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357A -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357A
KR20230021357A KR1020210103131A KR20210103131A KR20230021357A KR 20230021357 A KR20230021357 A KR 20230021357A KR 1020210103131 A KR1020210103131 A KR 1020210103131A KR 20210103131 A KR20210103131 A KR 20210103131A KR 20230021357 A KR20230021357 A KR 20230021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e
concentration
electrolytic sterilization
driv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원
서은주
Original Assignee
서재원
서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원, 서은주 filed Critical 서재원
Priority to KR102021010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357A/ko
Publication of KR2023002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복수의 전해 살균 소독 생성장치를 구비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사용 용도에 맞는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간편하게 생산하는 등의 생산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Double electrolysis sterilization disinfectant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하나의 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는 인구가 밀집하여 생활하고 있고, 집단 급식과 매식이 잦으며, 교통 발달로 인구의 이동이 크다. 이에 따라 세균성 전염병이 자주 발생하고, 광역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여건에서 위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와 같은 생활 여건에 따라 현재 여러 종류의 소독수 생성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시된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들은 하나의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만을 제조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교차 제조하지는 못하였다.
즉,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는 일정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제조하기 위해, 전해질(electrolyte)(예; 소금물, 염산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나트륨 등) 농도, 전류 밀도(Current density),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설정해야 하는 것이다.
일예로, 용수와 전해질의 공급량이 설정된 기준 공급량에 도달하여 그 압력 또는 농도가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와 동일하면, 전기 분해조를 통한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이 가능하고, 압력 또는 농도가 낮거나 또는 높을 경우에는 그 압력 또는 농도가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용수 또는 전해질의 공급량을 조절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공지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들은 전해질 농도가 정해진 상태에서 일정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만을 제조할 수 있을뿐, 목표 농도(예; 20ppm∼30ppm 또는 100ppm∼200ppm이나 1000ppm 또는 5000ppm 등)가 서로 다른 전해 살균 소독수를 각각 교차하여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는 없었고, 목표 농도가 서로 다른 전해 살균 소독수를 각각 생성하기 위해서는 그 목표 농도에 해당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것이다.
일예로, 농도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은 20∼30ppm 또는 100∼200ppm과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를 통해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농도 차이가 큰 100∼1000ppm 또는 5000ppm은 하나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를 통해 상업적 생산량에 맞춰 생산할 수는 없었다.
이에 종래에는 전해질 농도가 정해진 상태에서, 20∼30ppm 또는 100∼200ppm의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농도 차이가 큰 100∼1000ppp 또는 5000ppm의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전류 밀도와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새롭게 설정해야 하지만, 그 설정 작업이 어려운 관계로, 높아진 농도(예; 20∼30ppm 또는 100∼200ppm→1000ppm 또는 5000ppm)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더라도 그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자 할 때 여러대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 장치를 구비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43894호(공고일 2004.08.0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129호(공고일 2006.08.2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130호(공고일 2006.08.30.)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8153호(공개일 2009.05.13.) 등록특허공보 제10-1942508호(공고일 2019.0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며,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해질이 저장되며, 상기 전해질을 제 1 밸브 또는 제 2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전해질 공급라인 또는 제 2 전해질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는 전해질 저장탱크;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제 1 엔진버튼에 의해 동작 대기모드 또는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제 1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엔진모듈;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제 2 엔진버튼에 의해 동작 대기모드 또는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구동전원보다 전류밀도가 큰 제 2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엔진모듈;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엔진모듈에서 공급하는 제 1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제 1 범위로 조절하며, 제 3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용수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와 상기 제 1 범위로 조절되는 상기 전해질의 혼합된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농도 차이가 크지 않은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제 1 소독수 생성모듈; 및,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엔진모듈에서 공급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전해질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상기 제 1 범위보다 높은 제 2 범위로 조절하며, 제 4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용수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와 상기 제 2 범위로 조절되는 상기 전해질의 혼합된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상기 제 1 농도보다 농도 차이가 큰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제 2 소독수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소독수 생성모듈은, 상기 제 1 밸브가 개방시 상기 전해질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으로 펌핑하는 제 1 펌프; 전극 스크류 단자에 제 1 구동전원이 공급시,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이 혼합되어진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출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제 1 전기 분해조; 및, 제 1 조작패널로부터 작동신호 출력시, 상기 제 1 펌프의 펌핑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제 1 범위로 조절하면서,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된 상기 제 1 엔진모듈의 제 1 구동전원을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의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로 공급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소독수 생성모듈은, 상기 제 2 밸브가 개방시 상기 전해질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제 2 전해질 공급라인으로 펌핑하는 제 2 펌프; 전극 스크류 단자에 제 2 구동전원이 공급시,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이 혼합되어진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출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제 2 전기 분해조; 및, 제 2 조작패널로부터 작동신호 출력시, 상기 제 2 펌프의 펌핑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제 2 범위로 조절하면서,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된 상기 제 2 엔진모듈의 제 2 구동전원을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의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로 공급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밸브는 수동밸브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는 상기 제 1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용수공급라인에는 급수전 용수의 공급 압력을 체크하는 제 1 센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질 공급라인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질의 공급 농도를 체크하는 제 2 센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또는 상기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압력이나 상기 제 1 전해질의 공급 농도에 따라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상기 제 1 엔진모듈의 제 1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의 개폐 및 상기 제 1 펌프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또는 상기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압력이나 상기 제 2 전해질의 공급 농도에 따라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상기 제 2 엔진모듈의 제 2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면서,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의 개폐 및 상기 제 2 펌프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엔진모듈은 농도 차이가 크지 않은 상기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가 생성되도록 제 1 전류밀도를 가지는 상기 제 1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제 1 개수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장치(SMPS)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엔진모듈은 농도 차이가 큰 상기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제 1 구동전원의 제 1 전류밀도보다 높은 제 2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2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개수를 초과하는 제 2 개수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장치(SMPS)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복수의 전해 살균 소독 생성장치를 구비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사용 용도에 맞는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간편하게 생산하는 등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구조를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해질 저장탱크 및 급수전과 소독수 생성모듈의 개략적인 연결 상태를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구조를 보인 내부 투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및 제 2 소독수 생성모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구조를 보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해질 저장탱크 및 급수전과 소독수 생성모듈의 개략적인 연결 상태를 보인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구조를 보인 내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및 제 2 소독수 생성모듈에 대한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는, 하나의 하우징(10)에서 서로 다른 농도, 즉, 농도 차이가 크지 않은 제 1 농도(예; 20∼30ppm 또는 100ppm∼200ppm) 또는 상기 제 1 농도와 농도 차이가 큰 제 2 농도(예; 1000ppm 또는 5000ppm)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해질 저장탱크(20), 제 1 및 제 2 엔진모듈(30, 40), 제 1 및 제 2 살균수 생성모듈(50, 60)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복수의 적층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단의 격판(D1, D2, D3, D4)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어진 함체 구조물로, 함체 구조물인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측에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조작패널(54, 64)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측에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엔진버튼(BT1, BT2)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에는 급수전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전 파이프라인이 연결되면서, 상기 급수전 파이프라인에는 제 1 및 제 2 용수공급라인(L1, L2)이 분기되고, 분기된 상기 제 1 용수공급라인(L1)은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에 연결되며, 분기된 상기 제 2 용수공급라인(L2)은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해질 저장탱크(20)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기 위한 농도를 가지도록 설정되어진 전해질(electrolyte)(예; 소금물, 염산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나트륨 등)을 저장하면서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과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과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저장된 상기 전해질을 제 1 밸브(V1) 또는 제 2 밸브(V2)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 또는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을 통해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 또는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에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밸브(V1)와 상기 제 2 밸브(V2)는 작업자에 의해 개폐가 조작되는 수동밸브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와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에 각각 포함되는 후술하는 제 1 제어부(53)와 제 2 제어부(63)에 의해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해질 저장탱크(20)에서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과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에 일정량의 전해질을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과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을 통해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시,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과 상기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에는 각각 전해질에 대한 역류를 방지시키는 체크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격판(D1)에 형성되면서,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이 가능한 상기 제 1 엔진버튼(BT1)에 의해 동작 대기모드 또는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이는 제 1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의 생성을 위해 제 1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1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제 1 개수(예; 4개)의 전원공급장치(SMPS)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동작 대기모드는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제 1 조작패널(54)의 동작신호가 상기 제 1 제어부(53)로 입력되면, 상기 제 1 제어부(53)는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의 제 1 구동전원을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에 공급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동작 차단모드는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과 전기적 접속이 차단된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제 1 조작패널(54)의 동작신호가 상기 제 1 제어부(53)로 입력되더라도,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의 제 1 구동전원은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격판(D2)에 형성되면서,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이 가능한 상기 제 2 엔진버튼(BT2)에 의해 동작 대기모드 또는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이는 제 2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의 생성을 위해 상기 제 1 전류밀도보다 큰 제 2 전류밀도를 가지는 상기 제 2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제 2 개수(예; 8개)의 전원공급장치(SMPS)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동작 대기모드는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제 2 조작패널(64)의 동작신호가 상기 제 2 제어부(63)로 입력되면, 상기 제 2 제어부(63)는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의 구동전원을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에 공급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동작 차단모드는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과 전기적 접속이 차단된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제 2 조작패널(64)의 동작신호가 상기 제 2 제어부(63)로 입력되더라도,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의 구동전원은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로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1 엔진버튼(BT1)을 통해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을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때 상기 제 2 엔진버튼(BT2)을 통해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은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과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어야 하고, 반대로, 상기 제 2 엔진버튼(BT2)을 통해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을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때 상기 제 1 엔진버튼(BT1)을 통해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은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과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는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로서, 농도 차이가 크지 않은 제 1 농도(예; 20∼30ppm 또는 100ppm∼200ppm)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을 이용하고, 상기 제 1 농도와 농도 차이가 큰 제 2 농도(예; 1000ppm 또는 5000ppm)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을 이용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은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가 생성되도록 제 1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1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은 상기 제 1 농도와 농도 차기가 큰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제 1 전류밀도보다 큰 제 2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2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은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내에 격판(D3)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이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시 제 1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1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것이며, 제 3 밸브(V3)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용수공급라인(L1)과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을 통해 각각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을 공급받으며, 상기 급수전 용수와 상기 전해질이 혼합되어 희석된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제 1 펌프(51), 제 1 전기 분해조(52), 상기 제 1 제어부(53), 상기 제 1 조작패널(54)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펌프(51)는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밸브(V1)가 개방시 상기 전해질 탱크(20)에 저장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을 통해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62)에 펌핑하는 것이며 그 펌핑 동작은 상기 제 1 제어부(5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어부(53)에 의한 상기 제 1 펌프(51) 제어는 제 1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펌프(51)의 펌핑 시간 제어를 통해 상기 전해질의 유속 수치 범위를 제 1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3 밸브(V3)는 작업자에 의해 개폐가 조작되는 수동밸브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제어부(53)에 의해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는 전극 스크류 단자에 상기 제 1 엔진모듈(30)에서 제 1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1 구동전원을 공급시,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이 혼합되어 희석된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출수시키는 것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예; 도면 기준 4개)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제어부(53)는 상기 제 1 펌프(51)의 펌핑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제 1 범위로 조절 제어함은 물론, 상기 제 1 조작패널(54)로부터 작동신호 출력시,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된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의 제 1 구동전원을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의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로 공급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은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내에 격판(D4)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이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시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것이며, 제 4 밸브(V4)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용수공급라인(L2)과 상기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을 통해 각각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을 공급받으며, 상기 급수전 용수와 상기 전해질이 혼합되어 희석된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상기 제 1 농도보다 농도 차기가 큰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제 2 펌프(61), 제 2 전기 분해조(62), 상기 제 2 제어부(63), 상기 제 2 조작패널(64)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펌프(61)는 상기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4 밸브(V4)가 개방시 상기 전해질 탱크(20)에 저장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을 통해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에 펌핑하는 것이며 그 펌핑 동작은 상기 제 2 제어부(6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제어부(63)에 의한 상기 제 2 펌프(61) 제어는 상기 제 1 농도와 농도 차이가 큰 제 2 농도를 가지는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펌프(61)의 펌핑 시간을 상기 제 1 펌프(51)의 펌핑 시간보다 길게 제어하면서 상기 전해질의 유속 수치 범위를 상기 제 1 범위보다 높은 제 2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4 밸브(V4)는 작업자에 의해 개폐가 조작되는 수동밸브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63)에 의해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는 전극 스크류 단자에 상기 제 2 엔진모듈(40)에서 상기 제 1 전류밀도보다 높은 제 2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2 구동전원을 공급시,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이 혼합되어 희석된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출수시키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의 용량 대비 증대된 용량을 가지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예; 도면 기준 4개)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제어부(63)는 상기 제 2 펌프(61)의 펌핑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제 2 범위로 조절 제어함은 물론, 상기 제 2 조작패널(64)로부터 작동신호 출력시,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된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의 구동전원을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의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로 공급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용수공급라인(L1, L2)에는 각각 급수전 용수의 공급 압력을 체크하는 제 1 센서(S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1, L12)에는 각각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를 체크하는 제 2 센서(S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따라, 상기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제어부(53)는 상기 제 1 센서(S1) 또는 상기 제 2 센서(S2)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압력(도 3의 점선라인)이나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도 3의 점선라인)에 따라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의 제 1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V1, V3)의 개폐 및 상기 제 1 펌프(51)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제어부(63)는 상기 제 1 센서(S1) 또는 상기 제 2 센서(S2)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압력(도 3의 점선라인)이나 상기 전해질의 공급 농도(도 3의 점선라인)에 따라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의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면서,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V2, V4)의 개폐 및 상기 제 2 펌프(61)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제어부(53)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63)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낮을 때, 상기 제 1 엔진모듈(30) 또는 상기 제 2 엔진모듈(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V1, V3) 또는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V2, V4)는 닫힘 제어하고, 상기 제 1 펌프(51) 또는 상기 제 2 펌프(61)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어부(53)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63)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와 같을 때, 상기 제 1 엔진모듈(30) 또는 상기 제 2 엔진모듈(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V1, V3) 또는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V2, V4)는 열림 제어하고, 상기 제 1 펌프(51) 또는 상기 제 2 펌프(61)의 구동을 온 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1 제어부(53)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63)는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에 의해 체크되는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의 공급 농도가 설정된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보다 높을 때, 상기 제 1 엔진모듈(30) 또는 상기 제 2 엔진모듈(40)에 의한 구동 전원 공급과 상기 제 1 펌프(51) 또는 상기 제 2 펌프(61)의 구동을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V1, V3) 또는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V2, V4)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압력 또는 기준 농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급수전 용수의 공급량 또는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와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는 통상적으로 음극과 양극이 복수개 교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양극은 전해 중에 산화현상에 의한 여러가지 발생하는 문제 극복을 위해 내산화성을 갖는 원소, 즉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여 보호하고, 상기 음극은 비싼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압의 극성을 교대로 바꾸어 가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음극도 백금족 코팅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에서 출수하는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 그리고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에서 출수하는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는 각각 구비되는 살균수 저장탱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수 저장탱크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치되면서 출수 관체로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패널(54, 64)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함체 구조물인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격판(D1, D2)에 각각 설치되면서 상기 제 1 제어부(53) 및 제 2 제어부(63)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온/오프, 그리고 급수전 용수 압력 또는 전해질에 대한 공급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 상기 버튼들에 의한 설정 정보 입력 상태는 물론 상기 제 1 제어부(53)와 상기 제 2 제어부(63)의 제어신호에 따른 시스템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S1, S2)들에 의해 체크되는 압력과 농도를 표시하는 압력계/농도계, 및 시스템 작동에 대한 오류 발생시 상기 제 1 제어부(53)와 상기 제 2 제어부(63)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제조하고자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의 농도가 제 1 농도로서 20∼30ppm 또는 100ppm∼200ppm의 범위내인 경우, 하우징(10)의 일면측에 형성되는 제 2 엔진버튼(BT2)을 통해 제 2 엔진모듈(40)을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시키고, 제 1 엔진버튼(BT1)을 통해 제 1 엔진모듈(30)을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1 조작패널(54)을 통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하우징(10)내의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에 포함되는 제 1 제어부(53)는 상기의 작동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을 통해 제 1 전류밀도로 제어되는 제 1 구동전원을 제 1 전기 분해조(52)의 전류 스크류 단자에 공급시킴과 동시에,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에 형성되는 제 1 밸브(V1) 및, 제 1 용수공급라인(L1)에 형성되는 제 3 밸브(V3)를 열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V1, V3)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설명한 것이며,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V1, V3)가 수동 밸브인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열림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은 상기 제 2 엔진버튼(BT2)에 의해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측에 형성되는 제 2 조작패널(64)을 통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더라도, 상기 하우징(10)내의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에는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의 제 2 구동전원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3 밸브(V1, V3)가 개방되면, 전해질 저장탱크(20)에 저장하여둔 전해질은 상기 제 1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제 1 펌프(51)에 의해 펌핑되면서 제 1 전해질 공급라인(L11)을 통해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에 공급됨은 물론,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에는 제 1 용수공급라인(L1)을 통해 급수전 용수가 공급되므로,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의 내부에서는 전해질과 급수전 용수의 혼합으로부터 희석된 염수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엔진모듈(30)에서는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의 전극 스크류 단자에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을 위해 제 1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1 구동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는 염수를 전해 반응시키면서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한 후 이를 출수시키게 되며, 출수된 상기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는 야채와 같은 채소류나 식기 등의 부자재 등의 살균 소독이나 세척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제어부(53)가 상기 제 1 펌프(51)의 펌핑 시간을 제어하면서 상기 전해질의 유속 수치 범위를 제 1 범위로 조절함은 물론, 상기 제 1 엔진모듈(30)에 의해 공급되는 제 1 구동전원을 제 1 전류밀도를 가지도록 제어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52)에서 희석된 염수는 20∼30ppm 또는 100ppm∼200ppm의 범위내인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생성하고자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의 농도가 상기 제 1 농도와 농도 차이가 큰 제 2 농도로서 상업적 생산량에 맞춘 1000ppm 또는 5000ppm인 경우, 하우징(10)의 일면측에 형성되는 제 1 엔진버튼(BT1)을 통해 제 1 엔진모듈(30)을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시키고, 제 2 엔진버튼(BT2)을 통해 제 2 엔진모듈(40)을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2 조작패널(64)을 통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하우징(10)내의 제 2 살균수 생성모듈(60)에 포함되는 제 2 제어부(63)는 상기의 작동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엔진모듈(40)을 통해 제 2 전류밀도로 제어되는 제 2 구동전원을 제 2 전기 분해조(62)의 전류 스크류 단자에 공급시킴과 동시에,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에 형성되는 제 2 밸브(V2) 및, 제 2 용수공급라인(L2)에 형성되는 제 4 밸브(V4)를 열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V2, V4)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설명한 것이며,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V2, V4)가 수동 밸브인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열림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은 상기 제 1 엔진버튼(BT1)에 의해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측에 형성되는 제 1 조작패널(54)을 통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더라도, 상기 하우징(10)내의 제 1 살균수 생성모듈(50)에는 상기 제 1 엔진모듈(30)의 제 1 구동전원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및 제 4 밸브(V2, V4)가 개방되면, 전해질 저장탱크(20)에 저장하여둔 전해질은 상기 제 2 제어부(63)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제 2 펌프(61)에 의해 펌핑되면서 제 2 전해질 공급라인(L12)을 통해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에 공급됨은 물론,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에는 제 2 용수공급라인(L2)을 통해 급수전 용수가 공급되므로,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의 내부에서는 전해질과 급수전 용수의 혼합으로부터 희석된 염수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엔진모듈(40)에서는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의 전극 스크류 단자에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을 위해 제 2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2 구동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는 염수를 전해 반응시키면서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한 후 이를 출수시키게 되며, 출수된 상기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는 산업용 생산량으로서 축사, 식당, 병원, 가정, 미장원, 식품가공 공장, 육가공 공장, 공중 위생을 위한 공공 장소, 화장실 타일 청소 등의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살균 소독, 악취 제거, 청소, 세척 등의 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제어부(63)가 상기 제 2 펌프(61)의 펌핑 시간을 제어하면서 상기 전해질의 유속 수치 범위를 상기 제 1 범위보다 긴 제 2 범위로 조절함은 물론, 상기 제 2 엔진모듈(40)에 의해 공급되는 제 2 구동전원을 상기 제 1 전류밀도보다 높은 제 2 전류밀도를 가지도록 제어하게 되면서,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62)에서 희석된 염수는 1000ppm 또는 1000ppm인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하우징 20; 전해질 저장탱크
30; 제 1 엔진모듈 40; 제 2 엔진모듈
50; 제 1 살균수 생성모듈 51; 제 1 펌프
52; 제 1 전기 분해조 53; 제 1 제어부
54; 제 1 조작패널 60; 제 2 살균수 생성모듈
61; 제 2 펌프 62; 제 2 전기 분해조
63; 제 2 제어부 64; 제 2 조작패널
BT1; 제 1 엔진버튼 BT2; 제 2 엔진버튼
L1; 제 1 용수공급라인 L2; 제 2 용수공급라인
L11; 제 1 전해질 공급라인 L12; 제 2 전해질 공급라인
S1; 제 1 센서 S2; 제 2 센서
V1, V2, V3, V4; 밸브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며,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해질이 저장되며, 상기 전해질을 제 1 밸브 또는 제 2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전해질 공급라인 또는 제 2 전해질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는 전해질 저장탱크;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제 1 엔진버튼에 의해 동작 대기모드 또는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제 1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엔진모듈;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제 2 엔진버튼에 의해 동작 대기모드 또는 동작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구동전원보다 전류밀도가 큰 제 2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엔진모듈;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엔진모듈에서 공급하는 제 1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제 1 범위로 조절하며, 제 3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용수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와 상기 제 1 범위로 조절되는 상기 전해질의 혼합된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농도 차이가 크지 않은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제 1 소독수 생성모듈; 및,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엔진모듈에서 공급하는 제 2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전해질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상기 제 1 범위보다 높은 제 2 범위로 조절하며, 제 4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용수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전 용수와 상기 제 2 범위로 조절되는 상기 전해질의 혼합된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상기 제 1 농도보다 농도 차이가 큰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는 제 2 소독수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독수 생성모듈은,
    상기 제 1 밸브가 개방시 상기 전해질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제 1 전해질 공급라인으로 펌핑하는 제 1 펌프;
    전극 스크류 단자에 제 1 구동전원이 공급시,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이 혼합되어진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출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제 1 전기 분해조; 및,
    제 1 조작패널로부터 작동신호 출력시, 상기 제 1 펌프의 펌핑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제 1 범위로 조절하면서,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된 상기 제 1 엔진모듈의 제 2 구동전원을 상기 제 1 전기 분해조의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로 공급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독수 생성모듈은,
    상기 제 2 밸브가 개방시 상기 전해질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제 2 전해질 공급라인으로 펌핑하는 제 2 펌프;
    전극 스크류 단자에 제 2 구동전원이 공급시, 급수전 용수와 전해질이 혼합되어진 염수를 전해 반응시켜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하고 출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제 2 전기 분해조; 및,
    제 2 조작패널로부터 작동신호 출력시, 상기 제 2 펌프의 펌핑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유속의 수치 범위를 제 2 범위로 조절하면서, 동작 대기모드로 전환된 상기 제 2 엔진모듈의 제 2 구동전원을 상기 제 2 전기 분해조의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로 공급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밸브는 수동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는 상기 제 1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용수 공급라인에는 급수전 용수의 공급 압력을 체크하는 제 1 센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질 공급라인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질의 공급 농도를 체크하는 제 2 센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또는 상기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압력이나 상기 제 1 전해질의 공급 농도에 따라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상기 제 1 엔진모듈의 제 1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의 개폐 및 상기 제 1 펌프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또는 상기 제 2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상기 급수전 용수의 압력이나 상기 제 2 전해질의 공급 농도에 따라 상기 전극 스크류 단자에 상기 제 2 엔진모듈의 제 2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면서,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의 개폐 및 상기 제 2 펌프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엔진모듈은 농도 차이가 크지 않은 상기 제 1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가 생성되도록 제 1 전류밀도를 가지는 상기 제 1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제 1 개수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장치(SM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엔진모듈은 농도 차이가 큰 상기 제 2 농도의 전해 살균 소독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제 1 구동전원의 제 1 전류밀도보다 높은 제 2 전류밀도를 가지는 제 2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개수를 초과하는 제 2 개수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장치(SM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농도는 20∼30ppm 또는 100ppm∼2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농도는 1000ppm 또는 5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1020210103131A 2021-08-05 2021-08-05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KR20230021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31A KR20230021357A (ko) 2021-08-05 2021-08-05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31A KR20230021357A (ko) 2021-08-05 2021-08-05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57A true KR20230021357A (ko) 2023-02-14

Family

ID=8522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131A KR20230021357A (ko) 2021-08-05 2021-08-05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135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4-08-09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0425129Y1 (ko) 2006-06-15 2006-08-29 서순기 이동식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425130Y1 (ko) 2006-06-15 2006-08-30 서순기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90048153A (ko) 2007-11-09 2009-05-13 서순기 이종 액체 혼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소독수 제조장치
KR101942508B1 (ko) 2017-02-17 2019-01-25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94B1 (ko) 2001-04-03 2004-08-09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0425129Y1 (ko) 2006-06-15 2006-08-29 서순기 이동식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425130Y1 (ko) 2006-06-15 2006-08-30 서순기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20090048153A (ko) 2007-11-09 2009-05-13 서순기 이종 액체 혼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해소독수 제조장치
KR101942508B1 (ko) 2017-02-17 2019-01-25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5104B2 (en) Device for manufacturing sodium hypochlorite or hypochlorous acid and water treatment system in general
US8419926B2 (en) Electrolyzed water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425129Y1 (ko) 이동식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100802361B1 (ko) 전해살균 소독수 공급장치
JP2006043707A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0425130Y1 (ko)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JP2004008983A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方法
KR20230021357A (ko) 이중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US20130199928A1 (en) Device for producing an electrochemically activated solution by means of an electrolysis process
WO2013058497A1 (ko) 3조 1포트식 전기분해 장치
KR100756030B1 (ko) 휴대용 전해소독수 생성장치
JP3667405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12091121A (ja) 電解水製造装置
JP6776077B2 (ja) 電解水製造装置
JP2008055400A (ja) 二重電解による殺菌用水生成法
JP2001191079A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0700918B1 (ko) 전해수 생성장치
JP2018158285A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0725658B1 (ko) 음용수의 은 전해 살균시스템
KR20210010150A (ko) 대용량의 전해 살균 소독수 생산 시스템
JPH08215684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KR20170014064A (ko)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모듈화된 전기분해 장치
KR102534556B1 (ko) 살균 및 수소공급이 가능한 수전
WO2023115574A1 (zh) 次氯酸消毒水机
CN220300586U (zh) 一种高效自动消毒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