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717B1 - 지엽류 계수장치 및 그 방법과 거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계수장치 및 그 방법과 거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717B1
KR100421717B1 KR10-2001-0013536A KR20010013536A KR100421717B1 KR 100421717 B1 KR100421717 B1 KR 100421717B1 KR 20010013536 A KR20010013536 A KR 20010013536A KR 100421717 B1 KR100421717 B1 KR 10042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paper
passing
thickness
convey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445A (ko
Inventor
토다킨야
야마다마사키
하마사키토시야
후지이토루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7Apparatu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or by means responsive to positio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3Detecting folds or doub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5Detecting holes or po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 반송, 스큐(skew), 접힘, 찢어짐이 발생한 다양한 반송 패턴에 있어서도 통과 지엽류의 매수를 확정할 수 있는 지엽류 계수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지엽류를 계수하는 지엽류 계수장치에 있어서, 반송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 검출수단(31, 32, 33)을 구비하고, 상기 두께 검출수단(31, 32, 33)을 반송경로상에 개별로 복수 마련하여, 반송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소정 개소의 두께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수단(31, 32, 33)으로부터의 파형출력을 미리 기억수단에 기억된 파형 데이터와 비교하여, 반송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매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엽류 계수장치 및 그 방법과 거래 처리장치{Sheet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nd trans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예금지불기(ATM)나 자동판매기 등의 자동거래 장치에 내장되어 지엽류를 계수하는 지엽류 계수장치와 그 방법 및 거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지엽류로서의 지폐를 계수하는 지폐 계수장치는 입금측의 반송로 및 출금측의 반송로에 마련되지만, 그 일예로서 출금측의 종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 출금처리는 카트리지의 송출부로부터,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송출하지만, 이 경우, 분리 불량으로 복수매가 중첩된 상태로 송출된 지폐나, 스큐(사행)된 지폐 또는 파손된 지폐는 감별부, 계수부에서 감별 ·계수 불능으로 되어, 출금처리를 행하지 않고, 리젝트 회수상자로 회수 수납된다.
이 리젝트 지폐의 매수가 불명확한 관계로 인해, 장치 내의 현금의 잔고 관리가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1-120414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평5-46842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계수장치가 이미 발명되어 있다.
전자의 일본 특허공개 평11-12041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반송로의 도중에두께 검지기구를 마련하고, 이 두께 검지기구는, 구동 수단으로 회전하는 기준 롤러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검지 롤러를 압접하여 마련하고, 통과하는 지폐의 두께를 적절한 압압력으로 직접 측정하는 것으로서, 지폐의 두께를 나타내는 검지 롤러의 변위는, 검지 롤러의 지지축의 회전각으로서 각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출금 지폐 중, 중첩 반송되는 지폐의 매수를 확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술한 두께 검지기구에 의해 지폐의 반송 방향의 특정한 단일 라인의 두께가 측정될 뿐이므로, 지폐가 스큐된 경우, 또는 접히거나, 찢어지거나 한 경우에는 매수를 확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일본 특허공개 평5-4684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두께 검지기구와 이미지 리더 등의 판독 수단을 병용하고, 두께 검지기구에서 지폐의 두께를 검지함과 함께, 판독 수단으로 판독한 중첩 반송되는 지폐의 외형 형상으로부터 외형 이미지에 근거하여 지폐의 1매 마다의 도형을 추출하여, 매수를 확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도, 지폐의 접힘이나 찢어짐에 따른 외형 형상의 변화로부터 매수를 확정하는 것은 곤란하며, 또한 화상으로부터의 외형 추출 처리(외형 이미지에 의거하는 도형 추출처리)를 필요로 하는 관계상, 그 처리가 번잡하고도 불안정하며, 실용성이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출금처리 또는 지폐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입금처리나 다른 지엽류에 대해서도 공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첩 반송, 스큐, 접힘, 찢어짐이 발생한 다양한 반송 패턴에 있어서도 통과 지엽류의 매수를 확정할 수 있는 지엽류 계수장치 및 방법과 거래 처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외형이 아닌 지엽류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근거하여 매수를 확정하고, 매수 확정을 위한 연산 처리가 용이하며, 리얼타임에서의 측정이 가능하고, 고속 반송되는 지엽류의 계수에 유효하게 이루어지는 지엽류 계수장치 및 거래 처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계수장치는, 지엽류를 계수하는 지엽류 계수장치에 있어서, 반송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두께 검출수단을 반송경로상에 개별로 복수 마련하여, 반송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소정 개소의 두께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파형 출력을 미리 기억수단에 기억된 파형 데이터와 비교하여, 반송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매수를 확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반송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두께는, 그 소정 복수 개소에 독립하여 마련된 두께 검출수단에서 각각 별개로 검출되어, 복수의 두께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파형 출력이 파형 데이터와 비교 처리되기 때문에, 통과 지엽류에 중첩 반송, 스큐, 접힘, 찢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매수를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반송경로을 통과하는 지엽류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두께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복수의 파형과 상기 촬상수단에서 촬상한 촬상정보에 근거하여, 지엽류에 찢어짐, 접힘이 생겼을 때, 촬상정보를 가미하여, 반송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매수를 확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복수의 두께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파형 출력만으로는 통과 지엽류의 매수 확정이 곤란한 경우, 촬상수단에 의한 촬상정보를 가미하여 처리함으로써, 매수의 확정이 가능하고, 특히 지엽류의 길이방향으로 한쪽의 접힘이 발생한 경우나, 지엽류가 중앙 부근에서 찢어진 경우에 유효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두께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복수의 파형 출력으로 산출한 지엽류 통과 매수가 각 파형에서 다른 매수를 산출했을 때, 상기 촬상수단에서 촬상한 촬상정보로 얻은 지엽류 길이방향의 길이 정보를 가미하여, 통과하는 지엽류의 매수를 확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복수의 두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파형이 각각 다르며, 당해 파형 출력만으로는 통과 지엽류의 매수 확정이 곤란할 때, 촬상정보중 지엽류 길이방향의 길이 정보를 병용하여 통합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매수의 확정이 가능하고, 특히 지엽류의 길이방향으로 한쪽의 접힘이 발생한 경우에 유효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과 지엽류의 매수가 확정 불가일 때, 매수가 부정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출력수단이 매수 부정의 정보를 출력하기 때문에, 매수의 확정 불가능시에 있어서 적절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매수의 확정이 애매하여 판정 그 자체가 곤란하였으나, 상기의 구성에 의해 확정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매수 부정의 정보 출력에 의해 출금 지폐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회수 처리하여도 좋고, 또는 담당자에게 통지 처리하여도 좋으며, 입금화폐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반환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두께 검출수단은 통과 지엽류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와 그 양 단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필요한 최소한의 두께 검출수단으로 통과 지폐류에 중첩 반송, 스큐, 접힘, 찢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매수를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래 처리장치는, 상기 구성의 지엽류 계수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지엽류의 매수 관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계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소정 부분의 두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는 방법과,
상기 검출 출력을 소정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정 단계에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는 상기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와 상기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확정하는 방법과,
또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각 지엽류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정 단계에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는 상기 검출 추력, 및 상기 이미지 촬상 단계에서의 이미지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하는 지엽류 계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지불 처리부와, 수금 처리부와, 지엽류의 반송 경로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두께 검출 수단과, 상기 두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를 구비하는 거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류 계수장치를 구비한 거래 처리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도 2는 지엽류 계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지엽류 계수장치의 사시도.
도 4는 거래 처리장치의 제어회로 블록도.
도 5는 매수 확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도 6은 매수 확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출력전압 변화의 상태도.
도 7은 매수 확정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8은 지엽류 통과 패턴에 대응한 센서 파형 예의 차이를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거래 처리장치의 외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b , c : 지폐(지엽류) 11 : 반송경로
31, 32, 33 : 두께 검출센서 35 : CCD 이미지 센서(촬상수단)
45 : RAM(기억수단) S8, S14 : 출력수단
(실시예)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이하의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지엽류의 한 예로서의 지폐를 계수하는 지엽류 계수장치를 구비한 거래 처리장치를 도시하고, 도 1, 도 2, 도 3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출금구 또는 회수부를 연결하는 반송경로(11)를 마련하고, 이 반송경로(11)의 중도부에는 장치 본체(12)에 베어링(13)을 통해 기준 롤러축(14)을 회전 가능하게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기준 롤러축(14)에는 지폐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와 그 양 단부에 대응하도록 기준 롤러(15···)가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기준 롤러축(14)과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반송경로(11)상에는, 장치본체(12)에 베어링(16)을 통해 롤러축(17)을 회전 가능하게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롤러축(17)에는 기준 롤러(15)와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종동롤러(18···)가 장착되지만, 이들의 각 종동롤러(18)는 외주부의 금속 파이프(19)와, 이 파이프(19)와 롤러축(17)과의 사이에 봉입된 고무부재(20)로 이루어지며, 지폐의 두께에 대응하여 고무부재(20)가 변형됨으로써 금속 파이프(19)가 다른 금속 파이프(19)와는 독립하여 변위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장치 본체(12)의 상벽부(l2a)에는, 비스 등의 장착부재(21)를 이용하여 공간(22)을 위에 두고 고정하는 동시에 이 공간(22)위에는 아날로그 처리기판(23)을 부착하고, 이 기판(23) 윗쪽을 커버부재(24)가 덮고 있다.
또한 상술한 벽부(12a)에는 종동롤러(18)의 배설 위치와 대향시켜 개구부(12b ···)를 형성하고, 이들의 각 개구부(12b)에는 코어부(25a)와 코일부(25b)(도 1참조)로 이루어지는 자기 코일(25)을 배치하고, 이 자기코일(25)은 라인(26, 27)을 통해 상술한 아날로그 처리기판(2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동롤러(18)와 자기코일(25)의 양자에 의해, 지폐의 길이방향 일단부, 중앙부, 타단부에 각각 대응하는 반송경로 방향에 수직으로 두께 검출수단으로서의 두께 검출센서(31, 32, 33)(도 2, 도 3 참조)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각 두께 검출센서(31, 32, 33)는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의 두께를 각각 개별로 독립하여 검출하는 것으로, 종동롤러(18)의 변위를 자기코일(25)로 검출하고, 종동롤러(18)의 기계적 변위량을 당해 코일(25)에서 전압 변화로 변환(전기량으로 변환)하여, 전기적인 두께 검출신호를 얻는 것이다.
상술한 기준 롤러(15) 및 종동롤러(18)가 배설된 반송경로(11)의 전단(도 1의 좌측에서 상류측)에는, 하부에 광원(34)을, 상부에 지폐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식별장치)으로서의 CCD 이미지 센서(CCD 어레이)(35)를 대향 배치하고 있다.
상술한 CCD 이미지 센서(소위 이미지 센서)는, 통과 지폐를 스캔하여 촬상함으로써, 지폐의 화상을 촬상정보로서 기록하고, 패턴의 판독에 의해 지폐의 반송상태, 진위, 금액종류, 반송방향을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기준 롤러(15) 및 종동롤러(18)가 배설된 반송경로(11)의 다음 단에는 상하로 대향하는 반송롤러(36, 37)를 배설하고, 또한 당해 반송 롤러(36, 37)의 다음 단(도 1의 우측에서, 하류측)에도 상하로 대향하는 반송롤러(38, 39)를 배설하고 있다.
이 반송롤러(38, 39)의 다음 단에 있어서 상술한 반송경로(11)를 출금구에 이르는 출금라인(11a)과 회수부에 이르는 회수라인(11b)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양 라인(11a, 11b)간에는 반송 지폐를 어느 한 쪽의 라인(11a 또는 11b)으로 분배하는 분배수단으로서의 플래퍼(40)를 마련하고 있다.
도 4는 거래 처리장치의 제어회로를 도시하며, CPU(50)(제어수단)는 각각의 두께 검출센서(31, 32, 3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아날로그 처리기판(23)(도 4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에서 A/D 변환된 신호와, CCD 이미지 센서(35)로부터의 촬상정보신호에 근거하여, ROM(41)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반송장치(42), 플래퍼(40), 출금처리부(43), 회수 처리부(44)를 구동 제어하고, 또한 RAM(45)은스큐각의 소정 범위 데이터 등의 필요한 데이터나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이다. 또한, 거래 처리장치(A)의 외관 구성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술한 CPU(50)는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의 합계 3개소의 두께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지는 각 센서(31, 32, 33)의 파형 출력을 통합적으로 처리하고,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의 매수를 확정하는 매수 확정수단(도 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의 각 스텝(S3, S10, S13) 참조)과,
상술한 두께 검출센서(31, 32, 33)에서 검출한 복수의 센서 파형 출력으로 산출한 지폐 통과 매수가 각 센서 파형에서 다른 매수를 산출하였을 때, CCD 이미지 센서(35)에서 촬상한 촬상 정보를 가미하는 정보 가미수단(도 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의 각 스텝(S9, S11 참조)과,
통과 지폐의 매수가 확정 불가일 때, 매수가 부정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도 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의 각 스텝(S8, S14) 참조)을 겸한다.
다음에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두께 검출센서(31, 32, 33)에 의한 지폐 통과 매수의 확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센서 출력전압(Vm)(단 0매 레벨일 때는 Vo)은 종동롤러(18)와의 간격이 클때 높고, 간격이 작을 때 낮아지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3매 중첩된 상태의 지폐(a, b, c)(도 5 참조)가 당해 두께 검출센서를 통과한 경우, 하나의 두께 검출센서의 출력신호 파형(시간에 대한 전압 변화의 파형)은 도 6과 같다.
즉, 지폐(a, b, c)의 미도달시의 센서 출력전압(Vm)은 가장 크며,전압치(Vo)로 되고, 선두의 지폐(a)만이 도달한 시점(to)에서는 센서 출력전압(Vm)은 지폐 1매분에 대응하여 작아지고, 지폐(a, b)의 2매 중첩부가 도달한 시점에서는 센서 출력전압(Vm)은 지폐 2매분에 대응하여 또한 작아지며, 지폐(a, b, c)의 3매 중첩부가 도달한 시점에서는 센서 출력전압(Vm)은 지폐 3매분에 대응하여 더욱 작아진다.
또한 상술한 3매 중첩상태의 지폐(a, b, c)가 두께 검출센서를 통과하면, 시점(t1)에서 센서출력에 있어서 센서 출력전압(Vm)은 원래의 상태 Vo로 복귀된다.
따라서, 변화되는 센서전압(Vm)(출력치)의 0매 레벨의 전압치(Vo)와의 차의 적분치(도 6에 해칭을 실시하여 도시한 부분의 면적 참조)를, 미리 ROM(41) 또는 RAM(45)에 기억시킨 이미 알고 있는 수로서 지폐의 짧은 변방향의 길이(L)로 나누면, 두께 검출센서를 통과한 지폐의 매수를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독립한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각각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파형(도 6 참조)을 얻음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다양한 지폐 통과 패턴(P1 내지 P6)에 대하여, 각각 대응한 파형 열(列)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도 8에 도시한 내용을 데이터화 하여 테이블로서 RAM(45)(기억수단)에 기억시켜 두면, 통과 지폐 매수의 확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병기한 「0. 5」「1. 0」「1. 5」 「2. 0」의 수치는 지폐가 서로 중첩된 매수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1. 0」은 1매의 두께에 상당하며, 「2. 0」는 2매의 두께에 상당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P1)은 다수의 지폐가 반송 방향으로 단순히 이동되어 반송 중에 겹쳐지는 경우에 적용되고, 패턴(P3)은 다수의 지폐가 반송 중에 완전히 겹쳐지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두께 검출 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은 동일하게 된다. 패턴(P2)은 겹쳐진 지폐가 스큐된 지폐를 포함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 경우, 두께 검출 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은 동일하게 되지 않고, 두께 검출 센서의 배치부를 통과하는 지폐의 반송 거리는 길어지고 그에 따라 도 6의 음영부에 대응하는 면적은 넓어진다. 패턴(P4, P5)은 지폐가 길이 방향으로 접힌 경우에 적용된다. 이 경우, 두께 검출 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은 동일하게 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폐가 접힌 부분을 검출하는 두께 검출 센서의 출력 파형이 「1. 0」파형 이상이 되면, 두께 검출 센서(32)의 출력 파형은 패턴(P5)에서의 두 지폐의 두께에 대응하는 「2. 0」이다. 패턴(P6)은 지폐가 길이 방향으로 파손된 경우에 적용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양 끝 부분에서의 두께 검출 센서(31, 33) 각각의 출력 파형이 하나의 지폐의 두께에 대응하는 「1. 0」파형이 되고, 중앙에서의 두께 검출 센서(32)의 출력 파형은 「0. 0」파형과 같이 하나의 지폐보다 작은 파형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래 처리장치의 작용을, 도 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술한다.
출금 요구에 대응하여 출금처리부(43) 및 반송장치(42)를 구동하면, 카트리지로부터 출금 지폐가 반송된다.
반송경로(11)로 반송되는 지폐가 광원(34) 및 CCD 이미지 센서(35)의 배설부와 기준 롤러(15) 및 종동롤러(18)의 배설부를 통과한 시점에 있어서, 제1 스텝(S1)에서, CPU(50)는 각 두께 검출센서(31, 32, 33)로부터의 신호와, CCD 이미지 센서(35)로부터의 신호를 판독한다.
다음에 제2 스텝(S2)에서, CPU(50)는 각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이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8에 도시한 패턴(P1, P3)인 경우에는 동일 파형이 되고, 다른 패턴(P2, P4, P5, P6)인 경우에는 다른 파형이 된다.
상술한 패턴(P1)은 복수의 지폐가 단지 반송 방향으로 어긋나 중첩 반송된 경우이며, 또한 패턴(P3)은 복수의 지폐가 완전히 서로 중첩되어 반송된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각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이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다음의 제3 스텝(S3)으로 이행한다.
상술한 패턴(P2, P4, P5, P6)의 경우에는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이 다른 파형으로 되지만, 도 8에 도시한 패턴(P2)의 스큐시 또는 패턴(P6)의 길이 찢어짐의 경우에는 제4 스텝(S4)으로 이행하고, 도 8에 도시한 패턴(P4, P5)의 길이방향의 한쪽 접힘의 경우에는 별도의 제5 스텝(S5)으로 이행한다.
지폐의 패턴(P2, P4, P5 또는 P6) 판정은 두께 검출 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CCD 이미지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이미지정보와 두께 검출 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3 스텝(S3)에서, CPU(50)는 각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이 동일한 것에 대응하여, 매수를 확정하고, 매수 확정 후의 지폐를 출금라인(11a)을 통해 출금구로 반송한다.
한편, 상술한 제4 스텝(S4)에서, CPU(50)는 각 두께 검출센서(31, 32, 33)로부터의 출력 파형에 근거하여 도 8에 도시한 패턴(P2)의 스큐각이 소정 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상술한 제3 스텝(S3)으로 이행하고, 소정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별도의 제6 스텝(S6)으로 이행하고, 패턴(P2)이 아니라 패턴(P6)에 상당한다고 판정된 길이 찢어짐의 경우에는 또한 별도의 제7 스텝(S7)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패턴(P2)은 중첩된 지폐 중에 스큐(사행)되어 있는 지폐가 있는 상태에서, 이 경우에 있어서는 각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은 동일하게 되지 않고, 스큐된 지폐에 의해 두께 검출센서 배설부를 지폐가 통과하는 통과 거리가 신장되어, 이 만큼 도 6의 해칭부에 상당하는 면적이 넓어지지만, 지폐 반송장치에 있어서 생길 수 있는 레벨에 스큐각, 즉,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큰 차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제3 스텝(S3)으로 이행하여 매수 확정을 실행한다.
한편, 스큐각이 소정 범위 이상으로 매수 확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다음 제6 스텝(S6)으로 이행하고, 이 제6 스텝(S6)에서, CPU(50)는 확정 불가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 제8 스텝(S8)에서, CPU(50)는 매수 부정 출력을 행한다. 즉, 플래퍼(40)를 전환하여, 출금 지폐를 회수라인(11b)을 통하여 회수부로 회수 처리한다. 이 매수 부정 출력에 의해, 그 취지를 담당자에게 통지(보고)하고, 담당자에 의한 계수 후 회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4 스텝(S4)에서, 스큐가 아니라 길이 찢어짐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다음 제7 스텝(S7)으로 이행한다.
이 제7 스텝(57)에서, CPU(50)는 각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에 근거하여 길이 찢어짐의 상태가 도 8에 도시한 패턴(P6)의 중앙 부근의 찢어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패턴(P6)의 중앙 부근 찢어짐의 경우에는 양 단부의 두께 검출센서(31, 33)의 출력 파형은 지폐 1매의 두께에 상당하는 「1. 0」파형이 되며, 중앙부의 두께 검출센서(32)의 출력 파형은 1매 미만의 파형 예를들면, 「0. 5」파형이 되기 때문에, 이 패턴(P6)의 중앙 부근의 찢어짐이라고 판정된 YES 판정시에는 다음 제9 스텝(S9)으로 이행하고, N0 판정시(찢어짐 정도가 커서 매수의 확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상술한 제6 스텝(S6)으로 이행한다.
상술한 제9 스텝(S9)에서, CPU(50)는 미리 판독한 CCD 이미지 센서(35)의 정보를 가미하여, 이미지 센서(35)로 부터의 촬상정보에 의해 중앙 부근의 찢어짐인 것을 화상 데이터로부터 확인한다.
다음에 제10 스텝(S10)에서, CPU(50)는 지폐의 매수 확정 처리(이 경우는 1매라고 확정)를 실행하고, 매수 확정의 지폐를 출금라인(11a)을 통하여 출금구로 반송한다.
한편, 도 8의 패턴(P4, P5)에 상당하는 한쪽 접힐 때에는 제5 스텝(S5)으로이행하지만, 이 제5 스텝(S5)에서, CPU(50)는 한쪽 접힘이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8에 패턴(P4)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접힘의 정도가 작고 1단부의 두께 검출센서가 출력 파형이 「1. 0」 파형보다 크고, 다른 2개의 두께 검출센서의 출력 파형이 「1, 0」 파형인 경우에는 N0 판정되어, 다음의 제11 스텝(S11)으로 이행하고, 도 8에 패턴(P5)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접힘의 정도가 크고 모든 두께 검출센서(31, 32, 33)의 출력 파형이 각각 다른 경우에는 YES 판정되어, 별도의 제12 스텝(S12)으로 이행한다.
상술한 제11 스텝(S11)에서, CPU(50)는 한쪽 접힘 정도의 작음(小)에 대응하여, CCD 이미지 센서(35)에서 미리 얻은 지폐 길이방향의 길이 정보를 가미한다. 이 길이방향의 길이가 규정치보다도 약간 짧은 정도의 경우에는 매수 확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의 제13 스텝(S13)으로 이행한다.
상술한 제13 스텝(S13)에서, CPU(50)는 지폐의 매수 확정 처리를 실행하고, 매수 확정후의 지폐를 출금라인(11a)을 통하여 출금구로 반송한다.
한편, 상술한 제12 스텝(S12)에서, CPU(50)는 한쪽 접힘 정도의 큼(大)에 대응하여, 확정 불가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의 제14 스텝(S14)에서, CPU(50)는 매수 부정 출력을 행한다. 즉, 플래퍼(40)를 전환하여, 출금 지폐를 회수라인(11b)을 통하여 회수부로 회수 처리한다. 또한, 이 매수 부정 출력에 의해, 그 취지를 담당자에게 통지하고, 담당자에 의한 계수 후에 회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상기 실시예의 지폐 계수장치는,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a, b, c)(도 5 참조)의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 검출수단으로서의 두께 검출센서(31,32, 33)를 구비하고, 상기 두께 검출센서(31, 32, 33)를 반송경로(11)상에 개별로 독립하여 복수 마련하고,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a, b, c)의 소정 개소의 두께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의 센서 파형 출력을 기억수단(RAM(45) 참조)에 기억된 파형 데이터와 비교하여,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a, b, c)의 매수를 확정하는 것이다.
이 결과,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의 두께는, 그 소정 복수 개소에 독립하여 마련된 두께 검출센서(3l, 32, 33)에서 각각 별개로 검출되어, 복수의 두께 검출센서(31, 32, 33)로부터 얻어지는 센서 파형 출력이 파형 데이터와 비교 처리되기 때문에, 통과 지폐에 중첩 반송, 스큐, 접힘, 찢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매수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를 촬상하는 촬상수단(CCD 이미지 센서(35) 참조)을 마련하고, 상기 두께 검출센서(31, 32, 33)에서 검출한 복수의 센서 파형과 상기 촬상수단에서 촬상한 촬상정보에 근거하여, 지폐에 찢어짐, 접힘이 발생하였을 때, CCD 이미지 센서(35)의 촬상정보를 가미하여, 반송경로(11)를 통과하는 지폐의 매수를 확정하는 것이므로, 복수의 두께 검출센서(31, 32, 33)로부터 얻어지는 센서 파형 출력만으로는 통과 지폐의 매수 확정이 곤란한 경우, 촬상수단(CCD 이미지 센서(35) 참조)에 의한 촬상정보를 병용하여 통합적으로 처리 함으로써, 매수의 확정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지폐의 길이방향으로 한쪽 접힘이 발생한 경우(패턴(P4) 참조)나, 지폐가 중앙부근에서 찢어진 경우(패턴(P6) 참조)에 유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두께 검출센서(31, 32, 33)에서 검출한 복수의 센서 파형 출력으로 산출된 지폐 통과 매수가 각 센서 파형에서 다른 매수를 산출하였을 때, 상기 촬상수단(CCD 이미지 센서(35) 참조)에서 촬상한 촬상정보에서 얻은 지폐 길이방향의 길이 정보를 가미하여, 통과하는 지폐의 매수를 확정하는 것이므로, 복수의 두께 검출센서(31, 32, 33)로부터의 센서 파형이 각각 다르며, 당해 센서 파형 출력만으로는 통과 지폐의 매수 확정이 곤란할 때, 촬상정보중 지폐 길이방향의 길이 정보를 병용하여 통합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매수의 확정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지폐의 길이방향으로 한쪽 접힘이 발생한 경우(패턴(P4) 참조)에 유효하게 된다.
또한, 통과 지폐의 매수가 확정 불가일 때(각 스텝(S6, S12) 참조), 매수가 부정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서스텝(S8, S14) 참조)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출력수단에서 매수 부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매수의 확정 불가능시에 있어서의 적절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매수 부정의 정보출력에 의해 출금 지폐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회수 처리하여도 좋고, 또는 담당자에게 통지 처리하여도 좋으며, 입금 지폐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반환 처리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두께 검출센서(31, 32, 33)는 통과 지폐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와 그 양 단부를 검출하는 것이므로, 필요한 최소한의 두께 검출센서(31, 32, 33)에서 통과 지폐류에 중첩 반송, 스큐, 접힘, 찢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매수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거래 처리장치는, 상기 구성의 지폐 계수장치를 구비한것이므로, 지폐의 매수관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예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지엽류 계수장치는 실시예의 지폐 계수장치에 대응하여 이하와 같이, 지엽류는, 지폐(a, b, c)에 대응하며, 두께 검출수단은 두께 검출센서(31, 32, 33)에 대응하고, 기억수단은 RAM(45)에 대응하고, 촬상수단은 CCD 이미지 센서(35)에 대응하며, 출력수단은, CPU(50) 제어에 의한 각 스텝(S8, S14)에 대응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출금 지폐의 매수를 계수하기 위하여 구성하였지만, 이것은 입금 지폐의 매수를 계수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지폐 이외의 지엽류, 예를 들면, 복사용지 등의 종이나 카드류 기타의 계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 지엽류에 중첩 반송, 스큐, 접힘, 찢어짐이 발생하여도 통과 지엽류의 매수를 확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지엽류를 해당 지엽류의 짧은 방향으로 반송하여 계수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반송 경로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두께 검출 수단과,
    상기 두께 검출 수단을 반송경로상에 해당 지엽류의 길이 방향으로 개별로 복수 마련하고,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검출 수단은 지엽류의 두께를 전압값으로 검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두께 검출 수단의 전압값을 Vm, 지엽류가 0일 때의 전압값을 VO, 지엽류의 단변의 길이를 L, 그리고 지엽류의 통과 시간을 t0-t1이라 할 때, 하기의 수학식, 즉
    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수(m)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두께 검출 수단은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소정 부분의 두께를 각각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두께 검출 수단은 지엽류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검출 수단은 각 통과 지엽류의 중앙 및 지엽류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 끝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검출 출력이 동일하지 않을 때 지엽류가 파손되었는지, 스큐 또는 접혔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엽류 계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검출 출력을 상기 소정의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와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각 지엽류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 촬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출력, 및 상기 이미지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이미지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두께 검출 수단은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소정 부분의 두께를 각각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두께 검출 수단은 지엽류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검출 수단은 각 통과 지엽류의 중앙 및 지엽류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 끝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미지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지엽류가 파손되었는지 또는 접혔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상 정보는 지엽류 길이 방향의 길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통과 지엽류의 수가 확정될 수 없는 경우, 지엽류의 수가 정의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통과 지엽류의 수가 확정될 수 없는 경우, 지엽류의 수가 정의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지엽류가 스큐되었고 지엽류의 스큐각(skew angle)이 소정의 값보다 더 크다고 상기 제어 수단이 판정한 경우, 상기 출력 수단은 지엽류의 수가 정의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지엽류가 한 번 접혔고 상기 한 번 접힘이 소정의 값보다 더 크다고 상기 제어 수단이 판정한 경우, 상기 출력 수단은 지엽류의 수가 정의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
  18.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계수하는 지엽류 계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소정 부분의 두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는 단계와,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단계와
    검출 출력을 상기 소정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와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검출 출력을 소정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는 상기 비교단계에서의 비교결과와 상기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확정되는 단계와,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각 지엽류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정 단계에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는 상기 검출 출력, 및 상기 이미지 촬상 단계에서의 이미지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각 지엽류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정 단계에서,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는 상기 검출 출력, 및 상기 이미지 촬상 단계에서의 이미지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계수 방법.
  21. 지불 처리부와,
    수금 처리부와,
    지엽류의 반송 경로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두께 검출 수단과,
    상기 두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검출 출력을 상기 소정의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와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반송 경로를 통과하는 지엽류의 수를 확정하는 지엽류 계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처리장치.
KR10-2001-0013536A 2000-03-16 2001-03-16 지엽류 계수장치 및 그 방법과 거래 처리장치 KR100421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4059A JP3753916B2 (ja) 2000-03-16 2000-03-16 紙葉類計数装置
JP??2000-074059? 2000-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445A KR20010090445A (ko) 2001-10-18
KR100421717B1 true KR100421717B1 (ko) 2004-03-10

Family

ID=1859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536A KR100421717B1 (ko) 2000-03-16 2001-03-16 지엽류 계수장치 및 그 방법과 거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82986B2 (ko)
JP (1) JP3753916B2 (ko)
KR (1) KR100421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187A (ko) * 2001-09-19 2003-03-2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계수장치 및 거래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3993B2 (ja) * 2002-01-28 2005-09-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確定装置
KR100489550B1 (ko) * 2002-08-19 2005-05-16 (주)신우아이티 일련번호 추출기능을 가진 유가증권 계수 장치 및 그방법
DE102004024620A1 (de) * 2004-05-18 2005-12-0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rüfung von Banknoten
JP4444738B2 (ja) * 2004-06-18 2010-03-3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JP4698993B2 (ja) * 2004-09-15 2011-06-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厚み検知装置
JP4585882B2 (ja) * 2005-02-18 2010-11-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厚み検出装置
EP1720135A1 (de) * 2005-05-06 2006-11-08 BEB Industrie-Elektronik AG Einrichtung zum Feststellen von Dicken und Dickenvariationen
KR100854520B1 (ko) * 2005-06-27 2008-08-26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출금 장치
US7929749B1 (en) * 2006-09-25 2011-04-19 Cummins-Allison Corp.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statistical data of currency bills in a currency processing device
JP4217736B2 (ja) * 2006-11-09 2009-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前記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てなる自動原稿送り装置、および、前記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てなる画像形成装置
JP2008230715A (ja) * 2007-03-16 2008-10-02 Komori Corp シート状物異常検出装置およびその検出方法
JP4527752B2 (ja) * 2007-06-22 2010-08-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識別装置及びそのセンサ部
WO2009028073A1 (ja) * 2007-08-30 2009-03-05 Glory Ltd. 紙幣処理装置
JP2010024010A (ja) * 2008-07-23 2010-02-04 Seiko Epson Corp シート状媒体の斜め送り検出方法および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
JP5208623B2 (ja) * 2008-08-28 2013-06-12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方法及び紙葉類処理プログラム
DE102009004688A1 (de) 2009-01-12 2010-07-22 Beb Industrie-Elektronik Ag Vorrichtung zum Feststellen einer Dicke oder Dickenvariation eines flachen Gegenstandes
DE102009005171A1 (de) 2009-01-15 2010-07-22 Beb Industrie-Elektronik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achweis von reflektiertem und/oder emittiertem Licht eines Gegenstandes
JP5337524B2 (ja) * 2009-02-20 2013-11-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2010257292A (ja) * 2009-04-27 2010-11-1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媒体厚み検知装置
WO2010126995A2 (en) * 2009-04-29 2010-11-04 Muller Martini Mailroom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heet quantity of paper product
JP5593247B2 (ja) * 2011-02-01 2014-09-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媒体厚み検出装置
JP5395859B2 (ja) * 2011-09-01 2014-01-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5375912B2 (ja) * 2011-09-22 2013-12-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鑑別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EP2818768B1 (en) * 2013-06-28 2019-01-09 Honda Motor Co., Ltd. Shift position detecting device
CN103568352B (zh) * 2013-10-18 2015-11-04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玻璃压尘装置
CN104268979B (zh) * 2014-10-30 2017-01-18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钞票重钞的检测方法及装置
JP6369308B2 (ja) * 2014-12-02 2018-08-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
JP6354683B2 (ja) * 2015-07-03 2018-07-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N112629452B (zh) * 2020-11-17 2022-11-22 安徽力幕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铝板带箔的专用测试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511U (ko) * 1991-01-12 199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현금자동인출기의 불량지폐 검출장치
JPH0628541A (ja) * 1992-04-27 1994-02-04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の厚み検知方法
KR940008390U (ko) * 1992-09-22 1994-04-18 주식회사 금성사 지폐 중복이송 검지장치
KR940009886A (ko) * 1992-10-29 1994-05-24 이헌조 지폐 방출기의 지폐 다중 이송 검지장치 및 방법
JPH10149474A (ja) * 1996-09-20 1998-06-02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KR19990079749A (ko) * 1998-04-09 1999-11-05 구자홍 지폐자동입출금기의 지폐두께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3757A (en) * 1979-08-24 1981-04-04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irculating money reception/payment device
JPS5829085A (ja) * 1981-07-24 1983-02-21 富士通株式会社 紙幣鑑別方式
US5174562A (en) * 1987-02-25 1992-12-2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JP3196080B2 (ja) 1991-08-20 2001-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取扱装置
JPH05166029A (ja) * 1991-12-18 1993-07-02 Koufu Nippon Denki Kk 紙幣鑑別ユニット
GB9217568D0 (en) * 1992-08-19 1992-09-30 The Technology Partnership Ltd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sidual content of emptied envelopes
NL9202297A (nl) * 1992-12-31 1994-07-18 Hadewe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controleren of documenten van een geopende enveloppe zijn gescheiden.
JPH11120414A (ja) 1997-10-09 1999-04-30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511U (ko) * 1991-01-12 199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현금자동인출기의 불량지폐 검출장치
JPH0628541A (ja) * 1992-04-27 1994-02-04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の厚み検知方法
KR940008390U (ko) * 1992-09-22 1994-04-18 주식회사 금성사 지폐 중복이송 검지장치
KR940009886A (ko) * 1992-10-29 1994-05-24 이헌조 지폐 방출기의 지폐 다중 이송 검지장치 및 방법
JPH10149474A (ja) * 1996-09-20 1998-06-02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KR19990079749A (ko) * 1998-04-09 1999-11-05 구자홍 지폐자동입출금기의 지폐두께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187A (ko) * 2001-09-19 2003-03-2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계수장치 및 거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445A (ko) 2001-10-18
JP3753916B2 (ja) 2006-03-08
US20010035329A1 (en) 2001-11-01
US6782986B2 (en) 2004-08-31
JP2001266105A (ja)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717B1 (ko) 지엽류 계수장치 및 그 방법과 거래 처리장치
JP3693993B2 (ja) 紙葉類確定装置
US7131539B2 (en) Paper sheets corner fold detection method and paper sheets corner fold detection program
KR100436301B1 (ko) 지엽류 처리장치와 지엽류 정밀 조사 방법 및 거래 처리장치
TWI403983B (zh) Pape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6350818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284843B1 (ko) 현금자동거래장치
JP4086489B2 (ja) 紙葉類計数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CN101739747A (zh) 一种纸币、票券的号码获取方法和装置及识别方法和装置
EP2866209B1 (en) Circulation-type banknote/check deposit/withdrawal apparatus using lateral deposit/withdrawal scheme and method of handling banknotes and checks applied thereto
KR101231691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4031962B2 (ja) 紙葉類厚さ検知装置
JP4431328B2 (ja) 紙葉類判別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3690080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20070111961A (ko) 지폐처리장치
CN104919496B (zh) 纸页类处理装置及纸页类处理方法
CN205845158U (zh) 一种纸币或者票券的鉴伪装置
KR100641250B1 (ko) 지엽류 모서리 접힘 검출 방법 및 지엽류 모서리 접힘 검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07346575A (zh) 一种纸币或者票券的鉴伪方法
US10803691B2 (en) Device for detecting a magnetic security feature of a value document and method for measured value compensation for the detection of a magnetic security feature of a value document
JPH0682407B2 (ja) 現金自動預払装置
WO2021117197A1 (ja) 紙葉類識別装置、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JP2001067512A (ja) 紙葉類計数装置
JP2019159857A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方法、および紙葉類処理プログラム
JPH01403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