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618B1 -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618B1
KR100845618B1 KR1020060039915A KR20060039915A KR100845618B1 KR 100845618 B1 KR100845618 B1 KR 100845618B1 KR 1020060039915 A KR1020060039915 A KR 1020060039915A KR 20060039915 A KR20060039915 A KR 20060039915A KR 100845618 B1 KR100845618 B1 KR 100845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silver
level
silver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506A (ko
Inventor
김영갑
손백근
Original Assignee
손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백근 filed Critical 손백근
Priority to KR102006003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6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oducing oligodynamic substances to disinfect th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은(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대중목욕탕, 찜질방, 헬스클럽의 사우나, 음식점 등과 같이 대량의 물을 소비하는 장소에 은 이온 전해수를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이 저장된 은 이온 전해수로 인체의 몸 또는 식자재 세척시 은이 갖는 고유의 살균효과에 의해 표피에 부착된 각종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제2전해조와 저장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 내부 일측에는 물의 고.저.위험수위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의 내부 타측에는 은을 전해하여 은 이온이 콜로이드 상태로 물에 분포되도록 은 이온 전해수를 형성하는 제1, 제2은 전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와 저장조의 일측에는 원수(수돗물)가 유입되는 제1배관으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전해조와 저장조 사이에는 제2배관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관에는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원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배관에는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제1, 제2전해조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에 강제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와 제3솔레노이드밸브, 제2펌프와 제4솔레노이드밸브가 직렬로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와, 상기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와, 상기 제1, 제2전해조에 유입된 물을 은 이온 전해수로 형성하는 제1, 제2 은 전해장치와, 상기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콘트롤부에 의해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시킨 후,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를 통해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를 읽어 들이는 초기수위 판독과정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가 모두 저수위로 판단되면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원수를 공급하는 초기급수과정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 중 제1전해조 또는 제2전해조의 수위가 저수위로 판단되거나 제1전해조와 제2전해조의 수위가 모두 저수위로 판단되면, 저수위로 판단된 각 전해조에 원수를 공급한 후 원수가 공급된 각 전해조의 수위가 고수위로 판단될 경우 원수의 급수를 중단하는 제1, 제2전해조 보충급수과정과, 상기 초기급수과정 또는 제1, 제2전해조 보충급수과정 후, 상기 제 1, 제2 은 전해장치를 일정 시간동안 구동하여 전해조에 유입된 물을 은 이온 전해수로 생성하는 제1, 제2 은 전해과정과, 상기 제1, 제2 은 전해과정 후, 저장조가 저수위인지의 여부, 제1, 제2 은 전해장치의 동작여부, 이전에 제1, 제2전해조 중에서 어떤 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였는지를 판독하는 전해수공급 판단과정과, 상기 전해수공급 판단과정에서 저장조가 저수위이고, 은 전해장치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전에 제1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가 공급되었을 경우 제2전해조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로 공급하는 제1전해수 보충급수과정과, 상기 전해수공급 판단과정에서 저장조가 저수위이고, 은 전해장치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전에 제2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가 공급되었을 경우 제1전해조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로 공급하는 제2전해수 보충급수과정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가 모두 위험수위로 판단되면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 공급을 전면 중단시키는 비상급수 차단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039915
은, 은이온, 전해, 전해수, 콜로이드, 살균, 대중목욕탕, 찜질방, 사우나

Description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feeding electrolytic water with mass Ag 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수위감지부의 구성도.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은 전해장치의 구성도.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콘트롤부의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콘트롤부인 마이크로 프로세스 유닛의 제어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제1, 제2전해조 20 : 저장조
31~35 :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 36a, 36b, 36c : 제1배관
37a, 37b : 제2배관 41a, 41b : 제1, 제2수위감지부
42, 51 : 고정체 43, 52 : 커버
44, 53 : 통공 46 : 제3수위감지부
50a, 50b : 제1, 제 2은 전해장치 54a, 54b : 은봉
60 : 콘트롤부 61 : 전원장치
62 : 드라이브 63 : MPU
64 : 스위칭부 70 : 디스플레이부
71 : 상태표시부 72 : 파워램프
73 : 전해장치 동작램프 74 : 펌프동작램프
75 : 밸브구동표시램프
본 발명은 대용량 은(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대중목욕탕, 찜질방, 헬스클럽의 사우나, 음식점 등과 같이 대량의 물을 소비하는 장소에 은 이온 전해수를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이 저장된 은 이온 전해수로 인체의 몸 또는 식자재 세척시 은이 갖는 고유의 살균효과에 의해 표피에 부착된 각종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銀-silver)은 옛날부터 금과 더불어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 려진 유익한 광물로서, 살균효과가 우수하여 고대 그리스나 로마인들은 은 항아리에 물을 저장해 먹었고, 서부 개척시대의 미국인들은 소에서 막 짜낸 우유에 은화를 넣어 살균한 후 마셨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대부터 독을 방지하는 물건으로 은을 선호하여 은수저와 은침을 만들어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동의보감에는 은이 냉.경기, 간질 등과 같은 질병을 다스린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본초강목에는 은을 몸에 지니게 되면 오장이 편하고 심신이 안정되며 사기(邪氣)를 쫓고 몸을 가볍게 하여 명을 길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 의학에서도 은의 살균, 탈취 등의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은의 매우 뛰어난 살균 효과를 이용하여 최근에 들어 의류, 침구, 생필품 등에 접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봉 형태의 은을 전해하여 은이 콜로이드 상태로 함유된 은 이온 전해수의 음용이 널리 보편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은 이온 전해수를 제조하는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가 제작 및 판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통상의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는 은이 고가인 관계로 소형화되어 일반가정 및 음식점 위주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 대기의 환경이 오염되어 공기 중에 수많은 세균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세균은 인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거나 의류를 통해 접촉됨으로서 피부병과 알레르기를 유발하게 되어 자주 몸을 씻어주도록 권장하고 있다.
특히, 대중목욕탕, 찜질방, 헬스클럽의 사우나, 음식점 등과 같은 곳에서 보다 나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몸 또는 식자재 세척시 각종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 록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은 이온 전해수로서 세척할 경우 물의 사용량이 너무 많아 기존의 소형으로 제작된 공급장치로는 은 이온 전해수의 공급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서 은 이온 전해수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저수위시 원수(原水)를 공급받고, 고수위시 일정 시간동안 은을 전해하여 은 이온 전해수를 생성하는 2개의 전해조와, 저수위시 상기 2개의 전해조에서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교대로 공급받아 항시 은 이온 전해수를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지하는 저장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와 저장조 사이에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되, 콘트롤부에서 전해조와 저장조의 수위레벨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와 펌프 및 은 전기전해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대중목욕탕, 찜질방, 헬스클럽의 사우나, 음식점 등과 같이 대량의 물을 소비하는 장소에 은 이온 전해수를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체의 몸 또는 식자재 세척시 은이 갖는 고유의 살균효과에 의해 표피에 부착된 각종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제2전해조와 저장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 내부 일측에는 고정체에 의해 고정되는 저수위레벨센서, 고수위레벨센서, 위험수위레벨센서가 구비되고 고정체의 외측에는 하부가 개구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는 제1수위감지부, 제2수위감지부, 제3수위감지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의 내부 타측에는 은을 전해하여 은 이온이 콜로이드 상태로 물에 분포되도록 은 이온 전해수를 형성하는 제1, 제2은 전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와 저장조의 일측에는 원수(수돗물)가 유입되는 제1배관으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전해조와 저장조 사이에는 제2배관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관에는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원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제3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배관에는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제1, 제2전해조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에 강제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1펌프와 제4솔레노이드밸브가 직렬로 설치되며, 제2펌프와 제5솔레노이드밸브가 직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와, 상기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와, 상기 제1, 제2전해조에 유입된 물을 은 이온 전해수로 형성하는 제1, 제2 은 전해장치와, 상기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콘트롤부에 의해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시킨 후,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를 통해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를 읽어 들이는 초기수위 판독과정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가 모두 저수위로 판단되면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원수를 공급하는 초기급수과정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 중 제1전해조 또는 제2전해조의 수위가 저수위로 판단되거나 제1전해조와 제2전해조의 수위가 모두 저수위로 판단되면, 저수위로 판단된 각 전해조에 원수를 공급한 후 원수가 공급된 각 전해조의 수위가 고수위로 판단될 경우 원수의 급수를 중단하는 제1, 제2전해조 보충급수과정과, 상기 초기급수과정 또는 제1, 제2전해조 보충급수과정 후, 상기 제 1, 제2 은 전해장치를 일정 시간동안 구동하여 전해조에 유입된 물을 은 이온 전해수로 생성하는 제1, 제2 은 전해과정과, 상기 제1, 제2 은 전해과정 후, 저장조가 저수위인지의 여부, 제1, 제2 은 전해장치의 동작여부, 이전에 제1, 제2전해조 중에서 어떤 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였는지를 판독하는 전해수공급 판단과정과, 상기 전해수공급 판단과정에서 저장조가 저수위이고, 은 전해장치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전에 제1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가 공급되었을 경우 제2전해조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로 공급하는 제1전해수 보충급수과정과, 상기 전해수공급 판단과정에서 저장조가 저수위이고, 은 전해장치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전에 제2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가 공급되었을 경우 제1전해조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로 공급하는 제2전해수 보충급수과정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가 모두 위험수위로 판단되면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 공급을 전면 중단시키는 비상급수 차단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수위감지부의 구성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은 전해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콘트롤부의 블록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콘트롤부인 마이크로 프로세스 유닛의 제어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용량의 은 이온수를 생성하고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제2전해조(10a)(10b)와, 상기 제1, 제2전해조(10a)(10b)로부터 생성된 은 이온수를 교대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조(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제2전해조(10a)(10b) 내부 일측에는 물의 고.저.위험수위를 감지 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2수위감지부(41a)(41b)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조(20) 내부 일측에는 물의 고.저.위험수위를 감지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3수위감지부(46)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전해조(10a)(10b)의 내부 타측에는 은을 전해하여 은 이온이 콜로이드 상태로 분포되도록 은 이온 전해수를 형성하는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제2전해조(10a)(10b)와 저장조(20)의 일측에는 원수(수돗물)가 유입되는 제1배관(36a)(36b)(36c)으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1, 제2전해조(10a) (10b)와 저장조(20) 사이에는 제2배관(37a)(37b)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관(36a)(36b)(36c)에는 콘트롤부(60)의 제어에 의해 원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31)(32)(33)가 설치되며, 상기 제2배관(37a)(37b)에는 콘트롤부(60)의 제어에 의해 제1, 제2전해조(10a)(10b)에 형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에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제2펌프(38a)(38b)와 제4, 제5솔레노이드밸브(34)(35)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제5솔레노이드밸브(34)(35)는 제1, 제2펌프(38a)(38b)의 고장 발생시에 유로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실제로 설치할 경우에는 삭제하여도 무방하며, 미 설명부호 39는 배출밸브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제1, 제2전해조(10a)(10b)와 저장조(20)의 내부 일측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41a)(41b)(46)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41a)(41b)(46)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수위레벨센서(S1), 고수위레벨센서(S2), 위험수위레벨센서(S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저, 고, 위험수위레벨센서(S1)(S2)(S3)는 고정체(42)에 의해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고정체(42)의 외측에는 하부가 개구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44)이 형성된 커버(43)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41a)(41b)(46)는 고정체(42)가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있고, 물의 수위에 따라 저, 고, 위험수위레벨센서(S1)(S2)(S3)와 통전되는 스위칭 작용으로 수위를 감지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지기술로서 자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하며, 제작회사 또는 제1, 제2전해조(10a)(10b) 및 저장조(20)의 저장용량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종류 및 구조는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트롤부(6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으로 전해되어 은 이온이 콜로이드상태로 물에 존재하도록 하는 은봉(54a)(54b)이 구비되고, 이 은봉(54a)(54b)은 고정체(51)에 의해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고정체(51)의 외측에는 하부가 개구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53)이 형성된 커버(52)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지기술로서 은 전해원리 및 자세한 동작과정은 생략하며, 제작회사 또는 사용용도, 전해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종류와 구조는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에 있어 콘트롤부(60)는 도 4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워스위치(PW)가 연결되며 AC 220V의 전원을 정류하여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의 구동전압인 DC 100V의 전원과,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의 구동전압인 DC Vcc2와, 드라이브(62), MPU(63), 스위칭부(64)의 구동전압인 DC Vcc1을 출력하는 전원장치(6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41a)(41b)(46)로부터 감지된 제1, 제2전해조(10a)(10b) 및 저장조(20)의 수위레벨에 따라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스 유닛(63)(이하“MPU(63)”이라 한다)이 구비되고, 상기 MPU(63)의 일측 출력단에는 스위칭부(64)를 통해 제1, 제2펌프(38a)(38b)와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가 연결되며, 상기 MPU(63)의 다른 출력단에는 각종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70)가 접속되고, 상기 MPU(63)의 또 다른 출력단에는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를 원활하게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브(62)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의 전해시간, 인가전압, 에러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71)와, 전원공급시 점등되는 파워램프(72)와,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 구동시 점등되는 전해장치 동작램프(73)와, 제1, 제2펌프(38a)(38b) 구동시 점등되는 펌프동작램프(74)와,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 구동시 점등되는 밸브구동표시램프(75)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도 1 내지 도 5b에 의해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콘트롤부(60)의 전원장치(61)에 연결된 파워스위치(PW)를 온(on)상태로 접속하게 되면 전원장치(61)에서 AC 220V의 전원을 정류하여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의 구동전압인 DC 100V의 전원과,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전압인 DC Vcc2와, 드라이브(62), MPU(63), 스위칭부(64)의 구동전압인 DC Vcc1을 출력하게 되어 시스템이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즉, 파워스위치(PW)의 조작에 의해 MPU(63)에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PU(63)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시스템을 초기화(단계 101)시킨 후,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41a)(41b)(46)를 통해 제1, 제2전해조(10a)(10b) 및 저장조(20)의 수위를 읽어들이는(단계 102) 초기수위 판독과정(L1)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L1)에서 제1, 제2전해조(10a)(10b)와 저장조(20)의 수위가 모두 저수위로 판단(단계 103)될 경우에는 시스템이 처음 동작중인 상태이거나 또는 물의 사용이 많음을 인지하여 드라이브(62)를 통해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31)(32)(33)를 동시에 구동하여 개방상태로 전환(단계 104)함으로써, 상기 제1, 제2전해조(10a) (10b) 및 저장조(20)에 원수(수돗물 또는 지하수)을 공급하는 초기급수과정(L2)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L1)에서 제1, 제2전해조(10a)(10b) 및 저장조(20)의 수위가 모두 저수위로 판단(단계 103)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스템이 처음 동작중인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물의 사용이 많지 않음을 인지하여 제1, 제2전해조(10a)(10b) 및 저장조(20) 별로 수위를 각각 체크하게 된다.
이때, 제1수위감지부(41a)를 통한 제1전해조(10a)의 수위가 저수위임이 판단(단계 105)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31)를 구동(단계 106)하여 개방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제1전해조(10a)에 원수를 공급하게 되고, 제1전해조(10a)내에 원수의 급수가 진행됨에 따른 수위변화는 제1수위감지부(41a)를 통해 지속적으로 센싱하게 된다.
상기 MPU(63)에서는 제1수위감지부(41a)를 통한 수위변화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과정에서 제1전해조(10a)의 수위가 고수위에 도달됨이 판단(단계 107)되면 드라이브(62)를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31)의 구동을 정지(단계 108)시켜 원수의 급수를 중단하는 제1전해조 보충급수과정(L3)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1전해조 보충급수과정(L3)이 완료되어 제1전해조(10a)에 공급된 물이 고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MPU(63)에서는 스위칭부(64)를 통해 제1 은 전해장치(50a)에 DC 100V의 +, - 극성의 전원 인가로 인해 구동(단계 113) 됨으로써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두개의 은봉(54a)(54b)이 전해되어 제1전해조(10a)에 유입된 물에 은이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MPU(63)에서는 제1 은 전해장치(50a)의 구동 시점부터 시간을 계수하게 되며, 이러한 제1 은 전해장치(50a)의 구동시간 즉, 전해시간이 일정시간 경과됨 판단(단계 114)되면 제1 은 전해장치(50a)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은봉(54a)(54b)의 전해를 중단(단계 115)시키는 제1 은 전해과정(L4)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1 은 전해과정(L4)에서 제1 은 전해장치(50a)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과, 전해시간은 제1전해조(10a)에 유입된 물의 용량과 은봉(54a)(54b)의 크기에 결정되나, 본 발명에서는 제1전해조(10a)의 저장용량이 3톤일 경우 은봉(54a)(54b)에 인가되는 전압이 DC 100V, 전해시간은 10분이 바람직한 것으로 실험결과 나타났으며, 상기 제1 은 전해과정(L4)을 실행중인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는 모두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은 이온 전해수의 흐름을 방지하여 인체가 전기에 감전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MPU(63)에서는 제1전해조 보충급수과정(L3)의 단계 105에서 제1전해조(10a)의 수위가 고수위 상태인 경우 제2수위감지부(41b)를 통한 제2전해조(10a)(10b)의 수위를 센싱하게 된다.
즉, 제2수위감지부(41b)를 통한 제2전해조(10b)의 수위가 저수위임이 판단(단계 121)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32)를 구동(단계 122)하여 개방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제2전해조(10b)에 원수를 공급하게 되고, 제2전해조(10b)내에 원수의 급수가 진행됨에 따른 수위변화는 제2수위감지부(41b)를 통해 지속적으로 센싱하게 된다.
상기 MPU(63)에서는 제2수위감지부(41b)를 통한 수위변화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과정에서 제2전해조(10b)의 수위가 고수위에 도달됨이 판단(단계 123)되면 드라이브(62)를 통해 제2솔레노이드밸브(32)의 구동을 정지(단계 124)시켜 원수의 급수를 중단하는 제2전해조 보충급수과정(L7)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2전해조 보충급수과정(L7)이 완료되어 제2전해조(10b)에 공급된 물이 고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MPU(63)에서는 스위칭부(64)를 통해 제2 은 전해장치(50b)에 DC 100V의 +, - 극성의 전원 인가로 인해 구동(단계 125) 됨으로써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은봉(54a)(54b)이 전해되어 제2전해조(10b)에 유입된 물에 은이 콜 로이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MPU(63)에서는 제2 은 전해장치(50b)의 구동 시점부터 시간을 계수하게 되며, 이러한 제2 은 전해장치(50b)의 구동시간 즉, 전해시간이 일정시간 경과됨 판단(단계 126)되면 제2 은 전해장치(50b)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은봉(54a)(54b)의 전해를 중단(단계 127)시키는 제2 은 전해과정(L8)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2 은 전해과정(L8)에서 제2 은 전해장치(50b)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과, 전해시간은 제2전해조(10b)에 유입된 물의 용량과 은봉(54a)(54b)의 크기에 결정되나, 본 발명에서는 제2전해조(10b)의 저장용량이 3톤일 경우 은봉(54a)(54b)에 인가되는 전압이 DC 100V, 전해시간은 10분이 바람직한 것으로 실험결과 나타났으며, 상기 제2 은 전해과정(L8)을 실행중인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는 모두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은 이온 전해수의 흐름을 방지하여 인체가 전기에 감전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제1, 제2전해조(10a)(10b) 중 어느 하나에는 항시 은 이온 전해수가 충만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제2전해조(10a)(10b)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에 공급하게 된다.
즉, 도 5b에서와 같이 제3수위감지부(46)를 통한 저장조(20)의 수위가 저수위인지의 여부(단계 109)와,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의 동작여부(단계 109a)와, 이전에 제1, 제2전해조(10a)(10b) 중에서 어떤 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였는지를 판독(단계 109c)(단계 109d)하는 전해수공급 판단과정(L5)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전해수공급 판단과정(L5)에서 저장조(20)의 수위가 저수위이고,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전에 제1전해조(10a)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였음이 인지되면, 스위칭부(64)를 통한 제2펌프(38b)의 구동과 동시에 드라이브(62)를 통한 제5솔레노이드밸브(35)를 구동하여 개방상태로 유지(단계 110)함으로써 제2전해조(10b)에 유입되어 있는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로 강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전해조(10a)에 유입되어 있는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로 강제 공급하는 과정에서도 MPU(63)에서는 제3수위감지부(46)를 통한 수위변화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저장조(20)의 수위가 고수위에 도달됨이 판단(단계 111)되면 스위칭부(64)를 통한 제2펌프(38b)의 정지와 동시에 드라이브(62)를 통한 제5솔레노이드밸브(35)를 제어하여 폐쇄상태로 전환(단계 112)함으로써 제2전해조(10b)에 유입되어 있는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로 공급 중단하는 제1전해수 보충급수과정(L9)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해수공급 판단과정(L5)에서 저장조(20)의 수위가 저수위이고,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전에 제2전해조(10b)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였음이 인지되면, 스위칭부(64)를 통한 제1펌프(38a)의 구동과 동시에 드라이브(62)를 통한 제4솔레노이드밸브(34)를 구동하여 개방상태로 유지(단계 129)함으로써 제1전해조(10a)에 유입되어 있는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로 강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전해조(10a)에 유입되어 있는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로 강제 공급하는 과정에서도 MPU(63)에서는 제3수위감지부(46)를 통한 수위변화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저장조(20)의 수위가 고수위에 도달됨이 판단(단계 130)되면 스위칭부(64)를 통한 제1펌프(38a)의 정지와 동시에 드라이브(62)를 통한 제4솔레노이드밸브(34)를 제어하여 폐쇄상태로 전환(단계 131)함으로써 제1전해조(10a)에 유입되어 있는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로 공급 중단하는 제2전해수 보충급수과정(L10)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조(20)의 수위가 저수위로 낮아질 경우 제1, 제2전해조(10a) (10b)에서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교대로 공급함으로써 반드시 제1, 제2전해조(10a)(10b) 중 어느 하나에는 항시 은 이온 전해수가 충만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제2전해조(10a)(10b)에 유입된 은 이온 전해수의 수위가 저수위에 도달할 경우 제1, 제2전해수 보충급수과정(L3)(L7)과 제1, 제2 은 전해과정(L4)(L8)을 반복 실행하고, 또한 저장조(20)에 유입된 은 이온 전해수의 사용으로 인하여 배출밸브(39)를 통하여 은 이온 전해수가 배출되어 저장조(20)의 수위가 저수위로 내려갈 경우에는 제1, 제2 전해수 보충급수과정(L9)(L10)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은 이온 전해수의 공급중단 없이 항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L1)에서 제1, 제2전해조(10a)(10b) 및 저장조(20)의 수위가 모두 위험수위로 판단(단계 116)되면 원수 또는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가 고장 상태임을 인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는 물론,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 제1, 제2펌프(38a)(38b)의 구동을 전면 정지(단계 117)시킴으로서 물의 넘침을 방지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비상급수 차단과정(L6)을 실행함으로써 일련의 제어과정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MPU(63)에서는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가 동작중일 경우에는 상태표시부(71)를 통해 전해시간, 인가전압, 에러상태 등의 정보를 문자(수치)로 표시하게 되고,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31)(32)(33)(34)(35) 구동시 밸브구동표시램프(75)를 선택적으로 점등하게 되며, 전원공급에는 파워램프(72)를 점등하고, 제1, 제2 은 전해장치(50a)(50b) 구동시 전해장치 동작램프(73)를 점등하며, 제1, 제2펌프(38a)(38b) 구동시 펌프동작램프(74)를 각각 점등함으로써 운영자가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제2전해조(10a)(10b)에서는 은 이온 전해수를 생성한 후, 저장조(20)로 공급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대중목욕탕, 찜질방, 헬스클럽의 사우나, 음식점 등과 같이 대량의 물을 소비하는 장소에 은 이온 전해수를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위시 원수를 공급받고, 고수위시 일정 시간동안 은을 전해하여 은 이온 전해수를 형성하는 전해조와, 저수위시 상기 전해조에서 형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받아 항시 은 이온 전해수를 일정수위 이상으로 유지하는 저장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와 저장조 사이에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되, 콘트롤부에서 전해조와 저장조의 수위레벨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와 펌프 및 은 전기전해장치를 제어하여 대중목욕탕, 찜질방, 헬스클럽 의 사우나, 음식점 등과 같이 대량의 물을 소비하는 장소에 은 이온 전해수를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제2전해조(10a)(10b)와 저장조(2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10a)(10b) 및 저장조(20) 내부 일측에는 고정체(42)에 의해 고정되는 저수위레벨센서(S1), 고수위레벨센서(S2), 위험수위레벨센서(S3)가 구비되고 고정체(42)의 외측에는 하부가 개구되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44)이 형성된 커버(43)가 결합되는 제1수위감지부(41a), 제2수위감지부(41b), 제3수위감지부(46)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10a)(10b)의 내부 타측에는 은을 전해하여 은 이온이 콜로이드 상태로 물에 분포되도록 은 이온 전해수를 형성하는 제1, 제2은 전해장치(50a)(50b)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전해조(10a)(10b)와 저장조(20)의 일측에는 원수(수돗물)가 유입되는 제1배관(36a)(36b)(36c)으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전해조(10a)(10b)와 저장조(20) 사이에는 제2배관(37a)(37b)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관(36a)(36b)(36c)에는 콘트롤부(60)의 제어에 의해 원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제3솔레노이드밸브(31)(32)(33)가 설치되고,
    상기 제2배관(37a)(37b)에는 콘트롤부(60)의 제어에 의해 제1, 제2전해조(10a)(10b)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20)에 강제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1펌프(38a)와 제4솔레노이드밸브(34)가 직렬로 설치되며, 제2펌프(38b)와 제5솔레노이드밸브(35)가 직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2.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와, 상기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와, 상기 제1, 제2전해조에 유입된 물을 은 이온 전해수로 형성하는 제1, 제2 은 전해장치와, 상기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 내지 제5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콘트롤부에 의해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시킨 후, 제1 내지 제3수위감지부를 통해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를 읽어 들이는 초기수위 판독과정(L1)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L1)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가 모두 저수위로 판단되면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에 원수를 공급하는 초기급수과정(L2)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L1)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 중 제1전해조 또는 제2전해조의 수위가 저수위로 판단되거나 제1전해조와 제2전해조의 수위가 모두 저수위로 판단되면, 저수위로 판단된 각 전해조에 원수를 공급한 후 원수가 공급된 각 전해조의 수위가 고수위로 판단될 경우 원수의 급수를 중단하는 제1, 제2전해조 보충급수과정(L3)(L7)과,
    상기 초기급수과정(L2) 또는 제1, 제2전해조 보충급수과정(L3)(L7) 후, 상기 제 1, 제2 은 전해장치를 일정 시간동안 구동하여 전해조에 유입된 물을 은 이온 전해수로 생성하는 제1, 제2 은 전해과정(L4)(L8)과,
    상기 제1, 제2 은 전해과정(L4)(L8) 후, 저장조가 저수위인지의 여부, 제1, 제2 은 전해장치의 동작여부, 이전에 제1, 제2전해조 중에서 어떤 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를 공급하였는지를 판독하는 전해수공급 판단과정(L5)과,
    상기 전해수공급 판단과정(L5)에서 저장조가 저수위이고, 은 전해장치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전에 제1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가 공급되었을 경우 제2전해조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로 공급하는 제1전해수 보충급수과정(L9)과,
    상기 전해수공급 판단과정(L5)에서 저장조가 저수위이고, 은 전해장치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이전에 제2전해조의 은 이온 전해수가 공급되었을 경우 제1전해조에 생성된 은 이온 전해수를 저장조로 공급하는 제2전해수 보충급수과정(L10)과,
    상기 초기수위 판독과정(L1)에서 제1, 제2전해조 및 저장조의 수위가 모두 위험수위로 판단되면 원수 및 은 이온 전해수 공급을 전면 중단시키는 비상급수 차단과정(L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39915A 2006-05-03 2006-05-03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45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915A KR100845618B1 (ko) 2006-05-03 2006-05-03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915A KR100845618B1 (ko) 2006-05-03 2006-05-03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506A KR20060055506A (ko) 2006-05-23
KR100845618B1 true KR100845618B1 (ko) 2008-07-10

Family

ID=3715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915A KR100845618B1 (ko) 2006-05-03 2006-05-03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997B1 (ko) 2013-03-12 2013-05-22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방폭형 전기분해식 분뇨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24B1 (ko) * 2009-06-30 2011-09-30 주식회사기영미다스 농작물 살포용 은수용액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49B1 (ko) 1999-12-16 2003-11-1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용수처리장치
KR20040052735A (ko) * 2004-04-30 2004-06-23 (주)원봉 살균정수시스템
KR20040097046A (ko) * 2004-10-20 2004-11-17 (주)원봉 산소수/환원수 발생 정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49B1 (ko) 1999-12-16 2003-11-1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용수처리장치
KR20040052735A (ko) * 2004-04-30 2004-06-23 (주)원봉 살균정수시스템
KR20040097046A (ko) * 2004-10-20 2004-11-17 (주)원봉 산소수/환원수 발생 정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997B1 (ko) 2013-03-12 2013-05-22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방폭형 전기분해식 분뇨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506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520B1 (ko) 전해수 생성 방법 및 장치
JP4020787B2 (ja) 水処理装置
KR101896201B1 (ko) 살균세척수 생성 시스템이 장착된 싱크대
KR100845618B1 (ko)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198573A (ja) 殺菌水供給装置
KR100845617B1 (ko) 대용량 은 이온 전해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26303B1 (ko) 살균수 생성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2081449A (ja) 殺菌水供給システム
JP5155251B2 (ja) 整水器
JP2006223940A (ja) 電解処理装置
KR20070078823A (ko) 전해수 생성장치
JPH08215684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JP3646541B2 (ja) 電解水供給装置における次亜塩素酸濃度管理方法
JP3543365B2 (ja) イオン水生成器及びpHセンサ洗浄方法
JP2008006346A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流し台
JP5166314B2 (ja) 整水器
JP5290799B2 (ja) 整水器
JPH04284890A (ja) 連続式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KR100720388B1 (ko) 수영장 살균처리장치용 인버터
JP2001149939A (ja) 殺菌水供給装置
CN203128265U (zh) 带有电导率检测酸性氧化电位水生成器
JP3555342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3919936B2 (ja) 飲料供給装置
JPH07195076A (ja) 強酸性水生成装置
JP2016175035A (ja) 除菌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