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941B1 - 자반연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반연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1941B1 KR100421941B1 KR10-2001-0072879A KR20010072879A KR100421941B1 KR 100421941 B1 KR100421941 B1 KR 100421941B1 KR 20010072879 A KR20010072879 A KR 20010072879A KR 100421941 B1 KR100421941 B1 KR 100421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almon
- salt
- hours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972773 Aulopiforme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5000019515 salmon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2268 Citrus limon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7087 Apium graveolen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5849 Apium graveolens Dulce Group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0591 Appio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1197 pereji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20997 lean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3136 Rosmarinus officinal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605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61 vacuum packa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9164 Petroselinum crisp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4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6010037549 Purpur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1672981 Purpur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1001529742 Rosmar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08317 Petrose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422 Laurus nob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858 Laurus nobi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77329 Oncorhynchus ke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31739 Oncorhynchus masou rhod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7277 Oncorhynchus nerk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783 Origanum major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297 Origanum major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212 Terminalia toment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060 Abdominal dis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087 Abdominal pain upp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2855 Anxie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666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01 Blood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58 Brain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848 Dysente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9 Egg Yo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16 Gi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1 Lemo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84 Me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23 Muscl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9148 Nephrolith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7334 Oncorhync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7326 Oncorhynchus gorbusc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7338 Oncorhynchus kisutch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7269 Oncorhynchus masou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80377 Oncorhynchus tshawytsc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7331 Salmo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03 Syring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38 Syring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38 T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877 Whooping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05 anti-dot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9 antido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70 buff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7 calc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6 carot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73 carot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5 egg yo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gravel botto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32 hemopoi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27 inse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501 lemo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80 majorana hortensis moench (origanum majorana 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02 pertus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5 sal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98 salt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7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2—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 A23B4/023—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by kitchen salt or mixtures thereof with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 A23B4/0235—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by kitchen salt or mixtures thereof with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with organic compounds or biochemical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5—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fish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58—In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Abstract
본 발명은 저염 자반연어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염수로 절임과정을 거친후 유통중 취급에 의해서도 오염이 일어나지 않으며 장기간저장이 가능하도록 진공포장한 자반연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반연어의 제조에 있어서, 냉동된 연어를 자연해동하여 세척하는 제 1단계, 이어서 상기 세척된 연어에 있는 가시 및 비늘을 제거하고, 껍질을 포함한 살코기를 발라내는 연어를 필렛화하는 제 2단계, 지하 암반식용수 100중량부에 대해, 천일염 70중량%와 정제염 30중량%가 혼합된 절임염 1.5 ~ 2중량부를 첨가하고, 레몬 25중량%, 당근 25중량%, 양파 25중량%, 셀러리(celery) 15중량%, 파슬리 5중량%, 마죠람(Majoram) 2.5중량%, 로즈마리 2중량%, 월계수잎 0.5중량%를 갈아 혼합한 가미향신료 1 ~ 2중량부를 첨가하여 염장수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이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생성된 연어필렛을 상기 제 3단계에서 제조된 염장수에 침지하여 2 내지 3시간동안 절임가공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절임가공단계후 건져낸 절임 연어를 8 ~ 10℃의 온도에서 2 ~ 3시간동안 냉풍건조한후, 이어서 25 ~ 30℃의 실온에서 1 ~ 2시간동안 일부수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일부수분 건조된 절여진 연어를 길이 10 내지 15cm의 길이로 절단하고 하단에 나무무늬판 보드용 스티로폼을 대고 랩으로 진공포장하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염 자반연어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염 자반연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수로 절임 과정을 거친 후 유통중 취급에 의해서도 오염이 일어나지 않으며 장기간저장이 가능하도록 진공 포장한 자반연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반이라 함은 주로 생선을 소금으로 간이 세게 절여서 저장해 두고 쓰는 것을 자반이라 하는데, 예를 들면 자반고등어, 자반조기, 자반준치, 자반비웃, 자반갈치, 자반전갱이, 자반가자미, 자반연어, 자반송어, 자반전어 등이 있다. 생선을 자반으로 만드는 방법은 생선의 비늘, 내장, 알, 이리, 조름 등을 떼어 내고 소금물로 씻어 건져 물기가 빠진 후 아가미에 마른 소금을 가득 채우고 몸에도 많이 뿌려서 항아리에 나란히 놓고, 켜마다 소금을 뿌려 1~2일 지난 다음 간국에서 건져서 꾸덕꾸덕 말려서 다시 마른 항아리에 담아 저장하거나 간국에 그대로 저장해 두고 쓴다. 소금간은 저장기간을 길게 잡을수록 소금 량을 많이 쓴다. 굴비는 조기를 절였다가 말린 것이고 암치는 민어를 절였다 말린 것이다. 자반생선을 반찬으로 만드는 방법은 기름을 발라서 잠깐 구워 먹거나 토막을 쳐서 그릇에 담아 파, 마늘, 고춧가루, 기름 등 양념을 사이사이에 뿌리고 물을 질박하게 부어서 끓는 밥솥에 얹어 쪄서 밥을 풀 때 꺼내어 뭉글한 불에 잠깐 끓인 다음 먹는 방법이 있다.
또한 자반의 범위를 넓게 잡으면 고추장을 참기름, 생강, 꿀, 설탕 등을 넣고 볶는 볶은고추장 또는 약고추장도 이에 속한다. 쇠고기를 진간장으로 조리는 장똑도기나 장산적 등도 이에 속한다. 또 북어무침, 오징어볶음, 멸치볶음, 콩자반 , 미역자반 등도 이에 속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자반인 경우에 염분이 생선에 과도하게 절여지게 되어 될 수 있으면 소금 및 염분을 섭취하지 못하게 하는 현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볼때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우리 나라의 식생활 습관이 소금 끼를 과다섭취하는것에 의한 성인병발생 및 건강역효과가 매우 우려할 만한 정도이다.
또한, 연어는 하천에서 부화되어 바다로 나가 살다가 태어난 하천으로 돌아와 산란하는 모천 회귀성의 어류로 일생 한번 산란하고 죽으며, 그 치어는 바다로 내려간 후 2~5년 만에 성숙하여 성어가 되어 산란 차 회귀한다. 산란기가 되면 혼인 색을 나타내고 먹이도 먹지도 않으며, 수컷은 양턱 앞끝이 돌출 되어 구부러진다. 산란 장은 수심 3m 이내이고, 유속이 20cm/sec의 상류의 모래, 자갈바닥, 용수 등이 있는 곳에 수온 4~11℃ 때에 산란한다. 1쌍의 암,수는 산란장이 정해지면 암컷이 직경 1m, 깊이 50cm 정도의 구멍을 판 후, 암수가 방정 한다. 산란 후 암컷은 꼬리를 사용하여 자갈, 모래로 알을 덮는다. 반면, 수컷은 산란장 주변을 돌면서 다른 고기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경계를 한다. 암컷 1마리의 평균 산란수는 2,500 ~ 3,000개이며, 알의 크기는 직경 0.67cm로 60일 내외에 부화된다. 봄에 부화된 새끼는 바다로 내려가서 3~4년 만에 성숙한 후 자기가 태어난 하천에 올라와서 산란한다. 회귀율은 종류와 지역에 따라 다르나, 선진국에서는 2 ~ 3% 전후라고 하나, 우리 나라는 아직 2% 미만이다.
태평양산 연어의 종류는 연어(Oncorhynchus keta), 곱사연어(O.gorbuscha), 왕연어(O.tschawytscha), 홍연어(O.nerka), 은연어(O.kisutch), 시마연어(O.masou) 및 아마고(Amago) 연어(O.rhodurus))로 7종이 있으나, 우리 나라 동해 하천으로 소상하는 종류는 연어와 시마연어 2종뿐이다. 양양 남대천에 주로 소상하는 연어는 (O.keta)로 주로 3.4세어 이며, 전장의 범위는 42.0~83.8cm이고, 체중은 0.53 ~ 6.10 kg까지로 다양하다. 그리고 암컷이 수컷보다 조금 크다. 연어의 회규율을 구하기 위해 표지방류를 하는데, 주로 배지느러미와 기름지느러미를 절단한다. 매년 10월 11일에서 11월 30일까지 하구에 포획 망을 설치하여 산란차 소상하는 어미를 포획하여 현장에서 어체측정을 하고, 연령을 판독하기 위한 연령 형질로써 쓰이는 비늘을 채취하고 난 뒤 채란을 하여 인공 수정시킨다. 수정시킨 알을 연구소로 가져와 부화기에 수용시켜 부화시킨다. 수용된 알은 수생균의 발생을 막기 위해 규칙적으로 약욕시킨다. 수정시켜서 발안할 때까지는 평균 30일(수온8℃)이 소요되며, 부화, 난황 흡수하여 외부로 부터 먹이를 섭취하기 시작하는 평균 160 ~180일이 소요된다. 그리고 치어의 전장이 5 ~ 7cm, 연안수온 5℃ 이상이 되는 이듬해 2월중에서 3월말에 방류한다.
연어는 냉수성 어종이기 때문에 북위 40도 이상의 아한대 바다에서 자라 50~80㎝ 크기로 성장한 뒤 가을 무렵 하천으로 올라오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흔히 먹는 연어는 대부분 북해 산이다. 자연산 연어의 경우 모천을 거슬러 오르는 과정에서 생채기가 많이 나고, 알을 낳고 나면 살이 퍽퍽해져서 먹을 수 없기 때문이다. 노르웨이 연어는 북대서양 지역의 차가운 물 속에 산다. 대부분 양식이다. 우리가 연어 요리로 가장 많이 접하는 훈제연어는 북유럽 특유의 음식 저장 방식에서 나온 요리다. 국내에서도 수입된 냉장 혹은 냉동연어를 연기에 그을리는 훈제방식 요리가 많다. 이러한 연어요리는 고급 요리로 여기고 있어, 실제로 그 요리는 일류급 레스토랑의 고급메뉴 또는 고급뷰페식에서 주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애용식으로 자주 섭취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 이외에는 냉동 연어를 해동하여 횟감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지방질이 없는 담백한 회맛에 익숙한 우리 나라에서는 지방기가 많은 연어의 육질로 인하여 횟감으로 소비는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어를 저염도의 자반연어로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자반연어를 간단히 가열하는 것만으로 식용 가능하도록 하여 현대인이 쉽게 연어고기를 섭취하도록 저염도의 자반연어로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염 가공된 자반연어를 유통중 취급에도 불순물 등의 오염이 없도록 자반연어를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반연어를 보드용 스티로폼에 올려놓고 랩으로 포장된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반연어의 제조에 있어서,
냉동된 연어를 자연 해동하여 세척하는 제 1단계
이어서 상기 세척된 연어에 있는 가시 및 비늘을 제거하고, 껍질을 포함한 살코기를 발라내는 연어를 필렛화하는 제 2단계,
지하 암반식용수 100중량부에 대해, 천일염 70중량%와 정제염 30중량%가 혼합된 절임염 1.5 ~ 2중량부를 첨가하고, 레몬 25중량%, 당근 25중량%, 양파 25중량%, 셀러리(celery) 15중량%, 파슬리 5중량%, 마죠람(Majoram) 2.5중량%, 로즈마리 2중량%, 월계수잎 0.5중량%를 갈아 혼합한 가미향신료 1 ~ 2중량부를 첨가하여 염장수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이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생성된 연어필렛을 상기 제 3단계에서 제조된 염장수에 침지하여 2 내지 3시간동안 절임 가공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절임가공단계후 건져낸 절임 연어를 8 ~ 10℃의 온도에서 2~ 3시간동안 냉풍건조한후, 이어서 25 ~ 30℃의 실온에서 1 ~ 2시간동안 일부수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일부수분 건조된 절여진 연어를 길이 10 내지 15cm의 길이로 절단하고 하단에 나무무늬판 보드용 스티로폼을 대고 랩으로 진공포장하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염 자반연어의 제조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단계
본 발명의 제 1단계는 냉동된 연어를 자연해동하여 세척하는 단계이다. 냉동 연어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먹는 연어는 대부분 북해산이다. 자연산 연어의 경우 모천을 거슬러 오르는 과정에서 생채기가 많이 나고, 알을 낳고 나면 살이 퍽퍽해져서 상품성이 떨어진다. 노르웨이 연어는 북대서양 지역의 차가운 물 속에 살며대부분 양식이다. 세척하는 물은 지하암반수를 이용한다.
제 2단계
본 발명의 제 2단계는 이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세척된 연어에 있는 가시 및 비늘을 제거하고, 껍질을 포함한 살코기를 발라내는 연어를 필렛화하는 단계이다. 세척된 연어를 지느러미를 제거하고 몸통부분에서 꼬리까지 가시와 비늘을 제거한후 살을 발라내게 되는데 이때 연어의 껍질을 포함하여 살을 발라낸다. 이것은 연어의 껍질에 있는 영양분과 또한 껍질의 맛이 자반연어로 식용하는 경우 독특한 맛을 내기 때문이다.
제 3단계
본 발명의 제 3단계는 지하 암반식용수 100중량부에 대해, 천일염 70중량%와 정제염 30중량%가 혼합된 절임염 1.5 ~ 2중량부를 첨가하고, 레몬 25중량%, 당근 25중량%, 양파 25중량%, 셀러리(celery) 15중량%, 파슬리(parsley) 5중량%, 마죠람(Majoram) 2.5중량%, 로즈마리 2중량%, 월계수잎 0.5중량%를 갈아 혼합한 가미향신료 1 ~ 2중량부를 첨가하여 염장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지하 암반식용수 100중량부에 대해 절임염을 1.5 내지 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은 저염도로 연어를 절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범위 이하이면 염도가 너무 떨어져 연어의 맛에 배기게 되는 맛간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범위 이상으로 첨가되면 연어에 배게되는 염도가 높아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에서 천일염과 정제염의 혼합비율을 중량비로 7:3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은 천일염의 자연스런 맛과 정제염의 깔끔한 맛을 적절히 어우러지게 한것이다.
이어서 레몬 25중량%, 당근 25중량%, 양파 25중량%, 셀러리(celery) 15중량%, 파슬리(parsley) 5중량%, 마죠람(Majoram) 2.5중량%, 로즈마리 2중량%, 월계수잎 0.5중량%를 갈아 혼합한 가미향신료를 첨가하게 된다.
상기에서 레몬의 과즙은 유기산(5.7∼7.8%), 특히 시트르산을 많이 함유하므로 어류나 육류 요리등에 넣으면 신선한 맛을 즐길 수 있다. 레몬의 중요한 부산물로는 구연산, 구연산, 칼슘염, 레몬유, 팩틴 등이 있다.
상기에서 당근은 채소로 식용하는데,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많고, 맛이 달아 나물, 김치, 샐러드 및 서양 요리에 많이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학슬풍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이질, 백일해, 해수, 복부팽만에 효과가 있고 구충제로도사용한다.
상기에서 양파는 양파에는 칼슘과 철분이 많아 강장 효과가 있고 비타민 B가 풍부하고 따라서 양파는 정력을 좋게 하고 신진대사를 높여주는 대표적인 스테미너 식품으로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성인병의 예방, 양파의 겉껍질에 들어있는 켈세진이라는 성분은 혈관의 확장과 수축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최근 급격히 늘고 있는 고혈압과 동맥경화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식품으로 간주되고 있다.
상기에서 셀러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으로 비타민 B1, B2가 다른 채소보다 많이 들어 있고 유기성나트륨이 다량 함유되고 있어서 체내에 축적된 무기성 칼슘을 녹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일산화탄소의 배출을 돕는다. 또한 마그네슘과 철분이 많으므로 혈구생성을 돕는다. 그러므로 신결석, 관절염, 기관지천식, 신경쇠약, 빈혈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에서 파슬리는 칼슘의 함량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비타민 C가 많이 들어있다. 특히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변하는 카로틴 성분이 풍부하여 당근과 함께 건강채소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B1, B2는 다른 채소에 비해 10배 이상이나 된다. 이외에 조혈작용을 하는 철분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음식에 가루를 뿌려서 먹으면 입안이 개운해지고 입냄새도 없어진다. 스프나 오믈렛, 드레싱에 뿌려 색과 향을 내기도 하고 고기요리, 튀김요리 등에서 달걀물에 섞어 이용하기도 한다.
상기에서 마죠람(Majoram)은 지중해 연안지방이 원산지로 25~40㎝ 정도 자라며 잎은 작고 둥글다. 흰색과 핑크색의 꽃을 피우며 스위트마죠람은 내한성이 약한 편이고 포트마죠람은 내한성이 있고 튼튼하게 자란다. 달콤하고 향긋한 향이 있으며 해독제로 사용되고 음식의 향신료와 목욕제로 널리 이용된다. 신경계를 진정시켜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킨다. 근육통에도 유효하며 허리아픔과 위경련, 소화불량, 변비에 좋다고 알려져있다.
상기에서 로즈마리(Rosemary)의 원산지는 아시아이며 지중해 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향유를 추출하고 있다. 잎은 진초록색으로 바늘모양이다. 포복성 로즈마리는 옆으로 퍼지면서 자란다. 물을 좋아하는 식물이며 상록성 관목으로 높이는 1m 까지 성장하며 꽃은 청색 또는 라일락꽃의 색이다. 살균소독작용이 있고 뇌세포를 활성화시켜 두뇌를 맑게 하고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에서 월계수 잎은 지중해 연안 원산이다. 한국에서는 경상남도, 전라남도에서 재배하고 북쪽지방에서는 온실에서 가꾼다. 말린 잎은 베이 리프(bay leaf)라고 하며, 향기가 좋아서 요리나 차에 넣는다. 관상수로 심으며 민간에서는 열매와 잎을 건위제나 종기를 없애는 약재로 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가미향신료 1 ~ 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은 연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고기의 맛을 연하게 하며 특유의 상큼한 맛을 우러나게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가미향신료를 1중량부 이하로 첨가하게 되면 가미향신료를 첨가하는 효과가 미비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본 발명의 가미향신료를 2중량부이상 첨가하게 되면 첨가량에 비해 맛으로 우러나는 효과의 증진이 미비하여 재료비가 많이 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 4단계
본 발명의 제 4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생성된 연어필렛을 상기 제 3단계에서 제조된 염장수에 침지하여 2 내지 3시간동안 절임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절임가공하는 단계에서 염장수에 침지하는 시간을 2시간 이내로 하는 경우 절임이 완전하게 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3시간을 넘으면 너무 과도하게 절여져 바람직하지 않다.
제 5단계
본 발명의 제 5단계는 상기 제 4단계의 절임가공단계후 건져낸 절임 연어를 8 ~ 10℃의 온도에서 2 ~ 3시간동안 냉풍건조한후, 이어서 25 ~ 30℃의 실온에서 1 ~ 2시간동안 일부수분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냉풍건조를 하는 것은 절여진 연어가 신선한 온도에서 염분이 알맞게 배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풍건조시간이 2시간 이하이면 염장된 맛을 유지하면서 건조되는 것이 어렵고, 상기 시간이 3시간 이상이면 과도하게 건조되어 염장 맛과 육질이 질겨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어서 실온 즉 25 ~ 30℃의 실온에서 1 ~ 2시간동안 일부수분 건조하는데 이때 상기 온도로 건조하는 것은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자반연어의 수분으로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25℃이하이면 건조가 미비하고, 상기 30℃이상이면 온도가 높아 연어의 맛의 변질이 일어나기 쉬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에서 1 ~ 2시간 동안 일부수분을 건조하는 것은 건조전 염장연어의 수분함량을 100%로 기준할 경우 8 ~ 10%의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에서 8%이하의 수분을 제거하는 경우 수분함량이 너무 많아 자반연어의 맛이 제대로 나질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고, 상기 10%이상의 수분을 제거하는 경우 수분이 과도하게 제거되어 육질이 질기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 6단계
본 발명의 제 6단계는 제 5단계에서 상기 일부수분 건조된 절여진 연어를 길이 10 내지 15cm의 길이로 절단하고 하단에 나무무늬판 보드용 스티로폼을 대고 랩으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길이 10 내지 15㎝의 크기로 연어를 절단하는 것은 1인이 한번에 섭취하기에 가장 적당한 크기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자반연어를 하단에 나무무늬판 보드용 스티로폼(일명:우드락제품)을 대어 절임가공후 단위 절단된 크기 및 모양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보드용 스티로폼 위에 놓여진 자반연어를 랩으로 진공 포장하여 저염 자반연어를 제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반연어를 보드용 스티로폼에 올려놓고 랩으로 포장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냉동된 연어 1마리를 자연 해동하여 세척하고, 이어서 상기 세척된 연어에 있는 가시 및 비늘을 제거하고, 껍질을 포함한 살코기를 발라내는 연어를 필렛화하고, 지하 암반식용수 10ℓ에 천일염 140g과 정제염 60g이 혼합된 절임염 200g을 첨가하고, 레몬 25중량%, 당근 25중량%, 양파 25중량%, 셀러리(celery) 15중량%, 파슬리 5중량%, 마죠람(Majoram) 2.5중량%, 로즈마리 2중량%, 월계수잎 0.5중량%를 갈아 혼합한 가미향신료 200g을 첨가하여 염장수를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에서 생성된 연어필렛을 상기에서 제조된 염장수에 침지하여 2시간 30분동안 절임가공하고 건져낸 절임 연어를 8 ~ 10℃의 온도에서 2시간 30분동안 냉풍건조한후, 이어서 25 ~ 30℃의 실온에서 2시간동안 일부수분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절여진 연어를 길이 15cm의 길이로 절단하고 하단에 나무무늬판 보드용 스티로폼을 대고 랩으로 진공 포장하여 본 발명의 저염 자반연어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염도의 자반연어를 제공하면서 맛은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반연어는 일반 현대인들이 간단히 가열하는 것만으로 식용 가능하도록 하여 현대인이 쉽게 연어고기를 섭취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반 연어는 자반연어를 유통중 취급에도 불순물 등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2)
- 자반연어의 제조에 있어서,냉동된 연어를 자연 해동하여 세척하는 제 1단계, 이어서 상기 세척된 연어에 있는 가시 및 비늘을 제거하고, 껍질을 포함한 살코기를 발라내는 연어를 필렛화 하는 제 2단계, 지하 암반식용수 100중량부에 대해, 천일염 70중량%와 정제염 30중량%가 혼합된 절임염 1.5 ~ 2중량부를 첨가하고, 레몬 25중량%, 당근 25중량%, 양파 25중량%, 셀러리(celery) 15중량%, 파슬리 5중량%, 마죠람(Majoram) 2.5중량%, 로즈마리 2중량%, 월계수잎 0.5중량%를 갈아 혼합한 가미향신료 1 ~ 2중량부를 첨가하여 염장수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이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생성된 연어필렛을 상기 제 3단계에서 제조된 염장수에 침지하여 2 내지 3시간동안 절임가공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절임가공단계후 건져낸 절임 연어를 8 ~ 10℃의 온도에서 2 ~ 3시간동안 냉풍건조한후, 이어서 25 ~ 30℃의 실온에서 1 ~ 2시간동안 건조전 염장연어의 수분함량을 100%로 기준할 경우 8 ~ 10%의 수분을 제거하여 일부수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일부수분 건조된 절여진 연어를 길이 10 내지 15cm의 길이로 절단하고 하단에 나무무늬판 보드용 스티로폼을 대고 랩으로 진공 포장하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염 자반연어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72879A KR100421941B1 (ko) | 2001-11-22 | 2001-11-22 | 자반연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72879A KR100421941B1 (ko) | 2001-11-22 | 2001-11-22 | 자반연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10281A KR20010110281A (ko) | 2001-12-12 |
KR100421941B1 true KR100421941B1 (ko) | 2004-03-11 |
Family
ID=4592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2879A KR100421941B1 (ko) | 2001-11-22 | 2001-11-22 | 자반연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21941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3068B1 (ko) | 2007-11-14 | 2009-04-17 | 김석영 | 허브염을 이용한 생선 가공방법 |
KR100900256B1 (ko) | 2007-11-05 | 2009-05-29 | 하성배 | 녹차굴비의 제조방법 |
KR101150862B1 (ko) * | 2009-12-08 | 2012-06-13 | 한국식품연구원 | 유기산을 함유하는 조미소재를 이용한 어육가공품의 제조방법 |
KR20160099847A (ko) * | 2015-02-13 | 2016-08-23 | 김정현 | 오죽을 이용한 염장 필렛 고등어의 제조방법 |
KR101677595B1 (ko) | 2015-11-24 | 2016-11-18 | 박선화 | 비트를 이용한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그 연어 그라브락스 |
KR20180068786A (ko) | 2016-12-14 | 2018-06-22 |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 하천 연어를 이용한 연어 건조포의 제조방법 |
KR20190100555A (ko) | 2018-02-19 | 2019-08-29 | 이정훈 | 순무절편과 해조류를 이용한 그라브락스 연어의 숙성방법 |
KR20190100556A (ko) | 2018-02-19 | 2019-08-29 | 이정훈 | 미소된장 혼합물과 해조류를 이용한 연어의 숙성방법 |
KR102060038B1 (ko) | 2019-06-24 | 2019-12-27 | 최재영 | 연어 그라브락스 제조방법 |
KR102293285B1 (ko) * | 2021-02-03 | 2021-08-26 | 주식회사 씨웰 |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어 그라브락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4059A (ko) * | 2002-11-21 | 2004-05-27 | 정윤화 | 생약 성분과 키토산 성분을 이용한 수산물의 제조방법 |
KR100666473B1 (ko) * | 2005-07-22 | 2007-01-11 | 전근식 | 검은콩분말을 이용한 생선의 염장방법 |
KR100840211B1 (ko) * | 2007-03-21 | 2008-06-23 | 조윤민 | 굴비어포 제조 방법 |
KR100891900B1 (ko) * | 2008-02-14 | 2009-04-08 | 조윤민 | 굴비어포 제조 장치 |
KR102076046B1 (ko) * | 2019-08-26 | 2020-02-11 | 주식회사 울프코퍼레이션 | 연어 가공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9663A (ko) * | 1986-04-16 | 1987-11-30 | 오오쯔까 구니히꼬 | 구운 생선용 용기 |
-
2001
- 2001-11-22 KR KR10-2001-0072879A patent/KR1004219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9663A (ko) * | 1986-04-16 | 1987-11-30 | 오오쯔까 구니히꼬 | 구운 생선용 용기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256B1 (ko) | 2007-11-05 | 2009-05-29 | 하성배 | 녹차굴비의 제조방법 |
KR100893068B1 (ko) | 2007-11-14 | 2009-04-17 | 김석영 | 허브염을 이용한 생선 가공방법 |
KR101150862B1 (ko) * | 2009-12-08 | 2012-06-13 | 한국식품연구원 | 유기산을 함유하는 조미소재를 이용한 어육가공품의 제조방법 |
KR20160099847A (ko) * | 2015-02-13 | 2016-08-23 | 김정현 | 오죽을 이용한 염장 필렛 고등어의 제조방법 |
KR101711824B1 (ko) | 2015-02-13 | 2017-03-03 | 김정현 | 오죽을 이용한 염장 필렛 고등어의 제조방법 |
KR101677595B1 (ko) | 2015-11-24 | 2016-11-18 | 박선화 | 비트를 이용한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그 연어 그라브락스 |
KR20180068786A (ko) | 2016-12-14 | 2018-06-22 |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 하천 연어를 이용한 연어 건조포의 제조방법 |
KR20190100555A (ko) | 2018-02-19 | 2019-08-29 | 이정훈 | 순무절편과 해조류를 이용한 그라브락스 연어의 숙성방법 |
KR20190100556A (ko) | 2018-02-19 | 2019-08-29 | 이정훈 | 미소된장 혼합물과 해조류를 이용한 연어의 숙성방법 |
KR102060038B1 (ko) | 2019-06-24 | 2019-12-27 | 최재영 | 연어 그라브락스 제조방법 |
KR102293285B1 (ko) * | 2021-02-03 | 2021-08-26 | 주식회사 씨웰 |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어 그라브락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10281A (ko) | 2001-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1941B1 (ko) | 자반연어의 제조방법 | |
KR100914644B1 (ko) | 다슬기장 제조방법 | |
KR20150134742A (ko) | 천연 다시마, 클로렐라를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굴비제품) | |
KR20150072767A (ko) | 전복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 |
Allen | Forgotten Skills of Cooking: 700 Recipes Showing You Why the Time-honoured Ways Are the Best | |
KR100498826B1 (ko) | 천연조미료를 이용한 음식물의 제조방법 | |
KR100920313B1 (ko) | 아귀탕수육 제조방법 | |
Spray | Alaska's vanishing Arctic cuisine | |
KR101314767B1 (ko) | 들깨 아귀찜의 조리방법 | |
KR100685301B1 (ko) | 고추장굴비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 |
Luard | The Flavours of Andalucia | |
KR101301813B1 (ko) | 초절임 샐러드 제조방법 | |
KR100897493B1 (ko) | 복분자추출액이 가미된 함초 고추장 굴비장아찌 및 그의제조방법 | |
Culloty | Food from Northern Laos: The Boat Landing Cookbook | |
Grigson | Good Things | |
KR20030009558A (ko) | 천연 조미료를 이용한 음식물의 제조방법 | |
Van der Merwe | Strandveldfood: a west coast odyssey | |
KR101372902B1 (ko) | 보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2279035B1 (ko) | 한방 명태 양념구이의 제조방법 | |
KR102395726B1 (ko) | 보말 엑기스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355098B1 (ko) | 송이버섯액이 가미된 명태순대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355097B1 (ko) | 명태순대 및 그의 제조방법 | |
Land | Louisiana Cookery | |
Phillips | Wild food: A complete guide for foragers | |
KR20190021980A (ko) | 생선 비릿내 제거를 위한 간수액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