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949B1 - 용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용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949B1
KR100404949B1 KR10-2000-0077376A KR20000077376A KR100404949B1 KR 100404949 B1 KR100404949 B1 KR 100404949B1 KR 20000077376 A KR20000077376 A KR 20000077376A KR 100404949 B1 KR100404949 B1 KR 10040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ath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503A (ko
Inventor
히로따다쯔야
이나모또요시히로
후지까와기요까즈
가와무라요조
나까니시미노루
기시미노루
요네자와다까아끼
가와무라다모쯔
야마모또가즈히로
시미즈야스히꼬
곤도야스히또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793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31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793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82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935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81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309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54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0112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5680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주입하는 전해 탱크와, 전해 탱크내에 설치된 전극과, 물을 저장하는 풀 내의 물을 전해 탱크에 주입하고, 또 전해 탱크내의 물을 풀로 되돌리는 용수처리 경로와, 물의 잔류염소농도를 측정하는 잔류염소 센서와,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설치한 순환 펌프를 포함하고, 수영풀로부터 일반가정용 욕조까지, 여러 크기의 풀에 저류된 물을,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멸균처리할 수 있는, 신규 용수처리 장치이다.

Description

용수처리 장치{WATER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수영 풀, 공중목욕탕의 욕조와 같은 대형 풀에서, 빌딩의 옥상 등에 배치된 급수조, 일반가정용 욕조와 같은 소형 풀까지, 각종 풀에 저장된 물을 멸균처리할 수 있는 신규 용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옥내외에 설치된 수영 풀이나 공중목욕탕의 욕조 등은, 그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염소화석회 (chlorinated lime), 차아염소산 소다(NaClO) 등을 투입하여 멸균처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는 이 작업을 시설의 종사자 등이 영업시간외 (조조나 심야 등) 에 수작업으로 행할 필요가 있고, 게다가 염소화석회 및 차아염소산 소다는 자극성을 갖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하면서 작업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염소화석회 은 통상 분말형상 및 이를 고화한 타블렛형상이기 때문에, 풀에 투입한 다음 용해하여 농도가 균일하게 되기까지 장시간을 요하고, 그 동안은 풀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또, 빌딩의 옥상 등에 배치되는 급수조 또는 일반가정용 욕조의 경우는, 수도물 중에 포함되는 염소의 멸균력에만 의지하는 것이 현실이며, 특히 급수조의 경우에는, 내부에 조류가 번식하는 등 수질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 일반가정용 욕조의 경우는, 통상 거의 1 ∼ 2 일 마다 물을 갈아넣기 때문에 수질 면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욕조에 접속된 보일러 안은 자주 청소할 수 없기 때문에 잡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기 쉬워, 역시 수질의 악화가 우려된다.
또, 상술한 것과 같은 각 풀에 저류된 물을 멸균처리하는 경우에는, 물의 누출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각종 풀에 저류된 물을, 물의 누출 등의 발생없이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멸균처리할 수 있는, 신규 용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용수처리 장치를, 수영 풀이나 공중목욕탕의 욕조 등의, 대형 풀에 장치한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는 상기 용수처리 장치에 장치된 전해 탱크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전해 탱크와 그 아래에 배치된 받침접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 (a)(b) 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용수처리 장치를 캐비넷내에 배치한 유닛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모두 내부구조를 알 수 있도록, 캐비넷의 전면 및 측면의 패널을 제거한 상태의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용수처리 장치를, 빌딩의 옥상 등에 배치되는 급수조, 일반가정용 욕조와 같은 소형 풀에 장치한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소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장치에 설치되는 기체분리 필터와, 그것을 수용하는 필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소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 는 기체액체 분리탱크에 설치한 물의 유입구와 유출구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 은 도 14 의 장치를 캐비넷내에 배치한 유닛의 정면도이며, 그 내부구조를 알 수 있도록, 캐비넷의 전면의 패널을 제거한 상태의 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용수처리 장치 중 전해 탱크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0 은 상기 전해 탱크에서의, 송풍기에의 가스의 흡입구와, 공기도입구와의 배치를 설명하는 개략평행도이다.
도 21 은 전해 탱크의 변형예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용의 용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 은 도 22 의 용수처리 장치 중 전해 탱크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4 는 도 23 의 전해 탱크의 본체에의, 기체분리 필터의 착탈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노칭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2 의 용수처리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 은 제어부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내용 중, 수위검지센서를 이용한 눈막힘 검출조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7 은 제어부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내용 중, 유량계를 이용한 눈막힘 검출조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8 은 제어부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내용 중, 압력계를 이용한 눈막힘 검출조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9 는 제어부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내용 중, 수위검지센서를 이용한 공기맞물림 방지조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수처리 장치 2 : 풀
10 : 용수처리 경로 11 : 전극 페어
12 : 전해 탱크 13, 21 : 필터
14 : 이온교환수지 20 : 주순환 경로
22 : 열교환기 23 : 순환 펌프
40 : 필터 케이스 41, 51, 52 : 기체분리 필터
50 : 기체액체 분리탱크 70 : 제어부
71 : 타이머 72 : 메모리
73 : 드라이버 110 : 전극
B1, B2, B3, B4, B5, B6, B7, B8 : 밸브
S1, S2 : 센서 S3 : 압력계
P1, P2, P3, P4 : 펌프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발명은, 물을 넣기 위한 전해 탱크와, 전해 탱크내에 설치된 전해용 전극을 구비하고, 전해 탱크내에 물을 주입하고 전극에 통전하여 전해함으로써 물을 멸균하기 위한 전해멸균수단과, 물을 저장하는 풀에 접속되어, 풀 내의 물을 전해 탱크에 주입하고, 또 전해 탱크내의 물을 풀로 되돌리기 위한 용수처리 경로와,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설치한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용수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제 1 항의 구성에서는, 우선 풀로부터, 용수처리 경로를 통해 전해 탱크 내에 주입한 물에, 염화나트륨 (NaCl), 염화칼슘 (CaCl2), 염산 (HCl) 등의 염소를 함유하는 전해질을 첨가한 상태에서, 또는 물이, 멸균을 위해 미리 전해질을 함유하는 경우는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해 탱크 내에 배치한 전극에 통전한다.
이렇게 하면 물은, 하기의 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차아염소산 (HClO) 이나 그 이온 (ClO-), 또는 염소가스 (Cl2) 등의 염소함유 화합물이나, 반응과정에서 극히 단시간동안, 발생하는 활성산소 (O2 -) 등에 의해 멸균된 후, 다시 용수처리 경로를 통하여 풀로 되돌려진다.
(양극측)
4H2O - 4e-→4H++O2↑+ 2H2O
2Cl-→Cl2+ 2e-
H20 + Cl2↔HClO + H++ Cl-
(음극측)
4H2O + 4e-→2H2↑+ 4OH-
(양극측 + 음극측)
H++ OH-→H2O
상기 일련의 작업은, 예를 들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용수처리 경로에 물을 유통시키는 순환 펌프를 작동하고, 또 전극에 통전하는 것만으로, 그 뒤는 거의 사람의 손을 빌지 않고, 또 작업자가 직접 물에 손을 대는 일없이 실시된다. 또, 타이머나 잔류염소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순환 펌프의 작동, 전극에의 통전 등을 자동화하여 실시하면 용수처리를 완전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구항 제 1 항의 구성에서는, 풀에 저류된 물을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멸균할 수 있다.
또한, 용수처리 장치로 멸균되어 풀로 되돌려지는 물은, 현저하게 저농도의 이온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처리는 수영 풀이나 공중목욕탕 등의 영업시간중이라도 정기적으로, 또는 입장자수나 날씨, 기온 등에 따라 변화하는 물의 수질에 따라 임의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영 풀이나 공중목욕탕 등에서는, 염소화석회 또는 차아염소산 소다 등을 투입하여 멸균처리를 실시하는 작업을 전부 생략하거나, 또는 그 회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현격히 경감시킬 수 있으면서 또한 양호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빌딩의 옥상 등에 배치되는 급수조 등에서는, 예를 들면 일정 사용수량마다, 또는 사용수량에 상관없이 일정기간마다, 상기 일련의 작업을 수동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면, 문제가 되는 조류의 번식 등을 억제하여 수질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가정용 욕조 등에서도, 예를 들면 하루의 입욕이 끝난 시점에서, 또는 목욕물을 배수하기에 앞서, 상기 일련의 작업을 수동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면, 욕조에 접속된 보일러 내에서의 잡균 또는 곰팡이 등의 번식을 억제하여 수질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 1 항의 구성에서는,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배치한 순환 펌프에 의한, 물을 끌어내는 작용에 의해, 전해 탱크내의 수압을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배선을 전해 탱크밖으로 인출하는 부분 등에서의 수밀성을 향상하여, 물이 잘 누출되지 않는 용수처리 장치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인출부분의 실 구조를 간략화할 수도 있다.
청구항 제 2 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넣기 위한 용액 탱크와, 전해액을, 용액 탱크로부터 전해 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경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2 항의 구성에서는, 전해 탱크내의 물에, 용액 탱크로부터 전해액을 공급함으로써, 전해 탱크내에서의 물의 염소이온농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해멸균수단에서의 전해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 멸균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제 2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용수처리 경로로부터 분기된, 용액 탱크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도입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3 항의 구성에서는, 용액 탱크내에, 수회 ∼ 수십회분의 다량의,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등의 고형의 전해질을 공급해둠으로써, 전해질 보급의 수고를 덜 수 있다. 즉, 고형의 전해질은, 도입로를 통하여 1 회분의 물을 주입하면, 그 양에 맞는, 즉 포화하기에 충분한 양의 전해질이 물에 용해되는데, 그 이상은 용해되지 않고 고형분으로 남는다. 그러므로, 수회 ∼ 수십회분의 전해질을, 미리 용액 탱크내에 공급해둘 수 있어 보급의 회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전해질이 용해되어 제조되는 전해액은, 상기와 같이 그 농도가, 온도에 의한 차는 다소 있지만 거의 일정한 포화농도가 되므로, 전해질의 양 등을 조정하여 농도를 일정하게 하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해질 보급시의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도입로로부터 물을 주입하여 용액 탱크내의 액을 교반함으로써 균일한 농도의 전해액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용액 탱크내에 별도, 교반장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제 3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물을여과하기 위해, 용수처리 경로의, 도입로의 분기점의 상류측에 설치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4 항의 구성에서는, 필터에 의해 유기물이 제거된 깨끗한 물이, 전해 탱크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전극의 표면에 유기물이 부착되어, 전해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멸균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 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멸균액을 넣기 위한 멸균액 탱크와, 멸균액을, 멸균액 탱크로부터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경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5 항의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수영 풀 등에의 입장자수의 급격한 증가 등에 의한 잔류염소농도의 급격한 저하, 즉 수질의 저하에 따라 다량의 물을 멸균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로써, 게다가 전해멸균수단에 의한 전해 반응만으로는 충분히 멸균할 수 없는 경우라도, 멸균액 탱크로부터 멸균액을 공급함으로써, 물을 효율적으로 멸균할 수 있다. 즉, 멸균액으로서, 염소화석회, 차아염소산 소다, 차아염소산 칼슘 [(CaClO)2] 등의 수용액을, 바람직하게는 희석하여 용수처리 경로에 공급함으로써, 물의 수질저하의 정도에 적합한 멸균을 실시할 수 있다.
다량의 물을 멸균하는 경우에는, 염소함유 화합물이 다량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전해멸균수단만으로 멸균을 실시하기에는, 전극에의 전류량을 크게할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대형 전극 (즉, 전해 탱크의 대형화) 과 대용량의 전원이 필요로 되는데, 이와 함께, 장치의 제조비용이나 운전비용이 상승한다. 뿐만아니라, 용수처리 장치 그 자체가 대형화되어 실용적으로 적합하지 않게 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 전극에의 인가전압을 높여도 여전히 멸균이 불충분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청구항 제 8 항의 구성에 의하면, 용수처리의 양이 많고, 필요로 하는 염소함유 화합물의 양이 많은 경우로써, 전해멸균수단만으로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경우라도, 별도로 멸균액 탱크로부터 멸균액을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멸균할 수 있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5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상류측에서 분기되어,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서, 또 공급 경로의 분기점의 상류측에서 용수처리 경로에 합류하는 바이패스 경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6 항의 구성에서는, 청구항 제 5 항의 작용에 더하여, 물을 압력손실이 적은 바이패스 경로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순환시키면서, 거기에 멸균액을 공급하여 멸균할 수 있기 때문에, 멸균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풀은, 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풀 내의 물을 필터에 공급하여, 필터를 통과한 물을 풀에 되돌리기 위한 주순환 경로를 구비하고, 용수처리 경로는, 주순환계로상의 제 1 분기점에서 분기되어, 제 1 분기점의 하류측의, 제 2 분기점에서 주순환 경로에 합류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7 항의 구성은, 주로 수영 풀이나 공중목욕탕의 욕조 등의, 대형 풀에 적용된다. 대형 수영 풀에서는, 항상 다량의 물을 계속 모래 여과 (sandfiltration) 할 필요가 있고, 또 온수 풀이나 욕조에서는 일정한 수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다량의 물을 항상, 열교환기 등을 사용하여 계속 가열할 필요가 있어, 그를 위한 주순환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용수처리 장치를 주순환 경로에 장치한 경우에는, 다량의 물을 한번에 처리하기 위해, 전극이나 전해 탱크 등의 설비를 그에 맞도록 대형화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러나, 물의 멸균은, 모래 여과나 가열과 같이 항상 또한 다량의 물에 대해 실시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제 7 항과 같이 용수처리 경로를 주순환 경로로부터 분기시켜 배치하면, 용수처리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물을 멸균할 수 있다.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7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멸균액을 넣기 위한 멸균액 탱크와, 멸균액을, 멸균액 탱크로부터 주순환 경로의, 제 2 의 분기점의 하류측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경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8 항의 구성에서는, 용수처리 경로에의 물의 공급을 정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용수처리 경로와는 별도의 루트로, 물에 멸균액을 공급하여 멸균할 수 있다.
청구항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7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물을 가열하기 위해, 주순환 경로의, 필터의 하류측에 설치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제 2 분기점을, 주순환 경로의,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제 9 항의 구성에서는, 용수처리 경로를 경유한 물을, 주순환 경로에 배치한 열교환기보다 하류측의, 열교환기에서의 압력손실에 의해 수압이 저하된 위치에서, 주순환 경로로 되돌리고 있다. 그러므로, 용수처리 경로가 다소 복잡하며 압력손실이 커지더라도, 용수처리 경로를 경유한 물을 부드럽게, 주순환 경로에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용수처리 경로의 순환 펌프의 용량을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0 항에 기재된 발명은, 물을 넣기 위한 전해 탱크와, 전해 탱크내에 설치된 전해용 전극을 구비하고, 전해 탱크내에 물을 주입하고 전극에 통전하여 전해함으로써 물을 멸균하기 위한 전해멸균수단과, 물을 저장하는 풀에 접속되어, 풀 내의 물을 전해 탱크에 주입하고, 또 전해 탱크내의 물을 풀로 되돌리기 위한 용수처리 경로와, 전해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를 물에서 분리하기 위해, 용수처리 경로에 설치한 기체분리 필터를 포함하는 용수처리 장치이다.
청구항 제 10 항의 구성에서는, 전해 탱크보다 하류측의 용수처리 경로에 설치한 기체분리 필터에 의해, 전해 탱크내에서의 전해 반응에 따라 발생하는, 수소가스 (H2) 나 산소가스 (O2) 에 의한 미세한 기포를 물에서 분리할 수 있다. 즉, 기체분리 필터는, 물은 통과시키지만, 혼입된 미세기포는 통과시키지 않고 체류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기능에 의해 기체분리 필터의 상류측에 체류한 미세기포는, 그 때까지 입경이 너무 작아 물과 분리되지 않았던 것이, 저류에 의해 그 다수개가 결합하여 대직경화함으로써 부력이 발생하여, 수중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미세기포에 의해 물이 하얗게 탁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맑은, 외견상으로도 깨끗한 물을 풀로 되돌릴 수 있다.
기체분리 필터의 구체적인 배치로는, 청구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 11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0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배치한 기체액체 분리탱크를 구비하고, 기체분리 필터를 기체액체 분리탱크내에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제 11 항의 구성에서는, 상기 기체분리 필터의 작용에 의해 대직경화된 기포가, 기체액체 분리탱크내에서 수면에 부상하고, 수면상의 기상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물에서 분리된다. 그러므로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 1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0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기체분리 필터를, 전해 탱크내에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제 12 항의 구성에서는, 기체분리 필터를 전해 탱크내에 배치하고, 상술한 기체액체 분리탱크의 작용을 겸하게 함으로써, 장치의 스페이스 절약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2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전해 탱크는, 분리한 기체를 전해 탱크의 밖으로 배기하기 위한 흡인식 송풍기를 구비한다.
청구항 제 13 항의 구성에서는, 물에서 분리된 미세기포기원의 가스가, 송풍기에 의해 전해 탱크밖으로 강제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가스가 탱크내에 머물러 발화,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는 흡인식이며, 전해 탱크의 내압을 높일 우려가 없어, 내압의 상승에 의한 물의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청구항 제 1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2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물을, 전해 탱크내로부터 끌어내어 순환시키기 위해,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설치한 순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14 항의 구성에서는, 청구항 제 1 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순환 펌프에 의한, 물을 끌어내는 작용에 의해, 전해 탱크내의 수압을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 배관접속부 등에서의 물의 누출을 방지하여, 물이 잘 누출되지 않는 용수처리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2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기체분리 필터는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해 탱크내는, 2 장 이상의 판형상 기체분리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3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전극은, 구분된 가장 상류측 영역에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제 15 항의 구성에서는, 가장 상류측 영역에 배치한 전극에서의 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한 미세기포가, 1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에서 포착되지 않고 통과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것을 2 장째 이후의 기체분리 필터에서 포착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물에서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5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전해 탱크내의, 가장 상류측 영역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검지수단과, 수위검지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전해 탱크에의 물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전해 탱크내의, 구획된 각 영역의 수위는, 수류에 대한 기체분리 필터의 저항의 영향에 의해, 상류측만큼 높고, 하류측만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청구항 제 16 항과 같이 전해 탱크내의, 최상류측 영역의 수위를 일정 범위로 제어하면, 전해 탱크로부터의 물의 누출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5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기체분리 필터는, 전해 탱크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제 17 항의 구성에서는, 수중에 혼입된 먼지 등에 의해 기체분리 필터의 눈이 막혔을 때 등의 보수가 용이하여, 막힘 등이 없는 양호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눈이 막히더라도, 전해 탱크의, 기체분리 필터보다 상류측의 수위가 너무 높아져 물이 누출되거나, 또는 기체분리 필터보다 하류측의 수위가 너무 낮아져 전해 탱크로부터 용수처리 경로를 통하여 풀로 되돌려지는 물에 공기 맞물림이 발생하여 풀 내의 물이 백탁화 (白濁化) 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용수처리 장치 (1) 를, 수영 풀 및 공중목욕탕의 욕조 등의, 대형 풀 (2) 에 장치한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풀 (2) 에는, 그 안에 저장된 물 (W) 을 순환시키기 위한 주순환 경로 (20) 가 구비되어 있다. 주순환 경로 (20) 에는, 순환 펌프 (23), 모래 여과를 위한 필터 (21), 및 물 (W) 을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 (22) 가 배치되어 있다. 풀(22) 의 물 (W) 은,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순환 경로 (20) 를 순환한다.
용수처리 장치 (1) 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순환 경로 (20) 의, 필터 (21) 의 하류측의, 제 1 분기점 (J1) 에서 분기되어 물을 주입하고, 열교환기 (22) 의 하류측의, 제 2 분기점 (J2) 에서 합류되어 물을 되돌리는 용수처리 경로 (10) 를 갖는다.
용수처리 경로 (10) 에는, 밸브 (B1), 감압을 위한 감압 밸브 (B2), 순환 펌프 (P1), 유량조정을 위한 조정 밸브 (B7), 수중의 이온의 총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전율 센서 (S1), 여과용 필터 (13), 이온교환수지 (14), 밸브 (B3), 전해멸균수단의 전해 탱크 (12), 밸브 (B5), 순환 펌프 (P2) 및 역류방지용 역류방지(逆止)밸브 (B6) 가 배치되어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조정 밸브 (B7) 와 도전율 센서 (S1) 사이에는, 분기점 (J3) 에서 분기되어, 조정 밸브 (B4) 를 통해 잔류염소 센서 (S2) 에 접속하고, 거기서부터 드레인구 (10a)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b) 가 접속되어 있다. 잔류염소 센서 (S2) 는, 그 구조상, 용수처리 경로 (10) 를 흐르는 수량보다도 적은, 극히 소량의 물을 항상 계속 흐르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배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해 탱크 (12) 의 출구측 수로에는, 전해 탱크 (12) 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 (S3) 가 구비되어 있따.
전해 탱크 (12) 에는 전극 페어 (11) 가 구비되어 있다. 전극 페어 (11) 는, 각각 복수장의 판형상 전극 (110) 을 갖는다. 전극 (110) 은, 예를 들면티타늄 (Ti) 제의 기판의 표면 전면에 금 (Au), 백금 (Pt), 팔라듐 (Pd), 백금-이리듐 (Pt-Ir) 등의 귀금속의 박막을, 도금법 및 소성처리에 의해 코팅한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13) 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용수처리 장치 (1) 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풀 (2) 의 물은 순환 펌프 (23) 로 퍼내어지고, 필터 (21) 로 모래 여과에 의해 유기물과 모래가 제거된다. 그리고, 제 1 분기점 (J1) 에서, 열교환기 (22) 를 통해 풀 (2) 로 환류되는 물과, 용수처리 경로 (10) 로 유입되는 물로 나뉘어진다. 용수처리 경로 (10) 에 유입되는 물은, 감압 밸브 (B2) 및 조정 밸브 (B7) 에 의해 그 수압 및 유량이 조정되고, 순환 펌프 (P1) 에 의해 순환된다. 순환되는 물은, 도전율 센서 (S1) 를 경유하여 필터 (13) 에 공급되어 유기물이 제거되고, 이온교환수지 (14) 에서 Ca2+, Mg2+등의 이온이 제거된 후, 밸브 (B3) 를 경유하여 전해 탱크 (12) 에 공급된다. 또, 물의 일부는 잔류염소 센서 (S2) 를 경유하여 드레인구 (10a) 로부터 배수된다.
전해 탱크 (12) 안에는, 전극 페어 (11) 에 직류의 전류가 통전됨으로써, 상기 반응식에 의한 전해가 행해지고, 이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차아염소산 (HClO) 및 그 이온 (ClO-), 또는 염소가스 (Cl2) 등의 염소함유 화합물이나 반응과정에서 극히 단시간 동안 발생하는 활성산소 (O2 -) 등에 의해 물이 멸균된다.
전해 탱크 (12) 를 통과한 물은 압력계 (S3) 에서 압력이 측정되고, 밸브 (B3) 를 경유하여 순환 펌프 (P2) 에 의해 순환된다. 순환되는 물은 역류방지 밸브 (B4) 를 경유하여, 제 2 분기점 (J2) 에서 주순환 경로 (20) 의 물과 합류되어 풀 (2) 로 되돌려진다. 또, 이 때 전해 탱크 (12) 안이 비정상적으로 고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계 (S3) 의 측정수압에 따라 감압 밸브 (B2) 에 의한 감압량이 조정된다.
상기 용수처리 장치 (1) 에서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전해 탱크 (12) 의 상류측과 하류측 양쪽에, 물순환을 위한 순환 펌프 (P1,P2) 를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하류측의 순환 펌프 (P2) 의, 물을 끌어올리는 작용에 의해, 전해 탱크 (12) 내의 수압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전해 탱크 (12) 의 상류측에만 순환 펌프 (P1) 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전해 탱크 (12) 의, 특히 배선의 인출부분 등에서의 물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출부분의 실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전율 센서 (S1) 에서 측정한 이온의 총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효율적인 전해 반응을 행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경우는,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전해질을, 필요에 따라서 수용액의 상태로, 용수처리 경로 (10) 내에 보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페어 (11) 를 구성하는 복수장의 전극 (110) 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해 탱크 (12) 내의, 물의 유입구 (12a) 로부터 유출구 (12b) 에 이르는 수류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다) 와 평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같이 배치하면, 전극 (110) 에 발생하는, 수류에 대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전해 탱크 (12) 내의 수압을 더욱 낮춰, 물누출 방지의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해 탱크 (12) 의 하측에 받침접시 (1f) 를 배치하면, 전해 탱크 (12) 에서 물누출이 발생해도, 누출된 물에 의해 단락이나 누전 등이 발생할 위험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1g 는, 받침접시 (1f) 에서 받은 물을, 장치밖의 배수부 (배수홈 등) 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경로이다.
전해 탱크 (12), 및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배관의, 적어도 물과 접촉하는 내면은, 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염소함유 화합물이나 활성산소에 의한 부식을 억제하여 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내식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함유 화합물이나 활성산소에 대한 내식성을 갖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테프론 등의 수지나, 티타늄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배관 전체나, 전해 탱크 (12) 전체를, 이들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그러나, 수압에 의한 물누출도 방지하고, 물누출 방지의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배관 자체나 전해 탱크 (12) 자체는 내압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하고, 그 중 물과 접촉하는 내면에, 상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도 3 원내의 F)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는, 전해 탱크 (12) 의 경우, 전체를 압력용기용 탄소구리판 등으로 형성하고, 그 내면에, 상기 수지를 도장, 또는 라이닝한 것이나, 같은 내면을 티타늄의 호일이나 증착막, 용사막(溶射膜) 등으로 피복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배관으로는, 내면에 수지를 라이닝한 강관을 들 수 있다.
도 4(a)(b) 는, 상기 용수처리 장치 (1) 를, 캐비넷 (1a) 내에 유닛화한 외관을 나타내는 도이다. 유닛은, 수영 풀 등의 설비내에 설치된다.
캐비넷 (1a) 내에는, 필터 (13) 와 이온교환수지 (14) 를 내장한 여과기 (1b), 전해 탱크 (12), 순환 펌프 (P2), 및 이들의 부재를 연결하는 용수처리 경로 (10) 와, 장치의 각부를 상술한 것과 같이 동작시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 (1c) 와, 소정 순서에 따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시퀀서: 1d) 와, 받침접시 (1f) 가 배치된다. 또, 도면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비넷 (1a) 에 인접하고, 그 외측에, 앞서 서술한 보급용 전해액을 저장하기 위한 용액 탱크 (30a) 와, 용액 탱크 (30a) 에 저장한 전해액을 용수처리 경로에 공급하는 정량 펌프 (P3) 를 배치하고, 이들 부재를, 전해액의 공급 경로 (30b), 및 용액 탱크 (30a) 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도입경로 (30c) 로 연결해도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용수처리 장치 (1) 를, 빌딩의 옥상 등에 배치되는 급수조, 일반가정용 욕조와 같은 소형 풀 (2') 에 장치한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이 예에서는, 앞서 서술한 주순환 경로 (20) 가 본래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수처리 장치 (1) 의 용수처리 경로 (10) 를, 상기 풀 (2') 에 직접 접속하여 전체의 구성을 간략화하고 있다.
또, 용수처리 경로 (10) 상에 배치되는 각 부재는, 기본적으로 도 1 의 예와동일하지만, 용수처리 경로 (10) 에는 대형 풀 (2) 에 접속한 경우와 같은 높은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감압 밸브 (B2) 는 생략되어 있다. 또, 밸브 (B3, B15) 도 생략되어 있다. 기타, 도 1 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역류방지 밸브 (B6) 는, 도면에서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종단을, 풀 (2') 의, 물 (W) 의 통상의 수면보다 아래에 접속하고 있고, 용수처리 경로 (10) 내에의 물 (W) 의 역류를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단, 용수처리 경로 (10) 의 종단을, 풀 (2') 의, 물 (W) 의 통상의 수면보다 위에 접속하여 대기에 개방하는 경우는, 역류방지 밸브 (B6) 를 생략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도 4(a)(b) 에서 설명한 용액 탱크 (30a) 등을 포함하는, 전해액 첨가용의 경로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이온교환수지 (14) 와 밸브 (B3) 사이의 분기점 (J4) 에서 도입경로 (30c) 가 분기되어 있다. 도입경로 (30c) 의 도중에는 밸브 (B8) 가 개재되어 있다. 물은, 밸브 (B8) 를 엶으로써, 도입경로 (30c) 를 통해 용액 탱크 (30a) 에 공급된다. 용액 탱크 (30a) 내에는 염화나트륨 등의 전해질 (E1) 이 수용되어 있고, 물이 공급됨으로써, 용액 탱크 (30a) 내가 교반되어, 포화농도의 전해액 (E2) 이 제조되어, 저장된다. 이 전해액 (E2) 은, 정량 펌프 (P3) 에 의해, 공급 경로 (30b) 를 통해 끌어올려지고, 분기점 (14) 의 하류측의 분기점 (J5) 에서 용수처리 경로 (10) 에 합류되어전해 탱크 (12) 에 공급된다. 기타, 도 1 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용액 탱크 (30a) 에 공급되는 전해질 (E1) 로는, 상술한 염화나트륨 대신, 염화칼슘 또는 염산 등이라도 되고, 물의 전해 반응에 기여하는 전해질이라면 된다. 단,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해질 보급의 회수를 줄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갖기 때문에, 고형의 전해질이 바람직하다.
전극 페어 (11) 에 통전하여 전해 반응을 행할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잔류염소 센서 (S2) 의 측정결과로부터 추측되는 물의 수질에 따라 판단된다. 이에 비해, 용액 탱크 (30a) 로부터 용수처리 경로 (10) 에의 전해액 (E2) 의 공급의 유무, 및 공급량은, 도전율 센서 (S1) 에 의해 측정된 물의 총 이온농도에 의거하여 판단된다. 즉, 물의 총 이온농도가 낮고, 물의 도전율이 낮으면 전해 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총 이온 농도가 소정치 이상이 되는 양의 전해액 (E2) 이, 용액 탱크 (30a) 로부터 용수처리 경로 (10) 에 공급된다. 이는, 물의 잔류염소농도와 도전율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물의 잔류염소농도가 낮아도 도전율은 충분히 높아, 전해액을 보급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 물의 잔류염소농도가 낮다고 해서 전해액을 보급하면, 전해 반응시에 전극 페어 (11) 를 흐르는 전류치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사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해액의 1 회 공급량은, 전극 페어 (11) 를 흐르는 전류치가 허용범위내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소다 수용액 등의,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멸균액 (E3) 을 주입하여, 저장하기 위한 멸균액 탱크 (31a) 를 첨가한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역류방지 밸브 (B6) 와 제 2 분기점 (J2) 사이의 분기점 (J6) 에서 공급 경로 (31b) 가 분기되어, 멸균액 탱크 (31a) 에 도달하고 있다. 공급 경로 (31b) 의 도중에는 역류방지 밸브 (B9) 와 정량 펌프 (P4) 가 개재되어 있다. 멸균액 탱크 (31a) 내에 저장된 멸균액 (E3) 은, 정량 펌프 (P4) 에 의해, 공급 경로 (31b) 를 통하여 끌어올려지고, 역류방지 밸브 (B9) 를 통하여 분기점 (J6) 에서 합류되어 용수처리 경로 (10) 에 공급된다. 기타, 도 6 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해멸균수단에 의한 전해 반응만으로는 충분히 멸균할 수 없는 경우라도, 멸균액 탱크 (31a) 에서 멸균액 (E3) 을 공급함으로써, 물을 효율적으로 멸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해멸균수단에서의 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유리염소의 양은, 전극 (110) 의 전 표면적이 1.4 m2, 부하전압이 12 V 인 조건하에서, 식염수 (농도 0.03 %) 를 1 분간 전기분해한 경우, 1 분간 약 1 g 이다. 이에 비해, 멸균액으로서 농도 10 % 의 차아염소산 소다 수용액을 직접, 용수처리 경로 (10) 에 공급한 경우에서의 유리염소의 공급량은, 해당 수용액의 공급량이 100 미리리터/분인 경우, 1 분간 약 10 g 이다. 따라서, 풀의 물의 수질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지 않다면, 전해멸균수단에서의 전해 반응에 의한 멸균처리를 행하는 것이, 유리염소의 발생량은 적지만, 풀이나 목욕탕 등의 영업시간중이라도 임의로 또는 정기적으로 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입장자수, 기후, 기온 등에 따라 풀의 물의 수질이 현저하게 저하된 경우에는, 멸균액을 직접 공급하는 방법을 병용하는 것이, 단시간에 수질을 개선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멸균액은, 통상은 수용액의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희석한 수용액의 상태로 공급된다. 특히, 후자의 상태로 공급함으로써, 멸균액의 자극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멸균액 탱크 (31a) 를, 용수처리 경로 (10) 가 아니라 주순환 경로 (20) 에 접속한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순환 경로 (20) 의, 제 2 분기점 (J2) 과 풀 (2) 사이의 분기점 (J7) 에서 공급 경로 (31b) 가 분기되어, 멸균액 탱크 (31a) 에 도달하고 있다. 공급 경로 (31b) 의 도중에는 역류방지 밸브 (B9) 와 정량 펌프 (P4) 가 개재되어 있다. 멸균액 탱크 (31a) 내에 저장된 멸균액 (E3) 은, 정량 펌프 (P4) 에 의해, 공급 경로 (31b) 를 통하여 끌어올려지고, 역류방지 밸브 (B9) 를 통하여 분기점 (J7) 에서 합류되어 주순환 경로 (20) 에 공급된다. 기타, 도 6 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용수처리 장치 (1) 의 보수시 등, 용수처리 경로 (10) 에의 물의 공급을 정지하는 경우라도, 용수처리 경로 (10) 와는 별도의 루트로, 물에 멸균액 (E3) 을 공급하여 멸균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예의 용수처리 장치 (1) 는, 주순환 경로 (20) 에 접속된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비하고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제 1 분기점 (J1) 으로부터 전해 탱크 (12) 에 이르는 도상에는, 조정 밸브 (B7), 필터 (13), 이온교환수지 (14), 밸브 (B10), 및 도전율 센서 (S1)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용수처리 경로 (10) 의, 밸브 (9) 와 도전율 센서 (1) 사이에는, 분기점 (J3) 에서 분기되어, 조정 밸브 (B4) 를 통하여 잔류염소 센서 (S2) 에 접속하고, 그로부터 드레인구 (10a)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b) 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전해 탱크 (12) 로부터 제 2 분기점 (J2) 에 이르는 도상에는 순서대로, 순환 펌프 (P2), 유량조정을 위한 조정 밸브 (B11), 및 역류방지 밸브 (B6)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용수처리 경로 (10) 의, 조정 밸브 (B11) 와 역류방지 밸브 (B6) 사이에는, 분기점 (J6) 에서 분기되어, 멸균액 (E3) 을 저장하는 멸균액 탱크 (31a) 에 이르는 공급 경로 (31b) 가 접속되어 있다. 공급 경로 (31b) 상에는 정량 펌프 (P4) 가 배치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구성은, 대개 도 8 의 예와 동일하다.
도 8 의 구성과의 주요한 차이점은,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전해 탱크 (12) 의 상류측에서 분기되어, 전해 탱크 (12) 의 하류측에서 그리고 공급 경로 (31b) 의 분기점 (J6) 의 상류측에서 용수처리 경로 (10) 에 합류하는 바이패스 경로 (10c) 를 설치한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이패스 경로 (10c) 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조정 밸브 (B7) 와 필터 (13) 사이의 분기점 (J8) 에서 분기되어, 밸브 (B12) 를 통하여, 조정 밸브 (B11) 와 분기점 (J6) 사이의 분기점 (J9) 에서용수처리 경로 (10) 에 합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수처리 장치 (1) 의 보수시나, 또는 고장시, 또는 잔류염소농도의 급격한 저하시에는 밸브 (B10) 를 닫음과 동시에 밸브 (B12) 를 열어, 물을 압력손실이 적은 바이패스 경로 (10c) 를 통하여 순환시키면서, 거기에 공급 경로 (31b) 로부터 멸균액 (E3) 을 공급하여 멸균이 행해진다. 이 전환은 수동으로 실시해도 되고, 잔류염소농도의 급격한 저하시의 전환은, 잔류염소 센서 (S2) 에 의한 잔류염소농도의 측정치를 기초로, 자동으로 실시해도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소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용액 탱크 (30a) 등을 포함하는, 전해액 첨가용 경로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환언하면, 도 6 의 구성을 소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에 적용한 예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는, 풀 (2') 에 직결된 용수처리 경로 (10) 의, 이온교환수지 (14) 와 밸브 (B3) 사이의 분기점 (J4) 에서 도입경로 (30c) 가 분기되어 있다. 도입경로 (30c) 의 도중에는 밸브 (B8) 가 개재되어 있다. 물은, 밸브 (B8) 를 엶으로써, 도입경로 (30c) 를 통해 용액 탱크 (30a) 에 공급된다. 용액 탱크 (30a) 내에는 염화나트륨 등의 전해질 (E1) 이 수용되어 있고, 물이 공급됨에 따라 용액 탱크 (30a) 내가 교반되어, 포화농도의 전해액 (E2) 이 제조되어 저장된다. 이 전해액 (E2) 은, 정량 펌프 (P3) 에 의해, 공급 경로 (30b) 를 통하여 끌어올려지고, 분기점 (14) 의 하류측의 분기점 (J5) 에서 용수처리 경로 (10) 에 합류되어 전해 탱크 (12) 에 공급된다. 기타, 도 5 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용수처리 경로 (10) 에, 전해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를 물에서 분리하기 위한 기체분리 필터를 설치한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순환 펌프 (P2) 와 역류방지 밸브 (B6) 사이에, 기체분리 필터를 내장한 필터 케이스 (40) 를 설치하고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순환 펌프 (P2) 와 필터 케이스 (40) 사이에는, 분기점 (J10) 에서 분기되어, 대기에 해방된 드레인구 (10d)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e) 가 접속되어 있다. 분기 경로 (10e) 상에는, 기포제거를 위한 밸브 (공기배출 밸브) (B13), 및 삼방 밸브 (B14) 가 배치되어 있다. 삼방 밸브 (B14) 에는, 분기 경로 (10e) 에서 다시 분기되어, 용수처리 경로 (10) 의, 필터 케이스 (40) 와 역류방지 밸브 (B6) 사이의 분기점 (J11)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f) 가 접속되어 있다. 기타, 도 1 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2 는, 필터 케이스 (40) 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필터 케이스 (40) 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기체분리 필터 (41) 와, 이 기체분리 필터 (41) 를 내부에 수용하는, 통형이며 바닥이 있는 하측 케이스 (40a) 와, 하측 케이스 (40a) 의 상부 개구를 덮고, 용수처리 경로 (10) 에 접속되는 상측 케이스 (40b) 를 갖는다.
기체분리 필터 (41) 는, 물은 통과시키지만, 혼입된 미세기포는 통과시키지 않고 포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기체분리 필터 (41) 로는, 천연섬유제 또는 화학섬유제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전해멸균수단에서의 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염소함유 화합물이나 활성산소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으로 형성되고, 또한 미세기포를 용이하게 투과시키지 않는 눈이 작은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통공의 사이즈는, 그 평균입경이 1 ∼ 100 ㎛, 특히 10 ∼ 5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의 사이즈가 이 범위 미만에서는, 수류에 대한 기체분리 필터 (41) 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용수처리 장치 (1) 에 의한, 물을 멸균하는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역으로, 이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미세기포를 투과시키지 않고 포착하는 효과가 불충분해져, 미세기포 제거의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기체분리 필터 (41) 를 통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시트상의 기체분리 필터 (41) 를, 주방향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1 겹 이상, 롤 형상으로 감는 것이 좋다. 또, 플리츠 형상으로 접어 구부린 기체분리 필터 (41) 를, 주방향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양단을 겹쳐 통형상으로 해도 된다.
용수처리 경로 (10) 를 흘러 필터 케이스 (40) 에 도달한 물은, 도면중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 (40b) 의 좌측의 유입구로부터 하측 케이스 (40a) 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물은, 하측 케이스 (40a) 내에 수용된 기체분리 필터 (41) 의, 통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할 때, 혼입된 미세기포가 기체분리 필터 (40) 에 의해 포착되어 분리된 후, 기체분리 필터 (41) 의 통의 내측을 상승하여, 상측 케이스 (40b) 의 우측의 유출구로부터 유출된다. 그리고, 물은 상기와 같이 역류방지 밸브 (B6), 분기점 (J2) 을 통하여 풀 (2) 에 되돌려진다. 또, 기체분리 필터 (41) 에 의해 포착된 미세기포는 상류측, 즉 하측 케이스 (40a) 내의, 기체분리 필터 (41) 의 통의 외측에 체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그 다수개가 결합하여 대직경화함으로써 부력이 발생하여, 수중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체류한 기포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2 가지가 고려된다. 하나는, 용수처리 장치 (1) 의 운전시간중에 기포를 제거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새로운 미세기포가 발생하지 않을 때, 즉 전해멸균수단에 의한 물의 멸균이 정지되어 있을 때 등을 가늠하여 삼방 밸브 (B14) 를 전환하여, 분기 경로 (10e 와 10f) 를 접속함과 동시에, 밸브 (13) 를 연다. 그러면, 기포는 순환 펌프 (P2) 로부터의 송수에 의해, 물과 함께, 두 분기 경로 (10e,10f), 역류방지 밸브 (B6), 분기점 (J2) 을 통하여 풀 (2) 에 보내진다. 그러나, 이 기포는, 상기와 같이 수중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대직경화한 것이므로, 풀 (2) 의 물을 하얗게 탁하게 하지 않고, 신속하게 물에서 제거된다. 또 다른 하나의 경우는, 용수처리 장치 (1) 의 운전정지시에, 다량으로 체류한 기포 또는 기포가 모인 가스를 제거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삼방 밸브 (B14) 를 전환하여, 분기 경로 (10e) 를 드레인구 (10d) 에 접속함과 동시에, 밸브 (13) 를 연다. 그리고, 순환 펌프 (P2) 를 작동시켜 조금만 물을 보내면, 체류한 가스가 드레인구 (10d) 로부터 배출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소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용수처리 경로(10) 에, 전해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를 물에서 분리하기 위한 기체분리 필터를 내장한 필터 케이스 (4) 를 설치한 점에 있다. 환언하면, 도 11 의 구성을 소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에 적용한 예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는, 풀 (2') 에 직결된 용수처리 경로 (10) 의, 순환 펌프 (P2) 와 역류방지 밸브 (B6) 사이에, 기체분리 필터를 내장한 필터 케이스 (40) 를 설치하고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순환 펌프 (P2) 와 필터 케이스 (40) 사이에는, 분기점 (J10) 에서 분기되어, 대기에 해방된 드레인구 (10d)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e) 가 접속되어 있다. 분기 경로 (10e) 상에는, 공기배출 밸브 (B13), 및 삼방 밸브 (B14) 가 배치되어 있다. 삼방 밸브 (B14) 에는, 분기 경로 (10e) 에서 다시 분기되어, 용수처리 경로 (10) 의, 필터 케이스 (40) 와 역류방지 밸브 (B6) 사이의 분기점 (J11)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f) 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부재의 작용은, 도 11 의 경우와 동일하다. 기타, 도 5 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전해 탱크 (12) 의 하류측에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를 설치하여, 이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내에 기체분리 필터 (51) 를 배치한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전해 탱크 (12) 와 밸브 (B5) 사이에, 밸브 (B15) 와,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를 설치하고 있다.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내는, 도면에서는 2 장의, 판형상 기체분리 필터 (51,51) 를 설치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따라서, 3 개의 영역 (500a∼500c) 으로 구분되어 있다.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의 천판 (52) 의, 가장 상류측 영역 (500a)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분리된 기체를 탱크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구 (5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천판 (52)의, 영역 (500a)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에의 물의 유입구 (10g) 측의 배관도 접속되어 있다. 또, 천판 (52) 의, 가장 하류측 영역 (500c)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로부터의 물의 유입구 (10h) 측의 배관이, 상기 영역 (500c) 의 내부까지 삽입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 (10g) 와 유출구 (10h) 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의 수평방향에 있어서, 대각선상의 각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양자의 거리를 크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2 장의 기체분리 필터 (51) 에서 포착되지 않고 통과하는 미세기포가 발생한 경우라도, 그것이 유출구 (10h) 로부터 흡입되어 풀 (2) 에 유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출구 (10h) 를, 기체분리 필터 (51) 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기체분리 필터 (52) 로 덮으면, 미세기포가 유출구 (10h) 에서 흡입되어 풀 (2) 에 유입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의 출구측 수로에는,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 (S4) 가 구비되어 있다. 기타, 도 11 과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를 흘러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에 도달한 물은, 먼저유입구 (10g) 로부터, 가장 상류측 영역 (500a) 에 주입된다. 그리고, 물은 상류측의 순환 펌프 (P1) 에 의한 물을 주입하는 압력과, 하류측의 순환 펌프 (P2) 에 의한 물을 끌어내는 부압과의 차이에 의해, 1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를 통과하여 다음 영역 (500b) 으로 이동할 때, 미세기포의 대부분이, 상기 1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에 포착된다. 1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에서 포착된 미세기포는 영역 (500a) 에 체류하고, 상기와 같이 다수개가 결합하여 대직경화함으로써 부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수면에 부상하여, 수면상의 기상측으로 이동하여 가스배출구 (52a) 를 통하여 탱크밖으로 배출된다.
또, 만약 1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를 통과하는 미세기포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이러한 미세기포의 대부분은, 2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및 물의 유출구 (1h) 를 덮는 기체분리 필터 (52) 에 의해 포착되어, 이들 필터 (51,52) 를 통과하는 물에서 분리된다. 즉, 1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에서 분리되지 않고 영역 (500b) 에 들어간 미세기포의 대부분은, 영역 (500b) 에 들어간 물이, 상기 수압의 차이에 의해, 2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를 통과하여, 가장 하류측 영역 (500c) 으로 이동할 때, 2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에서 포착된다. 또, 2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에서도 포착되지 않고 가장 하류측 영역 (500c) 에 들어간 미세기포의 대부분은, 물이 유출구 (1h) 로부터 끌어내질 때, 기체분리 필터 (52) 에 의해 포착된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 (500b,500c) 에 남겨진 미세기포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체류하고 있는 동안 다수개가 결합하여 대직경화함으로써 부력이 발생하고, 수면에 부상하여 수면상의 기상측으로 이동한다. 또,미세기포의 대부분이, 각 필터 (51,51,52) 에 의해 포착됨으로써 분리된 후의 깨끗한 물은, 밸브 (B5), 순환 펌프 (P2), 및 역류방지 밸브 (B6) 를 통하여 풀 (2) 로 되돌려진다.
도 16 은, 도 14 의 용수처리 장치 (1) 를 캐비넷 (1a) 내에 유닛화한 외관을 나타내는 도이다.
캐비넷 (1a) 내에는, 필터 (13) 와 이온교환수지 (14) 를 내장한 여과기 (1b), 전해 탱크 (12), 전원장치 (1c), 마이크로 컴퓨터 (시퀀서:1d) 및 받침접시 (1f)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 캐비넷 (1a) 에 인접하고, 그 외측에, 기체액체 분리탱크 (50), 및 순환 펌프 (P2) 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부재가 용수처리 경로 (10) 에서 연결되어 있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 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기체분리 필터 (51) 를 전해 탱크 (12) 내에 배치하고, 전해 탱크 (12) 에, 상술한 기체액체 분리탱크의 작용을 겸하게 한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에서는 2 장의, 판형상의 기체분리 필터 (51,51) 를 설치함으로써, 전해 탱크 (12) 내를, 물의 흐름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따라서, 3 개의 영역 (120a∼120c) 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상류측 영역 (120a) 에는, 복수장의 전극 (110) 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페어 (11) 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용수처리 경로 (10) 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12a) 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해 탱크 (12) 의 천판의, 상기 영역 (120a)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분리된 기체를 탱크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구 (12c) 가 형성되어 있다. 전해 탱크 (12) 의 가장 하류측 영역 (120c) 에는, 물을 탱크내에서 용수처리 경로 (10) 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 (12b) 가 설치되어 있다. 기타, 도 14 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를 흘러서 전해 탱크 (12) 에 도달한 물은, 먼저 유입구 (12a) 로부터, 가장 상류측 영역 (120a) 에 주입된다. 그리고 주입된 물은, 필요에 따라 전극 페어 (11) 에 통전함으로써, 전해 반응에 의해 멸균된다. 이 때, 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의 대부분은 직경이 큰 기포이기 때문에, 스스로의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고, 수면상의 기상측으로 이동하여, 가스배출구 (12c) 를 통해 탱크밖으로 배출된다. 또, 부상하지 않고 물에 혼입된 미세기포의 대부분은 상류측 순환 펌프 (P1) 에 의한 물을 주입하는 압력과, 하류측의 순환 펌프 (P2) 에 의한 물을 끌어 내는 부압과의 차에 의해, 물이 다음 영역 (120b) 으로 이동할 때에, 1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에 의해 포착되어, 영역 (120a) 내에 체류한다. 그리고, 다수개가 결합하여 대직경화함으로써 부력이 발생하여 수면에 부상한 다음 수면상의 기상측으로 이동하여, 가스배출구 (12c) 를 통해 탱크밖으로 배출된다. 또, 만일 1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를 통과하는 미세기포가 발생했다고 하여도, 이러한 미세기포의 대부분은 2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 에 의해 포착된다. 그리고, 영역 (120b) 에 남겨진 미세기포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체류하고 있는 동안에 다수개가 결합하여 대직경화함으로써 부력이 발생하여, 수면에 부상하고 수면상의 기상측으로 이동한다. 또 미세기포의 대부분이, 2 장째의 기체분리 필터 (51,51) 에 의해 포착됨으로써 분리된 후의 깨끗한물은, 밸브 (B5), 순환 펌프 (P2), 및 역류방지 밸브 (B6) 를 통해 풀 (2) 로 되돌려진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 의 구성과의 주된 차이점은, 분리한 기체를 전해 탱크밖으로 배기하기 위한 흡인식 송풍기 (F1) 를 구비하는 점이다.
이 예의 용수처리 장치 (1) 는, 주순환 경로 (20) 에 접속된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비하고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제 1 분기점 (J1) 으로부터 전해 탱크 (12) 에 이르는 도상에는, 밸브 (B1), 유량조정을 위한 조정 밸브 (B16), 유량계 (S5), 밸브 (B17) 및 여과용 필터 (13) 가 배치되어 있다. 전해 탱크 (12) 내에는, 복수장의 판형상 전극 (110) 으로 이루어진 전극 페어 (11) 가 배치되어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유량계 (S5) 와 밸브 (B17) 사이에는, 분기점 (J12) 에서 분기되어 전해 탱크 (12)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i) 가 접속되어 있다. 분기 경로 (10i) 상에는, 감압을 위한 감압 밸브 (B18), 유량조정을 위한 조정 밸브 (B19), 잔류염소 센서 (S2) 및 삼방 밸브 (B20) 가 배치되어 있다. 삼방 밸브 (B20) 에는, 분기 경로 (10i) 에서 다시 분기되어, 폐수용 드레인구 (도시생략)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j) 가 접속되어 있다. 잔류염소 센서 (S2) 는, 상기와 같이 극히 소량의 물을 항상 계속 흐르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배치가 된다. 즉, 용수처리 장치 (1) 의 운전시에는, 분기 경로 (10i) 를 통하여 소량의 물을 전해 탱크 (12) 에 계속 흐르게 하고, 용수처리 장치 (1) 의 정지시에는, 밸브 (B17) 를 닫음과 동시에 삼방 밸브 (B20) 를 전환하여, 분기 경로 (10j) 를 통하여 드레인구에 소량의 물을 계속 흐르게 함으로써, 잔류염소 센서 (S2) 가 정상상태로 유지된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밸브 (B17) 과 필터 (13) 사이에는, 물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 (S6) 가 접속되어 있다. 이 압력계 (S6) 와 상기 유량계 (S5) 는 주로, 주순환 경로 (20) 로부터 용수처리 경로 (10) 로의 물의 공급이 어떠한 원인으로 정지되거나 감소되어, 전해 탱크 (12) 내의 수위가 이상 저하되었을 때에, 전극 페어 (11) 나 후술하는 순환 펌프 (P2) 로의 통전을 정지하여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이들 부재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전해 탱크 (12) 로부터 분기점 (J2) 에 이르는 도상에는 순서대로, 순환 펌프 (P2), 유량계 (S7), 역류방지를 위한 역류방지 밸브 (B21), 유량조정을 위한 조정 밸브 (B22,B23) 및 밸브 (B24) 가 배치되어 있고, 또, 유량계 (S7) 와 역류방지 밸브 (B21) 사이에는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 (S8) 가 접속되어 있다. 이 압력계 (S8) 와 유량계 (S7) 는 주로, 용수처리 경로 (10) 로부터 주순환 경로 (20) 로의 물의 환류가 어떠한 원인으로 정지되거나 감소되어, 전해 탱크 (12) 내의 수위가 이상 상승했을 때, 전해 탱크 (12) 의 공기도입구 (121a) 등에서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 (B1,B24) 를 닫고, 용수처리 경로 (10) 를 주순환 경로 (20) 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압력계 (S8) 와 역류방지 밸브 (B21) 사이에는, 차아염소산 소다의 수용액 등과 같은 멸균액 (E4) 을 주입하여 저장하기 위한 용액 탱크 (60) 가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압력계 (S8) 와 역류방지 밸브 (B21) 사이의 분기점 (J13) 에서 공급 경로 (61) 가 분기되어, 용액 탱크 (60) 에 도달하고 있다. 공급 경로 (61) 의 도중에는 정량 펌프 (P5) 가 개재되어 있다. 용액 탱크 (50) 내에 저장된 멸균액 (E4) 은, 정량 펌프 (P5) 에 의해 공급 경로 (61) 를 통하여 끌어올려지고, 분기점 (J13) 에서 합류되어 용수처리 경로 (10) 에 공급된다. 용액 탱크 (60) 로부터 공급되는 멸균액 (E4) 을, 전극 페어 (11) 에 의한 전해 반응과 함께 물의 멸균에 병용한 경우에는, 전극 (110) 에의 통전시간을 삭감하여, 그 급속한 소모 및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수영 풀이나 공중목욕탕의 영업개시시 등에, 수중의 잔류염소농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멸균을 급속히 다량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을 때 등에도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대응할 수 있다.
전해 탱크 (12) 는, 도 19 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주체를 이루는 상자형 본체 (120) 와, 이 본체 (120) 의 상부 개구를 덮어 전해 탱크 (12) 의 상면부를 구성하는 뚜껑 (121)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120) 내는, 전술한 2 장의 기체분리 필터 (51,51) 에 의해, 3 개의 영역 (120a∼120c) 으로 구획되어 있다. 3 개의 영역 (120a∼120c) 중, 최상류측 영역 (120a) 내에는, 복수장의 전극 (110) 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페어 (11)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최하류측 영역 (120c) 의 저부에는, 물을 탱크내에서 용수처리 경로 (10) 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 (12b) 가 형성되어 있다.
전해 탱크 (12) 내의, 각 영역 (120a∼120c) 에서의 물 (W) 의 수면보다 상측이면서 필터 (51,51) 의 윗변보다 상측에는, 뚜껑 (121) 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틈에 의해, 전해 탱크 (12) 내에, 도면중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영역 (120a∼120c) 에 걸친 가스유통로 (12d) 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 (121) 중, 수류에 대한 필터 (51,51) 의 저항의 영향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수위가 가장 낮아지고, 이에 의해 수면상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최하류측 영역 (120c) 의 직상위치에는, 필터 (51,51) 에 의해 물 (W) 에서 분리된 미세기포에 기원하는 가스를 탱크밖으로 강제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인식 송풍기 (F1) 를 갖춘 배기관 (F2) 이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 (F2) 은, 뚜껑 (121) 에 형성한 가스의 흡입구 (121b) 로부터 송풍기 (F1) 를 경유하여 탱크의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뚜껑 (121) 중 최상류측 영역 (120a) 의 직상위치에는, 상기 송풍기 (F1) 에 의해, 도면중 흑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밖으로 배출되는 가스 대신, 도면중 백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내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도입구 (121a) 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의 흡입구 (121b) 와 공기도입구 (121a) 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 (121) 의 가스유통로 (12d) 상의 가장 먼 대각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기 (F1) 를 운전하면, 필터 (51,51) 에 의해 물 (W) 에서 분리된 미세기포에 기원하는 가스가, 공기도입구 (121a) 로부터 흡입구 (121b) 로의 가스유통로 (12d) 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실려 효율적으로 탱크밖으로 배출된다.
또, 뚜껑 (121) 의, 영역 (120a) 의 직상위치에는, 용수처리 경로 (10) 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12a) 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 (121) 의, 영역 (120a) 의 직상위치에는, 전극 페어 (11) 를 최상류측 영역 (120a) 내에 배치하기 위해, 당해 전극 페어 (11) 를 구성하는 복수장의 전극 (110) 을 지지하는 소뚜껑 (122) 이, 뚜껑 (121) 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소뚜껑 (122) 은, 복수장의 전극 (110) 을 지지하는 평판형상의 저판(底板) (122a) 과, 이 저판 (122a) 의 주연부로부터, 각 전극 (110) 의 기부를 둘러싸도록 돌출되게 설치한, 뚜껑 (121) 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 (122b) 와, 상기 리브 (122b) 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칼날부 (122c) 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도 19 에 나타낸 뚜껑 (121) 에의 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칼날부 (122c) 의 하면과 뚜껑 (121) 의 상면 사이에 장착된 실(seal)재 (123) 에 의해, 양 뚜껑 (121, 122) 사이가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다.
또, 뚜껑 (121) 의, 영역 (120a) 의 직상위치에는 또한, 영역 (120a) 내의 수위를 일정범위로 제어하는 제어수단 (도시생략) 에 접속된, 수위검지수단으로서의 수위검지 센서 (SW1) 가, 그 수위검지부 (SW1a) 를 영역 (120a) 내에 삽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어수단은, 수위검지 센서 (SW1) 의 수위검지부 (SW1a) 에서 검지한, 최상류측 영역 (120a) 내의 물 (W) 의 수위 데이터를 기초로, 밸브 (B1) 의 개폐나, 조정 밸브 (B2) 에 의한 유량의 조정을 실시함으로써, 전해 탱크(12) 로의 물의 유입량을 조정한다. 그리고 이 조정에 의해, 영역 (120a) 의 물 (W) 의 수위를 일정범위로 제어한다.
뚜껑 (121) 의, 영역 (120b) 의 직상위치에는, 상술한 분기 경로 (10i) 가 접속되어 있다.
전해 탱크 (12) 의 하측에는 누출된 물의 받침접시 (1f) 가 배치되어 있어, 만일, 전해 탱크 (12) 에서 물의 누출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누출된 물에 의한 단락이나 누전 등의 우려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1g 는, 받침접시 (1f) 에서 받은 누출된 물을,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구로 보내기 위한 배수 경로, B25 는, 배수 경로 (1g) 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밸브이다.
도 21 은, 전해 탱크 (12) 의 주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용수처리 경로 (10) 중, 전해 탱크 (12) 로부터의 물의 유출구 (12b) 측의 배관이, 유출구 (12b) 를 최하류측 영역 (120c) 의 저부 근방에 위치시키도록, 전해 탱크 (12) 의 상측으로부터, 뚜껑 (121) 을 통해 영역 (120c) 의 내부까지 삽입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전해 탱크 (12) 의 상류측에 설치한 분기점 (J14) 에서 분기시켜, 순환 펌프 (P2) 에, 기동시에 필요한 마중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 경로 (10k) 를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기 경로 (10k) 를 상기 분기점 (J14) 에서 분기시키고, 밸브 (B26) 를 통해, 전해 탱크 (12) 와 순환 펌프 (P2) 사이의 분기점 (J15) 에서 용수처리 경로 (10) 에 합류시키고 있다. 또, 용수처리 경로 (10) 의, 분기점 (J14) 과 전해 탱크 (12) 사이에는 밸브 (B27) 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전해 탱크 (12) 와 분기점 (J15) 사이에는 밸브 (B28) 를 설치하고 있다. 기타, 도 19 의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 순환 펌프 (P2) 의 운전을 원활하게 개시하기 위해서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상류측이, 주순환 경로 (20) 로부터의 수압이 가해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각각 사양이 다른 순환 펌프 (P2) 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즉, 용수처리 경로 (10) 의 상류측이, 주순환 경로 (20) 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순환 펌프 (P2) 로서 통상의 펌프가 사용된다. 그리고, 우선 밸브 (B27,B28) 를 닫음과 동시에 개폐 밸브 (B26) 를 연다. 그러면, 주순환 경로 (20) 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마중물이 분기 경로 (10k) 를 통해 자동적으로 순환 펌프 (P2) 에 공급되어, 파손되지 않고 기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용수처리 경로 (10) 의 상류측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밸브 (B26) 를 열어도 물이 분기 경로 (10k) 를 통해 자동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구조의 경우는, 순환 펌프 (P2) 로서 자급식의 펌프를 사용한다. 자급식 순환 펌프 (P2) 는, 마중물로서의 물을 펌프 운전시의 흡인력에 의해 자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언제라도 파손되지 않고 기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순환 펌프 (P2) 를 기동한다. 그러면, 물이 분기 경로 (10k) 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순환 펌프 (P2) 의 운전이 안정된다.거기서 개폐 밸브 (B27) 를 열고, 물을 전해 탱크 (12) 에도 공급개시한다. 그리고, 이 물이 필터 (51,51) 를 통해 최하류측 영역 (120c) 으로 흘러들어가, 용수처리 경로 (10) 의 물의 유출구 (12b) 가 물에 잠긴 시점에서 밸브 (B28) 를 열면, 영역 (120c) 으로부터의 물이, 순환 펌프 (P2) 의 흡인력에 의해 용수처리 경로의 후반부분을 채워 평상의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밸브 (B26) 를 닫아, 평상의 운전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대형 풀 (2) 용 용수처리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 의 구성과의 주된 차이점은, 기체분리 필터 (51,51) 를 전해 탱크 (12) 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한 점이다.
이 예의 용수처리 장치 (1) 는, 주순환 경로 (20) 에 접속된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비하고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제 1 분기점 (J1) 으로부터 전해 탱크 (12) 에 이르는 도상에는, 밸브 (B1), 유량조정을 위한 조정 밸브 (B16), 여과용 필터 (13) 및 밸브 (B29)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전해 탱크 (12) 로부터 분기점 (J2) 에 이르는 도상에는 순서대로, 전해 탱크 (12) 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S7), 순환 펌프 (P2), 역류방지 밸브 (B30), 유량조정을 위한 조정 밸브 (B31) 및 밸브 (B32) 가 배치되어 있다. 이중 밸브 (B31, B32) 는, 용수처리 장치 (1) 의 설치 및 보수 등의 작업시에, 주순환 경로 (20) 와의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작업을, 주순환 경로 (20) 의 압손 및 공기맞물림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양호한 작업성으로 행하기 위해, 용수처리 경로 (10) 상의 분기점 (J1), 분기점 (J2) 에 가능한한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필터 (13) 와 밸브 (B29) 사이에는, 분기점 (J12) 에서 분기되어 밸브 (B33) 와, 감압 밸브 (B18) 와, 조정 밸브 (B19) 를 통해 잔류염소 센서 (S2) 에 접속하여, 거기서부터 전해 탱크 (12) 에 이르는 분기 경로 (10i) 가 설치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조정 밸브 (B16) 와 필터 (13) 사이에는 접속부 (U1) 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 (U1) 에는, 장치 (1) 의 설치시 및 보수 등에, 조정 밸브 (B16) 에 의해, 용수처리 경로 (10) 의 분기점 (J1) 에서 전해 탱크 (12) 에 이르는 상류측 부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을 조정할 때에, 그 유량을 실측하는 유량계가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또, 용수처리 경로 (10) 의, 역류방지 밸브 (B30) 와 조정 밸브 (B31)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접속부 (U2) 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 (U2) 에는, 조정 밸브 (B31) 에 의해 용수처리 경로 (10) 중, 전해 탱크 (12) 에서 분기점 (J2) 에 이르는 하류측 부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을 조정할 때에, 그 유량을 실측하는 유량계가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접속부 (U1, U2) 모두, 예를 들면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배관의 도중에 한쌍의 유니온 이음매를 배치하여, 그 사이의 배관을 착탈이 자유롭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리고 이 유니온 이음매 사이의 배관을, 유량계를 접속한 것과 바꿔 연결한 상태에서 용수처리 장치 (1) 를 작동시켜, 조정 밸브 (B16, B31) 에 의한 유량의 조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장치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밸브 (B1, B32) 를 닫아 수류를 정지시킨 다음, 유량계를 떼어내 통상의 배관을 접속함으로써 평상의 운전상태로 된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역류방지 밸브 (B30) 와 접속부 (U2) 사이에는, 차아염소산 소다의 수용액 등과 같은 멸균액 (E4) 을 주입하고, 저장하기 위한 용액 탱크 (60) 가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용수처리 경로 (10) 의, 역류방지 밸브 (B30) 와 접속부 (U2) 사이의 분기점 (J13) 에서 공급 경로 (61) 가 분기되어, 용액 탱크 (60) 에 도달하고 있다. 공급 경로 (61) 의 도중에는 정량 펌프 (P5) 가 개재되어 있다. 용액 탱크 (60) 내에 저장된 멸균액 (E4) 은, 정량 펌프 (P5) 에 의해 공급 경로 (61) 를 통하여 끌어 올려지고, 분기점 (J13) 에서 합류되어 용수처리 경로 (10) 에 공급된다.
용수처리 경로 (10) 의, 접속부 (U1) 와 필터 (13) 사이에는, 분기점 (J5) 에서 분기되어, 밸브 (B34) 를 통해, 역류방지 밸브 (B30) 와 분기점 (J13) 사이의 분기점 (J17) 에 도달하는 바이패스 경로 (10m) 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 페어 (11) 의 보수시 및 고장시, 또는 잔류염소농도의 급격한 저하시 등에는 밸브 (B29) 를 닫고, 밸브 (B34) 를 열어, 물을 압손이 적은 바이패스 경로 (10m) 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거기에 용액 탱크 (60) 로부터 멸균액 (E4) 을 공급하여 멸균이 이루어진다. 이 전환은 수동으로 행할 수도 있으며, 후자의 잔류염소농도의 급격한 저하시의 전환은, 잔류염소 센서 (S2) 에 의한 잔류염소농도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행할 수도 있다.
분기점 (J13) 과 접속부 (U2) 사이에는,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 (S8) 가 접속되어 있다.
전해 탱크 (12) 의 하측에는, 누출된 물의 받침접시 (1f) 가 배치되어 있다. 받침접시 (1f) 에서 받은 물은, 배수 경로 (1g) 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구로 보내진다. B25 는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밸브이다. 또 용수처리 경로 (10) 의 유량계 (S7) 와 순환 펌프 (P2) 사이에는, 분기점 (J18) 에서 분기되어 밸브 (B35) 를 통해, 분기점 (J19) 에서 배수 경로 (1g) 에 합류하는 분기 경로 (10n) 가 설치되어 있다. 분기 경로 (10n) 는, 예를 들면 보수시 등에 밸브 (B35) 를 열어, 전해 탱크 (12) 내 및 용수처리 경로 (10) 내에 남은 물을 빼내어, 상기 드레인구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전해 탱크 (12) 는, 기본적으로 도 19 와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도 23, 2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51) 를 전해 탱크 (12) 의 본체 (120) 로부터 떼어낼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형상으로 형성한 필터 (51) 의 주연부를, 본체 (120) 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 형성한 2 개의 볼록부 (120e,120e) 사이에 상측에서 넣고 빼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 뚜껑 (121) 의, 필터(51)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 (121c) 가 형성되어 있어, 통상은 이 개구 (121c) 가 소뚜껑 (124) 에 의해 덮여 있다. 또, 소뚜껑체 (124) 와 뚜껑 (121) 은, 소뚜껑체 (124) 의 플랜지부 (124a) 와, 뚜껑 (121) 의 상면 사이에 장치된 실재(seal) (125) 에 의해 누수나 가스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봉된다.
또, 도면의 예에서는, 뚜껑 (121) 의, 영역 (120a) 의 직상위치에 배치한 수위검지 센서 (SW1) 에 부가하여, 영역 (120c) 의 직상위치에도 수위검지수단으로서의 수위검지 센서 (SW2) 가, 그 수위검지부 (SW2a) 를 영역 (120c) 내에 삽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타, 도 19 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25 는, 도 22 의 용수처리 장치 (1) 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수처리 장치 (1) 는, 전극 페어 (11) 에 통전제어하면서 용수처리 경로 (10), 바이패스 경로 (10m), 공급 경로 (61) 등을 구성하는 각 부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부 (70) 를 구비하고 있다.
수위검지 센서 (SW1, SW2), 유량계 (S7), 잔류염소 센서 (S2) 및 압력계 (S8) 의 출력은 제어부 (70) 로 부여된다. 제어부 (70) 내에는, 각종 동작의 타이밍을 규정하기 위한 타이머 (71) 와, 예를 들면 풀 (2) 에 저류되는 수량이나 기준염소농도 등의 초기값을 등록한 메모리 (72) 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 (70) 는, 상기 각 센서의 출력, 타이머 (71) 에 의해 규정된 타이밍, 및 메모리 (72) 에 등록된 초기값에 근거하여 각종 연산을 행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어신호를 드라이버 (73) 에 부여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73) 는 부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전극 페어 (11) 로의 통전출력 (통전전류), 통전시간 등의 통전제어를 실시하고, 밸브 (B29,B33,B34) 의 개폐, 그리고 각 펌프 (P2,P5), 송풍기 (F1) 의 구동제어를 실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SW3) 는, 상기 제어부 (70) 를 이용한 자동운전과, 센서류로부터의 출력신호와는 관계없이, 전극 페어 (11) 로의 통전 및 용수처리 경로 (10) 등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행하는 수동운전을 전환하는 자동-수동 전환 스위치이다,
도 26 은, 제어부 (70) 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 중, 수위검지 센서 (SW1) 를 이용한 눈막힘 검출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용수처리 장치 (1) 의 전원이 투입되고,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각부가 작동하여, 전해 탱크 (12) 의 최상류측 영역 (120a) 에 물이 흘러들어가면, 우선 제어부 (70) 는 그 수위가 수위검지 센서 (SW1) 의 검지범위 중 소정 수위 (H0) 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텝 (SP1)).
이어서, 수위가 H0에 도달한 시점에서 타이머 (71) 를 리셋 (T ←0) 하여 계시(計時)를 개시하고 (스텝 (SP2)), 수위가 H1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된 시간 (T1) 을 구한다 (스텝 (SP3 ∼ SP4)).
그리고 이 시간 (T1) 을 미리 메모리 (72) 에 기록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시간 (T1) 이 상한의 임계값 (TL) 보다 긴 (T1TL) 경우는, 전해 탱크 (12) 보다 상류측에서 눈막힘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표시한다 (스텝 (SP5 ∼ SP6)).
한편, 시간 (T1) 이 하한의 임계값 (TS) 보다 짧은 (T1<TS) 경우는, 전해 탱크 (12) 내의 기체분리 필터 (51,51) 중 어느 하나가 눈이 막혀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표시한다 (스텝 (SP7 ∼ SP8)).
또한, 시간 (T1) 이, 상기 두 임계값 (TL, TS) 의 범위내 (TS≤T1≤TL) 인 경우는, 어느 부분에서도 눈막힘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스텝 (SP7)),아무것도 표시하지 않고 눈막힘 검출의 제어를 종료한다.
도 27 은, 제어부 (70) 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 중, 유량계 (S7) 를 이용한 눈막힘 검출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용수처리 장치 (1) 의 전원이 투입되고,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각부가 작동하여, 용수처리 경로 (10) 안을 물이 순환하기 시작하면, 제어부 (70) 는 유량계 (S7) 에 의해 그 유량 (F) 을 측정한다 (스텝 (SP9)).
그리고, 이것을 미리 메모리 (72) 에 기록된 임계값 (F1) 과 비교하여, 측정값 (F) 이 임계값 (F1) 보다 작은 (F<F1) 경우는, 전해 탱크 (12) 내의 기체분리 필터 (51,51) 중 어느 하나거나, 또는 전해 탱크 (12) 보다 상류측에서 눈막힘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표시한다 (스텝 (SP10 ∼ SP11)).
또, 측정값 (F) 이 임계값 (F1) 이상 (F ≥F1) 인 경우에는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고, 장치 (1) 의 운전이 종료하기까지 이 검출을 계속한다 (스텝 (SP10, SP12)).
도 28 은 제어부 (70) 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 중, 압력계 (S8) 를 이용한 눈막힘 검출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용수처리 장치 (1) 의 전원이 투입되고,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각부가 작동하여, 용수처리 경로 (10) 안을 물이 순환하기 시작하면, 제어부 (70) 는 압력계 (S8) 에 의해 그 수압을 측정한다 (스텝 (SP13)).
그리고, 이것을 미리 메모리 (72) 에 기록된 임계값 (P1) 과 비교하여, 측정값 (P) 이 임계값 (P1) 보다 작은 (P<P1) 경우는, 전해 탱크 (12) 내의 기체분리 필터 (51,51) 중 어느 하나거나, 또는 전해 탱크 (12) 보다 상류측에서 눈막힘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표시한다 (스텝 (SP14 ∼ SP15)).
한편, 측정값 (P) 이 임계값 (P1) 이상 (P ≥P1) 인 경우에는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고, 장치 (1) 의 운전이 종료하기까지 이 검출을 계속한다 (스텝 (SP14, SP16)).
상기 도 26 ∼ 도 28 의 눈막힘 검출은, 임의의 한 종류만을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 안전을 위해 2 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도 29 는, 제어부 (70) 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 중, 수위검지 센서 (S2) 를 이용한 공기맞물림 방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용수처리 장치 (1) 의 전원이 투입되고, 용수처리 경로 (10) 를 구성하는 각부가 작동하여, 용수처리 경로 (10) 안을 물이 순환하기 시작하면, 제어부 (70) 는 수위검지 센서 (S2) 에 의해, 전해 탱크 (12) 의, 최하류측 영역 (120c)의 물의 수위 (h) 를 측정한다 (스텝 (SP18)).
다음, 이 측정값을 미리 메모리 (72) 에 기록된 임계값 (h1) 과 비교하여, 측정값 (h) 이 임계값 (h1) 보다 작은 (h<h1) 경우는, 공기맞물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순환 펌프 (P2) 를 정지시킨다 (스텝 (SP19)).
그리고, 측정값 (h) 이 임계값 (h1) 이상 (h ≥h1) 으로 된 시점에서, 순환 펌프 (P2) 의 구동을 재개하여 (스텝 (SP20)), 장치 (1) 의 운전이 종료하기까지상기 일련의 조작을 계속한다 (스텝 (SP21)).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제 1 항에서와 같이.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배치한 순환 펌프에 의한 물을 끌어내는 작용에 의해, 전해 탱크내의 수압을 낮춤으로써, 물이 잘 누출되지 않는 용수처리 장치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제 1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전해 탱크내의 물에, 용액 탱크로부터 전해액을 공급함으로써, 전해 탱크내에서의 물의 염소이온농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멸균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2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용수처리 경로로부터 분기된, 용액 탱크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도입로를 구비하여, 용액 탱크내에 다량의 전해질을 공급해 둠으로써, 전해질 보급의 수고를 덜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제 3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용수처리 경로의 도입로의 분기점의 상류측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전극의 표면에 유기물이 부착되어, 전해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멸균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멸균 탱크와 그 공급 경로를 구비함으로써, 멸균액을 희석하여 용수처리 경로에 공급함으로써, 물의 수질저하의 정도에 적합한 멸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5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바이패스 경로를 구비함으로써, 물을 압력 손실이 적은 바이패스 경로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순환시키면서 멸균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수처리 경로를 주순환 경로로부터 분기시켜 배치하면, 용수처리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멸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7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멸균액 탱크와, 멸균액을 멸균액 탱크로부터 주순환 경로의 제 2 분기점의 하류측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경로를 구비함으로써, 용수처리 경로에의 물의 공급을 정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용수처리 경로와는 별도의 루트로 물에 멸균액을 공급하여 멸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7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주순환 경로의, 필터의 하류측에 설치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제 2 분기점을 주순환 경로의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설치함으로써, 용수처리 경로의 순환 펌프의 용량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0 항에서와 같이, 전해 탱크보다 하류측의 용수처리 경로에 설치한 기체분리 필터에 의해, 전해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를 물에서 분리함으로써, 항상 맑은, 외견상으로도 깨끗한 물을 풀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0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배치한 기체액체 분리탱크를 구비하고, 기체분리 필터를 기체액체 분리탱크내에 배치함으로써,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0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기체분리 필터를 전해 탱크내에 배치하여, 기체액체 분리탱크의 작용을 겸하게 함으로써, 장치의 스페이스 절약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2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전해 탱크에, 분리한 기체를 전해 탱크의 밖으로 배기하기 위한 흡인식 송풍기를 구비함으로써, 가스가 탱크내에 머물러 발화,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2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기체분리 필터를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해 탱크내는 2장 이상의 판형상 기체분리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3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전극은 구분된 가장 상류측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전극에서의 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한 미세기포를 보다 확실하게 물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2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물을, 전해 탱크내로부터 끌어내어 순환시키기 위해,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순환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배관접속부 등에서의 물의 누출을 방지하여, 물이 잘 누출되지 않는 용수처리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5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전해 탱크내의, 가장 상류측 영역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검지수단과, 수위검지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전해 탱크에의 물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전해 탱크로부터의 물의 누출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15 항의 용수처리 장치로써, 기체분리 필터를 전해 탱크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중에 혼입된 먼지 등에 의해 기체분리 필터의 눈이 막혔을 때 등의 보수가 용이하여, 막힘이 없는 양호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있다.

Claims (17)

  1. 물을 넣기 위한 전해 탱크와, 상기 전해 탱크내에 설치된 전해용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해 탱크내에 물을 주입하고 전극에 통전하여 전해함으로써 물을 멸균하기 위한 전해멸균수단과,
    물을 저장하는 풀에 접속되어, 상기 풀 내의 물을 상기 전해 탱크에 주입하고, 또 상기 전해 탱크내의 물을 상기 풀로 되돌리기 위한 용수처리 경로와,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설치한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넣기 위한 용액 탱크와,
    상기 전해액을, 상기 용액 탱크로부터 상기 전해 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처리 경로로부터 분기된, 상기 용액 탱크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도입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물을 여과하기 위해, 상기 용수처리 경로의, 도입로의 분기점의 상류측에 설치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멸균액을 넣기 위한 멸균액 탱크와,
    상기 멸균액을, 상기 멸균액 탱크로부터 상기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처리 경로의, 상기 전해 탱크의 상류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서, 또 상기 공급 경로의 분기점의 상류측에서 상기 용수처리 경로에 합류하는 바이패스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은, 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풀 내의 물을 필터에 공급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풀에 되돌리기 위한 주순환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용수처리 경로는, 주순환계로상의 제 1 분기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1 분기점의 하류측의, 제 2 분기점에서 상기 주순환 경로에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염소이온을 함유하는 멸균액을 넣기 위한 멸균액 탱크와,
    상기 멸균액을, 상기 멸균액 탱크로부터 상기 주순환 경로의, 제 2 의 분기점의 하류측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주순환 경로의, 필터의 하류측에 설치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분기점을, 상기 주순환 경로의,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10. 물을 넣기 위한 전해 탱크와, 상기 전해 탱크내에 설치된 전해용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해 탱크내에 물을 주입하고 전극에 통전하여 전해함으로써 물을 멸균하기 위한 전해멸균수단과,
    물을 저장하는 풀에 접속되어, 상기 풀 내의 물을 상기 전해 탱크에 주입하고, 또 상기 전해 탱크내의 물을 상기 풀로 되돌리기 위한 용수처리 경로와,
    전해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를 물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용수처리 경로에 설치한 기체분리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배치한 기체액체 분리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분리 필터를 상기 기체액체 분리탱크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리 필터를, 상기 전해 탱크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탱크는, 분리한 기체를 상기 전해 탱크의 밖으로 배기하기 위한 흡인식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물을, 전해 탱크내로부터 끌어내어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용수처리 경로의, 전해 탱크의 하류측에 설치한 순환 펌프를 구비하는 것를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리 필터는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전해 탱크내는, 2 장 이상의 판형상 기체분리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3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전극은, 구분된 가장 상류측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탱크내의, 가장 상류측 영역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검지수단과,
    상기 수위검지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전해 탱크에의 물의 주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리 필터는, 상기 전해 탱크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처리 장치.
KR10-2000-0077376A 1999-12-16 2000-12-16 용수처리장치 KR100404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793899A JP3403133B2 (ja) 1999-12-16 1999-12-16 水処理装置
JP35793799A JP3408218B2 (ja) 1999-12-16 1999-12-16 水処理装置
JP99357938 1999-12-16
JP99357937 1999-12-16
JP35935599A JP3398103B2 (ja) 1999-12-17 1999-12-17 水処理装置
JP99359355 1999-12-17
JP200030901 2000-02-08
JP2000030901A JP3505457B2 (ja) 2000-02-08 2000-02-08 水処理装置
JP2000101128A JP3495680B2 (ja) 2000-04-03 2000-04-03 水処理装置
JP2000101128 2000-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503A KR20010062503A (ko) 2001-07-07
KR100404949B1 true KR100404949B1 (ko) 2003-11-10

Family

ID=2753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376A KR100404949B1 (ko) 1999-12-16 2000-12-16 용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27073B2 (ko)
EP (1) EP1108684B1 (ko)
KR (1) KR100404949B1 (ko)
CN (1) CN1143828C (ko)
DE (1) DE60027115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618B1 (ko) 2006-05-03 2008-07-10 손백근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45617B1 (ko) 2006-05-03 2008-07-10 손백근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0787B2 (ja) * 2001-04-27 2007-12-12 三洋電機株式会社 水処理装置
JP3957476B2 (ja) * 2001-05-28 2007-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水処理装置
KR100421256B1 (ko) * 2001-07-12 2004-03-09 주식회사 이림테크 인공 해수 수영장 살균 처리 장치
EP1436069B1 (en) 2001-10-15 2011-02-09 Siemens Water Technologies Holding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purification
JP2003251355A (ja) * 2001-12-28 2003-09-09 Omega:Kk 用水等の浄化殺菌方法と其の装置
JP2005103374A (ja) * 2003-09-29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水処理装置
US20050103717A1 (en) 2003-11-13 2005-05-19 United States Filter Corporatio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8377279B2 (en) 2003-11-13 2013-02-19 Siemens Industry, Inc.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7563351B2 (en) 2003-11-13 2009-07-21 Siemens Water Technologies Holding Corp.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7846340B2 (en) 2003-11-13 2010-12-07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7083733B2 (en) * 2003-11-13 2006-08-01 Usfilter Corporatio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7862700B2 (en) 2003-11-13 2011-01-04 Siemens Water Technologies Holding Corp.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20050145550A1 (en) * 2004-01-07 2005-07-07 Casey Loyd Automatic chemical injection system for water recreational apparatus
EP1717205A1 (en) * 2004-02-13 2006-11-0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Method of liquid detoxif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EP1885655B1 (en) 2005-06-01 2014-12-1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Water treatment process by intermittent sanitization
CA2611557C (en) 2005-06-10 2013-08-06 Process Solutions, Inc. Electrolytic cell and system for treating water
US7569150B2 (en) * 2005-06-20 2009-08-04 Ecolab Inc. Dual generator single power source for tandem pool and spa
US7402252B2 (en) * 2005-06-20 2008-07-22 Ecolab Inc. Automated electrolyte addition for salt water pools, spas, and water features
KR100597254B1 (ko) * 2005-09-14 2006-07-06 한국해양연구원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전해 소독장치
US9227860B1 (en) * 2005-10-06 2016-01-05 King Technology Inc. Dispensing systems
EP1971553A4 (en) * 2005-12-09 2011-10-12 Kenneth Roland Varcoe HYPOCHLORITE CONTINUOUS GENERATOR
US20080067069A1 (en) 2006-06-22 2008-03-20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Low scale potential water treatment
US7744760B2 (en) 2006-09-20 2010-06-29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salination
US7641791B2 (en) * 2007-05-13 2010-01-05 King Technology Control system
CN101878187B (zh) 2007-11-30 2014-12-10 伊沃夸水处理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水处理的系统和方法
ES2350131B1 (es) * 2008-03-06 2011-12-12 Empresa Municipal De Aguas Y Saneamiento De Murcia, S.A.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tratar agua mediante electrocloracion
DE102008026546B4 (de) * 2008-05-29 2013-07-25 Eberhard Kop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ypohalogenithaltigen Biozids, mit diesem Verfahren erhältliches Biozid und dessen Verwendung
DE102008039667A1 (de) 2008-08-26 2010-04-08 Lufthansa Technik Ag Wasseraufbereit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e Trinkwasseranlage insbesondere in einem Passagierflugzeug
WO2010077350A2 (en) * 2009-01-02 2010-07-08 James Cornwel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ciating hydrogen and oxygen from water
CN101704564A (zh) * 2009-12-10 2010-05-12 波鹰(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游泳池水净化消毒装置及净化消毒方法
US20130284582A1 (en) * 2009-12-11 2013-10-31 Donald W. Booth Systems and Methods for Low Temperature Recovery of Fractionated Water
US8864964B2 (en) * 2010-09-22 2014-10-21 Tasos Inc. Electrolyzed hydrogen gas enhancement of hydrocarbon fuel combustion
US9409110B2 (en) * 2011-07-14 2016-08-09 Nalco Company Method of maintaining water quality in a process stream
US10156081B2 (en) 2011-07-29 2018-12-18 Hayward Industries, Inc. Chlorinators and replaceable cell cartridges therefor
AU2012290215A1 (en) 2011-07-29 2014-03-06 Hayward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hlorinators
US8354030B1 (en) * 2011-09-12 2013-01-15 Allen John Schuh Purification system for cyanotoxic-contaminated water
US8746490B2 (en) 2012-11-06 2014-06-10 Sonoco Development, Inc. Resealable package film
CN103864184B (zh) * 2014-03-27 2017-03-01 杨国锋 水质净化系统和方法
KR101772527B1 (ko) 2015-02-10 201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시스템
KR101717109B1 (ko) * 2015-02-10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공급장치 살균 방법
US20170137307A1 (en) * 2015-11-18 2017-05-18 Michael J. Geyer Methods and apparatus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US11058572B2 (en) * 2016-10-11 2021-07-13 Stryker Corporation Thermal control system
CN106477676A (zh) * 2016-10-27 2017-03-08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具有强化灭菌功能的智能电化学水处理装置
US10228359B2 (en) 2017-03-16 2019-03-12 Gecko Alliance Group Inc. Method, device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halogen levels in a body of water
US10934184B2 (en) 2017-03-21 2021-03-02 Hayward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nitizing pool and spa water
KR20200000585A (ko) * 2018-06-25 2020-01-03 유대현 살균수 제조 장치
US11168010B2 (en) * 2019-06-20 2021-11-09 Robert Gage Fortson Chlorinator device, system, and method
US11667542B2 (en) 2020-03-31 2023-06-06 Ecowater Systems Llc Longitudinal in-situ impedance and resin monitoring sensor, and method of measuring and tracking the movement of hardness in a water softener utilizing the same
EP4001466A1 (en) * 2020-11-16 2022-05-25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Electrolysis arrangement
CN114163030B (zh) * 2020-12-10 2024-08-0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系统的控制方法和净水系统
EP4014805A1 (en) * 2020-12-21 2022-06-22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delivering hot water and steam
AT524127B1 (de) * 2021-03-01 2022-03-15 Steinklauber Ind & Vermoegensverwaltu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pochloriger Säure durch Elektrolyse
CH718649B1 (de) * 2021-05-20 2023-09-15 Symbioswiss Sar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sinfektions- und Reinigungszusammensetzungen.
CN113562939A (zh) * 2021-09-09 2021-10-29 海南天鸿市政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集成jbr生物膜污水处理装置
CN114349249A (zh) * 2021-12-29 2022-04-15 徐州亚兴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废水污水处理装置
CN115721998A (zh) * 2022-12-05 2023-03-03 时代氢源(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内循环过滤和自动补水功能的水处理系统
CN115724508B (zh) * 2022-12-07 2024-07-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杀菌装置及包含其的清洁设备
EP4455427A1 (en) * 2023-04-28 2024-10-30 Leucum System SRL System for cleaning a swimming pool and process for operating it
CN118771544B (zh) * 2024-09-06 2024-11-26 四川省达科特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解法处理盐酸废水的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3092A1 (fr) * 1988-05-20 1989-11-23 Jean-Louis Billes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désinfection des eaux de baignade par de l'hypochlorite de sodium produit électrochimiquement in situ
JPH04277081A (ja) * 1991-03-05 1992-10-02 Daiki Rubber Kogyo Kk 用水の滅菌方法
KR960000780A (ko) * 1994-06-28 1996-01-25 야마다 미츠요 다당류 수용액용 순환목욕탕
KR960007463A (ko) * 1994-08-31 1996-03-22 신이치 나카무라 수영장물 및 목욕물의 정화장치
JPH09189141A (ja) * 1996-01-10 1997-07-2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水泳用プール水の殺菌消毒装置
JPH10309583A (ja) * 1997-05-09 1998-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1542A (en) * 1966-11-14 1967-11-07 Dow Chemical Co Electrolytic chlorination and ph control of swimming pool water
US3669857A (en) * 1970-07-30 1972-06-13 Ionics ELECTROLYTIC CHLORINATION AND pH CONTROL OF WATER
GB1426017A (en) 1973-04-27 1976-02-25 Discovery R D Ltd Water treatment
US4129493A (en) 1977-06-30 1978-12-12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Swimming pool chlorinator system
US4229272A (en) * 1979-03-30 1980-10-21 Dow Yates Chlorine generator and method
US4381240A (en) * 1981-05-05 1983-04-26 Harry M. Weiss Swimming pool water conditioning system
JP2670580B2 (ja) 1988-10-17 1997-10-29 西松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掘進機の水平ボーリングパイプ止水装置
JPH0651184B2 (ja) 1989-05-26 1994-07-06 株式会社ノーリツ 浴槽水殺菌浄化装置
JP3101335B2 (ja) 1991-03-11 2000-10-23 クロリンエンジニアズ株式会社 次亜塩素酸塩製造用電解槽
JPH05115878A (ja) 1991-04-08 1993-05-14 Tatsuo Okazaki 先止めの連続通水式電解イオン整水装置
JPH05115870A (ja) 1991-10-25 1993-05-14 Yamato Giken Kk 鑑賞魚飼育用水処理装置
JP2711382B2 (ja) 1992-06-30 1998-02-10 株式会社ワールドテック 水の電解消毒方法
EP0716622A4 (en) 1993-09-02 1997-03-05 Abbott Lab GAS SEPARATION FILTER
JPH07108273A (ja) 1993-10-13 1995-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循環水路殺菌方法及び循環水路殺菌装置
JP3438310B2 (ja) 1994-05-10 2003-08-18 株式会社ノーリツ 風呂ユニット
JPH07308354A (ja) 1994-05-18 1995-11-28 Noritz Corp 風呂ユニット
JP3427498B2 (ja) 1994-07-27 2003-07-14 株式会社ノーリツ 風呂ユニット
JP3672614B2 (ja) 1995-04-10 2005-07-20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電解殺菌装置を有する浴水循環装置
JPH0956614A (ja) 1995-08-25 1997-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循環温浴器
JPH0957270A (ja) 1995-08-30 1997-03-04 Funai Electric Co Ltd 強酸性水生成装置
JPH09157900A (ja) 1995-12-11 1997-06-17 T R P:Kk 電解反応装置
JP3667436B2 (ja) 1996-05-20 2005-07-0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H09323008A (ja) 1996-06-05 1997-12-16 Funai Electric Co Ltd 酸性水風呂
JPH09327407A (ja) 1996-06-13 1997-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循環温浴器
JPH10272472A (ja) 1997-01-31 1998-10-13 First Ocean Kk 水浄化装置
JPH10227524A (ja) 1997-02-15 1998-08-25 Bridgestone Corp 浴水循環装置
JPH10314748A (ja) 1997-03-17 1998-12-02 Denso Corp 殺菌装置
US5958229A (en) 1997-04-02 1999-09-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lectrolytic disinfectant system
JP3437911B2 (ja) 1997-07-16 2003-08-18 株式会社 日立インダストリイズ 水質維持装置
JPH11104645A (ja) 1997-10-01 1999-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JPH11114001A (ja) 1997-10-07 1999-04-27 Corona Kogyo Kk 電解槽を有する温水循環式浴槽装置
JPH11132560A (ja) 1997-10-31 1999-05-21 Mdk:Kk 塩素発生装置を有する循環温浴装置
JP3671639B2 (ja) 1997-12-22 2005-07-13 松下電工株式会社 浴用水の循環浄化装置
JP4165919B2 (ja) 1998-01-28 2008-10-15 株式会社オメガ 用水または排水の浄化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896212B2 (ja) 1998-05-21 2007-03-2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2000093971A (ja) 1998-09-25 2000-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3092A1 (fr) * 1988-05-20 1989-11-23 Jean-Louis Billes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désinfection des eaux de baignade par de l'hypochlorite de sodium produit électrochimiquement in situ
JPH04277081A (ja) * 1991-03-05 1992-10-02 Daiki Rubber Kogyo Kk 用水の滅菌方法
KR960000780A (ko) * 1994-06-28 1996-01-25 야마다 미츠요 다당류 수용액용 순환목욕탕
KR960007463A (ko) * 1994-08-31 1996-03-22 신이치 나카무라 수영장물 및 목욕물의 정화장치
JPH09189141A (ja) * 1996-01-10 1997-07-2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水泳用プール水の殺菌消毒装置
JPH10309583A (ja) * 1997-05-09 1998-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618B1 (ko) 2006-05-03 2008-07-10 손백근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45617B1 (ko) 2006-05-03 2008-07-10 손백근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8684A3 (en) 2002-01-09
EP1108684B1 (en) 2006-04-05
DE60027115D1 (de) 2006-05-18
CN1304883A (zh) 2001-07-25
EP1108684A2 (en) 2001-06-20
US20010010296A1 (en) 2001-08-02
US6627073B2 (en) 2003-09-30
KR20010062503A (ko) 2001-07-07
CN1143828C (zh)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949B1 (ko) 용수처리장치
KR100404948B1 (ko) 용수처리장치
KR100437308B1 (ko) 수처리장치
ES2732673T3 (es) Dispositivo de fabricación de hipoclorito de sodio o ácido hipocloroso y sistema de tratamiento de aguas en general
US4693806A (en) Chlorine generator device
JP4289848B2 (ja) 水処理装置
KR100566126B1 (ko) 수처리장치
JP3505457B2 (ja) 水処理装置
JP3495680B2 (ja) 水処理装置
JP2001170642A (ja) 水処理装置
JP3530452B2 (ja) 水処理装置
JP2001293476A (ja) 水処理装置
JP3902386B2 (ja) 水処理装置
JP2003039071A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JP3403133B2 (ja) 水処理装置
JP4693881B2 (ja) 水処理装置
JP4693886B2 (ja) 水処理装置
JP3398103B2 (ja) 水処理装置
JP2001170639A (ja) 水処理装置
KR20140086600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2003251354A (ja) 水処理装置
JP3671639B2 (ja) 浴用水の循環浄化装置
JP3671684B2 (ja) 浴槽水浄化装置
JP3530446B2 (ja) 水処理装置
JP2018130682A (ja) 可搬型水処理装置とそ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