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206Y1 -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206Y1
KR200283206Y1 KR2020020013778U KR20020013778U KR200283206Y1 KR 200283206 Y1 KR200283206 Y1 KR 200283206Y1 KR 2020020013778 U KR2020020013778 U KR 2020020013778U KR 20020013778 U KR20020013778 U KR 20020013778U KR 200283206 Y1 KR200283206 Y1 KR 200283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supply pump
water
electrolytic reaction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서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기 filed Critical 서순기
Priority to KR2020020013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206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염수를 전해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를 염수가 충전되는 염수통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미사용시에도 전해반응조로 염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는, 표면 일측에 컨트롤패널(110)이 설치된 본체케이스(100)와; 다수의 음/양극 전극(310)들에 의해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배출호스(330)를 통해 상기 본체케이스 외부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해반응조(30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염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염수공급펌프(600)와; 상기 염수공급펌프로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통(500)과;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조작에 따라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유니트(400)를 구비한다. 상기 염수공급펌프(600)는 염수통(500)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된다. 따라서, 살균소독수의 생성장치를 장기간 미가동한 상태에서도 염수공급펌프(600)가 재가동되면 염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STERILIZING POWERED WATER SUPPLIER FOR STERILIZING VEGETABLE AND TABLEWARE}
본 고안은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염수를 전해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를 염수가 충전된 염수통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미사용시에도 전해반응조로 염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와 같은 각종 식품재료나 식기구류, 주방기구류 등(이하, "피세정물"이라 통칭함)의 살균소독 및 위생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피세정물의 살균소독을 위해 연속적으로 살균소독수를 공급해 주어야만 한다.
상기 살균소독수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래 화학약품에 의해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방법이나 오존에 의해 살균소독수를 생성해 내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상의 여러 조건으로 인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특히 오존에 의해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방법의 경우 저농도에서는 살균소독효과가 저하됨과 아울러 고농도에서는 유해성 문제가 대두되고, 뿐만 아니라 오존을 수중에 용존시키는 방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학약품에 의해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방법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후 유해성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자에 의해 국내 특허출원 제2001-17766호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에 염수탱크로부터 염수공급펌프에 의해 염수를 첨가하여 전해시킴으로써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생성된 살균소독수는 대단히 높은 살균력과 안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위생이 요구되는 장소는 물론 위생이 요구되는 모든 곳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염수공급펌프는 염수에 의한 부식문제 때문에 통상 다이어프램식의 것이 채용되는데, 본체케이스에 내장되는 염수공급펌프의 위치가 통상 본체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염수탱크의 위치보다 높기 때문에,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가동을 장기간 중단할 경우, 염수공급펌프의 내부에 소금이 석출됨과 아울러 이물질이 고화됨으로써 염수공급펌프의 흡입구와 다이어프램이 들떠 기밀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므로 펌핑시 염수탱크로부터 염수가 제대로 펌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해반응조로 염수를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야기되고, 이 때문에 염수공급펌프의 수리를 빈번하게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자에 의해 제안된 국내 특허출원 제2001-17766호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염수를 전해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를 염수가 충전되는 염수통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미사용시에도 전해반응조로 염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중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케이스, 110 : 컨트롤패널,
150 : 캐비넷, 160 : 도어,
200 : 테이블, 210 : 다리,
220 : 상판, 230 : 지지판,
300 : 전해반응조, 310 : 전극,
320 : 솔레노이드 밸브, 330 : 배출호스,
400 : 제어유니트, 500 : 염수통,
600 : 염수공급펌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표면 일측에 컨트롤패널이 설치된 본체케이스와; 다수의 음/양극 전극들에 의해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배출호스를 통해 상기 본체케이스 외부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해반응조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염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염수공급펌프와; 상기 염수공급펌프로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통과;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조작에 따라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수공급펌프는 염수통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된 채 염수통과 전해반응조와 연결되어 상기 염수통으로부터 전해반응조로 염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수공급펌프를 염수통보나 낮은 높이로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케이스는 다수의 다리를 가진 테이블의 상판에 착탈가능하게 놓이고, 상기 염수통은 상기 다리들의 중간부에 지지되는 지지판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염수공급펌프는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지지되면, 염수공급펌프가 염수통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부에 도어로 개폐되는 캐비넷이 일체로 더 설치되고, 상기 염수통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염수공급펌프는 상기 캐비넷 내부의 바닥부에 설치됨으로써, 염수공급펌프가 상기 염수통 하단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는, 본체케이스(100)와,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내장되는 전해반응조(300)와, 상기 전해반응조(300)로 염수를 공급하도록 전해반응조(300)와 연결되는 염수공급펌프(600)와, 상기 염수공급펌프(600)에 연결되어 내부에 충전되는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통(500)과,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니트(400)와, 그리고 본체케이스(100), 염수공급펌프(600) 및 염수통(500)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200)을 구비한다.
본체케이스(100)는 대략 사각형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앞면 상단부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있고 이 경사부에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10)에는 전원버턴(112), 동작버튼(114), 정지버튼(116), 전해반응조(300)의 내부를 드레인 시키기 위한 청소버튼(118) 및 전해조건을 표시하는 표시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전해반응조(300)에는 백금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음/양극 전극(310)들이 설치되어 있고, 수돗물과 염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수돗물은 미도시된 수돗물공급라인중에 개재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20)에 의해 전해반응조(300)로 단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고, 염수는 염수공급펌프(600)의 구동에 의해 염수통(500)으로부터 염수공급펌프(600)를 거쳐 전해반응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전원버튼(112)를 온조작하고 동작버튼(114)을 누르면 솔레노이드 밸브(320) 및 염수공급펌프(600)가 가동됨으로써 전해반응조(300)에 수돗물과 염수가 함께 공급되며, 이 과정에서 제어유니트(400)에 의해 최적의 반응조건이 일어나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310)들에 의해 전해반응조(300) 내부로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에 대하여 전해반응이 일어나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되는 살균소독수는 본체케이스(100)의 전방을 관통하여 전해반응조(300)에 연결된 배출호스(330)를 통해 살균소독을 요하는 각종 식품재료나 식기구류, 주방기구류 등의 피세정물쪽으로 공급됨으로써 피세정물의 살균소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는 대단히 높은 살균력과 분해능력 및 안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위생이 요구되는 식당, 학교급식소, 호텔 등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축산업에서 사용되는 착유기의 살균소독 등 인간생활에서 위생이 요구되는 모든 곳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이점은 2001년 9월 5일자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서의 발급번호 2001-TAK-18089로 보고된 시험결과보고서에 의해서도 잘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요약하면, 수돗물과 10% 염수를 전기적 분해에 의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법에 따라 염수를 연결시켜 작동시킨 후 10분 뒤에 채취한 시료를 가지고 시험을 한 결과, 대장균은 초기 4.9×105에서 20초후 검출되지 않았고, 대장균 O157은 초기 4.1×105에서 20초후 검출되지 않았으며, 포도상구균은 초기 3.6×105에서 20초후 검출되지 않았고, 비브리오균은 초기 2.8×105에서 20초후 검출되지 않았으며, 살모넬라균도 초기 3.7×105에서 20초후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사용을 장기간 중지할 경우 전해반응조(300) 내부에 찌거기 또는 염수 등이 고화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반응조(300)에는 드레인수단(340)이 설치된다. 드레인수단(340)으로는 예컨대 전해반응조(3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드레인공에 연결되는 호스중에 설치되는 배수콕크가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수단(340)을 개방하고, 청소버튼(118)을 누르면 전해반응조(300)로 염수는 공급되지 않음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320)가 온되어 전해반응조(300)로 수돗물만 공급되므로 전해반응조(300)의 내부가 수돗물에 의해 세정되면서 드레인수단(34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므로 전해반응조(300)의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기간 사용을 중지하여 염수공급펌프(600) 내부에 염수가 석출되거나 이물질이 고화되어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다이어프램식 염수공급펌프(600)의 흡입구와 다이어프램의 접촉상태가 들뜨게 되어 염수통(500)으로부터 염수의 펌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해반응조(300), 제어유니트(400) 등이 설치된 본체케이스(100)는 테이블(2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테이블(200)은 다수의 다리(210)와, 상기 다리(210)들의 상단에 설치되어 본체케이스(100)를 지지하는 상판(220)과, 그리고 상기 다리(210)들의 중간부에 지지되는 지지판(2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30)의 상면에 염수통(500)이 착탈가능하게 놓이며, 지지판(230)의 저면에는 염수공급펌프(600)가 배치된다. 즉, 염수공급펌프(600)는 염수통(500)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염수공급펌프(600)의 내부는 염수통(500)으로부터 공급된 염수에 의하여 염수가 충전된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염수공급펌프(600)의 내부에 소금이 석출되거나 이물질이 고화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염수공급펌프(600)의 흡입구와 다이어프램이 기밀상태로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염수공급펌프(600)가 재가동되어도 염수통(500)으로부터 염수의 펌핑이 잘 이루어져 전해반응조(300)에 염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나는 수도압 문제를 극복하고, 일정한 농도와 유량의 살균소독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돗물공급라인중에 감압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있어서는, 실시예 1에서의 테이블(200)이 채용되는 대신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부에 도어(160)로 개폐되는 캐비넷(150)이 일체로 더 설치되고, 염수통(500)은 상기 캐비넷(1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염수공급펌프(600)는 상기 캐비넷(150) 내부의 바닥부에 설치됨으로써 염수공급펌프(600)가 상기 염수통(500) 하단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배치된다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 1과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있어서도, 염수공급펌프(600)가 염수통(500)의 하단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배치되므로, 장기간 미사용시에도 염수공급펌프(600)에 소금의 석출이나 이물질의 고화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염수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캐비넷(150)에 염수통(500) 및 염수공급펌프(600)가 내장되므로 미관의 향상 및 구조적인 단순화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도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있어서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염수공급펌프(600)의 내부는 염수통(500)으로부터 공급된 염수에 의하여 염수가 충전된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염수공급펌프(600)의 내부에 소금이 석출되거나 이물질이 고화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상 채용되는 다이어프램식 염수공급펌프(600)에서의 흡입구와 다이어프램의 접촉이 기밀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염수공급펌프(600)가 재가동되어도 염수통(500)으로부터 염수의 펌핑이 잘 이루어져 전해반응조(300)에 염수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살균소독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음은 물론 염수공급계통의 손상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표면 일측에 컨트롤패널(110)이 설치된 본체케이스(100)와; 다수의 음/양극 전극(310)들에 의해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배출호스(330)를 통해 상기 본체케이스 외부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해반응조(30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염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염수공급펌프(600)와; 상기 염수공급펌프로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통(500)과;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조작에 따라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유니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수공급펌프(600)는 염수통(500)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된 채 염수통(500)과 전해반응조(300)와 연결되어 상기 염수통(500)으로부터 전해반응조(300)로 염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다수의 다리(210)를 가진 테이블(200)의 상판(220)에 착탈가능하게 놓이고, 상기 염수통(500)은 상기 다리들의 중간부에 지지되는 지지판(230)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염수공급펌프(600)는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지지됨으로써, 염수공급펌프(600)가 염수통(500)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부에 도어(160)로 개폐되는 캐비넷(150)이 일체로 더 설치되고, 상기 염수통(500)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염수공급펌프(600)는 상기 캐비넷 내부의 바닥부에 설치됨으로써, 염수공급펌프(600)가 상기 염수통(500) 하단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20020013778U 2002-05-06 2002-05-06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0283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778U KR200283206Y1 (ko) 2002-05-06 2002-05-06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778U KR200283206Y1 (ko) 2002-05-06 2002-05-06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206Y1 true KR200283206Y1 (ko) 2002-07-26

Family

ID=7312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778U KR200283206Y1 (ko) 2002-05-06 2002-05-06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20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55B1 (ko) 2006-09-13 2007-07-06 표수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WO2008032947A1 (en) * 2006-09-13 2008-03-20 Soo-Kil Pyo Apparatus for replenishing water in salt water tank included i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O2008035868A1 (en) * 2006-09-19 2008-03-27 Soo-Kil Pyo Apparatus for producing antiseptic solution including chlorine
KR101083319B1 (ko) 2009-02-24 2011-11-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팜스 신규한 반건조 마늘의 제조방법
KR101171691B1 (ko) * 2010-02-19 2012-08-07 강원중 반건조 마늘의 제조방법
CN107934241A (zh) * 2017-12-07 2018-04-20 重庆市同盟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蔬菜存储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55B1 (ko) 2006-09-13 2007-07-06 표수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WO2008032947A1 (en) * 2006-09-13 2008-03-20 Soo-Kil Pyo Apparatus for replenishing water in salt water tank included i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O2008032946A1 (en) * 2006-09-13 2008-03-20 Soo-Kil Pyo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O2008035868A1 (en) * 2006-09-19 2008-03-27 Soo-Kil Pyo Apparatus for producing antiseptic solution including chlorine
KR101083319B1 (ko) 2009-02-24 2011-11-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팜스 신규한 반건조 마늘의 제조방법
KR101171691B1 (ko) * 2010-02-19 2012-08-07 강원중 반건조 마늘의 제조방법
CN107934241A (zh) * 2017-12-07 2018-04-20 重庆市同盟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蔬菜存储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1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101069176B1 (ko) 살균방법 및 살균처리장치
KR101579044B1 (ko) 전해수 생성 장치
KR101938705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6201B1 (ko) 살균세척수 생성 시스템이 장착된 싱크대
KR100443894B1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1206227B1 (ko) 야채 및 과일 세척소독용 버블발생기
US7964546B2 (en) Endoscope clean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200283206Y1 (ko)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080101623A (ko) 전기분해조의 자동 세척장치
KR200435320Y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101107047B1 (ko) 손 세정기
KR100325677B1 (ko) 살균수 생성장치
JPH08323307A (ja) 器具洗浄装置
JP2006207328A (ja) 洗浄水生成装置
CN210750400U (zh) 一种新型高效臭氧消毒机
KR101561303B1 (ko) 전극살균모듈을 이용한 식기세척기
KR100737990B1 (ko)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KR20070088410A (ko) 의료기기 및 진료기구 살균 세척기
KR20180032295A (ko) 버블염소세척기
CN112263203B (zh) 一种洗碗机消毒组件及洗碗机
KR100830147B1 (ko) 전해셀과 초음파를 이용한 자외선복합살균기
KR200323948Y1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CN217659268U (zh) 带消毒功能的苏打水机
KR19980083403A (ko) 야채 및 식기구의 살균 세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