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894B1 -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894B1
KR100443894B1 KR10-2001-0017767A KR20010017767A KR100443894B1 KR 100443894 B1 KR100443894 B1 KR 100443894B1 KR 20010017767 A KR20010017767 A KR 20010017767A KR 100443894 B1 KR100443894 B1 KR 10044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ank
brine
electrolytic reaction
water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993A (ko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서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998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438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기 filed Critical 서순기
Priority to KR10-2001-0017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8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55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돗물에 염수를 첨가하여 전해함으로써 간단하게 살균소독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는, 교대로 설치되고 백금족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양극 전극(310)들에 의해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여 배출시키는 전해반응조(30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40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자동으로 단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전해반응조에서 생성되는 살균소독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는 감압조절밸브(33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의한 일련의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20)와; 상기 전해반응조의 전극들에 전해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130)와; 상기 전원공급회로(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팬(170)과;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기 위한 본체케이스(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살균소독수 생성장치{Sterilizing Powered Water Supplier}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의하여 제안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983-4740호, 동 제1994-25531호, 동 제1995-3607호, 동 제1996-48718호, 동 제1996-49847호, 동 제1996-21333호, 동 제1997-1747호, 동 제1997-1748호, 동 제1997-4383호, 동 제1997-4384호, 동 제1997-18689호, 동 제1997-24858호 및 동 제1997-52518호에 제안된 기술을 확대적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재료나 주방기기의 살균소독 또는 위생이 요구되는 식당 등의 장소에서 수돗물과 염수를 공급하여 전해반응시킴으로써 살균소독수를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생성해 낼 수 있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와 같은 각종 식품재료나 식기구류, 주방기구류 등(이하, "피세정물"이라 통칭함)의 살균소독 및 위생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피세정물의 살균소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야만 올바른 살균소독 및 위생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살균소독방법으로는, 화학약품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방법이나 오존에 의해 살균소독을 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상의 여러 조건으로 인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특히 오존의 사용시에는 저농도에서는 살균소독효과가 저하됨과 아울러 고농도에서는 유해성 문제가 대두된다. 또한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소독하는 방법에서는 오존을 수중에 용존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학약품에 의해 살균소독하는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후 약품잔류문제 및 유해성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식당이나 대형급식소 같은 곳에서 철저한 살균소독 및 위생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살균소독 방법의 경우 문제점이 많기 때문에 살균소독 및 위생관리를 소홀히 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함에 따라 종종 단체 식중독 사고 등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식품재료나 주방기기의 살균소독 또는 위생이 요구되는 식당 등의 장소에서 수돗물과 염수를 공급하여 전해반응시킴으로써 살균소독수를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생성해 낼 수 있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를 구성하는 염수통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의하여 수돗물 및 염수가 전해반응되어 살균소독수가 생성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케이스, 120 : 제어유니트,
130 : 전원공급회로, 140 : 리셋스위치,
170 : 냉각팬, 300 : 전해반응조,
302 : 수돗물 유입구, 306 : 살균소독수 배출구,
310 : 전극, 320 : 솔레노이드 밸브,
330 : 감압조절밸브, 400 : 염수공급펌프,410 : 염수통, 420 : 염수공급호스,430 : 마이크로노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는, 교대로 설치되고 백금족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양극 전극들에 의해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여 배출시키는 전해반응조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자동으로 단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전해반응조에서 생성되는 살균소독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는 감압조절밸브와; 상기 전해반응조의 전극들에 전해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화로와; 상기 전원공급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팬과;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기 위한 본체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전극들은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패킹과 에폭시에 의한 이중수밀구조로 전해반응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염수공급펌프는 염수통으로부터 염수를 펌핑하여 전해반응조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염수공급펌프와 염수통간에 연결되는 염수공급호스의 끝에는 염수통 내의 불순물 및 오물을 여과하기 위한 마이크로노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전해반응조에 형성되는 수돗물 유입구의 직경보다 전해반응조에 형성되는 살균소독수 배출구의 직경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전해반응조 내부에 수압이 최대한 걸리지 않게 되어 전해반응조의 손상이나 누설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또한, 상기 감압조절밸브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임의의 수돗물 공급압력설정을, 본체케이스를 분해하여 열지 않고도 본체케이스 외부에서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또한, 과부하를 대비한 안전장치로서 전원공급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어상태를 초기로 복원시키는 리셋스위치가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이상현상발생시 제어상태를 외부에서 간단히 초기로 복원실킬 수 있다.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는, 수돗물과 염수를 다수의 음/양극 전극(310)들에 의해 전해반응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전해반응조(300)와, 상기 전해반응조(300)에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400)와, 상기 전해반응조(300)에 수돗물을 단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상기 상기 전해반응조(300)에 수돗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감압조절밸브(330)와, 상기 전해반응조(300)에 의한 일련의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20)와, 상기 전극(310)들에 전해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130)와, 상기 전원공급회로(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팬(170)과,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기 위한 본체케이스(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상기 본체케이스(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10)이 설치되어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의 상면중 앞쪽으로 경사진 부분에 컨트롤패널(1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패널(110)에는 도 2 및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스위치, 예컨대 전원스위치, 동작스위치, 정지스위치, 청소스위치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저면에는 다수의 고무발(190)이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가 그 설치장소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잘 배치될 수 있다.전해반응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돗물 유입구(302) 및 염수 유입구(304)를 통해 내부로 수돗물과 염수가 유입되어 혼합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전해반응결과 생성된 살균소독수를 배출하기 위한 살균소독수 배출구(306)도 구비된다. 즉, 수돗물공급경로를 살펴보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돗물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수돗물공급연결부(322)로부터 전해반응조(300)의 수돗물 유입구(302)까지 연결되는 수돗물 공급라인중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20)가 설치되며, 이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제어유니트(120)에 의해 단속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전해반응조(300)에는 수돗물이 단속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나는 수도압 문제를 극복하고, 일정한 농도와 유량의 살균소독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돗물 공급라인중에 감압조절밸브(33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도압이 높은 지역이나 낮은 지역에 관계없이 일정량, 일정농도의 살균소독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조절밸브(330)는 임의의 수돗물 공급압력설정을, 본체케이스(100)를 분해하여 열지 않고도 본체케이스(100)의 외부에서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편, 염수는 예컨대, 식염을 녹인 20%염수가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수공급경로를 살펴보면, 염수공급펌프(400)의 구동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염수통(410)으로부터 염수공급호스(420)를 통하여 염수가 펌핑되어 염수 유입구(304)를 통하여 전해반응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염수를 공급할 때, 염수통(410) 내부에 포함된 찌꺼기나 불순물, 오물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염수공급호스(420)의 끝에 마이크로노즐(4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펌프 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A/S 빈도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3중 참조부호 440은 염수공급호스(420)를 염수공급펌프(4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탭을 나타낸다.전해반응조(300) 내부에도 이물질이 생길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사용을 장기간 중지할 경우 상기 이물질이 고화되므로 이를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전해반응조(300)에는 드레인수단이 설치되며, 이 드레인수단으로 배수콕크(350)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배수콕크(350)를 열고 컨트롤패널(110)의 스위치들중 청소스위치를 누르면 염수의 공급은 차단되는 반면에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온되어 수돗물만이 전해반응조(300)로 공급되도록 할 경우 전해반응조(300) 내부가 수돗물에 의해 세정되어 수돗물과 함께 전해반응조(300) 내부의 이물질이 배수콕크(3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한편, 상기 전해반응조(300)에는 유입되는 수돗물 및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음/양극 전극(310)들은 백금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310)들은 전해반응조(300)로부터의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패킹과 에폭시에 의한 이중수밀구조로 전해반응조(3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310)들은 전원공급회로(13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전원공급회로(130)에 발생하는 열에 대한 냉각팬(170)의 방열작용을 위하여 본체케이스(100)의 배면에는 통풍구(180)가 설치된다. 또한, 과부하에 대한 안전장치로서 전원공급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어상태를 초기로 복원시키는 리셋스위치(140)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유니트(120)에 의해 이상현상이 감지되고 경고음이 발생되면 본체케이스(100) 외부에서 리셋스위치(140)를 누름으로써 이상현상 발생시의 제어상태를 외부에서 간단히 초기로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컨트롤패널(110)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원코드(132)(도 3 참조)에 연결된 전원공급회로(130)로부터 상기 전극(310)들에 전원이 공급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320), 감압조절밸브(330) 및 염수공급펌프(400)가 작동되면, 수돗물 및 염수가 전해반응조(300)에 유입되고, 이에 따라 음극과 양극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전해반응이 일어난다.즉, 양극반응=Cl2+2e와, 음극반응=2Na+2H2O+2e →2NaOH+H2로 되고, 전체반응은 Cl2+2NaOH →NaOCl+NaCl+H2O가 되므로 수중의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의해 살균소독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되는 살균소독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의 전방으로 전해반응조(300)의 살균소독수 배출구(306)와 연결되는 배출호스(308)를 통하여 살균소독을 요하는 각종 피세정물쪽으로 공급됨으로써 피세정물의 살균소독이 수행될 수 있다.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는 대단히 높은 살균력과 분해능력 및 안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위생이 요구되는 식당, 학교급식소, 호텔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축산업에서 사용되는 착유기의 살균소독 등 인간생활에서 위생이 요구되는 모든 곳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의 이점은 2001년 9월 5일자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서의 발급번호 2001-TAK-18089로 보고된 시험결과보고서에 의해서도 잘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 및 표 2는 그 결과를 나타낸다. 다음의 표들에 있어서, 감소율(%)=((A-B)/A)
시험결과(시료명 : 전해살균장치(인터크린2000))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살균력시험S. typhi 초기 CFU/㎖ 1.2×105 의뢰자제공
30초후감소율 CFU/㎖% 검출안됨100
60초후감소율 CFU/㎖% 검출안됨100
시험결과(시료명 : 전해살균장치(인터크린2000))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살균력시험E. coli 초기 CFU/㎖ 5.0×105 의뢰자제공
30초후감소율 CFU/㎖% 검출안됨100
60초후감소율 CFU/㎖% 검출안됨100
E. coli O157 초기 CFU/㎖ 5.4×105 의뢰자제공
30초후감소율 CFU/㎖% 검출안됨100
60초후감소율 CFU/㎖% 검출안됨10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에서 전해반응조(300)에 형성된 살균소독수 배출구(306)보다 수돗물 유입구(302)의 크기가 더 클 경우 전해반응조(300) 내부에 수압이 크게 결려 전해반응조(300)의 손상이나 누설 등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돗물 유입구(302)의 직경보다 살균소독수 배출구(306)의 직경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의 전체적인 제어계통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있어서는, 특별한 조작없이 스위치가 누르면 수돗물과 염수가 함께 공급되어 전해반응을 일으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함유된 살균소독수가 간단하고 연속적으로 생성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가로 살균소독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병원기구나 착유기 등의 살균소독 및 위생관리를 요하는 장소 뿐만 아니라 살균소독 및 위생관리가 요구되는 어느 곳에서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살균소독 및 위생을 소홀히 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민건강증긴 및 보건위생향상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Claims (6)

  1. (1회 정정) (1회 정정) 교대로 설치되고 백금족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양극 전극(310)들에 의해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여 배출시키는 전해반응조(30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40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자동으로 단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전해반응조에서 생성되는 살균소독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는 감압조절밸브(33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의한 일련의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20)와;
    상기 전해반응조의 전극들에 전해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130)와;
    상기 전원공급회로(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팬(170)과;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기 위한 본체케이스(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2. (1회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310)들은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패킹과 에폭시에 의한 이중수밀구조로 전해반응조(3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3. (1회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공급펌프(400)는 염수통(410)으로부터 염수를 펌핑하여 전해반응조(300)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염수공급펌프와 염수통간에 연결되는 염수공급호스(420)의 끝에는 염수통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마이크로노즐(4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4. (1회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반응조(300)에 형성되는 수돗물 유입구(302)의 직경보다 전해반응조에 형성되는 살균소독수 배출구(306)의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5. (1회 정정)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조절밸브(330)는 본체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6. (1회 정정) 제 1 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외부에는, 이상현상발생시 전원공급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어상태를 초기로 복원시키도록 조작할 수 있는 리셋스위치(1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2001-0017767A 2001-04-03 2001-04-03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044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767A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1-04-03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767A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1-04-03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993A KR20020077993A (ko) 2002-10-18
KR100443894B1 true KR100443894B1 (ko) 2004-08-09

Family

ID=2769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767A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1-04-03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89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15B1 (ko) * 2006-09-19 2007-04-13 표수길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100904682B1 (ko) * 2008-12-09 2009-06-24 (주) 아큐스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200456485Y1 (ko) 2009-11-24 2011-11-02 (주) 디엔디전자 이동식 가정용 살균세척장치
KR20210010150A (ko) 2019-07-19 2021-01-27 서순기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KR20210010149A (ko) 2019-07-19 2021-01-27 서순기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20210032189A (ko) 2019-09-16 2021-03-24 서순기 전극 스케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전해 소독수 생성 시스템
KR20210032822A (ko) 2019-09-17 2021-03-25 서순기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 장치용 전극판 적층 구조체
KR20210087254A (ko) 2020-01-02 2021-07-12 서순기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20210131626A (ko) 2020-04-24 2021-11-03 서순기 휴대용 전해 소독수 생성장치의 단자 어셈블리
KR20220014245A (ko) 2020-07-28 2022-02-04 (주)창림이엔지 전기분해 용수 살균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전도체 모듈
KR20230021357A (ko) 2021-08-05 2023-02-14 서재원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20230082292A (ko) 2021-12-01 2023-06-08 서재원 전해수 생성장치
KR20230133043A (ko) 2022-03-10 2023-09-19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2644336B1 (ko) * 2023-07-18 2024-03-07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수경 시설물용 수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61B1 (ko) * 2006-12-01 2008-02-15 (주) 시온텍 전해살균 소독수 공급장치
KR200459389Y1 (ko) * 2009-07-25 2012-03-23 (주) 디엔디전자 전해소독수 공급장치
KR200455555Y1 (ko) * 2009-08-21 2011-09-15 (주) 디엔디전자 소독기용 리턴 수량조절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3485A (ja) * 1985-10-07 1987-04-16 Res Dev Corp Of Japan 淡水の無隔膜直接電解方法
JPH06238280A (ja) * 1992-12-24 1994-08-30 Tatsuo Okazaki 電解整水方法及び装置
KR940019610A (ko) * 1993-02-22 1994-09-14 마쭈무라 요시오 전해수 생성방법과 그 장치
KR970704353A (ko) * 1994-07-29 1997-09-06 저농도 차아염소산 함유 강산성 산균수, 이의 제조방법, 제조 장치 및 이의 노출 장치(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dentration hypochlorous acid, method of forming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KR20000032639A (ko) * 1998-11-17 2000-06-15 권순선 이온수 생성기의 산성수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3485A (ja) * 1985-10-07 1987-04-16 Res Dev Corp Of Japan 淡水の無隔膜直接電解方法
JPH06238280A (ja) * 1992-12-24 1994-08-30 Tatsuo Okazaki 電解整水方法及び装置
KR940019610A (ko) * 1993-02-22 1994-09-14 마쭈무라 요시오 전해수 생성방법과 그 장치
KR970704353A (ko) * 1994-07-29 1997-09-06 저농도 차아염소산 함유 강산성 산균수, 이의 제조방법, 제조 장치 및 이의 노출 장치(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dentration hypochlorous acid, method of forming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KR20000032639A (ko) * 1998-11-17 2000-06-15 권순선 이온수 생성기의 산성수 추출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15B1 (ko) * 2006-09-19 2007-04-13 표수길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100904682B1 (ko) * 2008-12-09 2009-06-24 (주) 아큐스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200456485Y1 (ko) 2009-11-24 2011-11-02 (주) 디엔디전자 이동식 가정용 살균세척장치
KR20210010150A (ko) 2019-07-19 2021-01-27 서순기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KR20210010149A (ko) 2019-07-19 2021-01-27 서순기 이동식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20210156827A (ko) 2019-09-16 2021-12-27 서순기 전극 스케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전해 소독수 생성 시스템
KR20210032189A (ko) 2019-09-16 2021-03-24 서순기 전극 스케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전해 소독수 생성 시스템
KR20210032822A (ko) 2019-09-17 2021-03-25 서순기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 장치용 전극판 적층 구조체
KR20210087254A (ko) 2020-01-02 2021-07-12 서순기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20210131626A (ko) 2020-04-24 2021-11-03 서순기 휴대용 전해 소독수 생성장치의 단자 어셈블리
KR20220014245A (ko) 2020-07-28 2022-02-04 (주)창림이엔지 전기분해 용수 살균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전도체 모듈
KR20230021357A (ko) 2021-08-05 2023-02-14 서재원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20230082292A (ko) 2021-12-01 2023-06-08 서재원 전해수 생성장치
KR20230133043A (ko) 2022-03-10 2023-09-19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2644336B1 (ko) * 2023-07-18 2024-03-07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수경 시설물용 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993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894B1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070621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US3819329A (en) Spray sanitizing system with electrolytic generator
KR101579044B1 (ko) 전해수 생성 장치
KR101896201B1 (ko) 살균세척수 생성 시스템이 장착된 싱크대
KR100761311B1 (ko) 살균 소독수 자동제조장치
KR101206227B1 (ko) 야채 및 과일 세척소독용 버블발생기
WO2000033757A1 (en) A system for decontamination of dental unit waterlines using electrolyzed water
US20110290740A1 (en) Waste treatment and disinfection unit
KR200435320Y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JPH08323307A (ja) 器具洗浄装置
KR200283206Y1 (ko)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1561303B1 (ko) 전극살균모듈을 이용한 식기세척기
JP3359287B2 (ja) 殺菌水発生装置
KR20070088410A (ko) 의료기기 및 진료기구 살균 세척기
KR101826102B1 (ko) 전해살균제 생성부의 자동 청소 및 약산성 전해살균제가 생성되는 전해살균 시스템 및 전해살균제 생성 방법
KR20180032295A (ko) 버블염소세척기
JPH11239791A (ja) 電解水供給装置
JPH09234238A (ja) 電解消毒装置
KR200253647Y1 (ko) 살균수생성장치
KR200323948Y1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JPH1119648A (ja) 殺菌装置
CN107626642A (zh) 一种用于食品清洗净化的设备
KR102485858B1 (ko) 초음파와 전해수를 이용한 살균세척장치
KR20020078528A (ko) 병원 내시경의 살균 소독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91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621

Effective date: 201708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40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08

Effective date: 201710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8138;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