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745B1 -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 및 착색배수관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 및 착색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745B1
KR100430745B1 KR10-2001-7013184A KR20017013184A KR100430745B1 KR 100430745 B1 KR100430745 B1 KR 100430745B1 KR 20017013184 A KR20017013184 A KR 20017013184A KR 100430745 B1 KR100430745 B1 KR 10043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igment
colored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1132A (ko
Inventor
오오시마코오타로
마쯔오카토오루
나가이요조오
나카무라미쯔오
Original Assignee
닛뽕폴리올레핀가부시키가이샤
하이텍케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폴리올레핀가부시키가이샤, 하이텍케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폴리올레핀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에틸렌수지와, 그 100중량부당, (B) (가) 코발트블루우안료 0.01∼2.0중량부, (나) 무금속프탈로시아닌안료 및/ 또는 분자속에 염소를 가지지않거나, 혹은 1개의 염소를 가진 금속프탈로시아닌안료 0.0001∼0.2중량부, (다) 디옥사진안료 0.0001∼0.2중량부 및 (라) 2산화티탄안료 0.002∼0.5중량부를 함유하는 배수관용착색수시조성물, 및 착색폴리에틸렌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JISK6762에 의한 염소수시험을 500시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색조가, 어느것이나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특정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 착색배수관. 본 발명의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 및 착색배수관은, 블루우계로 착색되고, 은폐성에 뛰어나는 동시에, 염소함유수에 대한 착색제성분의 색조(色調)견고성 및 수포(水泡)방지성에 뛰어나는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 및 착색배수관{COLORED RESIN COMPOSITION FOR WATER PIPE AND COLORED WATER PIPE}
상수도배수관을 블루우로 착색하는 주안료로서 유기안료에서는, 프탈로시아닌계블루우, 즈렌(Threne)계블루우, 무기안료에서는, 군청(群靑)색, 코발트블르우 등이있다.
통상 시판되고 있는 염소0(영)개 혹은 1개의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를 단독으로 본 용도에 사용하였을경우, 내 염소수시험에 있어서, 염소수의 산화작용에 의해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가 분해하여 격심하게 퇴색한다. 또, 구리프탈로시아닌안료의 그레이드에 따라서는, 시험플레이트 표면에 수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7-76639호 공보에 의하면, 중심이 구리, 아연, 니켈, 철, 또는 수소이고, 염소 2∼10개를 도입한 프탈로시아닌 블루우는, 염소함유수에 대하여 퇴색성에 뛰어난 착색수지조성물을 부여하는 것이 보고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프탈로시아닌블루우를 사용한 착색수지조성물에 있어서는, 내염소수시험을 실시하면, 범용의 구리프탈로시아닌 블루우보다도 단시간에 시험 플레이트표면에 수포가 발생한다고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색조도,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明度) 2∼6 및 채도(彩度)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지않는다.
프탈로시아닌블루우는, 착색력이 크고 코스트메릿은 크나, 어느 프탈로시아닌블루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내 염소수시험을 실시하였을때의 퇴색, 수포발생상황을 고려하면, 본 용도에 있어서의 단독사용은 피해야한다.
또, 즈렌계블루우는 프탈로시아닌블루우와 마찬가지로 착색력은 있으나, 수지성분에 대하여, 0.05중량%이상 첨가한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내염소수시험을 실시하면 수포가 발생하여, 색조는 다크그린으로 변색하는등, 바람직하지않는 사태를 초래하므로 사용은 피해야한다.
또한, 군청색을 주안료로 사용한 착색수지조성물은, 군청색이 산에 약하기때문에, 내염소수시험을 실시하면 현저하게 퇴색하는것을 면할수없고, 염소살균을 행한 상수도 배수관에 있어서의 사용은 피하는쪽이 좋다. 또, 이 군청색은, 프탈로시아닌블루우나 즈렌계블루우와 비교하면 착색력이 적기때문에 다른안료와의 병용메릿도 적다.
최후로, 코발트블루우는, 내염소수시험을 실시하면 변퇴색이 적고, 수지성분에 대하여, 2.0중량%이하의 첨가량 같으면 수포도 발생하지않는다. 그러나, 코발트블루우는 착색력이 떨어지기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면 색조 및 농도를 맞출때, 첨가량이 많아지고 내염소수시험으로 수포가 발생하기 쉬워지는데다가, 코스트적으로도 문제가 발생하여, 단독사용은 곤란하다.
코발트블루우를 주안료로 사용하고,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내에 색을 맞추자면은, 적계안료의 첨가가 필수조건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디옥사진안료 이외의 적계안료, 예를들면, 퀴나크리돈계안료를 첨가하면 검게 칙칙한 색조로 되고, 아조계나 펠릴렌계안료의 첨가는, 내염소수성이 지나치게 좋기때문에 시험종료시의 색이 붉어져서 인상이 좋지않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하에, 블루우계로 착색되고,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고, 은폐성에 뛰어나는 동시에, 염소함유수에 대한 착색제성분의 색조견고성 및 수포방지성에 뛰어나고, 염소수에 의한 시험실시후의 색조도,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상기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데다가, 코스트적으로도 유리한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 및 상기 색조특성을 가진 착색배수관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해서 이루어진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 및 착색배수관(배수관이음매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에 관한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블루우계로 착색되고, 염소함유수에 대한 착색제성분의 색조(色調)견고성 및 수포(水泡)방지성에 뛰어남과 동시에, 색조가 문셀(Munsell)표준색표의 값으로서, 특정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고, 은폐성에 뛰어난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 및 상기 색조특성을 가진 착색배수관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블루우계로 착색되고, 은폐성에 뛰어나고, 또한 상기 색조특성을 가진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개발하도록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에틸렌수지에, 특정의 안료를 조합해서, 각각 소정의 비율로 함유시켜서 이루어지는 착색수지조성물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것을 발견하고, 이 지견(知見)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A)폴리에틸렌수지와, 그 100중량부당, (B) (가) 코발트블루우안료 0.01∼2.0중량부, (나) 무금속프탈로시아닌안료 및/또는 분자 속에 염소를 가지지않거나, 혹은 1개의 염소를 가진 금속프탈로시아닌안료 0.0001∼0.2중량부, (다) 디옥사진안료 0.0001∼0.2중량부 및 (라) 2산화티탄안료 0.002∼0.5중량부를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
(2)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 제 1항기재의 배수관용착색수시조성물.
(3) JISK6762에 의한 염소수시험을 500시간 실시한 후의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 제 1항 또는 제 2항 기재의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
(4) (B) (다)성분의 디온사진안료가, 식〔1〕
및/또는, 식〔2〕
로 표시되는 것인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 기재의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 및
(5) 착색폴리에틸렌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JISK6762에 의한 염소수시험을 500시간 실시하기전과 후의 색조가, 모두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착색배수관을 제공하는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착색배수관」은, 배수관이음매도 포함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이하, 단순히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이라고 호칭하는일이 있다)에 있어서, (A)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수지란, 압출성형이나 사출성형 등으로 사용되는 종래 공지의 폴리에틸렌수지이다. 예를들면, 밀도0.945∼0.970g/㎤, 하중 2.16㎏의 MFR(멜트 플로레이트)이 0.01∼1g/10분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할수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있어서는, (B)성분의 착색제로서, (가) 코발트블루우, (나) 프탈로시아닌안료, (다) 디옥사진안료 및 (라) 2산화티탄안료의 조합이 사용된다.
상기 (가)성분의 코발트블루우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블루우계로 착색하는 주안료이고, 그 배합량은, (A)성분의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이 양이 0.01중량부보다 적으면 착색력이 적고, 내염소수시험을 실시한 후의 퇴색이 격심하고 시험후의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지않을 우려가 있고, 2.0중량부보다 많으면 내염소수시험을 행하였을때, 수포가 발생하기 쉽게된다. 착색력 및 내염소수성등을 고려하면, 이 코발트블루우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0.05∼1.0중량부이고, 특히 0.05∼0.5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나) 성분의 프탈로시아닌안료로서는 무금속프탈로시아닌안료 및/또는 분자속에 염소를 가지지 않거나, 혹은 1개의 염소를 가진 금속프탈로시아닌안료가 사용된다.
이 (나)성분의 프탈로시아닌안료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청색으로 착색하기위한 보색(補色)안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그 배합량은, (A)성분의 폴리에틸렌수지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0.2중량부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이 양이 0.0001중량부보다 적으면 착색력이 불충분하고, 0.2중량부보다 많으면 내염소수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수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착색력 및 내염소수성 등을 고려하면, 이 프탈로시가닌안료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0.001∼0.1중량부이고, 특히 0.005∼0.08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다)성분의 디옥사진안료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적색으로 착색하기위한 보색안료로서 사용되는것이다.
이 디옥사진안료로서는, 예를들면 식〔1〕
및/또는, 식〔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디옥사진안료의 배합량은 (A)성분의 폴리에틸렌수지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0.2중량부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이 양이 0.0001중량부보다 적으면 착색력이 불충분하고, 0.2중량부보다 많으면 내염소수시험으로 수포가 발생하기 쉽고, 또한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착색력, 내염소수성 및 색조등을 고려하면, 이 디옥사진안료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0.0001∼0.01중량부이고, 특히 0.0005∼0.01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라)성분의 2산화티탄안료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은폐성을 부여하기위해서 사용되는것이며, 그 배합량은, (A)성분의 폴리에틸렌수지100중량부에 대하여, 0.002∼0.5중량부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이 양이 0.002중량부보다 적으면 은폐력의 부여효과가 불충분하게되고, 0.5중량부를 초과하면 색조가 희게될 우려가 생긴다. 은폐력의 부여효과 및 색조 등을 고려하면, 이 2산화티탄안료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0.01∼0.1중량부이고, 특히 0.02∼0.08중량부의 범위가 썩알맞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않는 범위에서, 소망에 따라, 앞의 (A)성분의 폴리에틸렌수지 및 (B)성분의 착색제 이외에, 다른 첨가성분, 예를들면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교제등의 각종첨가제, 또한 폴리에틸렌 이외의 수지,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아크릴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등 및 탤크, 크레이, 실리카, 알루미나등의 무기계충전제를 첨가해도된다.
또, 본 발명의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은, 파이프성형시의 최종안료배합의 20혹은 30배등에 고배율화한 마스터배치를 제조한 후에, 자연수지와 함께 희석하여사용해도 하등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로서는,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고, 그리고 JISK6762에 의한 염소수시험을 500시간 실시한후의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상기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것이 썩알맞다.
본 발명은 또, 착색배수관도 제공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착색배수관은, 착색폴리에틸렌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JISK6762에 의한 염소수시험을 500시간 실시하기전과 후의 색조가, 모두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며, 바람직하기는,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PB∼7PB, 명도 2.5∼5.5 및 채도 6∼12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이다.
이 착색배수관은, 예를들면 상술의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수있다. 이 배수관은, 블루우계에 착색되고, 은폐력에 뛰어나는 동시에, 염소함유수에 대한 색조견고성 및 수포방지성 등에 뛰어난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는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28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28)0.2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Violet 23)0.01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05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2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3g/㎤, 분자량 2000)0.58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4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02중량부,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5:1)0.02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23)0.008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0.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3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92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05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02중량부,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5:3)0.04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37)0.01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0.05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4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스테아르산칼슘0.54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4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02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23)0.008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0.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5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스테아르산마그네슘0.48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4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02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23)0.01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0.05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6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39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3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Violet 16)0.03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23)0.005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055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7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51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4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Violet 16)0.06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37)0.005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045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8
고밀도폴 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5.6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4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4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23)0.2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수도파이프블루우마스터배치를 얻었다. 얻게된 마스터배치를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에 의해 20배로 희석하고,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9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2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1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4중량부,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5:3)0.4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37)0.2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수도파이프블루우마스터배치를 얻었다. 얻게된 마스터배치를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에 의해 20배로 희석하고,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10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스테아르산마그네슘9.6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8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4중량부, 디옥사진Violet(C.I. Pigment Violet 23)0.2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수도파이프블루우마스터배치를 얻었다. 얻게된 마스터배치를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에 의해 20배로 희석하고,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1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28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2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02중량부, 아조계레드(C.I Pigment Red 242)0.01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05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2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65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5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03중량부, 페릴렌계레드(C.I Pigment Red 149)0.02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3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45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3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04중량부, 퀴나크리돈계레드(C.I Pigment Red 122)0.01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4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87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6중량부, 안트라퀴논계블루우(C.I Pigment Blue 60)0.05중량부, 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0.02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2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5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65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5중량부,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4C)-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0.03중량부, 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0.02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6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0.825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005중량부, 군청(C.I.Pigment Violet 15)0.6중량부, 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0.02중량부, 2산화티탄(C.I Pigment White 6)0.2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7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스테아르산마그네슘2.37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2.3중량부,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0.002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0.05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8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5.34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0.14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4중량부, 아조계레드(C.I Pigment Red 242)0.2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1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수도파이프블루우마스터배치를 얻었다. 얻게된 마스터배치를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에 의해 20배로 희석하고,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9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6.4중량부,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C.I.Pigment Blue 15:1)2중량부, 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0.4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4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수도파이프블루우마스터배치를 얻었다. 얻게된 마스터배치를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에 의해 20배로 희석하고,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10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12.42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10중량부, 구리프탈로시아닌블루우(C.I.Pigment Blue 15:1)2중량부, 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0.4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0.02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11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32.8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8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Pigment Blue 16)0.4중량부, 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0.2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20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수도파이프블루우마스터배치를 얻었다. 얻게된 마스터배치를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에 의해 20배로 희석하고,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12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12.601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12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2중량부, 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0.001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0.4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수도파이프블루우마스터배치를 얻었다. 얻게된 마스터배치를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에 의해 20배로 희석하고,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비교예 13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100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밀도: 0.94g/㎤, 분자량 3000)15중량부, 코발트블루우(C.I.Pigment Blue 28)8중량부, 무금속프탈로시아닌블루우(C.I Pigment Blue 16)0.2중량부, 디옥사진계Violet(C.I. Pigment Violet 23)6중량부, 2산화티탄(C.I.Pigment White 6)0.8중량부를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수도파이프블루우마스터배치를 얻었다. 얻게된 마스터배치를 고밀도폴리에틸렌(밀도: 0.949g/㎤, MFR: 0.10g/10min)에 의해 20배로 희석하고, 2개롤에 의해 185℃에서 2분간 혼련하여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조성물을 가열프레스하여, 두께 2㎜의 프레스시트를 제작했다. 프레스시트의 제작조건은, 230℃에서 예열2분간, 가압2분간, 냉각은 20℃에서 5분간 행했다. 얻게된 프레스시트로부터 20㎜×120㎜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험은 다으모가 같이해서 행했다.
내염소수시험조건은 JISK6762에 준거하여 시험편의 수포발생상황과 색조변화를 확인했다.
염소수농도 : 2000±100ppm
염소수온도 : 60±1℃
염소수PH : 6.5±0.5
시험시간 : 168, 500, 1000시간
테스트피스두께 : 2㎜
수포평가기준
○: 수포미발생
△: 약간수포발생
×: 격렬하게 수포발생
생조평가기준
○: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내에 들어가있다.
×: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내에 들어가있지않다.
은폐성
○: 은폐력 대
×: 은폐력 소
결과를 제 1표 및 제 2표에 표시한다.
실시예 내염소수성평가 은폐성
168시간 500시간 1000시간
수포평가 색조평가 수포평가 색조평가 수포평가 색조평가
1
2
3
4
5
6
7
8
9
10
실시예 내염소수성평가 은폐성
168시간 500시간 1000시간
수포평가 색조평가 수포평가 색조평가 수포평가 색조평가
1 × ×
2 × ×
3 × ×
4 × × ×
5 × × × ×
6 × ×
7 ×
8 × ×
9 × ×
10 × × ×
11 × ×
12 × ×
13 × × × ×
본 발명의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은, 염소함유수에 대한 수포발생 및 퇴색성에 뛰어나고, 색조가 문셀표준섹표의 값으로 색상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내에 들어가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소수에 접하는 배수관용폴리에틸렌수지의 착색성분으로서, 염소수시험을 실시하였을 때에 변퇴색이 적고, 수포가 발생하지 않는 코발트블루우안료 및 내염소수성에 뛰어나고, 은폐력이 있는 2산화티탄안료 및 염소수시험을 실시하였을때에 수포가 발생하지않고, 착색력이 있는 디옥사진안료 및 프탈로시아닌안료를 병용함으로써, 살균용의 염소수에 대한 색조 견고성 및 수포박리방지성에 뛰어나고,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내에 들어가있고, 내염소수시험을 행하였을때의 퇴색이, 청색채로 서서히 퇴색하고, 청색이외에 변색하지않는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을 얻을수있다.

Claims (5)

  1. (A) 폴리에틸렌수지와, 그 100중량부당, (B) (가) 코발트블루우안료 0.01∼2.0중량부, (나) 무금속프날로시아닌안료 및/또는 분자속에 염소를 가지지 않거나, 혹은 1개의 염소를 각진 금속프탈로시아닌안료 0.0001∼0.2중량부, (다) 디옥사진안료 0.0001∼0.2중량부 및 (라) 2산화티탄안료 0.002∼0.5중량부를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관용착색수시지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JISK6762에 의한 염소수시험을 500시간 실시한 후의 색조가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
  4. 제 1,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B) (다)성분의 디옥사진안료가, 식〔1〕
    및/또는, 식〔2〕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관용착색수지조성물.]
  5. 착색폴리에틸렌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JISK6762에 의한 염소수시험을 500시간 실시하기전과 후의 색조가, 어느것이나 문셀표준색표의 값으로, 색상 10B∼10PB, 명도 2∼6 및 채도 4∼14의 색입체범위내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착색배수관.
KR10-2001-7013184A 2000-02-17 2001-02-16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 및 착색배수관 KR100430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9425 2000-02-17
JPJP-P-2000-00039425 2000-02-17
PCT/JP2001/001126 WO2001060906A1 (fr) 2000-02-17 2001-02-16 Composition de resine coloree pour tuyau d'eau et tuyau d'eau col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132A KR20020011132A (ko) 2002-02-07
KR100430745B1 true KR100430745B1 (ko) 2004-05-10

Family

ID=1856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184A KR100430745B1 (ko) 2000-02-17 2001-02-16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 및 착색배수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48312B1 (ko)
EP (1) EP1201712B1 (ko)
JP (1) JP4781594B2 (ko)
KR (1) KR100430745B1 (ko)
CN (1) CN1161403C (ko)
AT (1) ATE277119T1 (ko)
AU (1) AU3232501A (ko)
DE (1) DE60105736T2 (ko)
NO (1) NO20015036L (ko)
WO (1) WO2001060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7569B2 (ja) * 2005-04-15 2012-02-15 宇部興産株式会社 粒状有彩色樹脂組成物
WO2006112444A1 (ja) * 2005-04-15 2006-10-26 Ube Industries, Ltd. 粒状有彩色樹脂組成物
JP5051489B2 (ja) * 2005-04-15 2012-10-17 宇部興産株式会社 粒状白色樹脂組成物
JP4870380B2 (ja) * 2005-04-15 2012-02-08 宇部興産株式会社 粒状白色樹脂組成物
US8824845B1 (en) 2010-12-03 2014-09-02 Draka Comteq, B.V. Buffer tubes having reduced stress whitening
JP5257506B2 (ja) * 2011-12-27 2013-08-07 宇部興産株式会社 粒状白色樹脂組成物
EP2746324A1 (en) * 2012-12-21 2014-06-25 Borealis AG Use of pigments and additives for improving pipe stability against desinfectant containing water
JP6185817B2 (ja) * 2013-10-15 2017-08-23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配水管用青色着色樹脂組成物および配水管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05012B (sv) 1977-09-19 1978-11-13 Gustavsberg Ab Sett for fornetning av polyeten
JPS6456747A (en) * 1987-08-27 1989-03-03 Mitsubishi Petrochemical Co Pipe for plumbing system
JP3158874B2 (ja) * 1993-07-16 2001-04-23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着色樹脂組成物および退色防止方法
JPH1017726A (ja) 1996-07-08 1998-01-20 Toyo Ink Mfg Co Ltd 着色樹脂組成物
JPH1087904A (ja) 1996-07-08 1998-04-07 Toyo Ink Mfg Co Ltd 着色樹脂組成物
JPH10265620A (ja) 1997-03-25 1998-10-06 Hightech Kemi Kk 配水管用着色樹脂組成物
JP3853012B2 (ja) 1997-03-25 2006-12-06 ハイテックケミ株式会社 配水管用着色樹脂組成物
JP3686526B2 (ja) 1997-06-09 2005-08-24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配水管用着色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着色樹脂配水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232501A (en) 2001-08-27
CN1161403C (zh) 2004-08-11
WO2001060906A1 (fr) 2001-08-23
JP4781594B2 (ja) 2011-09-28
US6448312B1 (en) 2002-09-10
DE60105736T2 (de) 2005-05-12
NO20015036L (no) 2001-12-13
KR20020011132A (ko) 2002-02-07
EP1201712B1 (en) 2004-09-22
CN1364183A (zh) 2002-08-14
DE60105736D1 (de) 2004-10-28
ATE277119T1 (de) 2004-10-15
EP1201712A1 (en) 2002-05-02
EP1201712A4 (en) 2003-01-08
NO20015036D0 (no) 200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4158A1 (en) Flexible, High Temperature Rated LLDPE Jacket Composition
KR100430745B1 (ko) 배수관용 착색수지조성물 및 착색배수관
JPH02276845A (ja) 変性アイオノマー
CZ291617B6 (cs) Předsměs a plast obsahující tuto předsměs
JPH08506373A (ja) 掻傷耐性を有する重合体組成物
CN109721932A (zh) 一种光亮型无卤阻燃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99969B1 (ko)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수지 조성물, 연신 필름 및 이의제조 방법
US20110059300A1 (en) Molded Product Assembly
EP0952183B1 (de) Verzugsfreie Pigmentzusammensetzungen enthaltend Diaryl-diketopyrrolo 3,4c pyrrole
US4366292A (en) Mixed polyolefinic compositions
US3708457A (en) Pigmented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phthalocyanine compounds
JP6914672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外装用部品
EP3489301A1 (de) Farbmasterbatch auf basis von vinylchlorid-pfropfcopolymerisaten
JP6185817B2 (ja) 配水管用青色着色樹脂組成物および配水管
JPS61255953A (ja) 耐候性良好なプロピレン重合体着色組成物
EP081642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gefärbter thermoplastischer Formmassen
JPH11293050A (ja) 水道配水管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水道配水管および配水管継手
JP2000169664A (ja) 発色安定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着色組成物
JP2817129B2 (ja) 樹脂着色組成物
KR100744008B1 (ko) 다 기능성 블랙마스터 뱃치 조성물
JPH06271741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3201626B2 (ja) 耐候性着色ポリエチレン組成物
JPH07216290A (ja) 着色用樹脂組成物
JP2006009035A (ja) 金属光沢を有する成形品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4119608A1 (de) Transparente polyamide mit guter witterungsbeständigke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