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150A -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150A
KR20210010150A KR1020190087672A KR20190087672A KR20210010150A KR 20210010150 A KR20210010150 A KR 20210010150A KR 1020190087672 A KR1020190087672 A KR 1020190087672A KR 20190087672 A KR20190087672 A KR 20190087672A KR 20210010150 A KR20210010150 A KR 20210010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water
electrolyte
water produ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845B1 (ko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서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기 filed Critical 서순기
Priority to KR102019008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8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단의 적층 구조를 이루는 트레이들에 각각 복수의 전기 분해조를 배열한 후 이에 전해질이 혼합되는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용수 보충의 불편함을 없애면서도 전해 살균 소독수를 대량 생산하고, 다단을 이루는 트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소독수 생산 모듈에 문제 발생시 그 A/S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High-capacity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는 인구가 밀집하여 생활하고 있고, 집단 급식과 매식이 잦으며, 교통 발달로 인구의 이동이 크다. 이에 따라 세균성 전염병이 자주 발생하고, 광역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여건에서 위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와 같은 생활 여건에 따라 현재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선행기술들을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소독수 생성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시된 살균 소독수 생성 장치는 살균 소독수 생산량이 극히 제한적이고,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용수를 자주 수동으로 보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43894호(공고일 2004.08.0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129호(공고일 2006.08.2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130호(공고일 2006.08.30.)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8153호(공개일 2009.05.13.) 등록특허공보 제10-1942508호(공고일 2019.0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단의 적층 구조를 이루는 트레이들에 각각 복수의 전기 분해조를 배열한 후 이에 전해질이 혼합되는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수 보충의 불편함을 없애면서도 전해 살균 소독수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다단을 이루는 트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소독수 생산 모듈에 문제 발생시 그 A/S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은, 전해질(electrolyte)이 저장되는 제 1 탱크부; 함체내에 다단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급수전 및 상기 제 1 탱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공급라인에 의해 일정 수압으로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에 상기 제 2 공급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전해질이 혼합되어 유입시 이를 전해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소독수 생산 모듈; 및,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과 제 3 공급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로부터 생산되어 배출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저장하는 제 2 탱크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에는 내부 양측면에 다단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트레이를 다단 형성하고, 다단 형성되는 상기 트레이에는 각각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에는, 상기 제 1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1 관체와, 상기 제 2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2 관체 및, 상기 제 3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3 관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은, 상기 제 1 관체의 분기구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부라인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내부라인에 의한 급수전 용수 흐름을 제어하도록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 2 관체의 분기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내부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내부라인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내부라인에 의한 전해질 흐름을 제어하도록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시, 상기 제 2 내부라인을 통해 상기 제 1 내부 라인으로 상기 제 1 탱크부에 저장되는 전해질을 펌핑하는 펌프; 및,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에 구동전원이 공급시, 상기 제 1 내부라인을 통해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의 혼합 유체가 유입시 이를 전해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 3 관체에 연결되는 상기 제 3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제 2 탱크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전기 분해조;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기 분해조의 입수구측에는 상기 제 1 내부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전기 분해조의 출수구측에는 상기 제 3 관체의 분기구에 연결되는 제 3 내부라인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가 인접되는 상기 제 1 내부라인에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 압력을 체크하는 제 1 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인접되는 상기 제 2 내부라인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를 체크하는 제 2 센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내에 다단 형성되는 상기 트레이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펌프, 그리고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펌프의 구동 제어, 그리고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로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낮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는 닫힘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은 오프시키는 제 1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와 같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는 열림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은 온 시키는 제 2 제어 프로그램;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량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 3 제어 프로그램; 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 공급라인에는 각각 역류 방지용 체크밸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는 캐비넷 구조물로서 그 전방 및 후방에는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입력패널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패널에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온/오프, 그리고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에 대한 공급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 상기 버튼들에 의한 설정 정보 입력 상태는 물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른 시스템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압력과 농도를 표시하는 압력계/농도계, 및 시스템 작동에 대한 오류 발생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의 적층 구조를 이루는 트레이들에 각각 복수의 전기 분해조를 배열한 후 이에 전해질이 혼합되는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용수 보충의 불편함을 없애면서도 전해 살균 소독수를 대량 생산하고, 다단을 이루는 트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소독수 생산 모듈에 문제 발생시 그 A/S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대용량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및 제 2 탱크부와 소독수 생산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연결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함체내 다단 트레이에 소독수 생산 모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독수 생산 모듈이 마련되는 트레이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독수 생산 모듈이 마련되는 트레이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대용량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및 제 2 탱크부와 소독수 생산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연결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함체내 다단 트레이에 소독수 생산 모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독수 생산 모듈이 마련되는 트레이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독수 생산 모듈이 마련되는 트레이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은, 제 1 탱크부(10), 소독수 생산 모듈(20), 제 2 탱크부(30), 그리고 전원공급부(40)와 제어부(50) 및 입력패널(60)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탱크부(10)는 일정량의 전해질(electrolyte)(예; 소금물, 염산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나트륨 등)이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과 제 2 공급라인(L2)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 2 공급라인(L2)을 통해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에 저장된 전해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탱크부(10)에서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에 일정량의 전해질을 공급하는 방식은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에 포함되는 펌프(23)의 펌핑 동작으로부터 가능하고, 그 공급시 전해질에 대한 역류를 방지시키도록 상기 제 2 공급라인(L2)에는 체크밸브(V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은 캐비넥 형태의 함체(100)내에 다단 형성되는 트레이(102)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며, 제 1 공급라인(L1)을 통해 급수전과 연결됨은 물론, 상기 제 2 공급라인(L2)을 통해 상기 제 1 탱크부(10)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공급라인(L1)에 의해 일정 수압으로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에 상기 제 2 공급라인(L2)에 의해 공급되는 전해질이 혼합되어 유입시 이를 전해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함체(100)에는 내부 양측면에 다단 형성되는 레일(10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트레이(102)가 다단 형성되며, 다단 형성되는 상기 트레이(102)에는 각각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는 각 트레이에 설치되는 소독수 생산모듈의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함체(100)에는 상기 제 1 공급라인(L1)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1 관체(200), 상기 제 2 공급라인(L2)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2 관체(300), 그리고 역류 방지용 체크밸브(V2)가 형성되는 제 3 공급라인(L3)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3 관체(40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단을 이루는 상기 트레이(102)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은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 펌프(23), 전기 분해조(24)가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1)는 상기 제 1 관체(200)의 분기구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부라인(L11)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내부라인(L11)에 의한 급수전 용수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 제어되거나 또는 동시에 개폐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2)는 상기 제 2 관체(300)의 분기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다단의 상기 제 1 내부라인(L11)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내부라인(L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내부라인(L12)에 의한 전해질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 제어되거나 또는 동시에 개폐 제어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1)가 인접되는 상기 제 1 내부라인(L11)에는 각각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 압력을 체크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50)로 출력하는 제 1 센서(S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2)가 인접되는 상기 제 2 내부라인(L12)에는 각각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를 체크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50)로 출력하는 제 2 센서(S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각 트레이(10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를 개별 또는 동시에 개폐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펌프(23)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2)가 개방시, 상기 제 2 내부 라인(L12)을 통해 급수전 용수가 흐르는 상기 제 1 내부라인(L11)에 전해질을 펌핑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전기 분해조(24)는 상기 전원 공급부(40)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미도시)에 구동전원이 공급시, 상기 급수전 용수의 수압에 의해 입수되는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의 혼합 유체를 전해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 3 관체(400)에 연결되는 상기 제 3 공급라인(L3)을 통해 상기 제 2 탱크부(30)로 배출시키는 것이며, 이는 하나의 트레이(10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예; 도면 기준 4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전기 분해조(24)의 입수구측에는 상기 제 1 내부라인(L11)이 연결되고, 상기 전기 분해조(24)의 출수구측에는 상기 제 3 관체(400)의 제 3 분기구(401)에 연결되는 제 3 내부라인(L13)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미도시된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는 통상적으로 음극과 양극이 복수개 교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양극은 전해 중에 산화현상에 의한 여러가지 발생하는 문제 극복을 위해 내산화성을 갖는 원소, 즉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여 보호하고, 상기 음극은 비싼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압의 극성을 교대로 바꾸어 가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음극도 백금족 코팅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탱크부(30)는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과 제 3 공급라인(L3)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20)로부터 생산되어 배출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저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2 탱크부(30)를 적용하는 이유는, 저장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출수구를 열거나 닫아서 사용할 때 급수전의 용수 압력에 의해 전기 전해조(24)가 터지거나 파손되어 발생하는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소독수 생산모듈(20)에 포함되는 상기 전기 분해조(24)를 보호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함체(100)내에 다단 형성되는 상기 트레이(102)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와 상기 펌프(23), 그리고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원 공급부(40)가 설치되는 트레이(102)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와 상기 펌프(23)의 구동 제어, 그리고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24a)로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4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에는 작동 형태에 따라 제어 흐름을 가지는 제 1 내지 제 3 제어 프로그램(PG1, PG2, PG3)을 탑재할 수 있는데, 상기 제 1 제어 프로그램(PG1)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낮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는 닫힘 제어하고, 상기 펌프(23)의 구동은 오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2 제어 프로그램(PG2)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와 같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는 열림 제어하고, 상기 펌프(23)의 구동은 온 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3 제어 프로그램(PG3)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과 상기 펌프(23)의 구동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량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입력패널(60)은 캐비넷 구조물인 상기 함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도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온/오프, 그리고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에 대한 공급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61), 상기 버튼들(61)에 의한 설정 정보 입력 상태는 물론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른 시스템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2),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들에 의해 체크되는 압력과 농도를 표시하는 압력계/농도계(63), 및 시스템 작동에 대한 오류 발생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부(64)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우선 입력패널(60)을 통해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 공급량을 설정한 후 시작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를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의 개방에 따라 급수전 용수는 일정 수압을 유지하면서 제 1 공급라인(L1)→제 1 관체(200)→제 1 솔레노이드 밸브(21)→제 1 내부라인(L11)에 유입된다.
이때, 제 1 탱크부(10)에 저장되는 전해질은 펌프(23)의 펌핑 동작에 따라 제 2 공급라인(L2)을 통해 펌핑되면서 제 2 관체(300)→제 2 솔레노이드 밸브(22)→제 2 내부라인(L12)을 통해 상기 제 1 내부라인(L11)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내부 라인(L11)에서는 급수전 용수에 상기 전해질이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된 유체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수압에 의해 소독수 생산 모듈(20)에 포함되는 전기 분해조(24)에 투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라인(L11, L12)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센서(S1, S2)는 각각 상기 급수전 용수 압력과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를 체크한 후 이를 제어부(50)에 출력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50)에 탑재된 제어 프로그램(PG1, PG2, PG3)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와 상기 펌프(23)의 구동 제어, 그리고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24a)로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4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50)에 탑재된 제 1 제어 프로그램(PG1)이 가동되면서,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는 닫힘 제어하고, 상기 펌프(23)의 구동은 오프시켜, 상기 전기 분해조(24)들에 의한 전해 살균 소독수의 생산을 중지시킨다.
반면,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와 같을 경우, 상기 제어부(50)에 탑재되는 제 2 제어 프로그램(PG2)이 가동되면서,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는 열림 제어하고, 상기 펌프(23)의 구동은 온 시켜, 상기 전기 분해조(24)들에 의한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50)에 탑재되는 제 3 제어 프로그램(PG3)이 가동되면서,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과 상기 펌프(23)의 구동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량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제어 프로그램(PG1, PG2, PG3)은 제 1 및 제 2 내부 라인(L11, L12)을 따라 흐르는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의 공급량이 설정된 기준 공급량에 도달하여 그 압력 또는 농도가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와 동일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전기 분해조(24)를 통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고, 그 압력 또는 농도가 낮거나 또는 높을 경우에는 그 압력 또는 농도가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전 용수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1, 22)를 개폐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는 함체(100)내의 각 트레이(102)에 설치되는 소독수 생산 모듈(20)에 각각 마련되는 펌프(23)들의 펌핑 동작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일부는 오프시키고 일부는 온 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펌프(23)에 의해 펌핑되는 전해질의 펌핑량이 제 2 센서(S2)에 의해 각각 체크될 때 그 체크 결과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각 트레이(102)에 마련되는 펌프(23)의 전해질 펌핑량이 서로 다르고 이를 상기 각 트레이(102)의 제 2 내부 라인(L12)에 형성되는 제 2 센서(S2)가 각각 체크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50)에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50)는 각 트레이(102)에 설치되는 제 2 내부 라인(L12)으로의 전해질 펌핑량을 체크하여, 그 펌핑량 편차를 보정하도록, 각 트레이(102)에 설치되는 펌프(23)의 펌핑상태를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제어하면서, 상기 제 2 내부라인(L12)에서 급수전 용수가 흐르는 상기 제 1 내부라인(L11)으로 각각 정량의 전해질이 혼합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전극 스크류 단자에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다단으로 이루어진 전기 분해조(24)는 투입되는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의 혼합 유체를 전해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는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서는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예; 소금물)의 혼합 유체가 투입될 때 전해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전해 반응은 양극 반응(CL2+2e)과 음극 반응(2Na+2H2O+2e 2NaOH+H2)이고, 전체 반응은 Cl2+2NaOH+NaOCl+NaCl+H2O가 되면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생산된 전해 살균 소독수는 각각 상기 전기 분해조(24)의 출수구측에 연결되는 제 3 내부라인(L13) 및 이에 연결되는 제 3 관체(400)를 거쳐 제 3 공급라인(L3)을 통해 제 2 탱크부(30)로 출수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된 전해 살균 소독수는 축사, 식당, 병원, 가정, 미장원, 식품가공 공장, 육가공 공장, 공중 위생을 위한 공공 장소, 화장실의 타일 청소 등의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살균 소독, 악취 제거, 청소, 세척 등의 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용량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제 1 탱크부 20; 소독수 생산 모듈
21;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22;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23; 펌프 24; 전기 분해조
30; 제 2 탱크부 40; 전원공급부
50; 제어부 60; 입력패널
100; 함체 101; 레일
102; 트레이 200; 제 1 관체
300; 제 2 관체 400; 제 3 관체
L1, L2, L3; 제 1,2,3 공급라인
L11, L12, L13; 제 1,2,3 내부라인
S1, S2; 제 1,2 센서 V1, V2; 체크밸브

Claims (10)

  1. 전해질(electrolyte)이 저장되는 제 1 탱크부;
    함체내에 다단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공급라인을 통해 급수전 및 상기 제 1 탱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공급라인에 의해 일정 수압으로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에 상기 제 2 공급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전해질이 혼합되어 유입시 이를 전해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소독수 생산 모듈; 및,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과 제 3 공급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로부터 생산되어 배출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저장하는 제 2 탱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내부 양측면에 다단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트레이를 다단 형성하고, 다단 형성되는 상기 트레이에는 각각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상기 제 1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1 관체;
    상기 제 2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2 관체; 및,
    상기 제 3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다단의 분기구를 가지는 제 3 관체;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 생산 모듈은,
    상기 제 1 관체의 분기구에 연결되는 제 1 내부라인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내부라인에 의한 급수전 용수 흐름을 제어하도록 개폐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 2 관체의 분기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내부라인에 연결되는 제 2 내부라인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내부라인에 의한 전해질 흐름을 제어하도록 개폐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시, 상기 제 2 내부라인을 통해 상기 제 1 내부 라인으로 상기 제 1 탱크부에 저장되는 전해질을 펌핑하는 펌프; 및,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극 스크류 단자에 구동전원이 공급시, 상기 제 1 내부라인을 통해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의 혼합 유체가 유입시 이를 전해 반응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 3 관체에 연결되는 상기 제 3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제 2 탱크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전기 분해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해조의 입수구측에는 제 1 내부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전기 분해조의 출수구측에는 상기 제 3 관체의 분기구에 연결되는 제 3 내부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가 인접되는 상기 제 1 내부라인에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 압력을 체크하는 제 1 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인접되는 상기 제 2 내부라인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를 체크하는 제 2 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내에 다단 형성되는 상기 트레이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펌프, 그리고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펌프의 구동 제어, 그리고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로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낮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는 닫힘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은 오프시키는 제 1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와 같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는 열림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은 온 시키는 제 2 제어 프로그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량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 3 제어 프로그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공급라인에는 각각 역류 방지용 체크밸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KR1020190087672A 2019-07-19 2019-07-19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KR10228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72A KR102282845B1 (ko) 2019-07-19 2019-07-19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72A KR102282845B1 (ko) 2019-07-19 2019-07-19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50A true KR20210010150A (ko) 2021-01-27
KR102282845B1 KR102282845B1 (ko) 2021-07-28

Family

ID=7423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72A KR102282845B1 (ko) 2019-07-19 2019-07-19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84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665A (ko) * 1999-04-26 1999-08-05 김종식 다단식 스팀 식품기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4-08-09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0425129Y1 (ko) 2006-06-15 2006-08-29 서순기 이동식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425130Y1 (ko) 2006-06-15 2006-08-30 서순기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90048153A (ko) 2007-11-09 2009-05-13 서순기 이종 액체 혼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소독수 제조장치
JP2009125694A (ja) * 2007-11-26 2009-06-11 Masaaki Arai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KR101556371B1 (ko) * 2015-03-20 2015-09-30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
KR20170014064A (ko) * 2015-07-28 2017-02-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모듈화된 전기분해 장치
KR101942508B1 (ko) 2017-02-17 2019-01-25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665A (ko) * 1999-04-26 1999-08-05 김종식 다단식 스팀 식품기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4-08-09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0425129Y1 (ko) 2006-06-15 2006-08-29 서순기 이동식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425130Y1 (ko) 2006-06-15 2006-08-30 서순기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90048153A (ko) 2007-11-09 2009-05-13 서순기 이종 액체 혼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소독수 제조장치
JP2009125694A (ja) * 2007-11-26 2009-06-11 Masaaki Arai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KR101556371B1 (ko) * 2015-03-20 2015-09-30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
KR20170014064A (ko) * 2015-07-28 2017-02-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모듈화된 전기분해 장치
KR101942508B1 (ko) 2017-02-17 2019-01-25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845B1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61B1 (ko) 전해살균 소독수 공급장치
KR10070621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JPWO2002090266A1 (ja) 水処理装置
KR200425129Y1 (ko) 이동식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425130Y1 (ko)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CN102947490A (zh) 电解系统
JP2002346565A (ja) 水処理装置
JP2010115639A (ja) ペーハー調整方法および装置
KR20210010150A (ko)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KR200435320Y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101840234B1 (ko) 염소 주입량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염소수 전해소독 장치
JP6291974B2 (ja) 除菌水生成装置
KR100756030B1 (ko) 휴대용 전해소독수 생성장치
KR101564594B1 (ko) 살균수와 알칼리수의 동시공급이 가능한 이온수기
KR20230021357A (ko)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102534556B1 (ko) 살균 및 수소공급이 가능한 수전
CN108624904A (zh) 电解水生成装置
JP6114335B2 (ja) 海水電解システム及び海水電解方法
KR100694846B1 (ko) 전해살균 소독수 공급 시스템
JP6331006B2 (ja) 除菌水生成装置
KR20170014064A (ko)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모듈화된 전기분해 장치
KR102399942B1 (ko)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JPH08215684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KR20090123278A (ko) 손 소독기
JP6292393B2 (ja) 除菌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