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052B1 - 물품격납설비 - Google Patents

물품격납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052B1
KR100417052B1 KR1019950037402A KR19950037402A KR100417052B1 KR 100417052 B1 KR100417052 B1 KR 100417052B1 KR 1019950037402 A KR1019950037402 A KR 1019950037402A KR 19950037402 A KR19950037402 A KR 19950037402A KR 100417052 B1 KR100417052 B1 KR 10041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torage shelf
lifting body
displacement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다슈이치
마에노겐지
오기노나오토
Original Assignee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052B1/ko

Links

Abstract

승강구동장치를 승강체의 변위동작 전과 변위동작 후에 끈모양 부재의 장력을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끈모양 부재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복수의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체의 수평 밸런스를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대(6)에 일단을 연결한 와이어 로프(7)의 타단을 구동 풀리(9)를 개재하여 평형추(10)에 연결하고, 구동풀리를 모터(M)에 의해 구동시켜 승강대를 승강시킨다. 승강대에 승강대를 격납선반(3)측방에 정지시킨 상태로 격납선반 사이에서 입출고 차량(C)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슬라이드 포크(32)를 설치한다. 격납선반의 측방에 정지한 승강체를 슬라이드 포크의 상하변위로 격납선반에 대해 상하 2 위치에서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장치(57)를 설치한다.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위치결정 장치의 상하방향으로 변위동작하기 전과 변위동작 후에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그 변위동작과 연출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한다.

Description

물품격납설비{CONTAINING FACILITY FOR MATERIAL}
(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
본 발명은 승강체와 격납선반 사이에서 물품을 인도하도록 한 물품격납설비에 관한 것이다.
( 종래의 기술 )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설비 등의 물품격납설비에서는 입고 차량 등의 반입 물품을 격납선반에 격납하거나, 또는 출고차량 등의 반출 물품을 격납선반에서 반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승강대 등 승강체와 이 승강체의 승강로에 인접하여 설치된 격납선반 사이에서 입출고(入出庫)하는 차량 등의 물품을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체에는 와이어 로프 등의 끈모양 부재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끈모양 부재의 타단이 구동강차(驅動綱車)를 개재하여 평형추(balance weight)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끈모양 부재의 감는 조작 또는 되감는 조작으로 승강체를 승강로에 따라 승강시키도록 구동강차를 승강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승강체를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승강체에 물품을 적재하고 있는지 아닌지, 또는 승강체상에 적재한 물품의 중량 차이나 중량 밸런스 등에 의해, 이 승강체에서 끈모양 부재에 미치는 하중이 다르기 때문에, 끈모양 부재의 신장량이 변화하여 승강체의 기울어짐이나 물품 인도가 부침(浮沈: sink-and-float) 등에 의하여 승강대를 격납선반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물품격납설비로서,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6-12913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격납선반의 측방에 승강체를 정지한 상태에서 이 승강체를 상하방향으로 변위(變位)시키는 변위수단을 설치하고, 격납선반에 대해 승강체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도록 한 것은 알려져 있다. 이 변위수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체 및 격납선반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기준부재와,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한 수평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그 기준부재와 슬라이딩하여 승강체를 정확한 위치결정 위치까지 들어올려 이 승강체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레벨차 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물품격납설비에서는 승강체의 위치결정이 승강구동장치에 의한 격납선반 측방의 승강체 정지상태, 즉 구동강차의 구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승강체가 위치결정할 때 상방에 들어올려지면, 끈모양 부재의 구동강차보다 일단측(승강체측)에 장력 감소나 느슨함이 생기고, 끈모양 부재는 그 구동강차보다 타단측(평형추측)의 큰 장력차에 의해 구동강차 위를 마찰력에 저항하여 미끄러지게 되고, 이 끈모양 부재가 현저히 손상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승강체가 복수의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것으로는 그 각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미치는 장력이 물품 중량 밸런스에 의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 끈모양 부재의 구동강차 위의 미끄러지는 양이 불균일해지고, 각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서 불균형으로 인하여 느슨해지기 쉽고, 이 상태에서 승강체의 위치결정을 해제하면, 승강체의 수평 밸런스에 차질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승강구동장치를 승강체의 변위동작의 이전과 변위동작의 이후에 끈모양 부재의 장력을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끈모양 부재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복수의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체의 수평 밸런스를 원활하게 유지하는 것에 있다.
(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제 1 발명이 구한 해결수단은 물품 적재 승강체에 일단을 연결한 끈모양 부재의 타단을 구동강차를 개재하여 평형추에 연결하고, 상기 끈모양 부재의 감는 조작 또는 되감는 조작으로 승강체를 승강로에 따라 승강시키도록 상기 구동강차를 구동하는 승강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승강체의 승강로에 인접하는 격납선반이 설치되고, 승강체를 격납선반의 측방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승강체와 격납선반 사이에서 물품을 인도하도록 한 물품격납설비로서, 상기 격납선반의 측방에 정지한 승강체를 격납선반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도록, 이 승강체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과, 상기 끈모양 부재의 장력을 상기 변위수단의 변위동작전과 변위동작후에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그 변위수단의 변위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승강체와 격납선반 사이에서 물품을 인도하는 경우, 승강체는 구동강차의 구동정지에 의해 격납선반의 측방에 정지했을 때, 승강체상의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지 아닌지 및 승강체상의 물품 중량차나 중량 밸런스등에 의해 승 강체에서 끈모양 부재에 미치는 하중이 다르고 끈모양 부재의 신장량이 변화하고 있어도, 승강체의 변위수단에 의한 상하방향의 변위에 의해 격납선반에 대한 위치 결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승강체의 상하방향의 변위동작에 의해 끈모양 부재의 구동강차보다도 승강체측(일단측)에 생기는 장력변화는 그 변위동작과 연동하여 구동강차가 추종하여 회전하도록 승강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소되고, 끈모양 부재의 구동강차보다 평형추측(타단측)과 승강체측 사이의 큰 장력차에 의한 구동강차상의 끈모양 부재의 슬립이 확실히 방지되고, 끈모양 부재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특히, 승강체가 복수의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것에 있어서도, 그 각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변화가 마찬가지로해소되고, 각 끈모양의 구동강차상에서의 슬립이 확실히 방지되며, 복수의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체의 위치결정해제 후의 수평 밸런스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발명이 강구한 해결수단은 제 1 발명의 구성을 특정하고, 승강체에 승강체 측방의 격납선반 사이에서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신축 자유로운 슬라이드 포크(slide fork)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 포크를 격납선반보다도 높은 상방위치와 이 격납선반로다도 낮은 하방위치에 상기 변위수단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발명에서는 물품을 승강체에서 격납선반에 인도할 때는, 격납선반의 측방에 승강체를 정지시키고 나서, 슬라이드 포크의 물품적재레벨을 격납선반의 물품적재레벨보다도 높은 위치로 변위동작시켜 승강체를 상방위치에 위치를 결정한 후, 슬라이드 포크를 신장시켜 격납선반 위에 물품을 이송하고, 계속해서 슬라이드 포크의 물품적재레벨을 격납선반의 물품적재레벨보다도 낮은 위치로 변위동작시켜 승강체를 하방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것으로 물품이 격납선반에 인도한다. 한편, 물품을 격납선반에서 승강체에 인도할 때는 슬라이드 포크의 물품 적재레벨을 격납선반의 물품적재레벨보다 낮은 위치로 변위동작시켜 승강체를 하방위치로 위치결정한 후, 슬라이드 포크를 신장시키고 나서 슬라이드 포크의 물품적재레벨을 격납선반의 물품적재레벨보다 높은 위치로 변위동작시켜 승강체를 상방위치로 위치결정하는 것으로 격납선반상의 물품을 슬라이드 포크로 들어 올리고, 그리고 나서 이 슬라이드 포크를 수축시켜 물품을 승강체로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또, 승강체는 구동강차의 구동정지에 의해 격납선반의 측방에 정지했을 때, 승강체상의 물품적재 유무 및 승강체상의 물품 중량차등에 의해 승강체에서 끈모양 부재에 미치는 하중이 달라 끈모양 부재의 신장량이 변화해도, 변위수단에 의해 격납선반에 대한 승강체의 상하 2위치 간에서 위치결정이 정확히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드 포크식이지만 그래서 물품을 인도할 때 필요한 격납선반의 측방에서의 슬라이드 포크의 상하 2위치에서 위치결정시의 슬라이드 포크의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작에 의한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변화가 그 변위동작과 연동하여 구동강차를 추종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효과적으로 해소된다.
본원의 제 3 발명이 강구한 해결수단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구성요소에 더하여, 구동강차를 그 구동정지시에 정지 제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제어수단을 변위수단에 의해 승강체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킬 때, 구동강차의 정지 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 및 승강체의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끈모양 부재를 감아올리는 방향 또는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강차를 구동시키는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의 제어를 승강구동장치에 대해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3 발명에서는 승강체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킬 때 구동강차의 정지 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변위 수단에 의해 승강체의 상하변위시에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 감소나 느슨함 등이 그 승강체측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또는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증가 등이 그 승강체측을 되감는 방향으로 각각 구동강차가 추종하여 회전함으로써 해소된다. 또, 변위수단에 의해 승강체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킬 때구동강차의 정지 제동력을 해제하는 동시에 승강체의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끈모양 부재를 감아 올리거나 또는 되감도록 구동강차를 적극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감소나 느슨함 등 또는 장력증가 등이 그 승강체측을 감아 올리는 방향 또는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강차를 추종회전시키면서 그 상하방향의 변위하는 분량만큼 구동강차를 구동시켜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해소된다. 특히, 승강체가 복수의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것에서도 그 각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 감소나 느슨함 등 및 장력증가 등이 확실히 해소되고, 승강체의 위치결정 해제후의 수평 밸런스가 원활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원의 제 4 발명이 강구한 해결수단은 제 2 발명 또는 제 3 발명의 구성요건에 더하여, 변위수단에 승강체측 및 격납선반측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걸어맞춤 부재와,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걸어맞춤 안내하는 안내홈을 갖는 안내부재와, 상기 승강체측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 및 안내부재중 한쪽을 그 진출시에 걸어맞춤 부재를 안내부재의 안내홈에 걸어맞춤 안내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진퇴구동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걸어맞춤부재와 안내부재의 안내홈을 그 걸어맞춤 안내시에 진퇴구동수단의 진출량에 따라 슬라이드 포크의 물품적재레벨을 승강체의 격납선반에 대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2 위치로 위치결정가능하게 변위시키도록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4 발명에서는 걸어맞춤 부재와 안내부재의 안내홈과 간단하고 확실한 구성에 의해 변위수단에 의한 승강체의 강제적인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상하 2 위치에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고, 이 변위수단에 의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상하 2개의 위치 사이의 레벨차가 걸어맞춤 부재와 안내부재의 안내홈과 걸어맞춤 안내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변위동작과 연동하여 적어도 구동강차를 적극적으로 회전하는 제어를 행할 때는 구동강차의 회전량은 별도의 장력센서등에 기초하여 제어하지 않아도, 상기 상방위치와 하방위치 사이의 레벨차만에 기초하여 제어하면 되고, 낮은 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위치결정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승강체는 변위수단에 의해 격납선반에 대한 상하 2 위치의 위치결정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끈모양 부재의 신축량과 무관계하게 상하 2 위치 사이에서 레벨차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격납 선반의 상하배설 피치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물품격납설비의 상하방향으로 스페이스 절약을 달성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 부재 및 안내부재 중 한쪽의 진퇴량에 따라 슬라이드 포크의 물품적재레벨이 상하 2위치에서 변위시키고 있으므로, 이 한쪽을 진퇴동작(슬라이드 포크의 물품적재레벨의 변위동작)시키는 진퇴구동수단의 추력은 이 진퇴동작에 연동하는 구동강차의 정지제어 해제등의 제어에 의해, 부하중량에서 평형추의 중량을 뺀 부하중량차이의 추력으로 충분히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진퇴구동수단의 출력이 적어져 콤팩트한 것이 된다.
( 실 시 예 )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물품격납설비의 하부 드라이브인 방식의 엘리베이터식 입체주차설비(A)를 나타낸다. 제 15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면부호 1은 건물, 2는 이 건물(1) 내부의 하단부분 및 상단부분을 제외한 스페이스의 좌우양측에 계단모양으로 설치된 복수단의 격납 스페이스이고, 이 각 격납 스페이스(2)에는 물품의 차량(C)을 주차 가능하게 하는 격납선반(3: container shelf)이 설치되고, 이 격납선반(3)에는 물품의 차량(C)을 탑재하는 파렛트(P)가 적재되어 있다.
상기 좌우양측의 격납스페이스(2, 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승강로(4)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 승강로(4)에는 엘리베이터(5)를 구성하는 승강체인 승강대(6)가 그 네군데의 구석을 와이어 로프(7: 끈모양 부재)의 일단에 연결시켜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 배치하고, 입출고할 때, 상기 승강대(6)를 목적하는 격납선반(3)의 측방에 상승시켜 이 격납선반(3) 사이에서 차량(C)을 파렛트(P)와 함께 인도(이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제 15 도에서 도면부호 8은 종동(從動) 풀리, 9는 구동강차로서의 구동풀리(drive pulley)이고, 이 구동풀리(9)는 승강구동장치의 정회전, 역회전 구동가능한 모터(M)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이 모터(M)의 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 종동풀리(8), 구동풀리(9) 및 모터(M)는 건물(1)의 내부 상단부분의 스페이스에 배치된 기계실(11)에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각 와이어 로프(7)의 타단에는 평형추(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건물(1)의 하단에는 차량(C)이 입출고하는 입출구(12)가 형성되고, 이 입출구(12)의 안부분에는 상기 승강로(4)에 이어지는 차량 입출고 스페이스(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4)의 하단의 바닥면에는 피트(14)가 안으로 오목하게파져서 요설되고 이 피트(14) 안에는 베이스 본체(15)에 턴테이블(16)이 설치된 차량선회장치(17)가 설치되고, 이 차량선회장치(17)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16)상의 파렛트(P)에 드라이브인(drive-in)한 차량(C)의 방향을 입출고 스페이스(13)를 이용하여 방향전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5) 및 차량선회장치(17) 등에 의해, 차량(C)을 입출고하는 엘리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B)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 7 도 내지 제 11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건물(1)은 지면에 대하여 세워져서 설치된 4개의 지주(18) 및 서로 인접하는 지주(18)들간에 수평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다리(19) 등의 강재(綱材)에 의해 부착된 철골구조체와, 이 철골구조체의 외측에 설치된 외장패널(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격납선반(3)은 파렛트(P)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파렛트(P)의 전후양단 하면을 지지하도록 각 수납스페이스(2)의 양사이드를 파렛트(P)의 이송방향에 걸쳐 수평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선반 레일(3a)로 이루어지고, 이 양선반 레일(3a)은 서로 등끼리 마주하는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단면이 대략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제 7 도 및 제 8 도에서, 도면부호 20은 각 선반레일(3a)의 일단이 부착되는 선반 기둥이다.
상기 승강대(6)는 2개의 세로 프레임(21, 21)과 2개의 가로 프레임(22)으로 틀이 짜여진 승강대 본체(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승강대 본체(23)의 가운데 부근에는 2개의 세로 프레임(24)과 2개의 가로 프레임(25)으로 틀이 짜여진 지지틀(26)이 승강대 본체(23)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되고, 이지지틀(26)의 네군데 구석에는 상기 차량선회장치(17)에서 차량을 방향전환할 때 파렛트(P)를 차량선회장치(17) 사이에서 탑재 지지하는 수납부(2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 본체(23)의 전후 양단에 지지프레임(28)이 부착되고, 이 각 지지프레임(28)의 양단에 상기 각 외이어 로프(7)의 일단이 연결되고, 승강대(6)가 승강로(4)에 늘어뜨려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프레임(28)의 양단에는 가이드롤러(29)가 브래킷(30)을 개재하여 지지되고, 이 각 가이드 롤러(29)는 상기 각 선반 기둥(20)인 H형의 강(綱)으로 된 프랜지(20a)에 걸어 맞추고, 승강대(6)의 승강동작에 따라 이 프랜지(20a)를 상하방향으로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승강대 본체(23)의 차량 드라이브인 측인 앞쪽(제 7 도에서는 하단)에는 차량(C) 및 사람이 타고 내리는 승강데크(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6)(승강대 본체(23))의 양쪽 지지프레임(28)의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한쌍의 슬라이드 포크(slide fork: 32)가 각각 배치되고, 승강대(6)는 이 양 슬라이드 포크(32)에 차량(C)을 파렛트(P)와 함께 탑재하여 상기 승강로(4)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슬라이드 포크(32)는 승강대 본체(23)의 세로 프레임(21)에 고정된 베이스 포크(3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베이스 포크(33)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베이스 프레임(33a)을 플레이트(33b)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이 각 베이스 프레임(33a)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34, 35)가 소정간격을 두고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포크(33)의 상부에는 미들 포크(36)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이 미들 포크(36)는 평행하게 배치된 단면 대략 I자 모양 2개의 미들 프레임(36a), (36a)을 플레이트(36b)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이 양쪽 미들 프레임(36a)을 상기 베이스 포크(33)의 각 가이드 롤러(34, 35)에 안내하게 하여 베이스 포크(32)에 대해 전진,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미들 포크(36)에는 비어있는 파렛트(P) 또는 차를 실은 파렛트(P)를 탑재하는 탑(top)포크(37)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탑포크(37)는 서로 마주 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단면 대략 C자 모양인 2개의 탑프레임(37a)의 상면을 지지 플레이트(37c)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탑포크(37)의 양사이드 외측에는 상기 베이스(base)포크(33)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34, 35)가 소정간격을 두고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상기 탑포크(37)의 미들(middle)포크(36)에 대한 전진, 후퇴 동작을 상기 각 가이드 롤러(34, 35)에 의해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37c)의 상면은 미들포크(36)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이 지지 플레이트(37c)의 상면은 파렛트(P)의 하면에 대해 맞닿아 파렛트(P)를 탑재 상태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2 도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베이스포크(33)의 뒤쪽에는 3개의 스프로킷(sprocket: 38, 39, 40)이 배치되고, 이 각 스프로킷(38, 39, 40)에는 체인(41)이 걸쳐 감겨지고, 이 체인(41)의 양단은 상기 미들포크(36)의 전후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미들포크(36)의 뒤쪽에는 2개의 스프로킷(42, 43)이 배치되고, 그 중 선단측의 스프로킷(42)에는 체인(44)이 걸쳐 감겨지고, 이 체인(44)의 양단은 상기 베이스 포크(33) 및 탑포크(37)의 기초단에각각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다른 기초단측의 스프로킷(43)에도 다른 체인(45)이 걸쳐 감겨지고, 이 체인(45)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포크(33) 및 탑포크(31)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양쪽 베이스포크(33)의 스프로킷(38)에는 샤프트(46)의 양단이 연결되고, 이 샤프트(46)에는 종동(從動) 스프로킷(47)이 부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승강대(6)의 승강대 본체(23)에는 구동모터(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모터 (48)의 출력축(48a)에는 구동 스프로킷(49)이 부착되고, 이 구동 스프로킷(49)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47)에는 엔드리스 체인(endless chain: 50)이 걸쳐 감겨 있다. 그리고, 차량 C(파렛트 P)를 반입반출할 때, 승강대(6)를 격납선반(3)의 측방에 정지시키고, 구동 모터(48)의 정회전, 역회전 동작에 의해 3개의 체인(41, 44, 45)을 주행시킴으로써, 미들포크(36) 및 탑포크(37)를 그 양측의 격납선반(3)의 한쪽으로 전진·후퇴시키고, 이 전진·후퇴 동작, 즉 슬라이드 포크(32)의 신축동작 및 후술하는 상하이동 기구(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한 상하 변위 동작에 의해 상기 승강대(6)와 격납선반(3) 사이에서 차량 C(파렛트 P)의 인도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격납선반(3)측의 양선반 기둥(26)에는 걸어맞춤 부재의 회전운동 가능한 롤러(51)가 부착구(52)에 의해 각 격납선반(3)에 대응하여 복수개 부착되고, 한편 상기 승강대(6)측의 전후 2개의 지지프레임(28)의 양단에는 슬라이드 가이드(53)가 하나씩 부착되고, 이 각 슬라이드 가이드(53)의 기초단에는 전진·후퇴 구동수단인 유체압 실린더(5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3 도 및 제 14 도에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유체압 실린더(54)의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피스톤로드(54a)의 선단에는 플레이트 모양의 안내부재(55)가 연결구(55a)로 연결되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54)의 신축동작으로 상기 안내부재(55)를 슬라이드 가이드(53)의 상하 가이드홈(53a)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진·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55)의 선단에는 상기 롤러(51)를 걸어맞춤 안내하는 안내홈(56)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56)은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안내홈부(56a)와, 이 제 1 안내홈부(56a)에 연속하여 홈의 안쪽을 향해 경사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 2 안내홈부(56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안내홈부(56a)의 개방 단부에는 홈폭을 외측을 향해 확대하는 경사면(56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롤러(51), 안내부재(55) 및 유체압 실린더(54)에 의해 변위수단인 위치결정 장치(57)가 구성되고, 이 위치결정 장치(57)는 차량(C)을 반입·반출하려고 하는 격납선반(3)측과 그 반대측의 격납선반(3)측에 2개씩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대(6)가 격납선반(3)의 측방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대(6)의 네군데 구석에 4개의 안내부재(55)를 각 유체압 실린더(54)의 동기(同期)한 신장 동작으로 진출(進出)시키고, 그 진출동작에 따라 안내홈(56)의 경사면(56c)이 가이드로 상기 롤러(51)를 제 1 안내홈부(56a)에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양쪽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 레벨 Lf(물품적재레벨)을 격납선반(3)의 차량적재레벨 Lt(물품적재레벨)보다 낮은 하방 위치로 변위시키거나, 더우기 이 위치결정 상태에서 상기 각 유체압 실린러(54)의 동기한 신장동작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55)를 진출시켜 롤러(51)를안내부재(55)의 제 2 안내홈부(56b)에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양쪽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레벨 Lf를 격납선반(3)의 차량적재레벨 Lt보다 높은 하방위치로 변위시켜, 이로써 승강대(6)를 하방방향으로 2 단계에 위치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승강대(6)의 하방 2 단계에서의 위치결정은 유체압 실린더(54)의 신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제 3 도 내지 제 6 도 참조)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슬라이드 포크(32)의 신축동작도 상기 제어수단(60)으로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부분으로 상기 구동풀리(9)는 그 구동정지시에 상기 모터(M)의 브레이크 장치(61)에 의해 정지제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구동정지시의 회전풀리 상태가 상기 모터(M)의 브레이크 장치(61)의 제동력으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는 브레이크 장치(61)의 정지제동 상태 및 정지제동해제 상태가 명확해지도록, 진출시에 구동풀리(9)의 외주면에 슬라이딩하는 브레이크 패드(61a)와, 이 브레이크 패드(61a)를 구동풀리(9)의 외주면에 대해 전진·후퇴시키는 실린더(61b)로 편의상 구성하고 있지만, 이 브레이크 장치(61)는 상기 모터(M)에 내장되는 것이어도, 구동풀리의 회전을 멈추는 것이어도 좋고, 그 제동작용을 충족하는 수단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모터(M)의 정회전·역회전 동작 및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정지제동해제 동작은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제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제어수단(60)은 상기 각 와이어 로프(7)의 장력을 위치결정 장치(57)의 상하방향으로 변위동작하기 전과 변위동작한 후에 거의 균일하게 보유하는 것과 같이, 그 위치결정 장치(57)의 상하변위동작과 연동하여 모터(M) 및 구동풀리(9)에 대한 상기 제어가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제어수단(60)의 모터(M) 및 구동풀리(9)에 대한 제어는 위치결정장치 (57)에 의해 승강대(6)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켰을 때,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력을 해제하도록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후퇴시키는 것으로, 변위동작에 의한 와이어 로프(7)의 이동에 따라 구동풀리(9)가 정회전·역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 구동풀리(9)의 회전을 보조하는 의미로, 그 변위량만큼 각 와이어 로프(7)를 감아 올리는 방향 또는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풀리(9)를 적극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도 좋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설비(A)에서 차량(C)을 입고·출고할 때 모터(M)에 대한 제어수단(60)의 제어를 제 3 도 내지 제 6 도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는 것과 함께, 그 차량 입출고시의 요령을 제 1 도 및 제 2 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C)을 입고시키는 경우와 제어를 제 3 도 및 제 4 도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스타트 후 단계S1에서 차량(C)의 입고에 대비하여 모터(M)를 역회전 구동시켜 구동풀리(9)를 역회전시키고, 엘리베이터(5)의 승강대(6)상에 비어있는 파렛트(P)를 적재입고 대기상태로 해둔다. 그리고, 입출구(12)에서 차량 입출고 스페이스(13)에 진입한 입고차량(C)이 입고대기 중인 엘리베이터(5)의 승강대(6)상의 비어있는 파렛트(P)에 드라이브인하고, 출고에 대비하여 즉, 전진(前進)하여 퇴출(退出)할 수 있도록 차량선회장치(17)의 작동으로 차량(C)의 방향을 방향전환해 둔다. 그 후, 단계S2에서 모터(M)를 정회전 구동시켜 구동풀리(9)를 정회전시키고, 상기 승강대(6)를 입고하려고 하는 목적의 격납선반(3)의 측방에 상승시키고 나서, 단계S3에서 모터(M)의 정회전 구동을 중지하여 구동풀리(9)의 정회전을 정지하고, 단계S4에서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진출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한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을 행한다(제 1 도의 (a)에 나타나 있는 상태).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 적재레벨 Lf는 격납선반(3)(선반 레일(3a))의 차량적재레벨 Lt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승강대(6) 네군데 구석의 각 안내부재(55)를 격납선반(3)측의 롤러(51)에 간섭하지 않도록 후퇴시킨 대응상태로 위치시키고 있다.
다음에, 단계S5에서, 4개의 각 유체압 실린더(54)를 동기하여 신장동작시키고, 4개의 안내부재(55)를 양측의 격납선반(3)측에 진출시키고, 이 각 안내부재(55)의 제 1 안내부재(56a)의 롤러(S1)를 걸어맞추고, 단계S6에서 이 각 안내부재(55)를 더 진출시켜 제 2 안내홈부(56b)에 걸어맞추게 한다. 이로써, 각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레벨 Lf가 격납선반(3)의 차량적재레벨 Lt보다도 높은 상방위치에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승강대(6)가 4개의 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해 사방이 안정하고 수평하게 위치결정된다. 또, 이 걸어맞춤의 초기단계에서는 롤러(51)가 안내부재(56)의 경사면(56c)에 안내되므로, 롤러(51)를 제 1 안내홈부(56c)를 지나 제 2 안내홈부(56b)에 부드럽고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 상기 단계S6의 동작과 동시에, 단계S7 내지 단계S9의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S7에서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후퇴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한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을 해제하고, 단계S8에서 승강대(6)의 하방위치에서 상방위치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각 와이어 로프(7)의 감아올리기가 변위동작과 동기하여 행해지도록, 모터(M)를 정회전구동시켜 구동풀리(9)를 정회전하고, 계속하여 단계S9에서 모터(M)의 정회전구동을 중지하여 구동풀리(9)의 정회전 을 정지시킨다(제 1 도의 (b)에 나타나는 상태).
그 후, 단계S10에서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진출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해 구동풀리(9)를 정지제동한다. 이렇게 한 후, 단계S11에서 양쪽 슬라이드 포크(32)를 구동모터(48)의 구동에 의해 신장시키고, 입고차량(C)을 파렛트(P)와 함께 격납 스페이스(2)에 이송한다(제 1 도의 (c)에 나타나는 상태). 이때, 슬라이드 포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격납선반(3)의 상방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으므로, 파렛트(P)의 이송시에 격납선반(3)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 양쪽 슬라이드 포크(32)를 차량 적재한 파렛트(P)와 함께 신장시킴으로써 승강대(6)에 전도(轉倒) 모멘트가 생기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6)를 그 사방에서 위치결정 장치(57)로 위치결정하고 있으므로, 이 전도 모멘트를 각 위치결정 장치(57)에서 받아 승강대(6)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입고차량(C)을 승강대(6)와 격납선반(3) 사이에서 안정하게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단계S12에서 상기 각 안내부재(55)를 각 유체압 실린더(54)의 수축 작동으로 후퇴시키고, 단계S13에서 각 롤러(51)를 각 안내부재(55)의 제 2 안내홈부(56b)에서 제 1 안내홈부(56a)에 전환하여 걸어맞춘다. 이로써, 각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레벨 Lf가 격납선반(3)의 차량적재레벨 Lt보다도 낮아지고, 입고차량(C)이 파렛트(P)와 함께 격납선반(3)으로 인도된다.
또, 상기 단계S12 및 단계S13의 동작과 동시에 단계S14 내지 단계S16의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S14에서 브레이크장치(61)의 실린더(61b)를 후퇴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한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을 해제하고, 단계S15에서 승강대(6)의 상방위치에서 하방위치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각 와이어 로프(7)의 되감기가 변위동작과 동기하여 행해지도록, 모터(M)를 역회전구동시켜 구동풀리(9)를 역회전시키고, 이어서 단계S16에서 모터(M)의 역회전구동을 중지하여 구동풀리(9)의 역회전을 정지시킨다(제 1 도의 (d)에 나타나 있는 상태).
그 후, 단계S17에서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진출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해 구동풀리(9)를 정지제동한다. 이와 같이, 입고차량(C)이 인도할 때 슬라이드 포크(32)의 상하방향 변위를 위치결정 장치(57)의 위치결정 동작에 의해 행하고 있으므로, 별도로 잭(jack) 등의 승강수단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설비 비용이 감소한다. 또, 상기 단계S14 내지 단계S16에 의해, 승강대(6)의 상방위치에서 하방위치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각 와이어 로프(7)의 되감기 방향에 구동풀리(9)를 변위동작과 동기하여 역회전시키고 있으므로, 각 안내부재(55)의 제 2 안내홈부(56b)에서 제 1 안내홈부(56a)로 롤러(51)의 전환 걸어맞춤이 각 와이어 로프(7)에 당겨지지 않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S18에서 상기 양쪽 슬라이드 포크(32)를 구동모터(48)의 구동으로 수축시킨다(제 1 도의 (e)에 나타나 있는 상태). 그 후, 단계S19에서 상기 각 안내부재(55)를 각 유체압 실린더(54)의 최대 수축 동작으로 후퇴시켜 각 롤러(51)를 안내홈(56)에서 이탈시킨다(제 1 도의 (f)에 나타나 있는 상태). 계속해서 입고가 있는 경우에는 승강대(6)를 차량 입출고 스페이스(13)의 측방까지 하강시키는 한편, 출고가 있는 경우에는 승강대(6)를 목적하는 출고차량(C)이 격납되어 있는 격납선반(3)의 측방까지 승강시킨다.
다음에, 제 2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C)을 출고시키는 경우의 제어를 제 5 도 및 제 6 도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스타트 후 단계S31에서 비어있는 승강대(6)를 출고차량(C)이 주차되어 있는 목적하는 격납선반(3)의 측방까지 승강시키고 나서, 단계S32에서 모터(M)의 정회전·역회전 구동을 중지하여 구동풀리 (9)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단계S33에서 브레이크 장치(61b)를 진출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한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을 행한다(제 2 도의 (a)에 나타나 있는 상태).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레벨 Lf는 격납선반(3)의 차량적재레벨 Lt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승강대(6) 네군데의 구석의 각 안내부재(55)는 격납선반(3)측의 롤러(51)가 간섭하지 않도록 후퇴하고 있다.
이어서, 단계S34에서 4개의 유체압 실린더(54)를 동기하여 신장작동시키고, 4개의 안내부재(55)를 양측의 격납선반(3)에 진출시키고, 단계S35에서 이 각 안내부재(55)의 제 1 안내홈부(56a)에 롤러(51)를 걸어맞춘다(제 2 도의 (b)에 나타나 있는 상태). 이로써, 승강대(6)가 4개의 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해 사방으로 안정하게 수평으로 위치결정된다. 또, 이 걸어맞춤 초기단계에서는 롤러(51)가 안내홈(56)의 경사면(56c)에 안내되므로, 롤러(51)는 제 1 안내홈부(56a)에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걸어맞춘다.
그 후, 단계S36에서 양쪽 슬라이드 포크(32)를 구동모터(48)의 구동으로 신장시킨다(제 2 도의 (c)에 나타나 있는 상태). 이 때, 슬라이드 포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격납선반(3)의 하방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으므로, 파렛트(P)의 이송시에 격납선반(3)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렇게 한 후, 단계S37에서 상기 각 안내부재(55)를 각 유체압 실린더(54)로 이루어지는 신장동작에 의해 최대로 진출시키고, 단계S38에서 각 롤러(51)를 각 안내부재(55)의 제 1 안내홈부(56a)에서 제 2 안내홈부(56b)로 전환하여 걸어맞춘다. 이로써, 각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레벨 Lf가 격납선반(3)의 차량적재레벨 Lt보다도 높은 상방위치로 되고, 출고차량(C)이 파렛트(P)와 함께 슬라이드 포크(32)에 인도된다. 이 때, 슬라이드 포크(32)가 입고차량(C)의 탑재로 승강대(6)에 전도 모멘트가 생기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6)를 그 사방에서 위치결정 장치(57)로 위치결정하고 있으므로, 이 전도 모멘트를 각 위치결정장치 (57)로 받아 승강대(6)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출고차량(C)을 승강대(6)와 격납선반 사이에서 안정하게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단계S37 및 단계S38의 동작과 동시에, 단계S39 내지 단계S41의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S39에서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후퇴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한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을 해제하여, 단계S40에서 승강대(6)의 하방위치에서 상방위치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각 와이어 로프(7)의 되감기가 변위동작과 동기하여 행해지도록 모터(M)를 정회전구동시켜 구동풀리(9)를 정회전하고, 이어서 단계S41에서 모터(M)의 정회전구동을 중지하여 구동풀리(9)의 정회전은 정지시킨다(제 2 도의 (d)에 나타나 있는 상태).
이렇게 한 후, 단계S42에서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진출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해 구동풀리(9)를 정지제동한다. 이어서, 단계S43에서 양쪽 슬라이드 포크(32)를 구동모터(48)의 구동으로 수축시켜 출고차량(C)을 승강대(6)에 이송한다(제 2 도의 (e)에 나타나 있는 상태).
그 후, 단계S44에서 상기 각 안내부재(55)를 각 유체압 실린더(54)의 수축작동으로 후퇴시키고, 단계S45에서 각 롤러(51)를 각 안내부재(55)의 제 1 안내홈후(56a)에 전환하여 걸어맞춘다. 이로써, 각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레벨 Lf가 격납선반(3)의 차량적재레벨 Lt보다도 낮아지고, 출고차량(C)이 파렛트(P)와 함께 승강대(6)에 인도된다.
또, 상기 단계S44 및 단계S45의 동작과 동시에 단계S46 내지 단계S48의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S46에서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후퇴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한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을 해제하고, 단계S47에서 승강대(6)의 상방위치에서 하방위치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각 와이어 로프(7)의 되감기가 변위동작과 동기하여 행해지도록 모터(M)를 역회전구동시켜 구동풀리(9)를 역회전시키고, 이어서 단계S48로 모터(M)의 역회전구동을 중지하여 구동풀리(9)의 역회전을 정지시킨다(제 2 도의 (f)에 나타나 있는 상태).
이어서, 단계S49에서 브레이크 장치(61)의 실린더(61b)를 진출시켜 브레이크 패드(61a)에 의해 구동풀리(9)를 정지제동한다. 이와 같이, 출고차량(C)을 인도할 때 슬라이드 포크(32)의 상하방향 변위를 위치결정 장치(57)의 위치결정 동작에 의해 행하고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별도로 잭(jack)등의 승강수단을 이용할 필요가없어져 설비 비용이 감소한다. 또, 상기 단계S46 내지 단계S48에 의해 승강대(6)의 상방위치에서 하방위치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각 와이어 로프(7)의 되감는 방향에 구동풀리(9)를 변위동작과 동기하여 회전이동시키고, 각 안내부재(55)의 제 2 안내홈부(56b)에서 제 1 안내홈부(56a)의 롤러(51)의 전환걸어맞춤을 각 와이어 로프(7)가 끌어당기지 않고 원활하게 행하고 있다.
이렇게 한 후, 단계S50에서 상기 각 안내부재(55)를 각 유체압 실린더(54)의 최대 수축 동작으로 후퇴시켜 각 롤러(51)를 안내홈(56)에서 이탈시킨다(제 2 도의 (g)에 나타나 있는 상태). 그 후, 단계S51에서 모터(M)의 역회전구동으로 구동풀리 (9)를 역회전시켜 승강대(6)를 차량입출고 스페이스(13)의 측방에 하강시키고, 입출구에서 출고차량(C)을 출고시킨다. 계속해서 출고를 하는 경우에는 모터(M)를 정회전구동시켜 구동풀리(9)를 정회전시키고, 승강대(6)를 목적하는 출고차량(C)이 격납되어 있는 격납선반(3)의 측방까지 상승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출고차량(C)을 출고하는 한편, 입고가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하강한 상태에서 입고차량(C)을 탑재하여 상기의 입고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입고한다.
이처럼,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대(6)는 구동풀리(9)의 정회전·역회전의 정지로 격납선반(3)의 측방에 정지했을 때, 승강대(6)상의 입출고 차량(C)의 적재 유무 및 승강대(6)상의 입출고 차량(C)의 중량 차이 등으로 승강대(6)에서 각 와이어 로프(7)에 미치는 하중이 달라, 각 와이어 로프(7)의 신장량이 변화해도, 승강대(6)를 상방위치 또는 낮은 하방위치에 상하방향으로 변위동작시키는 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해 격납선반(3)에 대한 승강대(6)의 상하 2위치에서의 위치결정이정확해진다.
이 경우, 모터(M)는 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한 승강대(6)의 변위동작과 연결 동작하여 각 와이어 로프(7)의 장력을 위치결정 장치(57)의 상방위치 또는 하방위치로 변위동작하기 전과 변위동작 후에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제어, 즉 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해 승강대(6)를 상하위치로 변위동작시킬 때 브레이크 장치(61)에 의한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을 해제하는 제어, 및 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해 승강대(6)를 상하위치에 변위동작시킬 때 그 승강대(6)의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각 와이어 로프(7)를 감거나 또는 되감도록 구동풀리(9)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제어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승강대(6)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동작에 의해 각 와이어 로프(7)의 구동풀리(9)보다도 승강체측에서 생기는 장력감소나 느슨함 및 장력증가 등이 구동풀리(9)를 정회전·역회전시켜 해소되고, 각 와이어 로프(7)의 평형추측과 승강체측 사이의 큰 장력차에 의한 구동풀리(9)상에서 각 와이어 로프(7)의 슬립(slip)이 확실히 방지되어 각 와이어 로프(7)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각 와이어 로프(7)의 구동풀리(9)상에서 불균일한 슬립이 확실히 방지되어, 복수의 와이어 로프(7)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대(6)의 위치결정해제 이후의 수평 밸런스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롤러(51)와 안내부재(55)의 안내홈(56)은 안내부재(55)를 진퇴 이동시키는 유체압 실린더(54)의 신장량에 따라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 적재레벨 Lf를 승강대(6)의 격납선반(3)에 대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2위치에서 위치결정 가능하게 변위시키도록 걸어맞춤 안내되므로, 롤러(51)과 안내부재(55)의 안내홈(56)의 간단하고 확실한 구성으로 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한 승강대(6)의 강제적인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상하 2위치에서의 위치결정이 가능해지고, 이 위치결정장치 (57)에 의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상하 2 위치에서 레벨차가 롤러(51)와 안내부재(55)과 안내홈(56)의 걸어맞춤 안내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구동풀리(9)의 회전량은 별도의 장력 센서 등에 기초하여 억제하지 않아도 상기 상방위치와 하방위치 사이의 레벨차에만 기초하여 제어하면 되고, 낮은 비용과 신뢰성이 높은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더구나, 승강대(6)는 위치결정 장치(57)에 의해 격납선반(3)에 대한 상하 2개 위치에서 위치결정이 행해지고 있으므로, 각 와이어 로프(7)의 신축량과 관계없이 상하 2개 위치 사이에서 레벨차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격납선반(3)의 상하 배치 피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설비(A)의 상하방향으로 스페이스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안내부재(55)의 진퇴량에 따라 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레벨 Lf가 상하 2개 위치에서 변위하므로, 이 안내부재(55)를 진퇴동작(슬라이드 포크(32)의 차량적재레벨 Lf의 변위동작)시키는 유체압 실린더(54)의 추력은 이 진퇴동작에 연동하는 구동풀리(9)의 정지제동해제의 제어 및 구동풀리(9)를 정역회전시키는 제어에 의해 부하중량에서 평형추(10)의 중량을 뺀 부하중량차이만큼의 추력(推力:thrust)으로 충분히 충당할 수 있고, 유체할 실린더(54)를 추력이 작은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 다양한 변형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변위수단을 위치결정장치(57)로 구성하였지만, 잭 등의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변위수단이 구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격납선반(3)측에 롤러(51)를 설치하는 한편, 승강대(6)측에 유체압 실린더(54) 및 안내부재(55)를 설치하였지만, 격납선반측에 유체압 실린더 및 안내부재가 설치되고, 승강대측에 롤러가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체압 실린더(54)의 피스톤로드(54a)의 선단에 안내부재(55)를 연결하였지만,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체압 실린더(54)의 신축동작으로 안내부재 (55)만을 진퇴하였지만, 유체압 실린더등의 진퇴구동 수단의 진퇴동작(신축동작)으로 롤러도 안내부재에 대해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 장치(57)의 상하변위 동작과 연동하여 모터(M)의 정회전·역회전동작 및 정지제동·정지제동해제 동작을 제어수단(60)에 의해 제어하였지만, 위치결정 장치의 상하변위 동작과 연동하여 모터 또는 구동풀리 브레이크 장치의 정지제동·정지제동해제 동작만, 또는 승강구동 장치에 셀프락(self-lock) 기능을 갖기 때문에, 특히 브레이크 기구를 갖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모터의 정회전·역회전구동만이 제어되도록 해도 좋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입고시의 인도하는 순서를 (a)~(f)로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제 2 도는 차량출고시 인도하는 순서를 (a)∼(g)로 나타내는 동작설명도.
체 3 도는 차량입고시 제어장치에 의한 전반제어를 설명하는 흐름도.
재 4 도는 차량입고시 제어장치에 의한 후반제어를 설명하는 흐름도.
제 5 도는 차량출고시 제어장치에 의한 전반제어를 설명하는 흐름도.
제 6 도는 차량출고시 제어장치에 의한 후반제어를 설명하는 흐름도.
제 7 도는 엘리베이터식 입체주차설비의 횡단 평면도.
제 8 도는 승강대의 측면도.
제 9 도는 슬라이드 포크의 평면도.
제 10 도는 슬라이드 포크의 측면도.
제 11 도는 슬라이드 포크를 격납선반에서 본 정면도.
제 12 도는 슬라이드 포크의 신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13 도는 위치결정장치의 측면도.
제 14 도는 위치결정장치를 일부파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제 15 도는 엘리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의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격납선반 4 : 승강로
6 : 승강대(승강체) 7 : 와이어 로프(끈모양 부재)
9 : 구동풀리(구동강차) 10 : 평형추
32 : 슬라이드 포크 51 : 롤러(걸어맞추는 부재)
54 : 유체압 실린더(진퇴구동수단) 55 : 안내부재
56 : 안내홈 57 : 위치결정장치(변위수단)
60 : 제어수단 A : 엘리베이터식 입체주차설비(기계식 주차설비)
C : 차량(물품) Lf : 슬라이드 포크의 차량적재레벨(물품적재레벨)
Lt : 격납선반의 차량적재레벨(물품적재레벨) M : 모터(승강구동장치)
이상과 같이 본원의 제 1 발명의 물품격납설비에 의하면, 변위수단의 변위동작과 연동하여 끈모양 부재의 장력을 변위수단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동작의 이전과 변위동작의 이후에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승강구동 장치를 제어하므로, 승강체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동작으로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감소나 느슨함 등을 구동강차의 회전으로 해소하고, 끈모양 부재의 평형추측과 승강체측 사이의 큰 장력차에 의한 구동강차상에서 끈모양 부재의 슬립을 확실히 방지하고, 끈모양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경우의 구동강차상에서 각 끈모양 부재의 불균일한 슬립을 확실히 방지하고, 복수의 끈모양 부재에 의한 승강체의 위치결정해제 이후의 수평 밸런스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발명의 물품격납설비에 의하면, 신축할 수 있는 슬라이드 포크의 상하변위 동작과 연동하여 끈모양 부재의 장력을 변위수단의 상하방향으로 변위 동작하기 이전과 변위동작 이후에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승강구동 장치를 제어하고, 슬라이드 포크방식이기 때문에 물품의 인도시에 필요한 슬라이드 포크의 상하방향으로의 변위동작에 의한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감소나 느슨함 등을 구동강차의 회전에 의해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원의 제 3 발명의 물품격납설비에 의하면, 변위수단에 의한 승강체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감소나 느슨함등 또는 장력증가 등을 구동강차의 정지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 및 그 변위분량만큼 구동강차를 구동시켜 끈모양 부재를 감아올리거나 되감는 제어로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구동강차상에서 끈모양 부재의 슬립을 확실히 방지하여 끈모양 부재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승강체를 복수의 끈모양 부재에 의해 승강시키는 경우에도 그 각 끈모양 부재의 승강체측에 대하여 생기는 장력감소나 느슨함 및 장력증가 등을 구동강차의 정지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 및 승강체의 상하변위 분량에 따라 구동강차를 구동하는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의 제어로 확실히 해소하고, 승강체의 위치결정해제 이후의 수정 밸런스를 더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본원의 제 4 발명의 물품격납설비에 의하면, 걸어맞춤 부재와 안내부재의 안내홈을 진퇴구동수단의 진출량에 따라 슬라이드 포크의 물품적재레벨을 승강체의 격납선반에 대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2 위치에서 위치결정 가능하게 변위시키도록 걸어맞춤 안내하므로, 변위수단에 의한 상하 2개 위치 사이의 레벨차를 미리 설정해 두고, 이 상하위치 사이의 레벨차에만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고, 별도의 장력센서가 불필요하여 저렴한 비용이 들고 신뢰성은 높은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더구나, 변위수단에 의해 상하 2개 위치에서 승강체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때문에, 상하 2개 위치 사이의 레벨차를 일정하게 유치하여 격납선반의 상하 배치 피치를 최소한으로 하여 물품격납설비의 상하방향으로 스페이스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 부재 및 안내부재 중 한쪽의 진퇴동작에 연동하는 구동강차의 정지제동해제 등의 제어로, 부하중량에서 평형추의 중량을 뺀 부하중량차이 분량의 추력으로 충분히 충당할 수 있는 작은 추력으로 콤팩트한 진퇴구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물품을 적재가능한 승강체에 일단이 연결된 끈모양 부재의 타단이 구동강차를 개재하여 평형추에 연결되고, 상기 끈모양 부재를 감아올리는 조작 또는 되감는 조작으로 승강체를 승강로에 따라 승강시키도록 상기 구동강차를 구동하는 승강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승강체의 승강로에 인접하는 격납선반이 설치되고, 승강체를 격납선반의 측방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승강체와 격납선반 사이에서 물품을 인도하도록 한 물품격납설비로서,
    상기 격납선반의 측방에 정지한 승강체를 격납선반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도록 이 승강체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수단과,
    상기 끈모양 부재의 장력을 상기 변위수단의 변위동작 전과 변위동작 후에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그 변위수단의 변위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체에는 승강체 측방의 격납선반 사이에서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신축이 자유로운 슬라이드 포크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 포크는 격납선반보다 높은 상방위치와 이 격납선반보다도 낮은 하방위치에 상기 변위수단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강차는 그 구동정지시에 정지제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변위수단에 의해 승강체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킬 때, 상기구동강차의 정지제동력을 해제하는 제어, 및 승강체의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분량만큼 끈모양 부재를 감아올리는 방향 또는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강차를 구동시키는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의 제어가 승강구동장치에 대해 행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격납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승강체측 및 격납선반측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걸어맞추는 부재와,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추는 부재를 걸어맞춤 안내하는 안내홈을 갖는 안내부재와,
    상기 승강체측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 및 안내부재 중 한쪽을 그 진출시에 걸어맞춤 부재를 안내부재의 안내홈에 걸어맞춤 안내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진퇴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안내부재의 안내홈은 그 걸어맞춤 안내시에 상기 진퇴 구동수단의 진출량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포크의 물품 적재 레벨을 승강체와 격납 선반에 대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2위치에서 위치결정 가능하게 변위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격납설비.
KR1019950037402A 1995-08-28 1995-10-26 물품격납설비 KR100417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8728 1995-08-28
JP21872895A JP3361214B2 (ja) 1995-08-28 1995-08-28 物品格納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7052B1 true KR100417052B1 (ko) 2004-03-30

Family

ID=1672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402A KR100417052B1 (ko) 1995-08-28 1995-10-26 물품격납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61214B2 (ko)
KR (1) KR100417052B1 (ko)
CN (1) CN1107008C (ko)
TW (1) TW3086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41B1 (ko) * 2001-03-15 2008-10-27 소테핀 에스.에이. 기계식 자동 주차장에서 차량의 수평 운반을 위한 캐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0931B (zh) * 2012-04-29 2015-05-20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三叉式移载机
CN102913020B (zh) * 2012-11-06 2015-03-25 吴立新 移出升降停车装置
CN103526973B (zh) * 2013-10-23 2015-12-16 山东天辰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升降横移类机械式立体停车设备用钢丝绳导向防松装置
CN104746919B (zh) * 2015-02-28 2017-05-17 南京力霸起重设备机械有限公司 一种钢丝绳二层升降横移停车设备
CN110155828B (zh) * 2019-05-21 2021-05-11 合肥市商巨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提升机精确定位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2218A (en) * 1991-07-19 1994-03-08 Nkk Corporatio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tor vehicle and multistory parking lo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602A (en) * 1986-01-06 1987-06-23 Smith Wayne D Article storage system
ES2064221B1 (es) * 1992-09-11 1997-05-01 Fraj Placido Pina Sistema de aparcamiento para vehiculos o almacenaje de producto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2218A (en) * 1991-07-19 1994-03-08 Nkk Corporatio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tor vehicle and multistory parking l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41B1 (ko) * 2001-03-15 2008-10-27 소테핀 에스.에이. 기계식 자동 주차장에서 차량의 수평 운반을 위한 캐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185A (zh) 1997-03-05
JP3361214B2 (ja) 2003-01-07
CN1107008C (zh) 2003-04-30
JPH0960328A (ja) 1997-03-04
TW308625B (ko) 199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0199A (ko) 팰릿 셸핑 장치
KR100417052B1 (ko) 물품격납설비
JP2007119136A (ja) 物品移載装置及びその物品移載装置を装備した物品搬送装置
KR100424949B1 (ko) 물품격납설비
US5015140A (en) Shuttle guide for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JP3595644B2 (ja) 物品格納装置
JP3534231B2 (ja) 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物品入出庫装置
JP2000351410A (ja) 物品格納装置
JP3545539B2 (ja) 機械式立体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JP2947014B2 (ja) 吊下搬送装置
JP2973817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3483016B2 (ja) 物品保管装置
JP4104905B2 (ja) 二段式収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貨物車両
JP7427751B2 (ja) 機械式駐車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828691B2 (ja) 荷の移載装置
JP3335044B2 (ja) 機械式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JP2691197B2 (ja) 上部乗入型垂直循環式駐車装置
JP2962106B2 (ja) 吊下搬送装置
JP2018080466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10228885A (ja) 物品収納設備
JP2985621B2 (ja) 入出庫用搬送装置
JPH0818650B2 (ja) 自動倉庫
JP3444401B2 (ja) 物品昇降装置
JPH06135509A (ja) 昇降装置等における荷台の移動制御装置
JPH09240812A (ja) 物品保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