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043A -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043A
KR20230133043A KR1020220030061A KR20220030061A KR20230133043A KR 20230133043 A KR20230133043 A KR 20230133043A KR 1020220030061 A KR1020220030061 A KR 1020220030061A KR 20220030061 A KR20220030061 A KR 20220030061A KR 20230133043 A KR20230133043 A KR 20230133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water
salt
water
tank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서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기 filed Critical 서순기
Priority to KR102022003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043A/ko
Publication of KR2023013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3Filtering elements with a horizontal or inclined rotation or symmetry axis submerged i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적인 결합 관계를 가지는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원수와 소금의 혼합으로 생산되는 염수가 출수시 출수되는 염수에 소금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염수통에서 정량의 염수 출수를 통해 살균소독수를 문제없이 지속적으로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Salt Water Supplier for Sterilizing Water Generator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소독수 생성을 위해 원수(수돗물)와 소금을 혼합하여 염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염수통과 이러한 염수통을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 등의 각종 식품재료나 식기구류, 주방기구류 등(이하, '피세정물' 이라함)의 살균 소독 및 위생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피세정물의 살균 소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야만 올바른 살균 소독 및 위생 관리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살균소독방법으로는 화학약품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방법이나 오존에 의해 살균 소독을 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사용상의 여러 조건으로 인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특히 오존 사용시에는 저농도에서는 살균소독 효과가 저하됨과 아울러 고농도에서는 유해성 문제가 대두된다.
또한,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소독하는 방법에서는 오존을 수중에 용존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학약품에 의해 살균 소독하는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 후 약품 잔류 문제 및 유해성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 때문에, 식당이나 대형 급식소 같은 곳에서 철저한 살균소독 및 위생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살균소독 방법의 경우 문제점이 많기 때문에 살균소독 및 위생관리를 소홀히 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함에 따라 종종 단체 식중독 사고 등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식품재료나 주방기기의 살균소독 또는 위생이 요구되는 식당 등의 장소에서 수돗물과 염수를 공급하여 전해반응시킴으로써 살균소독수를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생성해 낼 수 있는 살균소독수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등록특허공보 제10-0443894호(이하 '선등록특허 1' 이라함)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의 선등록특허 1에 있어 수중의 소금(염화나트륨)에 의해 살균소독수가 생성되는 전해반응은 다음과 같다.
양극반응: Cl2+2e
음극반응: 2Na+2H2O+2e→2NaOH+H2
전체반응: Cl2+2NaOH→NaOCl+NaCl+H2O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는 대단히 높은 살균력과 분해 능력 및 안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 위생이 요구되는 식당, 학교 급식소, 호텔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축산업에서 사용되는 착유기의 살균 소독 등 인간 생활에서 위생이 요구되는 모든 곳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즉, 선등록특허 1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선등록특허 1의 도 2와 도 4 및 도 5 참조)는 수돗물과 염수를 다수의 음/양극 전극들에 의해 전해반응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전해반응조, 상기 전해반응조에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 상기 전해반응조에 수돗물을 단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단속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전해반응조에는 수돗물이 단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유니트,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패널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본체 케이스 내에 내장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등록특허 1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는 전해 반응조에 수돗물을 일정한 압력 및/또는 유량으로 공급하는 감압 또는 유량 조절밸브, 전극들에 전해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 상기 전원공급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팬 등이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해 반응조는 수돗물 유입구 및 염수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수돗물과 염수가 유입되어 혼합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전해반응 결과 생성된 살균소독수를 배출하기 위한 살균소독수 배출구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수돗물공급경로를 살펴보면 수돗물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수돗물공급연결부로부터 전해반응조의 수돗물 유입구까지 연결되는 수돗물 공급라인중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며, 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단속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전해반응조에는 수돗물이 단속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염수는 예컨대, 식염을 녹인 20%염수가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수통 내에 소금물은 완전 포화상태가 되려면 이론적으로 26.36%이나 염수통으로 계속해서 공급되는 수도물에 의해서 대략 20%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염수공급경로에 대하여 설명하면, 염수통으로부터 염수공급관을 통하여 염수가 펌핑되어 염수 유입구를 통하여 전해반응조로 공급될 수 있다. 염수를 공급할 때 염수통 내부에 포함된 찌꺼기나 불순물, 오물 그리고 소금 등이 바로 전해조로 들어가 과도한 전해전류를 만들게 됨으로 정상적인 전해 작용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염수공급관의 끝에 마이크로노즐 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노즐 또는 필터를 채용하는 경우, 이물질 또는 소금 알갱이의 유입에 따른 펌프 등의 오작동과 그리고 원활한 전해 반응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A/S 빈도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염수통 내부의 상기 마이크로노즐 또는 필터는 염수통의 바닥면에 쌓여 있는 소금의 입자 크기가 큰 경우는 물론이거니와 미세 입자의 소금을 사용한다고 하여도 장시간 사용에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노즐 또는 필터의 간극에 소금 입자가 달라 붙어 염수공급관을 통하여 전해반응조에 원활하게 염수를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선등록특허 1은 물론 이와 관련한 다른 종래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상기와 같은 염수통은 염수통내에 소금과 물을 공급하고 통 저변에 소금에 묻혀서 필터를 설치하였으나 가루 형태의 소금이 마이크로노즐 또는 필터를 포위하여 고형화 됨으로써 소금물의 진입이 사실상 방해되어 본체에 설치된 소금물 펌프에 부하로 작용하여 소금물이 펌핑이 잘 되지 않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등록특허공보 제10-1942508호(공고일 2019.01.25. 이하 '선등록특허 2' 라함)의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며, 본원발명은 선등록특허 2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키도록 개량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43894호(공고일 2004.08.09.) 등록특허공보 제10-1942508호(공고일 2019.0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수와 소금의 혼합으로 생산되는 염수가 출수시 출수되는 염수에 소금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의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염수통에서 정량의 염수 출수를 통해 살균소독수를 지속적으로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은, 원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와 소금의 혼합을 통해 소정 농도의 염수가 생산되는 염수조; 상기 염수조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염수조에서 생산되는 염수를 염수 출수관으로 출수시키는 염수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염수 공급부는, 염수 유입구와 상기 염수 출수관에 연결되는 염수 출수구가 형성되는 염수 공급조; 상기 염수 공급조의 내부를 상기 염수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염수 출수구가 형성되는 제 2 공간으로 분할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염수의 출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염수 가이드부; 및, 상기 염수 출수구를 감싸도록 상기 제 2 공간내에 형성되며, 상기 염수 출수구에서 염수만이 출수되도록 상기 염수로부터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염수 유입구는 상기 염수 공급조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슬릿 구조물이고, 상기 염수 출수구는 상기 염수 공급조내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염수 가이드부는 상기 염수 공급조의 내부에서 하단은 차단시키고 상단에는 상기 연통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염수 공급조내에 수용되는 격벽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염수 공급조내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염수 출수구가 형성되는 필터 지지부; 및, 상기 필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으로 소정 수위의 염수가 유입되어 통과시 상기 염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망;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염수조의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원수 공급관에는 상기 염수조로의 원수 공급을 단속하는 원수 단속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수 단속부는 로드로 연결되는 플로트(float)가 포함되는 볼탭(ball tap) 또는 수위 상승에 따른 플로트의 작용을 급수를 차단시키는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로드는, 상기 볼탭과 연결되는 메인로드와, 상기 플로트가 연결되는 서브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로드는 상기 플로트의 높낮이를 조절시키면서 상기 염수조 내의 염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로드에서 위치가 가변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수 공급관과 상기 원수 단속부는 상기 염수조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는 간단한 구조적인 결합 관계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원수와 소금의 혼합으로 생산되는 염수가 출수시 출수되는 염수에 소금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염수통에서 정량의 염수 출수를 통해 살균소독수를 문제없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 구조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염수조에 수용되는 염수 공급부에 대한 확대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원수 공급조가 적용되는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 구조의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 구조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염수조에 수용되는 염수 공급부에 대한 확대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은, 염수조(10)와 염수 공급부(20), 및/또는 원수 단속부(3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염수조(10)는 원수(수돗물)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100)이 측면 상단에 연결되어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소금 투입을 위해 덮개(11)에 의해 덮혀지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구조물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염수조(10)는 개구된 상부를 통해 내부 공간에 소정량의 소금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원수 공급관(100)을 통해 원수가 공급되면, 상기 원수와 상기 소금이 혼합되면서 소정 농도의 염수가 생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염수 공급부(20)는 상기 염수조(10)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염수조(10)에서 생산된 염수만을 전해 반응조(50)와 연결되는 염수 출수관(200)으로 출수시키는 것이며, 염수 공급 하우징(21), 염수 가이드부(22), 필터부(2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21)은 염수 유입구(21a)와 상기 염수 출수관(200)에 연결되는 염수 출수구(21b)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염수 유입구(21a)는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21)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슬릿 구조물이고, 상기 염수 출수구(21b)는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21)의 내부 저면 중앙에 형성되면서 상기 염수 출수관(200)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염수 가이드부(22)는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21)의 내부를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2)으로 분할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S1, S2)을 연결하는 연통구(22a)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염수의 출수 흐름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즉, 상기 염수 가이드부(22)는 원통형 또는 각형의 격벽 구조물로서, 상기 염수 유입구(21a)를 통해 염수가 제 1 공간(S1)으로 유입시, 상기 염수는 상기 제 2 공간(S1)의 상단 방향을 향해 수위가 서서히 상승하여 상기 연통구(22a)를 상기 제 2 공간(S2)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염수에 이물질이나 녹지 않은 소금 입자가 포함되더라도, 상기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는 상기 제 1 공간(S1)의 바닥면에 1차 침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S2)에 유입되는 염수의 수위가 서서히 상승하여 상기 필터부(23)의 일부 또는 모두가 잠기게 되면, 상기 염수는 상기 필터부(23)를 통과한 후 염수 출수구(21b)를 통해 상기 염수 출수관(200)으로 출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 2 공간(S2)에 흘러 들어간 염수에는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가 존재할 수 없지만, 혹여 미량의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가 포함되더라도, 미량의 상기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는 다시 상기 제 2 공간(S2)의 바닥면으로 2차 침전하게 되면서, 상기 필터부(23)는 이물질이나 소금입자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필터부(23)에서는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가 제거된 염수만이 통과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필터부(23)는 상기 제 2 공간(S2)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염수 출수구(21b)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제 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상기 염수로부터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필터 지지부(23a)와 필터망(23b)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 지지부(23a)는 상기 제 2 공간(S2)내에서 상기 염수 출수구(21b)가 형성되는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21)의 내부 중앙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필터망(23b)은 원통형의 메쉬 구조물로서, 상기 필터 지지부(23a)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 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염수만을 통과시키고 상기 염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의 통과는 차단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공간(S1)에서 서서히 수위가 상승하는 염수가 연통구(22a)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S2)으로 낙하되면, 상기 제 2 공간(S2)에서는 상기 염수의 수위가 서서히 차오르고, 이렇게 차오른 염수는 상기 필터망(23b)을 통과한 후 상기 염수 출수구(21b)를 통해 상기 염수조(10)의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염수 출수관(200)으로 출수되면서, 상기 염수 출수관(200)과 연결되는 전해 반응조(50)에는 정량의 염수가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염수조(10)내의 하부에 쌓이는 소금 덩어리에 포위되어 소금물만의 유입이 차단되거나 방해받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금이 직접적으로 상기 필터부(23)를 포위하지 못하도록 상기 필터부(23)를 보호하는 염수 공급 하우징(21)을 설치하고, 소금이 직접 상기 필터망(23b)에 부착하거나 쌓이지 못하게 하면서 염수(소금물)만이 전해 반응조(50)로 공급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21)내의 격벽 구조인 염소 가이드부(22)를 따라서 상부 방향으로 염수가 흐르게 함으로서 상기 염수보다 무거운 소금 알갱이는 가라앉아 바닥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염수만이 상기 필터망(23b)을 통해 상기 전해 반응조(50)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상기 전해 반응조(50)에서 원활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원수 단속부(30)는 상기 염수조(10)의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원수 공급관(100)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로드(31)와 플로트(flat)(32) 및 볼밸브(33)를 포함하는 볼탭(ball tap) 구조물로서 상기 염수조(10)내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원수 공급관(100)을 통한 원수 공급시 그 공급을 단속하는 것이다.
즉, 상기 원수 단속부(30)는 상기 염수조(10)내에 원수 공급이 이루어질 때 그 공급에 따른 상기 염수조(10)내 수위를 상기 플로트(32)를 통해 볼밸브(33)를 개폐시키면서 결정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전해 반응조(50)에 정량의 염수가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드(31)는 상기 볼밸브(33)와 연결되는 메인로드(31a) 및, 상기 플로트(32)가 연결되는 서브로드(31b)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로드(31b)는 상기 플로트(32)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염수조(10)내의 염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로드(31a)에서 위치가 가변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염수조(10)내 만수위를 높게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로드(31b)의 위치를 상기 메인로드(31a)의 상단에 위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염수조(10)내 만수위를 낮게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로드(31b)의 위치를 상기 메인로드(31a)의 하단에 위치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서브로드(31b)에 연결되는 상기 플로트(32)의 만수위 단속 위치가 변화되며, 이에따라 상기 메인로드(31a)에 의한 상기 볼밸브(33)의 개폐 또한 단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전해 반응조(60)에 정량의 염수를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수통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소정량의 소금이 투입된 염수조(10)에 원수 단속부(30)에 포함되는 볼밸브(33)가 개방되면서 원수 공급관(100)을 통한 원수 공급이 이루어지면, 상기 염수조(10)에서는 원수와 소금의 혼합에 따라 염수가 생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밸브(33)의 닫힘을 통한 상기 원수 차단은 플로트(3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염수조(10)에서 생산된 염수는 염수 공급부(20)에 포함되는 염수 공급 하우징(21)의 염수 유입구(21a)를 통해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21)내의 제 1 공간(S1)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 1 공간(S1)에서 염수의 수위가 서서히 상승하여 개구된 연통구(22a)의 높이를 초과하면, 상기 염수는 상기 연통구(22a)를 통해 제 2 공간(S2)으로 흘러 들어가지만, 상기 염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녹지 않은 소금 입자는 상기 제 1 공간(S1)의 바닥면에 1차 침전된다.
한편, 상기 제 2 공간(S2)으로 염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그 수위가 서서히 상승하게 되면, 상기 제 2 공간(S2)의 바닥면에 침전되지 않은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가 2차 침전되면서, 상기 제 2 공간(S2)에 형성되는 필터부(23)를 통해 염수가 통과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터부(23)는 염수에 포함되는 미량의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를 필터링하게 되면서, 상기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에 의한 막힘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염수 출수구(21b)를 통해 염수 출수관(200)으로 염수만을 출수시킬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염수 출수관(200)과 연결되는 전해 반응조(50)에는 원하는 농도를 가지는 정량의 염수가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전해 반응조(50)에서는 음극과 양극의 전극(미도시)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해 반응 효율이 높아져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되는 양질의 살균소독수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생성 효율도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염수 공급부(20)에 포함되는 상기 필터부(23)에는 빠르거나 늦지도 않게 균일성을 가지는 속도로 염수만이 통과되므로, 상기 필터부(23)는 염수내의 녹지 않은 소금 입자나 여러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고, 상기 필터부(23)에 의해 필터링되는 소정 농도의 염수는 염수 출수구(21b)에 연결되는 염수 출수관(200)을 통해 전해 반응조(50)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해 반응조(50)는 다수의 음극과 양극의 전극들에 의해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포함되며, 이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는 본체 케이스에 내장되는 조작용 컨트롤 패널, 상기 전극들에 전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 상기 전원공급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팬, 그리고 전원공급회로에 의한 전해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로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염수조(10)의 내부 일단에 슬릿 구조의 원수 출수구(41)가 형성되는 원수 공급조(40)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며, 이에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상기 원수 공급관(100)과 상기 원수 단속부(30)는 상기 원수 공급조(4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한편, 상기 염수 출수관(200)은 상기 원수 공급조(40)를 통과하면서 상기 염수조(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해 반응조(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원수 공급조(40)를 통해 상기 염수조(10)의 내부로 원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한편, 상기 원수 공급량 조절시 상기 원수 공급조(40)내의 원수 수위를 상기 원수 단속부(30)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염수조(10)에서 소정 농도를 가지는 염수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염수 공급부(20)를 통해 전해 반응조(50)에는 정량의 염수가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염수조 20; 염수 공급부
21; 염수 공급 하우징 21a; 염수 유입구
21b; 염수 출수구 22; 염수 가이드부
22a; 연통구 23; 필터부
23a; 필터 지지부 23b; 필터망
30; 원수 단속부 31; 로드
31a; 메인로드 31b; 서브로드
32; 플로트 33; 볼밸브
40; 원수 공급조 41; 원수 출수구
50; 전해 반응조 100; 원수 공급관
200; 염수 출수관 S1; 제 1 공간
S2; 제 2 공간

Claims (6)

  1. 원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와 소금의 혼합을 통해 소정 농도의 염수가 생산되는 염수조;
    상기 염수조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염수조에서 생산되는 염수를 염수 출수관으로 출수시키는 염수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염수 공급부는, 염수 유입구와 상기 염수 출수관에 연결되는 염수 출수구가 형성되는 염수 공급 하우징;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염수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염수 출수구가 형성되는 제 2 공간으로 분할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염수의 출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염수 가이드부; 및, 상기 염수 출수구를 감싸도록 상기 제 2 공간내에 형성되며, 상기 염수 출수구에서 염수만이 출수되도록 상기 염수로부터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염수 공급 하우징내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염수 출수구가 형성되는 필터 지지부; 및,
    상기 필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으로 소정 수위의 염수가 상기 염수 가이드부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흐를 때 상기 염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소금 입자의 유입을 방지하고 그 이후에도 유입될 수 있는 찌꺼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조의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원수 공급관에는 상기 염수조로의 원수 공급을 단속하는 것으로 플로트와 볼탭이 포함되는 원수 단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로트는 상기 염수조내의 염수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염수조내에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탭은 메인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플로트는 서브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서브로드는 상기 플로트의 높낮이를 조절시키면서 상기 염수조 내의 염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로드에서 위치가 가변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공급관과 상기 원수 단속부는 상기 염수조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따른 염수통;
    음극과 양극의 전극들에 의해 상기 염수통으로부터 공급받는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전해 반응조;
    상기 전극들에 전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
    상기 전원공급회로에 의한 전해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20220030061A 2022-03-10 2022-03-10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230133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061A KR20230133043A (ko) 2022-03-10 2022-03-10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061A KR20230133043A (ko) 2022-03-10 2022-03-10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043A true KR20230133043A (ko) 2023-09-19

Family

ID=8819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061A KR20230133043A (ko) 2022-03-10 2022-03-10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04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4-08-09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1942508B1 (ko) 2017-02-17 2019-01-25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4-08-09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1942508B1 (ko) 2017-02-17 2019-01-25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508B1 (ko)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CN102933277B (zh) 水处理设备及其消毒和清洁方法
KR10070621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US4781810A (en) Advanced chlorine generating system
RU23946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ющее реагенты
PL182306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earated water
CN113646268B (zh) 氯消毒水生成装置
KR20230133043A (ko) 살균소독수 생성용 염수통과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JP2003062574A (ja) ミネラル水生成装置
JP6291974B2 (ja) 除菌水生成装置
TWI564436B (zh) 電解系統
JP2017035275A (ja) 空気清浄装置
KR10194137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JP2021191473A (ja) 洗面化粧台
US7452122B2 (en) Feeder device
JP6331006B2 (ja) 除菌水生成装置
KR200462705Y1 (ko) 의료기기 소독용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DE112018001465B4 (de) Reinigungs- und Sterilisationsvorrichtung
JP6292393B2 (ja) 除菌水生成装置
US20090007970A1 (en) Feeder device
GB2443169A (en) Skimmer
JPH0988132A (ja) 水処理カートリッジを具備する原水供給配管構造
JP2008119644A (ja) 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JP7029659B2 (ja) 浴室
KR101812970B1 (ko) 다공판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