녹업 플레이트(172)의 양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위치한 가이드 롤러(172a)가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픽업캠(183)의 회전으로 녹업 플레이트(172)가 강제적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마찰패드 유닛(185)은 픽업롤러(181)의 하부 중 녹업 플레이트(172)의 용지 급지 방향 측에 설치된다. 이 마찰패드 유닛(185)은 본체(100)의 내부에 스프링(186)에 의하여 상향 탄성 지지되어 있고, 상부면은 급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마찰패드 유닛(185)의 우측 하부에는 걸림턱(185a)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185a)은 녹업 플레이트(172)가 하강하면 녹업 플레이트(172)의 끝단이 걸려서 마찰패드 유닛(185)이 녹업 플레이트(172)와 함께 하강하도록 한다.
커버(110)와 녹업 플레이트(172)의 사이에는 이격유닛(190)이 설치된다. 이 이격유닛(190)은 일단이 커버(110)의 리브(111)에 형성된 제 1장공(112)에 결합되고, 타단이 녹업 플레이트(172)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격유닛(190)은 커버(110)가 열릴 때 녹업 플레이트(172)와 마찰패드 유닛(185)을 함께 하강시켜 마찰패드 유닛(185)이 픽업롤러(181)와 이격되도록 한다.
이격유닛(190)은 누름 링크바(191)와 구동 링크바(192)를 구비한다. 누름 링크바(191)는 본체(100) 내벽에 돌출 형성된 지지축(101)에 일측이 결합된다. 그리 고 누름 링크바(191)의 좌측단 하부에는 녹업 플레이트(172)의 측방으로부터 돌출한 누름돌기(172b)가 위치한다. 누름 링크바(191)에는 본체(100)의 지지축(10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하도록 하는 제 2장공(191a)이 형성된다.
누름 링크바(191)의 후방에는 일단이 커버(110)에 형성된 제 1장공(112)에 결합되고, 타단이 누름 링크바(191)에 링크 결합된 구동 링크바(192)가 설치된다.
구동 링크바(192)는 누름 링크바(191)에 결합된 단부로부터 커버(110) 측으로 본체(100)에 대하여 수평 연장된 수평 연장 부분과 이 수평 연장 부분의 끝단에서 커버(110)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꺾여서 연장된 경사 부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연장 부분과 경사 부분은 서로 링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연장 부분은 본체(100)의 내벽에서 돌출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2)에 의하여 상하부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링크바(192)의 커버(110)와의 결합부분은 커버(110)의 리브(111)에 형성된 제 1장공(112)에 축(192a)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유닛(190)은 본체(100)의 내벽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한쪽에만 설치될 수 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한쪽에만 설치할 경우에는 이격유닛(190)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쪽에는 녹업 플레이트(172)나 마찰패드 유닛(185)의 하강 방향으로 별도의 안내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동작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용지의 최초 급지 상태 또는 중송이 발생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b는 중송이 발생하여 최초 커버(110)를 열기 시작한 때라고 볼 수 있으며 또는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커버(110)의 열림 동작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도 3c는 커버(110)가 열리고 녹업 플레이트(172)와 마찰패드 유닛(185)이 함께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가 닫힌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커버(110)가 닫혔을 경우 이격유닛(190)의 구동 링크바(192)의 축(192a)은 제 1장공(112)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구동 링크바(192)의 우측단은 픽업롤러(181) 측으로 전진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누름 링크바(191)의 좌측단은 녹업 플레이트(172)의 누름돌기(172b)의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본체(100)의 지지축(101)은 누름 링크바(191)에 형성된 제 2장공(191a)의 우측단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한편, 녹업 플레이트(172)는 상향한 상태이고, 마찰패드 유닛(185)은 픽업롤러(181)와 밀착한 상태가 된다. 물론 픽업캠(183)이 회전하여 녹업 플레이트(172)의 가이드 롤러(172a)를 누르면 녹업 플레이트(172)의 마찰패드 유닛(185)은 하강한다. 하지만 이때는 당연히 중송이 발생할 염려도 없고, 또한 용지의 급지가 이미 이루어진 상태다.
용지가 급지되기 시작하고, 중송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하여 용지 잼이 발생하게 되면 용지는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별도의 감지수단에 의하여 중송상태 또는 용지 잼 상태가 감지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용지는 픽업롤러(181)와 마찰패드 유닛(185) 사이에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된다.
중송이나 잼 상태의 해소를 위하여 사용자는 픽업롤러(181)와 마찰패드 유닛(185) 사이에 물려있는 용지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커버(110)를 우측방향으로 열어서 회동시킨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가 회전하고, 동시에 구동 링크바(192)의 축(192a)은 제 1장공(112)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우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게 된다. 이때 구동 링크바(192)의 수평 연장 부분은 수평 이동하고, 동시에 구동 링크바(192)는 누름 링크바(191)를 끌어당기게 된다.
누름 링크바(191)가 구동 링크바(192)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면 누름 링크바(191)의 제 2장공(191a)은 지지축(101)에 지지된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면서 동시에 좌측단이 하방 회전하게 된다. 즉 스윙동작하고, 동시에 녹업 플레이트(172)의 누름돌기(172b)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계속된 동작으로 녹업 플레이트(172)는 본체(100)의 바닥으로 눌려지게 된다.
이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 플레이트(172)는 누름 링크바(191)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끝단이 마찰패드 유닛(185)의 걸림턱(185a)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녹업 플레이트(172)와 함께 마찰패드 유닛(185)이 본체(100)의 바닥으로 눌려진다. 이로 인해 마찰패드 유닛(185)과 픽업롤러(181)의 마찰상태가 해소되어 마찰패드 유닛(185)과 픽업롤러(181) 사이에 있는 용지를 사용자가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110)가 열리게 되면 커버(110)에는 녹업 플레이트(172)와 마찰패드 유닛(185)을 지지하는 스프링(173)(186)에 의하여 이격유닛(190)을 거쳐 탄성력 에 의한 닫힘 방향으로 복원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110)에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스토퍼 등을 설치하면, 스프링(173)(186)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110)가 닫힘 방향으로 강제 복원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스토퍼를 별도 조작하여 자동으로 커버(110)가 닫히도록 할 수 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구성요소의 일부를 변형하여 다르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유닛을 녹업 플레이트의 한쪽에만 설치하는 경우, 커버에 별도의 스토퍼를 설치하는 경우 또는 커버를 이중 구조로 구현하고 이동유닛을 결합시키는 경우 등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변형된 실시예의 기본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마찰패드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픽업롤러와 마찰패드 유닛에서 발생한 중송 또는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한 용지 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잼 용지를 제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부 부품들의 손상이나 이탈 그리고 조립 상태의 불량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내구성의 향상과 유지 보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측에 커버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부;
    상기 용지 적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 측으로 탄성 지지된 마찰패드 유닛;
    상기 커버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용지 적재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타단부가 상기 마찰패드 유닛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마찰패드 유닛을 상기 픽업롤러로 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적재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마찰패드 유닛과 연동하도록 된 녹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유닛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외력을 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지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녹업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의 바닥측으로 누르도록 설치된 누름 링크바와,
    상기 누름 링크바에 일단이 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축 결합된 구동 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크바는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구동 링크바가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커버의 회동방향으로 연장된 제 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 링크바에는 상기 지지축이 슬라이딩 동작하도록 하는 제 2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77497A 2005-08-23 2005-08-23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KR20070023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497A KR20070023190A (ko) 2005-08-23 2005-08-23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497A KR20070023190A (ko) 2005-08-23 2005-08-23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190A true KR20070023190A (ko) 2007-02-28

Family

ID=4365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497A KR20070023190A (ko) 2005-08-23 2005-08-23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31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974A1 (en) * 2021-01-27 2022-08-04 Cricut, Inc. Craf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974A1 (en) * 2021-01-27 2022-08-04 Cricut, Inc. Craf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626B1 (ko) 화상형성장치
JP5213529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EP1918230A2 (en) Printing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308947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5984768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US9828198B2 (en) Paper stop structure, paper feed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27062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980008584A (ko) 로울러의 구동전달기구
US5931455A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two side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US78697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15834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US20040170456A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08179479A (ja) シート給送装置
KR20070023190A (ko)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US20030075857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23847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28928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17658A (ja) 画像形成装置
JP387188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の給紙機構
JP2008156057A (ja) 給紙装置
JP5168021B2 (ja) 自動原稿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9243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及びシート搬送装置
JP6942586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51201B2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